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692B1 -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및 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및 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692B1
KR101817692B1 KR1020127026312A KR20127026312A KR101817692B1 KR 101817692 B1 KR101817692 B1 KR 101817692B1 KR 1020127026312 A KR1020127026312 A KR 1020127026312A KR 20127026312 A KR20127026312 A KR 20127026312A KR 101817692 B1 KR101817692 B1 KR 101817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ration
fluids
particles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235A (ko
Inventor
슈테판 슈트라쎄르
로만 그뢰스방
요하네스 크나이슬
그레고리 에이실
클라우스 브란트
Original Assignee
렌징 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징 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렌징 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3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2Precoating the filter medium; Addition of filter aids to the liquid being filt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하우징, 그 안에 동축으로 설치된 원통형이고 천공된 지지 본체, 필터 재료, 지지 패브릭, 및 그 안에 존재하는 이동식 역세척 장치로 이루어지는, 역세척 필터 장치에 의한, 유체들, 특히 수성 매질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스는 미세 그리고 초미세 입자들의, 그리고 지성 또는 압축성 점조도를 갖는 입자들의 개선된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 더 높은 고체 농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이하의 단계를 갖는다. a) 지지 본체의 상기 천공 내에 필터 케이크를 형성하는 단계; b) 필터 케이크 상에 또는 필터 케이크 내에 지성의 또는 압축성 점조도를 갖는 입자들 또는 비교적 미세한 입자들을 적층하는 단계; c) 미리 규정된 필터 로딩 또는 최대 허용 가능한 압력 차이의 달성 이후, 또는 여과액 용적 흐름이 최소 한도 아래로 될 때, 역세척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프로세스의 수행을 위한 필터 장치이고, 필터 재료는 200 ㎩ 의 압력 차이에서 700 내지 1,300 l/㎡s 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필터 패브릭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및 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PROCESS FOR FILTRATION OF FLUIDS AND FILTER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PROCESS}
본 발명은 유체들, 특히 수성 매질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그리고 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 공정을 위해 4 개의 개념적인 모델들이 존재한다. 이들을 케이크(cake), 폐색(blockage), 심층(depth), 및 직교류(cross-flow) 여과로 구분한다. 역세척 필터 장치들이 또한 체 여과(sieve filtration)로 지칭되는 폐색 여과를 대부분 사용한다. 고체 입자들이 표면 상에 적층되고 증가하는 두께의 필터 케이크를 형성하는 케이크 여과와 달리, 폐색 여과는 고체 입자들이 필터 매질의 구멍들을 막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현재의 최신 기술을 따르지만, 높은 고체 함량들 및 케이크들의 형성을 위해 덜 적합한 몇몇의 역세척 필터 디자인들이 존재한다. U.S. 20060043014 에 설명된 것과 같은, 흡입 노즐 역세척 필터 시스템은 흡입 노즐로부터 필터 패브릭까지 큰 거리를 제공하며, 이는 우회 흐름들을 유도한다. 이러한 소위 우회 흐름들은 비여과액 챔버로부터 역세척 추출 장치 안으로 직접적으로 흐르고 필터 패브릭의 세정과 연관되지 않은 역세척 액체의 손실을 야기한다. 하지만, 이러한 디자인 관련 특징은 매질에 존재할 수 있는 큰 입자들이 흡입 노즐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 결과, 흡입 노즐과 필터 패브릭 사이의 거리는 가장 큰 입자의 직경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해야만 한다. 이러한 입자들이 배출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입자들은 비여과액 챔버 내에 축적되고 결과적으로는 필터의 폐색을 야기할 것이다. 이러한 입자들이 이러한 시스템에서 케이크의 형성이 허용된다면, 역세척 액체에 대한 더 큰 요구 때문에, 존재하는 이용 가능한 여과액보다 더 많은 세척 액체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필터의 폐색을 야기하고, 적절한 필터 기능은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다른 역세척 필터 장치는 U.S. 4,415,448 에 설명된 카트리지 타입 플러시 백(flush-back) 필터이다. 이러한 필터 시스템에서, 역세척에 앞선 필터 요소 내의 입자의 가장 덜 선호되는 위치는 추출 장치를 향하는 필터 요소의 측이다. 역세척 동안, 입자는 필터 카트리지를 빠져나가고 역세척 액체를 위한 추출 장치에 들어갈 수 있게 되기 전에 필터 카트리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이동한다. 단지 그 후에 추출 장치는 다음 요소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시간 동안, 역세척 액체는 전체 필터 카트리지를 통하여, 따라서 또한, 역세척의 시작시에, 필터 카트리지의 유입 단부에 위치되는 가장 선호되는 입자의 영역에서 배수된다.
