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156B1 -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 Google Patents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156B1
KR101190156B1 KR1020100045034A KR20100045034A KR101190156B1 KR 101190156 B1 KR101190156 B1 KR 101190156B1 KR 1020100045034 A KR1020100045034 A KR 1020100045034A KR 20100045034 A KR20100045034 A KR 20100045034A KR 101190156 B1 KR101190156 B1 KR 10119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ressure
damper
platform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482A (ko
Inventor
윤명오
최금란
이영주
함승희
송혜미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15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 승강로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와 연동하여 개폐되며, 전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압댐퍼가 개폐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용 승강장의 급기량을 제어함에 따라 승강기용 승강장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을 유지하고 승강장의 방화문이 개방되는 경우 방연풍량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압댐퍼가 개폐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하므로 화재 발생 시 승강기용 승강장이 제연구역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Elevator vestibule door having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damper}
본 발명은 승강장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건축물의 승강기용 승강장으로 풍압을 공급하는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압댐퍼 장치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자동차압댐퍼와 댐퍼 작동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로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차압댐퍼 장치는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풍압이 송풍 통로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에 설치된 자동차압댐퍼로 유도되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로 자동차압댐퍼를 자동 개폐 제어하여 송풍기의 풍압을 건축물 화재 발생시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부속실이나 복도, 계단실, 승강기용 승강장과 같은 제연구역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송풍기의 배출 풍압에 의해 결정되는 제연구역의 급기량은 제연구역의 출입문 등을 통한 방연풍량을 보상하는 수준으로 결정된다.
참고로, 정풍량 방식의 송풍시스템에서는 건축물 실내의 제연구역에 대하여 예상되는 방연풍량(예컨대, 화재가 발생한 거실과 통하는 부속실이나 복도 혹은 승강기용 승강장의 출입문이 열릴 때마다 배출되는 방연풍량)을 산정하고, 이렇게 산정된 방연풍량을 보상하는 수준으로 상기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의 배출 풍압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연구역의 방연풍량을 보상하는 수준으로 송풍시스템의 배출 풍압을 상기 제연구역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에 따라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제연구역으로 화연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승강기용 승강장에 제연설비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건축물의 경우 그 승강기용 승강장이 제연구역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승강기용 승강장에 제연설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건축물에 설치되거나, 혹은 승강기용 승강장 신설 시에 설치되어 승강기용 승강장으로 풍압을 공급 혹은 차단하는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 승강로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와 연동하여 개폐되며, 전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압댐퍼가 개폐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용 승강장의 급기량을 제어함에 따라 승강기용 승강장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을 유지하고 승강장의 방화문이 개방되는 경우 방연풍량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은,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 승강로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와 연동하여 개폐되며, 전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압댐퍼가 개폐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용 승강장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압댐퍼는 길로틴형으로, 상기 승강장문에 천공된 댐퍼 통로를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댐퍼 통로를 개폐하는 댐퍼판과;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상기 댐퍼판과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댐퍼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 및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에 있어서, 상기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터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문에 천공된 댐퍼 통로의 전방에는 승강장 측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로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된 댐퍼 통로에 사람의 손이나 팔을 집어넣지 못하게 하는 차단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압댐퍼는 날개형으로, 상기 승강장문에 천공된 댐퍼 통로를 커버하고 각각의 양단에 상기 댐퍼 통로에 고정되는 힌지축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날개판과;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힌지부에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막대에 상기 복수의 날개판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하면 상기 복수의 날개판을 회동시켜 상기 댐퍼 통로를 개폐하는 날개판 개폐막대;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와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를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 및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자동차압댐터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문에 천공된 댐퍼 통로의 후방에는 승강장 측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로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압댐퍼가 개폐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하므로 화재 발생 시 승강기용 승강장이 제연구역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압댐퍼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승강장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의 승강기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도 2의 자동차압댐퍼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100)를 내장한 승강장문(20)이 승강기(10)용 승강장(S)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2는 도 1의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퍼(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승강장문(2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4는 도 1의 승강기(10)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20)의 자동차압댐퍼(100)는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에 설치된 댐퍼 작동 제어기(200) 및 압력 센서(300)를 포함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의해 개폐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는 길로틴형으로, 댐퍼판(101)과 스크루 샤프트(102) 및 모터(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퍼판(101)은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따라 승강한다.
