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672Y1 -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672Y1
KR200375672Y1 KR20-2004-0033133U KR20040033133U KR200375672Y1 KR 200375672 Y1 KR200375672 Y1 KR 200375672Y1 KR 20040033133 U KR20040033133 U KR 20040033133U KR 200375672 Y1 KR200375672 Y1 KR 200375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control
ventilation
control devic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공조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공조, 이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공조
Priority to KR20-2004-0033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6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연구역의 차압유지와 방연풍속, 덕트 내의 과압조절 및 연기 감지기와 송풍기, 댐퍼, 방화문(출입문) 등의 각종 설비에 대한 자가진단과 제연시스템의 일괄 통합제어를 위한 고 정밀(高精密) 일체형 자동 통합 제연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비 제연구역에 차압 감지관을 설치하여 제연구역과의 차압을 측정하는 기존방식에서 차압 감지관을 제거함으로서 제작단가와 설치비용을 줄이고 신뢰성 있는 비교차압을 얻음으로서 제연구역의 차압과 방연풍속으로 제연구역의 압력을 보다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덕트 풍도 내의 과압을 제어 및 조절하고, 연기감지기, 송풍기, 댐퍼 및 출입문 등을 한꺼번에 통합제어하는 자가진단 기능을 부과함으로서 제연설비들의 제연효과를 극대화시켜 각 제연구역마다 최적의 제연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제연시스템의 유연성 확보는 물론 방재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An antomatic precision system integrated for control of smoke}
본 고안은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의 차압을 측정하여 일괄적으로 압력센서에 신호를 보내어 자동으로 통합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 제연구역의 차압 감지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제작단가와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통합 제연 제어 장치로부터 일정한 비교차압을 얻음으로서 제연구역에 40㎩(파스칼)의 차압과 방연풍속으로 제연구역의 압력을 보다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제연구역마다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서 최적의 제연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로 인한 인명안전의 영향에는 화재발생장소 부근에서의 화열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화재기류에 의해 운반되어 건물 내에 확산되는 연기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고층 또는 대규모 건축물의 화재에서 수많은 희생자가 나올 때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연기가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건물의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인명안전에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연소가스가 유통과정에서 혼합되는 공기에 의해 희석되는 것으로 화염이나 연소직후의 가스보다 위험도는 낮지만 연기가 인명위험의 가장 중대한 원인이 되는 것은 화연에 비해 연기가 건물내에서 확산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기의 제어수단과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건물화재에서 인명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그 기술적 대책 중의 하나로서 소방법에서는 "특수 장소에 부설된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의 제연설비설치에 관한 기술기준(NFSC 501A)"에 의거하여 설치하는 제연장치(system)가 그 일예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제연구역(특수 장소에 부설된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에 설치되는 제연장치의 제연방식은 급기가압방식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구역으로 신선한 공기를 주입해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함으로서 이른바 차압(40㎩)을 발생시킴으로서 연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제연구역은 화재시 건물 재실자가 화재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마지막 안전공간이며 소화활동을 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공간이다.