그 결과, 필터 카트리지들의 완전한 세정 프로세스에서, 많은 양들의 역세척 액체가 모든 입자들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요구된다. 실제로, 종종 단지 카트리지들의 일부만 세정된다. 카트리지들의 주요 부분은 오염된 채로 남아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 시스템들에서, 케이크 형성 여과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이러한 더 많은 양들의 고체들의 존재시에, 발생되는 여과액에 대한 역세척 액체의 비는 바람직하지 않게 되어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이용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여과액이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필터의 적절한 기능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Lenzing AG 의 EP 0058656 A1 에 따른 필터 장치에서, 리젝트 챔버(reject chamber; 4)를 향하는 비여과액 챔버(6)의 시일링이 가압된(pressed-on) 슬라이딩 부재(3)에 의해 달성된다(도 1). 이러한 방식으로, 우회 흐름들은 방지될 수 있다. 역세척 동안, 세척 액체의 전체 흐름은 여과 방향에 대해 반대로 필터 재료(1)를 통과하고 따라서 필터 재료를 세정하는데 기여한다.
입자가 시스템 밖으로 전달될 때까지 이동해야 하는 가장 긴 거리는, 천공된 지지 본체(2)의 벽 두께에 대응하는, 단지 대략 5 ㎜ 이다. 그 뒤에, 입자는 이미 리젝트 챔버(4)에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는 비교 가능한 시스템들에서보다 더 적은 역세척 매질을 필요로 한다. Lenzing AG 의 EP 0058656 A1 에 따라 구현되는 이러한 필터 시스템은 점성 매질들의 심층 여과를 위해 적절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강 섬유들의 부직포들에 적합하게 되고 방사 용액(spinning solution)의 여과의 분야에 사용된다. 설명된 실시예는 여과하기 어려운 입자들이 존재하는 낮은 점성의 수성 매질들의 여과에 적합하지 않다.
본질적으로는 원통형 하우징, 그 안에 동축으로 설치된 원통형이고 천공된 지지 본체, 필터 재료, 지지 패브릭, 뿐만 아니라 그 안에 놓이는 가동 역세척 장치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역세척 필터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여과 프로세스를 기본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들, 특히 수성 매질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프로세스는 미세 그리고 초미세 입자들 뿐만 아니라 지성의 입자들 또는 압축성 점조도 및 더 높은 고체 농도들의 입자들의 개선된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이하의 단계들 :
a) 지지 본체의 천공 내에 필터 케이크를 형성하는 단계;
b) 지성의 또는 압축성 점조도의 입자들 및 더 미세한 입자들을, 각각, 필터 케이크에서 또는 필터 케이크 내에서 분리하는 단계;
c) 미리 규정된 필터 로드 또는 최대 허용 가능한 압력 차이의 달성 이후, 또는 여과액 용적 흐름이 최소 한도 아래로 떨어질 때 역세척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원통형 하우징, 그 안에 동축으로 설치된 원통형이고 천공된 지지 본체, 필터 재료, 지지 패브릭, 뿐만 아니라 그 안에 놓이는 가동 역세척 장치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는, 필터 재료가 200 ㎩ 의 압력 차이에서 700 내지 1300 l/㎡s 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필터 패브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필터 재료들은 매우 적은 저항을 갖는 매우 높은 여과액 흐름들 그리고 필터 케이크의 매우 빠른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필터 재료는 천공된 지지 본체와 지지 패브릭 사이에서 제 위치에 클램프되고, 필터 재료는 그의 전체 표면이 천공된 지지 본체에 대하여 놓이고 클램핑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 본체 상에 클램프된다.
다른 적절한 필터 재료가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나 있다. 이 재료는 슬롯 형상의 개구(33)들을 갖는 초미세 천공된 금속 시트(32)로 이루어지고, 개구들은 단면도(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여과액 챔버를 향하여 둥글게 되고 넓어진다. 슬롯 폭은 5 내지 8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이다. 필터가 없는 영역은 필터 재료의 전체 영역에 대해 5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 관련된다. 여과 방향은 도 5b 에서 화살표로 표시된다. 이러한 필터 재료는 또한 필터 케이크의 매우 신속한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개선된 역세척성을 유도한다.
