KR101834649B1 -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649B1
KR101834649B1 KR1020160087902A KR20160087902A KR101834649B1 KR 101834649 B1 KR101834649 B1 KR 101834649B1 KR 1020160087902 A KR1020160087902 A KR 1020160087902A KR 20160087902 A KR20160087902 A KR 20160087902A KR 101834649 B1 KR101834649 B1 KR 10183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ar
type
coupling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364A (ko
Inventor
권승열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6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00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3/00Couplings comprising mating parts of similar shape or form which can be coupled without the use of any additional element or elements
    • B61G3/04Couplings comprising mating parts of similar shape or form which can be coupled without the use of any additional element or elements with coupling head having a guard arm on one side and a knuckle with angularly-disposed nose and tail portions pivoted to the other side thereof, the nose of the knuckle being the coupling part, and means to lock the knuckle in coupling position, e.g. "A.A.R." or "Janne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2001/00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형상이 상이한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를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밀착형 연결기와 AAR형 연결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연결기의 연결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도록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및 지지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밀착형 연결기와 AAR형 연결기를 체결하는 체결 핀으로 이루어지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는 양측 단부에 체결구멍을 갖는 연결블록이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과 연결블록 사이에는 요(凹) 형의 결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Aapter for Railway Coupling}
본 발명은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형상이 상이한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를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는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사양이 다르게 구분되므로 이를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어댑터(adapter : 장치 또는 기계의 다른 부분을 연결하는 장치로, 적합하지 않은 두 개의 부분을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 또는 도구를 말한다.)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는 연결기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무게가 개략 60kg 이상으로 무거워 작업자가 다른 차량의 연결기와 연결을 위해 운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결기와 연결기를 연결하는 작업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는 상호 사양이 다른 연결기는 연결할 수 없거나 별도의 후작업을 통해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 차량과 차량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힘들며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사양이 다른 연결기 간의 연결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기와 분리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가볍고 운반과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신속한 결합을 이루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밀착형 연결기와 AAR형 연결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연결기의 연결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도록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및 지지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밀착형 연결기와 AAR형 연결기를 체결하는 체결 핀으로 이루어지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는 양측 단부에 체결구멍을 갖는 연결블록이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과 연결블록 사이에는 요(凹) 형의 결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상부 연결부는 양단 측에 위치하는 연결블록의 상면에 걸쳐지는 걸침부와 거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게가 가벼워 작업자가 다른 차량의 연결기와 연결시 운반하기가 용이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으며, 연결기와 연결기의 연결 작업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호 사양이 다른 연결기와 연결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차량과 차량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한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와 밀착형 연결기 및 AAR형 연결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와 밀착형 연결기 및 AAR형 연결기를 조립하여 1대의 차량 연결부와는 연결하고 다른 1대의 차량 연결부와는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기를 다른 1대의 차량 연결부와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와 중간형 연결기 및 AAR형 연결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와 중간형 연결기 및 AAR형 연결기를 조립하여 1대의 차량 연결부와는 연결하고 다른 1대의 차량 연결부와는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기를 다른 1대의 차량 연결부와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와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형 연결기와 어댑터를 조립하여 1대의 차량 연결부와는 연결하고 다른 1대의 차량 연결부에는 중간형 연결기가 연결된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밀착형 연결기와 어댑터 및 중간형 연결기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댑터(100)는 링크(110)와 체결 핀(1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110)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AAR형 연결기(2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연결기(200)의 