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051B1 -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 Google Patents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051B1
KR102565051B1 KR1020210081211A KR20210081211A KR102565051B1 KR 102565051 B1 KR102565051 B1 KR 102565051B1 KR 1020210081211 A KR1020210081211 A KR 1020210081211A KR 20210081211 A KR20210081211 A KR 20210081211A KR 102565051 B1 KR102565051 B1 KR 10256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pressure
room
fire
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319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102021008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0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3/00Special devices for ventilating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화재 시 실내로부터 부속실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소화 활동설비인 부속실 급기가압 설비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기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각 층으로 공급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해당 부속실의 요구되는 풍량을 공급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각 층으로 상시 공급량을 조절하여 부속실의 압력을 규정 압력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승강로 압력의 설정, 해당 층의 화재 발생 시, 개방되어 부속실로 실내의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보충량을 공급하는 방연댐퍼부, 및 방연댐퍼부를 제어하기 위한 방연제어부를 포함한다.
승강로 가압방식은 승강로를 덕트와 같은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승강로 내의 압력을 균일한 압력으로 취급되므로, 댐퍼의 선정이 각층 마다 균일한 크기로 선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승강로를 통한 누설이 반영되지 않으므로 덕트에 의한 직접 가압방식에 비하여 적은 풍량과 정압을 가지는 송풍기의 선정이 되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 송풍기로 공급되는 외기를 승강로의 압력에 의해 승강기도어를 통해 해당 층으로의 공기공급으로 부속실의 압력을 규정 압력 범위로 유지시키며, 화재발생 시, 방연 댐퍼부에 의해 부속실의 방연을 위해 요구되는 송풍량이 공급되어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흡입을 방지함은 물론,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2 논리회로에 의해 방연 풍량이 요구되는 화재 층에서만 방연댐퍼가 개방되고, 비 화재 층에서는 승강기도어를 통한 공기유입으로 비 화재 층에서 다수의 도어가 개방되어도 최소의 송풍량을 공급하여 방연 풍량이 유효하게 공급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Building smoke prevention system and building smoke prevention method using smoke damper module for hoistway pressurization method}
본 발명은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기가압 시스템은 건축물의 부속실에 덕트를 이용한 공기의 공급방식(Direct Pressurization System)과 승강로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Indirect Pressurization System)으로 구분되고 있는 것 중 승강로 가압방식의 특성을 이용한 시스템으로, 해당 층 부속실의 압력을 모의시험(Simulation)에 의해 규정의 압력범위에 이르는가를 확인하며, 화재 발생 시, 실내공간 출입 도어 개방에 따른 부속실에서 요구되는 방연 풍량을 공급하여,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빌딩(또는 고층의 공동주택)과 같은 시설물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또는 피난용 승강기 승강장, 피난 안전구역(이하,"제연 부속실"이라 함)에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나 유해가스가 제연 부속실로 유입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때, 도어 틈새의 누설량을 부속실에 공급하여 제연 부속실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규정된 압력으로 유지하고, 또한 제연 부속실의 문을 열었을 때 옥내에서 제연구역 내로 연기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방연 풍속을 얻기 위해 댐퍼를 장착한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0421805호(출원일 : 2001년 8월 31일)에서 개진된 승강로 가압방식은 1993년 3월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gy)의 NISTIR 5132 "Design of Smoke Control Systems for Areas of Refuge"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보호를 위한 논문의 내용에서 이미 직접 공급방식(Duct에의한 공급 : Direct Pressurization System)과 승강로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Indirect Pressurization System)으로 분류하였고, 유럽의 통합규정(BS EN 12101-6 : 2005)에서는 계단실을 통한 공기의 공급(1 개소 공급), 계단실과 부속실을 통한 공기의 공급(2 개소 공급), 계단실과 부속실, 승강로를 통한 공기의 공급(3 개소 공급) 등 다양하게 서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관계 규정에 의해 Duct에 의한 직접 공급 방식과 승강로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 두 가지로 구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각 방식은 운영의 특성으로 같은 급기가압 시스템이면서도 그 시스템에 설치되는 차압 및 방연 댐퍼의 선정 방법 및 운영 방법이 달라지게되므로, 승강로 가압방식의 댐퍼 크기의 결정 및 운영 조건에 의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로를 공기의 공급 및 분배를 위한 덕트의 역할로 이용하며,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운영되며, 누설량은 승강기의 도어 틈새를 이용하여 누설용 공기를 공급하고, 방연이 요구되는 층에서 만 댐퍼를 개방하고, 승강로 내의 압력을 적정한 설계범위에서 운전함으로써, 모든 피난 문이 닫힌 상태에서 누설량 만을 일정하게 공급 할 때에는 잉여 송풍량으로 계산되는 방연 풍량으로 인하여 급기 풍도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송풍기를 가변제어(VVVF Operation : Variable Volume Variable Friquency Operation)하며,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누설량은 물리적인 공기의 흐름을 모의시험(Simulation)에 의해 부속실 압력이 승강기 도어를 통한 공기의 유입과 부속실에서의 거실도어, 부속실 창호, 계단실을 통한 누설이 합에 의한 압력 범위가 적정 범위인가의 확인과 과 보충량(방연)공급을 위한 댐퍼의 설치로 승강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층과 그렇지 않은 층에 장착한 동일 규격으로 된 하나의 댐퍼를 통해 압력 감지기에 의해서 만 차압과 방연풍속을 제어하는 것으로, 기존 시스템에서의 댐퍼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제연 부속실 내부의 차압 유지를 하게 하고, 문이 열려 부속실의 차압이 떨어지면 차압의 증가로 인한 공기량이 증가하므로 이를 이용한 방연 풍량을 공급하도록 가동된다.
