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575B1 -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575B1
KR102377575B1 KR1020210078774A KR20210078774A KR102377575B1 KR 102377575 B1 KR102377575 B1 KR 102377575B1 KR 1020210078774 A KR1020210078774 A KR 1020210078774A KR 20210078774 A KR20210078774 A KR 20210078774A KR 102377575 B1 KR102377575 B1 KR 10237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ot
suction
fire station
unit
ga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씨텍
최정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씨텍, 최정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씨텍
Priority to KR102021007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8Devices for collecting oil or other fluids under park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2Apparatus adapted for particular uses, e.g. for portable devices driven by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비트에 매립되도록 배치되고 소방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시 배기 머플러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흡입하는 매연 흡입 유닛, 및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이 흡입한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배출하는 매연 배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SMOKE EXHAUSTING SYSTEM FOR GARAGE OF FIRE STATION}
본 발명은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매연 가스를 외부에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특히 소방 차량의 주차 및 출차시 정지 및 이동되는 상태의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모두 흡입하여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서에 배치된 소방차량은 언제든지 출동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하지만, 긴급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수 시간에서 며칠 동안 운행하지 않을 때도 있다. 따라서, 차량은 일정 주기, 예를 들어서 일주일에 두 번 정도 미리 정한 시간, 예를 들어서 약 30분 정도 시동을 켜서 배터리 충전과 더불어서 엔진 등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공회전을 시켜준다. 이때, 차량 시동은 보통 소방서 차고지 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시동을 거는 시간 내내 매연 가스가 배출되어 근무자의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소방서 차고지 내에 있는 소방 장비에도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소방 차량은 대부분 디젤자동차로 이루어져 다량의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매연 가스를 배출한다. 특히, 소방서 차고지에서는 소방대원들이 소방 차량의 초기 시동 및 주행시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에 그대로 노출되는 실정이다. 그런데, 소방 차량은 주로 아침에 비상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그때에 발생되는 매연 가스로 인해서 소방대원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실제로, 소방 차량이 아침에 콜드(Cold) 상태에서 시동을 걸면 초기에는 연소 특성상 백연(White smoke), 시간이 약간 경과 하면 청연(Blue smoke)이 발생된다. 이러한 청연은 가스의 성분은 주로 알데히드로 되어 있어 눈이 따갑고 속이 미식 거리는 기분이 들어 인체에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완전 연소가 되면 NOx와 흑연(Black smoke)이 발생 되어 이는 인체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물질로 변해가면서 미세먼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서 소방 차량의 시동시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즉, 소방 차량의 매연 가스가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서 잔류 순환하면,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공간에서 보내는 소방 대원의 호흡기를 통해 흡입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소방 대원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방 차량의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매연 배출 시스템이 개발되어 소방서 차고지에 설치되고 있다.
일례로,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52544호 (발명의 명칭: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시스템, 등록일: 2006.11.24)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575122호 (발명의 명칭: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등록일: 2015.12.01)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52544호 (2006.11.24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75122호 (2015.12.01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매연 가스를 외부에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방 차량의 주차 및 출차시 정지 상태이거나 주행 상태에 있는 배기 머플러의 매연 가스를 모두 흡입함으로써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가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조를 배기 머플러의 단부에 배치하여 매연 가스의 포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비트에 매립되도록 배치되고 소방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시 배기 머플러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흡입하는 매연 흡입 유닛, 및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이 흡입한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배출하는 매연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은, 상기 바닥 비트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매연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매연 흡입구가 상면부에 형성된 흡입 바스켓, 상기 흡입 바스켓의 측면부에 형성된 매연 배출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된 흡입 호스, 상기 흡입 호스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매연 배출 유닛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바닥 비트의 타측에 배치된 흡입 덕트, 상기 매연 가스의 흡입과 이송을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흡입 덕트 상에 배치된 흡기팬, 및 상기 소방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시 상기 배기 머플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매연 흡입구를 위치시키도록 상기 배기 머플러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흡입 바스켓을 이동시키는 바스켓 이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비트에는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 한 쌍의 이동 레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바스켓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흡입 바스켓에 연결된 에어 실린더 또는 리드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은,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 범위의 한계 지점에 배치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상기 흡입 바스켓이 감지될 때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있는 상기 소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은, 상기 배기 머플러의 위치를 감지하는 머플러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차량 감지기와 상기 머플러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흡입 바스켓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 비트의 상면부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비트 커버가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 바스켓은 상기 비트 커버의 하면에 상기 매연 흡입구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상기 배기 머플러의 