상기 스크루 샤프트(102)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댐퍼판(101)과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댐퍼판(101)을 승강시킨다.
상기 모터(103)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102)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킨다.
상기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터(100)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의 전방에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장(S) 측에서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된 댐퍼 통로(21)에 사람의 손이나 팔을 집어넣지 못하게 하는 차단망(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판(101)을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102)와 모터(103)의 연동 구조는, 상기 모터(103)를 대체할 수 있는 유압펌프와 기어형, 피스톤형, 플런저형 등과 같이 상기 스크루 샤프트(102)를 대체할 수 있는 승강부재의 연동 구조로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압펌프와 승강부재의 연동 구조는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는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10) 승강로(11)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10)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문(20)의 적소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동 개폐 제어되어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 개시하도록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의 벽에 설치되며, 승강기(10)용 승강장(S)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개폐 제어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 개시하며, 예컨대 건축물의 화재 경보기의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화재 경보기가 작동함과 동시에 혹은 상기 화재 경보기의 작동 직후에 작동 개시하여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 경보기는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압력 센서(300)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미만이면 상기 모터(103)를 정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반대로 상기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이면 상기 모터(103)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온/오프 스위치(201)는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를 개시한다. 예컨대,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가 온 상태로 선택된 상태에서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가 개시되며,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가 오프 상태로 선택되면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가 취소되고, 수동 점검 혹은 수동 작동이 개시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표시기(202)는 상기 압력 센서(300)의 차압을 표시한다.
상기 압력 센서(300)는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화재 발생 지역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그 차압을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로 전달하며, 예컨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와 연결되는 도압관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 내부와 연결되는 도압관을 통해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한 도압관을 이용한 압력 감지 방식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100)를 내장한 승강장문(2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의 벽에 설치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를 온 상태로 선택하면, 이후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가 작동 개시하여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를 제어한다.
도 1에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상기 승강기(10)가 특정 층(도 1의 위층)에 정지한 상태에서 다른 층(도 1의 아래층)의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으로 풍압을 공급함으로써 해당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가 작동 개시하여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따라 승강하는 상기 댐퍼판(101)을 일부 개방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압력 센서(300)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예컨대, 거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구한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이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모터(103)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되는 풍압을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도 3에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특정 층(도 3의 위층)의 상기 승강기(10)가 개방됨에 따라 함께 개방된 상기 승강장문(20)에 설치된 댐퍼판(101)이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의 벽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은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와 개방된 승강기(10)를 경유하여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10)가 닫히고 나면, 이후 상기 압력 센서(300)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화재 발생 지역(예컨대, 거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구한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 혹은 미만인지에 따라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모터(103)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되는 풍압을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도 4에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특정 층(도 4의 위층)과 다른 층(도 4의 아래층) 사이로 상기 승강기(10)가 이동 중인 상태에서 각 층(도 4의 위층과 아래층)의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으로 풍압을 공급함으로써 해당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가 작동 개시하여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따라 승강하는 상기 댐퍼판(101)을 일부 개방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압력 센서(300)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예컨대, 거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구한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이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모터(103)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되는 풍압을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달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대한 수동 점검을 원하거나, 혹은 수동 작동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를 오프 상태로 선택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를 취소하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대한 수동 점검 혹은 수동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100)를 내장한 승강장문(20)이 승강기(10)용 승강장(S)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도 5의 날개형 자동차압댐퍼(100')의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낸 자동차압댐퍼(100')는 날개형으로, 도 1과 도 2에 나타낸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퍼(100)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이하에서는 그 구조적인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날개형 자동차압댐퍼(100')는 복수의 날개판(101')과 날개판 개폐막대(102'), 스크루 샤프트(103'), 모터(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퍼(100)를 대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날개판(101')은 상기 날개형 자동차압댐퍼(100')이 설치되는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커버하고 각각의 양단에 상기 댐퍼 통로(21)에 고정되는 힌지축(101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힌지부(102a)에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막대(102b)에 상기 복수의 날개판(101')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하면 상기 복수의 날개판(101')을 회동시켜 상기 댐퍼 통로(21)를 개폐한다.
상기 스크루 샤프트(103')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와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를 승강시킨다.