이때, 비 화재 층에서 다수의 문이 개방될 경우, 문이 개방된 비 화재 층으로 송풍량이 집중되어 실제 화재 층으로 송풍시키지 못해 방연 기능을 못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압력 감지기에 의한 댐퍼의 운전을 하므로, 도어가 개방되면 부속실의 압력 낙하로 인하여 댐퍼가 개방되는 시스템으로 피난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도 방연을 요구하는 것으로 인식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평상시는 물론, 화재 발생 시, 해당 층에 대한 방연 풍량 공급 효율을 향상시켜 부속실로의 연기유입을 차단하여 탈출로를 확보함에 따라, 건물 전체부속실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부속실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기본 구성과 기본적인 조건을 명시 한 것으로 화재의 발생, 피난의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화재 발생 후 각 단계 별로 부속실의 압력 상태를 분석적인 정의에 의해 가장 성능 발휘에 적합한 댐퍼를 선정하고, 가장 경제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 종래와는 다른 설계의 기법이 필요하다.
설계의 기법을 위하여 외국의 인용 문헌으로 유럽의 규정인 "BS EN 12101-6:2005"를 참조하여 부하의 계산방법에 적용하고, 송풍기에서 덕트(승강로)를 통해, 댐퍼를 통과한 공기가 부속실에 이르는 공기의 공급(Air Distribution)기술은 미국의 "SMACNA Construction Standard"와 "SMACNA HVAC Systems Duct Design"4th Edition을 참조하였으며, 댐퍼의 크기를 선정하는 미국의 "Honeywell 사에서 제작된 Damper Calculator 의 기본 공식"을 인용하였고, 일부 일본의 문헌을 인용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써, 송풍기에 의해 승강기의 승강로로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각 층의 부속실로 공급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해당 부속실의 압력을 시스템 구성을 위한 중요 요건인 도어의 적정 개방력을 위하여 승강로에서 승강기도어의 누설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부속실 압력을 개방력에 문제가 되지 않는 압력(60 Pa)이내로 유지되는가 확인하고, 해당 층의 화재 발생 시, 개방되어 방연 댐퍼에 의한 공기의 공급으로 거실에서 부속실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방연 댐퍼부 및 방연 댐퍼부를 제어하기 위한 방연제어부를 포함하고, 평상시 송풍기로 공급되는 외기를 부속실에서 요구되는 최대 압력 이내가 되도록 승강로 압력을 설계 계산을 위한 모의시험(Simulation)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키며, 화재 발생 시, 방연 댐퍼부에 의해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량을 공급하여 연기흡입을 방지함은 물론,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부속실의 압력을 규정 압력 범위(40 Pa ~ 60 Pa)로 유지하기 위한 승강기 도어의 누설 틈새에 의한 공기유입량 과 거실도어, 부속실 창호, 계단실 도어 누설량의 총합의 모의 시험(Simulation)에 의한 규정 압력 이내의 확인과 거실로부터의 연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댐퍼부는 승강로의 압력과 부속실의 압력 차에 의하여 기류(송풍량)가 형성되며, 승강로 가압방식의 특징으로 건축물의 최상층부의 승강로 압력과 최하층부의 승강로 압력에는 압력의 차이가 아주 작으므로, 각 층마다 댐퍼를 통하여 흐르는 송풍량은 같으며, 이를 설계 계산(건축물 형태에 따른 부하량)에 의해 부하의 용도별 방연 댐퍼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댐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급기 가압 제연설비에 사용되는 덕트에 의한 직접 공급방식에서 덕트 설계의 기본은 압력 설계에 의한 것으로 송풍기에서 가압 된 공기가 덕트 경로상을 통과하면, 덕트의 저항에 의해 압력이 감소되므로, 최하층의 압력과 최상층의 덕트 내의 압력은 많은 차이가 있으나, 승강로 가압 방식은 승강로의 압력의 차이가 아주 작으므로 승강로의 압력을 평균 압력으로 취급하므로, 각층의 승강로 압력과 부속실의 압력 상태는 동일한 조건으로 방연용 댐퍼의 통과 풍량은 각 층마다 같아지게 된다.
승강로 가압방식에서 방연 풍량이 요구될 때에는 방연댐퍼가 개방되어 공급되는 방연 풍량은 같으며, 누설 풍량은 부속실의 압력이 방연을 위한 최소압력이 되므로, 거의 없는 상태이며, 방연 댐퍼와 승강기 도어의 누설 틈새를 통해 공급이 된다.