이와 같이 제연구역(부속실)에 가압을 시키고 차압을 형성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 제연댐퍼라고 하는 것이다. 제연댐퍼의 역할은 제연구역에 차압유지는 물론 공기가 너무 과다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때 차압은 일반적으로 도1a 및 도1b에 나타낸바와 같이 제연구역(부속실)(160)과 비 제연구역(170)과의 압력의 차이로 나타나게 된다. 기존의 차압 측정센서는 비 제연구역(170)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도1a과 같이 건물의 각 제연구역(160)마다 별도로 차압 감지관(6㎜ 동관)(150)을 매설·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제작비의 과대지출, 그리고 차압 감지관(150)의 길이나 위치수두에 대한 기준치(압력)의 보정이나 설정이 어렵고 방화문(출입문)(140)의 개폐에 따른 방연풍속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차압으로서 측정치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가 없으며, 중앙제어반으로부터 건물의 층별 제연구역에 대한 차압과 보충량 조절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최적의 제연기능을 얻기가 어렵고 제연장치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1a와 도1b의 도면부호 90은 제연댐퍼이고, 80은 제연구역 압력센서이며, 130은 송풍기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차압 및 방연풍속, 보충량 조절, 연기 감지기와 송풍기, 댐퍼, 방화문(출입문)의 자가진단과 통합제어를 위한 고 정밀(高精密) 일체형 자동 통합 제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차압 측정방식에서 비 제연구역의 압력측정 포트인 차압 감지관을 제거하고 제연제어장치에서 비 제연구역의 압력을 측정하여 일괄적으로 압력센서에 신호를 보내고 통합제어를 함으로서 첫째, 별도로 비 제연구역의 차압 감지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제작단가와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둘째, 제어장치로부터 일정한 기준치(압력)를 얻어 신뢰성 있는 비교차압을 얻음으로서 제연구역에 40㎩(파스칼)의 차압과 방연풍속으로 제연구역의 압력을 보다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 연기 감지기, 송풍기, 댐퍼 및 방화문(출입문) 등의 자가진단에 의한 오류(에러)체크와 통합제어방식으로 제연장치에 유연성을 줄 수 있으며, 넷째, 각 제연구역마다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서 최적의 제연기능을 얻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으로부터 연기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건물내부의 재실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주고, 제연시스템의 통합제어와 자가진단 기능을 부가시켜 방재성능을 더욱 더 향상시킨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기억장치(CPU)와 연결되어 공기 유입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연구역에 제연 댐퍼를 설치하고, 중앙기억장치(CPU)와 연결되어 제연구역 내의 초과 공기유입에 따른 과압력을 방지하도록 비제연구역과 연결되도록 보충량 조절댐퍼를 설치하며, 다수의 제연댐퍼 및 보충량 조절댐퍼와 연결되어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제연구역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연기 감지기의 신호를 받아 제연댐퍼 구동부, 보충량 조절댐퍼 구동부, 방화문, 송풍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화재발생시 연기 감지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 입력부에 의해 화재신호가 입력되면 송풍기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송출하는 중앙기억장치(CPU) 및 제연제어 장치와;
상기 중앙기억장치(CPU)의 신호에 의해 송풍기의 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제연구역으로 송출토록하는 구동부 및 제연 댐퍼와;
상기 구동부 및 제연댐퍼에 의해 공가 유입되는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의 공기압력을 측정한 압력센서의 신호를 중앙기억장치(CPU)로 보내져 차압을 기억시키는 압력검출부와;
상기 압력검출부에 의해 입력된 제연구역과 비 제연구역의 압력차이를 계산하여 제연구역의 차압이 40파스칼 이상이면 구동부에 신호를 보내어 송풍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40파스칼 이하가되면 송풍기구동부를 구동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차압검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의 알리고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기억장치(CPU)는 덕트 내에 설치된 과압력센서의 신호를 과압검출부로 보내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덕트내의 공기를 보충량 조절댐퍼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과압 검출부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앙기억장치(CPU)가 내장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제연구역의 차압을 디지털로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구성된다.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의 차압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동입력부가 구성된다.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의 중앙기억장치(CPU)는 방화문과 출입문의 해정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방화문 개폐감지 센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지동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비제연구역에 별도의 차압관을 설치하지 않고 제연구역에 설치된 제연댐퍼와 덕트를 하나의 연결 관(15')으로 설치하여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의 차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의 설치구성도를 나타낸 예시도 로서, 제연구역(16) 일측에 압력센서(8b)를 갖는 제연댐퍼(9)가 설치되고 제연댐퍼(9)는 일측에 설치된 덕트(15)와 연결관(15')으로 연결되며, 제연댐퍼(9)는 자동 통합제연제어 장치(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이다.
