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121B1 -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121B1
KR102315121B1 KR1020210088488A KR20210088488A KR102315121B1 KR 102315121 B1 KR102315121 B1 KR 102315121B1 KR 1020210088488 A KR1020210088488 A KR 1020210088488A KR 20210088488 A KR20210088488 A KR 20210088488A KR 102315121 B1 KR102315121 B1 KR 102315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female
male
lock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호
Original Assignee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8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회로가 내장된 철도차량의 몸체(1) 하부에 고정되는 암접속부(300)와, 상기 암접속부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숫접속부(400)와, 상기 암접속부(300)와 숫접속부(400)를 결속하기 위한 탄성록커(500)로 구성된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로서, 상기 암접속부(300)는, 철도차량의 몸체(1) 하부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310);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외면에 마련되되, 철도차량의 전기회로와 접속되어 있는 암단자(320);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외면에 마련되되, 암단자(320)의 주변을 감싸고 있으며, 외부의 상,하,좌,우에 록커회피홈(331)이 형성된 원형의 암단자 내부링(330); 상기 암단자 내부링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의 상기 록커회피홈(331)과 상응하는 부위에 록커회피홈과 연통되는 록커수납홈(341)이 형성된 암단자 외부링(340); 상기 록커수납홈(341)의 상기 숫접속부(400)를 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슬롯(342);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암단자 외부링(340)의 주변에 상기 숫접속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사각 배치되는 얼라인 돌기(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숫접속부(400)는, 엘보우형으로 형성된 숫접속기 본체(410); 상기 숫접속기 본체의 선단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암단자 외부링(340)에 형성된 록커수납홈(341)과 대응되는 각 부위에 록킹홈(42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암접속부(300)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얼라인 돌기(350)가 삽입되는 얼라인 홈(422)이 형성되며, 외주면 양측에는 숫접속부(400)를 암접속부(300)에 접속할 때 숫접속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 손잡이(423)이 마련된 사각형상의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 상기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암단자(320)와 접속되도록 다수의 접속핀을 갖는 숫단자(430); 및 상기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내부에 마련되되, 숫단자(430)의 주변을 감싸고 있으면서 상기 암접속부(300)와의 접속시 암단자 내부링(330)의 외부로 끼워지는 숫단자 내부링(44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록커(500)는, 상기 암접속부(300)의 록커수납홈(341)에 형성된 슬롯(342)에 끼워지는 탄성편(510); 상기 탄성편(510)과 일렬이 되도록 일체로 되어 탄성편에 의해 상하 탄력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탄성편측의 양측면에는 상기 록커수납홈(341)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그 상하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부채꼴 형태로 되어 상기 암접속부(300)에 숫접속부(400)를 결속할 때 록킹홈(421)에 삽입되며, 그 선단면은 외향으로 볼록한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록커(520)로 구성된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본 발명은, 철도차챵의 전기 접속을 위한 암접속부와 숫접속부를 원터치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접속 및 단속작업이 용이하고, 암접속부에 얼라인 돌기를 마련하고, 상대물인 숫접속부에는 얼라인 돌기가 삽입되는 얼라인 홈을 마련하여, 암접속부에 숫접속부를 접속시킬 때 접속면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정결합이 가능하므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결합에 의한 구조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Electric coupler for railway car}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에 관련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철도차챵의 전기 접속을 위한 암접속부와 숫접속부를 원터치식으로 착탈할 수 있어서 접속 및 단속작업이 용이하며, 접속강도도 양호한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는 철도차량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200)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에 의하면, 종래의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200)는 철도차량용 전기 회로가 내장된 철도차량의 하단몸체(200c) 일측에 고정된 고정 전기접속부(202)와 상기 철도차량용 전기 회로를 접속 및 분리를 시키는 전기 연결기(200a)의 본체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하우징(200b)에 각각 고정된 탈부착 전기접속부(201)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고정 전기접속부(202)의 고정커플링(202a)의 수나사(202b)와 탈부착 전기접속부(201)의 탈부착 커플링(201a)의 암나사(201b)로만 연결, 고정하므로서 진동이 심한 차량과 차량 사이에 연결되는 전기접속기의 연결 부분이 진동으로 인해 헐겁게 되거나 파손이 되어 전기 접속기 자체를 여러번 교환, 보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383567호(2003년 4월 29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철도차챵의 전기 접속을 위한 암접속부와 숫접속부를 원터치식으로 착탈할 수 있어서 접속 및 단속작업이 용이하며, 접속강도도 양호한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회로가 내장된 철도차량의 몸체(1) 하부에 고정되는 암접속부(300)와, 상기 암접속부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숫접속부(400)와, 상기 암접속부(300)와 숫접속부(400)를 결속하기 위한 탄성록커(50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암접속부(300)는, 