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794B1 - 작은 볼펜 - Google Patents

작은 볼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794B1
KR101822794B1 KR1020170103281A KR20170103281A KR101822794B1 KR 101822794 B1 KR101822794 B1 KR 101822794B1 KR 1020170103281 A KR1020170103281 A KR 1020170103281A KR 20170103281 A KR20170103281 A KR 20170103281A KR 101822794 B1 KR101822794 B1 KR 101822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point pen
pen
case
bal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202A (ko
Inventor
이문기
Original Assignee
이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기 filed Critical 이문기
Publication of KR20170098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볼펜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볼펜의 누름 버튼의 연결 막대를 좌우로 분리하여 그 사이에 볼펜심이 들어감으로써 볼펜 길이가 작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은 볼펜{SMALL BALLPEN}
본 발명은 작은 주머니에 쉽게 들어가는 휴대가 간편한 작은 볼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볼펜의 구성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4-0034802 의 도5에 표시된 것처럼 원통형 볼펜 케이스, 상기 케이스 안의 볼펜 심, 누르면 상기 심을 케이스 밖으로 밀어내는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볼펜은 길이가 길어서 옷의 주머니에 넣으면 실수로 버튼이 눌려져 심이 케이스 밖으로 나와서 옷에 잉크가 뭍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볼펜은 원통형 케이스가 두 부품으로 나눠져 구성되어있는데 각 부품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있어서 부품을 돌려서 상기 나사를 체결하여 케이스를 구성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의 볼펜의 심을 교체하려면 상기 부품을 여러 번 회전하여 체결된 나사를 해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볼펜이 길어서 예를 들면 청바지의 뒷주머니나 점퍼의 안 주머니에 넣으면 주머니에 끼어서 꺼내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기존의 볼펜은 길이가 길어서 볼펜을 쥐고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을 눌러서 볼펜 심을 볼펜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한 후 글을 쓰기 위하여 손이 버튼 쪽에서 볼펜 촉 쪽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작은 볼펜은 기존의 볼펜의 누름 버튼의 형태를 변형하여 볼펜 심이 누름 버튼 안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볼펜의 길이를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은 볼펜은 기존 볼펜보다 작으므로 볼펜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적게 들어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은 볼펜은 기존 볼펜보다 무게가 가벼우므로 볼펜으로 글을 쓸 때 가벼워서 오랜 시간 글을 쓰더라도 손 근육의 피로가 덜하다.
또한 볼펜의 길이가 짧으므로 관성 모멘트가 작아서 글을 빨리 쓸 수 있다.
본 발명의 볼펜은 길이가 짧아서 볼펜을 쥐고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을 눌러서 볼펜 심을 볼펜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한 후 글을 쓰기 위하여 손이 버튼 쪽에서 볼펜 촉 쪽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즉시 글을 쓰기 시작 할 수 있다. 특히 손이 작은 어린이의 경우 손의 이동거리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좀더 효율적이고 빠르게 볼펜을 사용할 수 있다.
도13은 기존의 긴 볼펜을 사용하는 경우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를 때의 손의 위치(UP)를 나타낸 것이고 도14은 볼펜으로 글을 쓰기 위하여 버튼의 반대 쪽인 펜 촉 쪽으로 이동한 손의 위치(DP)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작은 볼펜의 경우의 두 손의 위치(UP, DP)사이의 거리가 매우 짧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작은 볼펜은 볼펜을 손으로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른 직후 바로 글을 쓸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볼펜은 볼펜이 길어서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른 후 손 전체가 펜 촉 쪽으로 이동해야만 글을 쓸 수 있다.
또한 볼펜이 작아서 주머니에 넣더라도 버튼이 잘못 눌려질 가능성이 적고 따라서 볼펜의 잉크가 옷에 뭍을 가능성도 적다.
