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248Y1 -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 Google Patents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248Y1
KR200173248Y1 KR2019990017328U KR19990017328U KR200173248Y1 KR 200173248 Y1 KR200173248 Y1 KR 200173248Y1 KR 2019990017328 U KR2019990017328 U KR 2019990017328U KR 19990017328 U KR19990017328 U KR 19990017328U KR 200173248 Y1 KR200173248 Y1 KR 200173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vertical wind
pressure
opening
volum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우성상역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상역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상역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7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Abstract

본 고안은 급기덕트(40)의 선단부에 송풍기(20)가 장치되고 상기 급기덕트의 후단부가 수직풍도(30)와 연통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각층의 수직풍도(30) 개구부에 일정 개구율에 의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급기담파(53)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풍도의 상단부에 제1풍량조절담파(51)가 제1구동모터(6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치되며, 급기덕트(40) 후단에 제2풍량조절담파(52)가 제2구동모터(5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치되고, 연기 발생을 감지하는 연기감지기(72)와 수직풍도(30)의 압력을 감지하는 차압센서(71)의 인가 신호에 따라 제어장치(73)가 제1구동모터(61) 또는 제2구동모터(6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제1풍량조절담파(51)와 제2풍량조절담파(52)가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되도록 하므로, 각층의 안전지역에 작용하는 급기압력이 균일하도록 하고, 자동으로 감압과 증압을 조절하여 제연구역 내부가 항상 규정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며, 급기담파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의 수량이 줄어들도록 하므로 설비비용이 대폭 저감되도록 하는 급기가압형 제연설비이다.

Description

급기가압형 제연설비{SMOKE PROTECTION SYSTEM}
본 고안은 다층으로 이루어 지는 공동주택의 부속실에 설치되어 화재시 각 층의 부속실에 신선한 외부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균등하게 송풍시켜 연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므로 효율적인 안전지역을 확보하도록 하는 급기가압형 제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화활동을 위한 부속실(1)이 양쪽 주거공간(2)의 현관문(3)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부속실(1)의 전방이 방와문(8)을 통하여 상하층의 피난계단(4)과 연결되며, 부속실(1) 후방에 엘리베이터이동공간(5)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속실(1)의 전방 일측에 각종 배관이 배관되는 제1부공동구(6)가 건축물 상하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부속실(1)의 전방 타측에 제2공동구(7)가 건축물의 상하로 수직풍도를 이루며 연통되게 형성되어 화재시 부속실(1)로 외부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제연설비가 제2공동구(7)와 연통되게 장치되도록 되며, 부속실(1)의 전방과 피난계단(4) 사이에 방와문(8)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관문(3)과 방화문(8)을 닫으면 부속실(1)이 제2공동구(7)의 내부와만 통공 가능한 소정의 안전지역이 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제연설비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제2공동구(2)가 건축물 옥상에 설치되는 급기덕트(9)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각 층의 부속실(1)과 제2공동구(7)가 면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통풍구가 형성되는 루바(15)의 와곽가 설치되고, 루바(15)의 내측에 급기담파(10)가 구동모터(11)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치되며, 급기덕트(9)의 입구에 송풍기(12)가 송풍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모터(11)와 송풍기(12)는 방재반(13)의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고, 건축물 내부 요소 요소에 장착되어 연기발생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장치에 인가하는 연기감지기(14)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방재반(13)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제연설비는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연기감지기(14)가 연기발생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장치에 인가하면, 연기감지신호를 인가 받은 제어장치에서 각층의 구동모터(11)와 송풍기(12)에 동시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기 작동되도록 하므로, 급기담파(10)가 열려 제2공동구(7)와 부속실(1)이 연통되도록 하고, 송풍기(12)에서 급기덕트(9)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송풍하도록 한다. 