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997B1 - 타이어에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에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97B1
KR101830997B1 KR1020127026130A KR20127026130A KR101830997B1 KR 101830997 B1 KR101830997 B1 KR 101830997B1 KR 1020127026130 A KR1020127026130 A KR 1020127026130A KR 20127026130 A KR20127026130 A KR 20127026130A KR 101830997 B1 KR101830997 B1 KR 10183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ontainer
outlet
inle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919A (ko
Inventor
아놀드 에크하르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타이어에 도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실런트용 용기로서, 출구는, 출구측이 충전 대상의 타이어에 접속될 수 있는 호스 입구단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인 실런트용 용기와, 용기의 입구 또는 출구단이 충전 대상의 타이어에 접속될 수 있는 호스의 입구단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압력 생성 수단을 구비한다. 동일한 호스가, 한편으로 압력 생성 수단과 충전 대상의 타이어 사이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고, 다른 한편으로 용기의 출구와 충전 대상의 타이어 사이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며, 각각의 커플링이 압력 생성 수단과, 용기의 입구 및 용기의 출구와, 호스의 입구단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호스의 입구단을 압력 생성 수단에 직접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거나, 용기의 입구를 압력 생성 수단에 접속시키고 호스의 입구단을 용기의 출구에 접속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에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THE INTRODUCTION OF AIR AND/OR SEALANT INTO A TIRE}
본 발명은,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타이어, 특히 차량용 타이어에 도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실런트용 용기로서, 출구는, 출구측이 충전 대상의 타이어에 접속될 수 있는 호스 입구단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인 실런트용 용기와, 용기의 입구 또는 출구단이 충전 대상의 타이어에 접속될 수 있는 호스의 입구단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압력 생성 수단, 특히 전기 펌프 또는 압축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는, 스페어타이어의 교체를 위한 소위 펑크용 키트(puncture kit)로서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펑크용 키트는 타이어를 팽창시키기만 하는 데에, 또는 타이어를 실링한 후에 팽창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 밸브에 의하여, 압력 생성 수단과 용기의 입구 또는 압력 생성 수단과 호스의 입구단을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타이어를 팽창시키기만 할 것인지 또는 타이어를 실링하고 팽창시킬 것인지에 따라, 사용자는, 용기에 접속된 호스 또는 압력 생성 수단에 접속된 호스를 타이어의 밸브에 접속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스위치 밸브를 정확한 위치에 설정해야 하는 동시에, 공기 이송 호스와 실런트 호스 중 정확한 호스를 타이어에 접속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짜증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밸브의 설치에는 어느 정도 비용이 들고, 추가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
US-A-4 765 367에는 압축기 또는 에어로졸 타입의 실런트 용기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호스를 구비하는 타이어 리페어 키트가 개시되어 있다. 두 커플링 모드 사이의 전환을 위하여 스위치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유형의 장치의 핸들링을 개선하고 그 구조를 간이화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호스가, 한편으로 압력 생성 수단과 충전 대상의 타이어 사이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고, 다른 한편으로 용기의 출구와 충전 대상의 타이어 사이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며, 각각의 커플링이 압력 생성 수단과, 용기의 입구 및 용기의 출구와, 호스의 입구단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호스의 입구단을 압력 생성 수단에 직접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거나, 용기의 입구를 압력 생성 수단에 접속시키고 호스의 입구단을 용기의 출구에 접속시킬 수 있다.