필터 케이크는-필터 케이크의 형성 이후- 지지 본체의 천공들 내에 놓이고, 그 결과로서, 역세척 유닛을 방해하지 않는다.
가압된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달성되는 시일링은 리젝트 챔버 안으로의 비여과액의 직접 흐름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 및 도 1 내지 도 4 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본질적인 필터 구성 요소들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프로세스 흐름 회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3 은 필터 보조제들의 첨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형상을 위한 프로세스 흐름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4 는 필터 보조제 회수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형상을 위한 프로세스 흐름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 는 적절한 필터 재료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질적인 필터 구성 요소들의 구조의 단면도이다. 필터 재료(1)가 천공된 지지 본체(2)와 지지 패브릭(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놓인다. 도 1 의 좌측부는 천공(8)들 내에 형성된 필터 케이크(7)를 나타낸다. 여과는 화살표들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비여과액 챔버(6)로부터 여과액 챔버(5)를 향하여 일어난다. 도 1 의 우측부에는, 역세척이 나타나 있다. 역세척 장치(3 + 4)는 수평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필터에서 케이크 형성이 작용하는 방식은 도 1 을 참조하여 이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시작시에, 고체들이 로드되는 비여과액이 비여과액 챔버(6)로부터 필터 재료(1)를 통하여 여과액 챔버(5) 안으로 강제된다. 조악한 입자들은 필터 재료(1) 상에 적층되고 더 미세한 입자들을 위한 지지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층 덕분에, 과립 크기가 필터 재료의 구멍 크기보다 훨씬 작은 입자들을 또한 분리하는 것이 이제 가능하다. 비여과액 챔버(6)와 여과액 챔버(5) 사이의 최대 허용 가능한 압력 차이가 얻어질 때까지 또는 여과액 용적 흐름이 최소 한도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증가하는 두께의 필터 케이크(7)가 보어(8)들 내에 축적된다. 케이크의 완전한 형성에 이어서, 필터 재료는 이제 매우 용이하게 역세척될 수 있고, 수 초 내에, 따라서, 역세척 장치에 의해 필터 표면을 세정할 수 있다. 역세척 장치는, 예컨대 EP 0056656(Lenzing AG)으로부터 공지된다.
도 2 는 프로세스 흐름 회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비여과액이 단지 약간의 조악한 입자들만을 함유한다면, 미세 입자들을 여과하는데 사용되는 효과적인 지지층은, 시작시에 일어나는 미세 입자들의 침투에 의해 천천히 형성될 것이며, 소위 초기 여과액 또는 탁질(turbidity spike)을 형성한다. 하지만, 일정하게 낮은 고체 농도를 갖는 여과액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지층이 형성되고 세정 여과액이 발생될 수 있을 때까지 여과가 회로에서 계속될 것이다. 요구되는 지지층은 미세 입자들이 필터 재료를 침투하지 않자마자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공정을 위해, 하나 또는 몇몇의 필터 장치(11, 11', 11")들에는 이제 비여과액의 도관(9)으로부터 비여과액이 공급된다. 프로세스가 몇몇의 필터 장치들을 요구한다면, 이들은 분배기 도관(10)을 통하여 공급된다.
단일 필터 장치가 사용될 때, 시작시에 여전히 탁한, 여과액은 복귀 도관(13)을 통하여 펌프(14)의 바로 상류 위치로 복귀된다(순환). 몇몇의 필터 장치들이 사용될 때, 여전히 탁한 여과액은 수집 도관(12)으로 들어가고 그 후 복귀 도관(13)을 통하여 동일한 경로를 따라 펌프(14)의 상류로 복귀된다. 형성된 지지층에 의해 이제 원하는 여과액 품질이 도달된다면, 각각의 필터의 복귀 도관은 폐쇄되고, 여과액 도관(15)은 차단 해제된다.