또한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실내(거실) 도어, 부속실 창문, 계단 도어를 통한 누설량과 화재 층에서 실내(거실) 도어 및 계단 도어가 개방되면, 계단실의 압력이 낙하하므로, 비 화재 층 부속실에서 계단 도어를 통한 누설이 증가한다.
이때의 변화를 분석적인 기법으로 분석하여 설계의 기법에 적용하여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설계에 반영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기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승강로에 공급되는 외기를 각 층으로 공급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해당 층 부속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압력의 설정, 모든 해당 층으로 화재 발생 시 요구되는 부속실의 압력이 시스템 구성 요건을 위한 최대압력(60 Pa) 범위 이내이며, 규정에서 요구되는 최소압력(40 Pa)의 범위에 있는가를 모의시험(Simulation)에 의해 확인하며,
하나의 해당 층에서 화재 발생 시, 개방되어 부속실로 실내의 연기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풍량을 공급하기 위한 방연 댐퍼부 및 방연 댐퍼부를 제어하기 위한 방연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송풍기에 의해 외기가 공급되기 위한 송풍 공기의 공급로로 사용되고, 방연 댐퍼부는 상기 승강로와 부속실을 연통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때, 승강로의 압력은 최상층과 최하층의 압력의 차이는 덕트의 설계방법을 사용하여 압력을 산출한 결과 약 0.35 Pa의 차이를 가지므로 전체적으로 평균 값에 대하여 ±0.175 Pa의 차이를 가지므로 승강로의 압력을 평균 압력으로 취급하면, 부속실과의 차압이 모든 층에서 일정하므로, 방연 댐퍼의 크기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방연 댐퍼부 유효면적은 규정에 의한 댐퍼의 개방 각에 의해 결정 된다.
상기 방연 댐퍼부는, 부속실과 승강로의 설치공간에 의한 특징으로 가로 길이는 짧고, 세로 길이는 유효면적에 의해 상대적으로 길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방연 댐핑공간부, 상호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댐퍼 날개를 횡(수평) 방향으로 설치하여, 방연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방연 댐퍼날개를 상호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켜 송풍량을 공급하는 방연 댐퍼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건물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 센서, 및 상기 부속실에 구비 된 실내 출입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개폐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방연제어부는 화재 감지센서 및 실내 출입도어의 개폐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회로를 통해 상기 방연 댐퍼부를 온/오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부속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내 출입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화제감지 센서는 각 실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도어 개폐센서는 각 출입도어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논리회로는, 해당 실내의 화재 감지센서의 신호와 해당 출입도어의 도어 개폐센서의 신호를 동 시간대에 감지될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또는 단수)의 제1논리회로, 및 상기 제1논리회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방연제어부로 방연댐퍼를 구동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의 제2논리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방연제어부는 상기 제2논리회로의 방연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방연댐퍼부를 개방시켜 부속실로 방연풍량을 공급하여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방연 댐퍼모듈의 규격은 상기 부속실의 형태에 따라 계산된 부하량에 의해 하며, 상기 방연댐퍼부는 "방연 풍량 - 부속실 압력이 최소압력일 때의 승강기도어 통과 풍량 = 방연 댐퍼 통과 풍량"에 의한 유효면적을 선정하며, 상기 송풍기의 선정은 "부속실 압력이 규정 기준 압력의 70% 일 때 승강기도어를 통과 하는 공급풍량 × (부속실 수 - 방연댐퍼 적용 수) = 누설량"과 "규정의 방연 풍량 × 방연 댐퍼 적용 수", "비 화재 층의 피난에 의한 도어의 개방 율에 의한 "도어의 개방 수 × (부속실 압력이 최저 압력 일 때의 방연댐퍼 송풍량 - 설정압 70% 일때의 승강기 도어를 통한 송풍량) = 피난에 의해 추가 소요되는 풍량"으로 부분 산정하고, 상기 승강기도어를 통한 누설 송풍량, 피난에 의한 도어의 개방으로 증가된 송풍량, 방연 댐퍼부의 송풍량의 합과 소방법의 규정에서 요구하는 송풍기 풍량 선정 안전율을 적용하여 선정한다.
그리고 상기 부속실은 승강기도어 및 방연 댐퍼모듈을 통과한 외기를 상기 부속실로 토출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연 댐퍼부 송풍량 선정에서 엘리베이터 도어를 통한 유입량은 모의 시험(Simulation)에 의해 반영하였다.
또한, 부속실의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승강기도어를 통한 공기 유입량과 거실로부터의 연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댐퍼부는 승강로의 압력과 부속실의 압력 차에 의하여 기류(송풍량)가 형성되므로, 승강로 가압시스템에서는 모든 층이 승강로와 부속실의 차압이 같아 건축물의 형태에 따른 부하량에 의한 차이는 있으나 각 층 마다의 댐퍼의 크기는 같으므로, 댐퍼의 제조시에 TAB(Test, Adjust and Balancing) 작업을 실시하여 균등한 송풍량으로 조정한 후 방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설계기법에 의해 계산된 부하량에 대하여 분석한 누설 댐퍼와 방연댐퍼의 개략적인 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화재로 인한 부속실의 압력상태를 분석하면, 모든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와 화재 층 실내(거실)의 도어와 계단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비 화재 층에서 피난을 위하여 실내(거실)의 도어와 계단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로 구분이 된다.
