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084B1 -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Google Patents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084B1 KR101815084B1 KR1020160029735A KR20160029735A KR101815084B1 KR 101815084 B1 KR101815084 B1 KR 101815084B1 KR 1020160029735 A KR1020160029735 A KR 1020160029735A KR 20160029735 A KR20160029735 A KR 20160029735A KR 101815084 B1 KR101815084 B1 KR 101815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impact absorbing
- connection
- antifouling paint
- connection p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63B9/0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 B63B2009/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는, 표면에 방오도료가 도포된 해양구조물에 일 측이 밀착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지지패드와, 지지패드의 타 측에 부착되어 보수장비의 착탈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 및 일 측이 충격흡수패드에 부착되고 타 측이 보수장비에 부착되어 보수장비를 충격흡수패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는, 표면에 방오도료가 도포된 해양구조물에 일 측이 밀착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지지패드와, 지지패드의 타 측에 부착되어 보수장비의 착탈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 및 일 측이 충격흡수패드에 부착되고 타 측이 보수장비에 부착되어 보수장비를 충격흡수패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수장비의 착탈 시 해양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된 방오도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은 표면에 방오도료가 도포된다. 방오도료는 각종 해양생물이 해양구조물의 겉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에스피씨(SPC; Self Polishing Copolymer) 타입과 실리콘(Silicone) 타입으로 구분된다. 에스피씨 타입은 도막 자체가 가수분해를 하여 해양구조물의 겉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나가는 형식으로, 도막이 단단하지 않고 무른 특성이 있어 외압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타입은 도료 내 실리콘을 부가하여 해양생물의 부착력을 감소시키는 형식으로, 도막이 단단하지 않고 탄성이 있어 외력에 의해 쉽게 찢어질 수 있다.
한편, 해양구조물이 도크(dock)에서 해상으로 나온 후 외력에 의해 방오도료가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을 보수하기 위해 해양구조물에는 보수장비가 연결된다. 보수장비는 상부, 및 해양구조물에 밀착되는 측부가 뚫린 사각 틀 형태로, 해수에 잠긴 상태로 해양구조물에 붙여진다. 작업자는 보수장비 내부에 담긴 해수를 빼낸 후, 보수장비 내부에 들어가 손상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다. 이 때, 보수장비와 해양구조물의 접촉 부위에는 해수의 유입을 막는 수밀패드(sealing pad)가 부착되는데, 수밀패드의 재질과 형상에 따라 방오도료에 또 다른 손상을 줄 수 있다. 즉, 손상된 방오도료 부분을 보수하기 위해 보수장비 및 수밀패드를 연결 및 부착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부위의 방오도료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방오도료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수밀패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수장비의 착탈 시 해양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된 방오도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는, 표면에 방오도료가 도포된 해양구조물에 일 측이 밀착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지지패드와, 상기 지지패드의 타 측에 부착되어 보수장비의 착탈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 및 일 측이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부착되고 타 측이 상기 보수장비에 부착되어 상기 보수장비를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패드는 내부에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된 폼(foam) 형태의 이중합성고무(EPDM)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내부에 상기 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시트(sheet) 형태의 이중합성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드는 상기 충격흡수패드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지지패드보다 밀도와 인장강도가 클 수 있다.
상기 기공은 유체의 유출입이 불가한 밀폐 기포(closed cell)일 수 있다.