압력 생성 수단, 용기 및 호스를 서로에 대하여 번갈아 결합하고 서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에 대하여 2가지의 상이한 접속 구조가 제공된다. 접속 구조에 따라서, 용기를 통한 우회 없이 기류가 압력 생성 수단으로부터 호스로 직접 흐를 수도 있고, 또는 용기에 공기가 공급되고, 그 결과 용기로부터 호스로 실런트가 분배될 수도 있다. 기류가 직접적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압축 공기가 실런트 없이 호스의 출구단으로부터 배출되므로, 장치를 그 자체로 손상되지 않은 타이어의 팽창만을 위한 대응 접속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기류가 압력 생성 수단으로부터 용기를 통하여 우회하여 이송되는 경우에는, 실런트가 용기로부터 호스로 강제되므로, 장치를 결함이 있는 타이어의 실링 및 후속 팽창을 위한 접속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장치의 대응 구성요소를 직관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작동 모드["팽창만" 또는 "실링 및 팽창"]를 판단하기 때문에, 장치의 조작성이 커플링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스위치 밸브의 작동뿐 아니라 두 호스 사이의 정확한 선택에 대하여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양 작동 모드에 대하여 동일한 호스가 사용되고 또한 스위치 밸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재료, 중량 및 제작비가 절감되고, 또한 이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감소한다. 특히, 장치는 또한 보다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것은 차량에 있어서의 수납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이다. 또한, 장치의 개별 구성요소의 결합 능력에 기인하여, 사용에 따른 교환을, 재생 가능하지 않은 부품, 예컨대 용기로 한정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실런트의 유효 수명의 종료 후에, 쓸데없이 호스를 교환하지 않고 단지 용기만을 교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커플링들이, 한편으로 압력 생성 수단과 용기의 입구를 접속하도록 마련되고, 다른 한편으로 용기의 출구와 호스의 입구단을 접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와 호스 모두가 압력 생성 수단에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압력 생성 수단의 접속은 동일한 커플링에 의한 다목적 접속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은 플러그-인 접속 커플링으로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특히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두 접속 구조 사이의 전환은 특히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것은 특히 펑크가 난 경우에 중요하다. 그러나 커플링은 일반적으로 나사 접속 또는 클램핑 접속으로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생성 수단, 용기의 입구 및 출구, 호스의 입구단의 각각의 접속 스터브는 플러그-인 접속을 위한 플러그 또는 소켓으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특히 간단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압력 생성 수단의 매칭 커플링 소켓 내로 또는 용기의 출구의 매칭 커플링 소켓 내로 선택적으로 플러깅될 수 있는 커플링 플러그가 호스의 입구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의상 추가의 커플링 플러그가 용기의 입구에 마련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압력 생성 수단의 커플링 소켓 내로 플러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각각의 용례에 따라서 결합을 위하여 플러그를 소켓에 플러깅할 것인지 또는 소켓을 플러그에 밀어 넣을 것인지 하는 것만이 문제이다.
플러그-인 접속의 실링을 위한 O링이 커플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적 고압의 공기를 압력 생성 수단으로부터 용기 및/또는 호스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을 결합 상태에서 래칭할 수 있는 로킹 장치(46, 48, 60, 62)가 마련될 수 있다. 로킹 장치는 각 커플링 요소에 직접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장치의 대응 구성요소의 하우징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커플링 요소의 래칭 및 래칭 해제를 위한 베이요넷 클로저(bayonet closure)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로킹 장치에 의해, 상호 결합된 구성 요소들의 돌발적인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호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의 출구에 안전밸브 또는 뚫릴 수 있는 멤브레인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호스가 용기의 출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력 생성 수단의 기동을 위한 스위치가 우연히 작동되는 경우에, 실런트가 원치 않게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밸브는, 호스가 용기의 출구에 결합됨으로써 개방되어 실런트를 호스를 통하여 실링 대상의 타이어에 분배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커플링은 호스의 입구단에 특별하게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커플링 플러그는, 호스가 용기에 결합될 때에 안전밸브의 폐쇄 요소를 개방 위치로 가압하는 개방용 맨드릴을 호스의 입구단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호스의 입구단의 개방용 맨드릴은 장치의 이송 상태에서 용기의 출구를 실링하는 멤브레인을 뚫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용기에 해제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거 유닛이 마련되고, 이 제거 유닛은 특히 용기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용기의 입구 및 출구용의 커플링으로서 이루어지는 각각의 지지 스터브를 갖는다. 따라서 제거 유닛은 압축 공기의 공급을 위한 접속 스터브 및 용기로부터 실런트의 제거를 위한 추가의 접속 스터브를 구비할 수 있고, 커플링이 접속 스터브에 직접적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빈 용기와 제거 유닛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고 충전된 용기를 제거 유닛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빈 용기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출구용의 접속 스터브는 제거 유닛의 하우징에서 용기의 입구용의 접속 스터브에 대하여 180°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거 유닛을 갖춘 용기가 압력 생성 수단과 호스의 사이에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거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사용 위치에 있어서 용기의 하단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용기를 가능한 한 완전히 비우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용기는 장치의 사용 위치에 있어서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용기에 있어서의 양호한 비움 능력(emptying ability)을 보장하기 위하여, 출구가 사용 위치에서 용기 베이스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제거 위치에서 거꾸로 배치되어 있다.