모든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부속실이 임의 설정된 승강로의 압력과 부속실의 누설량에 의해 승강기도어의 틈새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량으로 규정 압력 범위로 유지된다.
화재 층 및 직상 층, 피난에의해 비 화재 층의 실내(거실) 도어와 계단 도어가 개방되면, 모두가 부속실의 압력은 화재 층에서는 방연 댐퍼를 개방시켜 방연 풍량을 실내(거실)로 공급하여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류의 생성을 위한 최소압력을 유지하며, 비 화재 층에서는 방연 댐퍼가 닫힌 상태로 승강로와 부속실의 압력차이에 의해 승강도어를 통한 틈새로 공급된 풍량에 의해 실내(거실)로 기류가 생성되는 최소 압력(거의 대기압에 가깝다.)으로 된다.
이때, 모든 도어가 닫힌 경우의 계단실 압력은 부속실의 압력보다 조금 낮은 상태이지만, 화재 층 및 피난에 의해 비 화재 층의 실내(거실) 도어 및 계단 도어가 개방되면, 계단실 압력은 기류 형성을 위한 최소압력으로 당초의 계산된 압력보다 하락하게 됨을 각 단계별 시뮬레이션 계산에 의해 알 수 있다.
이때, 계단실 압력이 대기압의 상태가 아닌 부속실로부터 계단실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기위한최소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계단실의 개방된 도어를 제외하고는 자동 폐쇄장치에 의하여 폐쇄되었고, 창문에서도 역시 폐쇄 될수 있게 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여, 최소의 개방된 계단실 도어를 구성하므로, 계단실의 압력을 최소 압력 이상으로 유지 시키게 한다.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의 부속실 압력의 경우와 누설량과 방연이 요구되는 거실 및 계단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비 화재 층의 부속실에서 규정 압력의 70% 이상의 누설량을 비교하면, 계단실 압력하락으로 계단 도어의 누설량이 증가하므로 비 화재 층의 필요 누설 공급량이 증가하고, 비 화재 층의 누설량이 더 크므로, 이를 기준으로 전체 누설량을 계산하고,
여기에 화재 층에서 방연 풍량을 공급하기 위한 방연 댐퍼의 크기를 "방연 풍량 - 부속실 최저 압력일 경우의 승강기도어를 통한 공기유입량 = 방연 댐퍼 선정 풍량"이 된다.
방연 댐퍼는 화재 층에서만 열리고, 그 외의 층에서는 화재 신호가 없으므로 닫혀 있는 상태로, 승강로와 부속실, 외기로의 공기유동으로 부속실 압력을 규정압의 70%로 유지되는가를 모의시험(Simulation)에 의해 확인이 된다.
이때 계수의 오류를 보완하기 위해 규정 압력의 70% 이상 유지하기 위해 약간 높은 압력으로 설계 계산에 반영한다.
비 화재 층에서 도어가 개방되면, 부속실 압력은 기류 생성을 위한 최저 압력(거의 대기압에 가깝다.)으로 변화하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압력과 부속실의 압력 차이가 커지는 결과로 공급 풍량은 증가하지만, 최소 풍량 만을 공급하게 되고, 피난을 위한 도어의 개방율에 의해 "도어 개방에 의한 최소 공급 풍량 - 규정압의 70% 유지를 위한 공급 풍량 = 도어 개방율에 적용하는 풍량"으로 도어의 개방 수에 이 풍량을 곱하여 송풍기에서 추가로 필요로 하는 풍량 선정에 적용한다.
그리고 송풍기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로로 외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외기공급 단계, 상기 방연 댐퍼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해당 부속실로 승강기도어 틈새를 통한 공기의 공급으로 규정 압력이상으로 유지되는 누설운영 단계, 및 상기 방연 댐퍼모듈의 화재 감지센서 신호와 도어 개폐 센서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방연 댐퍼부를 온/오프 운전하여 해당 부속실로 외기를 공급하여 화재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연 운영단계를 포함한다.
