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259B1 -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259B1
KR102384259B1 KR1020210166502A KR20210166502A KR102384259B1 KR 102384259 B1 KR102384259 B1 KR 102384259B1 KR 1020210166502 A KR1020210166502 A KR 1020210166502A KR 20210166502 A KR20210166502 A KR 20210166502A KR 102384259 B1 KR102384259 B1 KR 10238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fire
floor
air
ann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259B1/ko
Priority to KR1020220024909A priority patent/KR102406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은, 건축물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들; 대피로의 부속실 각 층을 관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되는 급기장치들; 및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발생위치로서 식별하고,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층의 부속실에 대응된 급기장치를 제어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Smoke control system for ancillary room of evacuation route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화재시의 제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비상용 계단과 같은 대피로에 구비된 부속실 내의 연기를 제연하는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소방법 중에는 복도로부터 계단과 같은 대피로로 피난하는 사람을 연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전실(부속실) 내부는 복도에 비하여 최소 40Pa이상의 양압을 유지하여 연기가 전실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제연 시스템은 옥상 또는 지하층에 설치하여 공기를 강제로 송풍하는 급배기팬 및 급배기팬과 연결하여 각층으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급배기덕트가 구비된다. 즉, 건물 각층의 전실에 공기양압을 위한 추가 공기를 옥상 또는 지하로부터 송풍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배기팬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모든 전실의 제연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급배기덕트에 이물질이 끼거나 일부에 파열이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공기가 유통되지 않아 전실의 제연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제연 방식은 화재 위치와 상관없이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모든 전실에 양압을 발생하게 되어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며, 더욱이 양압이 너무 강하게 가해지는 경우 전실과 복도간의 공기압 차로 인해 대피자들이 전실의 문을 열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7398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부속실을 구비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효율적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위치에 대응적으로 구동하여 특정 부속실을 우선적으로 양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들; 대피로의 부속실 각 층을 관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되는 급기장치들; 및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발생위치로서 식별하고, 상기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층의 부속실에 대응된 급기장치를 제어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급기장치가 설치되는 통로는 동일 층 바닥과 천장에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화재발생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각 층 급기장치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는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여 각 층 부속실의 적정 공기압력을 산출하고, 각 층 부속실의 압력감지센서에 의한 공기압력정보를 기반으로 필요한 급기장치들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점검대상 부속실의 상단 급기장치와 하단 급기장치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한 결과에 따른 공기압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 급기장치의 장애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는 연기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기감지수단이 연기를 감지하면 급기팬을 구동하며 상기 관리장치로 화재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는 윗층과 아랫층에 대응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기감지기가 구비되며, 연기를 감지한 연기감지기에 따라 급기팬의 풍향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피로의 부속실 각 층을 관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되는 급기장치들을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에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내에 구비되는 임의의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재신호를 전송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발생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층의 부속실에 대응된 급기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에서의 운영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급기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여 각 층 부속실의 적정 공기압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각 층 부속실의 압력감지센서에 의한 공기압력정보를 기반으로 필요한 급기장치들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동일층 부속실의 상단 급기장치와 하단 급기장치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한 결과에 따른 공기압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 급기장치의 장애유무를 확인하는 점검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아래 층 부속실간의 공기를 이용하여 동작함으로 인해, 다수의 전실을 구비하는 고층 건물에서 효율적으로 설치 및 운영하여 화재시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위치에 대응적으로 구동하여 특정 부속실을 우선적으로 양압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 대피가 가능해지며 또한 화재 위치에 따라 효과적으로 동작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급기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에서의 운영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에 대응하여 급기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시스템에서의 급기 점검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급기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연 시스템은 건축물 내 곳곳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기들(10-1, ..., 10-n, 이하 10으로 통칭), 각층 부속실의 천장과 바닥에 설치되는 급기장치들(20-1, 20-2, ..., 20-m, 이하 20으로 통칭) 및 관리장치(30)를 포함한다.
