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398A -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398A
KR20150017398A KR1020130060120A KR20130060120A KR20150017398A KR 20150017398 A KR20150017398 A KR 20150017398A KR 1020130060120 A KR1020130060120 A KR 1020130060120A KR 20130060120 A KR20130060120 A KR 20130060120A KR 20150017398 A KR20150017398 A KR 2015001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amper
air supply
opening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463B1 (ko
Inventor
유병규
Original Assignee
(주)미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도이앤씨 filed Critical (주)미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3006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4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아파트나 고층건물에 있어서 화재 초기에 발생 되는 연기나 유독가스가 건물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옥상이나 지하층에 송풍기(10)를 설치하며,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화재시 건물의 각층 제연구역(50)의 급기구에 설치하는 급기댐퍼(40)로 외기를 유입하며, 상기 급기댐퍼(40)에는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는 급기댐퍼개폐기(42)와, 상기 급기댐퍼개폐기(42)를 제어하며, 제연구역(50)과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을 감지하는 공기압감지기(41-1)를 갖는 급기댐퍼제어기(41)를 가지며,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 의해 급기댐퍼개폐기(42)가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화재시 급기댐퍼(40)를 개방하여 외기를 제연구역(50)으로 송풍하여 화재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의 연기가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증가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제연장치에 있어서,
송풍기(10)앞에 설치하여 송풍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를 설치하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에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하는 자동개폐기(30)를 설치하며, 상기 자동개폐기(30)는 제연구역(50)의 공기압 변화를 감지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연결하여, 급기댐퍼제어기(41)의 공기압감지기(41-1)가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설정 범위를 벗어남을 감지할 경우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가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토록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과,
송풍기(10)앞에 송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를 가지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에 자동개폐기(30)를 가지며, 상기 자동개폐기(30)는 풍량증감댐퍼(20)내측 다수개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의 축과 연결되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작동하는 자동개폐기(30)는, 상기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40)에 설치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연결하며,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 설정한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설정 차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의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에 관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재시 연기가 제연구역이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연기나 유독가스가 건물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합리적인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및 제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소방법에서 요구하는 제연구역의 설비 조건인
1) 제연구역의 공기압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50pa ±20%(40-60pa)의 공기 차압을 유지하며,
2) 20층 이하 건물인 경우 1개층 1개소의 출입문이 개방될 경우 또는 20층이상 건물인 경우 2개층 2개소의 출입문이 동시에 개방될 경우 급기구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출입문으로 방연풍속은 0.7m/s 이상을 유지하며,
3) 20층 이하 건물 1개층의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또는 20층 이상 건물 2개층의 출입문이 동시 개방될 시, 급기구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실내문으로 방연 풍속 0.7m/s 이상을 유지와 동시에 출입문이 닫힌 상태의 비 개방층의 제연구역은 28pa(70%) 이상의 공기차압을 유지할 것이라는 규정을 만족시키게 되며,
고층건물 준공 검사시 상기 제연구역의 성능시험을 충족시키게 되며, 실제 건물의 화재발생시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연기 및 유독가스를 차단하여 귀중한 인명을 보호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Metod of fire smoke control and apparatus of smoke-proof of building }
본 발명은 고층아파트나 고층건물에 있어서 화재 초기에 발생 되는 연기나 유독가스가 건물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 화재시 인명피해는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에 앞서 화염과 함께 발생되는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해 질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정규모 이상 고층 건축물은 화재시 연기가 유입되지 않는 제연구역을 구비하게 되며, 제연구역은 화재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킴으로,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하며 화재시 발생한 실내의 연기가 복도나 계단으로 빠져나가 건물전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시 사람이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고층 아파트에 있어서 제연구역은 엘리베이터 문과 실내로 통하는 출입문 사이의 공간(전실)이 화재시 제연구역의 역활을 수행하게되며, 제연구역에는 비상계단으로 통하는 방화문과, 화재시 수직풍도인 급기덕트로부터 공급되는 외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는 급기구를 갖는다.
제연구역의 급기구는 평시에는 닫힘상태를 유지하나, 화재감지신호(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외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는 급기댐퍼를 갖는다.
급기댐퍼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외기는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화재가 발생한 실내의 연기및 유독 가스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연기가 건물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화재시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층에 설치되는 송풍기는 외부의 공기를 수직풍도인 급기덕트를 통해 제연구역 급기구로 송풍되며, 급기구에 설치되는 제연구역의 급기댐퍼는 다수개의 개폐날개를 가져 제연구역과 화재가 발생한 실내와의 공기 차압을 감지하여 개폐작동하여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급기댐퍼에는 개폐날개를 작동하는 급기댐퍼개폐기와 제연구역의 공기압과 화재가 발생한 실내의 공기 차압을 감지하여 급기댐퍼개폐기를 급기댐퍼제어기를 갖는다.
화재시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송풍기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는 제연구역으로 유입되어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키며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설정공기압에 도달하면 급기댐퍼는 급기댐퍼제어기에 의해 폐쇄 작동하여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압을 줄여주게되며,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설정 공기압에 도달하지 못할경우 급기댐퍼를 개방하여 외기를 유입하게 된다.
