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854U - 연줄 감기용 얼레 - Google Patents

연줄 감기용 얼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854U
KR20000020854U KR2019990008272U KR19990008272U KR20000020854U KR 20000020854 U KR20000020854 U KR 20000020854U KR 2019990008272 U KR2019990008272 U KR 2019990008272U KR 19990008272 U KR19990008272 U KR 19990008272U KR 20000020854 U KR20000020854 U KR 200000208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enter
bobbin
shaf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이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호 filed Critical 이덕호
Priority to KR2019990008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854U/ko
Publication of KR20000020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54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2Means for manipulating kites or other captive flying toys, e.g. kite-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2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details or the parts to be hold by the user, e.g.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6Kitelin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줄을 감고 푸는 얼레의 중간에 보강부재를 끼워 많은 양의 연줄이 감기는 경우에도 압력에 의해 얼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줄 감기용 얼레에 관한 것으로, 이 얼레는 연줄을 감는 얼레에 있어서, 중앙에 제 1중심공(16)을 지닌 제 1연결판(1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1권취축(12)으로 이루어진 제 1권취부(10)와, 중앙에 제 2중심공(26)을 지닌 제 2연결판(2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2권취축(22)으로 이루어진 제 2권취부(20)와, 중앙에 제 3중심공(36)을 지닌 보강판(3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축(38)을 지니며, 이 결합축(38)에는 상기 제 1권취축(12)의 제 1삽입공(12a)에 삽입되는 제 1결합단(32)과, 상기 제 2권취축(22)의 제 2삽입공(22a)에 삽입되는 제 2결합단(32')이 구비되어 있는 보강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연줄 감기용 얼레{BOBBIN HAVING A STRENGTHEN MEMBER}
본 고안은 연줄 감기용 얼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줄을 감고 푸는 얼레의 중간에 보강부재를 끼워 많은 양의 연줄이 감기는 경우에도 압력에 의해 얼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줄 감기용 얼레에 관한 것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각종 사물이나 동물 모양의 연을 만들어 바람에 날리는 연날리기를 즐기고 있다. 연날리기는 단순히 연을 하늘 높이 띄우는 놀이이외에도 통신수단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에게 어떤 신호를 보내기 위한 일종의 통신수단으로도 사용하였다.
사계절의 구분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추운 겨울철에 주로 연날리기를 하게 되며, 연을 보다 높게 띄우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연줄을 이어서 사용하여야 한다. 통상, 많은 양의 연줄은 얼레를 사용하여 감아놓는다. 전통적인 얼레는 주로, 나무를 다듬어서 육각형 내지 팔각형으로 결합시킨 다음에, 중앙에 손잡이를 끼워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었으나, 합성수지제품의 발달로 인해서 최근에는 플라스틱 등을 이용한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7a, 7b는 각각, 종래의 얼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종래의 구조를 보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권취봉(110)을 사용한 얼레(100)와, 분리형 권취봉(110)을 사용한 얼레(100')로 나눌 수 있다. 일체형 얼레(100)의 경우에는 육각형 또는 원형 단면의 권취봉(110)은 2개의 연결판(114, 12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판(114, 124)의 중앙에는 중심봉(2)과 메인 손잡이(4)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연줄을 감거나 푸는 경우에는 메인 손잡이(4)와 보조 손잡이(160)를 잡고 사용하면 된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최봉(110', 120')이 2개로 나뉘어져 있는 분리형 얼레(100')역시, 2개의 연결판(114', 12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판(114', 124')의 중앙에는 중심봉(2)과 메인 손잡이(4)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연줄을 감거나 푸는 경우에는 메인 손잡이(4)와 보조 손잡이(160')를 잡고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플라스틱을 이용한 얼레의 경우에는 일체형이나 분리형 모두 2개의 