본 고안은 각각 별도로 형성된 다수의 제연구역(16)이 연결관(동관)(15')으로 덕트(15)로부터 각각 분선되어 제연댐퍼(9)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화재발생시 연기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의 중앙기억장치(CPU)(2)에 의해 덕트(15)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 구동부(13b)를 구동시켜 송풍기(13a)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덕트(15)를 통하여 각각의 제연댐퍼(9)로 공급되며 제연댐퍼로 공급된 공기는 제연구역(16)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연댐퍼(9)는 중앙기억장치(CPU)(2)에서 송풍기 구동부(13b)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제연댐퍼의 구동부를 작동시켜 제연댐퍼(9)를 개방하면 공기가 유입되어 40Pa까지 도달하면 자동으로 제연댐퍼(9)는 폐쇄된다.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는 중앙기억장치(CPU)(2)와 표시부(3) 및 입력부(4), 연기감지기 신호입력부(5), 차압검출부(6), 비 제연구역 압력검출부(7a), 비 제연구역 압력센서(8a), 제연구역 압력검출부(7b), 제연구역 압력센서(8b), 제연댐퍼(9), 과압 검출부(10), 과압센서(11), 보충량 조절댐퍼 구동부(12), 송풍기 구동부(13b), 방화문의 개폐여부 센서(14)로 구성된 것을 나타 낸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는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감지기로부터 연기감지기 신호입력부(5)에 신호가 전달되면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으로부터 송풍기 구동부(13b)에 신호를 송출하여 송풍기(13a)를 구동하게 되고, 이때 제연댐퍼(9)의 구동부로도 신호가 송출되어 제연댐퍼(9)가 개방되어 제연구역(16)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비 제연구역(17)의 압력센서(8a)에서 측정된 압력이 비 제연구역 압력검출부(7a)로 보내져 통합 제연제어장치(1)의 중앙제어부(2)에 기억시키게 되고, 다시 제연구역(16)의 압력센서(8a)로부터 측정된 압력은 제연구역 압력검출부(7b)로 보내져 중앙기억장치(2)에 기억시키게 된다.
또한 중앙기억장치(2)에서는 비 제연구역(17)의 압력과 제연구역(16)의 압력 차이를 계산하여 차압검출부(6)로 보내지게 된다. 이때 차압이 40㎩를 넘으면 송풍기 구동부(13b)에 신호를 보내 송풍기의 동작을 멈추게 되고, 또 차압이 40㎩ 이하가 되면 송풍기 구동부(13b)에 신호를 보내 송풍기(13a)를 다시 동작시켜 제연구역(16)으로 신선한 공기를 보내게 된다.
상기 연결관(15')를 통해 제연구역(16)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덕트(15) 내의 압력은 과압센서(11)에 의해 측정되어 과압검출부(10)로 측정치가 송출되고, 송출된 압력이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의 중앙기억장치(2)에 입력된 차압을 넘어 과압으로 판정되면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는 보충량 조절댐퍼 구동부(12)를 작동시켜 덕트(15) 내부의 공기를 바깥으로 유출되게 함으로서 과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될 때 출입문의 개폐여부 센서(14)로부터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확인하고 제연구역(16)에는 차압유지를 위하여 기존 풍속 이상의 방연풍속(0.5∼0.7㎧)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기억장치(2)로부터 송풍기 구동부(13b)에 신호를 송출하여 송풍기(13a)를 작동시켜 제연댐퍼(9)로부터 공기를 제연구역(16)으로 유입시키고, 또 방화문 개폐감지 센서(14)로부터 출입문의 해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정밀 일체형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에는 제연구역(16)의 차압을 디지털 표시부(3)에 표시해주고, 앞서 기술한 작동들을 수동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수동 입력부(4)가 설치돼있다.
