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940B1 -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940B1
KR102646940B1 KR1020210074176A KR20210074176A KR102646940B1 KR 102646940 B1 KR102646940 B1 KR 102646940B1 KR 1020210074176 A KR1020210074176 A KR 1020210074176A KR 20210074176 A KR20210074176 A KR 20210074176A KR 102646940 B1 KR102646940 B1 KR 10264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amper
damper
discharge
elevato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487A (ko
Inventor
원준호
Original Assignee
원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호 filed Critical 원준호
Priority to KR102021007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9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소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 하단 외부에 설치된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와;
상기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의 배출댐퍼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공기의 압력과 소음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과;
상기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에 각각 설치되어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신호를 각 배출댐퍼의 구동부에 신호를 절달하여 댐퍼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배출댐퍼컨트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Elevator hoistway movement noise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동통로 상단과 하단에 배출댐퍼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이동시 이동통로 내부에서 형성된 공기압력을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동통로를 제연구역의 급기댐퍼가 설치되는 급기풍도(송풍덕트)로 사용시 승강카문 일측 건물벽에 설치된 급기댐퍼를 엘리베이터승강카가 지나갈때 떨림현상이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일정 데시벨 이상이면 배출댐퍼를 개구시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일측 벽면에 이동통로를 형성한 후 전기적인 제어장치에 의해 승강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람 또는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는 상부와 하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승하강됨으로 상부로 올라갈때나 하부로 내려갈 때 공기를 압축하면서 승하강됨으로 압축공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파트 및 빌딩 등이 고층건물로 이루어진 관계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이동시 고층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강한 공기가 수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나타나는 연돌효과가 발생됨으로 승강카가 이동시 부딪쳐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신축하는 고층건물은 화재시 급기댐퍼에 송풍하는 별도의 송풍덕트를 설치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승강카 이동통로를 송풍덕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카 이동통로를 송풍덕트로 사용할 경우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급기댐퍼가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와 열결되도록 각 제연구역 마다 설치됨으로 고층건물의 각층수만큼 급기댐퍼 개수가 설치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이동통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급기댐퍼와 이동통로사이에 틈이 발생된 관계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지나갈때마다 바람에 의한 떨림현상이 생겨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7422호(공개일자 2019년03월15일)의 저소음 엘리베이터(이하 "선행기술" 이라한다)는 승강카 하부에 설치되는 카틀과 상기 카틀을 승강카에 고정시키는 제1 빔 사이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어 와이어로프를 통해 카틀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방진 방음부재; 및 상기 권상기 모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로 벽체에 설치되는 제2 빔과 승강로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방진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카틀과 카틀을 승강카에 고정시키는 제1 빔 사이에 설치되어 권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어 와이어로프를 통해 카틀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이 승강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서, 승강카가 이동통로에서 승하강시 이동되면서 형성한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 승강카가 이동하면서 형성된 공기의 압축에 의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은 검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74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이동통로 상단과 하단에 배출댐퍼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이동시 이동통로 내부에서 형성된 공기압력을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동통로를 제연구역의 급기댐퍼가 설치되는 급기풍도(송풍덕트)로 사용시 승강카문 일측 건물벽에 설치된 급기댐퍼를 엘리베이터승강카가 지나갈때 떨림현상이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일정 데시벨 이상이면 배출댐퍼를 개구시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이동통로로 유입된 연기를 이동통로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배출댐퍼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 하단 외부에 설치된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와;
상기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의 배출댐퍼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공기의 압력과 소음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과;
상기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에 각각 설치되어 압력센서 및 풍절음 노이즈센서 모듈에서 감지된 신호를 각 배출댐퍼의 구동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댐퍼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배출댐퍼컨트롤러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 하단 외부에 설치된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의 몸체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통로의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을 구성하는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4센서는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각각 배출댐퍼의 배출댐퍼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이동통로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는 화재시 엘리베이터 이동통로 내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동통로 상단과 하단에 배출댐퍼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이동시 이동통로 내부에서 형성된 공기압력을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동통로 상단과 하단에 배출댐퍼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이동시 이동통로 내부에서 형성된 공기압력을 배출시켜 압축된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동통로를 제연구역의 급기댐퍼가 설치되는 급기풍도로 사용시 승강카문 일측 건물벽에 설치된 급기댐퍼를 엘리베이터승강카가 지나갈때 떨림현상이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일정 데시벨 이상이면 배출댐퍼를 개구시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로 유입된 연기를 이동통로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각 배출댐퍼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엘리베이터 이동통로를 통하여 화재측 이외의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소음방지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이동통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치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배출댐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의 배출댐퍼컨트롤러와 각각의 센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각 배출댐퍼와 연결되는 압력센서와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과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발췌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소음방지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이동통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치구성도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0)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11)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11) 하단 외부에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를 설치한다.