호스의 입구단의 커플링은 압력 저장조 또는 압력 조절 시스템에 접속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융통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마련된다. 하우징은, 예컨대 차량의 트렁크에 있어서 용이하게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장치의 사용 위치에 있어서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은 용기용의 받침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장치의 사용을 위하여 바닥에 간단하게 배치되며, 장치는 정확한 사용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한 받침대에 용기를 확실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용기에 접속된 제거 유닛이 플러깅될 수 있는 컷아웃을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첨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접속 구조로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타이어에 도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제2 접속 구조의 도 1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압력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장치를 위에서 본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배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의 장치를 위에서 본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배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사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를 도시하며, 이 장치는,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는 압축기 유닛을 갖는 하우징(12)과, 실런트를 갖는 용기(14) 및 호스(20)를 구비한다. 압축기 유닛은, 주변 공기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기와 압축기용의 구동장치로서의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는다. 압축기 유닛은, 압축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압을 표시하기 위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압력계를 또한 구비한다. 압축기 유닛에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는 전기 접속 케이블에 의하여 차량의 담배 라이터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호스(20)는 입구단(24) 및 출구단(26)을 구비하고, 출구단(26)은 호스(20)를 타이어 밸브에 접속하기 위한, 예컨대 소위 VG8 나사 접속을 위한 대응 접속 부재(28)를 갖는다.
용기(14)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접속 구조에 있어서, 용기(14)의 입구는 압축기에 접속되어 있고, 용기(14)의 출구는 호스(20)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컨대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압축기가 기동되면, 용기(14)로부터 실링 대상의 타이어 내로 실런트가 도입될 수 있다. 용기(14)를 비운 후에, 이러한 식으로 타이어를 직접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도 2는 제2 접속 구조의 장치(10)를 도시한다. 이러한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호스(20)가 압축기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용기(14)는 예컨대 치워둔다. 이와 같이 하여, 압축 공기를 그 자체로 손상되지 않은 충전 대상의 타이어에 실런트를 부가하지 않고 도입할 수도 있고, 타이어의 충전 레벨만을 압력계(22)를 이용하여 체크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용기(14) 및 호스(20)를 생략한 상태의 압축기 유닛을 갖춘 하우징(12)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실런트를 타이어 내에 도입한 후에 또는 용기(14) 내의 실런트의 유효 수명의 종료 시에 용기(14) 및 호스(20)를 제거하고, 새로운 용기, 필요에 따라서는, 새로운 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속 구조를 번갈아 이용하기 위해서, 압축기, 용기(14) 및 호스(20)는 서로에 대해 번갈아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두 용기 목부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는 용기(14)의 입구 및 출구는 모두 제거 유닛(30) 내로 개구되어 있다. 제거 유닛(30)은, 사용 위치에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용기(14)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실런트의 제거 시에 용기(14)를 용이하게 완전히 비울 수 있도록 거꾸로 배치된다. 제거 유닛(30)은 입구 접속 스터브(36) 및 출구 접속 스터브(38)를 갖는 하우징(34)을 구비하고, 이들 스터브는 서로에 대하여 180°로 오프셋되어 하우징(34)에 배치되어 있다. 입구 접속 스터브(36)는 플러그-인 접속의 커플링 플러그(37)로서 구성되고, 출구 접속 스터브(38)는 플러그-인 접속의 커플링 소켓(39)으로서 제조된다. 압축기는, 마찬가지로 플러그-인 접속의 커플링 소켓(39)으로서 구성되는 압축기 접속 스터브(32)를 또한 구비한다. 또한, 커플링 플러그(37)로서 구성되는 호스 접속 스터브(40)가 호스(20)의 입구단(24)에 부착된다.
