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092B1 - 주입장치 및 증기터빈설비 - Google Patents

주입장치 및 증기터빈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092B1
KR101831092B1 KR1020167025793A KR20167025793A KR101831092B1 KR 101831092 B1 KR101831092 B1 KR 101831092B1 KR 1020167025793 A KR1020167025793 A KR 1020167025793A KR 20167025793 A KR20167025793 A KR 20167025793A KR 101831092 B1 KR101831092 B1 KR 10183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jection
pump
extrus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380A (ko
Inventor
하루카 기도
아키히로 하마사키
다카시 미치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6Devices for dosing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9/00Plants characterised by condensers arranged or modified to co-operate with th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025Devices and methods for diminishing corrosion, e.g. by preventing cooling beneath the dew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2Washing-out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3Water in cool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액체가 흐르는 배관(18)에 주입액(약액)을 주입하는 주입장치(1)로서, 배관(18)에 접속되어 주입액이 흐르는 주입배관(3)과, 주입배관(3)에 설치된 주입용 펌프(31)와, 주입용 펌프(31)보다도 하류측에서 주입 배관(3) 중의 공기 배출 대상부위(X)보다도 상류측에 접속된 압출용 배관(6)과, 압출용 배관(6)에 압출용의 액체를 보내는 압출용 펌프(33)를 구비하고, 압출용 펌프(33)의 토출량은 주입용 펌프(31)의 토출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입장치 및 증기터빈설비{INJECTION DEVICE AND STEAM TURBINE EQUIPMENT}
본 발명은 액체가 흐르는 배관에 주입액을 주입하는 주입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증기터빈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4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4-07027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증기터빈설비에서 급수계통이나 복수계통을 구성하는 배관의 재료로서는 탄소강이나 구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탄소강은 pH값이 낮을(산성)수록, 구리는 pH값이 높을(알칼리성)수록 부식이 진행된다. 따라서 급수계통이나 복수계통에서 부식을 회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급수계통 내부를 흐르는 급수에 약액을 주입하고, 수질을 pH9.2(약 알칼리성) 정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급수에 암모니아(NH3) 혹은 히드라진(N2H4)을 첨가하여 pH조정을 실행한다. 또한 급수의 용존산소도 부식의 원인이 되므로, 히드라진을 첨가함으로써 용존산소의 제거도 실행된다.
여기서 급수계통의 배관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약액주입배관 중에 여러 종류의 요인에 의해 공기가 체류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급수계통의 배관에 약액을 주입할 때 약액주입배관 중에 체류한 공기가 댐퍼와 같은 작용을 발생함으로써 약액이 충분히 주입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체류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은 기술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 약 주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약 주입 장치는 주액(물)이 흐르는 배관과, 배관에 주입되는 약액이 흐르는 약액주입유로와, 주액의 유량을 검출하여 유량 신호를 발하는 주액유량계와, 대토출용량을 갖는 대유량펌프와, 소토출용량을 갖는 소유량펌프와, 주액유량계를 발하는 유량 신호를 받아 상기 2개의 펌프에 유량 신호를 부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약 주입 장치는 주액유량의 대소에 따라 2개의 펌프를 전환하여 주액에 대한 약액의 주입을 실행한다.