도1은 기존 볼펜의 단면도
도2는 기존 볼펜 버튼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구성도
도4는 도3의 변형 예
도5는 도3의 변형 예
도6은 도5의 단면도
도6a는 기존 볼펜 구성도
도6b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 볼펜 케이스
도6c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 볼펜 케이스에 볼펜심을 끼우는 모습
도7는 다른 형태의 기존 볼펜의 단면도
도8은 도7의 버튼 구성도도
도9는 도8의 구성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구성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변형예
도12는 도11의 단면도
도13은 기존 볼펜의 버튼을 누르는 모습
도14은 기존 볼펜으로 글을 쓰는 모습
도15는 본 발명의 짧은 볼펜으로 글을 쓰는 모습
실시예1
도1은 기존의 모나미153 볼펜의 단면도이고 도2는 버튼의 확대도이다. 도2에서 볼펜심(CO)은 그 펜 촉(TP) 반대편의 끝부분(EP)이 V자 형태의 누름 버튼의 아래쪽 일단(BE)에 접촉하게 되어있다. V자형 누름 버튼의 상기 일단(BE)에는 탄성이 있는 걸림쇠(LT)가 형성된 제1막대와 원통형 기둥 돌출부(BT)가 부착된 제2막대(CR)가 V자 형태로 부착되어있다. 상기 걸림쇠에는 부채꼴 모양의 제1 돌출부(CX1)와 제2 돌출부(CX2)가 형성돼 있고 볼펜 케이스(파이프 형태의 볼펜 몸체)에 형성된 두 개의 구멍(HO1,HO2)에 상기 두 돌출부가 끼워진다. 이러한 버튼의 원통형 기둥 돌출부(BT)를 볼펜 케이스 안으로 누르면 볼펜 심의 촉(TP)이 케이스 펜 촉 구멍(HO) 밖으로 나오고 제1 돌출부(CX1)를 누르면 볼펜에 끼워진 스프링(SP)에의해 심이 케이스 펜 촉 구멍(HO) 안으로 들어간다.
도3은 본발명에의한 누름 버튼을 나타낸 것이다. 도2의 누름 버튼과 도3의 누름 버튼의 차이점은 도2의 제2 연결 막대(CR)의 위치에 볼펜심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제2 막대(CR)를 좌우 두개의 막대(CR1,CR2)로 변형한 것이다. 볼펜 심이 제2 막대 위치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제2 막대와 제1 막대는 최대한 볼펜 케이스 표면 쪽으로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펜 케이스 표면 쪽으로 분포한다는 것은 파이프 형태의 볼펜의 중심축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분포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두 개의 막대(CR1,CR2) 중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두 막대(CR1,CR2) 사이에 들어간 볼펜 심(CO)은 누름 버튼의 원통형 기둥 돌출부(BT)의 원통의 아래쪽면(BS)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펜심이 두 연결 막대 사이에 들어감으로써 볼펜의 전체 길이(펜 촉에서 누름버튼 원통형 돌출부까지 거리)는 도1의 구성에 비해 도3의 구성인 경우 연결 막대(CR)만큼 짧아지게 된다.
볼펜심을 좌우 두개의 막대(CR1,CR2)사이에 끼워 넣기 편리하도록 도3의 누름 버튼을 버튼의 끝단(EP)은 뾰족하고 그 안쪽 면(CP)은 비스듬한 깔때기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도3의 구성에서 누름 버튼의 원통형 기둥 돌출부(BT)의 안쪽에 볼펜심이 들어갈 수 있게 원통형 홈(CX)을 형성한 모습이다. 이러한 구성의 버튼(BT)를 사용하면 볼펜 심이 버튼(BT)의 끝까지 들어가므로 볼펜의 전체 길이를 도3의 경우보다 더 줄 일 수 있다. 도4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 버튼 원통형 돌출부(BT)를 누르면 걸림쇠(LT)가 누르는 방향(PS)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스에의해 눌려지고(RO) 그 밑에 있는 볼펜 심(CO)이 아래쪽(걸림쇠 반대쪽)으로 밀려나서 힘을 받게 된다. 이 경우 걸림쇠(LT)가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눌려지기 위해서 볼펜심이 최대한 아래쪽(걸림쇠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도 5와 같이 누름 버튼의 원통형 돌출부(BT)의 원통의 아래쪽 옆면 절반을 잘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원통형 돌출부(BT)의 원통의 아래쪽 옆면 절반을 잘라내지 않는다면 볼펜 케이스의 파이프의 반지름이 커지게 된다. 즉 이러한 구성으로 볼펜 케이스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막아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볼펜의 무게를 줄여서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6은 도5의 구성의 볼펜 버튼에 볼펜심이 끼워진 단면도이다.