단부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바닥 비트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상기 바닥 비트를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가스 토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있는 상기 소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토출관은, 상기 차량 감지기를 통해 상기 소방 차량이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배기 머플러와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바닥 비트를 향해 절곡될 수 있고, 상기 차량 감지기를 통해 상기 소방 차량이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배기 머플러와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절곡 이전의 초기 형태로 복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연 배출 유닛은, 상기 매연 흡입 유닛에 흡입된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 덕트, 상기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매연 가스의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배출 덕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기팬, 및 상기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매연 가스를 정화시키도록 상기 배출 덕트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연 가스의 정화 과정에서 여과된 매연 물질을 셀프 청소하는 기능이 구비된 정화 필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 필터 기구는, 상기 배출 덕트의 타측에 연통되게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매연 가스의 매연 물질을 여과하는 매연 포집 필터, 상기 매연 포집 필터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매연 가스에 함유된 탄소를 제거하는 탄소 저감 필터, 상기 매연 포집 필터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매연 포집 필터에 상기 매연 물질을 분리하는 셀프 청소 부재, 및 상기 셀프 청소 부재에 의해 분리된 상기 매연 물질을 받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된 트레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상기 소방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 감지기,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있는 상기 소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공기 오염을 감지하는 공기 오염 감지기,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매연 배출 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유닛, 및 상기 시동 감지기와 상기 차량 감지기 및 상기 공기 오염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매연 흡입 유닛과 상기 매연 배출 유닛 및 상기 환기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 유닛은, 상기 차량 감지기가 상기 소방서 차고지에 진입하는 상기 소방 차량을 감지하거나 상기 시동 감지기가 상기 소방 차량의 시동을 감지할 경우에 상기 매연 흡입 유닛 및 상기 매연 배출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공기 오염 감지기가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공기 오염을 감지할 경우에 상기 환기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감지기는,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천장 또는 상기 소방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에는 상기 소방 차량이 주차되기 위한 복수개의 주차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 비트는 상기 주차 영역들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소방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비트에는, 상기 바닥 비트의 내부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물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 비트의 내부에 있는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분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바닥 비트의 내부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팬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물 청소시 조작되는 물청소 조작부, 및 상기 물청소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바닥 비트의 상면부 중 일부를 덮도록 작동되는 물청소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물청소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물청소 커버에 의해 덮인 위치로 상기 흡입 바스켓을 이동시켜 상기 흡입 바스켓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물 청소시 조작되는 물청소 조작부, 및 상기 바닥 비트의 상면부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물청소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물청소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물청소 커버에 의해 덮인 위치로 상기 흡입 바스켓을 이동시켜 상기 흡입 바스켓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매연 흡입 유닛을 통해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바로 흡입한 후 매연 배출 유닛을 통해 매연 가스를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에 그대로 배출하는 구조이므로, 소방 차량의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에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 공기질을 개선하여 소방 대원의 건강 위험 및 대기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매연 흡입 유닛의 매연 흡입구를 소방 차량의 배기 머플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되 소장 차량의 주행시 배기 머플러를 따라 매연 흡입구를 함께 이동시키는 구조이므로, 소방 차량이 소방서 차고지에 진입 및 주차하거나 소방서 차고지에서 출차할 때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매연 흡입구에서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매연 가스가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확산되기 이전에 매연 흡입 유닛과 매연 배출 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 공기질이 매연 가스에 의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방서 차고지에 있는 소방대원의 건강 악화 및 대기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매연 흡입 유닛의 매연 흡입구가 바닥 비트의 상면부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매연 흡입 유닛의 매연 흡입구가 소방 차량이나 소방 대원에 걸려서 파손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소방 차량의 배기 머플러에 결합된 가스 토출관이 매연 흡입 유닛의 매연 흡입구를 향해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가스 토출관이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매연 흡입구로 안내하여 매연 가스의 포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매연 가스가 매연 흡입 유닛의 매연 흡입구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스 토출관을 이용하여 배기 머플러와 매연 흡입구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매연 가스의 확산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소방 차량의 시동시 또는 진입시 가스 토출관을 자동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가스 토출관을 매연 흡입구에 근접시켜 매연 가스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방 차량의 정지시 또는 출차시 가스 토출관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가스 토출관의 충돌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매연 배출 유닛의 정화 필터 기구에서 셀프 청소 부재를 이용하여 매연 포집 필터에 포집된 매연 물질을 자가 청소할 수 있고, 트레이 부재를 탈거하여 매연 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은, 소방 차량의 시동 여부, 소방 차량의 출입 여부 및 소방서 차고지의 공기 오염 등을 감지하여 메인 제어 유닛이 매연 흡입 유닛과 매연 배출 유닛의 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매연 배출 시스템의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매연 배출 시스템의 작동 시점도 적기에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비트 및 매연 흡입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연 흡입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매연 