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578B1 -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578B1
KR101798578B1 KR1020160129714A KR20160129714A KR101798578B1 KR 101798578 B1 KR101798578 B1 KR 101798578B1 KR 1020160129714 A KR1020160129714 A KR 1020160129714A KR 20160129714 A KR20160129714 A KR 20160129714A KR 101798578 B1 KR101798578 B1 KR 101798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hood
fire
exhaust gas
garag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순
Original Assignee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78B1/ko
Priority to PCT/KR2017/008249 priority patent/WO2018066798A1/ko
Priority to EP17858593.1A priority patent/EP3524755B1/en
Priority to CN201780062217.7A priority patent/CN109844242B/zh
Priority to US16/340,110 priority patent/US11111680B2/en
Priority to CA3042142A priority patent/CA3042142C/en
Priority to JP2019541060A priority patent/JP689518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서 차고지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홈 내측에 삽입 설치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승강프레임,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설치하며,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일측에는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후드, 차고지 내 소방차량의 배기가스를 차고지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배출배관부, 배기가스가 배출배관부를 통해 차고지 외부로 배출되게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배출팬, 승강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수단,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시, 흡입후드가 힌지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흡입후드의 흡입공 부분이 소방차량의 배기구 방향을 향하게 하는 회전연결부재, 소방차량의 배기구가 흡입후드의 상방 선측에 인접하게 정차 배치된 상태에서 소방차량의 바퀴를 걸림시키는 정차고정대, 소방차량의 정차고정대 정차여부를 감지하는 정차감지센서, 소방차량의 정차고정대 방향으로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 정차감지센서 및 차량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배출팬과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정차감지센서 및 차량감지센서의 신호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배출팬과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Discharge device for fire engine exhaust gas}
본 발명은 소방서의 차고에서 소방차량의 운전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흡입 배출되게 하는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도시에 위치하고 있는 소방서의 보유 차량들은 전부 디젤자동차로서 초기 시동 및 소방 활동 후 소방서에 복귀시 차고에서 차량을 운전할 경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소방대원들이 그대로 위험 물질에 노출되어 건강을 위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소방서의 디젤 자동차 운전 특성을 살펴보면 주로 아침에 비상점검(소방차량, 각종 통신장비 등)으로 인한 배출가스로 소방대원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고, 특히, 아침에 콜드(Cold) 상태에서 시동을 걸면 초기에는 연소 특성상 백연(White smoke), 시간이 약간 경과 하면 청연(Blue smoke)이 발생된다. 이러한 청연은 가스의 성분이 주로 알데히드로 되어 있어 눈이 따갑고 속이 미식미식 거리는 기분이 들어 인체에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완전 연소가 되면 NOx와 흑연(Black smoke)이 발생 되어 이는 인체뿐만 아니라 대기오염도 가중시키는 물질로 변해가면서 미세먼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앞서 살펴 보았듯 경유를 사용하는 소방차량의 배출가스가 인체에 유해한 요인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잔류가스가 차고지 내에서 순환하고 있어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공간에서 보내는 소방대원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흡입됨으로서 건강 위해 요인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소방서 차고지 내에서의 잔류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차고지의 셔터, 창문을 개방하여 환풍기 등으로 배출시키고 있는 실정이나, 잔류가스의 배출효율이 낮은 바, 소방서 차고지 내의 잔류가스를 외부로 안정적인 배출시키는 배기가스 배출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기가스 배출장치는 소방서 차고지 내의 공간부에 배관부 및 흡기부가 모두 돌출상태로 배치됨으로 인해, 차고지 내에서 소방차 및 소방관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선출원된 배기가스 배출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28379호(2006.03.29)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소방차 및 소방관의 이동반경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소방서의 차고지에 설치되며, 배기가스 배출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방서 차고지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홈 내측에 삽입 설치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설치하며,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일측에는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후드,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흡입후드에 연통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차고지 외부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차고지 내 소방차량의 배기가스를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배출배관부, 상기 배출배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출배관부를 통해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되게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배출팬,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수단,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흡입후드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시, 상기 흡입후드가 상기 힌지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후드의 흡입공 부분이 상기 소방차량의 배기구 방향을 향하게 하는 회전연결부재, 상기 차고지의 바닥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소방차량의 배기구가 상기 흡입후드의 상방 선측에 인접하게 정차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소방차량의 바퀴를 걸림시키는 정차고정대, 상기 정차고정대에 설치하며, 상기 소방차량의 상기 정차고정대 정차여부를 감지하는 정차감지센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소방차량의 상기 정차고정대 방향으로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 상기 배출팬과 상기 승강구동수단과 상기 정차감지센서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정차감지센서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팬과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정차감지센서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의 신호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상기 배출팬과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는, 소방서의 차고지 바닥의 가이드홈에 베이스프레임을 설치하고, 흡입후드가 승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구동수단에 