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755U - 자동차의 보조 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보조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755U
KR19980018755U KR2019960032167U KR19960032167U KR19980018755U KR 19980018755 U KR19980018755 U KR 19980018755U KR 2019960032167 U KR2019960032167 U KR 2019960032167U KR 19960032167 U KR19960032167 U KR 19960032167U KR 19980018755 U KR19980018755 U KR 199800187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uxiliary key
pager
auxiliary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755U/ko
Publication of KR19980018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755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6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sliding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 키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주 키를 분실하는 등의 비상시를 대비하여 소지해야 하는 보조 키가 단순 기능만 가지고 있어, 보조 키를 소지하고 다지지 않아 정작 필요할 경우에 보조 키가 없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무선 호출기(100)의 일측면에 보조 키의 몸체(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10)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111)을 설치하며, 삽입홈(110) 주연 내부에는 탄발력이 있는 걸림편(120)과 힌지(131)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고정구(130)를 설치하되, 고정구(130)의 일단은 상부로 절곡되어 있고, 타단의 상측에는 소형 스프링(133)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구(130)의 타단을 밀어줄 수 있도록 버튼(140)을 형성하므로써, 평소에는 무선 호출기(100)의 고유 기능으로 사용하다가 주 키의 분실 등의 비상시에는 무선 호출기(100)에서 보조 키의 몸체(200)를 빼내어 사용함에 따라 보조 키의 보관이 용이하고 보조 키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보조 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키는 시동을 위한 용도와 도어 및 트렁크를 열기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즉, 시동을 걸기위하여 상기 키가 삽입되는 엔진 스위치에는 LOCK, ACC, ON, START 의 기능 표시가 새겨져 있어서, 키를 상기 엔진 스위치에 삽입한 후, 각 표시부위로 키를 돌리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데, 키를 상기 LOCK의 위치에 선택하면, 키를 엔진 스위치에서 뽑을 수 있고, 뽑은 후에는 스티어링 휠이 고정되어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ACC를 선택하면 엔진을 시동시키지 않고도 전기 장치, 즉, 라디오, 시가 라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ON을 선택하면, 시동 전에 각종 경고등을 점검할 수 있으며, 모든 전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SRART를 선택하면, 엔진을 구동시키는 스타트 모터를 구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엔진 스위치의 LOCK에 키를 삽입하고 START 의 표시부로 돌리게 되면, 스타트 모터가 구동되어 엔진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고, 키에서 손을 떼면 키가 자동적으로 ON 으로 복귀됨에 따라 점화장치가 가동되어 엔진이 점화되므로서, 엔진이 지속적으로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키는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을 위한 기능과 함께 도어나 트렁크를 열 때 사용한다. 즉,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를 열거나 닫기 위하여 도어 핸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 핸들 중 운전석 도어 핸들과 조수석 도어 핸들에는 도어 잠금 장치인 키 실린더가 장착되어 상기 키 실린더의 키홀에 키를 꽂고 돌림으로써,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를 괘정 및 해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트렁크의 잠금 장치 또한 상기 키로 해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키는 자동차를 움직이거나 괘정된 도어 및 트렁크를 해정시키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운전자가 상기 키를 분실하거나 키를 차 속에 넣고 도어를 닫아 버리게 되면 자동차를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 키이외도 보조 키를 준비해서 항상 몸에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보조 키가 단순히 비상시에만 사용되며,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지니고 다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대부분의 운전자는 보조 키를 집안에 두거나 몸에 지니고 있지 않아, 정작 비상시에는 보조 키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 당황해 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 키의 분실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항상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보조 키를 무선 호출기에 내설하여, 평소에는 무선 호출기 고유의 기능으로 사용하다가 주 키의 분실 등으로 인한 비상시에 무선 호출기에서 보조 키의 몸체를 빼내어 주 키의 대용으로 사용하므로써, 보조 키를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보조 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 호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의 일측면에 보조 키의 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며, 삽입홈 주연 내부의 상단에는 탄발력이 있는 걸림편을 설치하고, 하단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고정구를 설치하되, 고정구의 일단은 상부로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상측에는 소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구의 타단을 밀어줄 수 있도록 버튼을 설치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를 소비자에게 판매할 때, 주 키와 함께 보조 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조 키를 무선 호출기에 내설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소비자가 평소에는 무선 호출기로 사용하다가 비상시에는 보조 키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 키의 보관이 용이하고, 소비자가 별도의 무선 호출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 호출기 110 : 삽입홈
111 : 스프링 120 : 걸림편
130 : 고정구 131 : 힌지
132 : 절곡부 133 : 소형 스프링