흡입 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매연 흡입 유닛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매연 흡입 유닛의 이동 레일과 바스켓 이동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흡입 바스켓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토출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토출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매연 배출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10)의 매연 배출 시스템(1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비트(40) 및 매연 흡입 유닛(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연 흡입 유닛(2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매연 흡입 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매연 흡입 유닛(200)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매연 흡입 유닛(200)의 이동 레일(260)과 바스켓 이동 기구(2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흡입 바스켓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토출관(4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토출관(40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매연 배출 시스템(100)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10)의 매연 배출 시스템(100)는 매연 흡입 유닛(200) 및 매연 배출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매연 배출 시스템(100)은,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에 주차된 소방 차량(20)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G)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매연 배출 시스템(100)을 소방서 차고지(10)에 설치하여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에서 장시간 활동하는 소방 대원들의 고통 및 건강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에는 소방 차량(20)이 주차되기 위한 복수개의 주차 영역(12)이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소방 차량(20)은 사다리차, 탱크차, 구급차 및 지휘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방 차량(20)에는 매연 가스(G)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 머플러(30)가 마련되는데, 배기 머플러(30)는 소방 차량(20)의 종류에 따라 소방 차량(20)의 하부 중간 부위에 배치되거나 소방 차량(20)의 하부 후방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소방 차량(20) 중 사다리차나 탱크차에는 배기 머플러(30)가 소방 차량(20)의 하부 중간 부위에 수평하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소방 차량(20) 중 구급차나 지휘차에는 배기 머플러(30)가 소방 차량(20)의 하부 후방 부위에 수평하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머플러(30)는 소방 차량(2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주차 영역(12)은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에 도포된 주차선으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주차 영역(12)들의 바닥면에는 바닥 비트(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닥 비트(40)는 매연 흡입 유닛(200)의 수용이 가능한 홈 형상으로 마련되되, 소방 차량(20)의 주행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차 영역(12)들은 주차하기 위한 소방 차량(2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바닥 비트(40)들의 길이도 소방 차량(2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편의를 위하여 소방서 차고지(10)의 주차 영역(12)들에서 소방 차량(20)의 주행 방향을 '전후 방향'인 것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바닥 비트(40)의 하부에는 바닥 비트(40)의 내부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물 배수구(4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비트(40)의 외부에서 물이 흘러 들어오거나 바닥 비트(40)의 내부를 물 청소할 경우, 바닥 비트(40)의 내부에 있는 물 배수구(42)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여 바닥 비트(40)의 내부에 고인 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비트(40)의 내부에는, 바닥 비트(40)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44)가 구비될 수 있고, 수분감지센서(44)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작동하여 바닥 비트(40)의 내부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팬(46)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바닥 비트(40)의 상면부는 개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닥 비트(40)의 상면부에는 복수개의 비트 커버(48)가 덮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닥 비트(40)들은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방 대원이 소방서 차고지(10)를 통행하는 과정에서 바닥 비트(40)에 발이 빠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다르게 비트 커버(48)를 생략할 수도 있지만 소방 대원들의 작업 안성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트 커버(48)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2에는 비트 커버(48)가 생략된 바닥 비트(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과 도 4에는 비트 커버(48)가 배치된 바닥 비트(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비트 커버(48)에는 매연 가스(G)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매연 흡입 유닛(200)은,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비트(40)에 매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매연 흡입 유닛(200)은 소방 차량(20)의 주차 또는 출차시 배기 머플러(30)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배기 머플러(30)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G)를 지속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매연 흡입 유닛(200)은, 매연 가스(G)를 흡입하기 위한 매연 흡입구(212)가 비트 커버(48)들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바닥 비트(4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닥 비트(40)의 하부에는 매연 흡입 유닛(200)이 안착되기 위한 받침대(49)가 마련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매연 흡입 유닛(200)은 받침대(49)의 두께 만큼 바닥 비트(40)의 하부에서 이격되므로, 물이 바닥 비트(40)에 비정상적으로 유입되더라도 매연 흡입 유닛(200)이 물에 잠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연 흡입 유닛(200)은 흡입 바스켓(210), 흡입 호스(220), 흡입 덕트(230), 흡기팬(240) 및 바스켓 이동 기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바스켓(210)은, 바닥 비트(4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입 바스켓(210)은 사다리꼴 단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흡입 바스켓(210)은 비트 커버(48)들이 배치된 바닥 비트(40)의 상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입 바스켓(210)은 육면체, 원뿔, 원통 또는 나팔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 바스켓(210)의 상면부에는 매연 가스(G)를 흡입하기 위한 매연 흡입구(212)가 형성될 수 있고, 흡입 바스켓(210)의 후면부에는 흡입 바스켓(210)의 내부에 흡입된 매연 가스(G)를 흡입 호스(220)로 배출하기 위한 매연 배출구(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매연 흡입구(212)는 비트 커버(48)들의 하면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배기 머플러(30)의 위치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바스켓(210)의 하부에는 바닥 비트(40)의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이동 레일(260)을 따라 이동되기 위한 복수개의 이동 롤러(216)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 레일(260)은 바닥 비트(40)의 하부에 마련된 받침대(49) 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롤러(216)는 한 쌍의 이동 레일(260)에 대응하는 흡입 바스켓(210)의 하부 좌우측에 복수개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롤러(216)가 이동 레일(260)의 내부에 형성된 레일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8에는 흡입 바스켓(21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흡입 바스켓(210)에는 매연 흡입구(212)를 폐쇄시키기 위한 바스켓 커버(213)가 구비될 수 있다. 