이와같이 급기댐퍼제어기는 제연구역의 공기압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보다 50pa(파스칼)±20%이내의 차압이 발생되도록 급기댐퍼를 개방하여 외부공기를 제연구역으로 공급하여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설정하게 한다.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50pa(파스칼)+20% 즉 60pa(파스칼) 이상의 차압이 발생될 경우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너무 높아 출입문을 개방하기가 어려워 노약자는 출입문을 열고 피난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되며, 제연구역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차압이 50pa(파스칼)-20% 즉, 40pa(파스칼)이하일 경우에는 실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올 염려가 있음으로 인해 제연구역 공기압은 화재가 발생한 실내의 공기압보다 50pa(파스칼)±20%이내의 차압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보통 급기댐퍼의 급기댐퍼제어기에는 제연구역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공기압감지기(차압센서)를 가지며, 공기압감지기에 의해 감지되는 제연구역과 실내와의 공기차압이 50pa(파스칼)-20%이하 즉 40pa(파스칼)이하로 될 경우, 급기댐퍼개폐기가 작동하여 급기댐퍼의 개폐날개를 개방하여 외부의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유입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주며, 제연구역과 실내의 공기차압이 50pa(파스칼)+20% 이상 즉 60pa(파스칼)이상일 경우, 급기댐퍼개폐기는 급기댐퍼 개폐날개를 닫아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감소시켜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낮추게된다.
이와 같이 화재시 제연구역은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화재가 발생된 실내보다 높은 40∼60pa(파스칼)의 공기차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연장치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층건물에는 화재시 연기가 건물 전체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람이 신속하게 화재 장소로부터 대비할 수 있는 제연설비(장치)를 갖는바, 본 발명은 화재시 건물 내측의 제연구역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층건물에 있어서 화재시 화염과 동시에 발생 되는 연기 및 가스가 피난계단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연구역을 갖게 된다.
고층아파트에 있어서 제연구역은 실내로 통하는 출입문과 피난계단(비상구)으로 통하는 방화문 사이의 전실이 제연구역에 해당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제연구역에는 화재시 급기구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높여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제연장치 (설비)가 구비되는바,
소방법에 의하면 제연구역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보다 높게 유지하여, 실내의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함에 있어,
1) 제연구역의 모든 출입문이 모두 닫힌 상태일 경우 제연구역의 공기압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50pa ±20%(40-60pa)의 공기 차압을 유지할 것.
2) 20층 이하 건물인 경우 1개층 1개소의 출입문이 개방될 경우 또는 20층이상 건물인 경우 2개층 2개소의 출입문이 동시에 개방될 경우 급기구가 100% 개방되어 거실 출입문 방향으로 공기의 방연풍속은 0.7m/s 이상을 유지할 것.
3) 20층 이하 건물 1개층의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또는 20층 이상 건물 2개층의 출입문이 동시 개방될 시, 급기구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0.7m/s 이상을 유지하며, 동시에 출입문이 닫힌 상태의 비 개방층의 제연구역 28pa(70%) 이상의 공기차압을 유지할 것.
이라는 규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연설비 내지 종래의 제연방법으로는 상기 3가지 요건을 만족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왜냐하면, 건물의 지하나, 옥상에 설치하여 화재시 외부의 공기를 수직풍도인 급기덕트를 통해 건물 내로 송풍하는 송풍기 용량 선정시 건물의 규모에 따라 계산식에 의해 송풍량을 선정하며, 상기 송풍량에 해당하는 여유있는 용량의 송풍기를 선정 시공하게 되며, 건물 완공 후 상기 제연구역의 3가지 요건을 검증하는 성능시험시 성능시험을 거치게 된다.
보통,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에 설치되는 송풍기는 그 송풍량은 충분하여 송풍기 앞에 댐퍼(볼륨댐퍼)를 장착하여 송풍기의 송풍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종래 송풍기 앞에 장착되는 볼륨댐퍼는 개폐날개를 50-60%만 개방하여 송풍기의 송풍량을 감소시키게 되며, 따라서 송풍기의 40-50%의 송풍용량은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에너지 낭비및 비경제적인 것을 볼 수 있다.
이와같이 송풍기의 에너지 낭비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량이 큰 송풍기를 사용하는 것은 건물의 구조, 풍도의 크기, 송풍시 공기의 누설등을 감안하여 송풍기를 설정하므로 송풍기는 초과 용량을 갖게 된다.
만일 송풍기 앞에 설치되는 댐퍼를 100% 개방상태로 설정할 경우에는 송풍량이 너무 많아 제연구역과 실내와의 압력 차이가 60pa 이상의 과압이 발생하여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제연구역 설계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송풍기 앞에 볼륨댐퍼를 설치하고 볼륨댐퍼의 개폐날개의 개방각을 50-60%만 개방시켜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제연구역의 조건 제 1항을 만족시키는 상태로 송풍기의 송풍량을 설정하게 된다.
종래 고층건물의 지하나 옥상에 설치하는 송풍기 앞에 설치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 댐퍼는 볼륨댐퍼(V/D :Volume Damper)는 사각후레임 내측의 다수개의 개폐날개를 가지며, 개폐날개의 개방각을 조절하고 조절된 개폐날개의 개방각이 변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수동핸들을 사각후레임 외측에 갖는 댐퍼이다.
