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195B1 - 유리 필름 적층체 - Google Patents

유리 필름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195B1
KR101804195B1 KR1020127020275A KR20127020275A KR101804195B1 KR 101804195 B1 KR101804195 B1 KR 101804195B1 KR 1020127020275 A KR1020127020275 A KR 1020127020275A KR 20127020275 A KR20127020275 A KR 20127020275A KR 101804195 B1 KR101804195 B1 KR 10180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support
glass
film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113A (ko
Inventor
히로시 타키모토
타카히데 후지이
카츠히로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6985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859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85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92513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B32B17/10155Edge treatment or cham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52Laterally noncoextensive components

Abstract

유리 필름 적층체(1)는 지지체(3)에 유리 필름(2)을 적층해서 구성되고, 지지체(3)는 유리 필름(2)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적층되어 있다. 지지체(3)에는 유리 필름(2)의 적어도 1개의 코너부(21)를 지지체(3)로부터 노출시키는 박리 개시부(4)가 지지체(3)의 끝변(32)으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리 필름 적층체{GLASS FILM LAMINAT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디바이스의 유리 기판, 및 유기 EL 조명 등의 디바이스의 커버 유리나 의약품 패키지 등에 사용되는 유리 필름을 지지체에 의해 지지한 유리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공간 절약화의 관점으로부터, 종래 보급되고 있었던 CRT형 디스플레이를 대신하여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필드이미션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가 보급되고 있다. 이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보다 나은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유기 EL 디스플레이에는 절첩되거나 권취됨으로써 운반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 표면이나 건축물의 지붕, 기둥이나 외벽 등, 곡면을 갖는 물체의 표면에 태양 전지를 형성하거나 유기 EL 조명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으면 그 용도가 넓혀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기판이나 커버 유리에는 보다 나은 박판화와 높은 가요성이 요구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발광체는 산소나 수증기 등의 기체가 접촉함으로써 열화된다. 따라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기판에는 높은 가스배리어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판에 사용되는 유리는 수지 필름과 달리 인장 응력에 약하기 때문에 가요성이 낮고, 유리 기판을 구부림으로써 유리 기판 표면에 인장 응력이 걸리면 파손에 이른다. 유리 기판에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초박판화를 행할 필요가 있고,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두께 200㎛ 이하의 유리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등의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에는 투명 도전막 등의 막 부착 처리나 세정 처리 등,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 제조 관련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들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의 필름화를 행하면 유리는 취성 재료이기 때문에 다소의 응력 변화에 의해 파손에 이르러 상술한 각종 전자 디바이스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할 때 취급이 매우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두께 200㎛ 이하의 유리 필름은 가요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할 때 위치 결정을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유리 필름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서는 지지 유리 기판과 유리 시트가 반복 사용에 의해서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착제층을 통해서 적층된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단체에서는 강도나 강성이 없는 유리 시트를 사용해도 종래의 유리용 액정 표시 소자 제조라인을 공용하여 액정 표시 소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정 종료 후에는 유리 기판을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관련 처리시의 위치 결정도 행하기 쉽다.