바스켓 커버(213)는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을 물 청소할 경우와 같이 외부 이물질(예컨대, 물과 오수 또는 세척제 등)이 매연 흡입구(212)에 침입될 위험이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스켓 커버(213)는 흡입 바스켓(210)의 매연 흡입구(212)에 착탈되는 별도의 물품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흡입 바스켓(210)의 매연 흡입구(212)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커버(213)는, 흡입 바스켓(210)의 상면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좌측 커버(213a), 및 흡입 바스켓(210)의 상면부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우측 커버(213b)를 포함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바스켓 커버(213)를 개방시켜 매연 흡입구(212)를 통해 매연 가스(G)의 흡입이 가능할 수 있고, 물 청소시에는 바스켓 커버(213)를 폐쇄시켜 매연 흡입구(212)를 통해 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 호스(220)는 흡입 바스켓(210)에서 흡입 덕트(230)로 매연 가스(G)를 안내하는 호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호스(220)의 일단부는 흡입 바스켓(210)의 매연 배출구(214)에 연결될 수 있고, 흡입 호스(220)의 타단부는 흡입 덕트(2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입 호스(220)는 흡입 바스켓(210)의 이동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흡입 호스(220)는 접철 가능한 주름이 형성된 주름 호스 또는 탄성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덕트(230)는 흡입 호스(220)를 통해 전달되는 매연 가스(G)를 매연 배출 유닛(300)으로 이송하도록 바닥 비트(4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덕트(230)의 일단부는 흡입 호스(22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흡입 덕트(230)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매연 배출 유닛(300)의 배출 덕트(3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입 덕트(230)는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소방서 차고지(10)에는 복수개의 바닥 비트(40)가 마련될 수 있고, 바닥 비트(40)들에는 매연 흡입 유닛(20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매연 흡입 유닛(200)들은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 비트(40)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소방 차량(20)의 주차 상황 또는 주행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지만, 매연 흡입 유닛(200)들에 흡입된 매연 가스(G)가 매연 배출 유닛(300)에 실시간으로 함께 전달되도록 흡입 덕트(230)들이 서로 합쳐지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흡기팬(240)은 흡입 덕트(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기팬(240)은 매연 가스(G)의 흡입 및 이송을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흡기팬(240)은, 매연 흡입구(212)를 통한 매연 가스(G)의 흡입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흡입 바스켓(210)과 흡입 호스(220) 및 흡입 덕트(230)를 통한 매연 가스(G)의 이송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스켓 이동 기구(250)는 소방 차량(20)의 주차 또는 출차시 배기 머플러(30)의 위치 변화에 따라 흡입 바스켓(210)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바스켓 이동 기구(250)는 소방 차량(20)의 주차 또는 출차시 배기 머플러(30)에 대응되는 위치로 매연 흡입구(212)를 위치시킴으로써, 소방 차량(20)의 주차 위치 또는 주행 과정에서 배기 머플러(30)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G)가 흡입 바스켓(210)의 매연 흡입구(212)에 안정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일례로, 바스켓 이동 기구(250)는 흡입 바스켓(210)에 연결된 에어 실린더 또는 리드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스켓 이동 기구(250)는 한 쌍의 이동 레일(260) 사이에 배치되되, 이동 레일(260)과 나란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스켓 이동 기구(250)가 에어 실린더로 마련되면, 에어 실린더의 실린더부(252)는 바닥 비트(40)의 받침대(49)의 후방부에 설치 고정될 수 있고, 에어 실린더의 피스톤부(254)는 실린더부(252)의 유압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부(254)의 단부에는 흡입 바스켓(210)의 하부에 연결되기 위한 바스켓 연결부(25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252)에 의해 피스톤부(254)가 왕복 직선 이동됨에 따라 바스켓 연결부(256)에 연결된 흡입 바스켓(210)도 한 쌍의 이동 레일(26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바스켓 이동 기구(250)가 에어 실린더로 마련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바스켓 이동 기구(250)가 리드 스크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리드 스크류 본체가 한 쌍의 이동 레일(26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바닥 비트(40)의 받침대(49)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바스켓 연결부가 리드 스크류 본체를 따라 이동하도록 리드 스크류 본체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바스켓 연결부는 흡입 바스켓(2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 본체가 회전됨에 따라 바스켓 연결부가 흡입 바스켓(210)과 함께 리드 스크류 본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3,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매연 흡입 유닛(200)은, 흡입 바스켓(210)의 이동 범위의 한계 지점에 배치되는 리미트 스위치(270, 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미트 스위치(270, 272)는 흡입 바스켓(210)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흡입 바스켓(210)가 미리 설정된 이동 범위 이상으로 전진 이동되거나 후진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매연 흡입 유닛(200)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흡입 바스켓(210)이 리미트 스위치(270, 272)에 감지되면, 바스켓 이동 기구(250)의 작동이 중단되어 흡입 바스켓(210)의 이동도 정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미트 스위치(270, 272)는, 흡입 바스켓(210)의 최대 전진 거리를 제한하도록 바닥 비트(40)의 받침대(49)의 전방부에 배치된 전방 리미트 스위치(270), 및 흡입 바스켓(210)의 최대 후진 거리를 제한하도록 바닥 비트(40)의 받침대(49)의 후방부에 배치된 후방 리미트 스위치(272)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매연 흡입 유닛(200)은, 배기 머플러(3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머플러 감지기(280, 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머플러 감지기(280, 282)는 배기 머플러(30)와 바닥 비트(4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 이동 기구(250)는 머플러 감지기(280, 282)의 감지 결과에 따라 흡입 바스켓(210)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기 머플러(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매연 흡입구(2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머플러 감지기(280, 282)는, 배기 머플러(30)의 단부 또는 후술하는 가스 토출관(4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머플러 발신기(280), 및 머플러 발신기(280)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바닥 비트(40) 또는 흡입 바스켓(210) 중 어느 하나의 상면부에 배치된 머플러 수신기(282)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머플러 발신기(280)과 머플러 수신기(282)는 RFID 타입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매연 배출 유닛(300)은, 매연 흡입 유닛(200)이 흡입한 매연 가스(G)를 소방서 차고지(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매연 흡입 유닛(200)은 매연 가스(G)를 정화시킨 후 외부에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연 배출 유닛(300)의 일단부는 매연 흡입 유닛(200)의 흡입 덕트(230)에 연결될 수 있고, 매연 배출 유닛(300)의 타단부는 소방서 