이때 제1배출댐퍼(20)와 제2배출댐퍼(21)는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11) 상단 과 연결되도록 외부의 기계실 내에 설치되고,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는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11) 하단과 연결되도록 외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댐퍼(20)와 제2배출댐퍼(21)의 배출댐퍼컨트롤러(40)와 압력센서(34)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로 구성된 제1센서(30)와 제2센서(31)는 이동통로(11)의 상층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는 이동통로(11)하단에서 상부로 이격 설치된다.
즉, 일예로 건물이 25층인 경우 제1센서(30)는 이동통로(11)의 내측 18층에서 20층 사이에 설치되고, 제2센서(31)는 22층에서 25층사이에 설치되며, 제3센서(32)는 1층에서 3층 사이에 설치되고, 제4센서(33)는 4층에서 6층 사이의 이동통로(11) 내측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11)를 승하강하는 승강카(10)는 2개층에서 3개층 만을 이동시에는 소음이 작으나, 전층을 이동시에는 1층에서 승강되어 고속으로 운행시 25층의 경우 18층에서 25층 사이에 공기가 집중되어 압축공기를 형성하고, 상층에서 저층으로 이동시에는 1층에서 6층 사이에 압축공기를 형성함으로 이 구간을 지날때 소음이 가장 크게 발생됨으로 이의 압축공기를 센서가 감지하여 배출댐퍼컨트롤러(40)로 신호를 전달하고 배출댐퍼컨트롤러(40)는 해당 배출댐퍼의 날개를 개방시켜 이동통로(11)에 형성된 압축공기를 배출시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최근에 신축되는 고층건물의 경우 엘리베이터 이동통로를 제연구역의 급기댐퍼가 설치되는 급기풍도(송풍덕트)로 사용하도록 설계됨으로 엘리베이트 승강카문 일측 건물벽에 설치된 급기댐퍼를 엘리베이터 승강카가 지나갈때 떨림현상이 발생되는 소음을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로 감지하여 일정 데시벨 이상이면 소음을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와 연결된 배출댐퍼의 날개를 개구시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건물의 층수를 25층으로 설명한 것은 하나의 예시이고, 실제 건물의 이동통로(11)에 설치시에는 건물의 층수 높이에 따라서 이동통로(11)에 형성되는 압축공기층과 소음에 따른 데시벨을 측정하여 제1센서(30) 내지 제4센서(33)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의 배출댐퍼컨트롤러(40)와 연결되어 공기의 압력과 소음을 감지하는 압력센서(34)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는 하나의 케이싱에 유니트화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각각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에 각각 설치되어 압력센서(34)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로 이루어진 제1센서(30), 제2센서(31), 제3센서(32), 제4센서(33)에서 감지된 신호를 각 배출댐퍼컨트롤러(40)로 전달하면 각각의 배출댐퍼컨트롤러(40)는 각 배출댐퍼의 구동부에 신호를 절달하여 댐퍼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는 화재시 엘리베이터 이동통로(11) 내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연구역(50)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재시에는 엘리베이터 이동통로로 송풍시켜 각층의 급기댐퍼(60)를 조절하여 제연구역(50)의 차압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제1배출댐퍼(20) 내지 제4배출댐퍼(23)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제연구역(50)에 설치되는 급기댐퍼(60)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11)에 형성되는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화재시 화재가 발생된 제연구역(50)의 연기가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11)로 유입되어 다른 비화재층의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동통로(11)로 유입된 연기를 상기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 비화재층의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비시킬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제연구역(50)에 설치되는 급기댐퍼(60)는 급기풍도 앞부분에 급기풍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연구역의 옥내출입문(61) 또는 비상계단 방화문의 개폐에 따라 급기댐퍼(60)에 설치된 댐퍼컨트롤러로부터 제연구역(50)의 차압이 인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지하고 차압 40Pa이하면, 피난모드로 인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급기풍도를 만들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0) 이동통로(11)를 급기풍도록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급기풍도에 설치되는 급기댐퍼(60)를 엘리베이터 이동통로(11)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소방용 급기댐퍼(60)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평소에는 엘리베이터 이동통로(11)를 승강카(10)가 이동하면서 발생된 압축공기와 떨림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다가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면 급기댐퍼(60)와 각 배출댐퍼가 화재모드로 변경되어 제연구역의 차압을 유지하고 연기를 배출시기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화재시 각 배출댐퍼와 각 급기댐퍼가 화재모드로 바뀌는 것은 기존의 소방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능과 동일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중모드를 갖는 급기댐퍼(60)는 화재모드일 경우,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이지만, 출인문 등의 틈새로 연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제연구역(50)의 압력을 화재실 보다 40Pa~60Pa으로 차압을 유지하도록 송풍기의 풍량을 조절한다.