제거 유닛(30)의 입구 접속 스터브(36)는 압축기 접속 스터브(32)에 플러깅될 수 있으며, 입구 접속 스터브(36)에 제1 O링(42)이 마련되어 이상적인 실링 접속을 제공한다. 호스 접속 스터브(40)는 제거 유닛(30)의 출구 접속 스터브(38) 내로 균등하게 플러깅될 수 있으며, 호스 접속 스터브(40)에 제2 O링(44)이 마련되어 이상적인 실링 접속을 제공한다. 제1 접속 구조에 따른 작동 준비 상태의 장치(10)에 있어서는, 제거 유닛(30)의 입구 접속 스터브(36)가 압축기 접속 스터브(32) 내로 플러깅되고, 호스 접속 스터브(40)는 제거 유닛(30)의 출구 접속 스터브(38) 내로 플러깅된다. 이 상태에서, 커플링 플러그(37)와 커플링 소켓(39)의 상호 회전에 의한 돌발적인 분리에 대항하여 각각의 플러그 접속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압축기 접속 스터브(32) 및 제거 유닛(30)의 출구 접속 스터브(38)에 각진 홈(46)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홈에 호스 접속 스터브(40)의 대응 로킹 핀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인 래칭 후크(60)가 제거 유닛(30)의 하우징(34)으로부터 돌출하고, 장치(10)의 하우징(12)에 마련된 리세스(62) 내에 래치되어, 제거 유닛(30)을 하우징(12)에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2)측에 마련된 컷아웃(70)에 의해, 압축기 접속 스터브(32)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컷아웃은 제거 유닛(30)을 하우징(1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시키는 작용을 하여, 용기(14)와 받침대로서 작용하는 하우징(12) 사이의 접속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제거 유닛(30)이 하우징(12)에 부착되어 있으면, 입구 접속 스터브(36)는 압축기 접속 스터브(32) 내로 플러깅되고, 래칭 후크(60)는 리세스(62) 내로 래치되며, 컷아웃(70)의 둘레가 제거 유닛(30)의 하우징(34)의 부분과 결합되기 때문에, 하우징(12)에서 제거 유닛(30)과 용기(14)가 전체적으로 하우징(12)에서 특히 확실하게 부착된다.
제거 유닛(30)은 입구 접속 스터브(36) 및 출구 접속 스터브(38) 뿐만 아니라, 용기 입구 접속 스터브(49) 및 용기 출구 접속 스터브(50)를 구비한다. 용기 입구 접속 스터브(49) 및 용기 출구 접속 스터브(50)는 제거 유닛(30)의 하우징(34)에 있어서 입구 접속 스터브(36) 및 출구 접속 스터브(38)에 대하여 90°로 오프셋되어 배치되고, 서로 동축으로 포개어져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용기 입구 접속 스터브(49)와 동축이며 암나사(54)를 갖는 재킷(52)이 하우징(34)을 용기(14)의 대응하는 상대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작용을 한다. 하우징(34)이 용기(14)에 나사 결합되면, 용기 입구 접속 스터브(49) 및 용기 출구 접속 스터브(50) 모두는 용기(14)의 내부에 접속된다. 이와 관련하여, 용기(14)는 입구 및 입구와 별개의 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구는 용기 입구 접속 스터브(49)와 연통하고, 출구는 용기 출구 접속 스터브(50)와 연통한다. 대안으로, 용기(14)는, 하우징(34)이 나사 결합될 때에 용기 입구 접속 스터브(49)와 용기 출구 접속 스터브(50) 모두가 개구되는 개구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개구는 입구 및 출구로서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용기(14)의 입구가 용기(14)의 출구와 동일하다.