기존의 모나미153 볼펜의 케이스는 도6a와 같이 볼펜 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볼펜 촉 부분(PT1)을 돌리면 분해되도록 두 개의 부품(PT1,PT2)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두 부품을 도6b와 같이 하나의 부품(PT3)로 형성하는 대신 볼펜심을 빼고 끼울 수 있게 U자 형태의 오목한 홈(HO3)을 케이스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하나의 부품(PT3)으로 볼펜 케이스를 구성하면 제조공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고 케이스의 단면의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분해된 각 부품의 분실 위험도 줄어든다. 기존 두 부품(PT1,PT2)에는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있어서 서로 나사를 끼워 조립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나사는 돌려 끼울 수 있도록 반드시 원통 위에 형성되어야 한다. 즉 두 부품의 결합 영역은 반드시 단면이 원통 형태라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의한 하나의 부품(PT3)은 그러한 제한이 없이 임의의 단면 형태로 케이스를 디자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형태의 케이스는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해서 3d 프린터를 사용해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목한 홈(HO3)은 기존의 구멍(HO1,HO2)의 반대편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대편은 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AX)을 중심으로 구멍(HO1,HO2)과 오목한 홈(HO3)이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글씨를 쓰는 도중에 이러한 오목한 홈(HO3)을 통해 볼펜심이 케이스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본발명에의한 누름 버튼의 원통형 기둥 돌출부(BT)의 안쪽면에는 도6과 같이 볼펜 심이 끼워질 수 있는 볼록한 홈(BX)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C는 오목한 홈(HO3)을 통해 볼펜 심을 끼우는 모습이다.
실시예2
볼펜 중에는 버튼을 한번 누르면 볼펜 심이 케이스 밖으로 나오고 상기 동일한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심이 케이스 안으로 들어가는 제품도 있다. 도7은 그와 같은 볼펜의 단면도이고 도8은는 버튼의구성도이다. 도8에서 볼펜 케이스(CS) 내면에는 누름 버튼(EB)에 형성된 볼록한 홈(PX,MX)이 끼워질 수 있는 오목한 홈(LH)이 형성되어있다. 도8의 케이스(CS)는 케이스 원통의 축을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누름 버튼은 손으로 누를 수 있게 외부로 노출되는 위쪽 외부 누름부(EB)와 그 누름부 아래쪽에 끼워지는 내부 회전부품(RP)으로 구성된다. 내부 회전 부품에는 볼펜 심(CO)이 끼워진다. 외부 버튼과 내부 회전 부품이 접촉하는 면은 톱니모양으로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있다. 도9는 도8의 구성의 단면도이다. 외부 누름부(EB)를 누르면 내부 회전부품(RP)이 눌려지면서 회전하여 볼펜 케이스(CS)의 내면에 걸쳐져 볼펜 심의 펜촉(TP)이 구멍(HO) 밖으로 나오게 된다. 다시 한번 외부 누름부(EB)를 누르면 내부 회전부품(RP)이 눌려지면서 회전하여 볼펜 심 펜촉이 구멍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도10은 도9를 변형한 본 실시예의 버튼이다. 도10에서 볼펜심(CO)의 펜 촉(TP) 반대편에는 볼록한 제2 홈(XC)이 형성되어있다. 제1홈(XS)은 도11과 같이 펜촉 부분에 형성되어 스프링이 끼워진다. 이러한 볼록한 홈은 기존의 볼펜 심에 끼운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홈(XS)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홈은 스프링의 팽창하는 힘에의해 내부 회전부품(RP)에 걸치게 된다. 내부 회전부품 (RP)에는 볼펜심이 통과할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볼펜심의 펜 촉 반대편 끝은 EB의 끝부분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볼펜심의 볼록한 제2 홈(XC)은 회전하는 내부 회전부품 (RP)과 마찰에의해 마모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마모를 막기 위하여 볼펜심의 볼록한 홈(XC)과 내부 회전부품 (RP) 사이에 마모에 잘 견딜 수 있는 재질의(예를 들면 금속)링(RI)이나 와셔를 추가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과 같이 볼펜심에 새로운 제2 볼록한 홈(XC)을 형성하는 대신 이미 펜 촉 부분에 있는 스프링을 끼우는 볼록한 제1 홈(XS)에 걸칠 수 있는 긴 원통(CY)을 볼펜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다. 도12는 상기 원통(CY)을 볼펜심에 끼우고 내부 회전부품(RP)에 걸친 볼펜의 단면도이다.
