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735B1 -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735B1
KR102036735B1 KR1020180022706A KR20180022706A KR102036735B1 KR 102036735 B1 KR102036735 B1 KR 102036735B1 KR 1020180022706 A KR1020180022706 A KR 1020180022706A KR 20180022706 A KR20180022706 A KR 20180022706A KR 102036735 B1 KR102036735 B1 KR 102036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key
key
pop
emergency
rele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388A (ko
Inventor
장경심
구세민
조동익
강두원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7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07C2009/00952Electronic keys comprising a mechanical key within their housing, e.g. extractable or retractable emergency ke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비상키 헤드부와 일면에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형성된 비상키 블레이드로 구성된 비상키; 내부에 상기 비상키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비상키를 상하로 팝업(pop-up)시키는 팝업부; 및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비상키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키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A Smart key with emergency key pop-up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키에 수납된 비상키를 탄성체를 이용하여 팝업(Pop-up)시킴으로써, 비상키 탈부착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스마트키는 무선 송수신기의 일종으로 차량과 양방향 통신을 통해 차량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별도의 열쇠 없이도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장치로, 종래에는 고급 차종에만 적용되곤 하였으나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최근에는 대부분의 차량에 스마트키가 적용되고 있다.
다만, 내부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거나, 스마트키가 고장 나는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차량 잠금을 해제하거나, 시동을 걸 수 없어, 도 1과 같이 차량용 스마트키 내부에는 기계식으로 차량 개폐 및 엔진에 시동을 걸 수 있는 비상키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에는 비상키 릴리즈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스마트키 내부 공간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비상키를 잡아 당겨 꺼내거나, 폴딩(folding) 방식으로 스마트키 내부에 결합된 비상키의 릴리즈 버튼을 누름으로써 회전하면서 비상키가 스마트키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비상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비상키가 스마트키 내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힘이 약한 노인이나 여성은 비상키를 꺼내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고, 비상키가 폴딩 방식으로 수납된 경우에는 폴딩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잠금 해제, 시동 버튼의 배치 또는 방수 방지를 위한 구조 적용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어, 종래의 스마트키는 성능뿐 아니라 외관까지 중요시 여기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의 외관 디자인 및 성능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비상키를 손쉽게 꺼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키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 10-2013-0063964) “카드형 무선 송수신기의 비상키 수납 장치”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상키 릴리즈 버튼을 누르는 경우, 탄성체를 통해 스마트키 내부에 수납된 비상키를 팝업시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비상키를 꺼낼 수 있는 스마트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스마트키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차량용 스마트키에 있어서, 비상키 헤드부와 일면에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형성된 비상키 블레이드로 구성된 비상키; 내부에 상기 비상키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비상키를 상하로 팝업(pop-up)시키는 팝업부; 및 상기 바디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비상키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팝업부는 상기 비상키가 수납부 내로 수납됨에 따라 압축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비상키를 상하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팝업부는 상기 비상키 블레이드의 끝단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비상키 헤드부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일단이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비상키를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릴리즈 버튼; 및 상기 릴리즈 버튼의 일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기 릴리즈 버튼 조작에 따라 압축되는 릴리즈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릴리즈 버튼이 제1 걸림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비상키가 팝업부에 의해 상기 릴리즈 버튼이 제2 걸림부에 걸릴 때까지 팝업되어, 상기 비상키 헤드부가 바디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리즈 버튼이 제2 걸림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비상키가 팝업부에 의해 상기 수납부 외부로 탈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상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수납하는 가이드 부재 보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비상키가 억지 끼움 구조로 수납되어 비상키 탈착이 어려웠던 종래의 스마트키와 달리, 탄성체를 통해 스마트키를 팝업(Pop-up)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비상키 탈착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억지 끼움 구조를 대신하여 팝업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억지 끼움 구조로 인해 발생하였던 부품 편차에 따른 제품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이중 걸림 구조를 구비하여 비상키를 단계 적으로 팝업시킬 수 있어, 비상키 탈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비상키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비상키 헤드부가 외부로 노출된 종래의 차량용 스마트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팝업부가 비상키 헤드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사용자의 릴리즈 버튼 조작에 따라 비상키가 팝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비상키 팝업 및 탈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부재 보관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키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마트키 내부에 비상키가 수납되는 방식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 본다.