의한 승강프레임의 상방 이동시, 회전연결부재에 의해 흡입후드의 타측이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된 바, 흡입후드의 일측은 소방차량의 배기관에 인접하도록 회전 이동됨으로써, 소방차량의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차고지 외부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평상시에는 소방서의 차고지 내에서 소방관의 이동이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홈 삽입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이드홈 삽입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0), 승강프레임(110), 흡입후드(120), 배출배관부(130), 배출팬(140), 승강구동수단(150), 회전연결부재(160), 정차고정대(170), 정차감지센서(180), 차량감지센서(190), 제어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소방서의 차고지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홈(10) 내측에 고정상태로 삽입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복수의 수직단위부재(101) 및 복수의 수평단위부재(102)를 상호 연결 결합한 사각형의 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0)의 상단에는 작업자나 상기 소방차량(1)의 바퀴가 빠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판(1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덮개판(11)는 망 구조의 덮개인 그래이팅을 선택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이후 설명될 승강프레임(110)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100a)를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가이드(100a)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단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승강프레임(110)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상기 가이드홈(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되게 하도록 복수의 고정볼트(103)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볼트(103)는 상기 가이드홈(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차고지 면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측에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103)의 축 부분(103a)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나사 결합되도록 관통 배치하며, 상기 고정볼트(103)의 헤드 부분(103b)은 상기 차고지 면에 밀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이 상기 가이드홈(1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103)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고정볼트(103)의 헤드 부분이 상기 차고지 면으로 가압력을 전달되게 하여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볼트(103)의 축 부분(103a)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볼트(103)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나사 결합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너트(104)를 체결 설치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단 선측에는 이후 설명될 회전연결부재(160)의 길이방향 일단을 걸림상태로 연결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고정고리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110)은 이후 설명될 흡입후드(12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즉, 상기 승강프레임(1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110)에는 흡입후드(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프레임(1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승강가이드(100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판부(111) 및 상기 한 쌍의 승강판부(111)의 저면 일측에 각각 결합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승강판부(111)에는 각각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로 상기 승강가이드(100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바(112)를 결합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113)에는 흡입후드(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114)를 결합 구비한다.
상기 흡입후드(120)는 상기 차고지 내 소방차량(1)의 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장한 후, 이후 설명될 배출배관부(130)로 이송되게 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흡입후드(120)는 상기 배기가스를 내측에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가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후드(120)는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후드(120)의 양측이 각각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브라켓부(113)에 형성된 힌지(11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후드(120)의 상단에는 상기 힌지(114)를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브라켓부(113)가 연결되도록 체결공(120a)이 형성된 연결판부(120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후드(12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방차량(1)의 배기관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내측의 공간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공(121)이 상기 흡입후드(120)의 내외측을 연결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후드(120)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공(121)을 통해 배기가스 이외의 각종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판(122)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필터판(122)은 망 구조를 가지는 그래이팅을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후드(12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걸림망 구조물을 선택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흡입후드(120)의 타측에는 이후 설명될 회전연결부재(160)의 길이방향 타단을 걸림상태로 고정 결합되게 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배관부(130)는 상기 흡입후드(120) 내측으로 유입 저장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흡입후드(120) 외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 이송되게 가이드 하거나 상기 차고지 내부에 부유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 이송되게 가이드하는 배관 라인이다. 