그러나, 유리 시트의 보다 나은 초박판화를 도모하고 유리 필름에까지 초박판화를 행하면, 상술한 적층체라고 해도 전자 디바이스 제작 후에 유리 필름을 지지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유리 필름을 지지 유리 기판으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유리 필름의 코너부부터 박리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적층체는 유리 필름의 모든 면이 지지 유리 기판과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유리 필름의 코너부를 파지하기 어려워짐으로써 유리 필름의 박리시 유리 필름의 코너부에 파손이나 깨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유리 필름과 지지 유리의 점착력이 강할 경우 이 문제가 현저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리 필름을 지지 유리 기판으로부터 일부 돌출시켜서 적층시키는 것도 고려되지만, 위치 결정시에 핀 등이 적층체에 충돌함으로써 지지 유리 기판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유리 필름이 파손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박판 유리 기판과, 단부에 오목함몰부가 형성된 지지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리 적층체가 기재되어 있다. 오목함몰부로 노출되어 있는 박판 유리 기판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박판 유리 기판의 박리시에 박판 유리 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판 유리 기판보다 지지 유리 기판 쪽이 한 사이즈 크기 때문에 위치 결정시에 핀 등이 충돌하는 것에 의한 박판 유리 기판의 파손도 어느 정도 방지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8-1331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8-869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0-1850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박판 유리 기판의 모든 끝변이 지지 유리 기판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오목함몰부에 있어서는 박판 유리 기판이 지지 유리 기판의 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목함몰부에 어떤 장해물이 충돌했을 경우 박판 유리 기판에 직접 충돌하게 되어 박판 유리 기판이 파손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지체에 의해 유리 필름을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유리 필름과 지지체를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에 유리 필름을 적층한 유리 필름 적층체로서, 지지체의 끝변은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지지체에는 유리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코너부를 상기 지지체로부터 노출시키는 박리 개시부가 지지체의 끝변으로부터 지지체의 내방측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박리 개시부는 직경 1∼30㎜의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리 필름이 상기 박리 개시부에 노출되어 있는 면적이 0.19㎟∼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박리 개시부는 관통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에 유리 필름을 적층한 유리 필름 적층체로서, 지지체의 끝변은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지지체의 끝변부에는 두께가 부분적으로 작은 박육부가 형성되고, 유리 필름의 끝변의 적어도 일부가 박육부 상에서 지지체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되어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박육부는 유리 필름의 적어도 1개소의 코너부가 지지체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리 필름은 유리 필름의 끝변으로부터 0.5∼15㎜의 폭으로 지지체와 이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리 필름과 지지체의 박육부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은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지지체는 지지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유리 필름 및 지지 유리의 서로 접촉하는 측 표면의 표면 거칠기(Ra)가 각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유리 필름 및 지지 유리는 각각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유리 필름의 두께는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체는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필름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유리 필름 적층체의 측면으로부터 위치 결정 핀 등이나 예기하지 않은 장해물 등의 어떤 것이 충돌했다고 해도 지지체에 직접 충돌하고, 유리 필름에는 직접 충돌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에는 유리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코너부가 지지체로부터 노출되는 박리 개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 개시부로부터 유리 필름의 코너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유리 필름의 박리시에 유리 필름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 개시부는 지지체의 끝변으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체의 끝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유리 필름이 노출되지 않아 유리 필름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박리 개시부가 직경 1∼30㎜의 원형이면, 박리 개시부를 형성한 것에 의한 지지체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박리 개시부는 지지체에 취성 재료를 사용할 경우 원형인 편이 제작하기 쉽다.
유리 필름이 상기 박리 개시부에 노출되어 있는 면적이 0.19㎟∼400㎟이면, 유리 필름이 지지체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에 의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박리 개시부가 관통 구멍이면, 지지체 이면으로부터 봉 형상체를 삽입함으로써 유리 필름을 들어올릴 수 있고, 유리 필름 코너부를 보다 파지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드릴 등에 의해 지지체 상에 용이하게 박리 개시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체의 끝변부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유리 필름의 끝변의 적어도 일부를 박육부 상에서 지지체로부터 이간시킨 구성에서는 박육부로부터 유리 필름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유리 필름의 박리시에 유리 필름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는 지지체의 끝변부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체의 끝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유리 필름이 노출되지 않아 유리 필름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박육부는 유리 필름의 적어도 1개소의 코너부가 지지체로부터 이간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박육부로부터 유리 필름의 코너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유리 필름의 박리시에 유리 필름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리 필름은 유리 필름의 끝변으로부터 0.5∼15㎜의 폭으로 지지체와 이간되어 있으면, 유리 