BT:누름 버튼 원통형 돌출부
BE : 누름 버튼 반대편 일단
TP : 볼펜 심의 촉
HO,HO1,HO2 : 구멍
CR,CR1,CR2 : 연결 막대
VS : 단면
CP : 버튼의 비스듬한 안쪽면
EP : 버튼의 끝단
LT : 걸림쇠
CX1,CX2 : 돌출부
CO : 볼펜심
EP : 볼펜심 펜촉 반대편 끝단
BS : 누름 버튼 돌출부 아랫면
CS : 케이스
LH : 케이스 내면의 오목한 홈
RP : 내부회전 부품
EB : 외부 버튼
PX,MX : 볼록한 홈
JO : 내부회전 부품의 끼워지는 돌출부
XC : 볼펜심의 볼록한 홈
UP : 볼펜 버튼을 누를 때 손의 위치
DP : 볼펜으로 글을 쓸 때 손의 위치

Claims (4)

  1. 걸림쇠 돌출부가 형성된 제1막대부와 기둥 돌출부가 끝에 부착된 제2막대부가
    V자형태로 부착된 버튼의 기둥 돌출부를 누르면 볼펜 심이 케이스 구멍 밖으로 나오고 걸림쇠 돌출부를 누르면 볼펜 심이 케이스 구멍 안으로 들어가는 볼펜에 있어서
    제1 막대부와 제2막대부는 볼펜 케이스 면 쪽으로 치우쳐 분포하여 볼펜 심의 펜 촉 반대편 끝 단이 기둥 돌출부까지 들어갈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제2막대부는 제1막대부의 걸림쇠 돌출부가 눌려져서 상하로 움직이는 면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분포하고
    볼펜 케이스는 걸림쇠 돌출부가 끼워지는 볼펜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의 반대편에 볼펜심이 끼워지고 배출될 수 있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 형태이고
    오목한 홈의 폭은 볼펜심의 폭보다 크고 볼펜 케이스의 원통의 원주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은 볼펜.
  2. 제1항에 있어서
    제2막대부의 기둥 돌출부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서 그 안으로 볼펜 심 펜촉 반대편 끝 단이 들어갈 수 있고 상기 기둥 돌출부의 제1막대부의 반대편 기둥의 옆면이 제거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은 볼펜.
  3. 제 2항에 있어서
    제2막대부의 기둥 돌출부의 기둥의 윗면 안쪽에는 볼펜심이 끼워지는 볼록한 홈이 형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은 볼펜.
  4. 제1항에 있어서 제2막대부는 2개의 막대를 포함하되 그 두 막대는 제1 막대의 걸림쇠 돌출부가 눌려지는 경우 제1막대가 상하로 움직이는 평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은 볼펜.
KR1020170103281A 2013-09-13 2017-08-15 작은 볼펜 KR101822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746 2013-09-13
KR1020130110746 2013-09-13
KR20140045104 2014-04-15
KR1020140045104 2014-04-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004A Division KR20160142274A (ko) 2013-09-13 2016-12-04 작은 볼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202A KR20170098202A (ko) 2017-08-29
KR101822794B1 true KR101822794B1 (ko) 2018-01-30

Family

ID=526659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1402A KR20150031214A (ko) 2013-09-13 2014-09-12 작은 볼펜
KR1020160164004A KR20160142274A (ko) 2013-09-13 2016-12-04 작은 볼펜
KR1020170103281A KR101822794B1 (ko) 2013-09-13 2017-08-15 작은 볼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1402A KR20150031214A (ko) 2013-09-13 2014-09-12 작은 볼펜
KR1020160164004A KR20160142274A (ko) 2013-09-13 2016-12-04 작은 볼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81215B2 (ko)
JP (1) JP6509229B2 (ko)
KR (3) KR20150031214A (ko)
CN (1) CN105555544B (ko)
WO (1) WO2015037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32A (ko) 2020-01-07 2021-07-15 이선엽 의류 고무줄 끌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126B1 (ko) * 2017-06-16 2019-03-18 유경화 다색 격층 필기구
KR102036735B1 (ko) * 2018-02-26 2019-10-2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CN110353499B (zh) * 2018-04-09 2021-10-0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壶盖及具有该壶盖的水壶
