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022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022B1
KR100566022B1 KR1020040063369A KR20040063369A KR100566022B1 KR 100566022 B1 KR100566022 B1 KR 100566022B1 KR 1020040063369 A KR1020040063369 A KR 1020040063369A KR 20040063369 A KR20040063369 A KR 20040063369A KR 100566022 B1 KR100566022 B1 KR 10056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indoor
fa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115A (ko
Inventor
나고시겐지
오오쯔까아쯔시
오오따유끼오
노또야요시아끼
야마다구니유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실외의 공기를 도입하는 급기가 가능한 기구를 설치한 것이 있지만, 실내 공기의 오염을 사용자가 느꼈을 때에 사용자가 조작 버튼에 의해 배기 운전을 해야만 해 사용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공기 오염 센서를 설치하여 이 센서가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였을 때, 급배기 장치를 배기 동작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배기 동작 후에 소정 시간의 급기 동작을 하고,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도입하여 오염된 공기를 묽게 하도록 하였다.
실내 유닛, 유닛 하우징, 서브 팬 유닛, 에어 필터, 댐퍼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실내 유닛의 화장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도.
도3은 도1의 A-A 단면도.
도4는 도1의 B-B 단면도.
도5는 서브 팬 유닛의 외관도.
도6은 도5의 서브 팬 유닛의 우측판을 생략한 사시도.
도7은 도5의 서브 팬 유닛의 좌측판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8은 도2에 도시한 서브 팬 유닛의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도2에 도시한 서브 팬 유닛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급기 운전시의 서브 팬 유닛 내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배기 운전시의 서브 팬 유닛 내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순환 운전시의 서브 팬 유닛 내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도1의 실내 유닛의 냉방 운전과 서브 팬 유닛의 순환 운전 혹은 급기 운전을 병용한 경우의 설명도.
도14는 도1의 실내 유닛의 난방 운전과 서브 팬 유닛의 순환 운전 혹은 급기 운전을 병용한 경우의 설명도.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의 블럭도.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실현하는 조작 수단의 구성예.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차트.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공기 관측 요구 접수 처리의 흐름도.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공기 관측 제어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 유닛
2 : 유닛 하우징
3 : 화장 커버
4 : 프론트 커버
5 : 공기 흡입구
6 : 공기 취출구
7 : 상하 풍향판
8 : 에어 필터
8a : 프레임부
8b : 필터부
9 : 메인 팬
10 : 열교환기
11 : 이슬 받침
12 : 송풍 덕트
13 : 서브 취출구
14 : 메인 팬 모터
15 : 서브 팬 유닛
15a : 흡입측 케이싱
15b : 취출측 케이싱
16 : 서브 흡입구
17 : 서브 취출부
18 : 급배기구
19 : 서브 팬
20 : 서브 팬 모터
21 : 급기용 필터
22 : 실외 덕트
22a : 실외 덕트 선단부
23 : 배기 풍로
24 : 급기 풍로
25 : 급배기 풍로
26 : 급기 순환 풍로
27 : 마우스 링
29 : 댐퍼I
31 : 댐퍼II
33 : 프리 필터
100 :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
200 : 조작 수단
4000 : 조작 신호 접수 수단
102 :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
5000 : 공기 관측 제어 수단
104 :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
본 발명은, 급기 운전, 배기 운전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외 유닛을, 벽면을 관통하는 접속 배관으로 연결하여 설치되므로, 실내 유닛을 설치하는 거실의 공기 상태의 오염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로 인해, 실내 유닛에 공기 청정기를 부착하고, 실내 송풍기의 송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청정도를 유지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또한, 최근에는 일본 특허 공개 2000-274727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벽면을 관통하는 접속 배관용 관통로를 이용하여 통풍로를 확보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기 위한 급기 및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를 하는 급배기 장치를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내에 설치하는 것 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1]
일보 특허 공개 2000-274727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급배기 장치를 설치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공기의 오염을 거주자가 감지하였을 때에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강제적으로 배기 동작을 시키는 것이므로,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거주자가 오염을 느껴 배기 버튼을 조작할 때에는 그 방의 오염의 정도가 커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방의 오염이 해소되었다고 느껴 배기 버튼을 조작할 때에는 실내 공기는 충분히 청정화되고, 여분으로 배기 운전을 행해 버리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실내의 공기 오염의 상태의 변동폭이 커져 있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배기 운전을 불필요하게 행하는 것은 공기 조화기에 의해 온도 습도가 공기 조화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게 되므로, 공기 조화기의 부하가 커져 그 만큼 운전 에너지의 손실이 된다.