필름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리 필름이 지지체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에 의한 유리 필름의 늘어짐 등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유리 필름과 지지체의 박육부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0.01㎜ 이상이면, 박육부 상에 존재하는 지지체와 유리 필름의 간극으로부터 수지 필름 등의 박리용 시트를 삽입함으로써 유리 필름과 지지체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지지체가 지지 유리이면, 유리 필름과 지지 유리의 열팽창계수를 맞추기 쉬워져서 제조 관련 처리시에 열처리를 행했다고 해도 열 뒤틀림(Thermal Warpage)이나 균열 등이 생기기 어려운 유리 필름 적층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유리 필름 및 지지 유리의 서로 접촉하는 측 표면의 표면 거칠기(Ra)가 각각 2.0㎚ 이하이면, 유리 필름과 지지 유리가 매끈한 표면끼리 접촉하기 때문에 밀착성이 좋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유리 필름과 지지 유리를 강고하고 안정되게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유리 필름 및 지지 유리를 각각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연마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매우 표면 정밀도가 높은 유리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과 지지 유리를 보다 강고하게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코너부에 균열, 깨짐 등이 발생하기 쉬운 두께 300㎛ 이하의 초박판 유리라고 해도 용이하게 지지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유리 필름 및 지지 유리의 제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박리 개시부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며, 박리 개시부를 평면으로 볼 때 원형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박리 개시부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며, 박리 개시부를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단면도이며, 박리 개시부가 관통 구멍의 형태인 예를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단면도이며, 박리 개시부가 함몰 구멍의 형태인 예를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단면도이며, 지지체와 유리 필름 사이에 접착제층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a는 지지체를 별체의 지지 분체로 구성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지지체와 유리 필름 사이에 접착제층을 형성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1)는 유리 필름(2)과 지지체(3)로 이루어져 있고, 지지체(3) 상에는 박리 개시부(4)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 필름(2)의 재질로서는 규산염 유리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석영 유리, 붕규산 유리가 사용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무알칼리 유리가 사용된다. 유리 필름(2)에 알칼리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표면에 있어서 양이온이 탈락되어 소위 소다 분사의 현상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결함이 생긴다. 이 경우, 유리 필름(2)을 만곡시켜서 사용하고 있으면 경년 열화에 의해 결함이 생긴 부분부터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무알칼리 유리란 알칼리 성분(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유리로서,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성분의 중량비가 1000ppm 이하인 유리이다.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성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500pp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이다.
유리 필름(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5㎛∼100㎛이다. 코너부에 균열, 깨짐 등이 발생하기 쉬운 두께 300㎛ 이하의 초박판 유리라고 해도 용이하게 지지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또한, 핸들링성이 곤란하고 또한 위치 결정 미스나 패터닝시의 어긋남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유리 필름(2)에 대하여 제조 관련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 미만이면 유리 필름(2)의 강도가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어 유리 필름 적층체(1)로부터 유리 필름(2)을 박리하여 디바이스에 도입할 때 파손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지지체(3)는 유리 필름(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 필름(2)의 단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유리 필름(2)보다 돌출되어 있다. 지지체(3)의 돌출량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3)의 돌출량이 5㎜ 미만이면 지지체(3)에 끝변(32)으로부터 이간되어 박리 개시부(4)를 제작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지지체(3)의 돌출량이 20㎜를 초과하면 지지체(3)에 차지하는 유리 필름(2)의 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생산 효율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지지체(3)는 유리 필름(2)을 지지 가능하면 그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합성 수지판, 천연 수지판, 목판, 금속판, 유리판, 세라믹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3)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체(3)에 강성이 요구될 경우에는 두께가 있는 수지판이나 유리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지지체(3)에는 강성이 요구되지 않고, 유리 필름(2)의 핸들링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PET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지지체(3)에는 지지 유리(3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과 지지 유리(31)의 열팽창계수를 맞추기 쉬워져서 제조 관련 처리시에 열처리를 행했다고 해도 열 뒤틀림이나 균열 등이 생기기 어려운 유리 필름 적층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 유리(31)에 대해서는 유리 필름(2)과의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계수의 차가 5×10-7/℃ 이내인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유리(31)는 유리 필름(2)과 마찬가지로 규산염 유리, 실리카 유리, 붕규산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이 사용된다. 