상기 연기감지기 신호입력부(5)에서는 연기감지, 제연댐퍼의 구동부에서는 제연댐퍼(9), 보충량 조절댐퍼 구동부(12')에서는 보충량 조절댐퍼(12), 송풍기 구동부(13b)에서는 송풍기(13a)의 오작동이나 고장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자가진단 기능을 추가함으로서 기기들의 성능과 방재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비 제연구역(17)의 압력과 댐퍼의 센서에서 측정한 압력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다시 센서로 보내면 차압에 따라 댐퍼가 작동되고, 이 신호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에 피드백 되면 그 신호로부터 송풍기(13a)가 작동하게 하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는 건물의 각 제연구역(16)의 차압조절과 보충량의 조절로 풍압 내의 과압을 통제할 수 있고, 연기 감지기와 송풍기(13a), 제연댐퍼(9), 방화문 등의 통합 제어로 제연효과를 극대화하게 함은 물론 제연장치의 연동성과 유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에 다수의 제연구역을 연결하여 통합관리 예를 나타낸 계통도로서, 본 고안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연구역을 통합관리의 계통도와 앞에서 설명한 도1a와 도1b의 기존 제연제어장치를 비교하여 볼때 본 고안은 기존 제연제어 장치에 비하여 별도의 차압 감지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제작단가와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통합 제연제어 장치로부터 일정한 기준 압력을 얻어 정확성과 신뢰성 있는 비교 차압을 얻음으로서 제연구역에 40㎩의 차압을 보다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각 제연구역(16) 마다 최적의 제연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중앙기억장치(CPU)(2)를 갖는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는 덕트(15) 내에 설치된 과압력센서(11)의 신호를 과압검출부(10)로 보내어 제연구역(16)으로 유입되는 덕트(15)내의 공기를 보충량 조절댐퍼(1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보충량 조절댐퍼 구동부(12')와 연결된다.
즉, 제연구역(16) 내로 40파스칼 이상이 공기압이 유입될 경우 덕트내에 설치된 고압력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과압력 검출부로 보내면 과압력검출부에서는 중앙기억장치(CPU)로 보내지고 이를 기억한 중앙기억장치는 신호를 보충량 조절댐퍼의 구동부를 명령하여 운전을 가동시키게 됨으로 댐퍼내로 유입되는 잉여 공기를 보충량 조절댐퍼에서 배출 함으로서 제연구역의 차압을 40파스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제연구역(16)의 차압이 40파스칼로 유지되면 과압센서에 의해 감지되므로 과압검출부는 이의 신호를 인지하여 중앙기억장치(2)로 보내고 기억된 신호는 다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의 명령에 의하여 보충량 조절댐퍼 구동부(12')를 정지시켜 보충량 조절댐퍼(12)를 폐쇄하여 공기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중앙기억장치(2)가 내장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는 제연구역(16)의 차압을 디지털로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3)가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모든 기능조작과 감지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나, 화재에 의해 장치의 일부 구성품이 파손되어 자동으로 작동이 불능일 경우를 대비하여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1)는 제연구역(16)과 비제연구역(17)의 차압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동입력부가 구성되고 수동으로 조작되는 차압은 표시부(3)에 표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중앙기억장치와 방화문 개패감지 센서를 연결하여 방화문과 출입문의 해정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방화문 개폐감지 센서를 방화문 또는 출입문 등에 설치하여 화재 당시 개폐여부를 확인하여 문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람이 없더라도 연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서 의도하는 대로 방화문 감지 센서에 의해 방화문, 출입문등이 자동으로 닫히기 위해서는 방화문과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를 설치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덕트를 구성하여 덕트(15)와 각각의 제연구역(16)에 설치된 제연댐퍼(9)를 연결관(15')으로 연결하고 제연댐퍼(9) 일측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됨으로서 각각의 제연구역(16)을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로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기준치(압력)를 얻어 정확한 비교차압을 계산함으로 신뢰성을 갖고 제연구역에 40㎩(파스칼)의 차압과 방연풍속으로 제연구역의 압력을 보다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연기 감지기, 송풍기, 제연댐퍼 및 방화문(출입문) 등의 자가진단에 의한 에러체크와 통합제어방식으로 제연장치에 유연성을 줄 수 있으며, 각 제연구역 마다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서 최적의 제연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으로부터 연기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건물내부의 재실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주고, 제연시스템의 통합제어와 자가진단 기능을 부가시켜 방재성능을 더욱 더 향상시킨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으로부터 비 제연구역과 제연구역의 차압측정시 기존의 비 제연구역에서 차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별도로 설치되는 차압 감지관을 생략 함으로서, 제작 단가와 설치비용을 줄이고, 각 제연구역을 통합관리 함으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비교차압을 얻음으로서 제연구역의 차압을 보다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덕트 풍압 내의 과압을 통제 및 조절하고 연기감지기, 송풍기, 댐퍼, 출입문 등을 한번에 통합제어하고 자가진단 기능을 부과함으로서 제연효과의 극대화와 제연시스템의 유연성 확보는 물론 방재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의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a는 종래의 제연구역에 차압 감지관이 설치된 상태의 제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1b는 종래의 제연장치에 있어서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을 나타낸 계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연장치의 설치구성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의 알고리즘.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에 다수의 제연구역을 연결하여 통합관리 예를 나타낸 계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자동 통합 제연장치 2:중앙기억장치