이러한,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흡입후드(12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후드(120)의 저면 일측에 상기 흡입후드(12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와 연결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차고지 바닥의 가이드홈(10)을 통해 상기 차고지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배관부(130)는 연결배관(131), 배출배관(132), 실내연결배관(133), 댐퍼(13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배관(131)은 상기 흡입공(121)을 통해 상기 흡입후드(120) 내측으로 유입 저장된 상기 배기가스를 배출배관(132)으로 이송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배관(131)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흡입후드(120)의 저면 일측에 상기 흡입후드(120)의 내측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131)의 길이방향 타단은 배출배관(132)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배관(131)은 상기 가이드홈(10)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상기 흡입후드(120) 및 배출배관(132)과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11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배기가스의 배출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승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가요성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배출배관(132)은 상기 흡입후드(120)에서 연결배관(131)으로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 이송되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배출배관(132)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결배관(131)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배출배관(132)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차고지 외부에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배관(132)의 길이방향 타단 일측에는 상기 배기가스 내 유해성분을 걸러내도록 집진설비(도면미도시)를 연결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내연결배관(133)은 상기 차고지 내에 부유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배출배관(132)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실내연결배관(133)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배출배관(132)의 일측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실내연결배관(133)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차고지의 천정에 인접하도록 연장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연결배관(133)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유입구(135)가 형성되어, 이후 설명될 배출팬(140)의 흡입력을 통해 상기 차고지 내에 부유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유입구(135)를 통해 상기 실내연결배관(133) 내측으로 효율적인 흡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댐퍼(134)는 상기 배출배관(132)의 일측 내부 및 상기 실내연결배관(133)의 일측 내부에 결합 설치되어, 이후 설명될 배출팬(14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같은, 상기 댐퍼(134)는 배출팬(140)에 의해 상기 배출배관(132) 내측 개방 정도 및 상기 실내연결배관(133) 내측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배출배관(133) 내측 및 상기 실내연결배관(133) 내측을 통한 상기 배기가스의 배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댐퍼(134)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200)를 통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배출팬(140)은 상기 차고지 내부에서 상기 소방차량(1)의 운전시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흡입후드(120) 및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실내연결배관(133) 내측으로 유입되게 한 후,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배출배관(132)을 통해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배출팬(140)은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고지 외부에 배치될 수 있게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길이방향 타단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은 상기 승강프레임(110)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이다. 즉,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연결되도록 배치된 바,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승강프레임(110)으로 전달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110)을 상방으로 밀거나 하방으로 당겨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승강가이드(100a)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은 유압이나 공압 또는 전기를 통해 작동하는 실린더를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및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프레임(110)을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을 실린더로 적용한 경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린더 로드(152)가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실린더 바디(151) 부분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152)는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승강판부(111)에 고정상태로 연결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상기 실린더 로드(15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승강판부(111)가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연결부재(160)는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승강판부(111)가 상방으로 밀림되면서 이동시, 상기 흡입후드(120)가 회전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흡입후드(1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회전연결부재(160)는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승강판부(111)를 상방으로 밀림 이동되게 할 때, 상기 흡입후드(120)가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힌지(114)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후드(120)의 흡입공(121)이 형성된 일측 부분을 상기 차고지 바닥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하면서 상기 소방차량(1)의 배기관 단부에 인접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연결부재(16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고정고리부(105)에 연결하며, 상기 회전연결부재(16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흡입후드(120) 타측의 연결고리부(123)에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부재(160)는 연성을 가지는 와이어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110)이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은 최초 위치, 즉 상기 흡입후드(120)의 상면이 상기 차고지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후드(120)의 타측을 탄성 지지하고, 이후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상방 이동시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는 탄성력을 가지는 와이어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부재(160)는 탄성력을 가지는 와이어 부재 중에서도 코일 스프링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차고정대(170)는 상기 소방차량(1)의 바퀴 부분을 걸림 정지시키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정차고정대(170)는 상기 차고지 바닥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소방차량(1)의 배기구가 상기 흡입후드(120)의 상방 선측에 인접하게 정차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소방차량(10)의 바퀴 중 뒷바퀴를 걸림되도록 하면서, 상기 소방차량(10)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여, 상기 흡입후드(120)를 통해 상기 소방차량(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안정적으로 흡입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정차고정대(170)는 바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 전면에는 상기 소방차량(1)의 바퀴 부분을 걸림시키는 걸림홈(171)이 형성된다.