지지 유리(31)와 유리 필름(2)은 동일한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지 유리(31)의 두께는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유리(31)의 두께가 400㎛ 미만이면 지지 유리 단체로 취급할 경우에 강도 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지지 유리(31)의 두께는 400㎛∼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7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을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유리 필름(2)과 지지 유리(31)를 박리할 때 생길 수 있는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리 필름(2) 및 지지 유리(31)의 서로 접촉하는 측의 표면 거칠기(Ra)는 각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과 지지 유리(31)가 매끈한 표면끼리 접촉하기 때문에 밀착성이 좋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유리 필름과 지지 유리를 강고하고 안정되게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리 필름(2) 및 지지 유리(3)의 상기 표면의 표면 거칠기(Ra)는 각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2) 및 지지 유리(31)의 서로 접촉하는 측 표면의 GI값은 각각 1000pc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과 지지 유리(31)의 접촉면이 청정하기 때문에 표면의 활성이 손상되지 않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유리 필름(2)과 지지 유리(3)를 보다 강고하고 안정되게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GI값이란 1㎡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장경 1㎛ 이상의 불순 입자의 개수(pcs)이다. 유리 필름(2) 및 지지 유리(3)의 상기 표면의 GI값은 각각 500pcs/㎡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pcs/㎡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 필름(2) 및 지지 유리(31)는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2)의 표면을 보다 매끄럽게 성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 2에 나타내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성형시에 유리판의 양면이 성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성형법이며, 얻어진 유리판의 양면(투광면)에는 손상이 생기기 어려워서 연마하지 않아도 높은 표면 품위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과 지지 유리(31)를 보다 강고하게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면이 쐐기형인 성형체(7)의 하단부(71)로부터 유하된 직후의 유리 리본(G)은 냉각 롤러(8)에 의해 폭방향의 수축이 규제되면서 하방으로 잡아늘려져서 소정의 두께까지 얇아진다. 이어서, 상기 소정 두께에 도달한 유리 리본(G)을 서냉로(어닐러)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유리 리본(G)의 열변형을 제거하고, 유리 리본(G)을 소정 치수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 또는 지지 유리(31)가 되는 유리 시트가 성형된다.
박리 개시부(4)는 지지체(3) 상에 끝변(32)으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보다 지지체(3)를 돌출시켜서 적층할 수 있고, 또한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가 박리 개시부(4) 상에서 노출되도록 적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개시부(4)는 지지체(3)의 네 모서리 근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개시부(4)는 도 1에서는 유리 필름(2)의 1개소의 코너부(21)에 형성되어 있지만, 2개소 이상의 코너부(21)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박리 개시부(4)의 형상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개시부(4)의 형상이 원형상이면 공지의 드릴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샌드블래스트, 에칭 등에 의해서도 원형상의 박리 개시부(4)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박리 개시부(4)의 형상은 도 3a에 나타내는 원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직사각형상의 박리 개시부(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샌드블래스트, 에칭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지지체(3)에 인성을 갖는 PET 등의 수지 재료를 사용했을 경우 펀칭에 의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이하게 직사각형상으로 할 수 있다. 박리 개시부(4)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체(3)의 성형 후에 지지체(3)를 가공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지지체(3)의 성형시에 박리 개시부(4)를 동시에 제작해도 좋다.
박리 개시부(4)는 직경 1∼30㎜의 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박리 개시부(4)를 형성한 것에 의한 지지체(3)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직경이 1㎜보다 작으면 지지체(3)로부터 유리 필름(2)을 박리할 때 유리 필름(2)을 파지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고, 지름이 30㎜보다 크면 지지체(3)의 강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유리 필름(2)이 박리 개시부(4)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면적이 0.19㎟∼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이 지지체(3)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에 의한 유리 필름(2)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유리 필름(2)의 박리 개시부(4)로부터의 노출 면적이 0.19㎟보다 작으면 유리 필름(2)의 박리시에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를 파지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유리 필름(2)의 박리 개시부(4)로부터의 노출 면적이 400㎟보다 크면 박리 개시부(4) 내에서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가 휘어서 유리 필름(2)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박리 개시부(4)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3) 상에 끝변(32)으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된 관통 구멍(4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지지체(3) 이면으로부터 봉 형상체를 삽입함으로써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를 들어올릴 수 있어 보다 파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드릴 등에 의해 지지체(3) 상에 용이하게 관통 구멍(4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박리 개시부(4)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함몰 구멍(42)으로 할 수도 있다. 함몰 구멍(42)으로 함으로써 유리 필름 적층체(1)를 에어 등에 의한 부상으로 반송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41)의 경우 유리 필름(2)이 박리 개시부(4)로부터 노출되는 면적을 크게 하면,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가 관통 구멍(41)의 내부로 휨으로써 관통 구멍(41)을 통과해서 유리 필름 적층체(1)의 반송면에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가 접촉하여, 유리 필름 적층체(1)의 반송 중에 유리 필름(2)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함몰 구멍(42)이면 파지부를 확보하기 위해서 박리 개시부(4)를 크게 형성한 경우라고 해도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가 반송면에 접촉하지 않아 보다 안전하게 유리 필름 적층체(1)를 반송할 수 있다.