상기 연결패드는, 일 측이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부착되는 제1 연결패드와, 일 측이 상기 제1 연결패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보수장비에 부착되는 제2 연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패드와 상기 제2 연결패드는 벨크로(Velcro)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는, 상기 지지패드와 상기 충격흡수패드 사이, 상기 충격흡수패드와 상기 연결패드 사이, 상기 연결패드와 상기 보수장비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접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패드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오도료의 유지보수를 위해 해양구조물에 착탈되는 보수장비와 해양구조물의 접촉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해양구조물과 보수장비의 접촉 부분에 도포된 방오도료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는 방오도료가 도포된 해양구조물(S)과, 방오도료의 유지보수를 위해 해양구조물(S)에 착탈되는 보수장비(H)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보수장비(H)의 일 측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방오도료(antifouling paint)라 함은, 해양생물이 해양구조물(S)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료를 의미하며, 해수와 접하는 해양구조물(S)의 측면과 선저면 등에 도포 또는 도장될 수 있다. 보수장비(H)는 상부, 및 해양구조물(S)에 밀착되는 측부가 뚫린 사각 틀 형태로,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는 해양구조물(S)에 밀착되는 보수장비(H)의 측면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는 방오도료의 유지보수를 위해 해양구조물(S)에 착탈되는 보수장비(H)와 해양구조물(S)의 접촉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해양구조물(S)과 보수장비(H)의 접촉 부분에 도포된 방오도료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는 지지패드(10)와, 충격흡수패드(20), 및 연결패드(30)를 포함한다.
지지패드(10)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상부와 측부가 개방된 사각 틀 형태의 보수장비(H) 형상에 대응하여 종 방향(도 2의 z 방향 참조) 단면이 '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패드(10)는 종 방향 면적이 보수장비(H)의 종 방향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패드(10)의 종 방향 면적이 보수장비(H)의 종 방향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충격흡수패드(20) 또는 연결패드(30)가 지지패드(10)에 바르게 결합되지 않고 일부 틀어져 결합되더라도 충격흡수패드(20) 또는 지지패드(10)의 모서리 부분이 해양구조물(S)의 표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충격흡수패드(20) 또는 지지패드(10)의 모서리가 해양구조물(S)에 접촉되어 방오도료(P)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패드(10)는 표면에 방오도료(P)가 도포된 해양구조물(S)에 일 측이 밀착되어, 보수장비(H)의 연결 시 압축 및 미끌림(즉, 전단)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보수장비(H)와 해양구조물(S) 사이를 수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패드(10)는 내부에 복수 개의 기공(10a)이 형성된 폼(foam) 형태의 이중합성고무(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l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기공(10a)은 유체의 유출입이 불가한 밀폐 기포(closed cell)일 수 있다. 지지패드(10)가 폼 형태의 이중합성고무로 형성됨으로써, 중량 대비 부피가 커 보수장비(H)의 설치 및 해체 시 방오도료(P)에 가해지는 압축력 및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방오도료(P)에 가해지는 압축력 및 전단력이 지지패드(10)에 분산되어 약화되므로, 압축력 및 전단력에 의한 방오도료(P)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패드(10) 내부에 형성된 기공(10a)이 밀폐 기포로 형성됨으로써, 지지패드(10)를 통해 보수장비(H)와 해양구조물(S)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패드(10)는 예를 들어, 약 0.09±0.03 g/cm²의 밀도와, 약 150%의 신율, 및 약 17 psi의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지지패드(10)의 밀도가 약 0.09±0.03 g/cm²의 값을 가진다는 것은 내부에 기공(10a)이 많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약 150%의 신율을 가진다는 것은 잡아 당겼을 때 기공(10a)에 의해 쉽게 파단될 수 있지만 일정 크기의 탄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약 17 psi의 인장강도를 가진다는 것은 부드럽고 폭신하며(soft) 약한(weak) 물성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지지패드(10)가 부드럽고 폭신하며 약한 물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해양구조물(S)에 도포된 방오도료(P)의 표면 형상에 맞추어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접촉 시 손상되기 쉬운 방오도료(P)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해양구조물(S)을 이루는 외판의 용접선에 단차가 형성되더라도 완전히 밀착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수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드(10)는 타 측에 충격흡수패드(20)가 부착된다.