또한, 배기 운전을 행하면 그 방의 공기는 배기되지만, 배기된 분량의 공기가 어디로부턴가 보충되는데, 예를 들어 옆방으로부터 보충된 경우, 그 옆방의 공기가 오염되었다고 하면 그 방의 공기의 오염은 변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구비하여 그 방의 공기의 오염을 저감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구비하여 실내 공기의 청정을 빠르게 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구비하여 이 운전을 항시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행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제1 목적은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2 목적은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고, 그 후 급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2 목적은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 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고, 그 후 급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외기 온도, 실내 온도 및 외기 습도를 기초로 하여 이 급기 운전의 동작의 가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3 목적은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이 열교환기의 상류에 설치된 필터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3 목적은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이 열교환기의 상류에 설치된 필터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그 후 급기 운전 및 상기 메인 팬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1 목적은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설정 기간 중 상기 실내 유닛이 설치된 방의 공기의 오염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 및 정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감시 운전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4 목적은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와, 각종 운전 및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설정 기간 중 상기 실내 유닛이 설치된 방의 공기의 오염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 및 정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감시 운전을 구비하고, 이 감시 운전이 취소되지 않고, 상기 설정 기간 내에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운전 조작 혹은 정지 조작이 없는 경우에 상기 감시 운전을 종료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4 목적은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와, 각종 운전 및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설정 기간 중 상기 실내 유닛이 설치된 방의 공기의 오염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 및 정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감시 운전을 구비하고, 이 감시 운전이 취소되지 않고, 상기 설정 기간 내에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운전 조작 혹은 정지 조작이 있던 경우, 상기 설정 기간을 재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실시예는 급기 운전, 배기 운전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원의 공기 조화기의 각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을 도1 내지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실내 유닛의 화장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도, 도3은 도1의 A-A 단면도, 도4는 도1의 B-B 단면도이다.
실내 유닛(1)은 유닛 하우징(2), 화장 커버(3), 프론트 커버(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내 유닛(1)에는 온습도가 조화되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5)와, 온습도가 조화된 실내 공기를 취출하는 공기 취출구(6)가 상하로 설치되어 있다. 공기 취출구(6)는 실내 유닛(1)의 하부에 가로로 길게 설치되어 서브 취출구(13)에 대해 메인 취출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공기 취출구(6)에는 상하 풍향판(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풍향판(7)은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시에는 수평 방향으로 취출하도록 위치되고, 또한 난방시에는 하방으로 취출하도록 위치된다.
유닛 하우징(2)에는 에어 필터(8), 메인 팬(9), 열교환기(10), 이슬 받침(11)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 필터(8)는 열교환기(10)의 흡입측을 피복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팬(9)은 가로로 긴 관류 팬으로 구성되어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하고 공기 취출구(6)로부터 취출하도록 실내 유닛(1) 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10)는 메인 팬(9)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대략 역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슬 받침(11)은 열교환기(10)의 전후 양측의 하단부 하방에 배치되고, 냉방 운전시나 제습 운전시에 열교환기(10)에 발생하는 응측수를 받아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공조되는 실내 공기를 흐르게 하는 메인 통로가 형 성된다. 즉, 메인 팬(9)을 운전함으로써 실내 공기는 공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에어 필터(8)를 거쳐서 열교환기(10)에서 열교환된 후, 공기 취출구(6)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에어 필터(8)와 열교환기 사이에 공기 청정용 필터가 배치되어 휘발성 유기 용매를 흡착하거나, 미세한 먼지나 담배의 연기 등을 흡착하여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할 수 있다. 냉방, 난방, 제습 운전 중에는 물론, 실내 팬인 메인 팬(9)만을 운전함으로써 공기 청정 기능이 발휘된다.