철도차량의 몸체(1) 하부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310);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외면에 마련되되, 철도차량의 전기회로와 접속되어 있는 암단자(320);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외면에 마련되되, 암단자(320)의 주변을 감싸고 있으며, 외부의 상,하,좌,우에 록커회피홈(331)이 형성된 원형의 암단자 내부링(330); 상기 암단자 내부링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의 상기 록커회피홈(331)과 상응하는 부위에 록커회피홈과 연통되는 록커수납홈(341)이 형성된 암단자 외부링(340); 상기 록커수납홈(341)의 상기 숫접속부(400)를 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슬롯(342);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암단자 외부링(340)의 주변에 상기 숫접속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사각 배치되는 얼라인 돌기(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숫접속부(400)는, 엘보우형으로 형성된 숫접속기 본체(410); 상기 숫접속기 본체의 선단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암단자 외부링(340)에 형성된 록커수납홈(341)과 대응되는 각 부위에 록킹홈(42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암접속부(300)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얼라인 돌기(350)가 삽입되는 얼라인 홈(422)이 형성되며, 외주면 양측에는 숫접속부(400)를 암접속부(300)에 접속할 때 숫접속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 손잡이(423)이 마련된 사각형상의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 상기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암단자(320)와 접속되도록 다수의 접속핀을 갖는 숫단자(430); 및 상기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내부에 마련되되, 숫단자(430)의 주변을 감싸고 있으면서 상기 암접속부(300)와의 접속시 암단자 내부링(330)의 외부로 끼워지는 숫단자 내부링(44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록커(500)는, 상기 암접속부(300)의 록커수납홈(341)에 형성된 슬롯(342)에 끼워지는 탄성편(510); 상기 탄성편(510)과 일렬이 되도록 일체로 되어 탄성편에 의해 상하 탄력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탄성편측의 양측면에는 상기 록커수납홈(341)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그 상하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부채꼴 형태로 되어 상기 암접속부(300)에 숫접속부(400)를 결속할 때 록킹홈(421)에 삽입되는 록커(520);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차챵의 전기 접속을 위한 암접속부와 숫접속부를 원터치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접속 및 단속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암접속부에 얼라인 돌기를 마련하고, 상대물인 숫접속부에는 얼라인 돌기가 삽입되는 얼라인 홈을 마련하여, 암접속부에 숫접속부를 접속시킬 때 접속면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정결합이 가능하므로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결합에 의한 구조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의 접속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의 단속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의 접속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접속부와 탄성록커의 분해 단면도.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의 접속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의 단속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의 접속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접속부와 탄성록커의 분해 단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는 전기회로가 내장된 철도차량의 몸체(1) 하부에 고정되는 암접속부(300)와, 상기 암접속부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숫접속부(400)와, 상기 암접속부(300)와 숫접속부(400)를 결속하기 위한 탄성록커(5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암접속부(300)는 다음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암접속부(300)는 철도차량의 몸체(1) 하부에 고정핀(P)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31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10)는 사각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암접속부(30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암단자(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단자(320) 철도차량의 전기회로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암단자(320)에는 상기 숫접속부(4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암접속부(30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외면에 마련되되, 암단자(320)의 주변을 감싸고 있는 암단자 내부링(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단자 내부링(330)의 외부 상,하,좌,우에는 록커회피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커회피홈(331)은 암접속부(300)에 숫접속부(400)를 접속할 때 숫접속부의 외부하우징(후술함)의 내면에 의해 상기 탄성록커(500)가 눌렸을 때 회피하기 위한 홈으로써, 만약 록커회피홈(331)이 없다면 탄성록커(500)가 요입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암접속부(300)는 상기 암단자 내부링(3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암단자 외부링(3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단자 외부링(3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록커회피홈(331)과 상응하는 부위에 록커회피홈과 연통되는 록커수납홈(3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커수납홈(341)으로는 상기 탄성록커(500)가 무부하 상태일 때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암접속부(300)는 상기 록커수납홈(341)의 상기 숫접속부(400)를 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슬롯(342)를 포함한다. 상기 슬롯(342)에는 상기 탄성록커(500)가 상하방향으로 탄력 변위되도록 지지된다.