3:표시부 4:입력부
5:연기감지신호 입력부 6:차압검출부
7a:비 제연구역 압력검출부 7b:제연구역 압력검출부
8a:비 제연구역 압력센서 8b:제연구역 압력센서
9:제연댐퍼 10:과압검출부
11:과압센서 12:보충량 조절댐퍼
12'보충량 조절댐퍼 구동부 13a: 송풍기
13b:송풍기 구동부 14:방화문 개폐여부 센서
15:덕트 15': 연결관
16:제연구역 17:비제연구역

Claims (6)

  1. 자동통합 제연제어 장치의 중앙기억장치(CPU)와 연결되어 공기 유입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연구역에 제연 댐퍼를 설치하고, 중앙기억장치(CPU)와 연결되어 제연구역 내의 초과 공기유입에 따른 과압력을 방지하도록 비제연구역과 연결되도록 보충량 조절댐퍼를 설치하며, 다수의 제연댐퍼 및 보충량 조절댐퍼와 연결되어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제연구역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와 제연구역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화재발생시 연기 감지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 입력부에 의해 화재신호가 입력되면 송풍기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송출하는 중앙기억장치(CPU) 및 제연제어 장치와;
    상기 중앙기억장치(CPU)의 신호에 의해 송풍기의 공기가 덕트를 통하여 제연구역으로 송출토록하는 구동부 및 제연 댐퍼와;
    상기 구동부 및 제연댐퍼의 해 공가 유입되는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의 공기압력을 측정한 압력센서의 신호를 중앙기억장치(CPU)로 보내져 차압을 기억시키는 압력검출부와;
    상기 압력검출부에 의해 송풍기구동부를 구동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도록하는 차압검출부를 포함하는 알리고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의 차압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동입력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정밀 자동 제연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비제연구역에 별도의 차압관을 설치하지 않고 제연구역에 설치된 제연댐퍼와 덕트를 하나의 연결 관(15')으로 설치하여 다수의 제연구역과 비제연구역의 차압을 통합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정밀 자동 제연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는 제연구역의 차압을 디지털로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중앙기억장치(CPU)는 덕트트 내에 설치된 과압력센서의 신호를 과압검출부로 보내어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덕트내의 공기를 보충량 조절댐퍼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과압 검출부와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정밀 자동 제연제어 장치.
KR20-2004-0033133U 2004-11-23 2004-11-23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200375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33U KR200375672Y1 (ko) 2004-11-23 2004-11-23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33U KR200375672Y1 (ko) 2004-11-23 2004-11-23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805A Division KR100671477B1 (ko) 2004-11-22 2004-11-22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672Y1 true KR200375672Y1 (ko) 2005-03-11

Family

ID=4367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133U KR200375672Y1 (ko) 2004-11-23 2004-11-23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6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4046A1 (en) * 2019-03-15 2022-12-22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using differential air press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4046A1 (en) * 2019-03-15 2022-12-22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using differential air pressure
US11767997B2 (en) * 2019-03-15 2023-09-26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using differential air pres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1805687B1 (ko) 일정한 방연풍속을 제공하는 제연설비
KR101516232B1 (ko) 제연시스템
KR102009894B1 (ko) 제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연방법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101690199B1 (ko) 제연설비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200375672Y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101123934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
KR101383144B1 (ko)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200432485Y1 (ko) 건축물 제연구역의 풍량 과압조절 장치.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JPH06190076A (ja) 防煙装置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JP2003019221A (ja) 附室加圧排煙システム
JP3390772B2 (ja) 非常用エレベーターの附室の加圧給気装置
KR200410035Y1 (ko) 제연 제어 장치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CN209960700U (zh) 高层建筑的排烟装置
KR200173248Y1 (ko)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