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475A -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475A
KR20110125475A KR1020100045024A KR20100045024A KR20110125475A KR 20110125475 A KR20110125475 A KR 20110125475A KR 1020100045024 A KR1020100045024 A KR 1020100045024A KR 20100045024 A KR20100045024 A KR 20100045024A KR 20110125475 A KR20110125475 A KR 20110125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pressure
elevator
doo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오
최금란
이영주
함승희
송혜미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475A/ko
Publication of KR20110125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 승강로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문의 적소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압댐퍼가 승강기용 승강장 주변의 벽에 설치된 댐퍼 작동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용 승강장의 급기량을 제어함에 따라 승강기용 승강장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을 유지하고 승강장의 방화문이 개방되는 경우 방연풍량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승강기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문의 적소에 자동차압댐퍼를 일체로 설치하여 자동 개폐 제어하므로 화재 발생 시 승강기용 승강장이 제연구역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damper device for elevator vestibule door}
본 발명은 건축물 화재 발생시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축물의 승강기용 승강장으로 풍압을 공급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압댐퍼 장치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자동차압댐퍼와 댐퍼 작동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로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차압댐퍼 장치는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풍압이 송풍 통로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에 설치된 자동차압댐퍼로 유도되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로 자동차압댐퍼를 자동 개폐 제어하여 송풍기의 풍압을 건축물 화재 발생시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부속실이나 복도, 계단실, 승강기용 승강장과 같은 제연구역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송풍기의 배출 풍압에 의해 결정되는 제연구역의 급기량은 제연구역의 출입문 등을 통한 방연풍량을 보상하는 수준으로 결정된다.
참고로, 정풍량 방식의 송풍시스템에서는 건축물 실내의 제연구역에 대하여 예상되는 방연풍량(예컨대, 화재가 발생한 거실과 통하는 부속실이나 복도 혹은 승강기용 승강장의 출입문이 열릴 때마다 배출되는 방연풍량)을 산정하고, 이렇게 산정된 방연풍량을 보상하는 수준으로 상기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의 배출 풍압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연구역의 방연풍량을 보상하는 수준으로 송풍시스템의 배출 풍압을 상기 제연구역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에 따라 제연구역의 급기량을 제어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제연구역으로 화연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승강기용 승강장에 제연설비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건축물의 경우 그 승강기용 승강장이 제연구역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승강기용 승강장에 제연설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건축물에 설치되거나, 혹은 승강기용 승강장 신설 시에 설치되어 승강기용 승강장으로 풍압을 공급 혹은 차단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 승강로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문의 적소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압댐퍼가 승강기용 승강장 주변의 벽에 설치된 댐퍼 작동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용 승강장의 급기량을 제어함에 따라 승강기용 승강장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을 유지하고 승강장의 방화문이 개방되는 경우 방연풍량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는,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 승강로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문의 적소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동 개폐 제어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용 승강장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자동차압댐퍼와; 상기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 개시하도록 상기 승강기용 승강장 주변의 벽에 설치되며, 승강기용 승강장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자동차압댐퍼를 자동으로 개폐 제어하는 댐퍼 작동 제어기; 및 상기 승강기용 승강장 내부 압력과 화재 발생 지역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그 차압을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에 의해 자동 개폐 제어되는 자동차압댐퍼는 길로틴형으로, 상기 승강장문에 천공된 댐퍼 통로를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댐퍼 통로를 개폐하는 댐퍼판과;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상기 댐퍼판과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댐퍼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 및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터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문에 천공된 댐퍼 통로의 전방에는 승강장 측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로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된 댐퍼 통로에 사람의 손이나 팔을 집어넣지 못하게 하는 차단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에 의해 자동 개폐 제어되는 자동차압댐퍼는 날개형으로, 상기 승강장문에 천공된 댐퍼 통로를 커버하고 각각의 양단에 상기 댐퍼 통로에 고정되는 힌지축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날개판과;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힌지부에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막대에 상기 복수의 날개판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하면 상기 복수의 날개판을 회동시켜 상기 댐퍼 통로를 개폐하는 날개판 개폐막대;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와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를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 및 상기 승강장문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자동차압댐터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문에 천공된 댐퍼 통로의 후방에는 승강장 측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로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는 상기 압력 센서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미만이면 상기 모터를 정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반대로 상기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이면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 승강로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용 승강장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용 승강장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는 상기 자동차압댐퍼의 자동 개폐 제어를 개시하는 온/오프 스위치; 및 상기 압력 센서의 차압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기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문의 적소에 자동차압댐퍼를 일체로 설치하여 자동 개폐 제어하므로 화재 발생 시 승강기용 승강장이 제연구역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가 승강기용 승강장과 그 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의 승강기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가 승강기용 승강장과 그 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가 승강기(10)용 승강장(S)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강장문(2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3은 도 1의 승강기(10)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는 자동차압댐퍼(100)와 댐퍼 작동 제어기(200), 및 압력 센서(300)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는 길로틴형으로,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10) 승강로(11)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10)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문(20)의 적소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동 개폐 제어되어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댐퍼판(101)은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따라 승강한다.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스크루 샤프트(102)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댐퍼판(101)과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댐퍼판(101)을 승강시킨다.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모터(103)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102)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킨다.