따라서 종래 볼륨댐퍼로 송풍기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제연설비는 송풍기의 용량이 충분한데도 설정된 볼륨댐퍼의 개폐날개의 개방각에 따라 항상 일정한 송풍량만을 송풍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 있어서는 제연설비의 성능검사시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제연구역의 설계기준 제1항의 규정에 맞게 볼륨댐퍼의 개방각(50-60%개방)을 설정하게 되며,소방법 제2, 제3항의 조건 시험시에는 급기덕트의 개방각을 조절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송풍기 앞에 설치되어 송풍량을 제어하는 볼륨댐퍼는 제연구역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종래에 있어서는 송풍기 앞에 설치되는 볼륨댐퍼는 성능시험 검사시와 마찬가지로 개폐날개의 개방각을 100% 개폐되도록 설정(setting)하지 않고 50-60%만 개방되도록 설정함으로 화재시 송풍기의 송풍량을 증가시키지 못하고 항상 일정한 송풍량만 송풍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제연설비 즉 송풍기 앞에 설치하는 볼륨댐퍼는 송풍량을 조절하지 못하며, 여유있는 송풍기의 송풍량을 100%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해당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및 제연방법에 관한 특허 및 실용신안 문헌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10035호(고안의 명칭: 제연제어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397886호 (고안의 명칭: 제연장치) 특허등록 제10-0421805호 (발명의 명칭: 제연방법) 특허등록 제10-0421806호(발명의 명칭: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실안등록 제20-0234237호 (고안의 명칭: 건축물의 자동제연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0362608호 (고안의 명칭: 제연장치) 이외에 본 발명자에 의해 기 등록 특허 및 실용신안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93245호 (고안의 명칭: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39246호 (고안의 명칭: 제연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428319호 (고안의 명칭: 제연감지 도어해정기) 실용신안등록 제20-0268648호 (고안의 명칭: 공기 급,배기구 개폐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304084호 (고안의 명칭: 화재시 발생 되는 공기압을 감지하는 공기압 감지밸브) 특허등록 제10-932628호 (발명의 명칭: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특허등록 제10-1102928호(발명의 명칭: 복합댐퍼) 특허등록 제10-1242179호(발명의 명칭: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등 다수의 제연 관련 특허, 실용신안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시 제연구역에 발생되는 다양한 공기압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연구역과 화재가 발생된 실내와의 공기차압이 규정 범위내의 공기차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화재시 발생된 연기나 유독가스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거나,
제연구역을 통해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확실한 제연구역을 구현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및 유독가스로부터 귀중한 인명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시 건물의 각층 제연구역으로 외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층에 설치되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송풍기 앞에 설치하여 송풍량을 제어하는 댐퍼의 개폐날개를 제연구역의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자동개폐기를 댐퍼에 구성하여 제연구역의 공기압력 변화에 따른 송풍량을 자동으로 제어되어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소방법에서 규정 범위하는 제연구역의 구성요건을 만족하며, 화재시 확실한 제연구역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옥상이나 지하층에 송풍기(10)를 설치하며,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화재시 건물의 각층 제연구역(50)의 급기구에 설치하는 급기댐퍼(40)로 외기를 유입하며, 상기 급기댐퍼(40)에는,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는 급기댐퍼개폐기(42)와, 상기 급기댐퍼개폐기(42)를 제어하며, 제연구역(50)과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을 감지하는 공기압감지기(41-1)를 갖는 급기댐퍼제어기(41)를 가지며,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 의해 급기댐퍼개폐기(42)가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화재시 급기댐퍼(40)를 개방하여 외기를 제연구역(50)으로 송풍하여 화재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의 연기가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증가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0)앞에 송풍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를 설치하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에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하는 자동개폐기(30)를 설치하며, 상기 자동개폐기(30)는 제연구역(50)의 공기압 변화를 감지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연결하여, 급기댐퍼제어기(41)의 공기압감지기(41-1)가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설정 범위를 벗어남을 감지할 경우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가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 제어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에 관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급기댐퍼(40)에는 상기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완전 개방될 시 이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5)를 가지며,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는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는 자동개폐기(30)와 연결하여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가 작동(on)될 시, 상기 송풍기(10)앞에 설치한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송풍기(10) 송풍량을 증가토록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로 부터 10M 이상의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내측에 외기의 공기압과 급기덕트(11)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를 설치하며, 상기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의 공기차압신호를 수신하는 풍량증감제어기(23)을 가지며, 상기 풍량증감제어기(23)는 송풍기(10) 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와 연결하여 풍량제어제어기(23)에 설정한 공기차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풍량증감제어기(23)가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를 작동하여 풍량증감개폐날개(22)를 개폐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 고층건물 제연장치는 다음과 같다.