연결판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연줄에 의해 가해지는 면압력에 의해 권취봉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연줄이 감겨지는 권취축의 중앙부위에 다각형상의 보강부재를 끼움으로써 강성을 증대시켜 연줄에 의해서 얼레에 커다란 면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얼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줄 감기용 얼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줄 감기용 얼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얼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분리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a, 7b는 각각, 종래의 얼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얼레 2:중심축
4:메인 손잡이 6:보조 손잡이
10, 20:제 1, 2권취부 12, 22:제 1, 2권취축
12a, 22a:제 1, 2삽입공 14, 24:제 1, 2연결판
16, 26:제 1, 2중심공 30, 30':보강부재
32, 32':제 1, 2결합단 32a, 32b:삽입홀, 삽입단
34, 34':보강판 36:제 3중심공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줄을 감는 얼레에 있어서, 중앙에 제 1중심공을 지닌 제 1연결판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1권취축으로 이루어진 제 1권취부와, 중앙에 제 2중심공을 지닌 제 2연결판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2권취축으로 이루어진 제 2권취부와, 중앙에 제 3중심공을 지닌 보강판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축을 지니며, 이 결합축에는 상기 제 1권취축의 제 1삽입공에 삽입되는 제 1결합단과, 상기 제 2권취축의 제 2삽입공에 삽입되는 제 2결합단이 구비되어 있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줄 감기용 얼레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줄 감기용 얼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줄 감기용 얼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얼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얼레(1)는 크게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메인 손잡이(4)쪽의 제 1권취부(10)와 보조 손잡이(6)쪽의 제 2권취부(20) 및 이들 제 1권취부(10)와 제 2권취부(20)를 연결하는 보강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및 제 2권취부(10, 20)에는 각각, 제 1 및 제 2연결판(14, 2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부재(30)에는 보강판(3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중앙에 제 1중심공(16)을 지닌 제 1연결판(1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1권취축(12)으로 이루어진 제 1권취부(10)와, 중앙에 제 2중심공(26)을 지닌 제 2연결판(2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2권취축(22)으로 이루어진 제 2권취부(20)와, 중앙에 제 3중심공(36)을 지닌 보강판(3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축(38)을 지닌 보강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보강부재(30)의 결합축(38)에는 제 1권취축(12)의 제 1삽입공(12a)에 삽입되는 제 1결합단(32)과, 제 2권취축(22)의 제 2삽입공(22a)에 삽입되는 제 2결합단(32')이 구비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제 1권취축(12)에 형성된 제 1삽입공(12a)에 보강부재(30)의 제 1결합단(32)을 끼운 다음에, 제 2권취축(22)에 형성된 제 2삽입공(22a)에 보강부재(30)의 제 2결합단(32')을 끼우면 된다. 중앙의 제 1 내지 제 3중심공(16, 26, 36)에는 중심축(2)을 끼운 후에, 중심축(2)의 전방단에 메인 손잡이(4)를 끼워 고정시킨다. 중심축(2)의 타단은 확장부로 형성되어 있어 제 2중심공(26)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연줄을 감거나 푸는 경우에 얼레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 2권취부(20)중 하나의 권취축에는 보조 손잡이(6)를 형성하였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30)를 이용하여 제 1권취부(10)와 제 2권취부(20)를 결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많은 양의 연줄이 감겨져 얼레를 가압하는 경우에, 제 1권취부(10)와 제 2권취부(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 1연결판(14)과 제 2연결판(24)에 의해서 1차적으로 면압력에 대항할 수 있는 한편, 보강부재(30)를 형성하는 결합축(38)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강판(34)에 의해서 중심방향으로 가압되는 면압력을 2차적으로 대항할 수 있으므로, 연줄에 의한 얼레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 내지 제 3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을 구성하는 결합축의 양단에 2개의 결합단을 나란히 형성한 다음, 제 1권취축과 제 2권취축의 삽입공에 각각 끼우는 결합방식을 채용한 반면에, 본 실시예서는 보강부재(30')를 구성하는 결합축(38')의 일단에는 삽입홀(32a)을 만들고 타단에는 삽입단(32b)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 1권취축(12)의 일단에는 돌출단(12a')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축(38')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홀(32a)에 끼울 수 있도록 하였다. 