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47B1 - 비상용 자동 망치 - Google Patents

비상용 자동 망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47B1
KR101833947B1 KR1020160151322A KR20160151322A KR101833947B1 KR 101833947 B1 KR101833947 B1 KR 101833947B1 KR 1020160151322 A KR1020160151322 A KR 1020160151322A KR 20160151322 A KR20160151322 A KR 20160151322A KR 101833947 B1 KR101833947 B1 KR 101833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hammer
restoring force
body portion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민섭
Original Assignee
하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민섭 filed Critical 하민섭
Priority to KR102016015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는, 비상 상황 발생시 충격을 가해 타격 대상물을 파괴하는 망치에 있어서, 타격 대상물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격 대상물에 일정거리 떨어진 제1 위치에서 복원력에 의해 타격 지점인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체가 탄성 재질인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타격 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결돌기가 형성되는 타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된 일부가 접촉에 의해 상기 타격부의 타단 복원을 간섭하고 있다가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시 복원력 간섭을 해제시키는 복원력 간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용 자동 망치 {AUTO HAMMER FOR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용 자동 망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 발생시 차량 또는 건물 등의 유리를 신속하게 파손시켜 신속한 탈출을 도모 가능한 비상용 자동 망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용 망치는 차량 또는 건물 등의 내부에 사고 등의 비상상황에서 출입문을 개문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여 비치하고 있으며,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비치된 비상망치로 주변 유리창을 파손하여 탈출로를 형성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에 비치하는 비상 망치는 기본적으로 유리창을 파괴하는 주 기능 이외에 랜턴 및 안전벨트 절단을 위한 커터 등이 구비되어 보조적인 기능을 겸비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비상 망치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62805호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6042호에 제안된 바 있다.
종래기술 1의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는, 유리창에 고정 설치되는 높이를 낮게 구성하여 긴급상황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에 있어서, 유리창에 부착가능하게 구비되며 전,후면과 상면이 개구되어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 전방 일부를 덮어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로 이탈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나머지 상면 후방 일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덮되, 전단부는 연결용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 전방부에 일단이 파괴용 탄성수단을 매개로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파괴용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는 것에 의해 유리창을 파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괴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 후방부 바닥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 상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되고, 전단부는 파괴부재의 타단을 걸림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파괴부재를 해제시키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비상탈출용 유리창 파괴장치는, 안전핀 제거시 고정부재의 내측 전방부에 파괴용 탄성수단의 코일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받도록 일단이 연결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부재가 고정부재에 대하여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회동하여 인하여 유리창을 파괴하는데, 파괴부재에 별도의 코일스프링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코일스프링의 중간이 끊어지는 경우 재기능을 하지 못하며, 한차례 가격시 유리가 파괴되지 않으면 파괴부재 자체를 잡고 회전시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2의 차량의 도어글래스 자동파쇄장치는, 차량의 내측 센터필러에 선단에 햄머를 구비한 아암이 차체의 도어글래스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햄머는 걸림턱을 구비하여 센터필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훅크에 걸려서 센터필러에 지지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햄머의 아암은 센터필러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항상 도어글래스쪽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힘을 받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훅크는 작동버턴의 누름 동작에 의해 연장되는 엑츄에이터의 선단과 맞닿아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차량의 도어글래스 자동파쇄장치는, 차량이 전복되거나 물에 빠진 사고의 경우 자동 또는 작동버턴을 누르기만 하면 햄머의 아암이 센터필러의 바닥에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의 힘을 받아 도어글래스 방향을 향하여 회동한 후 도어글래스를 타격하여 파쇄시키게 되는데, 아암이 별도의 스프링에 의해 센터필러 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결 구조가 복잡하면서 부피가 커지게 되며, 유리가 완전 파괴되지 않으면 아암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62805호(등록일: 2011.08.3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6042호(공개일: 1999.07.