옥상이나 지하층에 송풍기(10)를 설치하며,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화재시 건물의 각층 제연구역(50)의 급기구에 설치하는 급기댐퍼(40)로 외기를 유입하며, 상기 급기댐퍼(40)에는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는 급기댐퍼개폐기(42)와, 상기 급기댐퍼개폐기(42)를 제어하며, 제연구역(50)과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을 감지하는 공기압감지기(41-1)를 갖는 급기댐퍼제어기(41)를 가지며,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 의해 급기댐퍼개폐기(42)가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화재시 급기댐퍼(40)를 개방하여 외기를 제연구역(50)으로 송풍하여 화재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의 연기가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증가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0)앞에 송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를 가지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에 자동개폐기(30)를 가지며, 상기 자동개폐기(30)는 풍량증감댐퍼(20)내측 다수개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의 축과 연결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작동하는 자동개폐기(30)는 상기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40)에 설치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연결하며,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 설정한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설정 차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의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급기댐퍼(40)에는 상기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완전 개방될 시 이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5)를 가지며,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는 송풍기(10)앞에 설치되어 송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과 전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가 작동(on)될 시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송풍기(10) 송풍량을 증가토록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에 관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로 부터 10M 이상의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내측에 외기의 공기압과 급기덕트(11)내의 공기차압을 감지하는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를 설치하며, 상기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의 공기차압신호를 수신하는 풍량증감제어기(23)를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40)에 설치하되, 상기 풍량증감제어기(23)는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로 부터 10M 이상의 1-2개 층의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40)에 설치하며, 상기 풍량증감제어기(23)는 송풍기(10) 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와 연결하여 급기덕트(11)내측과 외기와의 공기차압이 풍량제어제어기(23)에 설정한 공기차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풍량증감제어기(23)가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를 작동하여 풍량증감개폐날개(22)를 개폐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급기댐퍼(40)에 설치하여 급기댐퍼개폐날개(43)을 제어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송풍기(10)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제어하는 풍량증감제어기(23)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의 공기압과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공유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와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자동으로 개폐 조절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 있어,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작동하는 자동개폐기(30)는 개폐날개(22)의 개폐 작동범위를 설정하는 개방각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개폐날개(22)는 설정된 개폐 범위 내에서 개폐날개(22)가 개폐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제어 할 수 있다.
고층건물의 제연장치는 만에 하나 발생되는 건물의 화재시 인명을 보호하는 것으로,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 및 유독가스로 질식되는 것을 방지하며 대피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와 유독가스가, 제연구역이나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연기나 유독가스가 건물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합리적인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및 제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방법에서 요구하는 제연구역의 설계 조건인
1) 제연구역의 모든 출입문이 모두 닫힌 상태일 경우 제연구역의 공기압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50pa ±20%(40-60pa)의 공기 차압을 유지할 것.
2) 20층 이하 건물인 경우 1개층 1개소의 출입문이 개방될 경우 또는 20층이상 건물인 경우 2개층 2개소의 출입문이 동시에 개방될 경우 급기구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출입문으로 방연풍속은 0.7m/s 이상을 유지할 것.
3) 20층 이하 건물 1개층의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또는 20층 이상 건물 2개층의 출입문이 동시 개방될 시, 급기구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실내문으로 방연 풍속 0.7m/s 이상을 유지와 동시에 출입문이 닫힌 상태의 비 개방층의 제연구역은 28pa(70%) 이상의 공기차압을 유지할 것이라는 규정을 만족시키게 되며,
고층건물 준공 검사시 상기 제연구역의 성능시험을 충족시키게 되며, 실제 건물의 화재발생시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연기 및 유독가스를 차단하여 귀중한 인명을 보호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풍량증감댐퍼 정면도 및 측면도
도2 도1의 D-D 선 단면도로 풍량증감댐퍼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가 완전 개방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3 본 발명을 적용한 고층건물 제연설비의 개략 종단면도.
도4 본 발명의 타실시 예를 적용한 고층건물 제연설비의 개략 종단면도.
도5 고층건물 제연구역의 평단면도.
도6 본 발명의 타실시 예를 적용한 고층건물 제연설비의 부분 확대도.
도7 제연구역의 급기구에 설치하는 급기댐퍼의 사시도.
도8 본 발명에 있어 급기댐퍼제어기와 풍량증감댐퍼가 연동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9 제연구역에 설치하는 급기댐퍼가 개방된 것을 보인 급기댐퍼 작동상태도.
도10 제연구역에 설치하는 급기댐퍼가 완전 개방된 것을 보인 급기댐퍼 작동상태도.
도11 제연구역에 설치하는 급기댐퍼가 완전 닫혀진 상태의 급기댐퍼 작동상태도.
도12 제연구역의 방화문 옆에 급기댐퍼가 설치 된 것을 보인 제연구역 구성도.
도13 본 발명에 있어 풍량증감제어기와 풍량증감댐퍼가 연동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14 본 발명에 있어 급기댐퍼제어기와 풍량증감댐퍼가 연동되는 것을 개락상태도.
고층건물, 특히 고층아파트의 제연장치(설비)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실내(60) 출입문(61)과 엘리베이터 사이의 공간인 전실은 화재시 연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연구역(50)으로, 상기 제연구역(50)에는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와 연결되는 급기구를 갖는다.
상기 급기구에는 다수개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갖는 급기댐퍼(40)가 설치된다.