서브 팬 유닛(15)은 실내 유닛(1) 내의 일측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팬 유닛(15)은 메인 팬(9)용 메인 팬 모터(14)와 반대측부에 조립되어 있다.
서브 팬 유닛(15)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서브 흡입구(16)를 전방부에 갖고 있다. 이 서브 흡입구(16)는 열교환기(10)와 공용의 에어 필터(8)의 후방에 위치하여 공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에어 필터(8)를 거쳐서 흡입된다. 즉, 서브 팬 유닛(15)으로 인해 실내 유닛(1)에 전용의 공기 흡입구를 설치하지 않고, 열교환기(10)로 실내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5)와 공용시킴으로써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서브 팬 유닛(15)에는 송풍 덕트(12)가 연통되고, 그 송풍 덕트(12)에는 서브 취출구(13)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풍 덕트(12)는 공기 취출구(6)의 상방에서 이슬 받침(11)의 전방에 위치하여 실내 유닛(1) 내의 중앙부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송풍 덕트(12)의 선단부, 환언하면 공기 취출구(6)의 중앙 상부에 서브 취출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브 팬 유닛(15)으로부터 실내로 취출되는 공기는 실내 취출부(17)로부터 송풍 덕트(12)로 송풍되고, 그 송풍 덕트(12)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서브 취출구(13)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서브 팬 유닛(15)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동시에 신선한 실외 공기를 취입하는 급배기구(18)를 후방부에 갖고 있다. 그리고, 급배기구(18)에는 실외 덕트(22)(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고, 이 실외 덕트(22)가 실내 유닛(1)과 실외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냉매 배관과 함께 가옥의 배관 구멍을 거쳐서 실외로 인출되고, 실외 덕트(22)의 선단부가 외기로 개방되어 냉매 배관은 실외 유닛에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팬 모터(14)를 실내 유닛(1)의 우측에, 서브 팬 유닛(15)을 좌측에 배치하였지만, 그들을 반대로 배치해도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 유닛(1)을 정면으로부터 본 좌우 대상성이 나빠지지만, 메인 팬 모터(14)가 배치되는 측에 서브 팬 유닛(15)을 배치해도 좋다.
다음에, 서브 팬 유닛(15)의 구성 및 기능을 도5 내지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5는 서브 팬 유닛의 외관도, 도6은 도5의 서브 팬 유닛의 우측판을 생략한 사시도, 도7은 도5의 서브 팬 유닛의 좌측판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서브 팬 유닛(15)은, 그 내부 공간의 상부 절반부는 송풍기부로 하고, 하부 절반부는 각종 필터를 배치하고, 그들을 상하 방향에 배치함으로써 폭치수를 좁게 하고, 실내 유닛(1)의 폭치수를 넓게 하는 일 없이 서브 팬 유닛(15)을 실내 유닛(1)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서브 팬(19)은 시로코 팬, 터보 팬 등의 원심 팬에 의해 구성되어 역회전시켜도 역방향의 바람은 발생하지 않는다. 좁은 풍로라도 축류 팬보다 높은 풍류를 얻을 수 있다.
서브 팬 유닛(15)의 상부 절반부에 위치하는 송풍기부는 서브 팬(19), 서브 팬(19)을 구동하는 서브 팬 모터(20), 서브 팬(19)의 공기 흡입측의 풍로를 형성하는 흡입측 케이싱(15a), 서브 팬(19)의 공기 취출측의 풍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서브 팬(19) 및 서브 팬 모터(20)가 수납된 취출측 케이싱(15b), 흡입측 케이싱(15a)과 취출측 케이싱(15b)을 구획하는 마우스 링(27), 흡입측 케이싱(15a)의 흡입측에 위치하는 댐퍼I(29),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서브 흡입구(16), 급배기구(18)와 연통되는 급기 흡입구(24a)를 구비한다. 댐퍼I(29)의 동작에 의해 서브 흡입구(16) 및 급기 흡입구(24a) 중 어느 한 쪽이 개방되고, 다른 한 쪽이 폐쇄된다.