장치(10)의 두 커플링 플러그(37)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또한 두 커플링 소켓(39)도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호스 접속 스터브(40)는 제거 유닛(30)의 출구 접속 스터브(38) 내로 플러깅될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압축기 접속 스터브(32) 내로 플러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호스(20)가 압축기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므로, 실런트를 부가하지 않으면서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를 타이어 내에 도입할 수 있다. 이것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 접속 구조에 대응하는 것이다.
전기 모터의 기동 후에, 압축기는 그 출구에서 기류를 발생시키고, 이 기류는 접속 구조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또는 용기(14)를 거쳐서 호스(3)를 향한다. 먼저 기류가 용기(14) 내로 이동하면, 실런트가 그러한 용기(14)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출구 접속 스터브(38) 및 호스(20)를 거쳐 호스(20)의 출구단(26)에 접속된 누설 타이어에 불어 넣어져 이 타이어를 실링한다. 이어서, 이러한 방식으로 타이어를 공기로 팽창시켜 규정된 타이어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호스(20)가 압축기에 직접 결합되어 있으면, 실런트를 공급하지 않으면서, 호스(20)의 출구단(25)에 접속된 타이어를 공기에 의해 팽창시킬 수 있다.
접속 구조에 따라서, 수리 대상의 타이어를 실런트 및 공기로 충전할 수도 있고, 압축기로부터의 공기에 의해 기능성 타이어를 직접적으로 팽창시킬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손상되지 않은 타이어의 팽창이나 누설 타이어의 실링은 동일한 호스(20)를 이용하여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장치를 동작시키기 전에 커플링 플러그(37)와 커플링 소켓(39)에 의해 압축기와, 용기(14) 및 제거 유닛(30)과, 호스(20)의 출구단(26)을 정확하게 결합하기만 하면 된다. 이와 관련해서, 본질적으로는 호스(20)를 압축기에 직접 결합할 것인지, 아니면 제거 유닛(30)을 사이에 두고 용기(14)에 결합할 것인지가 문제이기 때문에, 부정확하게 사용될 우려가 비교적 작다. 용기(14)를 교환할 경우에, 접속 스터브(36, 38)가 합체되어 있는 제거 유닛(30)은 일반적으로 다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특히 유리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거 유닛(30')의 출구 접속 스터브(38')에 안전밸브(7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런트가 의도하지 않게 출구 접속 스터브(38')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안전밸브(72)는,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스프링(76)에 의해 밸브 시트(78)를 향해 가압되는 실링 디스크(74)를 구비하여, 출구 접속 스터브(38')를 폐쇄하는 효과를 갖는다. 호스 접속 스터브(40')는 테이퍼진 단부(80)를 구비하며, 이 단부는, 호스 접속 스터브(40')를 출구 접속 스터브(38) 내로 플러깅할 때에 실링 디스크(74)에 접촉하여 실링 디스크를 밸브 시트(78)로부터 멀어지게 개방 위치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안전밸브(72)가 개방되기 때문에, 실런트는 용기(14)로부터 호스 접속 스터브(40')의 개구(도시 생략)를 통하여 호스(20)로 들어갈 수 있다. 호스가 제거 유닛(30')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압축기를 온으로 전환하면, 안전밸브(72)는 출구 접속 스터브(38')를 폐쇄하여 실런트가 의도하지 않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실런트가 의도하지 않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거 유닛(30")의 출구 접속 스터브(38")는 이송 상태에서 뚫릴 수 있는 멤브레인(8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멤브레인(82)은 출구 접속 스터브(38")에 배치된 핫-실링 필름일 수 있다. 호스 접속 스터브(40')는 도 8을 참고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특히 마찬가지로 테이퍼진 단부(80)를 갖는다. 호스 접속 스터브(40')를 출구 접속 스터브(38") 내로 플러깅할 때에, 개방용 맨드릴로서 작용하는 테이퍼진 단부(80)가 멤브레인(82)을 뚫고, 이에 따라 용기(14)와 호스(20) 사이의 유체 연통이 확립된다.