비여과액 내의 고체들이, 이들의 지성 또는 압축성 점조도에 의해, 사용되는 필터 재료에 의해 여과되기 어렵거나 또는 전혀 여과될 수 없고, 따라서, 상기 고체들이, 매우 짧은 시간 기간 내에, 필터 재료의 폐색을 야기한다면, 그 후 필터 보조제들이 여과 특징들에 영향을 주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도 3 은 필터 보조제들의 첨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형상을 위한 프로세스 흐름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필터 보조제 슬러리가 슬러리 컨테이너(16)에서 제조된다. 슬러리는 필터 보조제(17)와 여과액의 혼합에 의해 제조된다.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필터 보조제는 분말 형태이고 따라서 여과액 안에 섞여져야 한다. 필터 장치에서의 여과를 위해, 슬러리는 정변위 펌프(18)(positive displacement pump)에 의해 필터(20)로의 입구 내의 비여과액의 펌프(19)의 상류로 공급된다. 필터 보조제 슬러리의 투여는 필터 내의 역세척의 종료 이후에 직접적으로 실행된다. 필터 내의 높은 유속에 의해, 지지층은 매우 신속하게 형성된다. 비여과액으로부터 그 이후에 유입되는 고체들은 이제 지지층에 의해 보유될 수 있고, 지지층 상에 적층되며, 필터 케이크를 형성한다.
경제 및 환경의 시각들로부터, 이것이 가능한 한 필터 보조제를 회수하는 것이 타당하다.
적절한 필터 보조제들은, 비여과액 내에, 예컨대 모래 함유 강수 내에 이미 자연스럽게 존재하거나 또는 첨가될 필요가 있는, 1,500 ㎏/㎥ 내지 10,000 ㎏/㎥, 바람직하게는 2,000 ㎏/㎥ 내지 8,000 ㎏/㎥ 의 밀도 그리고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과립 범위(grain spectrum)를 갖는 다른 타입들의 미세 과립의 중분말(heavy powder), 금속 분말, 및 미세 모래이다.
도 4 는 필터 보조제 회수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형상을 위한 프로세스 흐름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회수를 위해, 본 발명의 필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역세척 액체(리젝트)는 리젝트 도관(28)을 통하여 수집 탱크(23) 안으로 공급된다. 존재하는 리젝트는 여과되어야 하는 매질, 여과되어야 하는 고체들, 및 필터 보조제로 이루어진다. 수집 탱크로부터, 리젝트는 그 후 펌프(24)에 의하여 분리기 기구(25)로 공급되고, 여과되어야 하는 고체들은 밀도 분리에 의해 필터 보조제로부터 분리된다. 여과되어야 하는 고체들은 상부 도관(29)에서 추출되고, 필터 보조제는 하부 도관(30)에서 농축된 슬러리로서 추출된다. 분리는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 내에서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그 이후에, 회수되는 필터 보조제는 슬러리 수집 탱크(26)에 저장된다. 그 후, 필터 보조제는 필요하다면 필터 펌프(21)의 상류인 펌프(27)에 의해 공급될 것이다.
첨가되는 필터 보조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형상에서, 상기 필터 보조제는 여과 프로세스의 시작시에 필터 보조제 회수 구역으로, 예컨대 수집 탱크(23) 안으로 공급된다. 여과 동안, 손실된 필터 보조제는 필요한 양들을 첨가함으로써 보충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를 사용할 때, 이러한 프로세스는 특히 효과적인데, 이는, 수 초들의 낮은 재생 시간에 의해 그리고 단지 십분의 몇(few) 밀리미터의 선코팅의 낮은 두께에 의해, 필터 보조제의 소비가 매우 낮고 매우 높은 여과 속도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용어 "여과 속도" 는 필터 면적당 용적 흐름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의 필터 시스템들에서, 선코팅 층들은 존재하는 층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몇(a few)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이러한 시스템들의 재생은 수(several) 분이 걸린다.
이러한 발명과 관련하여, 역세척은 또한 가스들에 의한 고체들의 배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여과 사이클의 완료 이후에, 남아있는 유체는 프로세스 가스에 의하여 비여과액 챔버, 여과액 챔버, 그리고 리젝트 챔버의 밖으로 밀어내어지고, 그 이후에, 고체들은 동일한 가스를 사용하여 건조되고 공압식으로 배출된다.