또한 이 약액장치는 대유량펌프와 소유량펌프가 구비된 약액공급유로의 도중에 약액이 저장되어 있는 약액탱크로 돌아가는 공기 배출용 리턴 유로를 가지고 있다. 이 리턴 유로에 의해 어느 일방의 펌프와 약액탱크를 연결하는 순환로가 형성된다. 즉, 이 약액장치는 2개의 펌프를 전환하기에 앞서 이 순환로를 약액이 순환함으로써 유로 중의 공기가 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7-209864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실제 증기터빈설비에서는 설비 공간이나 설계 상황에 따라 배관에 직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직립부로서는 설치면을 따라 부설된 배관이 일단 설치면에서 상방으로 이간하고, 설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 후 재차 설치면을 따라 부설되도록 하는 구성이 이것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 직립부에 공기가 체류하기 쉬워진다.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약액주입배관에서도 직립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그곳에 공기가 체류하기 쉬워진다. 공기가 체류하게 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약 주입 장치에서도 이 체류한 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배관 중에 체류한 공기를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액체가 흐르는 배관에 주입액을 주입하는 주입장치로서, 상기 배관에 접속되어 상기 주입액이 흐르는 주입배관과, 상기 주입배관에 설치된 주입용 펌프와, 상기 주입용 펌프보다도 하류측에 상기 주입 배관 중의 공기 배출 대상부위보다도 상류측에 접속된 압출용 배관과, 상기 압출용 배관에 압출용의 액체를 보내는 압출용 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압출용 펌프의 토출량은 상기 주입용 펌프의 토출량보다도 크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압출용 펌프와 해당 압출용 펌프에 접속된 압출용 배관이 공기 배출 대상부위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된다. 추가로 압출용 펌프는 주입용 펌프보다도 큰 토출량을 가진다. 따라서 공기 배출 대상부위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형태에 관한 주입장치에서, 상기 배관에는 액체를 보내는 송수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압출용 배관은 상기 배관에 설치된 상기 송수펌프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상기 송수펌프가 상기 압출용 펌프를 겸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관에 액체를 보내는 급수펌프를 압출용 펌프로서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펌프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존 설비에 간이한 개조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공기 배출 대상부위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형태에 관한 주입장치는 상기 주입배관에 세정용 액체를 보내는 세정용 배관과, 상기 세정용 배관에 세정용 액체를 보내는 세정용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용 배관은 상기 주입용 펌프보다도 하류측에서 상기 주입배관 중의 공기 배출 대상부위보다도 상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압출용 배관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세정용 펌프가 상기 압출용 펌프를 겸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세정용 배관에 세정용의 액체를 보내는 세정용 펌프를 압출용 펌프로서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펌프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존 설비에 간이한 개조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공기 배출 대상부위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증기터빈설비는 상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주입장치와,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증기로 구동되는 증기터빈과, 상기 증기터빈에서 배기되는 증기를 물로 되돌리는 복수기와, 상기 복수기에서 생성된 물을 상기 보일러로 되돌리는 급수배관과,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된 급수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배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급수배관 중의 수질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증기터빈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주입장치에 의하면 배관 중의 공기를 적절히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증기터빈설비에 따른 급수배관 중의 수질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입장치를 구비하는 증기터빈설비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입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입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주입장치(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터빈설비(100)는 보일러(61)와, 증기터빈(51)과, 증기터빈(51)에 접속되는 외부기기(52)와, 복수기(53)와, 급수펌프(33)와, 주입장치(1)와, 보급장치(2)를 가지고 있다.
보일러(61)는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증기를 증기터빈(51)으로 보낸다. 증기터빈(51)은 보일러(61)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해 구동된다. 외부기기(52)는 증기터빈(51)에 접속된 발전기 등의 장치로서, 증기터빈(51)의 출력에 의해 구동된다. 복수기(53)는 증기터빈(51)에서 배기된 증기를 복수하기 위해 설치된다. 복수기(53)와 보일러(61)는 급수배관(18)(배관(18))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배관(18)은 증기터빈설비(100)에 따른 급수계통(W)이 된다.
또한 급수배관(18) 상에는 급수로서의 물(액체)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33)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펌프(33)는 복수기(53)에서 보일러(61)에 물을 공급한다. 급수펌프(33)는 증기터빈설비(100)에 따른 송수펌프가 된다.
주입장치(1)는 증기터빈설비(100)에 따른 배관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한 약액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보급장치(2)는 급수계통(W) 중에 물을 보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주입장치(1)는 약액(주입액)을 저류하는 약액탱크(41)와, 약액탱크(41)에서 공급된 약액을 급수배관(18) 중에 주입하는 주입배관(3)과, 주입배관(3) 상에 설치되어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용 펌프(31)를 가지고 있다. 주입용 펌프(31)로서는 정량펌프의 일종인 다이아프램펌프가 이용된다. 또한 상술한 급수펌프(33)의 토출량은 주입용 펌프(31)의 토출량보다도 크다.
주입배관(3) 상에는 약액탱크(41)에서 급수배관(18)을 향하는 순서로 제1 주입밸브(20)와, 주입용 펌프(31)와, 제2 주입밸브(2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는 주입배관(3) 상에 따른 약액탱크(41) 측을 상류측으로 하고, 급수배관(18) 측을 하류측으로 한다.
주입배관(3)에 따른 제2 주입밸브(21)의 하류측에는 직립부(X)가 설치되어 있다. 직립부(X)는 증기터빈설비(100)의 설치 공간이나 설계 상의 제약으로 피치 못하게 형성되는 배관의 형태이다.