유리 필름(2)에 지지체(3)를 적층시켜서 유리 필름 적층체(1)를 제작할 때,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과 지지체(3) 사이에 접착제층(5)을 끼워서 적층시켜도 좋다. 유리 필름(2)은 최후에 박리되기 때문에 접착제층(5)에는 미점착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그 점착력이 0.002∼2.00N/2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1.00N/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0.7N/2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1)에 대하여 성막, 세정, 패터닝 등의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한 후, 박리 개시부(4)로부터 유리 필름(2)의 박리를 행한다. 박리를 행할 때에는 유리 필름(2)과 박리 개시부(4)의 간극(43)으로부터 손가락이나 핀셋 등의 파지 도구를 사용해서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를 파지하고, 지지체(3)로부터 유리 필름(2)을 박리함으로써 유리 필름(2)을 지지체(3)로부터 박리한다. 또는 PET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간극(43)으로부터 유리 필름(2)과 지지체(3) 사이에 삽입하고, 코너부(21)를 시단으로 하여 서서히 유리 필름(2)을 띄움으로써 유리 필름(2)과 지지체(3)를 박리시켜도 좋다. 지지체(3)에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박리 개시부(4) 부근의 지지체(3)를 절곡함으로써 용이하게 유리 필름(2)의 코너부(21)를 파지할 수 있다. 박리 후의 유리 필름(2)은 각각의 용도로서(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의 유리 기판 등으로서) 전자 디바이스 등에 장착된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1)의 다른 실시형태이다. 도 5는 장척인 수지 필름(PET 필름 등)제의 지지체(3) 상에 유리 필름(2)이 소정의 길이마다 단속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유리 필름 적층체(1)를 권회함으로써 롤체(6)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 적층체(1)의 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관련 처리의 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다. 각 유리 필름(2)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코너부(21)에는 박리 개시부(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은 지지체(3) 상에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실시형태에 특유의 사항만을 기재하고, 이상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유리 필름(2) 및 지지체(3)의 재질, 두께, 표면 거칠기(Ra), 표면의 GI값, 성형 방법, 그 외의 사항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준해서 정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1)는 유리 필름(2)과 지지체(3)로 이루어져 있고, 지지체(3)의 끝변(32)을 포함하는 끝변부에는 박육부(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3)는 유리 필름(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 필름(2)의 단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유리 필름(2)보다 돌출되어 있다. 지지체(3)의 돌출량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3)의 돌출량이 1㎜ 미만이면 지지체(3)의 끝변부에 박육부(4')를 제작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지지체(3)의 돌출량이 20㎜를 초과하면 지지체(3)에 차지하는 유리 필름(2)의 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생산 효율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박육부(4')는 지지체(3)의 끝변(32)을 포함하는 끝변부에 유리 필름(2)측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절삭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의 끝변부(21)의 적어도 일부가 박육부(4') 상에서 간극(41')을 두고 지지체(3)로부터 이간되게 된다. 따라서, 박육부(4')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유리 필름(2)의 끝변(21)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유리 필름(2)의 박리시에 유리 필름(2)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4')는 유리 필름(2)측의 표면만이 부분적으로 절삭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체(3)의 끝변(32)으로부터 외측으로 유리 필름(2)이 노출되지 않아 유리 필름(2)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박육부(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의 적어도 1개소의 코너부(22)가 지지체(3)로부터 이간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박육부(4')로부터 유리 필름(2)의 코너부(2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유리 필름(2)의 박리시에 유리 필름(2)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육부(4')는 지지체(3)의 모서리부(3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서는 유리 필름(2)의 1개소의 코너부(22)가 이간되도록 박육부(4')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박육부(4')가 2개소 이상의 지지체(3)의 모서리부(33)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박육부(4')의 형상은 유리 필름(2)의 코너부(22)가 이간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박육부(4')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변(32)에 근접함에 따라 내려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34')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 박리시에 PET 필름 등의 박리용 시트를 간극(41')으로부터 유리 필름(2)과 지지체(3) 사이에 삽입할 때에 경사부(34')가 박리용 시트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되므로 박리용 시트를 삽입하기 쉬워진다.