화재감지기(10)는 건축물의 거실, 복도, 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불꽃감지기 등일 수 있다. 화재감지기(10)는 화재를 감지하면 관리장치(30)로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한다.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30)와 통신하는데, 관리장치(30)는 각 화재감지기(10)의 설치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에 따라, 관리장치(30)는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한 화재감지기(10)를 식별함으로써, 화재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급기장치(20)는 계단실과 같은 대피로의 부속실에 설치되는데,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실 각 층을 관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된다. 즉, 인접한 부속실 층간의 공기를 서로 이용하여 필요한 곳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기존과 같은 별도의 덕트가 필요치 않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급기장치(20-1)는은 3층 바닥 및 2층 천장을 관통하는 통로에 설치됨으로써, 2층 부속실에서 3층 부속실로 급기하거나 반대로 3층 부속실에서 2층 부속실 방향으로 급기할 수 있다. 급기 방향(이하 풍향이라 칭함) 및 급기량(이하 풍량이라 칭함)은 화재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층 부속실의 양압(공기압력)을 빠른 시간에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급기장치(20-1)의 풍향은 위로, 제2 급기장치(20-2)의 풍향은 아래로 하여 가장 큰 풍량으로 구동시킬 것이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도면과 같이 급기장치(20)가 설치되는 통로는 동일 층 바닥과 천장에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급기장치(2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부속실에서 순환되도록 한다. 유입되는 공기는 연기가 포함되지 않은 공기일 확률이 높으므로 최대한 부속실 내에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관리장치(30)는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기(10)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발생위치를 식별하고,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층의 부속실에 대응된 급기장치(20)를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3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관리장치(30)는 3층 부속실을 우선하여 적정양압(미리 설정될 수 있음)이 되도록 하고, 다음으로 2층과 4층의 양압이 적정양압이 되도록 관련층(예를 들어, 1층 내지 5층)의 급기장치들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경우 건물 지하실 또는 옥상으로부터 공기를 각 전실로 유입시키는 방식인데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부속실 천장과 바닥에 각각의 급기장치(20)가 구비되고, 각 급기장치(20)는 위아래 부속실의 공기를 양압에 이용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제연방식은 별도의 공기흐름을 위한 댐퍼가 설치되어야 하며, 또한 댐퍼를 통한 공기흐름을 팬(fan)에 의해 각층으로 전달함으로써, 특정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모든 층으로 공기가 전달됨으로써, 불필요한 설비가 동작하게 되고 특정지역에 필요한 풍압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연 시스템은 각각의 전실(부속실)에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각각 운영되는 급기장치(20)를 이용함으로써, 독립적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곳에 영향을 주지 않아 보다 안정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에서의 운영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에 대응하여 급기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급기장치(20)는 급기팬(410), 압력감지센서(420), 연기감지기(430), 통신모듈(440) 및 제어모듈(450)을 포함한다.
급기팬(410)은 공기의 흐름을 위로 또는 아래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모듈(450)은 급기팬(410)을 제어하여 바람의 방향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420)와 연기감지기(430)는 부속실 내의 공기압력을 측정하고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장치이다.