부속실로 공급되는 송풍량을 산정하기 위한 누설량의 산정기준을 "화재 안전기준"에서 명시한 "제12조(누설 틈새의 면적 등)"에서 방화문의 경우에는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문 세트(KSF 3109」에 따른 기준을 고려하여 산출 할 수 있다. 를 적용하여, KS 기준의 규정 값에 의한 시험 기준과 결과를 반영하되, 그 결과 값의 120% 정도 수준의 값으로 분석한다. 그러므로 통상의 누설량 설계 계산과 비교하면, 약 65% 이하가 되므로 시험의 결과를 반영하여 문헌 또는 규정에 의한 설계 계산보다 경제적인 시스템 구성을 위하여 적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승강로 가압방식에 설치되는 방연 댐퍼모듈 및 승강로 가압방법의 운영 방법에 의하면, 평상시 송풍기로 공급되는 외기를 누설 댐퍼부에 의해 해당 층으로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부속실의 압력을 규정 압력 이상으로 유지시키며, 화재 발생 시 방연 댐퍼부는 도어의 개방과 화재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화재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흡입을 방지함은 물론,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또한, 댐퍼의 크기를 건축물의 부하에 의해 모듈화 한 일정한 크기로 하고, 현장에서의 TAB 작업이 아닌 제조 시 TAB 작업에 의하여 설정하므로 균등한 송풍량을 공급하고, 비 화재 층에서 도어가 개방되어도 최소 송풍량을 공급하고, 비 화재 층에서 다수의 도어가 개방되어도 화재 층으로 공급되는 방연용 송풍량이 설계 계산에의해 요구하는 송풍량을 공급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본 발명에의해 제작되는 새로운 제품을 적용하였을 때의 설계의 기법을 각 부속실의 누설 및 방연 댐퍼의 운전에 의한 압력 상태를 고려한 송풍기의 선정,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설계에 적용하므로 종래의 방법보다 합리적이고,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설계의 기법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연댐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댐퍼 모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연댐퍼 모듈이 설치된 건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댐퍼 모듈의 제어를 위한 논리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피난행동에의한 누설과 방연의 운영단계 Flow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게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 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을 설명 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모의시험(Simulation)하는 각각의 상태인 승강로, 부속실의 압력과 문헌에 의한 누설 틈새와 KS 기준에 의한 시험 기준,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계산 값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해를 돕는다.
승강로 압력을 건축물의 부하에 따라 42 ~ 50 Pa로 설정하여 운전하며, 이때의 부속실 압력은 아래 표와 같다.
누설만 있을 경우의 승강로 및 부속실의 압력 계단실 압력 : 39.958 Pa 기준
구 분 1 세대 2 세대 3 세대 4 세대
승강로 압력 42.000 42.000 46.500 50.000
누설 풍량 156.972 285.628 443.675 518.385
부속실 압력 41.23338 39.28089 40.37557 39.48367
승강기 유입 156.972 285.628 443.675 518.385
비고 : 규정 압력 40 Pa 이하는 그 오차 만큼 승강로 압력을 상향 설정 한다.
시험 시 승강로 및 부속실의 압력 계단실 압력 : 39.958 Pa 기준
구 분 1 세대 2 세대 3 세대 4 세대
승강로 압력 42.000 42.000 46.500 50.000
누설 풍량 410.451 522.720 651.828 764.852
부속실 압력 36.75846 33.49892 33.28088 31.79918
승강기 유입 410.451 522.720 651.828 764.852
비고 : 규정 압력 40 Pa 의 70%인 28 Pa 이상으로 적합한 압력 범위에 있다.
문헌에 의한 승강기 도어의 누설 틈새는 0.06 m2/개소이며, KS의 누설량 0.9 m3/min·m2 - 25 Pa 에서 동일 차압에 의한 도어의 누설 틈새를 환산하면, 0.00759 Pa로 승강기 도어의 7.905 배이므로, 누설틈새 및 승강로, 부속실, 외기의 압력으로 누설의 계산을 모의시험(Simulation) 한 결과 값이다.
또한, 문헌의 누설 틈새의 오류를 감안 한 문헌 값의 50% 값과 비교하면, 3.952 배의 차이를 갖는다.
하나의 부속실을 기준으로 도어가 닫힌 경우는 직렬누설에 의한 압력의 차이를 갖지만, 도어가 개방되면, 방연을 위한 기류 형성을 위한 최소압력 이하로 부속실이 낙하하므로, 승강로와 부속실(거의 대기압의 상태)의 차압에 의해 승강기 도어 에서의 공기유입이 증가한다. 이는 피난을 위한 도어의 개방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연 댐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댐퍼 모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연 댐퍼모듈이 설치된 건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댐퍼 모듈의 제어를 위한 논리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피난 행동에 의한 누설과 방연의 운영단계 Flow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 가압방식에 설치되는 방연댐퍼모듈(10)은 송풍기(20)에 의해 건물 내부 승강로(30)로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각 층으로 공급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해당 부속실(40)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방연댐퍼부(200) 및 방연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물에는 별도의 덕트가 구비되지 않고, 엘리베이터가 승강되는 승강로(30)와 계단실(50)이 형성되며, 외기는 승강로(30)로 공급된다.
누설량은 해당 층 부속실(40)의 압력을 규정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는 승강로로부터 승강기 도어를 통한 공기의 유입량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방연댐퍼부(200)는 해당 층의 화재 발생 시, 온/오프 운전에 의해 개방되어 부속실(40)에서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송풍량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종전에는 댐퍼를 비례 운전에의해 차압의 조절과, 도어 개방에 의해 부속실 압력 낙하로 인해 댐퍼가 100% 개방되었으나, 당 시스템에서는 승강기 도어를 통한 공기의 유입으로 규정압력의 유지가 되는 승강로 압력을 설정하고, 방연 풍량이 요구되는 층에서만 논리회로에 의한 댐퍼의 온/오프 운전에 의해 구동되므로, 비례 제어장치가 필요 없으며, 논리회로에 의한 시이퀀스(Sequence) 만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릴레이(Relay) 회로만을 갖는다.