또한, 취출측 케이싱(15b) 내에 서브 팬(19) 및 서브 팬 모터(20)가 수납되고, 흡입측 케이싱(15a)으로부터 취출측 케이싱(15b)에의 공기 흐름의 이동은 서브 팬(19)을 거쳐서 행해진다. 서브 팬(19)은 실내 유닛(1)의 길이 방향인 축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 팬으로 이루어진다. 흡입된 공기를 팬축 방향으로 취출하는 프로펠러 팬과 달리 원심형 팬이면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므로, 서브 팬 유닛(15)의 팬축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서브 팬 모터(20)는 서브 팬 유닛(15)의 폭치수가 작아지도록 서브 팬(19)의 오목부에 조립되어 있다. 흡입측 케이싱(15a)에 설치된 댐퍼I(29)를 동작시킴으로써 실내에 개구된 서브 흡입구(16), 혹은 급기 흡입구(24a)를 개방하고, 다른 한 쪽을 차단한다.
서브 팬 유닛(15)의 하부 절반부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에 이용되고 있는 눈이 미세한 급기용 필터(21),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 필터(33), 서브 취출구(13)로 공기를 유도하는 실내 취출부(17),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에 배기, 혹은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에 취입하는 급배기구(18), 서브 팬(19)으로부터 취출된 공기를 실내로 유도하는 급기 순환 풍로(26), 풍로를 절환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댐퍼Ⅱ(31)를 구비하고 있다. 서브 팬 유닛(15)의 하부 절반부는 상부 절반부와 마찬가지로, 정면으로부터 보아 높이 방향에 좌우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그 좌우 공간의 공기 흐름의 이동은 급기용 필터(21) 혹은 배기 풍로(23)를 거쳐서 행해진다. 댐퍼Ⅱ(31)를 동작함으로써 공기 흐름의 풍로를 절환하고, 배기 풍로(23)를 개방하여 급기 순환 풍로(26)를 차단하여 서브 팬(19)으로부터 취출된 공기를 급배기구(18)에 연통시키는 풍로, 혹은 배기 풍로(23)를 차단하여 급기 순환 풍로(26)를 개방하여 실내 취출부(17)에 연통시키는 풍로를 형성한다.
급기용 필터(21)는 먼지 등을 여과하는 눈이 0.5 내지 1.0 ㎛인 여과부와 악취를 흡착하는 흡착부(구체적으로는 활성탄)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면적을 늘려 통풍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시트형 필터를 가늘게 절첩하여(주름) 형성하고 있다. 이 급기 필터(21)는 디젤차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미세 입자, 담배의 연기,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를 여과하는 성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외의 공기를 실내에 취입할 때에 이 급기용 필터(21)를 거쳐서 실내에 취입하도록 하였다. 최근, 도시부에서는 옥외의 대기가 오염되고 있는 경향이 있고, 다양한 오염 물질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다. 또한, 교외라도, 예를 들어 인근에서의 외벽 도장 작업 등으로 기화된 유기 용제가 떠돌고 있고, 모닥불의 연기가 부유하고 있는 등 대기를 오염시키는 요인이 있다. 이와 같은 환경 하에서 외기를 도입하면 이들 오염 물질이 실내로 인입하여 거주자에게 있어서 불쾌한 것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서는 급기 운전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되어 서브 팬 유닛(15)(환기 유닛)을 동작시켜 옥외의 공기를 도입할 때에 급기용 필터(21)를 통과시키고, 이 필터의 능력의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여 실내에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옥외의 공기가 상기 원인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 옥외의 공기를 청정한 공기로 하여 옥내에 취입할 수 있으므로, 외기 도입에 수반하는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지만, 서브 팬 유닛(21)의 운전으로서 외기를 도입하는 급기 운전 외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 운전,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복귀시키는 순환 운전이 있다. 그러나, 배기 운전 및 순환 운전은 급기 필터(21)를 통과시키지 않고 배기 또는 순환을 행한다.