일례에 따르면, 압력감지센서(420) 및 연기감지기(430)는 급기장치(20)의 아래층 부속실의 공기압력 측정과 연기감지를 위한 제1 압력감지센서 및 제1 연기감지기와 윗층 부속실의 공기압력 측정과 연기감지를 위한 제2 압력감지센서 및 제2 연기감지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급기장치(20)에서 윗층과 아래층 부속실의 양압을 측정하고 연기를 감지할 수 있어, 하나의 부속실에 대해 바닥과 천장에 설치된 두개의 급기장치(20)에 의해 양압을 측정하고 연기를 감지한다. 이로 인해 보다 정확한 양압의 측정과 연기감지가 가능해지며, 하나의 고장 시에도 안정적으로 부속실의 양압측정과 연기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모듈(440)은 관리장치(30)와의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장치(30)로 압력측정값 및 연기감지에 의한 화재신호 등을 전송하거나 관리장치(30)로부터 급기팬(410)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모듈(450)은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에 따르면 측정된 부속실의 양압에 따라 급기팬(410)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관리장치(30)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급기팬(410)의 풍향 및 풍량을 제어한다. 또는 제어모듈(450)은 연기감지기(430)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면 관리장치(30)로부터의 제어정보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급기팬(410)을 먼저 구동 및 풍량/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450)은 연기감지기(430)가 연기를 감지하면 급기팬(410)을 구동하며 관리장치(30)로 화재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급기장치(20)는 윗층과 아랫층에 대응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기감지기(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기를 감지한 연기감지기(430)에 따라 급기팬(410)의 풍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에 구비된 제1 연기감지기가 연기를 감지하면 급기팬(410)의 풍향은 위를 향하고, 반대로 하단의 제2 연기감지가 연기를 감지하면 급기팬(410)의 풍향은 아래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관리장치(30)에서의 운영 과정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장치(30)는 임의의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면(S310), 해당 화재감지기(10)를 식별함으로써 화재발생위치를 인식한다(S320).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는 각층 부속실의 적정 공기압력(양압)을 산출한다(S330).
여기서, 적정 양압 범위는 미리 설정된 값의 범위일 수 있으며, 또는 복도실과의 비교값(예를 들어, 복도에 비하여 최소 40Pa이상의 양압)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복도실의 양압을 측정해야 하므로, 복도에 설치된 양압측정수단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여 복도의 양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미리 설정된 디폴트된 양압범위를 이용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각 층 부속실의 압력감지센서(420)에 의해 실시간 측정되어 수신되는 공기압력정보를 기반으로 필요한 급기장치들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한다(S340).
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7층에 구비된 화재감지기(10)가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하면, 관리장치(30)는 7층에 화재가 발생된 것을 인식한다. 그러면, 7층 대피로 부속실에 구비된 제7 급기장치(20-7) 및 제8 급기장치(20-8)는 7층 부속실 방향으로 풍량을 100%로 구동하여 적정 양압범위(예를 들어 80~100이라 하면)의 높은 값(95~100)이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바로 위아래 주변층 부속실은 풍량을 80%로 구동하여 중간값(예를 들어, 85~95)의 적정양압을 유지시키고, 그 다음 주변층은 50~60%의 풍량으로 낮은 범위(80~90)의 적정양압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각 급기장치의 풍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 층의 부속실을 향하도록 기본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너무 높은 양압(예를 들어 적정양압을 초과하는 양압)이 특정층에 발생하면 필요한 층의 급기장치의 풍향을 반대 방향으로 제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관리장치(30)는 각 층 부속실의 실시간 양압과 각 급기장치의 풍량 및 풍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 부속실이 미리 산출된 적정양압에 도달하도록 급기장치들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일례에 따르면, 관리장치(30)는 각 부속실의 상단 급기장치와 하단 급기장치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한 결과에 따른 공기압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 급기장치의 장애유무를 확인하는 급기 점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시스템에서의 급기 점검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장치(30)는 점검대상 부속실의 상단 급기장치와 하단 급기장치를 구동시킨다(S610). 이때 풍량과 풍향은 점검기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공기압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저장한다(S620),
그리고, 그 변화에 따라 해당 급기장치들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하고(S630), 다시 공기압력의 변화를 확인한다(S640).
