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610B1 - 부상 구조체, 선박,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또는 그 유사체 - Google Patents

부상 구조체, 선박,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또는 그 유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610B1
KR101828610B1 KR1020117021669A KR20117021669A KR101828610B1 KR 101828610 B1 KR101828610 B1 KR 101828610B1 KR 1020117021669 A KR1020117021669 A KR 1020117021669A KR 20117021669 A KR20117021669 A KR 20117021669A KR 101828610 B1 KR101828610 B1 KR 10182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upper layer
room
ship
layer stru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952A (ko
Inventor
제인 안데르손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 핀란드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 핀란드 오와이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 핀란드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1012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4Passenger vessels, e.g. cruise vessels or the like

Abstract

기다란 선체부(hull part, 1)와, 이 선체부 위에, 대부분의 승객 수용설비 (passenger accommodation)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식의 상층구조체 (superstructure, 2a,2b)를 갖는 부상 구조체, 선박,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또는 이와 유사체이다. 상기 선체부(1)의 엣지(edge)들에,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뻗고 횡방향으로 특정 면적을 형성하는 두개의 개별적인 상층구조체(2a,2b)가 고정됨으로써, 상층구조체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열린 빈 공간이 생기고, 상기 공간은, 수용설비들에 결합된 모든 발코니 구조체를 제외한 상층구조체(2a,2b)들의 폭의 합(a+b)보다 더 넓다. 아울러, 상기 상층구조체(2a,2b) 내의 상기 수용설비들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는, 선박의 길이방향으로의 치수로서의 폭(e)이 그 길이(f)의 적어도 약 50%인 객실(3)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부상 구조체, 선박,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또는 그 유사체{A FLOATING STRUCTURE, VESSEL, SPECIFICALLY A SINGLE HULL CRUISE VESSEL OR THE LIKE}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1의 서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긴 선체부와, 그 상부에, 대부분의 승객 수용설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단계 상층구조물를 갖는 부상 구조체, 선박,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또는 그 유사체이다.
복수의 윈도우 또는 발코니를 갖춘 승객 객실을 가능한한 협소하게 설계함으로써 그 수를 최대화하는 종래 기술이 알려져 있다. 객실을 좁게 하면, 선체에 갑판(deck)을 추가하지 않고도 더 많은 객실을 포함시킬 수 있다. 객실은 더 좁게 되면서 더 길어지기 때문에 객실 용적(floor area)에는 큰 영향이 없다. 또한 객실의 총 체적에는 변동이 없다.
배의 높이가 안정성과 기후 기준(weather criteria)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객실 갑판 상에는 통상적으로, 레스토랑, 스파(spa), 체력단련실 및 파노라마 바(panorama bar)와 같은 공동 공간을 갖춘 하나 또는 둘의 갑판이 있다. 선상에서의 공동 공간이 배치되면 상부 갑판에 객실을 배치할 여유가 줄어든다.
객실을 협소하게 하는 것은 승객 편의를 위해서는 비실용적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객실 내에서 가구, 고정구조물 및 침실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으면, 이러한 것들을 우회하기 위해 객실을 따라 뻗는 복도와 같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객실이 길고 좁으면, 긴 복도에서 많은 공간이 낭비된다. 따라서, 객실이 작은 용적을 갖도록 설계하고자 하면, 복도는 비실용적으로 좁아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객실의 윈도우는 객실 그 자체보다 넓지 않아, 외측 객실의 수를 줄임없이 객실로부터의 조망을 개선할 수 없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윈도우를 넓힌다는 것은 객실의 폭을 넓힌다는 것인데, 넓은 객실이 많아질수록 제한된 수의 갑판들에 좁은 객실은 포함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명백한 단점을 최소화하고 부상 구조체들,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들에 적용가능한 새로운 설비를 창안하는 것인데, 공간들 및 골격부재(structural part)의 재배치에 의해, 기능적으로 더 효율적이고 비용절감형의 독립체(entity)로서, 특히 대규모 여행자들에 대한 편의제공에 적합하고 종래보다 개선된 본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승객의 안락과 편의의 측면에서 종래에 비해 개선된 객실을 창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주로 청구항 1 및 그외 청구항에 더 상세하게 소개된 방식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선체 엣지(edge)들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뻗고 횡방향으로 특정 면적을 형성하는 두개의 개별 상층구조체가 고정되고 그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개방된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승객 수용부에 결합된 모든 발코니 구조부를 제외한 상층구조체들의 폭의 합보다 더 넓다. 이 경우, 상층구조체 내의 대부분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의 승객수용부는, 그 폭이, 다른 표현으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의 치수가, 그 길이의 적어도 약 50%인 객실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층구조체 내의 객실들은 주로 2열로 배열됨으로써, 적어도 약 80%의 객실은 외측 윈도우 또는 발코니를 갖는다. 더욱이, 객실은, 상층구조체의 체적의 70%이상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상층구조체들은 선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선박의 선체 엣지를 지나 뻗는다.
