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494Y1 -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 Google Patents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494Y1
KR200440494Y1 KR2020070012536U KR20070012536U KR200440494Y1 KR 200440494 Y1 KR200440494 Y1 KR 200440494Y1 KR 2020070012536 U KR2020070012536 U KR 2020070012536U KR 20070012536 U KR20070012536 U KR 20070012536U KR 200440494 Y1 KR200440494 Y1 KR 200440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repellent
ship
hinge
contac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수 이
이종태
Original Assignee
종 수 이
이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수 이, 이종태 filed Critical 종 수 이
Priority to KR2020070012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4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4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첩을 형성한 방충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박이 접안하는 선착장에 설비되어 선박이 선착장에 접안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방충대 내부에 형성한 경첩으로 인하여 방충대의 부착력을 증대하여 선박과 접촉시 방충대가 찢어져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충대의 완충 면을 굴곡으로 하여 선박과 방충대가 접하는 접촉 면을 감소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경첩형 보강대에 의해서 방충대의 내구성이 증가하여, 선박의 접안시 방충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선박과 방충대가 접하는 면적을 감소하여, 방충대와 접하는 선박 표면의 페인트가 벗겨지는 범위를 축소하여, 선박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방충대, 경첩형 보강대, 완충 면, 충돌 방지구.

Description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buoyancy cove for ship}
본 고안은 경첩을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박이 접안하는 선착장에 설비되어 선박이 선착장에 접안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방충대 내부에 형성한 경첩으로 인하여 방충대의 부착력을 증대하여 선박과 접촉시 방충대가 찢어져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충대의 완충 면을 굴곡으로 하여 선박과 방충대가 접하는 접촉 면을 감소한 것이다.
선박이 접안하는 부두의 접안시설에는 선박이 접안시설(선착장)과 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선박과 접안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해수면과 접하는 선착장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재질의 방충대를 설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충대의 경우 탄성 재질로 구성되므로 충격완화의 기능이 있으나, 내구성이 약하여 선박의 접안시 발생하는 접안 충돌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방충대 내부에 금속 재질을 보강하여 사용 하고 있으나, 오랜 사용으로 금속 보강대를 형성한 방충대의 부착 면은 선착장에 고정되어 있으나, 완충 면은 손실되어 방충대의 기능을 상실하여 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특히, 선박이 측면으로 접안시 더욱 심각하게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접안시설을 유지 및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방충대가 선박과 접촉시 발생하는 방충대의 변형에 따라, 방충대를 지지할 수 있는 보강대를 형성하여 방충대의 내구성을 증대하고, 선박과 방충대가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방충대와 접촉하는 선박 표면의 훼손을 감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방충대의 변형에 따라 방충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도가 가변 되는 경첩형 보강대를 방충대의 부착 면에 형성하고, 선박이 접하는 완충 면을 굴곡으로 형성하고 여러 개의 완충 돌부를 통하여 선박과 방충대의 접촉 면을 최소화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경첩형 보강대(40)에 의해서 방충대(30)의 내구성이 증가하여, 선박(3)의 접안시 방충대(3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선박(3)과 방충대(30)가 접하는 면적을 감소하여, 방충대(30)와 접하는 선박(3) 표면의 페인트가 벗겨지는 범위를 축소하여, 선박(3)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볼트 공(11)과 보강판(12)을 형성한 부착 면(10)과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면(20)으로 구성한 방충대(30)에 있어서,
상기의 부착 면(10)과 완충 면(20)의 연결부분에 내부로 여러 개의 경첩형 보강대(40)를 형성하고, 상기의 완충 면(20)을 굴곡으로 하여 다수 개의 완충 돌부(21)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경첩형 보강대(40)와 완충 돌부(21)를 형성한 방충대(3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방충대(30)는 탄성 재질인 고무와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부착 면(10)과 완충 면(20)의 연결부분에 여러 개의 경첩형 보강대(40)를 내입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경첩형 보강대(40) 한 부분은 부착 면(10)에 위치하고 다른 한 부분은 완충 면(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성형한 것이다.
상기의 경첩형 보강대(40)를 살펴보면, 경첩형 보강대(40)는 도 2에 표현한 것과 같이 통상의 소형 경첩 형태로, 힌지 내입부를 형성한 분리된 두 개의 부재에 힌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힌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결합한 부재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형태로 동작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을 살펴보면, 방충대(30)를 선착장(1)에 고정 볼트(2)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선박(3)이 방충대(30)를 압박하면서 접안할 때, 방충대(30) 내부에 형성한 경첩형 보강대(40)가 방충대(30)의 변형에 따라 각도가 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첩형 보강대(40)에 접하는 방충대(30)의 연결부분은 경첩형 보강대(40)가 부착 면(10)과 완충 면(20)을 지지하고 있어, 방충대(30)의 부착력이 증대하므로 외부 압력에 의해 방충대(30)의 부착 면(10)과 완충 면(20)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굴곡으로 형성한 완충 면(20)은 선박(3)과 방충대(30)가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므로, 방충대(30)와 접하는 선박(3)의 면적이 감소하여, 방충대(30)와 접촉으로 발생하는 선박(3) 표면의 훼손(페인트 벗겨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완충 면(20)에 형성한 여러 개의 완충 돌부(21)를 통해 선박(3)과 방충대(30)의 접촉 면을 더욱 감소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에서 경첩형 보강대의 배치를 설명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단면도로서
a는 방충대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
b는 선박의 접안으로 방충대의 외형이 변형된 상태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착장
2. 고정 볼트
3. 선박
10. 부착 면
11. 볼트 공
12. 보강판
20. 완충 면
21. 완충 돌부
30. 방충대
40. 경첩형 보강대