상기 급기덕트(11)는 화재시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층에 설치되는 송풍기(10)로 부터 발생되는 외기를 제연구역(50)으로 송풍하게 되며, 급기댐퍼(40)를 통하여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는 외기는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60)의 공기압보다 50pa(파스칼)±20% 이내의 높은 공기차압을 유지하여, 화재가 발생된 실내(60)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하는 제연설비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연구역(50)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급기댐퍼(40)는 급기댐퍼개폐날개(43)축과 연결되어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작동하는 급기댐퍼개폐기(42)에 의해 개폐 작동되며, 상기 급기댐퍼개폐기(42)는 보통 급기댐퍼(40) 내측에 장착되는 급기댐퍼제어기(41)에 의해 작동한다.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는 실내(60)의 공기압과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차압센서인 공기압감지기(41-1)를 가져 실내(60)와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감지하게 된다.
화재시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평소에는 닫혀있는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급기댐퍼개폐기(42)에 의해 개방되어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로부터 공급되는 외기를 제연구역(50)으로 유입하여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화재가 발생된 실내(60)의 공기압보다 50pa(파스칼)±20% 높은 차압이 발생되도록 공기압을 상승시키게 된다.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이 실내(60)의 공기압보다 60pa(파스칼)이상의 차압이 발생 되면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던 외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급기댐퍼개폐기(42)는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닫아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는 송풍량을 줄여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낮추게 되며,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이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이 40pa(파스칼)이하로 될 경우 급기댐퍼개폐기(42)는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작동하여 급기댐퍼(40)을 열어 제연구역(50)으로 외기를 유입하여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게 된다.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60pa 이상의 차압이 발생할 경우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이 너무 높아 노약자는 출입문(61)을 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제연구역(50)은 화재시 실내(60)의 공기압보다 60pa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제연구역(50)과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이 40pa 이하의 차압이 발생할 경우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이 너무 낮아 화재시 실내(60) 연기나 유독가스가 출입문(61)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누설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40pa 이하로 하락되지 않도록 즉 50pa(파스칼)±20% 범위의 차압이 형성되도록 소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소방법은 화재가 발생시 실내(60)로 부터 사람이 출입문(61)을 열고 제연구역(50)으로 대피할 시 제연구역(50)의 공기가 실내로 방연 풍속을 유지시켜 실내(60)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화재시 실내(60) 사람이 제연구역(50)으로 피난하고자 출입문(61)을 열을 경우 제연구역(50)의 공기가 실내(60)로 유입되어 제연구역(50)은 유지하던 50pa의 공기차압보다 낮아짐으로 인해(공기차압이 0pa 까지 낮아짐), 이를 만회하고자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최대로 개방되어(100%로 개방됨), 제연구역(50)으로 유입하는 급기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화재시 실내(60)의 출입문(61)이 개방될 시 소방법에서는 급기댐퍼(40)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는 방연풍속은 0.7m/s 이상을 유지해야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연구역(50)으로 대피한 사람이 피난계단(52)으로 대피하고자 방화문(51)을 개방할 경우에도 제연구역(50)의 공기는 방화문(51)을 통해 빠져나감으로 제연구역(50)은 공기압이 떨어지게 되는 등,
제연구역(50)은 각종 상황에 따라 다양한 압력 변화가 발생되어,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이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실제적으로 종래의 제연설비는 화재시 제연구역(50)의 역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히 종래 송풍기(10) 앞에는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댐퍼로 볼륨댐퍼(V/D: Volume Damper)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 송풍기(10) 앞에 설치하는 볼륨댐퍼는 제연구역(50)의 다양한 공기압의 변화에 송풍량을 증가 시키지 못하고 항상 일정한 송풍량 만을 발생하므로 제연구역(50)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송풍량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로 외부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0) 앞에 송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를 설치하되 상기 풍량증감댐퍼(20)는 제연구역(50)의 실내(60)로 통하는 출입문(61) 개방되어 제연구역(50)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실내(60)로 유입되어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이 낮아질 경우 급기댐퍼(40) 내측의 급기댐퍼제어기(41)의 공기압감지기(41-1)가 낮아진 공기압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송풍기(10)앞에 설치한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로 보내 자동개폐기(30)를 작동시켜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방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가하여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높여 제연구역(50)의 낮아진 공기압을 상승 보완시켜 주게되며,
또한 .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 내의 공기압과 외기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급기덕트(11)내의 공기압과 외기와의 공기차압 이 설정차압을 벗어날 경우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늘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시켜주는 것이다.
본 발명인 송풍기(10) 앞에 설치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는 건물의 규모, 송풍량, 제연구역의 구조등 모든 제반 여건을 감안하여 풍량증감댐퍼(20) 설치 초기 적절한 개방각으로 일부 개방 설정하여 일부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인 송풍기(10)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의 개방각은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제연구역의 설계기준 제1항에서 규정하는 즉,
1) 제연구역의 모든 출입문이 모두 닫힌 상태일 경우 제연구역의 공기압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50pa ±20%(40-60pa)의 공기 차압을 유지할 것.
이라는 규정에 합당하는 송풍기(10)의 송풍량을 계산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가 일부 개방되는 개방각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10) 앞에 설정되는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의 초기 개방율은 50-60%로 조절하게 되며, 따라서 송풍기(10)의 송풍용량은 전체 송풍량의 50-60%를 급기덕트(11)틀 통해 제연구역(50)으로 송풍하여 제연구역(50)과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을 50pa ±20%(40-60pa)의 공기차압을 유지하여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제연구역의 설계기준 제1항을 만족 시키게된다.