10 장치
12 하우징
14 용기
20 호스
22 압력계
24 입구단
26 출구단
28 접속 부재
30, 30',30" 제거 유닛
32 압축기 접속 스터브
34 하우징
36 입구 접속 스터브
37 커플링 플러그
38, 38', 38" 출구 접속 스터브
39 커플링 소켓
40, 40' 호스 접속 스터브
42 제1 O링
44 제2 O링
46 홈
48 로킹 핀(locking pin)
49 용기 입구 접속 스터브
50 용기 출구 접속 스터브
52 재킷
54 암나사
60 래칭 후크
62 리세스
70 컷아웃
72 안전밸브
74 실링 디스크
76 스프링
78 밸브 시트
80 테이퍼진 단부
82 멤브레인

Claims (15)

  1. 공기와 실런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타이어에 도입하기 위한 장치(10)로서,
    입구 및 출구를 갖는 실런트용 용기(14)로서, 상기 출구는, 출구측이 충전 대상의 타이어에 접속될 수 있는 호스 입구단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인 실런트용 용기(14)와,
    상기 용기(14)의 입구 또는 출구단이 충전 대상의 타이어에 접속될 수 있는 호스의 입구단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압력 생성 수단을 구비하며,
    동일한 호스(20)가, 한편으로 상기 압력 생성 수단과 충전 대상의 타이어 사이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고, 다른 한편으로 용기(14)의 출구와 충전 대상의 타이어 사이의 접속을 위해 마련되며,
    각각의 커플링(37, 39)이 압력 생성 수단과, 용기(14)의 입구 및 용기(14)의 출구와, 호스(20)의 입구단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호스(20)의 입구단(24)을 압력 생성 수단에 직접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거나, 용기(14)의 입구를 압력 생성 수단에 접속시키는 동시에 호스(20)의 입구단(24)을 용기(14)의 출구에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커플링(37, 39)들이, 한편으로 압력 생성 수단과 용기(14)의 입구를 접속하도록 마련되고, 다른 한편으로 용기(14)의 출구와 호스(20)의 입구단(24)을 접속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37, 39)은 플러그-인 접속 커플링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생성 수단, 상기 용기(14)의 입구 및 출구, 상기 호스(20)의 입구단(24)의 각각의 접속 스터브(32, 36, 38, 40)는 플러그-인 접속을 위한 플러그 또는 소켓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생성 수단의 매칭 커플링 소켓(39) 내로 또는 상기 용기(14)의 출구의 매칭 커플링 소켓(39) 내로 선택적으로 플러깅될 수 있는 커플링 플러그(37)가 상기 호스(20)의 입구단(24)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접속의 실링을 위한 O링(42, 44)이 커플링(37, 39)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37, 39)을 결합 상태에서 래칭할 수 있는 로킹 장치(46, 48, 60, 6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스(2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출구를 폐쇄하도록 용기(14)의 출구에 안전밸브(72) 또는 뚫릴 수 있는 멤브레인(8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의 입구 및 출구용의 커플링으로서 각각 이루어지는 접속 스터브를 갖는 제거 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4)의 출구용의 접속 스터브(38, 38', 38")는, 상기 제거 유닛(30, 30', 30")의 하우징(34)에서 용기(14)의 입구용의 접속 스터브(36)에 대하여 180°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유닛(30, 30', 30")은, 장치(10)의 사용 위치에서 용기(14)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생성 수단은 압력 저장조 또는 압력 조절 시스템이며, 상기 커플링(37)은, 상기 압력 저장조 또는 압력 조절 시스템과의 접속을 위한 호스(20)의 입구단(2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1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용기(14)용의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4)에 접속된 제거 유닛(30, 30', 30")이 플러깅될 수 있는 컷아웃이 하우징(12)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7026130A 2010-03-05 2011-03-02 타이어에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KR101830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0361.6A DE102010010361B4 (de) 2010-03-05 2010-03-05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DE102010010361.6 2010-03-05
PCT/EP2011/001034 WO2011107272A1 (en) 2010-03-05 2011-03-02 Apparatus for the introduction of air and/or sealant into a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19A KR20130004919A (ko) 2013-01-14
KR101830997B1 true KR101830997B1 (ko) 2018-02-21

Family

ID=4424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130A KR101830997B1 (ko) 2010-03-05 2011-03-02 타이어에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840046B2 (ko)