직립부(X)는 설치면을 따라 부설된 주입배관(3)이 일단 설치면에서 상방으로 이간하고, 설치면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 후 재차 설치면을 따라 부설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직립부(X)의 내부에는 설치면을 따라 부설되어 있는 주입배관(3)에 따른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공기가 체류하기 쉽다. 체류한 공기는 주입배관(3)의 내부에 주입된 약액에 대하여 댐퍼와 같은 작용을 발생한다.
따라서 증기터빈설비(100)의 운전 시에는 이와 같은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를 뺄 필요가 있다. 즉, 직립부(X)는 공기 배출 대상부위로 되어 있다.
보급장치(2)는 보급수로서의 물을 저류하는 보급수탱크(42)와, 이 물을 복수기(53)에 도입하는 보급수용 배관(4)과, 보급수용 배관(4) 상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보급수용 펌프(32)(후술하는 세정용 펌프를 겸함)를 가지고 있다.
보급수용 배관(4) 상에는 보급수탱크(42)에서 복수기(53)를 향하는 순서로 보급수용 펌프(32)와, 보급수용 밸브(2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는 보급수용 배관(4) 상에 따른 보급수탱크(42) 측을 상류측으로 하고, 복수기(53) 측을 하류측으로 한다.
주입배관(3)에 따른 주입용 펌프(31)의 상류측과 보급수용 배관(4)에 따른 보급수용 펌프(32)의 하류측은 세정용 배관(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세정용 배관(5) 상에는 주입배관(3) 측부터 순서대로 제1 세정용 밸브(22), 제2 세정용 밸브(25)가 배치되어 있다.
급수배관(18)에 따른 급수펌프(33)의 하류측과 주입배관(3)에 따른 주입용 펌프(31)의 하류측은 제1 세정용 밸브(22)와 제2 세정용 밸브(25) 사이에 설치된 접속부(C)를 거쳐 압출용 배관(6)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압출용 배관(6) 상에는 주입배관(3)에서 급수배관(18)을 향하는 순서로 제1 압출밸브(23)와, 제2 압출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용 배관(5)에는 상술한 보급수탱크(42)에서 공급되는 물이 흐른다. 따라서 제1 세정용 밸브(22)와 제2 세정용 밸브(25)를 개방하고, 제1 압출밸브(23)와 보급수용 밸브(26)를 폐지함으로써, 주입배관(3) 및 주입용 펌프(31)가 물에 의해 세정된다. 또한 세정용 배관(5)을 개재하여 세정용의 물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보급수용 펌프(32)가 구동된다. 즉, 보급수용 펌프(32)는 세정용 펌프를 겸하고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주입장치(1) 및 증기터빈설비(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기터빈설비(100)는 통상 운전 시에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먼저 보일러(61)에서 발생시킨 증기를 증기터빈(51)에 공급한다. 증기터빈(51)은 공급된 증기에 의해 회전하고, 접속된 외부기기(52)를 구동시킨다.
이어서 증기터빈(51)에서 배기된 증기는 복수기(53)에 전송된다. 복수기(53)에서는 열교환에 의해 증기를 응축시켜 증기를 물로 되돌린다. 이 물은 급수로서 급수배관(18) 상에 설치된 급수펌프(33)에 의해 보일러(61)에 공급된다. 보일러(61)에서는 이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증기터빈설비(100)를 운전함으로써, 복수기(53)에서 보일러(61)로 급수배관(18)을 개재하여 물이 흐른다.
여기서, 증기터빈설비(100)에서는 각 배관이 주로 탄소강에 의해 형성되므로, 물에 의한 부식에 대한 조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조치로서 주입장치(1)에 의한 약액의 주입이 실행된다. 약액으로서는 물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히드라진이나 암모니아가 주로 이용된다. 급수배관(18) 내부를 흐르는 급수는 이와 같은 약액에 의해 약 알칼리성으로 유지된다.
주입장치(1), 보급장치(2)의 동작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주입장치(1)에 따른 약액탱크(41)에는 상술한 히드라진이나 암모니아 등의 약액이 저류되어 있다. 약액탱크(41)에서 보급된 약액은 주입배관(3)을 통하여 급수배관(18)에 따른 보일러(61)의 상류로 주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입된 약액에 의해 급수의 pH가 조정되므로, 급수배관(18)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급수배관(18) 상에는 측정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측정장치(70)는 급수배관(18)을 흐르는 물에 따른 약액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농도에 따라 주입장치(1)에서는 제1 주입밸브(20)와 제2 주입밸브(21)가 개폐됨과 동시에 주입용 펌프(31)가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증기터빈설비(100)가 운전 중이어도 약액이 주입된다.