박육부(4')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연마, 연삭, 샌드블래스트, 에칭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지지체(3)에 PET 등의 수지 재료나 금속을 사용했을 경우, 프레싱함으로써 박육부(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박육부(4')를 지지체(3)의 성형 후에 지지체(3)를 가공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지지체(3)의 성형시에 박육부(4')를 동시에 형성해도 좋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분체(35) 상에 제 1 지지 분체(35)보다 한 사이즈 작은 제 2 지지 분체(36)를 적층해서 고착시킴으로써 지지체(3)로 하여 박육부(4')를 제작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지지 분체(35)는 유리 필름(2)보다 한 사이즈 크고, 제 2 지지 분체(36)는 유리 필름(2)보다 한 사이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의 주위를 따라 간극(4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박육부(4')는 유리 필름(2)의 끝변(21)으로부터 0.5∼15㎜의 폭으로 지지체(3)와 이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2)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리 필름(2)이 지지체(3)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에 의한 유리 필름(2)의 늘어짐 등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유리 필름(2)과 지지체(3)의 이간 폭이 0.5㎜ 미만이면 유리 필름(2)의 박리시에 유리 필름(2)을 박리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유리 필름(2)과 지지체(3)의 이간 폭이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리 필름(2)이 박육부(4')와 접촉할 우려가 있다. 박육부(4')는 유리 필름(2)의 끝변(21)으로부터 1∼10㎜의 폭으로 지지체(3)와 이간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육부(4')에 있어서의 유리 필름(2)과 지지체(3)의 이간 간격(h)은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박육부(4') 상에 존재하는 지지체(3)와 유리 필름(2)의 간극(41')으로부터 수지 필름 등의 박리용 시트를 삽입함으로써 유리 필름(2)과 지지체(3)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박육부(4')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h)이 0.01㎜ 미만이면 유리 필름(2)을 파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간 간격(h)은 유리 필름(2)을 박리할 때에 사용하는 수지 필름 등의 박리용 시트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체(3)의 내구성 등을 고려하면 박육부(4')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h)은 사용하는 지지체(3) 두께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3)에 유리 필름(2)을 적층시켜서 유리 필름 적층체(1)를 제작할 때,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과 지지체(3) 사이에 접착제층(5)을 끼워서 적층시켜도 좋다. 유리 필름(2)은 최후에 박리되기 때문에 접착제층(5)에는 미점착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그 점착력이 0.002∼2.00N/2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1.00N/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0.7N/2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1)에 대하여 성막, 세정, 패터닝 등의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한 후, 박육부(4')로부터 유리 필름(2)의 박리를 행한다. 박리를 행할 때에는 유리 필름(2)과 박육부(4')의 간극(41')으로부터 손가락이나 핀셋 등의 파지 도구를 사용하여 유리 필름(2)의 코너부(22)를 파지하고, 지지체(3)로부터 유리 필름(2)을 박리함으로써 유리 필름(2)을 지지체(3)로부터 박리한다. 또는 PET 필름 등의 수지 필름과 같은 박리용 시트를 간극(41')으로부터 유리 필름(2)과 지지체(3) 사이에 삽입하고, 코너부(22)를 시단으로 해서 서서히 유리 필름(2)을 띄움으로써 유리 필름(2)과 지지체(3)를 박리시켜도 좋다. 지지체(3)에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박육부(4') 부근의 지지체(3)를 유리 필름(2)과 반대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유리 필름(2)의 코너부(22)를 파지할 수 있다. 박리 후의 유리 필름(2)은 각각의 용도로서(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의 유리 기판 등으로서) 전자 디바이스 등에 장착된다.