종래에는 비상키가 차량용 스마트키 내부에 폴딩(folding) 방식으로 수납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도 1과 같이 비상키가 스마트키 내부 공간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비상키가 스마트키 내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 편차에 의해 비상키가 헐겁게 제조되는 경우에는 비상키와 스마트키 내부 공간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였고, 반대로 비상키가 스마트키에 지나치게 꽉 끼워지도록 제조되는 경우에는 장착 또는 탈착 시에 많은 힘이 요구되어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인들은 비상키를 탈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상키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스마트키 내부에 수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상키를 잡아 당길 수 있어야 하므로 비상키 헤드부가 스마트키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었고, 노출된 비상키 헤드부로 인해 스마트키 외관 디자인에 제약이 있어, 종래의 스마트키는 기능성뿐 아니라 심미성 측면에서도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팝업 방식으로 비상키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스마트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스마트키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팝업부가 비상키 헤드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사용자의 릴리즈 버튼 조작에 따라 비상키가 팝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비상키 팝업 및 탈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부재 보관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키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비상키 헤드부(210)와 일면에 제1 걸림부(221)와 제2 걸림부(222)가 형성된 비상키 블레이드(220)로 구성된 비상키(200); 내부에 상기 비상키(20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0)를 포함하는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비상키(200)를 상하 방향으로 팝업(pop-up)시키는 팝업부(300); 및 상기 제1 걸림부(221) 또는 제2 걸림부(222)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비상키(20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여 비상키(200)의 탈착과 수납을 제어하는 락킹부(400); 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바디부(100) 내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비상키(200)를 꺼낼 수 있도록 비상키 헤드부(210)가 바디부(100) 외부에 노출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탄성을 이용하여 비상키(200)를 팝업시킬 수 있는 팝업부(300)를 구비함으로써, 비상키(200)의 일부가 바디부(100) 외부에 노출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비상키(200)를 손쉽게 탈착 또는 수납하게끔 할 수 있어, 종래의 스마트키에 비해 편의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키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바디부(100)는 도면 상에는 도시된 바 없으나 내부에 차량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기판이 배치되고, 수납부(110)가 형성되어 비상키(100)를 내부에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키(100)는 바디부(100) 내부에 비상키(20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다 보니 수납부(110)의 폭이 비상키 블레이드(220)의 폭보다 좁게 설계되었으나, 실제 제품 제작 시에는 부품의 편차로 인해 비상키(200)가 수납부(110)에 헐겁게 결합되어 유격이 발생하거나, 수납부(110)의 폭이 설계한 것보다 좁게 제조되어 비상키(200) 탈착 또는 수납 시 지나치게 많은 힘이 들어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팝업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수납부(110)의 폭이 비상키 블레이드(220)의 폭보다 좁을 필요가 없어, 부품 편차로 인한 유격 또는 비상키(200) 탈착 또는 수납 시에 발생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비상키(200)를 완전히 은폐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의 스마트키에 비해 스마트키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키 외관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키(200)는 비상키 헤드부(210)와 비상키 블레이드(220)로 구성되어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이 불가능한 긴급 상황 발생 시, 차량 도어를 개폐하거나, 차량의 시동을 거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비상키 블레이드(220)의 일면에 락킹부(400)와 접촉하여, 팝업부(300)에 의한 비상키(20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홈인 제1 걸림부(221), 제2 걸림부(222)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다만, 제1 걸림부(221), 제2 걸림부(222), 락킹부(400)에 의해 비상키(200)의 상하 이동이 조절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 때, 상기 제1 걸림부(221)와 제2 걸림부(222)의 형상은 측면에서 봤을 때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400)의 돌출 부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일 수도 있고,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홈일 수도 있으며, 제1 걸림부(221)는 락킹부(400)의 돌출 부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제2 걸림부(222)는 “ㄷ”자 형상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를 중심으로 종래의 스마트키와 차별화되는 구성인 본 발명의 팝업부(300)에 대하여 살펴 본다.