Claims (14)

  1. 원통형 하우징, 상기 원통형 하우징 안에 동축으로 설치된 원통형이고 천공된 지지 본체, 필터 재료 - 상기 필터 재료는 200 ㎩ 의 압력 차이에서 700 내지 1,300 l/㎡s 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필터 패브릭 및 슬롯 형상의 개구부들을 갖는 초박막(ultrathin) 천공된 금속 시트로부터 선택됨 - , 지지 패브릭(support fabric), 뿐만 아니라 상기 원통형 하우징 안에 놓이는 이동 가능한 역세척 장치로 이루어지는, 역세척 필터 장치에 의한,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로서,
    a) 상기 지지 본체의 상기 천공 내에 필터 케이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필터 재료의 구멍 크기보다 더 작은 과립 크기를 갖는 더 미세한 입자들 및 지성의 또는 압축성 점조도(greasy or compressible consistency)의 입자들을, 각각, 상기 필터 케이크에서 또는 필터 케이크 내에서 분리하는 단계;
    c) 미리 규정된 필터 로드(predefined filter load) 또는 최대 허용 가능한 압력 차이의 달성 이후에, 또는 여과액 용적 흐름(filtrate volume flow)이 최소 한도 아래로 떨어질 때, 역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된 조악한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필요한 지지층이 상기 필터 재료 상에 형성될 때까지, 상기 여과액은 여과의 시작시에 회로 내에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크는 여과에 앞서 또는 여과 동안 첨가되는 필터 보조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00 ㎩ 의 압력 차이에서 700 내지 1300 l/㎡s 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필터 패브릭이 상기 필터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과립 범위(grain spectrum)를 갖는 중입자들(heavy particles)이 밀도 분리 프로세스에 의해 리젝트(reject)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역세척 필터의 상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6. 제 5 항에 있어서,
    밀도 분리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리젝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역세척 필터의 상류로 복귀되는, 중입자들이 상기 여과 프로세스에 선택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입자들은, 미세 모래, 금속 분말, 또는, 1,500 ㎏/㎥ 내지 10,000 ㎏/㎥의 밀도 그리고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과립 범위를 갖는 다른 미세 과립 타입들의 중분말(heavy pow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여과 사이클의 완료 이후에, 남아있는 유체는 가스에 의하여 비여과액의 챔버, 여과액 챔버, 그리고 리젝트 챔버의 밖으로 밀어내어지고, 그 이후에 고체들은 동일한 가스를 사용하여 건조되고 공압식으로(pneumatically)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9. 원통형 하우징, 상기 원통형 하우징 안에 동축으로 설치된 원통형이고 천공된 지지 본체, 필터 재료, 지지 패브릭, 뿐만 아니라 상기 원통형 하우징 안에 놓이는 이동 가능한 역세척 장치로 이루어지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 재료는 200 ㎩ 의 압력 차이에서 700 내지 1,300 l/㎡s 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필터 패브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10. 원통형 하우징, 상기 원통형 하우징 안에 동축으로 설치된 원통형이고 천공된 지지 본체, 필터 재료, 지지 패브릭, 뿐만 아니라 상기 원통형 하우징 안에 놓이는 이동가능한 역세척 장치로 이루어지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로서,
    상기 필터 재료는 슬롯 형상의 개구부들을 갖는 초박막(ultrathin) 천공된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크는, 상기 지지 본체의 천공들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상기 역세척 장치를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시일링(sealing)이 리젝트 챔버 안으로의 비여과액의 직접 흐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 상으로의 상기 필터 재료의 고른 클램핑을 위해 클램핑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들은 수성 매질들(aqueous med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KR1020127026312A 2010-03-12 2011-03-10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및 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KR101817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GM156/2010 2010-03-12
AT0015610U AT11727U1 (de) 2010-03-12 2010-03-12 Verfahren zur filtration von fluiden sowie filterappara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PCT/AT2011/000119 WO2011109847A1 (de) 2010-03-12 2011-03-10 Verfahren zur filtration von fluiden sowie filterappara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235A KR20130038235A (ko) 2013-04-17
KR101817692B1 true KR101817692B1 (ko) 2018-01-11

Family

ID=4356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312A KR101817692B1 (ko) 2010-03-12 2011-03-10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및 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780378B2 (ko)