도 10,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1)의 다른 실시형태이다. 도 10은 장척인 수지 필름(PET 필름 등)제의 지지체(3) 상에 유리 필름(2)이 소정의 길이마다 단속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유리 필름 적층체(1)를 권회함으로써 롤체(6)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 적층체(1)의 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투롤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관련 처리의 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다. 각 유리 필름(2)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끝변(21)의 바로 아래에는 박육부(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은 지지체(3) 상에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유리 필름(2)의 끝변(21)을 따라 연속적으로 박육부(4')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등의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 및 유기 EL 조명의 커버 유리를 제작할 때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유리 필름 적층체 2 : 유리 필름
3 : 지지체 31 : 지지 유리
32 : 끝변 32 : 관통 구멍
4 : 박리 개시부 4' : 박육부
5 : 접착제층 6 : 롤체

Claims (12)

  1. 지지체에 유리 필름을 적층한 유리 필름 적층체로서,
    상기 지지체의 끝변은 상기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유리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코너부를 상기 지지체로부터 노출시키는 박리 개시부가 상기 지지체의 끝변으로부터 상기 지지체의 내방측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개시부는 직경 1∼30㎜의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이 상기 박리 개시부에 노출되어 있는 면적은 0.19㎟∼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개시부는 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5. 지지체에 유리 필름을 적층한 유리 필름 적층체로서,
    상기 지지체의 끝변은 상기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의 끝변부에는 두께가 부분적으로 작은 박육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 필름의 끝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박육부 상에서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상기 유리 필름의 적어도 1개소의 코너부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은 상기 유리 필름의 끝변으로부터 0.5∼15㎜의 폭으로 상기 지지체와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과 상기 지지체의 상기 박육부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은 0.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9.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지지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및 상기 지지 유리의 서로 접촉하는 측 표면의 표면 거칠기(Ra)는 각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및 상기 지지 유리는 각각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12.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KR1020127020275A 2010-07-28 2011-07-28 유리 필름 적층체 KR101804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9853A JP5585937B2 (ja) 2010-07-28 2010-07-28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JPJP-P-2010-169853 2010-07-28
JPJP-P-2010-285246 2010-12-22
JP2010285246A JP5692513B2 (ja) 2010-12-22 2010-12-22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PCT/JP2011/067215 WO2012014959A1 (ja) 2010-07-28 2011-07-28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113A KR20130086113A (ko) 2013-07-31
KR101804195B1 true KR101804195B1 (ko) 2017-12-04

Family

ID=4553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275A KR101804195B1 (ko) 2010-07-28 2011-07-28 유리 필름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3724B2 (ko)
EP (2) EP2703156B1 (ko)
KR (1) KR101804195B1 (ko)
CN (1) CN102770268B (ko)
TW (1) TWI527699B (ko)
WO (1) WO2012014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4348A1 (en) * 2011-06-08 2014-02-27 Yasuo Teranishi Method for cutting plate-like glass, and cutting device therefor
JP5849492B2 (ja) * 2011-07-25 2016-0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DE102011084129A1 (de) * 2011-10-07 2013-04-11 Schott Ag Glasfolie mit speziell ausgebildeter Kante
WO2015157202A1 (en) 2014-04-09 2015-10-15 Corning Incorporated Device modified substrate article and methods for making
JP2014194541A (ja) * 2013-02-26 2014-10-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086773B2 (ja) 2013-03-21 2017-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ガラス長尺体
JP6327580B2 (ja) * 2013-04-30 2018-05-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150001006A (ko) 2013-06-26 2015-0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리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CN103435257B (zh) * 2013-08-09 2016-04-27 刘国正 玻璃膜层叠板及其制造方法
TWI481578B (zh) * 2013-12-20 2015-04-21 Ind Tech Res Inst 捲曲玻璃基板之間隔元件