본 발명의 팝업부(300)는 비상키(200)가 수납부(110) 내부로 수납되는 경우에는 압축되고, 반대로 탈착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탄성체(310); 및 상기 비상키(200)와 접촉하여 상기 탄성체(310)를 압축시키거나, 반대로 탄성체(310)의 탄성력으로 비상키(20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판 형상의 엑추에이터(3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체(310)는 사용자가 비상키(200)를 수납부(110) 내부로 수납하면 압축되고, 반대로 비상키(200)를 바디부(100)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해 락킹부(400)를 조작하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탄성력으로 비상키(200)를 밀어내어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도 비상키(200)를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엑추에이터(320)는 일면이 상기 탄성체(310)와 결합하여 탄성체(310)의 탄성력을 비상키(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탄성체(310)는 압축되어 비상키(200)를 밀어내는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일 수도 있고, 또는 러버(Rubber)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팝업부(300) 즉, 탄성체(310)와 엑추에이터(320)는 ⅰ) 도 3 (a) 또는 도 3 (b)와 같이 바디부(100) 내부 중에서도 비상키 블레이드(22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엑추에이터(320)가 비상키 블레이드(220)의 끝단을 밀어 바디부(100)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비상키(200)를 외부로 팝업시킬 수도 있으나,
ⅱ) 도 4와 같이 팝업부(300)가 비상키 헤드부(210)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엑추에이터(320)가 비상키 헤드부(210)를 밀어냄으로써 비상키(200)를 바디부(100)의 외부로 팝업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상키(200)를 보다 효율적으로 팝업시키기 위해 상기 팝업부(300)를 비상키 블레이드(220) 끝단과 비상키 헤드부(210)와 맞닿는 위치에 각각 배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6을 중심으로 락킹부(400)의 구성 및 락킹부(400)와 비상키 블레이드(220) 일면에 형성된 제1 걸림부(221)와 제2 걸림부(222)에 의한 비상키(200) 락킹 과정에 대하여 살펴 본다.
상기 락킹부(400)는 일단이 상기 제1 걸림부(221) 또는 제2 걸림부(22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비상키(200)를 락킹하여 비상키(200)의 상하 이동 즉, 팝업을 조절하는 릴리즈 버튼(410); 및 상기 릴리즈 버튼(410)의 일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기 릴리즈 버튼(410) 조작에 따라 압축되는 릴리즈 스프링(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락킹부(400)는 릴리즈 버튼(410)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릴리즈 스프링(420)으로 구성되어 비상키(200)가 탈착 과정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키(200)가 바디부(100) 내부에 완전히 수납(은폐)되면 비상키 블레이드(220) 또는 비상키 헤드부(210)는 팝업부(300)의 탄성체(310)를 압축하게 되어 비상키(200)를 락킹하지 않으면 탄성체(310)의 탄성력에 의해 비상키(200)가 팝업될 수 밖에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도 5 (a)와 같이 상기 릴리즈 버튼(410)의 돌출 형성된 일면이 제1 걸림부(221)와 맞닿아 상기 릴리즈 버튼(410)과 제1 걸림부(221)가 후크 결합되면서, 상기 비상키(200)가 탄성체(310)의 탄성력에 의해 팝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비상키(200)를 탈착시키기 위해서는 릴리즈 버튼(410)을 조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시켜야 하는데, 릴리즈 버튼(410)을 조작하여 릴리즈 버튼(410)과 제1 걸림부(221) 사이의 후크 결합을 해제하면 비상키(20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310)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엑추에이터(320)를 통해 비상키(200)를 밀어내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제1 걸림부(221) 상단에 제2 걸림부(222)가 형성되어 있어 한 번의 릴리즈 버튼(410) 조작만으로는 비상키(200)가 스마트키 외부로 완전히 탈착되지는 않으며, 스마트키 외부로 제1 걸림부(221)와 제2 걸림부(222) 사이의 거리(탄성체(310)의 팽창된 길이)만큼만 돌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부(221)와 후크 결합되어 있던 릴리즈 버튼(410)이 결합 해제를 위해 슬라이딩되면 릴리즈 버튼(410) 측면에 위치한 릴리즈 스프링(420)이 압축되고, 비상키(200)의 상하 방향으로 팝업됨에 따라 도 5 (b)와 같이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의 돌출 형성된 일면이 맞닿게 되면 릴리즈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이 후크 결합되면서 비상키(2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팝업)이 억제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비상키(200) 탈착을 위해 릴리즈 버튼(410)을 한 번 조작(슬라이딩)하면 제1 걸림부(221)와 릴리즈 버튼(410) 사이의 후크 결합은 해제되지만 비상키(200)가 팝업되면서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이 후크 결합되게 되고, 수납부(110) 내부에 은폐되어 있던 비상키(200)(정확히는 비상키 헤드부(210))는 제1 걸림부(221)와 제2 걸림부(222) 사이의 거리 즉, 탄성체(310)의 복원된 거리만큼만 바디부(100) 외부로 팝업된다.