차고지(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연 배출 유닛(300)은 배출 덕트(310), 배기팬(320) 및 정화 필터 기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덕트(310)는 매연 흡입 유닛(200)에 흡입된 매연 가스(G)를 소방서 차고지(1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배출 덕트(310)의 일단부는 매연 흡입 유닛(200)들의 흡입 덕트(230)에 연결될 수 있고, 배출 덕트(310)의 타단부는 소방서 차고지(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팬(320)은 배출 덕트(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팬(320)은 배출 덕트(310)를 통해 배출되는 매연 가스(G)의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배기팬(320)은, 배출 덕트(310)와 정화 필터 기구(330)를 통한 매연 가스(G)의 이송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배출 덕트(310)를 통한 매연 가스(G)의 배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정화 필터 기구(330)는 배출 덕트(310)를 통해 배출되는 매연 가스(G)를 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화 필터 기구(330)는 배출 덕트(310)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 필터 기구(330)에는 매연 가스(G)의 정화 과정에서 여과된 매연 물질을 셀프 청소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정화 필터 기구(330)는 필터 하우징(332), 매연 포집 필터(334), 탄소 저감 필터(336), 셀프 청소 부재(338) 및 트레이 부재(339)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332)은 배출 덕트(310)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 하우징(332)은 소방서 차고지(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매연 포집 필터(334)는 필터 하우징(33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매연 포집 필터(334)는 매연 가스(G)의 매연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메탈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매연 물질은 매연 포집 필터(334)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탄소 저감 필터(336)는 필터 하우징(332)의 내부에 배치되되, 매연 포집 필터(334)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소 저감 필터(336)는 매연 가스(G)에 함유된 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셀프 청소 부재(338)는 매연 배출 유닛(300)의 작동시 매연 가스(G)의 송풍력에 의해 매연 포집 필터(334)에 충격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셀프 청소 부재(338)가 매연 포집 필터(334)에 충격을 가하면, 매연 물질이 셀프 청소 부재(338)의 충격에 의해 매연 포집 필터(334)의 표면에서 분리된 후 필터 하우징(332)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프 청소 부재(338)는, 송풍력에 의해 진자 운동되면서 매연 포집 필터(334)의 표면에 반복적으로 충돌되는 셀프 청소용 진자, 또는 송풍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면서 매연 포집 필터(334)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충돌되는 셀프 청소용 풍차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 부재(339)는 셀프 청소 부재(338)에 의해 분리된 매연 물질을 받아서 보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 부재(339)는 필터 하우징(332)의 하부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부재(339)는 필터 하우징(332)에 착탈하여 매연 포집 필터(334)에서 분리된 매연 물질을 필터 하우징(332)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참고로, 매연 배출 유닛(300)은, 매연 포집 필터(334) 또는 탄소 저감 필터(336)의 교체 주기를 감지하기 위한 필터 교체 감지센서(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교체 감지센서(340)는 필터 하우징(3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10)의 매연 배출 시스템(100)은, 소방 차량(20)의 배기 머플러(30)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G)를 바닥 비트(40)로 토출시키도록 배기 머플러(30)에서 바닥 비트(40)를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가스 토출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토출관(400)은 배기 머플러(30)의 단부에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스 토출관(400)은, 일정 곡률의 각도로 절곡된 고정관 구조로 형성되거나, 소방 차량(20)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곡율의 각도로 자동 절곡되기 위한 각도 조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10에는 다양한 각도로 자동 절곡되는 가스 토출관(400)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토출관(400)은 소방 차량(20)의 시동 또는 출차시 바닥 비트(40)의 내부에 있는 매연 흡입구(212)를 향해 하측으로 자동 절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스 토출관(400)은, 소방 차량(20)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고, 소방 차량(20)의 작동 정지시 배기 머플러(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가스 토출관(400)의 절곡 각도는 배기 머플러(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의 각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 토출관(400)이 30도와 60도의 각도를 갖도록 단계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는 특정 각도로 미린 절곡된 상태의 가스 토출관(400)이 개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토출관(400)은 미리 설정된 특정 각도로 절곡된 굴곡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가스 토출관(400)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후술하는 차량 감지기(600)에 소방 차량(20)이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가스 토출관(400)은 배기 머플러(30)에서 바닥 비트(40)를 향해 자동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차량 감지기(600)에 소방 차량(20)이 소방서 차고지(1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가스 토출관(400)은 배기 머플러(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기 위한 초기 형상으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 토출관(400)은, 배기 머플러(30)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토출관(410), 제1 토출관(41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힌지 연결되는 제2 토출관(420), 제2 토출관(42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힌지 연결되는 제3 토출관(430), 제1 토출관(410)과 제2 토출관(420)의 힌지 연결 부위에 배치되고 제2 토출관을 자동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440), 제2 토출관(420)과 제3 토출관(430)의 힌지 연결 부위에 배치되고 제3 토출관(430)을 자동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450), 및 제1 회전부(440)와 제2 회전부(45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 토출관(410)과 제2 토출관(420) 및 제3 토출관(430)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회전각도 조절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10)의 매연 배출 시스템(100)은, 시동 감지기(500), 차량 감지기(600), 공기 오염 감지기(700), 환기 유닛(800) 및 메인 제어 유닛(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동 감지기(500)는 소방 차량(20)의 시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시동 감지기(500)는 소방 차량(20)의 시동시 발생되는 신호를 무선 방식(예컨대, RFID 타입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감지하여 메인 제어 유닛(9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 감지기(600)는 소방서 차고지(10)를 출입하는 소방 차량(20)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제어 유닛(900)은 차량 감지기(600)의 감지 결과를 통해 소방서 차고지(10)에 대한 소방 차량(20)의 진입 여부와 출차 여부 및 소방서 차고지(10) 내에서 소방 차량(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량 감지기(600)는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 소방서 차고지(10)의 천장 또는 소방 차량(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감지기(600)는,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에 