상기 암접속부(30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암단자 외부링(340)의 주변에 상기 숫접속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사각 배치되는 얼라인 돌기(350)를 포함한다. 상기 얼라인 돌기(350)는 숫접속부(400)를 접속할 때 정위치 결합을 위해 유용하게 쓰인다. 부연하면, 암접속부(300)에 숫접속부(400)를 접속할 때 작업자는 접속부위가 보이지 않으므로 숙련자가 아닌 경우 단번에 접속하기가 어렵고, 또 무리하게 접속할 경우 내부 부속 및 구조물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얼라인 돌기(350)와 상대편의 얼라인 홈(후술됨)을 맞추면 정결합이 가능하므로 손쉬운 접속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암접속부(300)의 상대물인 숫접속부(400)는 다음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숫접속부(400)는 엘보우형으로 형성된 숫접속기 본체(410)를 포함한다.
상기 숫접속부(400)는 상기 숫접속기 본체(410)의 선단에 일체로 마련되는 사각형상의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하우징(420)의 상기 암단자 외부링(340)에 형성된 록커수납홈(341)과 대응되는 각 부위에 록킹홈(421)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홈(421)은 상기 탄성록커(500)가 삽입되면서 숫접속부(400)가 암접속부(3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420)의 상기 암접속부(300)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얼라인 돌기(350)가 삽입되는 얼라인 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의 역할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420)의 외주면 양측에는 숫접속부(400)를 암접속부(300)에 접속할 때 숫접속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 손잡이(423)이 마련된다.
상기 숫접속부(400)는 상기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암단자(320)와 접속되도록 다수의 접속핀을 갖는 숫단자(4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숫접속부(400)는 상기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내부에 마련되되, 숫단자(430)의 주변을 감싸고 있으면서 상기 암접속부(300)와의 접속시 암단자 내부링(330)의 외부로 끼워지는 숫단자 내부링(440)을 포함한다. 상기 숫단자 내부링(440)은 상기 암접속부(300)의 암단자 내부링(300)의 외주면에 끼움된다.
상기 암접속부(300)와 숫접속부(400)를 결속하기 위한 상기 탄성록커(500)는 상기 암접속부(300)의 록커수납홈(341)에 형성된 슬롯(342)에 끼워지는 탄성편(51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편(510)은 평탄한 판재 형태를 가지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암접속부(300)의 록커수납홈(341)에 형성된 슬롯(342)에 끼워진 채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편(510)은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록커(500)는 상기 숫접속부(400)가 암접속부(300)에 록킹되도록 하기 위한 록커(520)를 포함한다.
상기 록커(520)는 상기 탄성편(510)과 일렬이 되도록 일체로 되어 상기 탄성편(510)에 의해 상하 탄력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탄성편측의 양측면에는 상기 록커수납홈(341)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그 상하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부채꼴 형태로 되어 상기 암접속부(300)에 숫접속부(400)를 결속할 때 록킹홈(421)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록커(520)의 선단면은 외향으로 볼록한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만곡면은 상기 암접속부(300)를 숫접속부(400)로부터 탈거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즉, 숫접속부(400)를 탈거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록킹홈(421)의 만곡면과 접촉된 면이 슬립(slip)되면서 원터치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도 4 및 5에서 보듯이, 암접속부(300)에 숫접속부(400)를 접속할 때는, 숫접속부(400)의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선단이 암접속부(300)의 암단자 외부링(340)을 따라 진입하면서 록커수납홈(341)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있는 록커(520)를 누르게 된다.
이때, 록커(520)는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누름력에 의해 탄성편(510)이 변형되면서 록커회피홈(331)으로 몰입된다. 이후, 록커수납홈(341)과 록킹홈(421)이 일치하게 되면 록커회피홈(331)에 몰입되어 있던 록커(520)가 탄성편(510)의 복원력에 의해 위로 돌출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돌출된 록커(520)가 록킹홈(421)에 삽입되면서 숫접속부(400)가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암접속부(300)로부터 숫접속부(400)를 탈거할 때는 숫접속부를 탈거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록킹홈(421)의 만곡면과 접촉된 면이 슬립(slip)되면서 원터치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300 : 암접속부 310 : 고정 플레이트
320 : 암단자 330 : 암단자 내부링
331 : 록커회피홈 340 : 암단자 외부링
341 : 록커수납홈 342 : 슬롯
400 : 숫접속부 410 : 숫접속기 본체
420 : 숫접속부 외부하우징 421 : 록킹홈
422 : 얼라인 홈 430 : 숫단자
440 : 숫단자 내부링 500 : 탄성록커
510 : 탄성편 520 : 록커

Claims (1)

  1. 전기회로가 내장된 철도차량의 몸체(1) 하부에 고정되는 암접속부(300)와, 상기 암접속부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숫접속부(400)와, 상기 암접속부(300)와 숫접속부(400)를 결속하기 위한 탄성록커(500)로 구성된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로서,