충격흡수패드(20)는 보수장비(H)의 착탈로 인한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으로, 지지패드(10)와 같이, 보수장비(H) 형상에 대응하여 종 방향(도 2의 z 방향 참조) 단면이 '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충격흡수패드(20)는 종 방향 면적이 보수장비(H)의 종 방향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충격흡수패드(20)는 종 방향 면적이 지지패드(10)의 종 방향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방오도료(P)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충격흡수패드(20)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시트(sheet) 형태의 이중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20)가 시트 형태의 이중합성고무로 형성됨으로써, 중량 대비 부피가 작고 강성이 커 보수장비(H)의 설치 및 해체 시 방오도료(P)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20)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충격흡수패드(20)를 통해 보수장비(H)와 해양구조물(S)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패드(10)는 내부에 형성된 기공(10a)이 밀폐 기포로 형성되어 수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격흡수패드(20)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지 않아 수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20)는 예를 들어, 약 1.5±0.5 g/cm²의 밀도와, 약 300%의 신율, 및 약 3000 psi의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충격흡수패드(20)는 지지패드(10)보다 밀도와 인장강도가 크게 형성된다. 충격흡수패드(20)의 밀도가 약 1.5±0.5 g/cm²의 값을 가진다는 것은 내부에 기공이 없어 조밀하게 형성됨을 의미하며, 약 300%의 신율을 가진다는 것은 내부가 조밀하여 잡아 당겼을 때 쉽게 이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때, 쉽게 이완될 수 있다는 것은 탄성이 큰 것을 의미하며, 탄성이 크다는 것은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충격흡수패드(20)는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방오도료(P)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약 3000 psi의 인장강도를 가진다는 것은 단단하고(hard) 질긴(tough) 물성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충격흡수패드(20)가 단단하고 질긴 물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드(10)는 충격흡수패드(20)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패드(10)의 두께가 충격흡수패드(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방오도료(P)에 가해지는 압축력과 전단력 뿐만 아니라 충격흡수패드(20)에서 흡수되지 않은 충격력의 일부도 용이하게 흡수하여 방오도료(P)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20)는 타 측에 연결패드(30)가 부착된다.
연결패드(30)는 보수장비(H)를 충격흡수패드(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흡수패드(20)와 같이, 종 방향(도 2의 z 방향 참조) 단면이 '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연결패드(30)는 충격흡수패드(20)의 종 방향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방오도료(P)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연결패드(30)는 일 측이 충격흡수패드(20)에 부착되고 타 측이 보수장비(H)에 부착되며,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를 포함한다.
제1 연결패드(31)는 일 측이 충격흡수패드(20)에 부착되며, 타 측에 제2 연결패드(32)가 배치된다. 제2 연결패드(32)는 일 측이 제1 연결패드(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이 보수장비(H)에 부착된다. 연결패드(30)가 제1 연결패드(31)와, 제1 연결패드(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패드(32)로 구성됨으로써, 보수장비(H)의 설치 및 해체 시 압축력과 전단력, 및 충격력을 받아 성능이 저하되고 변형이 유발될 수 있는 지지패드(10)와 충격흡수패드(20)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지지패드(10)와 충격흡수패드(20)가 부착된 제1 연결패드(31)만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는 서로 벨크로(Velcro)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 중 어느 하나는 접촉면에 갈고리 형태의 돌기(31a)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접촉면에 돌기(31a)가 삽입되는 올가미 형태의 