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58Y1 -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58Y1
KR200476658Y1 KR2020130004267U KR20130004267U KR200476658Y1 KR 200476658 Y1 KR200476658 Y1 KR 200476658Y1 KR 2020130004267 U KR2020130004267 U KR 2020130004267U KR 20130004267 U KR20130004267 U KR 20130004267U KR 200476658 Y1 KR200476658 Y1 KR 200476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knock
clip
writing instrument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137U (ko
Inventor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아이에스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아이에스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에스아이에스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130004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5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8Preventing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tracting writing-poin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노크식 필기구는 일단에는 펜심 일단이 노출 및 은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타단 일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펜심, 상기 케이스에 대해 펜심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원스프링, 상기 펜심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고, 그 일단은 상기 케이스 타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걸림홈에 대응하도록 탄성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노크 및 상기 케이스의 걸림홈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를 가압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노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 중공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With Separable Clip}
본 고안은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의 케이스의 일단부를 통해 펜심이 노출되는 필기상태 또는 펜심이 은폐되는 해제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케이스와 펜심, 스프링, 펜심 출몰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클립을 구비하여 포켓에 꽂아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펜심 출몰장치를 조작하여 펜심을 돌출시켜 사용하고,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펜심 출몰장치를 조작하여 펜심을 케이스 내로 몰입시켜 포켓 등에 꽂아 소지한다.
이러한 필기구의 펜심 출몰장치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이 노크와 기어이다. 이러한 노크식 필기구는 대부분 필기구의 케이스 내부 중식축에 노크와 기어를 형성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의 노크와 기어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케이스의 길이가 길어지고 굵어지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출몰식 필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를 참조하면, 종래의 필기구는 크게 케이스(1), 펜심(2), 노크(6), 스프링(3) 및 클립(7)으로 구성된다.
펜심(2)은 케이스(1) 전단부에서 출몰하도록 연결되며 스프링(3)에 의해 케이스(1)의 후단부로 일정한 탄성력이 부여된다. 펜심(2)과 연결된 노크(6)를 눌러 전진시키면 노크에 형성된 걸림턱(5)이 걸림홈(4)에 걸려 펜심(2)이 나온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클립(7)에 형성된 작동돌기를 눌러 걸림턱(5)이 걸림홈(4)에서 빠져나오게 하면 펜심(2)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즉,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 출몰 작동을 하기 위해 케이스(1)에 걸림홈(4)과 케이스와 일체로 제작된 클립(7)에 작동돌기를 형성하여 작동돌기를 누름에 의해 펜심(1)이 케이스(1) 내부로 은폐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케이스(1)와 클립(7)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함으로써 일체로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클립(7)의 별도의 색상을 도입하려면 부가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며, 동일한 재질로 사용하게 되어 케이스(1)는 필기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강도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클립(7)의 연성이 낮아 질 수 있다. 클립(7)의 연성이 낮은 경우 펜심(1)을 원위치로 회복시키기 위해 작동돌기를 누를 때 보다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기구를 사용한 후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지 않고 포켓에 보관하는 경우 펜심에서 나온 잉크에 의해 옷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분리형 클립을 도입하여 케이스와는 별도의 소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한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클립의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펜심을 출몰 상태를 쉽게 확인하여 포켓에 보관시 잉크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는, 일단에는 펜심 일단이 노출 및 은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타단 일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펜심, 상기 케이스에 대해 펜심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원스프링, 상기 펜심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고, 그 일단은 상기 케이스 타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걸림홈에 대응하도록 탄성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노크부 및 상기 케이스의 걸림홈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를 가압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노크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 중공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에는 노크부의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크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펜심의 은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펜심의 노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표시부와 연속적으로 제2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은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개방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클립몸체 및 상기 클립몸체의 타단부에서 굴곡되어 상기 케이스의 출입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될 수 있도록 작동돌기가 형성된 클립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노크식 필기구에 따르면 클립을 분리형으로 제조함에 따라 케이스와 별도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어 색상과 소재를 다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립을 케이스의 소재보다 연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작동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클립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쉽게 펜심의 노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펜심이 노출된 필기상태에서 필기구를 포켓에 보관하여 발생하는 잉크의 누출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필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는 크게 케이스(11), 펜심(12), 복원스프링(13), 노크(14), 클립(20)을 포함한다.