EP (1) EP2544788B1 (ko)
JP (1) JP5870044B2 (ko)
KR (1) KR101817692B1 (ko)
CN (1) CN102905769B (ko)
AT (1) AT11727U1 (ko)
BR (1) BR112012023022B1 (ko)
CA (1) CA2792609C (ko)
ES (1) ES2444392T3 (ko)
PL (1) PL2544788T3 (ko)
WO (1) WO2011109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8924A2 (en) * 2009-11-12 2012-09-19 Filter Safe Ltd. Filter proximity nozzle
AT11727U1 (de) * 2010-03-12 2011-04-15 Lenzing Technik Gmbh Verfahren zur filtration von fluiden sowie filterappara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13102233A1 (de) * 2013-03-06 2014-09-11 Emitec France S.A.S Verfahren zur Entnahme eines flüssigen Additivs aus einem Tank
WO2016132557A1 (ja) * 2015-02-20 2016-08-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濾過装置の再生方法、濾過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
CN107497202A (zh) * 2017-10-09 2017-12-22 李金栋 一种反压过滤装置及应用该装置的扫地车
KR102183820B1 (ko) * 2020-03-10 2020-11-30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WO2022086458A1 (en) 2020-10-20 2022-04-28 Antel Aritma Tesisleri Insaat Sanayi Ve Ticaret A.S. Industrial filter for reducing turbidity and suspended solids
CN112759159A (zh) * 2021-02-04 2021-05-07 张后继 紊流气浮过滤电消阳离子三合一处理装置
CN114534335A (zh) * 2022-03-29 2022-05-27 朝阳金达钛业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螺旋压榨器的真空泵泵油过滤装置及应用方法
CN114748911A (zh) * 2022-03-29 2022-07-15 朝阳金达钛业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平板压榨器的真空泵泵油过滤装置及应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974A (ja) * 1998-07-15 2000-02-02 Takara Shuzo Co Ltd 清酒濾過方法及びそれを達成するための濾過エレメント
JP2002517314A (ja) * 1998-06-08 2002-06-18 シイーエイイー スクリーンプレイ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クリーン円筒のストレス集中を解放する方法と装置
JP2002316198A (ja) * 2001-04-24 2002-10-29 Hitachi Industries Co Ltd 汚泥脱水方法及び汚泥脱水装置
JP2003340214A (ja) * 2002-05-22 2003-12-02 Sanshin Seisakusho:Kk 濾材の洗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4385A (en) * 1938-12-31 1940-08-06 William Paterson Improvements in filters
DE1302285B (ko) * 1965-07-07 1900-01-01 United States Atomic Energy Commission
US3574509A (en) * 1969-02-14 1971-04-13 Zurn Ind Inc Backwash filter
GB1317012A (en) * 1969-07-03 1973-05-16 Wilson P C Recovery of filter and particles
DE3101842A1 (de) 1981-01-21 1982-08-19 Markus 8000 München Spötzl Geraet zum heraustrennen von knochen aus fleisch.
DE3113734A1 (de) * 1980-04-22 1982-02-04 British Sidac Ltd., Watford, Hertfordshire "rueckspuelbare filteriervorrichtung"
AT377709B (de) * 1981-02-16 1985-04-25 Chemiefaser Lenzing Ag Filterapparat zur abtrennung von feststoffen aus fluessigkeiten
DE3115716A1 (de) 1981-04-18 1982-11-04 Boll & Kirch Filterbau GmbH, 5014 Kerpen "rueckspuelfilter"
JPS60175516A (ja) * 1984-02-21 1985-09-09 Toshiba Corp プリコ−ト濾過式復水処理装置
IL71999A0 (en) * 1984-06-04 1984-10-31 Filtration Water Filters For A Fluid filter system and suction nozzle therefor
DE3430523A1 (de) * 1984-08-18 1986-02-27 Dango & Dienenthal Maschinenbau GmbH, 5900 Siegen Fluessigkeitsfilter
US4795560A (en) * 1987-04-16 1989-01-03 The Black Clawson Company Screen plates
US4885090A (en) * 1987-04-16 1989-12-05 The Black Clawson Company Screen plates
EP0347477A1 (en) * 1988-06-21 1989-12-27 Mordeki Drori Filtering apparatus
US5407563A (en) * 1990-05-24 1995-04-18 Brackett Green Limited Screening panels
AT395430B (de) * 1991-03-14 1992-12-28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r filtration von celluloseacetat und anlag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AT398090B (de) * 1992-05-15 1994-09-26 Andritz Patentverwaltun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flüssigkeit aus feststoff-flüssigkeit-mischungen mit einer feststoffrückhalteeinrichtung sowie vorrichtung in form einer schneckenpresse