KR102353030B1 (ko) 2014-01-27 2022-01-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얇은 시트와 캐리어의 제어된 결합을 위한 물품 및 방법
JPWO2015152158A1 (ja) 2014-03-31 2017-04-13 株式会社Joled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剥離方法ならびに可撓性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260869B2 (ja) * 2014-06-13 2018-01-1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このガラスフィルムを含む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029771B2 (ja) * 2014-11-13 2016-11-24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被膜形成装置
JP2018500263A (ja) * 2014-11-26 2018-01-11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薄いガラスシート、並びにそれを形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635769B (zh) 2015-05-19 2020-09-15 康宁股份有限公司 使片材与载体粘结的制品和方法
EP3313799B1 (en) 2015-06-26 2022-09-07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rticles including a sheet and a carrier
DE102016218176A1 (de) * 2015-10-02 2017-04-06 Schott Ag Langzeitbiegbares Glasmateria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angzeitbiegbaren Glasmaterials
TW201737766A (zh) * 2016-01-21 2017-10-16 康寧公司 處理基板的方法
CN105979029A (zh) * 2016-04-27 2016-09-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
TW201825623A (zh) 2016-08-30 2018-07-16 美商康寧公司 用於片材接合的矽氧烷電漿聚合物
TWI821867B (zh) 2016-08-31 2023-11-11 美商康寧公司 具以可控制式黏結的薄片之製品及製作其之方法
JP6815159B2 (ja) * 2016-10-14 2021-0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1331692B2 (en) 2017-12-15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treating a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articles comprising bonded sheets
CN108657628B (zh) * 2018-04-03 2020-06-19 友达光电(厦门)有限公司 保护膜及其撕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505A (ja) * 2008-07-14 2010-01-28 Asahi Glass Co Ltd ガラス積層体、支持体付き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122B2 (ja) 1994-07-18 2000-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基板搬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N100569681C (zh) 2001-12-14 2009-12-16 康宁股份有限公司 溢流下拉熔制法制造平板玻璃的装置和方法
WO2007129554A1 (ja) 2006-05-08 2007-11-15 Asahi Glass Company, Limited 薄板ガラス積層体、薄板ガラス積層体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支持ガラス基板
JP4885675B2 (ja) 2006-09-27 2012-02-29 株式会社Nsc 貼合せガラス板の切断分離方法
US20090314032A1 (en) 2006-10-24 2009-12-2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ribbon produc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177790B2 (ja) 2006-10-24 2013-04-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リボン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691148B2 (ja) * 2008-10-01 2015-04-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594522B2 (ja) * 2009-07-03 2014-09-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製造用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JP5510901B2 (ja) 2009-09-18 2014-06-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処理方法並びに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CN102695685B (zh) * 2010-01-12 2015-02-11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玻璃膜层叠体及其制造方法以及玻璃膜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505A (ja) * 2008-07-14 2010-01-28 Asahi Glass Co Ltd ガラス積層体、支持体付き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1092A1 (en) 2012-10-17
EP2703156A1 (en) 2014-03-05
CN102770268B (zh) 2016-05-11
EP2511092B1 (en) 2015-01-28
WO2012014959A1 (ja) 2012-02-02
TWI527699B (zh) 2016-04-01
US9333724B2 (en) 2016-05-10
US20120135187A1 (en) 2012-05-31
EP2703156B1 (en) 2015-01-14
EP2511092A4 (en) 2013-05-08
TW201204555A (en) 2012-02-01
KR20130086113A (ko) 2013-07-31
CN102770268A (zh)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195B1 (ko) 유리 필름 적층체
KR101643993B1 (ko) 유리 필름 적층체
KR101899412B1 (ko) 유리 필름 적층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730901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유리 필름의 처리 방법 및 유리 필름 적층체
JP5692513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EP2548730B1 (en) Glass resin laminate, glass roll for taking up same and glass roll manufacturing method
JP5585937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JP2010215436A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JP6327437B2 (ja)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WO2014178404A1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WO2014178405A1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