삭제
케이스(11)는 펜심(12)의 일단, 즉 팁부분이 노출 및 은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의 일측면에는 걸림홈(17, 18)이 형성된다. 케이스(11)는 펜심(12)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출입구측은 출구 방향이 좁은 대략 콘(cone)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걸림홈(17, 18)은 펜심(12)이 노출된 필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1걸림홈(17)과 펜심(12)이 은폐된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2걸림홈(18)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후단부에는 클립과 연결이 되기 쉽도록 경사진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외주면에는 필기구의 사용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19)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펜심(12)은 케이스(1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펜심(12)은 복원스프링(13)에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복원스프링(13)에 의해 케이스(11)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펜심(12)의 출입구의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받게 된다. 또한, 펜심(12)의 외주면에는 복원스프링(13)이 지지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한쌍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노크(14)는 펜심(12)이 삽입 고정되고,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케이스(11)의 걸림홈(17, 18)에 대응하도록 탄성을 갖는 돌출부(15)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5)는 노크(1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케이스(11)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경우 케이스(11)의 내주면 측으로 탄성력이 부가되며, 케이스(11)의 걸림홈(17, 18)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걸림홈(17, 18)의 턱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크(14)를 전진시키는 경우에 제2걸림홈(18)에서 제1걸림홈(17)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노크(14)의 외주면에는 펜심(12)이 은폐된 해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1표시부(16a)와 펜심(12)이 노출된 필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2표시부(16b)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표시부(16a)와 제2표시부(16b)는 각각의 색을 달리 함으로써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제1표시부(16a) 및 제2표시부(16b)의 어느 하나는 어두운 경우에도 펜심의 노출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재로 채색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와 결합되는 클립(20)은 케이스(11)의 걸림홈(17)을 통해 케이스(11)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15)를 가압하는 작동돌기(21)가 형성되고, 노크(14)가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케이스(11)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1)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립(20)은 노크(14)의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케이스와 결합되고 타단이 경사지게 개방부가 형성되는 클립몸체(20a) 및 상기 클립몸체(20a)의 타단부에서 굴곡되어 상기 케이스(11)의 출입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될 수 있도록 작동돌기(21)가 형성된 클립고리(20b)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으로 장착될 수 있는 클립(20)은 케이스(11)와는 별도의 소재를 사출하여 제조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케이스(11)와는 다르게 케이스(11)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을 할 수 있어 펜심(12)의 출몰 작동시 더욱 부드러운 터치감이 제공될 수 있으며, 포켓에 보관하는 경우 파손의 위험이 적어질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의 작동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2 (a)는 펜심(12)이 케이스(11)의 내부로 은폐된 해제상태를 나타내며, 도2 (b)는 펜심(12)이 케이스(11) 외부로 노출된 필기상태를 나타낸다. 필기구의 해제상태에서 노크(14)의 돌출부(15)는 제2걸림홈(18)에 걸리게 된다. 복원스프링(13)에 의해 일정한 탄성력이 펜심(12)에 부가되고, 펜심(12)에 연결되어 있는 노크(14)까지 탄성력이 전달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노크(14)의 돌출부(15)가 제2걸림홈(18)에 걸려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클립(20)의 개방부(22)을 통하여 노크의 제1표시부(16a)가 외부로 노출되어 제1표시부(16a)의 색상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필기구의 해제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펜심(12)이 은폐된 해제상태에서, 사용자가 노크(14)를 밀어 넣으면 노크(1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5)가 제2걸림홈(18)에서 제1걸림홈(17)으로 슬라이딩하여 케이스(1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걸림홈(17)에 걸리게 되며, 노크(14)와 연결된 펜심(12)이 케이스(11)의 외부로 노출되어 필기상태가 된다. 