EP (1) EP2542402B1 (ko)
JP (1) JP5629332B2 (ko)
KR (1) KR101830997B1 (ko)
CN (1) CN102781653B (ko)
DE (1) DE102010010361B4 (ko)
WO (1) WO2011107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6764B2 (ja) * 2009-02-11 2015-06-03 テク・グローバル・エス.アール.エル.Tek Global S.R.L. 膨張性の物品を補修して膨張させるためのユニット
US9010383B2 (en) * 2010-03-12 2015-04-2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Cap unit for a tire puncture repair apparatus
DE102011001603A1 (de) * 2010-11-15 2012-05-16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Reifendichtmittel aus einem Behälter
JP5568068B2 (ja) * 2011-09-20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JP5395865B2 (ja) * 2011-09-20 2014-0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TWI460089B (zh) * 2011-09-23 2014-11-11 Wen San Chou Air compressor for vehicle
US8746293B2 (en) * 2011-10-12 2014-06-10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KR102001909B1 (ko) * 2013-05-02 2019-07-19 액티브 툴스 인터내셔널 (에이치케이) 리미티드. 가스 압력 타입의 타이어 수리용 실란트 용기
WO2015157311A1 (en) * 2014-04-08 2015-10-15 Paasch Robert W Currency operated automobile fluid dispensing and/or recovery assemblies and methods
TWI647129B (zh) * 2015-04-23 2019-01-11 周文三 空氣壓縮機裝置
DE102016209302A1 (de) * 2016-05-30 2017-12-1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Abdichten und Aufpumpen aufblasbarer Gegenstände
DE102016122735A1 (de)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Kraftfahrzeug mit einer Verdichteranordnung
DE102016122738A1 (de)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Verdichteranordnung mit radialen Kolben
DE102016122737A1 (de)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Verdichteranordnung
DE102016122739A1 (de)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Verdichteranordnung mit Wulstzylinderkurve
DE102016122736A1 (de)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Fahrzeug mit Verdichteranordnung
DE102017106805A1 (de) 2017-03-03 2018-09-06 Kt Projektentwicklungs-Gmbh Verdichteranordnung mit Magnetkopplung
EP3943749A1 (en) * 2017-04-28 2022-01-26 Graco Minnesota Inc. Portable hydraulic power unit
DE102022101078A1 (de) 2022-01-18 2023-07-20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zum bedarfsweisen aufblasen oder reparieren von aufblasbaren artikeln oder erzeugnissen, insbesondere von reifen, vorzugsweise fahrzeugreifen
DE102022210481A1 (de) * 2022-10-04 2024-04-0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annenhilfes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5345A (ja) 2007-01-22 2008-07-31 Bridgestone Corp バルブコネクタ
JP2009226892A (ja) 2008-03-25 2009-10-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JP2009269322A (ja) 2008-05-08 2009-11-19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及び、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911B2 (ja) * 1985-10-31 1994-11-24 日東工器株式会社 芳香脱臭器
US4765367A (en) * 1986-07-03 1988-08-23 Scott Mark E Valve assembly
US5386857A (en) * 1993-03-30 1995-02-07 International Marketing,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pulverulent material into a tire
AU707516B2 (en) * 1996-02-07 1999-07-15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Tire inflation method and apparatus
FR2761652B1 (fr) 1997-04-07 1999-06-04 Zefal Dispositif de gonflage mettant en oeuvre une bouteille ou cartouche de gaz comprime