고리(32a)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가 서로 벨크로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의 접촉면에 각각 복수 개의 돌기(31a)와 고리(32a)가 형성될 경우,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보수장비(H)가 해양구조물(S)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접촉면의 테두리를 따라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수밀 처리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연결패드(31)에 복수 개의 돌기(31a)가 형성되고 제2 연결패드(32)에 복수 개의 고리(32a)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연결패드(32)에 복수 개의 돌기(31a)가 형성되고 제1 연결패드(31)에 복수 개의 고리(32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 중 어느 하나에 돌기(31a)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고리(32a)가 형성되어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패드(31)와 제2 연결패드(32)는 요철(凹凸)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패드(10)와 충격흡수패드(20), 충격흡수패드(20)와 연결패드(30), 및 연결패드(30)와 보수장비(H)는 각각 접착패드(40)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접착패드(40)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패드(10)와 충격흡수패드(20) 사이, 충격흡수패드(20)와 제1 연결패드(31) 사이, 및 제2 연결패드(32)와 보수장비(H) 사이에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지지패드(10)는 보수장비(H) 형상에 대응하여 종 방향(도 2의 z 방향 참조) 단면이 '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 방향 면적이 보수장비(H)의 종 방향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패드(40)는 폴리 우레탄(Poly Urethane, PU)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패드(40)가 폴리 우레탄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고 탄성력을 가져 접착력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즉, 애폭시(epoxy) 재질에 비해 단단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지므로, 충격에 의해 깨져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접착패드(40)는 지지패드(10)와 충격흡수패드(20)와, 연결패드(30), 및 보수장비(H)의 종 방향 면적에 대응하여 적절한 양으로 도포되거나 적절한 두께로 개재될 수 있으며, 충격흡수패드(20)와 같이 내부에 기공이 없어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의 사용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는 방오도료(P)의 유지보수를 위해 해양구조물(S)에 착탈되는 보수장비(H)와 해양구조물(S)의 접촉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해양구조물(S)과 보수장비(H)의 접촉 부분에 도포된 방오도료(P)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해양생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해양구조물(S)의 겉표면에 도포 또는 도장된 방오도료(P)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일 부분이 벗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오도료(P)는 해양구조물(S)이 안벽에 계류하는 과정에서 방현재(防舷材, fender)와 접촉하여 벗겨지거나 타 구조물과 충돌하여 벗겨질 수 있다. 방오도료(P)가 손상되면 해양생물이 부착되는 것은 물론 해수에 의해 해양구조물(S)의 외판이 산화되어 녹이 슬게 되므로, 신속한 유지보수 작업이 요구된다.
방오도료(P)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된 방오도료(P)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보수장비(H)를 설치해야 한다. 보수장비(H)는 해양구조물(S)과 밀착되는 측면을 따라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가 부착되므로, 보수장비(H)의 설치 및 해체 시 보수장비(H)와 해양구조물(S)의 접촉 부분에 도포된 방오도료(P)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는 보수장비(H)의 설치 및 해체 시 방오도료(P)에 가해지는 압축력, 전단력, 및 충격력 등을 분산 및 완화시킬 수 있어, 보수장비(H)와 해양구조물(S)의 접촉 부분에 도포된 방오도료(P)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수장비(H)의 설치가 완료되면 보수장비(H)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외부로 빼낸 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보수장비(H) 내부로 들어가 손상된 방오도료(P) 부분을 보수할 수 있다.