한편, 제연구역(50) 실내(60) 출입문(61)이 개방되어 제연구역(50)의 공기가 실내(60)로 유입 됨으로 인하여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이 하락하는 경우, 제연구역(50)의 낮아진 공기압은 급기댐퍼제어기(41)의 공기압감지기(41-1)가 이를 감지하여 급기댐퍼개폐기(42)를 작동시켜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작동하여 급기댐퍼(40)를 완전개방하여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로 부터 유입되는 송풍량을 증가시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급기댐퍼제어기(41)는 송풍기(10)앞에 설치되는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을 작동하여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가 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연구역(50)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100% 개방되는 완전 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5)를 급기댐퍼(40) 내측에 가지며,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를 송풍기(10) 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 자동개폐기(30)와 연결하여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완전 개방 됨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5)가 작동(on)할 경우 그 신호를 송풍기(10)앞의 풍량증감댐퍼(20)에 설치한 자동개폐기(30)로 전달되어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방 작동시켜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가 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연설비에 있어서, 송풍기(10)앞에 설치하는 댐퍼는 볼륨댐퍼로 볼륨댐퍼개폐날개의 개방각이 고정됨으로 인해 항상 일정한 송풍량을 송풍하므로, 제연구역(50)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완전 개방되더라도 제연구역(50)으로 송풍량을 증가시키지 못해 효율적으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60pa(파스칼)이상으로 상승하고 상승한 공기압을 급기댐퍼제어기(41)의 공기압감지기(41-1)가 감지하여 급기댐퍼개폐기(42)를 작동시켜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닫아주어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는 송풍량을 줄여 줌과 동시에 송풍기(10) 앞의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로 닫힘신호를 보내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닫힘 상태로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줄여주어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감소시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낮추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닫아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는 송풍량을 감소시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낮게 조절함과 동시에 송풍기(10)앞에 설하는 풍량증감댐퍼(20)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급기덕트(11)로 송풍되는 송풍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급기댐퍼(40) 내측에 장착되는 급기댐퍼제어기(41)의 공기압감지기(41-1)에 의해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가하는 본 발명은 급기댐퍼(40)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는 방연풍속이 출입문(61) 방향으로 0.7m/s 이상을 유지하여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제연구역(50)의 설계조건 제 2항 및제3항을 만족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제연구역(50)의 급기구에 설치되는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제어기(41)의 공기압감지기(41-1)에 의해 감지되는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일정 압력이상으로 도달하지 못할 경우,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가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송풍량을 증가시켜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실내(60) 출입문(61)으로 방연 풍속을 가속시켜 제연구역(50) 급기댐퍼(40)가 100% 완전 개방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가시켜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게 된다.
화재시 외기를 제연구역(50)으로 유입하는 급기댐퍼(40)는 평시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나 화재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급기덕트(11)로부터 외기를 유입하여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높여준다.
급기댐퍼(4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다수개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는 급기댐퍼개폐기(42)에 의해 작동하여 개폐작동하게 되며 급기댐퍼제어기(41)는 급기댐퍼개폐기(42)를 작동시키게 되는바 제연구역(50)과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의 공기차압이 40pa 이하일 경우에는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열어 급기덕트(11)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유입량을 증가시키게 되며 공기차압이 60pa 이상일 경우에는 급기댐퍼개폐날개(43)를 닫아 공기유입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급기댐퍼(40)에 있어 제연구역(50)과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이 40pa 이하 일 경우 급기댐퍼개폐날개(43)는 완전 개방되어 즉100%개방되어 공기유입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100% 열림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5)를 급기댐퍼(40) 내측에 장착하며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는 송풍기(10)앞에 설치되는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와 연결하여, 급기댐퍼(40)가 100%개방시 송풍기(10) 앞의 풍량증감댐퍼(20)를 개방작동하여 송풍량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은 제연구역(50)의 설계요구조건인 제1항, 제2항 및 제3항을 만족시키게 된다.
송풍기(10)로부터 발생하는 송풍량을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건물의 각층 제연구역(50)으로 제공된다.
급기덕트(11)는 건물의 구조, 높이, 설계방법 등 건물의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게 된다.
송풍기(10)에서 발생한 송풍공기는 급기덕트(11)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이송되는 동안 외부로 누출되는 누기량이 없어야 하며, 건물의 전층 제연구역으로 고른 압력으로 외기를 이송하게 되어야 하나, 만일 급기덕트(11)의 기밀상태가 부실할 경우 또는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 등이 개방되어 누기가 발생할 경우 송풍기(10)에서 발생되는 송풍량을 제대로 각층 제연구역(50)으로 송풍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로부터 10m 이상되는 지점(3층이상의 지점)에 급기덕트(11) 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를 설치하고,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의 신호를 수신하는 풍량증감제어기(23)를 송풍기(10) 앞의 풍량증감댐퍼(20) 자동개폐기(30)와 연결하여, 급기덕트(11)내의 공기압이 설정된 공기압에 미치지 못할 경우나, 급기덕트(11) 내의 공기압이 설정압력 범위를 벗어날 경우 송풍기(10)앞의 풍량증감댐퍼(20)가 개폐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시키게 된다.