상기 급기댐퍼(60)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차압은 급기댐퍼의 센서에서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며, 상기 피난모드 상태에서는 화재층의 제연구역 방연 풍속은 0.5~ 0.7m/s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급기댐퍼(60)는 피난모드일 경우, 건물의 재실자가 화재를 피해 피난을 하면서 제연구역(60)의 옥내출입문(61) 또는 비상계단의 방화문을 일시적으로 개방하게 되고, 출입문 개방으로 인해 화재모드 때 제연구역에 유지했던 압력은 급속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연기가 제연구역 및 비화재층으로 침입, 확산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침투, 확산하지 못하도록 화재층의 피난층의 제연구역에는 0.5~0.7m/s의 방연 풍속과 옥내출입문(61) 비개방층의 제연구역에는 28Pa의 차압이 유지되도록 송풍기의 풍량을 조절하여 화재층 제역구역으로 유입되는 방연풍속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제연구역(50)에 설치되는 급기댐퍼(60)의 기능을 갖는 제1 내지 제4배출댐퍼를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60) 및 송풍기(도시없음)와 연계하여 작동되도록 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0)를 동작시킴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화재시 제연구역(50)에 설치된 급기댐퍼(60)와 더불어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배출댐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0)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11)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11) 하단 외부에 설치된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의 몸체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통로(11)의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의 몸체에 형성된 공기유입부(25)는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11)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는 상부와 하부가 막힌 상태이므로 승하강되는 승강카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는 각 배출댐퍼의 공기유입부(25)로 인입된 후 댐퍼의 날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는 상하부가 막힌 상태이므로 이동통로를 따라서 승강카(10)가 승강되면 이동통로(11)의 상층부로 공기를 모아 압축한 상태가 됨으로 제1배출댐퍼(20)의 제1센서(30)와 제2배출댐퍼(21)의 제2센서(31)가 압축된 공기와 소음을 감지하여 설치된 배출댐퍼컨트롤러(4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배출댐퍼컨트롤러(40)에 수신된 신호는 다시 날개의 개방각도를 결정하여 제1배출댐퍼(20)와 제2배출댐퍼(21)의 날개를 개방하게 됨으로 공기는 이동통로(11)와 연결된 공기유입구(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 이동통로의 상층부로 승강되는 승강카의 소음은 최소화된다.
이때 이동통로 하단에 설치된 제3배출댐퍼(22)의 제3센서(32)와 제4배출댐퍼(23)의 제4센서(33)도 상기 제1센서(30) 및 제2센서(31)와 동일한 작용을 하여 승강카가 하강시 이동통로의 하단에 형성된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 하단 외부에 설치된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는 평상시 압축공기를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하고, 화재시 엘리베이터 이동통로(11) 내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연구역(50)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엘레베이터 이동통로(11)와 연결되도록 제연구역(50)에 설치된 급기댐퍼(60)는 화재모드에서 제연구역(5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며, 상기 피난모드 상태에서는 화재층의 제연구역(50) 방연 풍속이 0.5~ 0.7m/s로 공기를 공급 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트 승강카(10)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11)를 급기풍도로 이동되도록 하여 화재신 사람을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의 배출댐퍼컨트롤러와 각각의 센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0) 이동통로(11)에 설치된 제1센서(30), 제2센서(31), 제3센서(32), 4센서(33)는 압력센서(34)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로 이루어진 각각의 센서는 필요에 따라서 유니트화 또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1센서(30), 제2센서(31), 제3센서(32), 4센서(33)는 제1배출댐퍼(20), 제2배출댐퍼(21), 제3배출댐퍼(22), 제4배출댐퍼(23)에 설치된 배출댐퍼컨트롤러(40)와 연결되어 감지된 신호를 배출댐퍼컨트롤러(40)로 보내게 된다.