상기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터(100)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의 전방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장(S) 측에서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된 댐퍼 통로(21)에 사람의 손이나 팔을 집어넣지 못하게 하는 차단망(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판(101)을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102)와 모터(103)의 연동 구조는, 상기 모터(103)를 대체할 수 있는 유압펌프와 기어형, 피스톤형, 플런저형 등과 같이 상기 스크루 샤프트(102)를 대체할 수 있는 승강부재의 연동 구조로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압펌프와 승강부재의 연동 구조는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 개시하도록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의 벽에 설치되며, 승강기(10)용 승강장(S)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개폐 제어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 개시하며, 예컨대 건축물의 화재 경보기의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화재 경보기가 작동함과 동시에 혹은 상기 화재 경보기의 작동 직후에 작동 개시하여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 경보기는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압력 센서(300)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미만이면 상기 모터(103)를 정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반대로 상기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이면 상기 모터(103)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온/오프 스위치(201)는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를 개시한다. 예컨대,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가 온 상태로 선택된 상태에서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가 개시되며,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가 오프 상태로 선택되면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가 취소되고, 수동 점검 혹은 수동 작동이 개시된다.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표시기(202)는 상기 압력 센서(300)의 차압을 표시한다.
상기 압력 센서(300)는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화재 발생 지역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그 차압을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로 전달하며, 예컨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와 연결되는 도압관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 내부와 연결되는 도압관을 통해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한 도압관을 이용한 압력 감지 방식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의 벽에 설치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를 온 상태로 선택하면, 이후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가 작동 개시하여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를 제어한다.
도 1에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상기 승강기(10)가 특정 층(도 1의 위층)에 정지한 상태에서 다른 층(도 1의 아래층)의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으로 풍압을 공급함으로써 해당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가 작동 개시하여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따라 승강하는 상기 댐퍼판(101)을 일부 개방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압력 센서(300)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예컨대, 거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구한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이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모터(103)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되는 풍압을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도 2에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특정 층(도 2의 위층)의 상기 승강기(10)가 개방됨에 따라 함께 개방된 상기 승강장문(20)에 설치된 댐퍼판(101)이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의 벽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은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와 개방된 승강기(10)를 경유하여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10)가 닫히고 나면, 이후 상기 압력 센서(300)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화재 발생 지역(예컨대, 거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구한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 혹은 미만인지에 따라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모터(103)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되는 풍압을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도 3에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특정 층(도 3의 위층)과 다른 층(도 3의 아래층) 사이로 상기 승강기(10)가 이동 중인 상태에서 각 층(도 3의 위층과 아래층)의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으로 풍압을 공급함으로써 해당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가 작동 개시하여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따라 승강하는 상기 댐퍼판(101)을 일부 개방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압력 센서(300)가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복도 또는 화재 발생 지역(예컨대, 거실)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구한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이면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모터(103)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되는 풍압을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달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대한 수동 점검을 원하거나, 혹은 수동 작동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의 상기 온/오프 스위치(201)를 오프 상태로 선택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자동차압댐퍼(100)의 자동 개폐 제어를 취소하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에 대한 수동 점검 혹은 수동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가 승강기(10)용 승강장(S)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 4에 나타낸 자동차압댐퍼(100')는 날개형으로, 도 1에 나타낸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퍼(100)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이하에서는 그 구조적인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날개형 자동차압댐퍼(100')는 복수의 날개판(101')과 날개판 개폐막대(102'), 스크루 샤프트(103'), 모터(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길로틴형 자동차압댐퍼(100)를 대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날개판(101')은 상기 날개형 자동차압댐퍼(100')이 설치되는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커버하고 각각의 양단에 상기 댐퍼 통로(21)에 고정되는 힌지축(101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힌지부(102a)에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막대(102b)에 상기 복수의 날개판(101')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하면 상기 복수의 날개판(101')을 회동시켜 상기 댐퍼 통로(21)를 개폐한다.
상기 스크루 샤프트(103')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와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를 승강시킨다.
상기 모터(104')는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103')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킨다.
