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173B1 -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173B1
KR101968173B1 KR1020180156695A KR20180156695A KR101968173B1 KR 101968173 B1 KR101968173 B1 KR 101968173B1 KR 1020180156695 A KR1020180156695 A KR 1020180156695A KR 20180156695 A KR20180156695 A KR 20180156695A KR 101968173 B1 KR101968173 B1 KR 10196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ar
support bar
clamp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장의 플랜트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 등을 위해 설치되는 발판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웃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SCAFFOLD FIXING APPARATUS FOR PLANT}
본 발명은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장의 플랜트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 등을 위해 설치되는 발판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웃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화력발전소나 중화학공업 또는 해상 시설물 등의 각종 산업장의 플랜트 구조물을 건조할 때 고소작업 등을 위해 발판구조체가 설치되며, 발판구조체는 발판이 다수 연결되어 작업자에게 통로 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발판구조체는 다수의 발판을 연결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발판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연결한 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속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및 해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판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결속 정도가 일률적이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41478호(2017.05.30.)에는 '발판 고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발판 고정장치는 파이프 지지부가 파이프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478호(2017.05.30.) '발판 고정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산업장의 플랜트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 등을 위해 설치되는 발판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웃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판(10)을 지지하는 지지바(20)에 상기 발판(10)을 고정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로 결합되는 결합부(110); 상기 발판(10)에 안착되는 안착부(120); 및 상기 결합부(110)를 상기 안착부(120)에 결속하는 결속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지지바(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111); 및 하부가 상기 클램프(111)에 고정되고, 상부로 상기 안착부(120) 및 결속부(130)가 결합되는 결합바(112)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111)는 상기 지지바(2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으로 분기되고, 상기 결합바(112)는 상기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15)은,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의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거나,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결합바(11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발판(10)에 안착되는 안착링(121)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결합바(112)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안착링(12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결속부재(131)가 인입되는 측벽(1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안착부(120)와 클램프(111)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바(112)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관(1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관(132)은, 외주면에 상기 발판(10)에 접하면서 상기 발판(10)과 상기 결속관(132) 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이격턱(1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이격턱(133)의 둘레에 구비되는 보호링(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력,화력발전소나 중화학공업 또는 해상 시설물 등의 각종 산업장의 플랜트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 등을 위해 설치되는 발판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웃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발판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결합부가 지지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가 발판의 일측을 지지바에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가 발판 간을 지지바에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 및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에서 보호링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이하 "발판 고정장치"라 한다)(100)는 발판(10)을 지지하는 지지바(20)에 발판(10)을 고정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100)로써, 지지바(20)로 결합되는 결합부(110), 발판(10)에 안착되는 안착부(120) 및 결합부(110)를 안착부(120)에 결속하는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발판(10)은 수력,화력발전소나 중화학공업 또는 해상 시설물 등의 각종 산업장의 플랜트 구조물을 건조할 때 고소작업 등을 위해 설치되며, 발판(10)이 다수 연결되면서 작업자에게 통로 등을 제공한다.
발판(10)은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길이가 1m~3m에 이르며, 상부판 및 상부판의 둘레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발판은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0)은 지지바(20)에 의해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지지되며, 발판 고정장치(100)는 발판(10)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발판(10)이 지지바(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발판 고정장치(100)는 복수의 발판(10)이 병렬로 배치되면서 이루어지는 발판 구조체(1)의 양측 발판에 설치되거나, 발판 간에 설치되면서 발판(10)이 지지바(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110)는 지지바(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111) 및 클램프(11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판(10)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한편, 안착부(120) 및 결속부(130)와 결합되는 결합바(112)를 포함한다.
클램프(111)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결합바(112)는 하부가 클램프(111)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클램프(111)는 지지바(2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으로 분기되고, 결합바(112)는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으로 분기된다.
클램프유닛(113)은 반원 형태를 이루며, 지지바유닛(114)은 반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클램프(111)는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으로 분기됨으로써 발판(10)이 지지바(20)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지지바(20)로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은 각각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바유닛(114)과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이 이격됨에 따라 함께 이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이 접함에 따라 함께 접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수단(115)은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의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거나,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바유닛(114)이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석은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에 각각 구비되고, 지지바유닛(114)이 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석은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유닛(114)에만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은 지지바(20)를 감싸면서 지지바(20)로 결합되는 한편,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이 연결수단(115)에 의해 상호 부착되면서 원형링 형태를 이루고,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은 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결합부(110)는 지지바(20)로 결합되는 경우,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이 지지바(20)를 감싸는 한편,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이 연결수단(115)에 의해 상호 부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은 지지바(20)를 감싸면서 원형링 형태 즉, 클램프(111)를 이루고,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은 연결수단(115)에 의해 부착되면서 원기둥 형태 즉, 결합바(112)를 이룬다.
안착부(120)는 결합바(11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발판(10)에 안착되는 안착링(121)을 포함한다.
안착링(121)은 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이 발판(10)에 안착되거나,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이웃하는 두 발판(10)에 안착될 수 있다.
결속부(130)는 결합바(112)의 상부로 결합되는 결속부재(131)를 포함한다.
결합바(112)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속부재(13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결합바(112)로 나사결합된다.
안착부(120)는 결속부재(131)가 결합바(112)로 결합되므로 인해 결합부(100)에 안정적으로 결속되면서 발판(1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결속부재(131)의 조임 회전에 따라 결합바(112)와 함께 클램프(111)가 상방향으로 당겨짐으로 인해 지지바(20)로 밀착되면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안착부(120)는 안착링(12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결속부재(131)가 인입되는 측벽(122)을 더 포함한다.
측벽(122)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하부가 안착링(1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측벽(122)은 내측으로 수용되는 결속부재(131)를 보호하면서 외력 등에 의한 풀림 등을 방지하는 한편, 작업자 등의 걸림사고가 최대한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측벽(122)은 외측 둘레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측벽(122)과 결속부재(131) 간에는 일정공간이 형성되면서 공구 등을 사용한 조임 또는 풀림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결속부(130)는 안착부(120)와 클램프(111) 간에 위치되도록 결합바(11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결속관(132)을 더 포함한다.
결속관(132)은 원형관으로 이루어지며, 클램프(111)가 지지바(20)로 결합되는 한편, 안착부(120)가 발판(10)에 안착되기 전에 결합바(112)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결합바(112)가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결속관(132)은 결합바(112)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지지바(20)로 결합된 클램프(111)가 클램프유닛(113)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속관(132)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격턱(133)이 형성된다.
이격턱(133)은 발판(10)에 접하면서 발판(10)과 결속관(132) 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는, 안착링(121)의 일측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비해 발판(10)으로 편향됨이 없이 균형을 유지하면서 발판(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발판 고정장치(100)가 발판(10) 간에 설치되는 경우, 안착판(121)의 양측이 두 발판(10)에 동일한 길이로 안착될 수 있다.
결속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턱(133)의 둘레에 구비되는 보호링(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링(134)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판(10)과의 접촉에 따른 변형과 함께 마모 등을 방지한다.
보호링(134)은 내주면에 홈부(134a)가 형성되면서 이격턱(133)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손상 등에 따라 분리, 교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판 고정장치는 각종 산업장의 플랜트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 등을 위해 설치되는 발판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웃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발판 20 : 지지바
100 : 발판 고정장치 110 : 결합부
111 : 클램프 112 : 결합바
113 : 클램프유닛 114 : 지지바유닛
115 : 연결수단 120 : 안착부
121 : 안착링 122 : 측벽
130 : 결속부 131 : 결속부재
132 : 결속관 133 : 이격턱
134 : 보호링 134a : 홈부