상층구조체 아래의 선체부는 대략 1 내지 4개의 갑판으로 이루어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갑판은 선박의 공동 공간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0%를 수용한다. 실제로, 이들 공동 공간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설을 포함하는데,: 그 시설의 타입에는 레스토랑, 사교실(saloon)들 및 다른 공용 방들, 노천 갑판 (weather deck)들 및 일광용 갑판(sun deck)들, 오락 시설들, 휴양 시설 (recreational facility)들, 운동 시설들, 쇼핑 및 승객들의 공동 이용을 위해 의도된 그외 유사 공간들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설비는 몇가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객실은 짧지만 넓기 때문에, 상기 상층구조체가 매우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에서는 필수적으로, 상층구조체의 최상위 갑판 상에 대부분의 객실들을 설치하고 공동 공간들을 없앰으로써, 효율적인 객실의 수를 확보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선체의 상층구조체들은, 또한, 매우 높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객실의 치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길이에 대한 폭의 비율은 매우 특이하지만 인식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상층구조체 내에서의 객실의 실질적인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필요물의 설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세변기 유닛, 가구 및 고정물들이 객실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된다. 새로운 타입의 객실 설비로 인해, 매우 넓은 객실 윈도우를 통해 확실히 개선된 조망이 가능하다. 또한 객실들은 비실용적인 복도와 같은 공간 낭비를 확실하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객실들의 안락과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은, 객실들을 포함하는 좁은 상층구조체들 사이에 길이나 안정원과 같은 실질적으로 더 넓은 공간을 수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공간들은 복수의 갑판 층과 연결되는 공동 공간들과 결합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오락 기능들 및 활동들을 동일 공간 내로 집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 크루즈 선박을 선체의 횡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크루즈 선박을 선체의 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크루즈 선박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객실 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첨부된 개략 도면을 참조로 실시예를 통해 기술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크루즈 선박에서, 선체부(hull part,1')는 그 상부에 상층구조체(superstructure,2')를 가지며, 상기 상층구조체는 저층부(lower part)와, 객실(3')들로 이루어지는 섹션의 2개의 상이한 부분들로 나뉜다. 상기 선체부(1')와 상층구조체(2') 사이에는, 이른바 공동 공간들을 갖춘 복수의 갑판으로 이루어지는 영역(5')이 있다. 또한 상기 상층구조체의 저층부들 사이에는, 갑판상에 레스토랑, 숍 등 공동 공간을 또한 포함하는 복수 층 공간, 이른바 산책장 (promenade)이 있다. 상층구조체 내의 대부분의 외측 객실들과 상기 산책장쪽으로 열린 일부 객실들에는 발코니 또는 외측 윈도우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층구조체(2')의 상부에는, 예를들어, 레스토랑, 선술집, 수영장들, 일광욕 갑판 등의 공동 공간(4')이 있다. 이러한 것들이 유효한 객실 갑판의 수를 실질적으로 제한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숄루션에서는, 선박의 선체부(1) 상부에, 두개의 개별적인, 적정하게(fairly) 좁고 높은 상층구조체(2a,2b)가 서로 떨어져서 위치함으로써, 그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빈 공간이 생긴다. 상기 상층구조체들은 주로 승객용 객실(3)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구조체들과 선체부 사이에는 공동 공간으로 예정된 영역(5)이 있는데,; 이 영역은 복수의 갑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영역의 최상 갑판(5a)은 상기 공동 공간의 일부로 구성되는데, 이는 상부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로써 일광욕 갑판 영역 및 수영장 영역을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활동 설비를 유리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층구조체들의 상부 섹션(4a,4b)들도, 일광욕 갑판들과 같은 일부 공동 영역을 수용하지만, 대부분의 공동 공간들은 상층구조체들 아래에 집중적으로 위치하는데, 이들의 다용성 (versatility)에 의해, 이들 공간의 활용율이 실질적으로 향상된다. 당연히, 선박의 안정성과 관련된 이슈들은, 상층구조체들의 상부 섹션들에서의 공간 설계에 고려되어야 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객실 설비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 3과 관련된 실시예에는, 파노라마 윈도우가 구비되고, 또한, 도 4 및 도 5와 관련된 실시예에서는, 발코니(3a)가 구비된다. 이들 모든 객실은, 객실의 폭 (e), 달리 표현하면, 선박의 길이방향 치수가, 객실의 길이에 비해 실질적으로 더 크게, 실제로 적어도 약 50%, 바람직하게는 현저하게 크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객실의 형상은 대략 장방 형상(square shape)으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이로써, 객실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수세변기 유닛, 가구 및 고정물들의 배치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안락함과 편의성이 향상되고, 다른 한편으로, 보통 윈도우보다 실질적으로 더 넓은 파노라마 윈도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대부분의 선설은 종래 객실보다는 더 짧지만, 실질적으로 넓기 때문에, 상층구조체들을 적정하게 좁게 하고, 서로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들 사이에 종래보다 휠씬 많은 공동 공간, 서비스 및 활동을 위한 공간이 생긴다. 그러므로, 상층구조체(2a, 2b)들 사이의 빈 공간의 폭(g)은 상층구조체들의 폭의 합인 a+b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상기 객실 안의 모든 발코니 구조체들은 산입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구조체 (2a,2b)는 실질적으로, 선체부(1)의 외측 엣지 밖으로 뻗는데, 이 경우, 상기 상층구조체들 사이의 선체부의 최상 갑판(5a)의 톱오픈(top-open) 섹션의 폭은, 상기 갑판(5a)의 층에서, 상기 상층구조체들의 폭의 합 c+d의 적어도 80%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설비들은 승객 객실의 편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고, 선박의 공동 공간을 동일 영역에 집중시킨다. 동시에, 이 공동의 빈 공간은, 선박의 횡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확장될 수 있어, 더 다양한 활동들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는 승무원 수용설비 및 그외 공간에 대해 언급되지 않았으나, 종래와 마찬가지로 선박의 선체부 내에 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연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선체부
2a,2b: 상층구조체
3: 객실
3a: 발코니
4a,4b: 상부 섹션
5: 영역
5a: 갑판