상기 급기덕트(11)내에 설치되는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는 외기와의 공기차압이 20-40pa 이하를 감지할 경우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를 작동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은 급기덕트(11)내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제어하여 화재시 제연구역(50)으로 충분한 외기를 송풍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송풍기(10)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는 후레임(21) 외측에 장착하는 자동개폐기(30)에 의해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송풍기(10)앞에 설치하는 댐퍼는 볼륨댐퍼로 본 발명과 다른 댐퍼개폐방식을 갖는다.
즉, 종래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볼륨댐퍼는 송풍기(10)의 용량에 따라 볼륨댐퍼의 개폐날개의 개방각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한 개방각이 변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송풍량을 갖는 송풍기(10)를 설치하더라도 통상 50-60%만 개방시키는 개방각에 따라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인 풍량증감댐퍼(20)는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의 개방각을 고정시키지않고 자동개폐기(30)에 의해 개방각을 임의로 조절함으로 인해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임의로 증감 제어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는 평시 완전닫힘 상태를 유지하지 않게 되며 50-60%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자동개폐기(30)의 작동신호가 유입될 시 100% 개방하여 송풍량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은 급기덕트(11)및 제연구역(50)의 설계 요건에 따라 송풍기(10)앞의 풍량증감댐퍼(20)를 개폐 작동하여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이 설정한 공기압에 신속히 도달하여 화재시 소중한 인명을 보호하는 제연방법을 제공하게된다.
이와같은 제연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제연장치로는 급기덕트(11)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화재시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0)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는 다수개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가지며, 상기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작동하는 자동개폐기(30)를 댐퍼 후레임(21) 외측에 가지며, 상기 자동개폐기(30)는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40)에 보통 설치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연결되어 화재시 제연구역(50)과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이 급기댐퍼제어기(41)의 설정한 공기차압에 도달하지 못할경우 상기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송풍량을 증가 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급기댐퍼(40) 내측에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100% 개방될 때 이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5)를 설치하고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는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와 연결하여, 개방감지스위치(45)가 작동될 시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풍량증감댐퍼(20)는 개방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가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 내측에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를 설치하고 상기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가 급기덕트(11)내의 공기압과 외기의 공기차압이 설정한 공기차압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송풍기(10) 앞의 풍량증감댐퍼(20) 자동개폐기(30)를 개방작동하여 송풍량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급기덕트(11)내측에 설치하는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는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와 10m 이상의 거리에 설치하게 된다.
즉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와 10m 이상의 지점인 3층 이상의 지점에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를 설치하게 되며 외기와의 공기차압이 20-40pa 을 감지할 경우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도록 공기압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화재시 제연구역으로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의 송풍 용량을 100% 활용하며 제연구역으로 충분한 외기를 송풍하여 화재시 소중한 인명을 보호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송풍기
11: 급기덕트 12 :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
20 : 댐퍼 21 : 후레임
22 : 댐퍼개폐날개 22 : 댐퍼개폐날개
23 : 중량증감제어기 30 : 자동개폐기
40 : 급기댐퍼 41 : 급기댐퍼제어기
41-1 : 공기압감지기 42 :급기댐퍼개폐기
43 : 급기댐퍼개폐날개 45 : 개방감지스위치
50 : 제연구역 51 : 방화문
52 : 피난계단 60 : 실내

Claims (7)

  1. 옥상이나 지하층에 송풍기(10)를 설치하며,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화재시 건물의 각층 제연구역(50)의 급기구에 설치하는 급기댐퍼(40)로 외기를 유입하며, 상기 급기댐퍼(40)에는,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는 급기댐퍼개폐기(42)와, 상기 급기댐퍼개폐기(42)를 제어하며, 제연구역(50)과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을 감지하는 공기압감지기(41-1)를 갖는 급기댐퍼제어기(41)를 가지며,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 의해 급기댐퍼개폐기(42)가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화재시 급기댐퍼(40)를 개방하여 외기를 제연구역(50)으로 송풍하여 화재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의 연기가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증가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0)앞에 송풍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를 설치하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에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하는 자동개폐기(30)를 설치하며, 상기 자동개폐기(30)는 제연구역(50)의 공기압 변화를 감지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연결하여, 급기댐퍼제어기(41)의 공기압감지기(41-1)가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설정 범위를 벗어남을 감지할 경우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가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2. 제1항에 있어,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급기댐퍼(40)에는 상기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완전 개방될 시 이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5)를 가지며,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는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는 자동개폐기(30)와 연결하여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가 작동(on)될 시, 상기 송풍기(10)앞에 설치한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송풍기(10) 송풍량을 증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3. 제1항에 있어,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로 부터 10M 이상의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내측에, 외기의 공기압과 급기덕트(11)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를 설치하며, 상기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의 공기차압신호를 수신하는 풍량증감제어기(23)을 가지며, 상기 풍량증감제어기(23)는 송풍기(10) 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와 연결하여 풍량제어제어기(23)에 설정한 공기차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풍량증감제어기(23)가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를 작동하여 풍량증감개폐날개(22)를 개폐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4. 