Claims (7)

  1. 발판(10)을 지지하는 지지바(20)에 상기 발판(10)을 고정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로 결합되는 결합부(110);
    상기 발판(10)에 안착되는 안착부(120); 및
    상기 결합부(110)를 상기 안착부(120)에 결속하는 결속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지지바(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111); 및
    하부가 상기 클램프(111)에 고정되고, 상부로 상기 안착부(120) 및 결속부(130)가 결합되는 결합바(112)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111)는 상기 지지바(2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으로 분기되고,
    상기 결합바(112)는 상기 한 쌍의 클램프유닛(113)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으로 분기되며,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결합바(11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발판(10)에 안착되는 안착링(121)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안착링(121)과 클램프(111)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바(112)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관(132); 및
    상기 결합바(112)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131)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관(132)은,
    외주면에 상기 발판(10)에 접하면서 상기 발판(10)과 상기 결속관(132) 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이격턱(1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15)은,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지지바유닛(114)의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거나,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안착링(12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결속부재(132)가 인입되는 측벽(1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이격턱(133)의 둘레에 구비되는 보호링(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KR1020180156695A 2018-12-07 2018-12-07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KR10196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95A KR101968173B1 (ko) 2018-12-07 2018-12-07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95A KR101968173B1 (ko) 2018-12-07 2018-12-07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173B1 true KR101968173B1 (ko) 2019-04-30

Family

ID=6628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695A KR101968173B1 (ko) 2018-12-07 2018-12-07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695B1 (ko) * 2020-11-09 2021-05-06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86Y1 (ko) * 2005-05-16 2005-08-17 이창희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클램프
KR101353248B1 (ko) * 2013-07-26 2014-01-20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KR101588984B1 (ko) * 2014-12-29 2016-01-28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741478B1 (ko) 2015-10-30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86Y1 (ko) * 2005-05-16 2005-08-17 이창희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클램프
KR101353248B1 (ko) * 2013-07-26 2014-01-20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KR101588984B1 (ko) * 2014-12-29 2016-01-28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741478B1 (ko) 2015-10-30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695B1 (ko) * 2020-11-09 2021-05-06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888B1 (ko)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KR101484719B1 (ko) 배관 지지장치
KR101968173B1 (ko) 플랜트용 발판 고정장치
KR200475119Y1 (ko) 시스템비계
KR101914719B1 (ko) 154 kv 변압기의 oltc 점검용 인양 지그
KR101834649B1 (ko)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US2847237A (en) Coupling for piping sections
KR101989552B1 (ko) 플랜트용 발판구조체
KR101555815B1 (ko) 포스트 바 연결용 로프의 클램핑장치
KR200478598Y1 (ko) 배관용 간격유지구
KR101588984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20180030958A (ko) 파이프 연결구
CN108066916A (zh) 一种高处作业技术服务用悬挂设备
US20150362104A1 (en) Piping component and pipe
KR100980244B1 (ko) 원터치식 관이탈방지용 연결 소켓
KR20200084290A (ko) 개선된 배관용 커플링
KR101893860B1 (ko) 낙하 사고 방지 족장 커버
JP6588593B2 (ja) フランジ接続装置
JP5935575B2 (ja) 吊り下げ防爆形照明装置
KR101848843B1 (ko) 건축물용 배전선 보호기구
KR101748521B1 (ko) 발판 고정장치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발판 고정장치
KR20210074426A (ko) 케이블 코밍 커버
KR20140041001A (ko) 격자살 발판용 코밍장치
WO2011027970A2 (ko) 클램프
KR101588868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