Claims (8)

  1. 기다란 선체부(hull part, 1)와, 이 선체부 위에, 객실(3)이 구비된 승객 수용설비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식 상층구조체(superstructure)(2a, 2b)를 가지며, 상기 선체부(1)의 엣지(edge)들에,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뻗고 횡방향으로 특정 면적을 형성하는 두 개의 개별적인 상층구조체 (2a, 2b)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층구조체들 사이에 개방된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객실(3)은 상기 상층구조체(2a,2b)의 체적의 70% 이상으로 구성되는,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빈 공간은, 상기 상층구조체 사이에 선체부(1)의 최상 갑판(5a)의 톱오픈(top-open) 섹션을 형성하며, 상기 상층구조체 사이의 빈 공간의 폭(g)은 상기 객실의 발코니 구조체를 제외하고 상기 상층구조체(2a, 2b)의 폭의 합(a+b)보다 넓거나, 또는 상기 상층구조체(2a, 2b)가 선체부(1)의 외측 엣지 밖으로 뻗고 상기 객실의 발코니 구조체를 제외할 때, 최상 갑판(5a)의 레벨에서 상기 상층구조체(2a, 2b)의 폭의 합(c+d)의 적어도 80%인 폭(g)을 가지며, 상기 객실(3)의 적어도 60%는, 선박의 길이방향으로의 치수의 폭(e)이 그 길이(f)의 적어도 50%이며,
    상기 상층구조체 내의 상기 객실(3)은 2열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객실(3)의 적어도 80%는 외측 윈도우 또는 발코니(3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구조체(2a, 2b)는, 선박의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선체부(1)의 엣지를 지나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구조체(2a, 2b) 아래의 선체부(1)는,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의 공동 공간(common space)들의 적어도 70%를 수용하는 1 내지 4의 갑판(deck)으로 이루어지는 영역(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공간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설을 포함하며, 이 시설의 타입에는 레스토랑, 사교실(saloon)들 및 다른 공용 방들, 노천 갑판(weather deck)들 및 일광용 갑판(sun deck)들, 오락 시설들, 휴양 시설(recreational facility)들, 운동 시설들, 쇼핑 및 승객들의 공동 이용을 위해 의도된 다른 공간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구조체 내에서의 객실(3)의 비율은, 상기 객실의 중앙 영역 둘레에 수세변기 유닛, 가구 및 고정물들이 위치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KR1020117021669A 2009-02-17 2010-02-16 부상 구조체, 선박,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또는 그 유사체 KR101828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95145A FI20095145A (fi) 2009-02-17 2009-02-17 Kelluva rakenne, alus, erityisesti yksirunkoinen risteilyalus, tai vastaava
FI20095145 2009-02-17
PCT/FI2010/050099 WO2010094836A2 (en) 2009-02-17 2010-02-16 A floating structure, vessel, specifically a single hull cruise vessel or the li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952A KR20110120952A (ko) 2011-11-04
KR101828610B1 true KR101828610B1 (ko) 2018-02-12