    상기 암접속부(300)는, 철도차량의 몸체(1) 하부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310);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외면에 마련되되, 철도차량의 전기회로와 접속되어 있는 암단자(320);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외면에 마련되되, 암단자(320)의 주변을 감싸고 있으며, 외부의 상,하,좌,우에 록커회피홈(331)이 형성된 원형의 암단자 내부링(330); 상기 암단자 내부링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의 상기 록커회피홈(331)과 상응하는 부위에 록커회피홈과 연통되는 록커수납홈(341)이 형성된 암단자 외부링(340); 상기 록커수납홈(341)의 상기 숫접속부(400)를 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슬롯(342);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의 암단자 외부링(340)의 주변에 상기 숫접속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사각 배치되는 얼라인 돌기(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숫접속부(400)는, 엘보우형으로 형성된 숫접속기 본체(410); 상기 숫접속기 본체의 선단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암단자 외부링(340)에 형성된 록커수납홈(341)과 대응되는 각 부위에 록킹홈(42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암접속부(300)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얼라인 돌기(350)가 삽입되는 얼라인 홈(422)이 형성되며, 외주면 양측에는 숫접속부(400)를 암접속부(300)에 접속할 때 숫접속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 손잡이(423)이 마련된 사각형상의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 상기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암단자(320)와 접속되도록 다수의 접속핀을 갖는 숫단자(430); 및 상기 숫접속부 외부하우징(420)의 내부에 마련되되, 숫단자(430)의 주변을 감싸고 있으면서 상기 암접속부(300)와의 접속시 암단자 내부링(330)의 외부로 끼워지는 숫단자 내부링(44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록커(500)는, 상기 암접속부(300)의 록커수납홈(341)에 형성된 슬롯(342)에 끼워지는 탄성편(510); 상기 탄성편(510)과 일렬이 되도록 일체로 되어 탄성편에 의해 상하 탄력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탄성편측의 양측면에는 상기 록커수납홈(341)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그 상하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부채꼴 형태로 되어 상기 암접속부(300)에 숫접속부(400)를 결속할 때 록킹홈(421)에 삽입되며, 그 선단면은 외향으로 볼록한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록커(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KR1020210088488A 2021-07-06 2021-07-06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KR10231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488A KR102315121B1 (ko) 2021-07-06 2021-07-06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488A KR102315121B1 (ko) 2021-07-06 2021-07-06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121B1 true KR102315121B1 (ko) 2021-10-20

Family

ID=7826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488A KR102315121B1 (ko) 2021-07-06 2021-07-06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1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163U (ko) * 1996-12-30 1998-10-07 유기범 전원 및 신호케이블이 일체로 형성된 컴퓨터케이블
KR20020057514A (ko) * 2001-01-05 2002-07-11 서승정 철도차량용 전기 접속기
KR20110051102A (ko) * 2009-11-09 201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163U (ko) * 1996-12-30 1998-10-07 유기범 전원 및 신호케이블이 일체로 형성된 컴퓨터케이블
KR20020057514A (ko) * 2001-01-05 2002-07-11 서승정 철도차량용 전기 접속기
KR100383567B1 (ko) 2001-01-05 2003-05-14 서승정 철도차량용 전기 접속기
KR20110051102A (ko) * 2009-11-09 201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4592B2 (en) Connector with an improved guide portion for guiding connection the connector and an object to be connected thereto
US9472875B2 (en) Wire-to-board connector
JPH04306573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KR20110109967A (ko) 가요성 로크 아암을 구비하는 저 프로파일 소켓 커넥터
US809224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2002778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2315121B1 (ko) 철도차량용 전기접속기
KR200481252Y1 (ko) 일체형 이엠씨패드를 갖는 양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JPH10223311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2627137B2 (ja) コネクタ
CN210201008U (zh) 一种可防灌封胶灌入的插座
CN217485860U (zh) 一种电连接器组件
CN220066230U (zh) 密封配合结构及插座
CN214625582U (zh) 连接器
CN219937516U (zh) 用于汽车高速数据传输的四同轴线端连接器
CN105958281A (zh) 一种电子接插件
KR200257794Y1 (ko) 핸드프리 송수화기용 커넥터
KR20090063725A (ko) 커넥터
JPH09161747A (ja) 電池ケースならびにこれを装着した電子機器
KR19990021014A (ko) 컨넥터
JP2023007585A (ja) コネクタ装置、及び、該コネクタ装置を構成するケーブル側コネクタを保持する方法
JP2572513Y2 (ja) コネクタ
KR200375789Y1 (ko) 전기 커넥터의 로킹구조
JP4839985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3084349U (ja) 基板コネクタ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