한편, 손상된 방오도료(P) 부분의 유지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해양구조물(S)로부터 보수장비(H)를 해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수장비(H)와 해양구조물(S) 사이에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1)가 개재되므로, 방오도료(P)의 손상 없이 보수장비(H)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10: 지지패드 10a: 기공
20: 충격흡수패드 30: 연결패드
31: 제1 연결패드 31a: 돌기
32: 제2 연결패드 32a: 고리
40: 접착패드
H: 보수장비 P: 방오도료
S: 해양구조물
10: 지지패드 10a: 기공
20: 충격흡수패드 30: 연결패드
31: 제1 연결패드 31a: 돌기
32: 제2 연결패드 32a: 고리
40: 접착패드
H: 보수장비 P: 방오도료
S: 해양구조물
Claims (9)
- 표면에 방오도료가 도포된 해양구조물에 일 측이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지지패드;
상기 지지패드의 타 측에 부착되어 보수장비의 착탈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
일 측이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부착되고 타 측이 상기 보수장비에 부착되어 상기 보수장비를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패드; 및
상기 지지패드와 상기 충격흡수패드 사이, 상기 충격흡수패드와 상기 연결패드 사이, 상기 연결패드와 상기 보수장비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접착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패드는 상기 충격흡수패드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지지패드보다 밀도와 인장강도가 큰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는 내부에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된 폼(foam) 형태의 이중합성고무(EPDM)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내부에 상기 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시트(sheet) 형태의 이중합성고무로 형성되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삭제
- 삭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은 유체의 유출입이 불가한 밀폐 기포(closed cell)인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드는,
일 측이 상기 충격흡수패드에 부착되는 제1 연결패드와,
일 측이 상기 제1 연결패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보수장비에 부착되는 제2 연결패드를 포함하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드와 상기 제2 연결패드는 벨크로(Velcro) 구조로 연결되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패드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9735A KR101815084B1 (ko) | 2016-03-11 | 2016-03-11 |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9735A KR101815084B1 (ko) | 2016-03-11 | 2016-03-11 |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6077A KR20170106077A (ko) | 2017-09-20 |
KR101815084B1 true KR101815084B1 (ko) | 2018-01-04 |
Family
ID=6003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9735A KR101815084B1 (ko) | 2016-03-11 | 2016-03-11 |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508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4998A (ja) * | 2002-12-09 | 2009-02-19 | Rieter Technologies Ag | 超軽量トリム複合物 |
KR200464808Y1 (ko) * | 2012-03-14 | 2013-01-21 | 윤건화 | 벨크로 패드 및 그 제조방법 |
-
2016
- 2016-03-11 KR KR1020160029735A patent/KR1018150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4998A (ja) * | 2002-12-09 | 2009-02-19 | Rieter Technologies Ag | 超軽量トリム複合物 |
KR200464808Y1 (ko) * | 2012-03-14 | 2013-01-21 | 윤건화 | 벨크로 패드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6077A (ko) | 2017-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81970B (zh) | 海上建筑的防护装置 | |
JP2005239142A (ja) | 船舶のシーチェスト海水流入孔堰板 | |
US11136095B2 (en) | Fender, maritime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 |
KR101815084B1 (ko) | 방오도료 손상방지용 패드 | |
KR20110020060A (ko) | 진동 및 충격 완화를 위한 파이프 부력체 고정 방법 | |
GB2196717A (en) | Fender | |
KR101140922B1 (ko) | 접안 시설용 방충 패널 | |
KR101814426B1 (ko) | 도막 보호 구조물 | |
WO2007080248A1 (fr) | Engin flottant comportant une coque anti-choc | |
KR20150077563A (ko) | 선체 도막 손상 방지용 펜더 | |
CN102717867B (zh) | 耐磨型半硬质充气艇 | |
KR101818089B1 (ko) |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 |
US11230357B2 (en) | Marine fender | |
CN210310813U (zh) | 一种耐磨损的橡胶护舷 | |
KR101309866B1 (ko) | 조립식 부잔교 구조물 | |
WO2016170925A1 (ja) | 縦型空気式防舷材用の保護カバーおよび縦型空気式防舷材並びに縦型空気式防舷材の使用方法 | |
AU2020237554B2 (en) | Rigid-hulled inflatable boat | |
KR200440494Y1 (ko) |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 |
KR100606142B1 (ko) | 선박용 흡입구 덮개 | |
KR200482446Y1 (ko) | 해상 구조물의 스터드리스 체인용 페어리드 | |
KR200364830Y1 (ko) | 선박용 흡입구 덮개 | |
KR101321765B1 (ko) | 조립식 부잔교 구조물 | |
JP2017141641A (ja) | 緩衝材製造方法、緩衝材設置方法及び緩衝材 | |
KR20220095019A (ko) | 도막 보호기능을 포함한 방현재 | |
KR200458266Y1 (ko) | 선박의 도장 피막 보호용 커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