설치된 하중 센서와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하중 센서를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소방 차량(20)의 하중을 측정하여 소방 차량(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소방 차량(20)에 간섭되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검출하여 소방 차량(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차량 감지기(600)는, 소방서 차고지(10)의 천장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소방서 차고지(10)의 천장에 설치함으로써 소방 차량(20)에 간섭되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검출하여 소방 차량(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 감지기(600)는 소방서 차고지(10)의 천장에 설치되므로,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에 묻거나 고착되는 이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을 이동하는 소방 대원 또는 물건에 의한 오감지 위험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 감지기(600)를 소방서 차고지(10)의 천장에 설치하면,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에 설치한 구조와 비교해서 차량 감지기(600)의 성능 안정성을 확보하고 오감지 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
또는, 차량 감지기(600)는 소방 차량(20)에 설치된 위치신호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위치신호 발생기는 소방 차량(20)에서 위치신호를 무선 방식(예컨대, RFID 타입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그 위치신호를 감지하여 소방 차량(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신호 감지기는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이나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오염 감지기(700)는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 공기에 대한 오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 오염 감지기(700)는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오염 감지기(700)는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 공기에 대한 오염 측정치를 메인 제어 유닛(900)에 전달할 수 있고, 메인 제어 유닛(900)은 소방서 차고지(10) 내의 공기질이 설정치 이하로 감지될 때 환기 유닛(800)을 작동시켜 소방서 차고지(10)를 환기시킬 수 있다. 통상의 공기 오염 감지기(700)는, 소방서 차고지(10) 내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소방서 차고지(10) 내의 프롬알데히드(HCHO)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환기 유닛(800)은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매연 배출 유닛(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환기 유닛(800)은 공기 오염 감지기(700)의 감지 결과를 통해 소방서 차고지(10)의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매연 흡입 유닛(200) 및 매연 배출 유닛(300)과 개별적으로 소방서 차고지(10)에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매연 배출 유닛(300)을 이용하여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일례로, 환기 유닛(800)은, 소방서 차고지(10)의 천장에 배치되고 매연 배출 유닛(300)의 배출 덕트(310)에 연결되는 환기 덕트(810),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환기 덕트(810)에 연통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환기구(820), 및 환기 덕트(810)와 배출 덕트(3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환기 덕트(810)와 배출 덕트(310)의 연결 부위에 배치된 개폐 밸브(8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환기 유닛(800)은 별도의 환풍팬을 사용하기 보다는 매연 배출 유닛(300)의 배기팬(320)에 의해 소방서 차고지(10)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기 덕트(810)를 매연 배출 유닛(300)의 배출 덕트(31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개폐 밸브(830)가 환기 덕트(810)와 배출 덕트(310)를 모두 개방시키면, 환기 유닛(800)이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고, 매연 흡입 유닛(200)과 매연 배출 유닛(300)이 소방 차량(20)의 매연 가스(G)를 소방서 차고지(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반면에, 개폐 밸브(830)가 배출 덕트(310)만을 개방시키면, 환기 유닛(80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고, 매연 흡입 유닛(200)과 매연 배출 유닛(300)이 소방 차량(20)의 매연 가스(G)를 소방서 차고지(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메인 제어 유닛(900)은 시동 감지기(500)와 차량 감지기(600) 및 공기 오염 감지기(7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매연 흡입 유닛(200)과 매연 배출 유닛(300) 및 환기 유닛(8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메인 제어 유닛(900)은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에 제어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시동 감지기(500)와 차량 감지기(600) 및 공기 오염 감지기(700)는 메인 제어 유닛(900)에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감지기(600)가 소방서 차고지(10)의 주차 영역(12)에 주차하는 소방 차량(20)을 감지하거나 또는 시동 감지기(500)가 주차 영역(12)에 주차된 소방 차량(20)의 시동을 감지하면, 메인 제어 유닛(900)은 매연 흡입 유닛(200)와 매연 배출 유닛(3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매연 흡입 유닛(200)의 흡입 바스켓(210)은, 미리 설정된 바닥 비트(40)의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 상태로 배치되거나, 머플러 감지기(280, 282)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배기 머플러(3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오염 감지기(700)가 소방서 차고지(10)의 공기 오염을 감지하면, 메인 제어 유닛(900)은 환기 유닛(8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지(10)의 매연 배출 시스템(100)은, 물청소 조작부(910) 및 물청소 커버(50, 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청소 조작부(910)는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을 물 청소할 때 조작되는 스위치로서, 소방 대원의 조작에 따라 물청소 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청소 조작부(910)는 버튼이나 노브 및 터치 패널 등의 다양한 입력기 형태로 소방서 차고지(1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물청소 조작부(910)가 메인 제어 유닛(900)에 버튼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물청소 커버(50)는 물청소 조작부(91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덮개 형상의 물막이 부재로서, 소방서 차고지(10)의 바닥면을 물 청소할 때 바닥 비트(40)의 상면부 중 특정 부위를 덮어서 해당 특정 부위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바스켓 이동 기구(250)는, 물청소 조작부(910)의 조작 신호에 따라 물청소 커버(50)에 의해 덮인 위치로 흡입 바스켓(210)을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흡입 바스켓(210)의 매연 흡입구(21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물청소 커버(50)가 물청소 조작부(910)의 조작 신호에 따라 모터 또는 유압기 등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물청소 커버(50)는, 물청소 조작부(910)의 조작에 의해 물청소 모드가 활성화되면 바닥 비트(40)의 상면부 중 특정 부위를 자동적으로 덮을 수 있고, 물청소 조작부(910)의 조작에 의해 물청소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바닥 비트(40)의 상면부를 덮지 않는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청소 커버(50)가 판 형상의 부재로 제작되어 바닥 비트(40)의 전방부에 형성된 커버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청소 조작부(910)의 조작 신호에 따라 바닥 비트(40)의 상면부를 따라 슬라이딩 인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실제로, 도 3에서는 물청소 커버(50)가 물청소 모드에서 바닥 비트(40)의 상면부로 인출된 모습을 점선으로 표기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청소 커버(50)는 바닥 비트(40)의 전방부를 제외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여닫이 방식으로 바닥 비트(40)의 상면부를 