방연제어부(300)는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승강로(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으로 외기의 신선공기를 부속실로 송풍시키기 위한 것으로, 메인승강로(32)와 송풍승강로(34)로 편의에 의해 구분 표현하며, 모두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가 승강되기 위한 메인승강로(32)와 송풍승강로(34)는 송풍기(20)에 의해 외기가 공급되기 위해 형성된며, 이 메인승강로(32)와 송풍승강로(34)는 연통된다.
그리고 방연 댐퍼부(200)는 방연 댐퍼프레임(12)에 구비되어 승강로(30)와 부속실(40)을 연통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방연 댐퍼부(200)의 제어를 위한 유효면적은 도어 및 창문 등의 누설 수량에 의해 계산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승강로와 부속실의 차압에 의하여 방연댐퍼부(200) 제어를 위한 유효면적으로 형성된다.
각층에 설치되는 승강기 도어 하나를 설치하는 경우와 피난용 승강기의 설치에 따른 시스템의 구분과 건축물 형태에 따른 누설량 부하에 따라 승강로의 압력 설정을 변화시켜 시스템을 구성 할 수 있다.
실시 예로, 기본 모듈의 댐퍼의 폭은 500mm로 하여, 날개의 크기를 70mm로 제작 할 경우 방연댐퍼부(200)는 21개의 날개를 갖는 1470mm 높이의 모듈로 구분한다.
상기 댐퍼의 크기는 승강로의 압력, 방연 풍량 공급 시의 요구되는 부속실의 압력을 조건으로 모의 시험(Simulation)에 의한 규격을 선정하므로 도면에서의 표기가 제한되므로, 아래의 표로 모의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단위 m, m2
구 분 가 로 세 로 상당경 유효면적 날개 수 소 계
댐퍼 호칭크기 0.500 1.470 0.905 0.644 0.644
날개 유효폭 0.500 0.035 0.115 0.010 21 0.217
날개의 폭 0.070 개구 율 33.79%
날개의 두께 0.003 방연풍량 5,292.00 CMH
승강기 도어 유입량 1,151.99
방연 댐퍼 공급 4175.29 밸런스 35
위표는 승강로압력을 42 Pa로 설정하였을 때의 경우이며, 승강로 압력을 좀 더 높이면 승강로와 부속실의 차압이 커지므로 댐퍼의 유효면적은 작아져도 되므로, 현장 설치에 적절하게 댐퍼의 가로 폭을 조정하여 제작된 댐퍼로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방연 댐퍼부(200)는 방연댐퍼 프레임(12)과 방연 댐퍼날개(220) 및 방연 댐퍼구동부(230)를 포함한다.
방연댐퍼 프레임(12)의 내부에 방연댐핑공간부(2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방연댐핑공간부(210)의 좌우 넓이는 설치공간을 고려하여 최소의 규격으로 하며, 좌우 방향 길이보다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방연 댐퍼날개(220)는 상호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루버형(Louver)댐퍼 형태를 가지며 날개를 횡(수평) 방향으로 설치하며, 방연 댐핑공간부(210)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위치되도록 방연댐퍼 프레임(12)에 구비된다.
방연 댐퍼구동부(230)는 방연 댐퍼날개(220)를 회전시키도록 방연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며, 방연 댐퍼날개(220)의 개방은 온·오프 제어에 의해 100% 개방과 폐쇄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에는 화재감지센서(500) 및 도어개폐센서(600)를 포함한다.
기존의 시스템과의 차이점으로 압력에 의한 제어가 아닌, 누설틈새에 의한 물리적인 공기 유동에 의한 모의시험(Simulation)으로 부속실 압력을 규정압력에 부합하는가를 확인 한다.
여기서, 모의시험(Simulation)은 상술한 유럽의 통합규정(BS EN 12101-6 : 2005)의 산정식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수치를 적용하여 반복 실시한다.
화재감지센서(500)는 건물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도어개폐센서(600)는 부속실(40)에 구비된 실내공간 출입도어(4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방연제어부(300)는 모든 도어가 닫혀있을 때, 부속실(40)의 기준압력이 유지되도록 방연댐퍼부(2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승강기 도어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로 인하여, 실내(거실)에서 부속실로 피난 시에 도어의 개폐가 원활할 수 있게 도어 개폐력에 지장을 주지 않는 압력을 유지하도록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승강로 압력을 설정한다.
그리고 화재감지센서(500)의 신호와 도어개폐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회로(310)를 통해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여 해당 부속실(40)로 방연을 위한 송풍량을 공급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가 부속실(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각 부속실(4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내(거실)공간 출입 도어(42)가 구비된다.
그리고 화재 감지센서(500)는 각 실내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도어 개폐센서(600)는 각 출입도어(42)에 각각 구비된다.