또한, 이 급기 필터(21)가 0.3 내지 3 ㎛인 크기의 바이러스를 포착할 수 있는 성능으로 하면,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팬 유닛(15)은 상부로부터 회전축이 메인 팬(9) 축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된 서브 팬(19), 한 쪽면이 급배기구(18)에 연통하는 통풍로에 면한 프리 필터(33), 통풍면이 서브 팬(19)의 공기 흡입면과 동일 방향에 면한, 환언하면 주름을 없앤 경우의 통풍면의 수직선이 서브 팬(19)의 구동축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된 급기용 필터(21)가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특히 서브 팬(19) 및 급기용 필터(21)를 배치한 것으로 서브 팬 유닛(15)의 폭을 얇게 할 수 있고, 실내 유닛(1)의 폭을 두껍게 하지 않아도 서브 팬 유닛(15)을 실내 유닛(1)에 수납할 수 있다. 서브 팬(19)의 통풍면과 급기용 필터(21)의 통풍면이 직각이 되지 않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양 쪽면의 수직선이 평행해지도록 하면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프리 필터(33)는 주로 급기시에 옥외로부터의 공기와 함께 인입해 오는 큰 눈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급배기구(18)의 개구면과 동일 면적으로 하면 즉시 막혀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에 개구된 급배기구(18)로부터 정면에 걸쳐서 급배기구(18)에 연통하고, 횡벽면이 흡입측 케이싱(15a) 및 이를 막는 덮개[도5에 도시한 흡입측 케이싱 덮개(15C)]로 형성되고, 상부 벽면이 급배기구(18)의 상측 단부면으로부터 정면측까지 연장된 급배기 풍로 천정판(25a)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급기 필터(21)의 흡입측 면에 형성된 공간과 급배기 풍로 천정판(21a)측의 공간 사이에 장착되는 프리 필터(33)로 형성된 공간인 급배기 풍로(25)를 설치하였다. 이에 의해, 프리 필터(33)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프리 필터(33)가 막힐 때까지의 기간을 연장시키고 있다. 또한, 프리 필터(33)의 면적을 크게 하여 급기용 필터(21)의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실외 개구부인 급배기구(18)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급배기 필터(21)(수납부)의 상하 방향 투영면 내에 일부 또는 전부가 걸리도록 형성되고, 급배기 풍로(25)의 정면측 단부 면은 서브 팬(19)과 급기용 필터(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급기용 필터(21)의 수납부의 배면에 급배기구(18)를 배치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청소성이 양호해진다. 즉, 급배기 풍로(25)는 정면측 단부면으로부터 배면측의 급배기구(18)로 감에 따라서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한 효과 외에 급배기구(18)의 개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급배기 풍로의 정면측 단부면은 이면에 가늘고 긴 프리 필터(33)의 일단부가, 표면에 손잡이(33a)가 부착된 급배기 풍로 덮개(33b)에 의해 그 개구가 막혀 있다.
급기용 필터(21) 및 프리 필터(33)는 서브 팬 유닛(15)에 삽입할 때, 실내 유닛(1)의 정면측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을 향해 삽입된다. 급기용 필터(21)는 세워 삽입되고, 프리 필터(33)는 눕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로 안내되어 삽입되고, 끼워 맞춤부(18a)에서 계지된다. 그들 필터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서 배치됨으로써 서브 팬(19)의 축 방향 치수를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급기용 필터(21) 및 프리 필터(33)는 모두 서브 팬 유닛(15)의 정면측에 손잡이(21a 및 33a)가 위치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서 실내 유닛(1)의 프론트 커버(4)를 개방하여 손잡이(21a 및 33a)를 갖고 발취 및 장착할 수 있다. 프리 필터(33)는 가요성을 갖고, 서브 팬 유닛(15)의 정면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으로 급배기구(18)와 급기용 필터(21) 사이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급배기구(18)에 갖는 끼워 맞춤부(18a)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할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도 제거하기 위해 급기용 필터(21)를 채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필터이며, 프리 필터(33)보다 눈이 미세한 필터를 채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만을 제거하도록 해 도 좋다.