상기 정차감지센서(180)는 상기 정차고정대(170)에 상기 소방차량(1)의 걸림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즉, 상기 정차감지센서(180)는 상기 정차고정대(170) 일측에 설치하며, 상기 소방차량(1)의 바퀴가 상기 정차걸림대(170)의 걸림홈(171)에 삽입상태로 걸림 배치시, 이를 감지한 후 감지된 신호를 이후 설명될 제어부(20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차량감지센서(190)는 상기 소방차량(1)의 상기 정차고정대(170) 방향으로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즉, 상기 차량감지센서(190)는 상기 가이드홈(10)에 삽입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홈(10) 상방에 상기 소방차량(1)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한 후,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배출팬(140)과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배출팬(140)과 상기 승강구동수단(150)과 상기 정차감지센서(180)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2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배출배관부(130)에 구비되는 댐퍼(134)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댐퍼(13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정차감지센서(180)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190)의 감지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팬(140)과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정차감지센서(180)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190)로부터의 신호 입력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배출팬(140)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배출팬(140)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동운전제어모드, 상기 정차감지센서(180)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190)로부터의 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배출팬(140)나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운전제어모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동운전제어모드는 소방대방의 업무교대시에 상기 소방차량(1)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되게 하는 교대운전모드와, 평상시에 자동으로 상기 차고지 내 배기가스를 배출되게 하는 배기운전모드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의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의 배기가스 배출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에서 수동운전제어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정차감지센서(180)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190)로부터의 신호 입력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배출팬(140)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동운전제어모드일 경우에는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의 점검 또는 정비를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팬(140)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을 상기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200)에서 자동운전제어모드 중 교대운전모드로 설정될 경우, 이때, 상기 소방차량(1)이 교대를 위한 인수인계 상 상기 차고지 내로 주차하기 위해 상기 정차고정대(170) 방향으로 후진 이동할 때, 상기 차량감지센서(190)에서 상기 소방차량(1)의 이동을 감지하면서, 상기 배출팬(140)이 작동하며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실내연결배관(133)을 통해 상기 차고지 내 부유하는 배기가스를 흡입 배출되게 한다.
이후, 상기 소방차량(1)의 바퀴가 상기 정차고정대(170)에 걸림 정지되면, 상기 정차감지센서(180)에서 이를 감지한 후,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에서 전달받아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을 구동시켜, 상기 승강프레임(110)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상승에 따라 상기 흡입후드(120)도 대응되게 상승하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연결부재(160)에 의해 상기 흡입후드(120)의 타측은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고, 상기 흡입후드(120)의 일측은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110)이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상기 흡입후드(120)의 흡입공(121)은 상기 소방차량(1)의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방향에 나란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소방차량의 교대시 시동을 걸림 상태로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흡입후드(120) 내측으로 안정적인 유입 저장이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후드(120) 내측으로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는 상기 배출팬(14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연결배관(131) 및 배출배관(132)으로 순차 이송된 후, 상기 소방서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소방차량(1)의 교대를 위한 인수인계가 완료된 후에도 상기 제어부(200)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배출팬(140)과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을 정지시킬 때까지 상기 배출팬(140)과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200)에서 자동운전제어모드 중 배기운전모드로 설정될 경우, 즉 평상시, 앞서 설명한 교대운전모드가 완료된 후, 평상 업무를 하는 중 소방차량(1)이 출동하거나 임무완료 후 복귀하여 차고지에 주차를 할 때에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흡입 배출되게 한다. 즉, 상기 정차고정대(170)의 걸림 정차된 상기 소방차량(1)이 출동할 때, 상기 차량감지센서(190)에서 상기 소방차량(1)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배출팬(140) 및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댐퍼(134)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실내연결배관(134)을 개방되게 하여, 상기 실내연결배관(134)을 통해 상기 차고지 내 배기가스를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배출팬(140)은 2 ~ 3분 정도 작동한 후, 작동이 중지된다.