논리회로(3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논리회로(312)와 제2논리회로(314)를 포함한다.
제1논리회로(312)는 해당 실내공간의 화재감지센서(500)의 신호와 해당 출입 도어(42)의 도어개폐센서(600)의 신호를 동 시간 대에 감지될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실내공간 출입 도어(42)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2논리회로(314)는 복수(또는 단수)의 제1논리회로(31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방연제어부(300)로 방연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나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제1논리회로(312)는 "AND 회로"이고, 제2논리회로(314)는 "OR 회로"이다.
이러한 방연제어부(300)는 화재감지센서(500)의 신호와 도어개폐센서(600)의 신호를 함께 수신할 경우인 제2논리회로(314)의 방연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방연 댐퍼부(200)를 개방시켜 해당 부속실로의 연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풍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계 계산된 요구 송풍량을 공급한다.
실시 예로, 화재로 인해 제연설비가 구동되고, 초기의 운전에서 승강기도어를 통해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부속실의 압력을 규정 압력 이상으로(40Pa) 유지시키고, 관계 법규의 규정에 의한 비 화재층의 부속실의 압력을 규정 압력의 70% 이상으로 유지시킨다.
이에, 방연제어부(300)는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여 건축물 화재에 대응함에 따라, 종래 과 공급된 송풍량에 의해 부속실 압력의 상승으로 인한 출입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가 난 실내의 출입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만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고, 화재연기가 부속실을 통해 계단 등의 탈출로로 유입되어 사람들이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연댐퍼모듈(200)은 방연댐퍼제어부(300)에 의해 루버(Louver)형 댐퍼를 통해 외기가 부속실(40)로 공급되고, 이 루버(Louver)형 방연댐퍼부(200)는 관계 법규의 규정에 의해 공급하는 공기의 토출을 하향 60°로 토출하고, 호칭 규격(루버[Louver]형 방연댐퍼부(200)의 공기가 흐르는 내부의 크기)으로, 크기를 모든 층에서 같은 크기로 설치한다.
실시 예로, 루버(Louver)형 방연댐퍼부(200)의 호칭규격 0.217 m2 이상, 가로 500mm 일 때, 세로 1,470mm 이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승강로(30)와 부속실(40)의 차압은 방연댐퍼부(200), 차압으로 하여 그 규격을 산정한다.
그리고 건물의 계단실(50)에 구비된 창문(54)을 개폐시키기 위한 창문자동폐쇄장치(700)가 구비되고, 이 창문자동폐쇄장치(700)를 제어하기 위한 화재수신반(60)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화재 미발생 시, 즉, 평상시 창문자동폐쇄장치(700)는 환기를 위하여 수동으로 해당 창문(54)을 개폐시킬 수 있으며, 화재가 감지될 경우, 화재수신반(60)은 계단실(50)에 구비된 모든 창문(54)을 동시에 폐쇄시키도록 창문자동폐쇄장치(700)를 제어한다.
이는, 화제가 발생된 부속실(40)에서 계단실(50)로의 공기유동을 방지함에 따라, 부속실(40)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연제어부(300)가 방연댐퍼부(200)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화재 연기가 부속실(4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피로 및 화재진압을 위한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방법을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공급단계(S10)와 누설운영단계(S20) 및 방연운영단계(S30)를 포함한다.
외기공급단계(S10)는 송풍기(20)에 의해 건물의 승강로(30)로 외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누설운영단계(S20)는 승강기 도어(36)를 통해 공기의 유입으로 외기공급단계(S10)의 외기를 해당 부속실(40)로 송풍시켜 규정 압력 범위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방연댐퍼부가 닫혀있는 경우, 즉 방연운영단계(S30) 직전에 적용된다.
방연운영단계(S30)는 화재감지센서(500) 신호와 도어개폐센서(600)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여 해당 부속실(40)로 외기의 방연 풍량을 공급하여 화재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부속실(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방연운영단계(S30) 시, 누설운영단계(S20)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방연운영단계(S30)는 누설운영단계(S20)의 운영에서 방연과정을 더 실시하며, 화재진압이 마무리되면, 다시 누설운영단계(S20)가 실시된다.