CN109646144A (zh) * 2018-12-17 2019-04-19 唐山爱在云端网络科技有限公司 按压式注射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829A (ja) * 2010-03-23 2011-10-06 Zebra Pen Corp ボールペン
JP2011194671A (ja) * 2010-03-18 2011-10-06 Zebra Pen Corp ボールペン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8373A (en) * 1956-06-20 1960-03-15 David J Esterow Ball-point fountain pens
CH394865A (it) * 1962-06-07 1965-06-30 Real Patentauswertungs Anstalt Meccanismo di comando per penne, matite, ecc., a punta scrivente retrattile
US3409380A (en) * 1966-06-23 1968-11-05 Union Pen & Pencil Corp Fountain pen
US3652173A (en) * 1970-06-11 1972-03-28 Joseph Lipic Pen Co Retractable ballpoint pen with variable enclosure
JPH0280488U (ko) * 1988-12-12 1990-06-21
JPH0732135Y2 (ja) * 1989-11-15 1995-07-26 株式会社パイロット ノック式筆記具
JPH0712063Y2 (ja) 1991-12-06 1995-03-22 株式会社テイムズ ボールペン
KR19990008272U (ko) 1998-11-30 1999-02-25 서정현 버튼을 이용한 자동 볼펜
KR20000020854U (ko) * 1999-05-14 2000-12-15 이덕호 연줄 감기용 얼레
US6200050B1 (en) * 2000-02-24 2001-03-13 Casio Lin Automatic bounce device for a center stick in a pen
KR100451941B1 (ko) 2002-04-22 2004-10-08 김회곤 건조방지용 필기구
JP3864838B2 (ja) 2002-04-26 2007-01-10 ぺんてる株式会社 入力ペン内蔵筆記具
KR200382372Y1 (ko) 2004-12-08 2005-04-20 안재환 펜촉 자동 몰입구조를 가진 볼펜
US8434957B2 (en) * 2008-07-24 2013-05-07 Kotobuki & Co., Ltd.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JP3153353U (ja) * 2009-06-19 2009-09-03 ゼブラ株式会社 ノック式ボールペン
KR101047589B1 (ko) 2010-04-09 2011-07-07 (주)삼원에스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필기구
CN203004636U (zh) 2012-12-21 2013-06-19 董宇峰 侧开仓水笔
JP5731556B2 (ja) 2013-02-28 2015-06-10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671A (ja) * 2010-03-18 2011-10-06 Zebra Pen Corp ボールペン
JP2011194829A (ja) * 2010-03-23 2011-10-06 Zebra Pen Corp ボールペ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32A (ko) 2020-01-07 2021-07-15 이선엽 의류 고무줄 끌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21382A1 (en) 2016-08-04
KR20160142274A (ko) 2016-12-12
WO2015037951A1 (ko) 2015-03-19
JP2016530138A (ja) 2016-09-29
KR20170098202A (ko) 2017-08-29
JP6509229B2 (ja) 2019-05-08
KR20150031214A (ko) 2015-03-23
CN105555544A (zh) 2016-05-04
CN105555544B (zh) 2018-11-20
US10081215B2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794B1 (ko) 작은 볼펜
JP4649517B2 (ja) 筆記具
KR20090118914A (ko) 봉상물 조출용기
JP2004529021A (ja) 筆記具
KR20120108779A (ko) 다용도 케이스
KR200483197Y1 (ko)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
JP2011025616A (ja) 筆記具
KR200356696Y1 (ko) 전방녹크식 볼펜
KR200476658Y1 (ko)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
CN110370841A (zh) 具有护芯功能的自动铅笔
KR101478353B1 (ko) 노크가압식 필기구
JP6345941B2 (ja) 複式筆記具
JP6564629B2 (ja) 筆記具
JP2013082160A (ja) 多芯式筆記具
JP5585008B2 (ja) 筆記具の軸筒
JP6608264B2 (ja) 筆記具
JP7017046B2 (ja) 朱肉付き印鑑ケース
JP6521639B2 (ja) 切替装置
JP6087169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3000683U (ja) 入力ペン
KR200354527Y1 (ko) 샤프펜슬
TWM508444U (zh) 自動鉛筆之結構
JP2009178870A (ja) 筆記具
JP2009178871A (ja) 複式筆記具
JP2013111823A (ja) 多芯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