급기장치들의 풍량 및 풍향의 조절에 따라 정상적으로 공기압력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부속실의 각 급기장치들의 장애유무를 결정한다(S650).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면, 점검대상 부속실 방향으로 각 급기장치를 가장 강하게 구동하여 많은 양의 풍량을 유입시켰을 때 양압이 정상적으로 빠르게 올라가는지를 확인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적은 양의 풍량으로 공기를 빼낼 때 양압이 정상적으로 느리게 낮아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장애유무를 결정하는 점검을 수행한다. 또는 위아래 각 급기장치들의 풍향을 같은 방향(예를 들어, 아래방향)으로 하고 풍량을 갖게 또는 서로 다르게 하면서 해당 부속실의 양압변화를 확인함으로써, 고장이 발생된 급기장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부속실에 대해 두개의 급기장치의 풍향과 풍속을 달리하면서 양압을 측정하여 각 급기장치의 고장유무를 확인하는 모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층 부속실에 바닥과 천장에 설치된 급기장치(20)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해 원격에서 수시로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에서의 운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 10-n : 화재감지기
20-1, 20-2, ..., 20-m : 관리장치
30 : 관리장치

Claims (10)

  1. 건축물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들;
    대피로의 부속실 각 층을 관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되는 급기장치들; 및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발생위치로서 식별하고, 상기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층의 부속실에 대응된 급기장치를 제어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급기장치들은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여 각 층 부속실의 적정 공기압력을 산출하고, 각 층 부속실의 압력감지센서에 의한 공기압력정보를 기반으로 필요한 급기장치들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기장치가 설치되는 통로는 동일 층 바닥과 천장에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점검대상 부속실의 상단 급기장치와 하단 급기장치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한 결과에 따른 공기압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 급기장치의 장애유무를 확인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기장치는 연기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기감지수단이 연기를 감지하면 급기팬을 구동하며 상기 관리장치로 화재신호를 전송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기장치는 윗층과 아랫층에 대응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기감지기가 구비되며, 연기를 감지한 연기감지기에 따라 급기팬의 풍향을 결정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8. 대피로의 부속실 각 층을 관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되는 급기장치들을 포함하는 제연 시스템에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내에 구비되는 임의의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재신호를 전송한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발생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화재발생위치에 상응하여 각 층 부속실의 적정 공기압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각 층 부속실의 압력감지센서에 의한 공기압력정보를 기반으로 필요한 급기장치들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에서의 운영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동일층 부속실의 상단 급기장치와 하단 급기장치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한 결과에 따른 공기압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 급기장치의 장애유무를 확인하는 점검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에서의 운영 방법.
KR1020210166502A 2021-11-29 2021-11-29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38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02A KR102384259B1 (ko) 2021-11-29 2021-11-29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220024909A KR102406010B1 (ko) 2021-11-29 2022-02-25 층간 통로를 이용한 대피로 부속실 제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02A KR102384259B1 (ko) 2021-11-29 2021-11-29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909A Division KR102406010B1 (ko) 2021-11-29 2022-02-25 층간 통로를 이용한 대피로 부속실 제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259B1 true KR102384259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502A KR102384259B1 (ko) 2021-11-29 2021-11-29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220024909A KR102406010B1 (ko) 2021-11-29 2022-02-25 층간 통로를 이용한 대피로 부속실 제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909A KR102406010B1 (ko) 2021-11-29 2022-02-25 층간 통로를 이용한 대피로 부속실 제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42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398A (ko) 2013-05-28 2015-02-17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56787B1 (ko) * 2019-01-10 2019-03-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398A (ko) 2013-05-28 2015-02-17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56787B1 (ko) * 2019-01-10 2019-03-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010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270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пожара и определения его места
US5788571A (en) Method of venting smoke from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US73756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d localizing a fire
KR102277968B1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70088537A (ko) 일정한 방연풍속을 제공하는 제연설비
CN110925696A (zh) 基于bim的消防逃生系统及路线计算因素确认方法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1956787B1 (ko)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CN208606334U (zh) 带空气压力检测装置的消防正压送风系统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101529463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384259B1 (ko)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72985B1 (ko) 재난감지 및 재난방재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JP6868436B2 (ja) 空調制御装置
KR200469784Y1 (ko)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KR101912050B1 (ko)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룸을 이용한 소형 배풍시스템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KR200410035Y1 (ko) 제연 제어 장치
KR102416606B1 (ko) 공동주택의 층별 배풍장치 연계 비상조명 융합 배풍시스템
JP4155628B2 (ja) 気圧差調整装置
KR200349278Y1 (ko) 화재 감시 장치
KR200375672Y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