이에, 건물 화재 발생 시,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피하는 사람들이 연기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피로의 시야를 확보함은 물론, 소방관의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10 : 방연댐퍼 12 : 댐퍼프레임
13 : 루버형 댐퍼 20 : 송풍기
30 : 엘리베이터 승강로 32 : 메인승강로
34 : 송풍 승강로
40 : 부속실 42 : 출입도어
200 : 방연댐퍼부 300 : 방연제어부
500 : 화재감지센서 600 : 도어개폐센서

Claims (8)

  1. 송풍기에 의해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각 층으로 공급하도록 건물에 구비되어 각 층 부속실의 규정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승강로;
    방연댐핑공간부를 갖고, 상기 각 층 중 어느 한 층의 실내에서 화재 발생 시 개방되어 실내의 연기가 해당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풍량을 공급하기 위한 방연댐퍼부; 및
    상기 방연댐퍼부를 제어하기 위한 방연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연댐핑공간부의 규격은,
    상기 부속실의 형태에 따라 계산된 부하량에 의해 산정하며,
    상기 방연댐퍼부는 "방연 풍량 - 부속실 압력이 최소압력일 때의 엘리베이터 도어를 통한 공기 유입 풍량 = 방연 댐퍼 통과 풍량"에 의한 유효면적을 선정하며,
    상기 송풍기의 선정은 "비 화재층 부속실 압력이 규정 압력의 70% 이상 일 때 승강기 도어를 통한 공기 유입 풍량 × (부속실 수 - 방연댐퍼 적용 수) = 총 누설량"과 "규정의 방연 풍량 × 방연 댐퍼 적용 수", "비 화재 층의 피난에 의한 도어의 개방 율에 의한 도어의 개방 수 × (부속실 압력이 최저 압력 일때의 승강기 도어를 통한 공기 유입 송풍량 - 설정압 70% 이상 일 때의 승강기 도어를 통한 공기 유입 송풍량 = 피난에 의해 추가 소요되는 풍량"으로 부분 산정하고,
    상기 부속실에서 모든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의 승강기 도어를 통한 공기 유입 송풍량, 방연댐퍼부의 송풍량, 부속실 압력이 최저 압력 일 때의 승강기 도어를 통한 공기 유입 송풍량의 합과 소방법의 규정에서 요구하는 송풍기 풍량 선정 안전율을 적용하여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건물의 부속실 형태에 따른 부하에 의한 누설량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승강로 적정 압력은,
    승강로와 부속실의 차압에 의해 공기가 흐르는 공간인 유효면적을 산출한 크기로 하되, 모의시험(Simulation)에 의해 설정하여 승강로와 부속실의 차압이 모든 층에서 같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연댐퍼부는,
    설치공간을 고려하여 좌우 길이보다,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방연댐핑공간부를 갖는 방연댐퍼 프레임;
    상기 방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방연댐퍼 프레임에 복수 구비되는 방연댐퍼날개를 같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켜 방연댐핑공간부의 방연 송풍량을 공급하는 방연 댐퍼구동부;를 포함하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 및
    상기 실내의 출입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개폐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방연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신호와 도어개폐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회로를 통해 상기 방연댐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내와 출입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각 실내의 거실, 침실, 주방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도어개폐센서는 각 출입도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논리회로는,
    해당 실내의 화재감지센서의 신호와 해당 출입도어의 도어개폐센서의 신호를 동 시간대에 감지될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논리회로; 및
    상기 제1논리회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방연제어부로 방연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하나의 제2논리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방연제어부는,
    상기 제2논리회로의 방연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방연댐퍼부를 개방시켜 부속실로 방연풍량을 공급하여 해당 실내의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건물 계단실에 구비된 창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창문자동폐쇄장치; 및
    상기 창문자동폐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재수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창문자동폐쇄장치는 화재 미발생 시, 수동으로 해당 창문을 개폐시키며,
    상기 화재수신반은 화재 발생 시 계단실에 구비된 모든 창문을 폐쇄시키도록 창문자동폐쇄장치를 제어하여 부속실에서 계단실로의 공기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연시스템의 송풍기에 의해 승강로로 외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외기공급단계;
    방연댐퍼부가 닫혀있는 경우, 상기 외기공급단계의 외기를 해당 부속실의 엘리베이터 도어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규정 압력범위로 유지되는 누설운영단계; 및
    화재감지센서 신호와 도어개폐센서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방연댐퍼부를 제어하여 해당 부속실로 외기를 공급하여 화재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연운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연운영단계 시, 상기 누설운영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방법.
KR1020210081211A 2021-06-22 2021-06-22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KR10256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11A KR102565051B1 (ko) 2021-06-22 2021-06-22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11A KR102565051B1 (ko) 2021-06-22 2021-06-22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319A KR20220170319A (ko) 2022-12-29
KR102565051B1 true KR102565051B1 (ko) 2023-08-07

Family

ID=8453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211A KR102565051B1 (ko) 2021-06-22 2021-06-22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0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05B1 (ko) * 2001-08-31 2004-03-11 박재현 제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791B1 (ko) * 2012-11-07 2014-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920894B1 (ko) * 2017-04-24 2019-02-14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화재 수신기에 의한 제연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89665B1 (ko) * 2019-08-12 2021-08-12 유병규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05B1 (ko) * 2001-08-31 2004-03-11 박재현 제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319A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259311B1 (ko) 계단실 및 공기 공급 샤프트를 구비한 고층 빌딩
KR101409791B1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20210019251A (ko)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20130136758A (ko)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20150017398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123934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
CN106123195B (zh) 一种应用于高层建筑的送风系统及方法
KR101683535B1 (ko) 제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565051B1 (ko)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KR200393245Y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383144B1 (ko)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JP4526174B2 (ja) 高層集合住宅及び加圧防排煙方法
KR20110082277A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KR102413971B1 (ko) 급기가압 시스템의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