다음에, 서브 팬 유닛(15)에 의한 급기 운전, 배기 운전 및 순환 운전에 대해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8은 도2에 도시한 서브 팬 유닛의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도2에 도시한 서브 팬 유닛의 운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브 팬 유닛(15)에는 급기 운전, 배기 운전 및 순환 운전 3종류의 운전 모드와 운전 정지의 상태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바람의 유동 방향 및 댐퍼의 개폐 위치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운전 정지의 상태에서는 당연하지만 바람은 흐르는 일 없이 댐퍼I(29) 및 댐퍼Ⅱ(31)는 각각 위치 (b)에 있고, 서브 흡입구(16) 및 실내 취출부(17)로 급배기구(18)로부터 실외 공기가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특히 설명하지 않지만, 각각의 운전 모드를 절환은 수동인 경우, 리모콘 스위치의 조작부에서 행하거나, 실내 유닛(1)의 조작부에서 행하게 된다. 또한, 자동의 경우,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행해진다. 서브 팬 유닛(15)의 운전은 실내 유닛(1)의 냉난방 운전과 병용하여 운전할 수도 있으면, 서브 팬 유닛(15) 단독으로 운전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팬 유닛(15)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 운전 후, 자동적으로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팬 유닛(15)에 사용하고 있는 서브 팬(19)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고 있으므로, 흡입측 케이싱(15a), 취출측 케이싱(15b), 마우스 링(27)을 일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형상으로 하면 좋다. 이로 인해, 서브 팬(19)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서브 팬(19)의 운전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댐퍼I(29)를 동작함으로써 서브 흡입구(16)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풍로, 혹은 급기 풍로(24)를 개방하여 급배기구(18)로부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풍로 중 어느 한 쪽으로 절환하고, 또한 댐퍼Ⅱ(31)를 동작함으로써, 서브 취출구(17)로부터 공기를 실내로 취출하는 풍로, 혹은 급배기구(18)로부터 실외로 공기를 배기하는 풍로 중 어느 한 쪽으로 절환하여 서브 팬 유닛(15)의 운전 모드를 급기 운전, 배기 운전 및 순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고 있다.
즉, 급기 운전에서는 댐퍼I(29)가 (b)측에 있고 서브 흡입구(16)를 차폐하여 급기 풍로(24)를 개방하므로, 급기 풍로(24)를 통해 실외 공기가 흡입되고, 댐퍼Ⅱ(31)는 (a)측에 있으므로 급기 순환 풍로(26)가 개방되어 배기 풍로(23)를 차폐하므로, 서브 팬 취출부(34)로 취출된 실외 공기는 급기 순환 풍로(26)로 송풍되고, 실내 취출부(17)를 통해 실내 취출부(17)에 접속된 송풍 덕트(12)에 송풍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서브 팬(19)에 의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급배기구(18)로부터 급배기 풍로(25)를 통해 흡입되고, 프리 필터(33)의 표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한 후에 급기용 필터(21)의 표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제거되고, 급기용 필터(21)의 속을 통과하여 급기 풍로(24)로 유도되어 서브 팬(19)에 흡입되게 된다.
또한, 배기 운전에서는 댐퍼I(29)가 (a)측에 있고 서브 흡입구(16)를 개방하여 급기 풍로(24)를 차폐하므로, 서브 흡입구(16)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지만, 댐퍼Ⅱ(31)는 (b)측에 있으므로, 급기 순환 풍로(26)가 차폐되어 배기 풍로(23)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서브 팬 취출부(34)로 취출된 실내 공기는 배기 풍로(23)로 흘러 프리 필터(33)를 통해 급배기구(18)로부터 실외로 배기되게 된다.