이후, 출동한 상기 소방차량(1)이 임무 완수 후, 상기 차고지로 복귀하여 주차를 할 때, 상기 차량감지센서(190)에서 상기 소방차량(1)을 감지하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배출팬(140) 및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댐퍼(134)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배관부(130)의 실내연결배관(134)을 개방되게 하여, 상기 실내연결배관(134)을 통해 상기 차고지 내 배기가스를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소방차량(1)의 바퀴가 상기 정차고정대(170)에 걸림 배치될 경우, 상기 정차감지센서(180)가 상기 소방차량(1)의 주차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을 구동시켜, 상기 승강프레임(110)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후드(120)를 통해 상기 소방차량(1)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안전하게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배출팬(140)은 2 ~ 3분 정도 작동한 후, 작동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는, 상기 소방서의 차고지 바닥의 가이드홈(10)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설치하고, 상기 흡입후드(120)가 상기 승강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150)에 의한 상기 승강프레임(110)의 상방 이동시, 상기 회전연결부재(160)에 의해 상기 흡입후드(120)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연결된 바, 상기 흡입후드(120)의 일측은 상기 소방차량의 배기관에 인접하도록 회전 이동됨으로써, 상기 소방차량의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차고지 외부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평상시에는 상기 소방서의 차고지 내에서 소방관의 이동이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소방차량 10: 가이드홈
20: 덮개판 100: 베이스프레임
110: 승강프레임 120: 흡입후드
130: 배출배관부 140: 배출팬
150: 승강구동수단 160: 회전연결부재
170: 정차고정대 180: 정차감지센서
190: 차량감지센서 200: 제어부

Claims (6)

  1. 소방서 차고지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홈 내측에 삽입 설치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설치하며,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일측에는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후드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흡입후드에 연통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차고지 외부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차고지 내 소방차량의 배기가스를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배출배관부와;
    상기 배출배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출배관부를 통해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되게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수단과;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흡입후드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승시, 상기 흡입후드가 상기 힌지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후드의 흡입공 부분이 상기 소방차량의 배기구 방향을 향하게 하는 회전연결부재와;
    상기 차고지의 바닥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소방차량의 배기구가 상기 흡입후드의 상방 선측에 인접하게 정차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소방차량의 바퀴를 걸림시키는 정차고정대와;
    상기 정차고정대에 설치하며, 상기 소방차량의 상기 정차고정대 정차여부를 감지하는 정차감지센서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소방차량의 상기 정차고정대 방향으로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 및
    상기 배출팬과 상기 승강구동수단과 상기 정차감지센서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정차감지센서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팬과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정차감지센서 및 상기 차량감지센서의 신호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상기 배출팬과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후드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배기가스 이외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도록 망 구조를 가지는 필터판이 더 결합 구비된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부는,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흡입후드의 공간부에 연통되게 결합하며,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가요성 구조를 가지는 연결배관과,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결배관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결합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차고지 외부로 연장 배치되어, 상기 흡입후드에서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차고지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배출배관, 및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배출배관의 일측에 연결 결합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차고지의 천정에 인접한 상태로 연장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차고지 내에 부유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배출배관으로 이송되게 가이드하는 실내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수직 배치된 상태로 결합 설치되며, 로드 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 결합되는 실린더 인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와이어 부재 인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코일 스프링 인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20160129714A 2016-10-07 2016-10-07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798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14A KR101798578B1 (ko) 2016-10-07 2016-10-07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PCT/KR2017/008249 WO2018066798A1 (ko) 2016-10-07 2017-07-31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EP17858593.1A EP3524755B1 (en) 2016-10-07 2017-07-31 Exhaust gas discharge device for fire engine in fire station
CN201780062217.7A CN109844242B (zh) 2016-10-07 2017-07-31 消防站中的消防车废气排放装置
US16/340,110 US11111680B2 (en) 2016-10-07 2017-07-31 Exhaust gas discharge device for fire engine in fire station
CA3042142A CA3042142C (en) 2016-10-07 2017-07-31 Exhaust gas discharge device for fire engine in fire station