140 : 버튼 200 : 몸체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키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선 호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100)의 일측면에 보조 키의 몸체(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10)을 형성하고, 삽입홈(110)의 끝단에는 스프링(1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홈(110) 주연 내부의 상단에는 탄발력이 있는 걸림편(120)을 설치하고, 하단에는 힌지(131)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고정구(130)를 설치하되, 고정구(130)의 일단은 상부로 절곡시켜 절곡부(132)를 형성하고, 타단의 상측에는 소형 스프링(133)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구(130)의 타단을 밀어줄 수 있도록 버튼(14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0)은 보조 키의 몸체(200)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를 판매시, 주 키와 함께 제공되는 보조 키의 몸체(200)를 무선 호출기(100)에 내설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하게 되면, 소비자는 평소 상기 보조 키의 몸체(200)가 내설된 무선 호출기(100)를 무선 호출기(100) 고유의 기능으로 사용하다가 주 키를 분실하는 등의 비상시에 상기 무선 호출기(100) 내부에서 보조 키의 몸체(200)를 빼내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즉,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110) 주연 내부의 상, 하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120)과 고정구(130)의 절곡부(132)로 인하여 보조 키의 몸체(200)가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무선 호출기(10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된 버튼(140)을 눌러주게 되면, 고정구(130)가 힌지(131)에 의해 회동되면서 고정구(130)의 일측 절곡부(132)에 걸려있던 보조 키의 몸체(200)가 그 후면에 설치된 스프링(111)에 의해 탄발되면서 무선 호출기(100)의 삽입홈(110) 밖으로 나오게 되며, 상기 버튼(140)을 눌러주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고정구(130)의 절곡부(132)와 삽입홈(110) 주연 상단의 걸림편(120)에 의해 보조키의 몸체(200)에 형성되어 있던 스토퍼(210)가 걸리면서 보조 키의 몸체(200)는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시킨 후, 보조 키의 용도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 키의 분실 등의 비상을 대비하여 소지해야 하는 보조 키가 단순 기능만 가지고 있어, 평소에 보조 키를 소지하고 다지지 않아 정작 필요할 경우에 보조 키가 없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보조 키의 몸체를 무선 호출기의 내부에 내설하여 평소에는 무선 호출기의 고유 기능으로 사용하다가 주 키의 분실 등의 비상시에는 무선 호출기에서 보조 키의 몸체를 빼내어 사용하므로써, 보조 키의 보관이 용이하고 보조 키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를 구입시, 주 키와 함께 비상시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하고 있는 보조 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무선 호출기의 내부에 보조 키의 몸체를 내설시킨 후, 평상시에는 무선 호출기의 고유 기능으로 사용하다가 주 키의 분실 등의 비상시에 상기 무선 호출기의 내부에 내설되어 있던 보조 키를 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조 키를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보조 키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무선 호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100)의 일측면에 보조 키의 몸체(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10)을 형성하고, 삽입홈(110)의 끝단에는 스프링(1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홈(110) 주연 내부의 상단에는 탄발력이 있는 걸림편(120)을 설치하고, 하단에는 힌지(131)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고정구(130)를 설치하되, 고정구(130)의 일단은 상부로 절곡시켜 절곡부(132)를 형성하고, 타단의 상측에는 소형 스프링(133)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구(130)의 타단을 밀어줄 수 있도록 버튼(14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 키.
KR2019960032167U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보조 키 KR199800187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167U KR19980018755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보조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167U KR19980018755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보조 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755U true KR19980018755U (ko) 1998-07-06

Family

ID=5397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167U KR19980018755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보조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7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428A (ko) * 1999-03-26 2000-10-16 현갑희 삽입 취출 기능을 갖는 열쇠 수납 케이스
KR20190102388A (ko) * 2018-02-26 2019-09-04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428A (ko) * 1999-03-26 2000-10-16 현갑희 삽입 취출 기능을 갖는 열쇠 수납 케이스
KR20190102388A (ko) * 2018-02-26 2019-09-04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비상키 팝업 구조가 적용된 스마트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8716A3 (en) Electronic key system for a vehicle
JP2001219794A (ja) 盗難防止用トランク番号板の二重止め構造
KR19980018755U (ko) 자동차의 보조 키
US6124822A (en) Panel-mounted garage door remote control
KR200199355Y1 (ko) 모터 싸이클 도난방지용 시건장치
CH667430A5 (it) Dispositivo di installazione di autoradio, lettori di cassette o altri apparecchi similari su veicoli mobili o barche.
KR19980018754U (ko) 자동차의 다기능 보조키
KR0183310B1 (ko) 자동차용 키 홀더
KR0139679Y1 (ko) 자동차용 키 홀더
JPS6244045Y2 (ko)
KR19980030604A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록장치
KR0140772Y1 (ko) 자동차용 푸쉬 턴 키 어셈블리
KR200344200Y1 (ko) 자동차 시동스위치
JPS63145153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のロツク機構
KR0127548B1 (ko) 도난방지용 회전식 카오디오
KR200180186Y1 (ko) 키홀더용 램프 조립구조
JPS585642Y2 (ja) 自動車用グロ−ブボツクス
GB2347660A (en) Vehicle security device
KR0153330B1 (ko) 헤드분리형 자동차 키
KR0112385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및 이그니션 잠금장치의 도난방지 구조
KR200205049Y1 (ko) 자동차용 본넷트의 릴리이스 와이어구조
KR0128940Y1 (ko) 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잠금 장치
KR0135552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닫힘 장치
JPH0137320Y2 (ko)
JPH0627386U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解除防止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