이에 따라, 비상키(200)를 바디부(100) 외부로 완전히 탈착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410)을 한 번 더 조작(슬라이딩)하여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 사이의 후크 결합을 해제해야 하고,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탄성체(310)가 완전히 복원되며 도 5 (c)와 같이 비상키(200)를 밀어내고 사용자는 종래와 달리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비상키(200)를 바디부(100)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221)의 깊이(W1, 릴리즈 버튼(410)과 맞닿는 길이를 의미함.)와 제2 걸림부(222)의 깊이(W2)를 다르게 형성하여 릴리즈 버튼(410)의 스트로크(슬라이딩 거리)를 달리함으로써, 비상키(200)의 팝업 또는 탈착을 조절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부(221)와 릴리즈 버튼(41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스트로크 길이를 '제1 스트로크'라고 하고,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스트로크 길이를 '제2 스트로크'라고 할 때, 제2 걸림부(222)의 깊이를 제1 걸림부(221)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함(다시 말해, '제2 스트로크' > '제1 스트로크'인 경우)으로써, 사용자가 ⅰ) 릴리즈 버튼(410)을 제1 스트로크 이상 제2 스트로크 이하의 길이만큼만 슬라이딩시키면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의 결합은 해제되지 않아 비상키(200)가 일정 길이만큼만 팝업되고, ⅱ) 릴리즈 버튼(410)을 제2 스트로크 이상 길이만큼 슬라이딩시키면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의 결합까지 해제되어 비상키(200)가 완전히 탈착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트로크 길이가 1cm이고, 제2 스트로크 길이가 1.5cm이어서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410)을 1.3cm만 슬라이딩시키면 제1 걸림부(221)와 릴리즈 버튼(410) 사이의 결합만 해제되고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 사이의 결합은 해제되지 않아 비상키(200)가 바디부(100)로부터 완전히 탈착되지는 않으나,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410)을 1.5cm 슬라이딩시키면 제2 걸림부(222)와 릴리즈 버튼(410) 사이의 결합까지 해제되어 비상키(200)를 완전히 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410)을 두 번 조작하지 않더라도, 스트로크 길이를 달리하여 비상키(200)가 한 번에 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비상키 블레이드(220) 일면에 형성된 제1 걸림부(221), 제2 걸림부(222) 및 일면이 제1 걸림부(221) 또는 제2 걸림부(22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릴리즈 버튼(410)을 통해, ⅰ)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410)을 한 번만 조작하는 경우에는 비상키(200)가 탈착 과정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키(200)를 일정 길이만큼만 팝업시키고, ⅱ)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410)을 두 번 조작하는 경우에는 비상키(200)를 팝업시켜 바디부(100) 외부로 탈착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스마트키를 통해 릴리즈 버튼(410) 조작만으로 비상키(200)를 탈착할 수 있어, 종래의 스마트키에 비해 비상키(200)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비상키(200)는 가이드 부재(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00)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30)를 수납하는 가이드 부재 보관부(120)가 추가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비상키(200)의 탈착 또는 수납 시 비상키(200)가 팝업되는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키는 상기 가이드 부재(230) 및 가이드 부재 보관부(120)를 통해 비상키(200)가 수납된 상태에서 비상키(200)가 바디부(100)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마트키의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7 상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30) 비상키 헤드부(2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이드 부재(230)가 상기 비상키 블레이드(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종래의 스마트키와 달리 비상키를 손쉽게 탈착 또는 수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중 락킹(후크 결합) 방식을 통해 비상키가 탈착 과정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부
110 : 수납부
120 : 가이드 부재 보관부
200 : 비상키
210 : 비상키 헤드부
220 : 비상키 블레이드
230 : 가이드 부재
221 : 제1 걸림부
222 : 제2 걸림부
300 : 팝업부
310 : 탄성체
320 : 엑추에이터
400 : 락킹부
410 : 릴리즈 버튼
420 : 릴리즈 스프링

Claims (9)

  1. 차량용 스마트키에 있어서,
    비상키 헤드부와, 일면에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형성된 비상키 블레이드로 구성된 비상키;