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유리 등에 부착한 상태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복원력 간섭부를 분리시키면 전체가 탄성 재질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타격부 자체가 복원력에 의해 타격 지점으로 이동되면서 부착면 유리를 타격 및 파괴하여 타격부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유리 등에 상시 부착되어 유리 등의 파괴 시간을 최소화하며, 내부에 점등되는 램프가 구비되어 야간이나 전기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에도 망치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망치를 찾는 시간의 단축에 따른 신속한 탈출을 도울 수 있게 한 비상용 자동 망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를 한 차례 가격하여도 완파가 안 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타격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잡아당겨 수동에 의해 타격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타격력의 재확보가 용이한 비상용 자동 망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는, 비상 상황 발생시 충격을 가해 타격 대상물을 파괴하는 망치에 있어서, 타격 대상물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격 대상물에 일정거리 떨어진 제1 위치에서 복원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체가 탄성 재질인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타격 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결돌기가 형성되는 타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된 일부가 접촉에 의해 상기 타격부의 타단 복원을 간섭하고 있다가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시 복원력 간섭을 해제시키는 복원력 간섭부를 포함하는 비상용 자동 망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는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원력 간섭부는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핀과, 상기 핀의 단부에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타격 대상물을 재차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타단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타격력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격력 형성부는 상기 타격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단부가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는 당김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력 간섭부의 타단은 봉인 테이프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외벽에 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망치의 위치 식별을 위한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 등에 부착한 상태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복원력 간섭부를 분리시키면 전체가 탄성 재질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타격부 자체가 복원력에 의해 타격 지점으로 이동되면서 부착면 유리를 타격 및 파괴하여 타격부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유리 등에 상시 부착되어 유리 등의 파괴 시간을 최소화하며, 내부에 점등되는 램프가 구비되어 야간이나 전기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에도 망치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망치를 찾는 시간의 단축에 따른 신속한 탈출을 도울 수 있고, 유리를 한 차례 가격하여도 완파가 안 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타격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잡아당겨 수동에 의해 타격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타격력의 재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의 타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의 타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100)는 몸체부(110), 마감부(120), 타격부(130), 복원력 간섭부(140) 및 조명부(15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측면에서 봤을 때 반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평면 바닥에 내부와 연통된 개구부(112)가 마감부(120)에 의해 마감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는 자체에 형광 또는 야광색이 도포되거나 성형시 형광 또는 야광 재질로 구비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위치 식별이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몸체부(110)는 양측벽 하단에 후술할 지지부재(114)가 횡방향으로 삽입 지지되는 삽입홀(11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14a)의 상부에 후술할 복원력 간섭부(140)의 고리(144)가 위치되는 함몰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116)의 바닥면에 상기 복원력 간섭부(140)의 핀(142)이 삽입 지지되도록 핀 삽입홈(116a)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14)는 몸체부(110)의 삽입홀(114a)에 삽입된 후 타격부(130)의 상면 중심 지점에 배치되게 하여 상기 타격부(130)의 변형 기점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함몰홈(116)은 몸체부(110)의 일측벽에 복원력 간섭부(140)의 고리(144)와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고리(144)를 상기 몸체부(110) 외벽면에 접은 상태에서 외측에 봉인 테이프(118)로 밀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봉인 테이프(118)는 평상시엔 복원력 간섭부(140)의 고리(144)가 외부로 노출됨을 차단하고 있다가,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제거하여 상기 간섭부(140)의 고리(14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마감부(120)는 몸체부(110)의 개구부(112)를 마감하되, 상면에 타격부(130)의 저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타격부(130)의 타격돌기(132)가 통과하도록 출몰홀(122)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 유리(G) 등과 같은 타격 대상물에 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부착수단(12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부착수단(124)은 타격 대상물이 유리(G)인 경우 부착이 용이하도록 양면테이프 등이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실시가 가능하며, 비상용 자동 망치(100)가 창틀에 설치되는 경우 나사 등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부착수단(124)에 의해 비상용 자동 망치(100)를 유리(G)의 타격점(유리의 사각 모서리부분) 등에 부착할 수 있고, 나사 등을 통해 창틀이나 창틀과 인접한 벽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타격부(130)는 전체가 탄성 재질인 플레이트 형태 즉, 판 스프링 형태로 구비되어 마감부(120)의 상면에 일단부(130a)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130b)의 단부 저면에 구비된 타격돌기(132)가 복원력에 의해 유리(G)를 타격하여 파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격부(130) 중 타단부(130b)가 타격 대상물인 유리(G) 표면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를 제1 위치라 칭하고, 상기 타단부(130b)가 복원력에 의해 상기 유리(G) 표면을 타격하는 타격 지점을 제2 위치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130)는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구비되어 복원력에 의해 타단부(130b)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직선일 때보다 더욱 강한 파괴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복원력 간섭부(140)는 몸체부(110)의 함몰홈(116)에 형성된 핀 삽입홈(116a)에 타격부(130) 중 변형된 타단부(130b)의 이동(복원)을 접촉에 의해 간섭하고 있다가, 유리(G)의 파괴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핀 삽입홈(116a)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타격부(130)에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안전핀으로, 세부적으로 핀(142) 및 고리(144)를 포함한다.