연결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도록 상부 연결부(111)와 하부 연결부(112) 및, 지지 프레임(113)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연결부(111)와 하부 연결부(112)는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AAR형 연결기(230)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양측 단부에 체결구멍(h)을 갖는 연결블록(111a), (112a)이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블록(111a), (112a)과 연결블록(111a), (112a) 사이에는 요(凹) 형의 결합 공간(s)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추후 설명할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AAR형 연결기(230)의 사양이 다르더라도 각 결합 돌기(211), (221), (231)와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연결부(111)는 양쪽 제일 바깥 측에 위치하는 연결블록(111a)의 상면에 걸쳐지는 걸침부(11)와 거는 걸이부(1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추후 설명할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AAR형 연결기(230)의 각 고정핀(212), (222), (232)이 상기 걸침부(11)에 걸쳐지도록 하거나, 상기 걸이부(12)가 각 고정핀(212), (222), (232)에 걸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어댑터(100)를 힘들게 들지 않고 연결기(200)와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연결부(111)와 하부 연결부(112)는 지지 프레임(113)에 의해 상호 간격을 두고 지지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13)은 상부 연결부(111)와 하부 연결부(112)의 각 연결블록(111a), (112a) 중앙으로 수평 프레임(113a)이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양쪽 제일 바깥 측에 위치하는 연결블록(111a), (112a)의 측면으로는 수직 프레임(113b)이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연결부(111)와 하부 연결부(112)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가볍고 견고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각 연결블록(111a), (112a)은 수평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가볍고 견고하게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연결기(200)의 연결시 운반, 이동과 취급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프레임(113)은 상부 연결부(111)와 하부 연결부(112)의 중앙과 측면으로 부피와 무게를 줄이도록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어댑터(100)의 전체 부피와 무게를 줄이면서 견고하게 지지하여 운반과 취급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 핀(120)은 상기 링크(110)와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AAR형 연결기(23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체결 핀(120)은 상기 상부 연결부(111)와 하부 연결부(112)의 각 연결블록(111a), (112a)에 형성된 체결구멍(h)과 추후 설명할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AAR형 연결기(230)의 각 결합 돌기(211), (221), (231)와 결합 홈(213), (22), (233)의 체결구멍(h)으로 삽입되는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를 지지하는 지지 링(122) 및 상기 지지 링(122)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1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21)의 선단 부분에는 상기 고정핀(123)을 수용하기 위한 핀 수용구멍(12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 핀(120)의 본체(121)가 각 연결블록(111a), (112a)에 형성된 체결구멍(h)과 연결기(200)의 각 결합 돌기(211), (221), (231)와 결합 홈(213), (223), (233)의 체결구멍(h)을 관통하도록 삽입된 후, 본체(121)의 선단 부분 외주 면으로 상기 지지 링(122)이 끼워지면 상기 핀 수용구멍(121a)에 고정핀(123)이 끼워져 견고한 결합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기(200)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AAR형 연결기(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및 AAR형 연결기(230)는 각각 일 측 상부와 하부에 체결구멍(h)이 형성된 결합 돌기(211), (221), (231)와 결합 홈(213), (223), (2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멍(h)이 형성된 결합 돌기(211), (221), (231)와 결합 홈(213), (223), (233)은 상기 체결구멍(h)이 형성된 연결블록(111a), (112a)과 원활하고 용이한 결합을 이루도록 상호 대향 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 홈(213), (223), (233)은 연결블록(111a), (112a)의 양단 부분과 결합 되고, 상기 결합 돌기(211), (221), (231)는 연결블록(111a), (112a)의 결합 공간(s)과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 돌기(211), (221), (231)와 결합 홈(213), (223), (233)의 체결구멍(h)과 연결블록(111a), (112a)의 체결구멍(h)은 상호 동일한 축을 이루게 된다.
또,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및 AAR형 연결기(230)의 결합 돌기(211), (221), (231)는 상부 양측에 상기 상부 연결부(111)의 연결블록(111a)의 상면에 형성된 걸침부(11)와 걸이부(12)와 원활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한 고정핀(212), (222), (2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AAR형 연결기(230)의 고정핀(212), (222), (232)을 상기 상부 연결부(111)의 연결블록(111a)에 형성된 걸침부(11)와 걸이부(12)에 걸려지도록 한 후,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및 AAR형 연결기(230)의 체결구멍(h)과 연결블록(111a), (112a)의 체결구멍(h)을 일치시켜 상기 체결 핀(120)을 삽입,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및 AAR형 연결기(230)와 어댑터(100)의 연결시 작업자가 어댑터(100)의 무게로 인한 부담을 현저하게 줄여 신속하고 용이한 작업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차량과 차량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안전하고 원활한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환 또는 구원운전 등을 위해 철도차량 간을 연결시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AAR형 연결기(230)와 중간형 연결기(220) 또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AAR형 연결기(230)의 고정핀(212), (222), (232)에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100)의 상부 연결부(111)의 연결블록(111a)에 형성된 걸침부(11)와 걸이부(12)를 걸려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100)는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및 AAR형 연결기(230)의 고정핀(212), (222), (232)을 통해 걸려지기 때문에 힘들이지 않고 쉽게 상호 연결을 위한 2개의 연결기 사이에 임시로 걸어 둘 수 있다.