또한 증기터빈설비(100)에서는 계속적인 운전에 동반하여 급수배관(18)을 흐르는 물(급수)을 적절히 보급할 필요가 있다. 물을 보급하기 위해서 보급장치(2)가 이용된다.
보급장치(2)에 따른 보급수탱크(42)에는 보급수로서의 물이 저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급수탱크(42)의 물은 보급수용 배관(4)을 통하여 복수기(53)에 공급된다. 물의 보급을 실행할 시에 보급장치(2)에서는 제2 세정용 밸브(25)를 폐지하고 보급수용 밸브(26)를 개방함과 동시에 보급수용 펌프(32)를 구동한다.
여기서 상술한 대로 주입배관(3)에 따른 제2 주입밸브(21)의 하류측에는 직립부(X)가 설치되어 있다. 직립부(X)의 내부에 체류하는 공기를 배출할 시의 주입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기 배출은 공기 배출 대상부위(직립부(X))에 물을 비교적 대량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실행된다. 직립부(X)에 물을 할 시에는 급수배관(18) 상을 흐르는 물(급수)을 이용하는 압출용 계통(A)과, 보급수탱크(42)에 저류된 물(보급수)을 이용하는 압출용 계통(B) 중 어느 일방이 이용된다.
급수배관(18) 상을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공기 배출을 실행하는 압출용 계통(A)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압출용 배관(6)은 A압출용 배관(6A)으로 한다.
급수배관(18) 상을 흐르는 급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A압출용 배관(6A) 상에 따른 제1 압출밸브(23), 제2 압출밸브(24) 및 주입배관(3) 상에 따른 제2 주입밸브(21)가 각각 개방된다. 상기 이외의 밸브, 즉 제1 주입밸브(20), 제1 세정용 밸브(22), 제2 세정용 밸브(25), 보급수용 밸브(26)는 폐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배관(18)과 직립부(X)는 A압출용 배관(6A)과 주입배관(3)을 개재하여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압출용 펌프로서 급수펌프(33)가 구동한다. 그러면 급수배관(18) 상을 흐르는 물의 일부는 A압출용 배관(6A)과 주입배관(3)을 흐르고, 주입배관(3) 상에 따른 직립부(X)를 흐름으로써 직립부(X)에서 체류하는 공기를 밀어낸다. 급수펌프(33)에는 체류하는 공기를 직립부(X)에서 밀어내기에 충분한 토출량(유속)을 가진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펌프(33)의 하류측의 급수배관(18)과 직립부(X)를 A압출용 배관(6A)과 주입배관(3)을 개재하여 연통시키고, 급수펌프(33)에서 토출된 물이 직립부(X)를 흐르므로, 직립부(X)에서 체류한 공기를 밀어낼 수 있다. 직립부(X)에서 밀려 나온 공기는 주입배관(3)에서 급수배관(18)으로 흐르고 보일러(61)로 흐른다.
이어서 보급수탱크(42)에 저류된 물을 이용하는 압출용 계통(B)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보급수용 배관(4)과, 세정용 배관(5)의 일부와, 압출용 배관(6)의 일부로 형성되는 경로를 B압출용 배관(6B)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B압출용 배관(6b)은 세정용 배관(5)에 따른 보급수용 펌프(32)부터 접속부(C)에 걸친 부분과 압출용 배관(6)에 따른 접속부(C)부터 주입배관(3)에 걸친 부분을 포함한다.