JP2019541060A JP6895188B2 (ja) 2016-10-07 2017-07-31 消防署内の消防車排気ガス排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14A KR101798578B1 (ko) 2016-10-07 2016-10-07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578B1 true KR101798578B1 (ko) 2017-11-17

Family

ID=6080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714A KR101798578B1 (ko) 2016-10-07 2016-10-07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11680B2 (ko)
EP (1) EP3524755B1 (ko)
JP (1) JP6895188B2 (ko)
KR (1) KR101798578B1 (ko)
CN (1) CN109844242B (ko)
CA (1) CA3042142C (ko)
WO (1) WO20180667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038A (ko) 2018-08-06 2020-02-14 최정황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
KR102250684B1 (ko) 2020-02-21 2021-05-12 주식회사 씨엠씨텍 소방차량용 배기가스 배출 장치
KR102377575B1 (ko) * 2021-06-17 2022-03-23 주식회사 씨엠씨텍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430A (ja) 1998-08-25 2000-03-14 Taisei Corp 地下駐車場の換気方法
KR100560219B1 (ko) 2004-07-02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덕트 위치조절장치
JP2009167667A (ja) 2008-01-15 2009-07-30 Toyota Motor Corp 排気回収装置及びユニット式車庫
KR101054805B1 (ko) 2008-12-05 2011-08-05 교통안전공단 차량용 매연 포집 유도장치
KR101575122B1 (ko) 2014-10-06 2015-12-08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2254A (en) * 1977-01-04 1978-07-25 Grant James L Exhaust disposal system
US4216710A (en) * 1978-09-25 1980-08-12 Clayton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exhaust handling system
US5092228A (en) * 1990-11-02 1992-03-03 Pfeiffer Jr Edward A Exhaust distribution system
JPH07280311A (ja) * 1994-04-11 1995-10-27 Nisshin Seiki Kk ガス排出用ホース装置
US5542250A (en) * 1994-10-05 1996-08-06 Ball; Gordon M. Method and apparatus for actuating a direct source exhaust gas capture system
US5630751A (en) * 1995-07-12 1997-05-20 Energy Savings Products, Inc. Firehouse exhaust recovery system
US6306031B1 (en) * 2000-03-31 2001-10-23 Energy Savings Products Firehouse exhaust system
KR100652544B1 (ko) * 2005-09-28 2006-12-01 씨엠씨(주)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시스템
US20100066082A1 (en) * 2009-10-16 2010-03-18 Geoffrey Johannes Sylvain Aubert Connector system for exhaust extraction system
CN102632066A (zh) * 2012-04-11 2012-08-15 广东福迪汽车有限公司 汽车总成车间的汽车尾气排放收集系统
KR20170004553A (ko) * 2015-07-03 2017-01-11 씨엠씨(주) 소방서 차고지 매연 배출장치
CN104984974B (zh) * 2015-07-13 2017-04-19 江苏理工学院 一种新型移动式汽车尾气自动抽排系统
KR101740230B1 (ko) * 2015-08-12 2017-05-29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803785B1 (ko) * 2015-12-17 2017-12-04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CN105683668A (zh) * 2016-01-27 2016-06-15 吴鹏 一种公交车自然风空调系统
DE202016102324U1 (de) * 2016-04-19 2016-05-18 Kora Gmbh Abgasabsaugvorrichtung
KR20180013110A (ko) * 2016-07-28 2018-02-07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430A (ja) 1998-08-25 2000-03-14 Taisei Corp 地下駐車場の換気方法
KR100560219B1 (ko) 2004-07-02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덕트 위치조절장치
JP2009167667A (ja) 2008-01-15 2009-07-30 Toyota Motor Corp 排気回収装置及びユニット式車庫
KR101054805B1 (ko) 2008-12-05 2011-08-05 교통안전공단 차량용 매연 포집 유도장치
KR101575122B1 (ko) 2014-10-06 2015-12-08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038A (ko) 2018-08-06 2020-02-14 최정황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
KR102250684B1 (ko) 2020-02-21 2021-05-12 주식회사 씨엠씨텍 소방차량용 배기가스 배출 장치
KR102377575B1 (ko) * 2021-06-17 2022-03-23 주식회사 씨엠씨텍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4242B (zh) 2021-01-15
JP2019533131A (ja) 2019-11-14
EP3524755A4 (en) 2020-08-19
CN109844242A (zh) 2019-06-04
CA3042142C (en) 2021-04-20
CA3042142A1 (en) 2018-04-12
EP3524755B1 (en) 2021-12-29
JP6895188B2 (ja) 2021-06-30
EP3524755A1 (en) 2019-08-14
WO2018066798A1 (ko) 2018-04-12
US11111680B2 (en) 2021-09-07
US20200011072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578B1 (ko)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803785B1 (ko)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740230B1 (ko)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US4469198A (en) Outside rescue elevator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US4386680A (en) Emergency rescue system
US6318503B1 (en) Exterior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on a multi-storied building
CN116236712B (zh) 一种高层建筑火警时人员安全转移救援舱
KR102250683B1 (ko) 차고지 오염 관리 통합 시스템
CN113842575A (zh) 一种高速公路隧道救援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575122B1 (ko)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190156B1 (ko)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KR102377575B1 (ko)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CN103147684B (zh) 一种楼层密布式火灾疏散出口的载送梯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CN104888994B (zh) 移动式涂装实验车及其使用方法
KR20180013110A (ko)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US3337990A (en) Temperature controlled windows
CN207158565U (zh) 一种消防电梯轿厢内爬梯装置
CN2848265Y (zh) 高空滑道式营救消防车
CN113464204B (zh) 深基坑作业安全防护智能设备及安全防护方法
CN111659036A (zh) 一种住宅安全用消防设备
CN208756813U (zh) 高楼逃生装置
CN219733279U (zh) 一种逃生梯
JP2008527096A (ja) コークス炉制御装置
CN215505190U (zh) 一种高层建筑连体对接式逃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