AT397927B (de) * 1992-05-27 1994-08-25 Chemiefaser Lenzing Ag Rückspülfähige filtervorrichtung zur filtration hochviskoser flüssigkeiten
AT408547B (de) * 1995-09-26 2001-12-27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einer lösung von cellulose in einem wässrigen tertiären aminoxid
US6332977B1 (en) * 1999-05-28 2001-12-25 Acs Acquisitions Corp. Apparatus for steam sterilizing and recycling leaf-filter aids
JP2004160319A (ja) * 2002-11-12 2004-06-10 Isao Matsushita スラリー用濃縮装置及び濃縮・濾過装置
JP2005246246A (ja) *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浴槽水浄化装置
US7055699B2 (en) 2004-09-01 2006-06-06 Amiad Japan Inc. Self-cleaning mechanical filter
US20080053889A1 (en) * 2006-09-01 2008-03-06 Leath William M Self-cleaning, continuously operating filter apparatus for fluids
JP4644276B2 (ja) * 2008-08-11 2011-03-02 有限会社スラッシュ オイルフィルター
AT11727U1 (de) * 2010-03-12 2011-04-15 Lenzing Technik Gmbh Verfahren zur filtration von fluiden sowie filterappara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11086670A1 (de) * 2011-11-18 2013-05-23 Man Diesel & Turbo Se Schmierölnebenstromreinigungsvorrichtung
US9561454B2 (en) * 2012-10-09 2017-02-07 Ovivo Inc. Debris filter with splitter bar
US10245531B2 (en) * 2015-06-17 2019-04-02 Tm Industrial Supply, Inc. High-efficiency automatic self-cleaning strainer
SE539965C2 (en) * 2015-06-23 2018-02-13 Veolia Water Solutions & Tech Filter panel with a controlled liquid lift, and a drum filter for filtering liquid
US10543987B2 (en) * 2016-01-19 2020-01-28 Laitram, L.L.C. Conveyor belt and module with skewed air-flow passa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314A (ja) * 1998-06-08 2002-06-18 シイーエイイー スクリーンプレイ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クリーン円筒のストレス集中を解放する方法と装置
JP2000032974A (ja) * 1998-07-15 2000-02-02 Takara Shuzo Co Ltd 清酒濾過方法及びそれを達成するための濾過エレメント
JP2002316198A (ja) * 2001-04-24 2002-10-29 Hitachi Industries Co Ltd 汚泥脱水方法及び汚泥脱水装置
JP2003340214A (ja) * 2002-05-22 2003-12-02 Sanshin Seisakusho:Kk 濾材の洗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11727U1 (de) 2011-04-15
PL2544788T3 (pl) 2014-04-30
BR112012023022A2 (pt) 2016-05-31
CA2792609A1 (en) 2011-09-15
EP2544788B1 (de) 2013-11-20
KR20130038235A (ko) 2013-04-17
WO2011109847A1 (de) 2011-09-15
JP5870044B2 (ja) 2016-02-24
US10780378B2 (en) 2020-09-22
CA2792609C (en) 2018-08-07
ES2444392T3 (es) 2014-02-24
JP2013521998A (ja) 2013-06-13
EP2544788A1 (de) 2013-01-16
US20130168330A1 (en) 2013-07-04
CN102905769B (zh) 2015-02-25
CN102905769A (zh) 2013-01-30
BR112012023022B1 (pt)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92B1 (ko) 유체들의 여과를 위한 프로세스 및 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 장치
US4552669A (en) Pneumatic hydro-pulse fil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6143186A (en) Device for continuous filtration of liquids
GB1593127A (en) Filter of the porous metal type
WO1995035261A1 (fr) Procede de regeneration des fluides d'usinage et appareil associe
CA1184854A (en) Process for filtration of oil and gas well treatment fluids
WO2001080966A1 (en) Vertical filter and method
WO2015118223A1 (en) Method of purifying liquid by use of a particulate sorbent
KR20010044678A (ko) 수중 부유물질 여과장치
US4810389A (en) Filtration system
JPH11197414A (ja) 濾過エレメント及び濾過装置
JP3114487B2 (ja) 非対称構造のろ過膜を用いたろ過装置。
JPS6230519A (ja) 濾過濃縮装置および濾過濃縮方法
JP5742032B2 (ja) ろ過装置
JP5831698B2 (ja) ろ過装置
JP3225994B2 (ja) 非対称構造のろ過膜を用いたろ過装置
JP2004016843A (ja) 液体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0331459A1 (de) Filtervorrichtung
JPH05269312A (ja) 濾過器
JPH08169B2 (ja) 濾過方法
JPH04145907A (ja) 逆洗可能なろ過装置
JPH11276819A (ja) ろ過装置
HU196139B (en)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the suspended matter content of liquids by bidirectional filtering
JPH10235112A (ja) 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