또한, 급기덕트(9)를 통해 공풍되는 외부공기는 제2공동구(7)를 통해 각층으로 이송되고 급기담파(10)를 통해 부속실(1)로 급기되어 부속실(1)에 일정 이상의 정압이 작용되도록 하므로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가 부속실(1) 안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방재반(13)의 시스템 리셋스위치를 조작하여 시스템을 복구시키면 제어장치에서 이를 인식하여 구동모터(11)가 급기담파(10)를 구동하여 제2공동구(7)의 개구부가 닫히도록 하고, 송풍기(12)의 구동이 정지되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제연설비는 각층의 구동모터(11)들이 각기 동시에 급기담파(10)를 동일한 개구율로 개구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기(12)에서 급기덕트(9)를 통해 제2공동구(7)로 급기되는 공기가 송풍기(12)와 가까이 있는 상부쪽 부속실(1)로는 비교적 초과 압력으로 과다한 풍량이 공급되고, 하부쪽 부속실(1)로 내려올수록 요구압력 이하로 풍량이 공급되어 급기 불균형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화재시 하부층의 복동공간(1)에는 그만큼 안전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는 개도율조절형담파모터를 부착한 급기담파를 적용하기도 하나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부담이 있고, 제연구역 내에 저압 또는 과압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정하여 규정된 압력을 유지하는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급기담파의 개폐구조를 개선하고, 각층의 부속실과 연통되는 수직풍도의 상부에 급기제어용 풍량조절담파를 장치하여, 그 설비가 간단하도록 하고, 각층의 부속실로 급기되는 공기압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급기가압형 제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공동주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도 2 는 종래 공동주택의 제연설비를 도시한 예시도,
도 3 은 종래 공동주택 제연설비의 급기담파 및 루바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제연설비를 도시한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 제연설비의 급기담파 및 루바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송풍기 30 : 수직풍도
40 : 급기덕트 51 : 제1풍량조절담파
51 : 제2풍량조절담파 53 : 급기담파
54 : 루바 55 : 핸들
61 : 제1구동모터 62 : 제2구동모터
70 : 방재반 71 : 차압센서
72 : 연기감지기 73 : 제어장치
본 고안은 송풍기에 연통되는 급기덕트 끝단부 일측이 수직풍도와 연통되고 상기 급기덕트 끝단부 타측에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수직풍도 상단부에 각기 풍량조절담파가 서로 반비례로 제어 가능하게 장치되고, 각 층의 수직풍도 개구부에 개구율의 조정이 가능한 개구율조절형급기담파가 장착되며, 상기 풍량조절담파가 수직풍도 하부에 장착되는 차압센서의 감지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여 수직풍도 및 부속실의 압력이 전체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설비 및 제어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통상 공동주택의 옥상에 설치되는 급기덕트(40)의 선단부에 일정 용량의 송풍기(20)가 송풍 가능하게 장치되고, 급기덕트(40)의 후단부가 상기 공동주택 각층의 부속실과 연통되는 수직풍도(30) 상부와 연통된다. 또한, 급기덕트(40)의 후단부에 외부로 연통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에 제2풍량조절담파(52)가 제2구동모터(62)에 의해 전기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직풍도(30) 상단부에 제2풍량조절담파(52)와 반비례로 자동제어되는 제1풍량조절담파(51)가 제1구동모터(6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치된다. 또한, 수직풍도(30)의 하부에 수직풍도(30) 하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차압센서(71)가 장착되고, 각 거주공간에 연기 발생을 감지하는 연기감지기(72)가 장착되며, 차압센서(71)와 연기감지기(72)의 감지상태가 각기 전기적인 신호로 방재반(70)의 제어장치(73)에 인가되도록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73)가 인가 받은 신호를 연산하여 판단에 따라 출력신호를 송풍기(20)와 제1구동모터(61) 및 제2구동모터(62)에 자동으로 출력하여 제어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풍량조절담파(51)를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61)와 제2풍량조절담파(52)를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62)는 별도의 자동제어장치에 의해 반비례적으로 동시제어 되어, 수직풍도(30)로 유동되는 급기량을 균등하게 제어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화재발생으로 인해 연기감지기(72)에 연기발생이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를 방재반(70)의 제어장치(73)에 인가하고, 그 감지신호를 인가 받은 제어장치(73)가 송풍기(20)와 제1구동모터(61) 및 제2구동모터(62)에 전원을 인가하여 송풍기(20)가 급기덕트(40)로 외부공기를 송풍하고 제1구동모터(61)와 제2구동모터(62)가 제어신호에 따라 제1풍량조절담파(51)와 제2풍량조절담파(52)를 선택적 개도율로 열도록 하므로, 외부공기가 급기덕트(40)와 수직풍도(30)를 통해 각층의 부속실로 압송되도록 한다.