또한, 순환 운전에서는 댐퍼I(29)가 (a)측에 있고 서브 흡입구(16)를 개방하여 급기 풍로(24)를 차폐하므로, 서브 흡입구(16)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고, 댐퍼Ⅱ(31)가 (a)측에 있고 급기 순환 풍로(26)를 개방하여 배기 풍로(23)를 차폐하므로, 서브 팬 취출부(34)로 취출된 실내 공기는 급기 순환 풍로(26)로 송풍되어 실내 취출부(17)를 통해 실내 취출부(17)에 접속한 송풍 덕트(12)로 송풍되게 된다.
또한, 운전 정지시에는, 댐퍼I(29) 및 댐퍼Ⅱ(31)는 모두 (b)측에 있고 급기 풍로(24)를 통해, 혹은 배기 풍로(23)를 통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침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로 인해, 운전 정지시에 실외 공기가 급배기 풍로를 통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풍 방지용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급기 운전시의 상세에 대해 도10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급기 운전의 경우에는 댐퍼I(29)가 서브 흡입구(16)를 차폐하여 급기 흡입구(24a)를 개방하는 동시에, 서브 팬 취출부(34)에 있는 댐퍼Ⅱ(31)가 급기 순환 풍로(26)를 개방하여 배기 풍로(23)를 차폐하므로, 급기 풍로(24)와 급배기 풍로(25)가 급기용 필터(21)를 거쳐서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서브 팬(19)이 구동하면, 급배기구(18)로부터 급배기 풍로(25)를 통해 실외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실외 공기는 프리 필터(33), 급기용 필터(21)를 통과하여 급기 풍로 (24)에 흐른다. 이 때, 프리 필터(33)를 통과할 때에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가 제거되고, 또한 급기용 필터(21)를 통과할 때에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그리고, 급기 풍로(24)에 흡입되어 온 실외 공기는 급기 흡입구(24a)로부터 흡입측 케이싱(15a)으로 들어가고, 마우스 링(27)으로부터 서브 팬(19)으로 흡입되어 취출측 케이싱(15b)에 취출되고, 서브 팬 취출부(34)를 통해 급기 순환 풍로(26)에 흐른다. 급기 순환 풍로(26)에 흐른 실외 공기는 실내 취출부(17)로부터 송풍 덕트(12)로 유입하여 송풍 덕트(12)의 내부를 흐르고 있는 동안에 공기의 온도를 실내 유닛(1)의 운전 상태의 온도로 조화되고, 서브 취출구로부터 온도가 조화된 신선한 실외 공기로서 실내에 공급되어 실내 공기가 다시 신선하게 된다.
다음에, 배기 운전시의 상세에 대해 도11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배기 운전시의 실내 공기는 실내 에어 필터(8)(도3 참조)로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한 후, 서브 흡입구(16)에 흡입되게 된다. 그리고, 댐퍼I(29)는 순환 운전시와 동일한 위치에 있고 서브 흡입구(16)를 개방하여 급기 흡입구(24a)를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서브 흡입구(16)로부터 흡입되고, 흡입측 케이싱(15a)으로 들어가 서브 팬(19)에 흡입되고, 서브 팬(19)의 주위로부터 취출되고, 취출측 케이싱(15b)에서 모여 서브 팬 취출부(34)로 취출되게 된다.