Claims (1)

  1. 볼트 공(11)과 보강판(12)을 형성한 부착 면(10)과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면(20)으로 구성한 방충대(30)에 있어서,
    상기의 부착 면(10)과 완충 면(20)의 연결부분에 내부로 여러 개의 경첩형 보강대(40)를 형성하고,
    상기의 완충 면(20)을 굴곡으로 하여 다수 개의 완충 돌부(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KR2020070012536U 2007-07-26 2007-07-26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KR200440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536U KR200440494Y1 (ko) 2007-07-26 2007-07-26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536U KR200440494Y1 (ko) 2007-07-26 2007-07-26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494Y1 true KR200440494Y1 (ko) 2008-06-16

Family

ID=4365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536U KR200440494Y1 (ko) 2007-07-26 2007-07-26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4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22B1 (ko) * 2020-10-12 2021-10-05 김희준 선박 접안시 충격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22B1 (ko) * 2020-10-12 2021-10-05 김희준 선박 접안시 충격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CN107074331B (zh) 鳍稳定器、盖元件以及船只
KR101741497B1 (ko) 선박 보호용 펜더
WO2008004739A1 (en) Rigid inflatable boat
KR20190131700A (ko) 방충 장치
KR200440494Y1 (ko) 경첩형 보강대를 형성한 선박 접안용 방충대
US7370595B1 (en) Watercraft hull and gunwale mooring guard
KR20080032542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위한 선박충돌방호용 프로텍터의충격흡수 지지구조
EP2818400B1 (en) Marine fender
JP2001030987A (ja) 船体着岸装置
EP2760730B1 (en) Simplified actuation device for moving fender members
WO2007080248A1 (fr) Engin flottant comportant une coque anti-choc
JPH101928A (ja) 低反力型空気式防舷材
KR20150077563A (ko) 선체 도막 손상 방지용 펜더
KR20140045724A (ko) 외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의 안벽 계류 장치
JPH0448887B2 (ko)
KR102027218B1 (ko) 접이식 펜더
KR101258818B1 (ko) 소파 유닛
KR20150077191A (ko) 힌지형 완충장치
KR101303003B1 (ko) 마찰감소장치를 갖춘 펜더
KR200478662Y1 (ko) 선박용 방현 장치
KR970001752A (ko) 방현재
JP5619333B2 (ja) 防舷材
JP2009029396A (ja) 外装部品の合わせ部の構造
JPH11117261A (ja) 縦型空気式防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