상기 날개형 자동차압댐퍼(100')이 설치되는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의 후방에는 승강장(S) 측에서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망(3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하면 복수의 날개판(101')을 회동시켜 댐퍼 통로(21)를 커버하거나 개방하는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와 스크루 샤프트(103')와 모터(104')의 연동 구조는, 상기 모터(104)를 대체할 수 있는 유압펌프와 기어형, 피스톤형, 플런저형 등과 같이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와 스크루 샤프트(103')를 대체할 수 있는 승강부재의 연동 구조로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압펌프와 승강부재의 연동 구조는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승강기 11: 승강로
20: 승강장문 21: 댐퍼 통로
30,30': 차단망 100,100': 자동차압댐퍼
101: 댐퍼판 101': 날개판
101a: 힌지축 102,103': 스크루 샤프트
102a: 힌지부 102b: 고정막대
102': 날개판 개폐막대 103,104': 모터
200: 댐퍼 작동 제어기 201: 온/오프 스위치
202: 표시기

Claims (7)

  1. 건축물 실내 송풍시스템의 송풍 통로와 연통하는 승강기(10) 승강로(11)를 통해 풍압을 공급받고 승강기(10)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문(20)의 적소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동 개폐 제어되어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자동차압댐퍼(100,100')와;
    상기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 개시하도록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주변의 벽에 설치되며, 승강기(10)용 승강장(S)과 화재 발생 지역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자동차압댐퍼(100,100')를 자동으로 개폐 제어하는 댐퍼 작동 제어기(200); 및
    상기 승강기(10)용 승강장(S) 내부 압력과 화재 발생 지역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그 차압을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에 의해 자동 개폐 제어되는 자동차압댐퍼(100)는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댐퍼 통로(21)를 개폐하는 댐퍼판(101)과;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댐퍼판(101)과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댐퍼판(101)을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102); 및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102)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모터(10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의 전방에는 승강장(S) 측에서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된 댐퍼 통로(21)에 사람의 손이나 팔을 집어넣지 못하게 하는 차단망(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에 의해 자동 개폐 제어되는 자동차압댐퍼(100')는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를 커버하고 각각의 양단에 상기 댐퍼 통로(21)에 고정되는 힌지축(101a)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날개판(101')과;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힌지부(102a)에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막대(102b)에 상기 복수의 날개판(101')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하면 상기 복수의 날개판(101')을 회동시켜 상기 댐퍼 통로(21)를 개폐하는 날개판 개폐막대(102');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와 나사 결합하여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날개판 개폐막대(102')를 승강시키는 스크루 샤프트(103'); 및
    상기 승강장문(20)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루 샤프트(103')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는 모터(10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문(20)에 천공된 댐퍼 통로(21)의 후방에는 승강장(S) 측에서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 쪽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망(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압력 센서(300)의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미만이면 상기 모터(103,104')를 정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100')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반대로 상기 차압이 미리 설정된 특정 차압 이상이면 상기 모터(103,104')를 역회전시켜 상기 자동차압댐퍼(100,100')를 자동으로 닫아 상기 승강기(10) 승강로(1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풍압을 승강기(10)용 승강장(S) 측으로 공급 혹은 차단함으로써 승강기(10)용 승강장(S)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작동 제어기(200)는
    상기 자동차압댐퍼(100,100')의 자동 개폐 제어를 개시하는 온/오프 스위치(201); 및
    상기 압력 센서(300)의 차압을 표시하는 표시기(20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KR1020100045024A 2010-05-13 2010-05-13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KR20110125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24A KR20110125475A (ko) 2010-05-13 2010-05-13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24A KR20110125475A (ko) 2010-05-13 2010-05-13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75A true KR20110125475A (ko) 2011-11-21

Family

ID=4539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024A KR20110125475A (ko) 2010-05-13 2010-05-13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4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957A (ko) * 2022-01-18 2022-08-02 엄태경 자동 차압 조절 댐퍼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957A (ko) * 2022-01-18 2022-08-02 엄태경 자동 차압 조절 댐퍼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176B2 (ja) エレベーター
KR101190156B1 (ko)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CN114303029B (zh) 综合烟气控制系统
JP2017095281A (ja) エレベータかごの移動の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WO2005102900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JP491272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5034191A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콜 장치 및 이에 의한 비상운전방법
KR20110125475A (ko) 승강장문용 자동차압댐퍼 장치
JP201119525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308224B2 (ja) 昇降装置のための防災用閉鎖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JP6496187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戸閉じ不能状態確認装置及び戸閉じ不能状態確認方法
KR20180067076A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JP2017030955A (ja) エレベータ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JP201107960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JP6474206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WO2011162450A1 (ko)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JP200031894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902935B2 (ja)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開閉システム
CN107709215B (zh) 电梯装置
JP5808196B2 (ja) 開閉制御装置
JP438752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155574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