옥상이나 지하층에 송풍기(10)를 설치하며,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화재시 건물의 각층 제연구역(50)의 급기구에 설치하는 급기댐퍼(40)로 외기를 유입하며, 상기 급기댐퍼(40)에는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는 급기댐퍼개폐기(42)와, 상기 급기댐퍼개폐기(42)를 제어하며, 제연구역(50)과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와의 공기차압을 감지하는 공기압감지기(41-1)를 갖는 급기댐퍼제어기(41)를 가지며,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 의해 급기댐퍼개폐기(42)가 급기댐퍼개폐날개(22)를 개폐 작동하여 화재시 급기댐퍼(40)를 개방하여 외기를 제연구역(50)으로 송풍하여 화재시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화재가 발생한 실내(60)의 연기가 제연구역(50)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증가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0)앞에 송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를 가지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에 자동개폐기(30)를 가지며, 상기 자동개폐기(30)는 풍량증감댐퍼(20)내측 다수개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의 축과 연결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작동하는 자동개폐기(30)는 상기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40)에 설치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연결하며, 상기 급기댐퍼제어기(41)에 설정한 제연구역(50)과 실내(60)의 공기차압이 설정 차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풍량증감댐퍼(20)의 후레임(21) 외측의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5. 제 4 항에 있어,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를 통해 제연구역(50)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급기댐퍼(40)에는 상기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완전 개방될 시 이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5)를 가지며,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는 송풍기(10)앞에 설치되어 송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과 전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5)가 작동(on)될 시 자동개폐기(30)가 작동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개방하여 송풍기(10) 송풍량을 증가토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6. 제 4항에 있어,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로 부터 10M 이상의 수직풍도인 급기덕트(11)내측에 외기의 공기압과 급기덕트(11)내의 공기차압을 감지하는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를 설치하며, 상기 급기덕트공기압감지기(12)의 공기차압신호를 수신하는 풍량증감제어기(23)를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40)에 설치하되, 상기 풍량증감제어기(23)는 지하에 설치하는 송풍기(10)로 부터 10M 이상의 1-2개 층의 제연구역(50)의 급기댐퍼(40)에 설치하며, 상기 풍량증감제어기(23)는 송풍기(10) 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와 연결하여 급기덕트(11)내측과 외기와의 공기차압이 풍량제어제어기(23)에 설정한 공기차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풍량증감제어기(23)가 풍량증감댐퍼(20)의 자동개폐기(30)를 작동하여 풍량증감개폐날개(22)를 개폐작동하여 송풍기(10)의 송풍량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7. 제 4항에 있어,
    급기댐퍼(40)에 설치하여 급기댐퍼개폐날개(43)을 제어하는 급기댐퍼제어기(41)와, 송풍기(10)앞에 설치하는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를 제어하는 풍량증감제어기(23)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의 공기압과 제연구역(50)의 공기압을 공유하여 풍량증감댐퍼(20)의 풍량증감댐퍼개폐날개(22)와 급기댐퍼(40)의 급기댐퍼개폐날개(43)가 자동으로 개폐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0130060120A 2013-05-28 2013-05-28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529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20A KR101529463B1 (ko) 2013-05-28 2013-05-28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20A KR101529463B1 (ko) 2013-05-28 2013-05-28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398A true KR20150017398A (ko) 2015-02-17
KR101529463B1 KR101529463B1 (ko) 2015-06-17

Family

ID=5304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120A KR101529463B1 (ko) 2013-05-28 2013-05-28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4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97A (ko) * 2016-09-08 2018-03-16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56787B1 (ko) 2019-01-10 2019-03-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KR20210019251A (ko) * 2019-08-12 2021-02-22 유병규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102384259B1 (ko) 2021-11-29 2022-04-0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30039274A (ko) * 2021-09-14 2023-03-21 유병규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20230039273A (ko) * 2021-09-14 2023-03-21 유병규 인버터 송풍기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79B1 (ko) * 2010-05-11 2013-04-23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297A (ko) * 2016-09-08 2018-03-16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56787B1 (ko) 2019-01-10 2019-03-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KR20210019251A (ko) * 2019-08-12 2021-02-22 유병규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20230039274A (ko) * 2021-09-14 2023-03-21 유병규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20230039273A (ko) * 2021-09-14 2023-03-21 유병규 인버터 송풍기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102384259B1 (ko) 2021-11-29 2022-04-0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406010B1 (ko) 2021-11-29 2022-06-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층간 통로를 이용한 대피로 부속실 제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463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463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242179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101102928B1 (ko) 복합댐퍼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453485B1 (ko)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20210019251A (ko)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20140059056A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0932628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102247847B1 (ko) 제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02304B1 (ko) 제연구역 급기댐퍼의 비례제어시스템
KR101683535B1 (ko) 제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393245Y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130006253U (ko) 제연 시스템 댐퍼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2645959B1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200474019Y1 (ko) 복합댐퍼 수동개폐기
KR200393246Y1 (ko) 제연장치
KR102472580B1 (ko) 자동 차압급기댐퍼를 구비한 고층건물 제연 시스템
KR102413971B1 (ko) 급기가압 시스템의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607086B1 (ko) 통신형 전실댐퍼를 이용한 제연시스템
KR102645958B1 (ko) 인버터 송풍기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