다음, 상기 밀착형 연결기(210)와 중간형 연결기(220) 및 AAR형 연결기(230)의 체결구멍(h)과 어댑터(100)의 상부 연결부(111)와 하부 연결부(112)의 체결구멍(h)으로 체결 핀(120)을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각 체결 핀(120)의 본체(121)의 선단 부분 외주 면으로 상기 지지 링(122)을 끼운 후, 상기 핀 수용구멍(121a)에 고정핀(123)을 끼워 견고하게 체결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와 같은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어댑터의 운반 및 체결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어댑터 110 : 링크
111 : 상부 연결부 111a : 연결블록
112 : 하부 연결부 112a : 연결블록
113 : 지지 프레임 113a : 수평 프레임
113b : 수직 프레임 120 : 체결 핀
121 : 본체 121a : 핀 수용구멍
122 : 지지 링 123 : 고정핀
200 : 연결기 210 : 밀착형 연결기
211, 221, 231 : 결합 돌기 212, 222, 232 : 고정핀
220 : 중간형 연결기 230 : AAR형 연결기
11 : 걸침부 12 : 걸이부
h : 체결구멍 s : 결합 공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밀착형 연결기와 AAR형 연결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연결기의 연결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도록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및 지지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밀착형 연결기와 AAR형 연결기를 체결하는 체결 핀으로 이루어지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는 양측 단부에 체결구멍을 갖는 연결블록이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블록과 연결블록 사이에는 요(凹) 형의 결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부는 양단 측에 위치하는 연결블록의 상면에 걸쳐지는 걸침부와 거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KR1020160087902A 2016-07-12 2016-07-12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KR101834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902A KR101834649B1 (ko) 2016-07-12 2016-07-12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902A KR101834649B1 (ko) 2016-07-12 2016-07-12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64A KR20180007364A (ko) 2018-01-23
KR101834649B1 true KR101834649B1 (ko) 2018-03-06

Family

ID=6107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02A KR101834649B1 (ko) 2016-07-12 2016-07-12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395B1 (ko) 2018-10-04 2019-11-08 주식회사 다원시스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901B1 (ko) 2018-03-22 2019-09-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WO2020196950A1 (ko) * 2019-03-27 2020-10-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KR102332947B1 (ko) * 2020-02-05 2021-12-01 한국철도공사 작업성 향상 기능을 갖는 발리스 취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395B1 (ko) 2018-10-04 2019-11-08 주식회사 다원시스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64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649B1 (ko)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KR101196888B1 (ko)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CN105332986A (zh) 固定件
CN104209734B (zh) 弹簧圈装配工装和使用该工装的弹簧圈安装设备
JP2010216084A (ja) 建設機械用トラックフレーム
KR20150015840A (ko) 해양설비의 파이프 인양지그 장치 및 파이프 수직 결합방법
US9284712B2 (en) Universal quick coupler for backhoe
CN103015678A (zh) 一种直接拼接的地板
CN210150592U (zh) 机车钩头吊装安全装置
CN103171978B (zh) 快装接头和具有该快装接头的塔式起重机
JPH10273044A (ja) 連結棒接続治具
JP3179014U (ja) 足場用抜け止め具
CN205691816U (zh) 一种sc适配器外壳
CN216353969U (zh) 可拼接继电器盒子的防水保险盒总成
CN104015881A (zh) 一种带吊耳对称型h型连接卸扣
CN210196252U (zh) 一种分体式刹车线
CN220030097U (zh) 一种用于10kV开关柜的保险拆装工具
CN204635717U (zh) 一种婴儿座椅
KR102315121B1 (ko)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CN217888554U (zh) 定位灌胶固化工装
CN204003815U (zh) 用于实现两部件联接的对接式联接装置
CN209544746U (zh) 一种车载电源线束
CN107819306B (zh) 光伏线缆专用卡扣
CN220570221U (zh) 一种车用电池包线束
CN105750939A (zh) 一种气缸与工件之间的连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