결합축(38')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단(32b)은 제 2권취축(22)의 제 2삽입공(22a)에 삽입시켜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삽입홀(32a)과 삽입단(32b)을 지닌 결합축(38')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축(3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보강판(34')에 의해서 얼레가 중심방향으로 가압된다 해도 이 보강판(34')의 자체 강도에 의해서 얼레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보 실시예에서 채용한 얼레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대체로 동일하다. 다만, 제 1 및 제 2 권취부(10, 20)와 중간의 보강부(30)를 육각형 단면 대신에, 원형 단면으로 구성한 점이 상이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연줄이 감겨지는 권취축의 중앙부위에 다각형상의 보강부재를 끼워놓았기 때문에, 강성이 증대되며, 많은 양의 연줄이 감겨지는 경우에 연줄에 의해서 얼레에 커다란 면압력이 가해진다 해도 보강부재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지님으로써 얼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연줄을 감는 얼레에 있어서,
    중앙에 제 1중심공(16)을 지닌 제 1연결판(1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1권취축(12)으로 이루어진 제 1권취부(10)와,
    중앙에 제 2중심공(26)을 지닌 제 2연결판(2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 2권취축(22)으로 이루어진 제 2권취부(20)와,
    중앙에 제 3중심공(36)을 지닌 보강판(34)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축(38)을 지니며, 이 결합축(38)에는 상기 제 1권취축(12)의 제 1삽입공(12a)에 삽입되는 제 1결합단(32)과, 상기 제 2권취축(22)의 제 2삽입공(22a)에 삽입되는 제 2결합단(32')이 구비되어 있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줄 감기용 얼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권취축(12)의 일단에는 돌출단(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축(38')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단(12a')이 끼워지는 삽입홀(32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 2권취축(22)의 제 2삽입공(22a)에 삽입되는 삽입단(3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줄 감기용 얼레.
KR2019990008272U 1999-05-14 1999-05-14 연줄 감기용 얼레 KR200000208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72U KR20000020854U (ko) 1999-05-14 1999-05-14 연줄 감기용 얼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72U KR20000020854U (ko) 1999-05-14 1999-05-14 연줄 감기용 얼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54U true KR20000020854U (ko) 2000-12-15

Family

ID=5476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272U KR20000020854U (ko) 1999-05-14 1999-05-14 연줄 감기용 얼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8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5544A (zh) * 2013-09-13 2016-05-04 李汶基 紧凑型圆珠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5544A (zh) * 2013-09-13 2016-05-04 李汶基 紧凑型圆珠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6099A (en) Golf club
US20020022538A1 (en) Flexible golf tee
KR20000020854U (ko) 연줄 감기용 얼레
KR101362350B1 (ko) 루어낚시대
US20070026977A1 (en) Racket
CA2299146C (en) Plant tag
US5362065A (en) Flying saucer projecting and catching device
US4168042A (en) Kite string reel structure
US3330512A (en) Flying saucer kite
US6478686B1 (en) Bowling pin having reinforcing structure
CN112439175A (zh) 人造羽毛球
JP2005110580A (ja) スクラッチタワー用のロール
US6357697B1 (en) Kite structure
JPS6240632Y2 (ko)
JPS5813906Y2 (ja) 連凧
US20110123762A1 (en) Bamboo stalk assembly
KR200163265Y1 (ko) 스토퍼장치구조의얼레
US5344139A (en) Racket shaft mounting device
JPH032144Y2 (ko)
KR102567550B1 (ko) 종이 블록 놀이 기구
JP3087190U (ja) 三味線
JPH074859Y2 (ja) 操縦凧の糸巻
KR200422363Y1 (ko) 대나무 마디를 이용한 활대
JPS5813907Y2 (ja)
KR200163264Y1 (ko) 조립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