핀(142)은 복원력 간섭부(140)의 선단에 배치되어 몸체부(110)의 핀 삽입홈(116a) 내부로 삽입되면 이동된 타격부(130)의 타단부(130b) 선단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고리(144)는 핀(142)의 후단에 구비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핀(142)의 후단에서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방식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고리(144)는 핀(14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 비상용 자동 망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몸체부(110)의 측벽에 형성된 함몰홈(116) 측으로 접은 후 봉인 테이프(118)로 밀봉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하여 비상 상황에서만 복원력 간섭부(14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리(144)는 핀(142)과의 연결 부위에 텐션스프링이 구비되어 함몰홈(116)을 봉인 테이프(118)로 밀봉한 상태엔 텐션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봉인 테이프(118)를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핀(142)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향 회전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조명부(15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야간 시나 전기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에 비상용 자동 망치(10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망치를 찾는 번거로움을 없애 신속한 탈출을 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부(150)는 LED 램프(152)와 건전지(154)로 구성되며, 상기 건전지(154)는 몸체부(110)의 후면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몰하도록 구비되어 전력 소멸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건전지(154)는 전력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게이지가 몸체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전지(154)는 건전지 탭에 의해 상기 LED 램프(152)로의 인가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건전지 탭을 제거한 후 전원을 인가시키거나, 복원력 간섭부(140)를 몸체부(110)에서 제거하면 이를 센서가 인식하고 센서 신호를 통해 건전지(254)에 전원을 LED 램프(152)에 인가시키는 스위치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10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비상용 자동 망치(100)가 마감부(120)에 구비된 부착수단(124)에 의해 유리(G)의 사각 모서리부분에 상시 부착된 상태에서 긴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몸체부(110) 측벽에 부착된 봉인 테이프(118)를 제거한 후 복원력 간섭부(140)의 고리(144)를 잡아당겨 상기 고리(144)가 연결된 핀(142)이 상기 몸체부(110)의 삽입홀(114a)에서 분리되게 한다.
다음으로, 핀(142)에 의해 유리(G)에 일정거리 떨어진 제1 위치로 위치를 유지하고 있던 타격부(130)의 타단부(130b)가 복원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타단부(130b)의 저면에 구비된 타격돌기(132)가 마감부(120)의 출몰홀(122)을 통해 타격하면서 유리(G)를 파괴시킨다.
한편, 몸체부(110)의 내부에 조명부(150)가 구비되어 저녁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망치의 식별이 용이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100)는 비상시 차량내부, 빌딩 내부 및 실내에서의 유리 파손이 필요할 때 다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타격한 후 신속히 탈출을 도모할 수 있고, 다른 비상용 망치가 없어도 유리의 타격점(유리의 사각 모서리부분)에 상시 부착되어있어 타격 후 탈출 시간을 최소화하며, 내부에 건전지(154)로 작동되는 LED 램프(152)가 구비되어 야간시나 전기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에도 비상망치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타격부(130)는 코일 형태가 아닌 판 스프링 형태로 구비되므로 장시간 대기시 복원력이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200)는 몸체부(210), 마감부(220), 타격부(230), 타격력 형성부(234), 복원력 간섭부(240) 및 조명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10), 마감부(220), 타격부(230), 복원력 간섭부(240) 및 조명부(25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타격력 형성부(234)는 사용자가 몸체부(210)에서 타격력 형성부(234)를 제거하여 타격부(230)의 타격돌기(232)가 유리(G)를 타격할 때 상기 유리(G)가 완파되지 않는 경우, 수동에 의해 상기 타격부(230)가 유리(G)를 재차 타격할 수 있도록 타단부(230b)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타격력 형성부(234)는 와이어(234a) 및 당김고리(234b)를 포함한다.
와이어(234a)는 타격부(230)의 선단인 타격돌기(232)의 후면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몸체부(210)의 외측까지 연장된 철끈 등이 이에 적용된다.
당김고리(234b)는 몸체부(210)의 외측에 위치되어 유리(G)가 완파되지 않을 때, 사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게 와이어(234a)의 단부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용 자동 망치(200)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유리(G)를 파괴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타격력 형성부(234)를 분리시켜 타격부(230)가 복원력에 의해 유리(G)를 타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유리(G)가 완파되지 않으면 재차 유리(G)를 타격할 수 있도록 타격력 형성부(234)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타격력 형성부(234)의 당김고리(234b)를 잡아당기게 되면 당김고리(234b)가 와이어(234a)를 통해 타격부(230)의 타단부(230b)를 당겨 타격력이 재차 형성되도록 상기 타격부(230)의 타단부(230b)가 타격 지점인 제2 위치에서 유리(G)에 일정거리 떨어진 제1 위치로 이동되게 하며, 그 후 상기 당김고리(234b)를 놓으면 상기 타격부(230)의 타단부(230b)가 복원력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면서 유리(G)를 재차 타격하게 된다.