Family

ID=4040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669A KR101828610B1 (ko) 2009-02-17 2010-02-16 부상 구조체, 선박,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또는 그 유사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98693B1 (ko)
KR (1) KR101828610B1 (ko)
CN (1) CN102387960B (ko)
ES (1) ES2541209T3 (ko)
FI (1) FI20095145A (ko)
HR (1) HRP20150695T1 (ko)
WO (1) WO20100948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3732A (zh) * 2012-04-21 2012-09-19 重庆长航东风船舶工业公司 具有通透大堂的船
CN102632969B (zh) * 2012-04-21 2015-04-29 重庆长航东风船舶工业公司 具有商业艺术步行街的船
CN102632968B (zh) * 2012-04-21 2015-07-22 重庆长航东风船舶工业公司 具有通透大堂的船
DE102012017853B4 (de) * 2012-09-08 2016-01-21 MEYER WERFT GmbH & Co. KG Schiff, insbesondere Kreuzfahrtschiff
CN103213655A (zh) * 2013-04-02 2013-07-24 重庆长航东风船舶工业公司 邮轮游泳池结构
CN105253249A (zh) * 2015-10-23 2016-01-20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船舶新型上层建筑舱室结构
JP6820179B2 (ja) * 2016-10-14 2021-01-27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の居住区構造及び貨物運搬船
CN110053685A (zh) * 2019-04-02 2019-07-26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豪华邮轮薄板生产线片段物流运输平台
CN111661263B (zh) * 2020-06-22 2021-10-0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快速搭载集装箱功能单元的浮式平台
CN112455599A (zh) * 2021-01-12 2021-03-09 深圳前海联合邮轮有限公司 一种宽体邮轮上建结构
CN114291204A (zh) * 2021-12-20 2022-04-08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浮体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1053B4 (de) * 1999-01-14 2006-09-21 Nordseewerke Gmbh Schiff zum Transport von Containern
FR2831133B1 (fr) * 2001-10-23 2004-01-23 Laurent Maurice Mermier Navire de croisiere ou de loisirs de grande largeur
FR2831132B1 (fr) * 2001-10-23 2003-12-05 Laurent Maurice Mermier Navire de croisiere ou de loisirs de grande largeur
FR2834687A1 (fr) * 2002-01-11 2003-07-18 Denis Laming Paquebot de croisiere a structure amelioree
DE202005019071U1 (de) * 2005-12-06 2006-02-02 Pruin, Berend, Dipl.-Ing. Schiffs-Aufbauten
CN100357156C (zh) * 2005-12-28 2007-12-26 江苏海陆装饰有限公司 船舶居住舱室单元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4836A2 (en) 2010-08-26
EP2398693A2 (en) 2011-12-28
HRP20150695T1 (hr) 2015-08-14
ES2541209T3 (es) 2015-07-16
CN102387960A (zh) 2012-03-21
FI20095145A (fi) 2010-08-18
WO2010094836A3 (en) 2011-04-07
EP2398693B1 (en) 2015-04-01
KR20110120952A (ko) 2011-11-04
CN102387960B (zh) 2015-11-25
FI20095145A0 (fi) 200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610B1 (ko) 부상 구조체, 선박, 특히 단일 선체의 크루즈 선박 또는 그 유사체
KR100972464B1 (ko) 광폭 유람선
US4838190A (en) Passenger ship
US20050150175A1 (en) Modular accomodation system (bmas)
KR101702994B1 (ko) 해양선박
JP5323918B2 (ja) クルーズ船のための船室組み立て構成体
US20100155531A1 (en) Aircraft toilet facility
US3050330A (en) Staggered two-story house trailers
JP5314694B2 (ja) クルーズ船上で改善した船客快適設備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009638A (ja) 船舶の居室構造
FI74244C (fi) Fartyg.
US6401647B1 (en) Floatation building structure
CN102632969B (zh) 具有商业艺术步行街的船
US6119419A (en) Integrated building complex consisting of ship and iceberg building structures connected by tunnels
FI123229B (fi) Esivalmistettu lattiaton itsekantava tilayksikkö
US6073403A (en) Integrated building complex consisting of ship and iceberg building structures connected by tunnels
KR20190012561A (ko)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R3024972A1 (fr) Superstructures hybrides de navires a passagers
EP1773651B1 (en) Passenger ship with improved atrium
CN112455599A (zh) 一种宽体邮轮上建结构
JP2603792B2 (ja) 多層蔵型収納付き建物
DE202021000888U1 (de) Schmaler Langstreckenjet mit drei Gängen
JP2019073092A (ja) 客船の居住区構造
JP2015527250A (ja) 船、特にクルーズ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