차폐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물청소 커버(50)는 소방 대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바닥 비트(40)의 상면부 중 특정 부위에 덮이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물청소 커버(50)는 물청소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커버 수용홈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물청소 조작부(910)가 물청소 모드를 활성화시키면 물청소 커버(50)가 커버 수용홈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물청소 커버(5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물청소 커버(60)에 대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물청소 커버(60)가 바닥 비트(40)의 상면부 중 특정 부위를 덮도록 바닥 비트(40)의 상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스켓 이동 기구(250)는, 물청소 조작부(910)의 조작 신호에 따라 물청소 커버(60)에 의해 덮인 위치로 흡입 바스켓(210)을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흡입 바스켓(210)의 매연 흡입구(21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흡입 바스켓(21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바닥 비트(40)의 전방부에 더 마련하여 그 공간의 상면부에 물청소 커버(60)를 배치함으로써, 소방차 차고지(10)의 물 청소시 물의 유입을 회피하기 위한 흡입 바스켓(210)의 회피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참고로, 도 5에는 물청소 모드에서 흡입 바스켓(210)의 위치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3과 도 4 및 도 5의 물청소 커버(50, 60)를 비교하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물청소 커버(50)는 물청소 조작부(91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작동되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한 구조이지만, 도 5에 도시된 물청소 커버(60)보다 바닥 비트(40)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바닥 비트(40)의 시공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물청소 커버(6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물청소 커버(50)보다 설치 구조를 더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소방서 차고지
20: 소방 차량
30: 배기 머플러
40: 바닥 비트
50, 60: 물청소 커버
100: 매연 배출 시스템
200: 매연 흡입 유닛
210: 흡입 바스켓
220: 흡입 호스
230: 흡입 덕트
240: 흡기팬
250: 바스켓 이동 기구
300: 매연 배출 유닛
310: 배출 덕트
320: 배기팬
330: 정화 필터 기구
400, 402: 가스 토출관
800: 환기 유닛
900: 메인 제어 유닛
G: 매연 가스

Claims (16)

  1.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비트에 매립되도록 배치되고, 소방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시 배기 머플러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흡입하는 매연 흡입 유닛; 및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이 흡입한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배출하는 매연 배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은, 상기 바닥 비트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매연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매연 흡입구가 상면부에 형성된 흡입 바스켓; 상기 흡입 바스켓의 측면부에 형성된 매연 배출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된 흡입 호스; 상기 흡입 호스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매연 배출 유닛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바닥 비트의 타측에 배치된 흡입 덕트; 상기 매연 가스의 흡입과 이송을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흡입 덕트 상에 배치된 흡기팬; 및 상기 소방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시 상기 배기 머플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매연 흡입구를 위치시키도록 상기 배기 머플러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흡입 바스켓을 이동시키는 바스켓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비트에는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 한 쌍의 이동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흡입 바스켓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흡입 바스켓에 연결된 에어 실린더 또는 리드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은,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 범위의 한계 지점에 배치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상기 흡입 바스켓이 감지될 때 상기 흡입 바스켓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있는 상기 소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은, 상기 배기 머플러의 위치를 감지하는 머플러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차량 감지기와 상기 머플러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흡입 바스켓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비트의 상면부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비트 커버가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흡입 바스켓은 상기 비트 커버의 하면에 상기 매연 흡입구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머플러의 단부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바닥 비트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상기 바닥 비트를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가스 토출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있는 상기 소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 토출관은, 상기 차량 감지기를 통해 상기 소방 차량이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배기 머플러와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바닥 비트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차량 감지기를 통해 상기 소방 차량이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배기 머플러와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절곡 이전의 초기 형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9.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비트에 매립되도록 배치되고, 소방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시 배기 머플러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흡입하는 매연 흡입 유닛; 및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이 흡입한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배출하는 매연 배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매연 배출 유닛은,
    상기 매연 흡입 유닛에 흡입된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 덕트;
    상기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매연 가스의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배출 덕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기팬; 및
    상기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매연 가스를 정화시키도록 상기 배출 덕트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연 가스의 정화 과정에서 여과된 매연 물질을 셀프 청소하는 기능이 구비된 정화 필터 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필터 기구는,
    상기 배출 덕트의 타측에 연통되게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매연 가스의 매연 물질을 여과하는 매연 포집 필터;
    상기 매연 포집 필터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매연 가스에 함유된 탄소를 제거하는 탄소 저감 필터;
    상기 매연 포집 필터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매연 포집 필터에 상기 매연 물질을 분리하는 셀프 청소 부재; 및