    내부에 상기 비상키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비상키를 상하로 팝업(pop-up)시키는 팝업부; 및
    상기 바디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비상키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일단이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비상키를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릴리즈 버튼; 및 상기 릴리즈 버튼의 일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기 릴리즈 버튼 조작에 따라 압축되는 릴리즈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릴리즈 버튼이 제1 걸림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비상키가 상기 팝업부에 의해 상기 릴리즈 버튼이 제2 걸림부에 걸릴 때까지 팝업되어 상기 바디부 안에 은폐되어 있던 상기 비상키 헤드부가 상기 바디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비상키가 수납부 내로 수납됨에 따라 압축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비상키를 상하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비상키 블레이드의 끝단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비상키 헤드부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버튼이 제2 걸림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비상키가 팝업부에 의해 상기 수납부 외부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키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수납하는 가이드 부재 보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KR1020180022706A 2018-02-26 2018-02-26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KR102036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06A KR102036735B1 (ko) 2018-02-26 2018-02-26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06A KR102036735B1 (ko) 2018-02-26 2018-02-26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388A KR20190102388A (ko) 2019-09-04
KR102036735B1 true KR102036735B1 (ko) 2019-10-25

Family

ID=6795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706A KR102036735B1 (ko) 2018-02-26 2018-02-26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108644D0 (en) * 2021-06-17 2021-08-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mart ke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755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자동차의 보조 키
KR20130063964A (ko) 2011-12-07 2013-06-1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카드형 무선 송수신기의 비상키 수납 장치
US10081215B2 (en) * 2013-09-13 2018-09-25 Moon Key Lee Compact ballpoint pen
KR20180000311U (ko) * 2016-07-21 2018-01-31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포브 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388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463B2 (ja) 携帯機
US8400263B2 (en) Sliding key fob
JP200435340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US9460571B2 (en) Backup key for multiple backup key integration into a mobile device case
CN106505167B (zh) 电子设备及用于该电子设备的壳体锁持机构
CN210129541U (zh) 电池固定装置
KR102036735B1 (ko)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CN106785535A (zh) 一种sim卡连接器
JP6169999B2 (ja) 携帯用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211422158U (zh) 一种锁芯及扣锁
CN218668919U (zh) 一种锁具
JP2788897B2 (ja) 携帯電話機の電池パックロック構造
KR102042029B1 (ko) 차량의 포브 키
CN210976957U (zh) 一种锁芯及扣锁
CN112554654B (zh) 车辆用钥匙组件
CN102845049B (zh) 锁定机构
US20200131814A1 (en) Door handle assembly
CN212074990U (zh) 收纳装置
CN112056706A (zh) 一种锁扣机构及具有其的安全带锁扣装置和移动体
EP3586447B1 (en) Tra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2018123554A (ja) ロック装置
CN108667475B (zh) 插卡装置及电子设备
CN220545271U (zh) 方便存取机械钥匙的智能钥匙
JP200729162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CN111453185A (zh) 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