B압출용 배관(6B)에서는 보급수탱크(42)에 저류된 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제2 세정용밸브(25)와 제1 압출밸브(23)가 각각 개방된다. 또한 주입배관(3) 상에 따른 제2 주입밸브(21)도 개방된다. 상기 이외의 밸브, 즉 제1 주입밸브(20), 제1 세정용 밸브(22), 제2 압출밸브(24), 보급수용 밸브(26)는 폐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급수탱크(42)와 직립부(X)는 B압출용 배관(6B)과 주입배관(3)을 개재하여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압출용 펌프로서 보급수용 펌프(32)가 구동된다. 그러면 보급수탱크(42)에서 보급된 물은 상술한 B압출용 배관(6B)과 주입배관(3)을 흐르고, 주입배관(3) 상에 따른 직립부(X)를 흐름으로써 직립부(X)에서 체류하는 공기를 밀어낸다. 보급수용 펌프(32)에는 급수펌프(33)와 동일하게 체류하는 공기를 직립부(X)에서 밀어내기에 충분한 토출량(유속)을 가진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급수탱크(42)와 직립부(X)를 B압출용 배관(6B)과 주입배관(3)을 개재하여 연통시키고, 보급수용 펌프(32)에서 토출된 물이 직립부(X)를 흐르므로, 직립부(X)에서 체류한 공기를 밀어낼 수 있다. 직립부(X)에서 밀려 나온 공기는 주입배관(3)에서 급수배관(18)으로 흐르고 보일러(61)로 흐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입장치(1)에는 제1 압출용 펌프로서의 급수펌프(33)와, 급수펌프(33)에 접속된 압출용 배관(6)이 공기 배출 대상부위(직립부(X))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된다. 추가로 급수펌프(33)는 주입용 펌프(31)보다도 큰 토출량을 가지므로, 직립부(X)에 체류한 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입장치(1)에서는 급수배관(18) 상에 설치된 급수펌프(33)를 제1 압출용 펌프로서 겸용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을 위해 펌프를 추가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존 설비에 간이한 개조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직립부(X)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주입장치(1)에서는 세정용 배관(5)에 세정용의 물을 공급하는 보급수용 펌프(32)를 제2 압출용 펌프로서 겸용하고 있다. 따라서 펌프를 추가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존 설비에 간이한 개조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직립부(X)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주입장치(1)에서는 주입용 펌프(31)를 세정함과 동시에 세정에 공급된 물이 직립부(X)로 인도되어 직립부(X)의 공기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입장치(1)는, 급수배관(18)은 증기터빈설비(100)에 따른 급수배관(18)(급수계통(W))에 대하여 간이한 개조를 실시하는 것만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했지만,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각 구성 및 그들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한 주입장치는 증기터빈설비의 배관계통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주입장치에 의하면 배관 중의 공기를 적절히 제거할 수 있다. 추가로 증기터빈설비에 따른 급수배관 중의 수질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주입장치
2 보급장치
3 주입배관
4 보급수용 배관
5 세정용 배관
6 압출용 배관
6A A압출용 배관
6B B압출용 배관
18 급수배관
20 제1 주입밸브
21 제2 주입밸브
22 제1 세정용 밸브
23 제1 압출밸브
24 제2 압출밸브
25 제2 세정용 밸브
26 보급수용 밸브
31 주입용 펌프
32 보급수용 펌프
33 급수펌프
41 약액탱크
42 보급수탱크
51 증기터빈
52 외부기기
53 복수기
61 보일러
C 접속부
W 급수계통
X 직립부

Claims (4)

  1. 액체가 흐르는 배관에 주입액을 주입하는 주입장치로서,
    상기 배관에 접속되어 상기 주입액이 흐르는 주입배관과,
    상기 주입배관에 설치된 주입용 펌프와,
    상기 주입용 펌프보다도 하류측에서 상기 주입 배관 중의 공기 배출 대상부위보다도 상류측에 접속된 압출용 배관과,
    상기 압출용 배관에 상기 공기 배출 대상부위의 공기의 압출용의 액체를 보내는 압출용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압출용 펌프의 토출량은 상기 주입용 펌프의 토출량보다도 큰,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액체를 보내는 송수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압출용 배관은 상기 배관에 설치된 상기 송수펌프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상기 송수펌프가 상기 압출용 펌프를 겸하는, 주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배관에 세정용 액체를 보내는 세정용 배관과,
    상기 세정용 배관에 세정용 액체를 보내는 세정용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용 배관은 상기 주입용 펌프보다도 하류측에서, 상기 주입배관 중의 공기 배출 대상부위보다도 상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압출용 배관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세정용 펌프가 상기 압출용 펌프를 겸하는, 주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주입장치와,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증기로 구동되는 증기터빈과, 상기 증기터빈에서 배기되는 증기를 물로 되돌리는 복수기와, 상기 복수기에서 생성된 물을 상기 보일러로 되돌리는 급수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배관인, 증기터빈설비.