상기 모터(104')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103')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킨다.
상기 날개형 자동차압댐퍼(100')이 설치되는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의 후방에는 승강장(S) 측에서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망(3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하면 복수의 날개판(101')을 회동시켜 댐퍼 통로(21)를 커버하거나 개방하는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와 스크루 샤프트(103')와 모터(104')의 연동 구조는, 상기 모터(104)를 대체할 수 있는 유압펌프와 기어형, 피스톤형, 플런저형 등과 같이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와 스크루 샤프트(103')를 대체할 수 있는 승강부재의 연동 구조로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압펌프와 승강부재의 연동 구조는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승강기 11: 승강로
20: 승강장문 21: 댐퍼 통로
30,30': 차단망 100,100': 자동차압댐퍼
101: 댐퍼판 101': 날개판
101a: 힌지축 102,103': 스크루 샤프트
102a: 힌지부 102b: 고정막대
102': 날개판 개폐막대 103,104': 모터
200: 댐퍼 작동 제어기 201: 온/오프 스위치
202: 표시기

Claims (5)

  1.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10) 승강로(11)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10)와 연동하여 개폐되며, 전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압댐퍼(100,100')가 개폐되어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는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댐퍼 통로(21)를 개폐하는 댐퍼판(101)과;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댐퍼판(101)과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댐퍼판(101)을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102); 및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102)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모터(10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 개시하도록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의 벽에 설치되는 댐퍼 작동 제어기(200)에 의해 승강기(10)용 승강장(S)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차압을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고,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압력 센서(300)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차압 미만이면 상기 모터(103)를 정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반대로 상기 차압이 미리 설정된 차압 이상이면 상기 모터(103)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하며,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온/오프 스위치(201)는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를 개시하되,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가 온 상태로 선택된 상태에서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가 개시되며,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가 오프 상태로 선택되면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가 취소되고, 수동 점검 혹은 수동 작동이 개시되고,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표시기(202)는 상기 압력 센서(300)의 차압을 표시하며,
    상기 압력 센서(300)는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화재 발생 지역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그 차압을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로 전달하되,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와 연결되는 도압관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 내부와 연결되는 도압관을 통해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45034A 2010-05-13 2010-05-13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KR10119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34A KR101190156B1 (ko) 2010-05-13 2010-05-13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34A KR101190156B1 (ko) 2010-05-13 2010-05-13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82A KR20110125482A (ko) 2011-11-21
KR101190156B1 true KR101190156B1 (ko) 2012-10-12

Family

ID=4539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034A KR101190156B1 (ko) 2010-05-13 2010-05-13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1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439B1 (ko) * 2014-05-19 2015-09-08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자동 차압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잼
KR102091681B1 (ko) 2019-12-09 2020-03-20 박재현 승강로를 수직덕트로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KR20210062374A (ko)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아이딘랩 차압 조절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788B1 (ko) * 2018-10-29 2020-08-19 현대건설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CN114314277A (zh) * 2021-12-31 2022-04-12 苏州斯格别墅电梯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动双折平开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06B1 (ko) 2001-10-16 2004-03-11 박재현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06B1 (ko) 2001-10-16 2004-03-11 박재현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439B1 (ko) * 2014-05-19 2015-09-08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자동 차압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잼
KR20210062374A (ko)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아이딘랩 차압 조절 도어
KR102091681B1 (ko) 2019-12-09 2020-03-20 박재현 승강로를 수직덕트로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82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156B1 (ko)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KR101975737B1 (ko)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CN114303029B (zh) 综合烟气控制系统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JPWO2005102900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KR101288820B1 (ko) 건물의 제연 댐퍼 시스템
KR101798578B1 (ko)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20110125475A (ko)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KR20130006253U (ko) 제연 시스템 댐퍼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645959B1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WO2011162450A1 (ko)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JP201107960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902935B2 (ja)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開閉システム
JP6474206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5808196B2 (ja) 開閉制御装置
JP5713838B2 (ja) 開閉制御装置
CN107709215B (zh) 电梯装置
KR102472580B1 (ko) 자동 차압급기댐퍼를 구비한 고층건물 제연 시스템
KR1026469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JP4240902B2 (ja) エレベータの乗降用出入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