DE19846451C5 (de) * 1998-10-08 2018-08-2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Abdichten aufblasbarer Gegenstände, insbesondere Reifen
DE20115003U1 (de) * 2001-09-11 2003-02-06 Dunlop Gmbh Abdichtsystem
ATA352003A (de) 2003-01-13 2005-04-15 Ventrex Automotive Gmbh Gerät für die provisorische reparatur eines schadhaften reifens eines kraftfahrzeuges
US7981940B2 (en) * 2004-05-26 2011-07-19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sealing compoun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he same
CN1960850B (zh) 2004-05-27 2010-12-08 株式会社普利司通 密封打气装置
DE102004060662A1 (de) * 2004-12-15 2006-07-06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Sytem zum Abdichten aufblasbarer Gegenstände, insbesondere Reifen
ITTO20060166A1 (it) * 2006-03-07 2007-09-08 Tek Srl Kit automatico di riparazione e gonfiaggio per oggetti gonfiabili provvisto di una valvola selettrice
ITTO20060662A1 (it) 2006-09-18 2008-03-19 Tek Srl Kit per la riparazione e il gonfiaggio di articoli gonfiabili
JP2008143099A (ja) * 2006-12-12 2008-06-26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101032952A (zh) 2007-04-12 2007-09-12 赵国平 多功能轮胎自动充气补胎器
JP4878336B2 (ja) 2007-06-18 2012-02-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5054627B2 (ja) 2008-07-15 2012-10-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リング剤容器の蓋ユニット
DE112009002513T5 (de) 2008-10-20 2012-01-19 The Yokohama Rubber Co., Ltd. Vorratsbehälter für ein Reifenschaden-Dichtmittel und Reifenschaden-Reparatureinrichtung
CN101408155B (zh) * 2008-11-10 2010-09-22 周文三 修补轮胎的充气装置
EP2422960B1 (en) 2009-04-23 2017-06-28 Bridgestone Corporation Sealing and pump-up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5345A (ja) 2007-01-22 2008-07-31 Bridgestone Corp バルブコネクタ
JP2009226892A (ja) 2008-03-25 2009-10-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JP2009269322A (ja) 2008-05-08 2009-11-19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及び、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81653A (zh) 2012-11-14
EP2542402B1 (en) 2014-05-07
KR20130004919A (ko) 2013-01-14
WO2011107272A1 (en) 2011-09-09
DE102010010361A1 (de) 2011-09-08
US20170313003A1 (en) 2017-11-02
JP5629332B2 (ja) 2014-11-19
JP2013521151A (ja) 2013-06-10
US9840046B2 (en) 2017-12-12
US20130048146A1 (en) 2013-02-28
EP2542402A1 (en) 2013-01-09
DE102010010361B4 (de) 2020-12-10
CN102781653B (zh)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97B1 (ko) 타이어에 공기 및/또는 실런트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US9096018B2 (en) Temporary mobility kit with inadvertent flow prevention techniques
US9168798B2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air and/or sealant into a tire
CN101497247B (zh) 用于车辆临时移动工具包的密封剂瓶的卡入结构
CN101437669A (zh) 用于可充气物品的修复和充气且具有选择阀的自动装备
WO2009119317A1 (ja)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EP3202601A1 (en) Pneumatic valve adaptor
CN108290358B (zh) 用于对机动车辆轮胎进行密封和充气的装置
JP2010023244A (ja) シーリング剤容器の蓋ユニット
EP3810411B1 (en) Vehicle tire inflation compressor for powered data ports
JP2015508349A (ja) 逆流防止装置
CN215283479U (zh) 一种补胎工具
CN111093960A (zh) 轮胎修补系统
WO2011109176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 tire
TWI837719B (zh) 具充氣及補胎的急救裝置
CN105745062B (zh) 用于对带有位置阀的可充气物体进行密封和泵气的装置
KR20230036963A (ko) 대체 연료 차량용 충전 어댑터 및 충전 방법
WO201110627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