이때, 수직풍도(30) 하부의 차압센서(71)는 수직풍도(30)의 압력을 감지하여 방재반(70)의 제어장치(73)에 전기적인 신호로 입력시키며, 이 신호를 인가 받는 제어장치(73)가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구동모터(61)와 제2구동모터(62)에 가변적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구동모터(61)와 제2구동모터(62)의 화전방향을 제어하므로, 제1풍량조절담파(51)와 제2풍량조절담파(52)의 개구율이 변하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차압센서(71)에 감지되는 값이 설정된 규정 압력이하이면 제1구동모터(61)가 제1풍량조절담파(51)를 좀더 열어주고 반비례 제어되는 제2구동모터(62)가 제2풍량조절담파(52)를 좀더 닫아주어 수직풍도(30)를 통해 부속실로 유입되는 급기량이 증가하도록 하며, 반대로 차압센서(71)에 감지되는 값이 설정된 규정 압력이상이면 제1구동모터(61)가 제1풍량조절담파(51)를 좀더 닫아주고 반비례 제어되는 제2구동모터(62)가 제2풍량조절담파(52)를 좀더 열어주므로 수직풍도(30)를 통해 부속실로 유입되는 급기량이 감소하도록 하고 급기덕트(40) 후단의 배출구를 통해 과잉압력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 각층의 부속실과 연통되는 수직풍도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급기담파 및 루바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층의 부속실과 접하는 수직풍도(30)의 개구부 외곽에 통풍구가 전면에 형성되는 루바(54)가 안착되고, 루바(54)의 내부면에 급기담파(53)가 핸들(55)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개구부의 개구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치된다.
이러한 급기담파(53)는 평상시 각 층마다 일정 개구율로 열어 두되, 건물의 상부쪽에 위치되는 급기담파(53)의 개구율이 작고 하부쪽에 위치되는 것일 수록 급기담파(53)의 개구율을 점층적으로 크게 적용하여 일정 개구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압력이 비교적 크게 작용하는 상부쪽 수직풍도(30)의 급기담파(53)는 그 개구율이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비해 적게 열린 상태로 고정되고, 급기압력이 비교적 작게 작용하는 수직풍도(30)의 하부쪽에 위치되는 급기담파(53)는 그 개구율이 크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급기담파(53)는 압력이 비교적 크게 작용되는 수직풍도(30)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적게 개구되고 압력이 비교적 작게 작용되는 수직풍도(30)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많이 개구되므로, 각기 개구부를 통해 부속실로 급기되는 공기의 압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은 평상시 제1풍량조절담파(51) 및 제2풍량조절담파(52)가 수직풍도(30)의 상부 및 배출구를 완전히 폐쇄시켜 각층의 수직풍도(30) 개구부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되며, 각층의 급기담파(53)가 열린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제1풍량조절담파(51)만 열면 각층의 급기담파(53)가 송풍기(20)를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에 연통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제1풍량조절담파(51)가 각층의 안전지역을 이루는 부속실과 수직풍도(30) 전체를 하나의 제연구역으로 제어하므로 인해 각층에 설치되는 급기담파(53)를 별도로 개폐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따라서, 각층의 급기담파(53)에 별도의 개폐 구동장치가 필요치 않도록 한다.