한편, 타격력 형성부(234)는 수동에 의해 타격부(230)에 타격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유리(G)가 파괴될 때 까지 여러차례 유리(G)를 가격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14는 지지부재이고, 222는 출몰홀이고, 224는 부착수단이고, 230a는 일단부이고, 242는 핀이고, 244는 고리이고, 252는 LED 램프이며, 254는 건전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비상용 자동 망치 110, 210: 몸체부
120, 220: 마감부 130, 230: 타격부
132, 232: 타격돌기 140, 240: 복원력 간섭부
142, 242: 핀 144, 244: 고리
150, 250: 조명부 234: 타격력 형성부
234a: 와이어 234b: 당김고리

Claims (7)

  1. 비상 상황 발생시 충격을 가해 타격 대상물을 파괴하는 망치에 있어서,
    타격 대상물에 부착되며, 측면이 반원판 형상인 반원통형 형상이며, 타격 대상물 부착면에 일부 개구된 출몰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격 대상물에 일정거리 떨어진 제1 위치에서 복원력에 의해 타격 지점인 제2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출몰홀을 통해 타격 대상물을 타격하도록 전체가 탄성 재질인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타격 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결돌기가 형성되는 타격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된 일부가 접촉에 의해 상기 타격부의 타단 복원을 간섭하고 있다가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시 복원력 간섭을 해제시키는 복원력 간섭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된 후 상기 타격부의 일정 지점에 배치되게 하여 상기 타격부의 변형 기점을 제한하게 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타격 대상물을 재차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타단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타격력 형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격력 형성부는 상기 타격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단부가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는 당김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력 간섭부는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핀과, 상기 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은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벽에 형성된 함몰홈 내에 위치되는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홈은 봉인 테이프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고리는 상기 핀과의 연결 부위에 텐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함몰홈을 상기 봉인 테이프로 밀봉한 상태엔 상기 텐션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봉인 테이프를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핀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자동 망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망치의 위치 식별을 위한 램프가 구비되는 비상용 자동 망치.
KR1020160151322A 2016-11-14 2016-11-14 비상용 자동 망치 KR10183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22A KR101833947B1 (ko) 2016-11-14 2016-11-14 비상용 자동 망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22A KR101833947B1 (ko) 2016-11-14 2016-11-14 비상용 자동 망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947B1 true KR101833947B1 (ko) 2018-03-02

Family

ID=6172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322A KR101833947B1 (ko) 2016-11-14 2016-11-14 비상용 자동 망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002A (ko) 2018-04-14 2019-10-23 김민지 푸쉬형 비상탈출망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002A (ko) 2018-04-14 2019-10-23 김민지 푸쉬형 비상탈출망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947B1 (ko) 비상용 자동 망치
MXPA04000829A (es) Aparato de cierre y metodo de instalacion del mismo.
JP7015951B1 (ja) 耐負荷荷重安全フック
JP2001220973A (ja) 建築用シャッター
GB2352332A (en) Trigger mechanism for an alarm call-point
KR101950117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구 개폐 시스템
JP5079596B2 (ja) ドア開閉機構
JP3141193U (ja) 蓋付灰皿
KR20170138284A (ko) 자동차 비상 상황 시 창문 개방장치.
JP2009185535A (ja) 戸当たり
JP2020109249A (ja) 避難扉
KR100461252B1 (ko) 차량의 창문 파쇄용 비상햄머의 장착구조
JP2008088779A (ja) 開閉体係脱装置付き開閉装置および開閉装置用開閉体係脱装置
JP4399632B2 (ja) 照明器具
CN205344678U (zh) 安全带照明装置
CN219941616U (zh) 一种安全锤
JP2001065224A (ja) ドアストッパ
JPH084445A (ja) ドアの気密保持装置
JP2008100575A (ja) 車両用ハザードスイッチ
JP2012245952A (ja) 車両用ドアガラス破壊装置
JP4085964B2 (ja) セキュリティーセンサ
JP5210214B2 (ja) スイッチ
JP6597419B2 (ja) 車両のドア装置
JP3032795U (ja) 分電盤ブレーカー安全装置
KR200196766Y1 (ko) 방범용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