KR1020167025793A 2014-03-28 2015-01-21 주입장치 및 증기터빈설비 KR101831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0273 2014-03-28
JP2014070273A JP6340684B2 (ja) 2014-03-28 2014-03-28 蒸気タービン設備
PCT/JP2015/051513 WO2015146249A1 (ja) 2014-03-28 2015-01-21 注入装置、及び蒸気タービン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380A KR20160123380A (ko) 2016-10-25
KR101831092B1 true KR101831092B1 (ko) 2018-02-21

Family

ID=5419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793A KR101831092B1 (ko) 2014-03-28 2015-01-21 주입장치 및 증기터빈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07491B2 (ko)
JP (1) JP6340684B2 (ko)
KR (1) KR101831092B1 (ko)
CN (1) CN106103911B (ko)
DE (1) DE112015001533T5 (ko)
WO (1) WO201514624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192A (ja) * 2001-03-21 2002-09-25 Kurita Engineering Co Ltd ボイラの洗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8557A (en) * 1966-09-19 1969-02-18 Calg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oiler systems
JPH07110106A (ja) * 1993-10-14 1995-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動力プラントの薬注装置
JP3643454B2 (ja) * 1996-12-10 2005-04-27 株式会社東芝 発電プラントのボイラ洗浄方法
DE19721854A1 (de) * 1997-05-26 1998-12-03 Asea Brown Boveri Verbesserung des Abscheidegrades von Dampfverunreinigungen in einem Dampf-Wasser-Separator
JPH11141804A (ja) * 1997-11-06 1999-05-28 Kurita Engineering Co Ltd ボイラの化学洗浄方法
JPH11210410A (ja) * 1998-01-22 1999-08-03 Hitachi Ltd 蒸気機関プラント及び蒸気システムの水処理方法
JP2003080004A (ja) 2001-09-07 2003-03-18 Nikkiso Co Ltd 薬液注入装置
US6655322B1 (en) * 2002-08-16 2003-12-02 Chemtreat, Inc. Boiler water blowdown control system
JP2005214546A (ja) * 2004-01-30 2005-08-11 Kurita Engineering Co Ltd 蒸気管等の洗浄方法
JP4923599B2 (ja) 2006-02-08 2012-04-25 栗田工業株式会社 薬注装置
JP2007292414A (ja) * 2006-04-27 2007-11-08 Toshiba Corp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およ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の水質管理方法
JP2008057888A (ja) * 2006-08-31 2008-03-13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プラントの水処理方法
US20090183694A1 (en) * 2008-01-18 2009-07-23 Areva Np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vice cleaning in steam generators
EP2133010A1 (en) 2008-06-13 2009-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JP2010266131A (ja) * 2009-05-15 2010-11-25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発生器スケール付着抑制方法
JP5510123B2 (ja) 2010-06-30 2014-06-04 三浦工業株式会社 蒸気ボイラの運転方法
WO2012176325A1 (ja) 2011-06-24 2012-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ケール除去方法及びスケール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192A (ja) * 2001-03-21 2002-09-25 Kurita Engineering Co Ltd ボイラの洗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0684B2 (ja) 2018-06-13
WO2015146249A1 (ja) 2015-10-01
US10107491B2 (en) 2018-10-23
DE112015001533T5 (de) 2016-12-29
KR20160123380A (ko) 2016-10-25
JP2015190440A (ja) 2015-11-02
CN106103911A (zh) 2016-11-09
US20170130955A1 (en) 2017-05-11
CN106103911B (zh)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4112B2 (ja) ドレン回収システム
TWI363382B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functional water
EP31127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f chemical into boiler
RU2012155283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астеризаци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жидкости
CN103221153B (zh) 清洗液供给装置
JP5439835B2 (ja) 蒸気発生プラントの水処理方法
JP2007209864A (ja) 薬注装置
JP6074338B2 (ja) 液処理装置、濃度補正方法及び記憶媒体
KR101831092B1 (ko) 주입장치 및 증기터빈설비
JP5765467B1 (ja) 薬品注入制御装置及び方法
JP5190674B2 (ja) ボイラ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6955956B2 (ja) 給水装置
JP2011104586A (ja) 海洋生物の付着を抑制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水の塩素濃度を減少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622157B2 (ja) 蒸気ボイラ装置および蒸気ボイラ装置の運転方法
JP2008089204A (ja) 脱酸素水の供給システム
JP6515639B2 (ja) 水処理管理装置及び方法
JP4071386B2 (ja) ボイラの多缶設置システムにおける薬注装置
JP2006349210A (ja) ボイラ用薬品注入装置
JP2005103380A (ja) 水処理薬品注入装置
JP2015190742A (ja) ボイラシステム
KR101735278B1 (ko) 터빈 청소를 위한 세척용수 공급장치
JP2011136740A (ja) 容器熱処理装置
JP5158417B2 (ja) 脱酸素剤注入量の制御方法
JP6265002B2 (ja) ボイラシステム
JP7123650B2 (ja) 復水設備、及びこれを備える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