또한, 제1풍량조절담파(51) 및 제2풍량조절담파(52)가 차압센서(71)의 압력감지상태에 따라 제어장치(73)에 의해 자동으로 반비례 제어되어 일정압력이 수직풍도(30) 내부에 작용되도록 하므로, 수직풍도(30) 및 안전지역을 이루는 부속실 전체가 항상 일정 정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출입문 등을 일시 개방하여 감압이 발생되거나 압력이 초과되는 경우, 차압센서(7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73)에 인가하므로 제어장치(73)가 제어신호를 제1풍량조절담파(51) 및 제2풍량조절담파(52)로 출력하여 즉시로 이를 자동 보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일정 비의 개구율로 서로 다르게 설정된 급기담파들이 각층의 수직풍도 개구부에 열린 상태로 장착되고 수직풍도 상부가 하나의 풍량조절담파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각층의 안전지역에 작용하는 급기압력이 균일하도록 하므로 안전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2개의 풍량조절담파가 차압센서의 감지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감압과 증압작용을 조절하여 제연구역 내부가 항상 규정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수직풍도 상단부에 장치되는 하나의 급기담파에 의해 각층의 급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급기담파를 개폐시켜 주는 구동모터의 수량이 줄어들도록 하므로 설비비용이 대폭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 공동주택의 옥상에 급기덕트가 설치되어 상기 급기덕트의 선단부에 일정 용량의 송풍기가 송풍 가능하게 장치되고 상기 급기덕트의 후단부가 상기 공동주택 각층의 부속실과 연통되는 수직풍도의 상부와 연통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각층의 부속실과 연통되는 수직풍도의 개구부에 일정 개구율(상부쪽에 위치될 수록 적게 개구되고 하부쪽에 위치될 수록 많이 개구됨)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급기담파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풍도의 상단부 및 급기덕트 후단에 각기 풍량조절담파가 반비례 자동제어되는 구동모터들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치되며, 거주공간에서 연기 발생을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와 상기 수직풍도의 압력을 감지하는 차압센서의 감지신호를 인가 받아 이를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가 상기 송풍기의 구동모터와 풍량조절담파의 구동모터들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KR2019990017328U 1999-08-20 1999-08-20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KR200173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328U KR200173248Y1 (ko) 1999-08-20 1999-08-20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328U KR200173248Y1 (ko) 1999-08-20 1999-08-20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248Y1 true KR200173248Y1 (ko) 2000-03-15

Family

ID=1958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328U KR200173248Y1 (ko) 1999-08-20 1999-08-20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24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046B1 (ko) * 2001-01-09 2003-08-09 주식회사 디에스테크 청소기 겸용 공조장치
KR20180028297A (ko) * 2016-09-08 2018-03-16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190021666A (ko) * 2017-08-23 2019-03-06 경민대학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CN111609508A (zh) * 2019-02-22 2020-09-01 俞炳圭 高层建筑的排烟装置
CN114622744A (zh) * 2022-01-14 2022-06-14 上海品览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暖通专业楼梯间和前室的防烟措施的自动判别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046B1 (ko) * 2001-01-09 2003-08-09 주식회사 디에스테크 청소기 겸용 공조장치
KR20180028297A (ko) * 2016-09-08 2018-03-16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34034B1 (ko) * 2016-09-08 2018-12-31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190021666A (ko) * 2017-08-23 2019-03-06 경민대학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69947B1 (ko) * 2017-08-23 2019-04-17 경민대학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CN111609508A (zh) * 2019-02-22 2020-09-01 俞炳圭 高层建筑的排烟装置
CN114622744A (zh) * 2022-01-14 2022-06-14 上海品览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暖通专业楼梯间和前室的防烟措施的自动判别方法
CN114622744B (zh) * 2022-01-14 2024-04-05 上海品览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暖通专业楼梯间和前室的防烟措施的自动判别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894B1 (ko) 제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연방법
KR20120044795A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0807273B1 (ko)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KR101242179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200173248Y1 (ko)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KR20060069785A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및 방법
KR20090044172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KR100419390B1 (ko)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제연시스템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200380422Y1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KR102645959B1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JP4526174B2 (ja) 高層集合住宅及び加圧防排煙方法
KR102205257B1 (ko)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100297973B1 (ko) 고층 주거건물의 제연방법 및 그 장치
JP4155628B2 (ja) 気圧差調整装置
KR200149248Y1 (ko)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연댐파의 개폐장치
KR20220107987A (ko) 스마트 부압방지 배기 댐퍼 시스템
JP4055128B2 (ja) 加圧防煙システム
JP2003185206A (ja) 火災室の加圧排煙システム
KR102602705B1 (ko) 복합모터의 복합댐퍼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