이 때 복원스프링(13)은 더욱 압축되어 펜심(12)에 탄성력을 부가하게 되며 펜심(12)과 연결된 노크(14)에 전달된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5)가 제1걸림홈(17)에 밀착되어 필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필기상태에서는 클립(20)의 개방부(22)를 통하여 노크의 제2표시부(16b)가 외부로 노출되어 제2표시부(16b)의 색상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필기구의 필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표시부(16a) 및 제2표시부(16b)의 어느 하나를 야광으로 채색하는 경우 필기구의 상태를 보다 쉽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기구를 다시 펜심(12)이 은폐되는 해제상태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클립고리(20b)을 누르게 되고 클립고리(20b)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돌기(21)가 제1걸림홈(17)에 밀착되어 있는 노크(14)의 돌출부(15)를 밀어 넣게 되며, 복원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펜심(12)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펜심(12)에 연결되어 있는 노크(14) 또한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노크(14)의 돌출부(15)가 제2걸림홈(18)으로 이동하여 다시 밀착되어 해제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펜심의 위치에 따라 노크의 제1표시부(16a) 및 제2표시부(16b)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기구를 포켓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 펜심(12)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펜심(12)이 노출된 상태에서 보관하지 않도록 하여 잉크의 유출에 따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케이스 12: 펜심 13: 복원스프링
14: 노크 15: 돌출부 16a: 제1표시부
16b: 제2표시부 17: 제1걸림홈 18: 제2걸림홈
19: 홈 20: 클립 20a: 클립몸체
20b:클립고리 21: 작동돌기 22: 개방부

Claims (3)

  1. 일단에는 펜심 일단이 노출 및 은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타단 일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펜심;
    상기 케이스에 대해 펜심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원스프링;
    상기 펜심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고, 그 일단은 상기 케이스 타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걸림홈에 대응하도록 탄성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노크; 및
    상기 케이스의 걸림홈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를 가압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노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 중공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에는 노크의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크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펜심의 은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펜심의 노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표시부와 연속적으로 제2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개방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클립몸체 및 상기 클립몸체의 타단부에서 굴곡되어 상기 케이스의 출입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될 수 있도록 작동돌기가 형성된 클립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KR2020130004267U 2013-05-28 2013-05-28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 KR200476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67U KR200476658Y1 (ko) 2013-05-28 2013-05-28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67U KR200476658Y1 (ko) 2013-05-28 2013-05-28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37U KR20140006137U (ko) 2014-12-08
KR200476658Y1 true KR200476658Y1 (ko) 2015-03-18

Family

ID=5245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267U KR200476658Y1 (ko) 2013-05-28 2013-05-28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110B1 (ko) * 2017-02-10 2017-08-24 어명혁 하중체로 출몰동작이 이루어지는 필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382A (ja) * 2000-04-17 2001-10-31 Zebra Pen Corp 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2011240502A (ja) * 2010-05-14 2011-12-01 Pilot Corporation 出没式筆記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382A (ja) * 2000-04-17 2001-10-31 Zebra Pen Corp 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2011240502A (ja) * 2010-05-14 2011-12-01 Pilot Corporation 出没式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37U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941B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4753938B2 (ja) 引込み可能な先端を有する筆記用具
JP4648818B2 (ja) クリップ
KR200476658Y1 (ko) 분리형 클립을 구비한 노크식 필기구
JP2007055156A (ja) 複式筆記具
JP5593646B2 (ja) 筆記具
KR200483197Y1 (ko)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
KR102091564B1 (ko) 커터날을 포함하는 출몰식 필기구
KR20110002480U (ko) 펜심 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JP2003011583A (ja) スライド式の複合筆記具
KR100474391B1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KR20220005086A (ko) 펜 타입 컴퍼스
JP3134993U (ja) 複式筆記具
KR200426562Y1 (ko) 필기구
JP2006334832A (ja) 複式筆記具
JP6087169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2011025524A (ja) 多芯筆記具
KR200437509Y1 (ko) 넥타이핀 겸용 필기구
KR20070017169A (ko) 출몰식 팁을 구비한 필기구
JP5412319B2 (ja) 多芯筆記具
KR200458371Y1 (ko) 손가락에 끼우는 펜
KR200384547Y1 (ko) 전방녹크식 볼펜
WO2003070486A2 (en) One touch openable water-based ink pen
JP2018144397A (ja) 多芯筆記具
JP6405995B2 (ja) 多芯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