    상기 셀프 청소 부재에 의해 분리된 상기 매연 물질을 받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된 트레이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11.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비트에 매립되도록 배치되고, 소방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시 배기 머플러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배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매연 가스를 흡입하는 매연 흡입 유닛; 및
    상기 매연 흡입 유닛이 흡입한 상기 매연 가스를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외부로 배출하는 매연 배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소방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 감지기;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에 있는 상기 소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공기 오염을 감지하는 공기 오염 감지기;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매연 배출 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유닛; 및
    상기 시동 감지기와 상기 차량 감지기 및 상기 공기 오염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매연 흡입 유닛과 상기 매연 배출 유닛 및 상기 환기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 유닛은, 상기 차량 감지기가 상기 소방서 차고지에 진입하는 상기 소방 차량을 감지하거나 상기 시동 감지기가 상기 소방 차량의 시동을 감지할 경우에 상기 매연 흡입 유닛 및 상기 매연 배출 유닛을 작동시키고, 상기 공기 오염 감지기가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공기 오염을 감지할 경우에 상기 환기 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기는,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천장 또는 상기 소방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13.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바닥면에는 상기 소방 차량이 주차되기 위한 복수개의 주차 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바닥 비트는 상기 주차 영역들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소방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비트에는,
    상기 바닥 비트의 내부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물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비트의 내부에 있는 수분을 감지하기 위한 수분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분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바닥 비트의 내부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15.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물 청소시 조작되는 물청소 조작부; 및
    상기 물청소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바닥 비트의 상면부 중 일부를 덮도록 작동되는 물청소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물청소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물청소 커버에 의해 덮인 위치로 상기 흡입 바스켓을 이동시켜 상기 흡입 바스켓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1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서 차고지의 물 청소시 조작되는 물청소 조작부; 및
    상기 바닥 비트의 상면부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물청소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이동 기구는, 상기 물청소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물청소 커버에 의해 덮인 위치로 상기 흡입 바스켓을 이동시켜 상기 흡입 바스켓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KR1020210078774A 2021-06-17 2021-06-17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KR10237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74A KR102377575B1 (ko) 2021-06-17 2021-06-17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74A KR102377575B1 (ko) 2021-06-17 2021-06-17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575B1 true KR102377575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774A KR102377575B1 (ko) 2021-06-17 2021-06-17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5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579B1 (ko) * 2022-04-19 2023-03-23 안신영 차고 배기가스 자동배출 시스템
KR102590583B1 (ko) * 2022-11-24 2023-10-19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전기차 충전소용 셔터식 차수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44B1 (ko) 2005-09-28 2006-12-01 씨엠씨(주)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시스템
KR101575122B1 (ko) 2014-10-06 2015-12-08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798578B1 (ko) * 2016-10-07 2017-11-17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20200016038A (ko) * 2018-08-06 2020-02-14 최정황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
KR102243886B1 (ko) * 2019-11-25 2021-04-30 주식회사 시큐파킹 스마트 주차 유도 및 미세먼지 제어 복합시스템
KR102250683B1 (ko) * 2020-09-17 2021-05-11 주식회사 씨엠씨텍 차고지 오염 관리 통합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44B1 (ko) 2005-09-28 2006-12-01 씨엠씨(주)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시스템
KR101575122B1 (ko) 2014-10-06 2015-12-08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798578B1 (ko) * 2016-10-07 2017-11-17 청구이노베이션주식회사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20200016038A (ko) * 2018-08-06 2020-02-14 최정황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
KR102243886B1 (ko) * 2019-11-25 2021-04-30 주식회사 시큐파킹 스마트 주차 유도 및 미세먼지 제어 복합시스템
KR102250683B1 (ko) * 2020-09-17 2021-05-11 주식회사 씨엠씨텍 차고지 오염 관리 통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579B1 (ko) * 2022-04-19 2023-03-23 안신영 차고 배기가스 자동배출 시스템
KR102590583B1 (ko) * 2022-11-24 2023-10-19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전기차 충전소용 셔터식 차수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575B1 (ko) 소방서 차고지의 매연 배출 시스템
KR101740230B1 (ko) 소방서 내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2250683B1 (ko) 차고지 오염 관리 통합 시스템
KR101971174B1 (ko)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KR101387998B1 (ko) 지하철 터널 내부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111268B1 (ko) 환기용 공기청정기와 자율주행용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KR20160076389A (ko) 대기오염물질 흡착 및 제거 장치
KR20150109796A (ko) 지하철 환기 및 제연 시스템
CN109844242B (zh) 消防站中的消防车废气排放装置
KR20110024429A (ko) 지하철 공기 정화장치
KR101240456B1 (ko) 지하 구조물 실내공기의 환기와 정화를 위한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3636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0566022B1 (ko) 공기 조화기
KR101973897B1 (ko) 엘리베이터의 먼지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200004103A (ko) 흡연부스
KR101340418B1 (ko) 주차장의 차량 배기가스 제거장치
KR100717772B1 (ko) 제연용 급추진 환기팬 장치
CN109731244A (zh) 一种应用于人防工程中的紧急逃生系统
JP4756975B2 (ja) 住宅換気システム
KR102418406B1 (ko) 차량 배기가스 흡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고 매연 배출 저감 시스템
KR101915396B1 (ko) 화장실용 환기장치
KR20200130995A (ko) 버스정류장 부스
KR102432231B1 (ko)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 자동화 시스템
GB2256668A (en) Ventilation system for a mining machine
KR20220159610A (ko) 지하주차장의 매연 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