상기 제1센서(30), 제2센서(31), 제3센서(32), 4센서(33)는 각각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로 이루어지고 압력센서(34)는 이동통로(11)에 형성된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고,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은 승강카(10)가 승강 또는 하강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하여 소정의 데시벨이상이면 배출댐퍼의 날개를 개방하여 압축된 공기를 배출시켜 소음을 최소화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각 배출댐퍼와 연결되는 압력센서와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과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발췌도로서, 본 발명의 제1센서(30), 제2센서(31), 제3센서(32), 제4센서(33)를 구성하는 압력센서(34)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34)는 공기압축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신호를 컨트롤러에서 배출댐퍼컨트롤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35)은 이동통로에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풍절음노이즈를 감지하여 배출댐퍼컨트롤러로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압력센서와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는 통상적으로 산업현장에서 활용되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11) 상단과 하단에 배출댐퍼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이동시 이동통로(11) 내부에서 형성된 상하부 공기압력을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로 유입된 연기를 이동통로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배출댐퍼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내용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승강카 11:이동통로
20:제1배출댐퍼 21:제2배출댐퍼
22:제3배출댐퍼 23:제4배출댐퍼
25:공기유입부 30:제1센서
31:제2센서 32:제3센서
33:제4센서 34:압력센서
35: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 40:배출댐퍼컨트롤러
50:제연구역 60:급기댐퍼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 하단 외부에 설치된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는 평상시 압축공기를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하고, 화재시 엘리베이터 이동통로 내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이동통로와 연결되도록 제연구역에 설치된 급기댐퍼는 화재모드에서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며, 상기 피난모드 상태에서는 화재층의 제연구역 방연 풍속이 0.5~ 0.7m/s로 공기를 공급 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카 이동통로를 급기풍도로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 하단 외부에 설치된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의 배출댐퍼컨트롤러와 연결되어 공기의 압력과 소음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과;
    상기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에 각각 설치되어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신호를 각 배출댐퍼의 구동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댐퍼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배출댐퍼컨트롤러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 상단 외부와 이동통로 하단 외부에 설치된 제1배출댐퍼, 제2배출댐퍼, 제3배출댐퍼, 제4배출댐퍼의 몸체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통로의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 및 풍절음노이즈센서모듈을 구성하는 제1센서, 제2센서, 제3센서, 4센서는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각각 배출댐퍼의 배출댐퍼컨트롤과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이동통로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KR1020210074176A 2021-06-08 2021-06-08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KR10264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76A KR102646940B1 (ko) 2021-06-08 2021-06-08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76A KR102646940B1 (ko) 2021-06-08 2021-06-08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87A KR20220165487A (ko) 2022-12-15
KR102646940B1 true KR102646940B1 (ko) 2024-03-13

Family

ID=8443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176A KR102646940B1 (ko) 2021-06-08 2021-06-08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9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193B2 (ja) * 1990-12-12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昇降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422A (ko) 2017-09-07 2019-03-15 김정호 저소음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193B2 (ja) * 1990-12-12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昇降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87A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4466B2 (en) Air supply damper for separately supplying leakage air flow and supplementary air flow,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moke control system utilizing the same
JP5447529B2 (ja) 階段吹き抜け及び給気シャフトを有する高層ビル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289665B1 (ko)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248807B1 (ko)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1026469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이동 소음방지 시스템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2645959B1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JP2003019221A (ja) 附室加圧排煙システム
JP4526174B2 (ja) 高層集合住宅及び加圧防排煙方法
KR100556676B1 (ko) 건물 샤프트내의 압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72580B1 (ko) 자동 차압급기댐퍼를 구비한 고층건물 제연 시스템
KR102645958B1 (ko) 인버터 송풍기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102565051B1 (ko)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CN111609508A (zh) 高层建筑的排烟装置
KR102272016B1 (ko) 계단실 급기 가압 방식의 댐퍼 시스템
JP201005894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8131569A (ja) 特別避難階段並びに非常用エレベーター用附室の加圧 給気装置
JPH0938223A (ja) 防火防煙設備
JP2003185206A (ja) 火災室の加圧排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