그리고, 배기 운전의 경우, 서브 팬 취출부(34)에 있는 댐퍼Ⅱ(31)는 배기 풍로(23)를 개방하여 급기 순환 풍로(26)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서브 팬 취출부(34)에 취출된 실내 공기는 배기 풍로(23)를 통해 급배기 풍로(25)로 흐르고, 프리 필터(33)를 거쳐서 급배기구(18)로부터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프리 필터(33)의 급배기구(18)측에는 급기 운전시에 실외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집적되어 있지만, 배기 운전시의 실내 공기가 프리 필터(33)를 흐름으로써 프리 필터(33)의 급배기구(18)측의 표면에 집적되어 있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서브 팬 유닛(15)은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을 반복함으로써 프리 필터(33)를 셀프 클리닝하게 되어 프리 필터(33)의 청소의 횟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급기 운전 중 자동적으로 일정 시간 배기 운전으로 절환함으로써 프리 필터(33)에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절환하여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운전일 때에는 배기하는 실내 공기가 급기용 필터(21)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배기 운전시의 통풍 저항이 감소되고, 배기하는 실내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어 효율이 좋은 배기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상, 급기 운전 및 배기 운전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기본적으로 급기 및 배기만을 행하는 것이면, 서브 팬을 정역 가능한 팬으로 하여 실외 개구와 실내 개구를 각각 하나씩 설치하면, 배기시에 급기 필터(21)를 통과시키지 않는 방법은 고려할 필요가 있지만, 구조가 간단해진다. 그러나, 이에 덧붙여서 실내 개구를 또 하나 설치하여 한 쪽을 실내 공기의 흡입 전용, 다른 쪽을 취출 전용으로 함으로써 이하에 설명하는 순환 운전을 행할 수 있게 되어 다채로운 용도가 확장된다.
다음에, 순환 운전시의 상세에 대해 도12를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순환 운전시의 실내 공기는 서브 흡입구(16)(도4 참조)로부터 흡입되게 된다. 도12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서브 팬 유닛(15)(도4 참조)의 전방부에는 냉난 방 운전시에 실내의 공기 중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실내 에어 필터(8)(도3 참조)를 연장 설치하고 있으므로, 실내 에어 필터(8)는 서브 흡입구(16)가 흡입하는 실내 공기로부터도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순환 운전시에 댐퍼I(29)는 서브 흡입구(16)를 개방하여 급기 흡입구(24a)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실내 공기는 서브 흡입구(16)로부터 흡입되어 흡입측 케이싱(15a)으로 들어가고, 마우스 링(27)을 통해 서브 팬(19)에 흡입되어 서브 팬(19)의 주위로부터 취출되고, 취출측 케이싱(15b)에서 모여 서브 팬 취출부(34)로 취출된다. 서브 팬 취출부(34)에 설치된 댐퍼Ⅱ(31)에 의해 배기 풍로(23)를 차단하여 급기 순환 풍로(26)를 개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서브 팬 취출부(34)에 취출된 실내 공기는 급기 순환 풍로(26)로 흘러 실내 취출부(17)로부터 실내로 취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12a에는 송풍 덕트(12)를 명시하지 않지만, 송풍 덕트(12)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구(12a)를 실내 취출부(17)에 접촉하여 접속되어 있으므로, 실내 취출부(17)로부터 취출된 공기는 그대로 송풍 덕트(12) 내에 송풍되게 된다. 송풍 덕트(12)는 이슬 받침(11)(도3 참조)의 전방면부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 덕트(12)의 선단부는 실내 유닛(1)의 공기 취출구(6)(도1 참조)의 개략 중앙 상부에 있고, 송풍 덕트(12)에 송풍된 실내 공기를 서브 취출구(13)(도2 참조)로부터 취출하도록 되어 있다. 송풍 덕트(12)는 이슬 받침(11)의 전방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슬 받침(11)에 의해 냉방 운전의 경우에는 냉각되어 차갑게 되어 있고, 난방 운전인 경우에는 가열되어 따뜻하게 되어 있다. 송풍 덕트(12) 내를 흐르는 공기도 각각의 운전 상태에 의해 각각의 상태에 예비 냉각 혹은 예비 가열되어 서브 취출구(13)로부터 실내로 취출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 팬 유닛(15)을 순환 운전 모드로 운전한 경우라도 냉방 운전시 혹은 난방 운전시의 풍량이 증가되어 각각의 운전 상태의 온도에 예비 냉각 혹은 예비 가열된 공기를 서브 취출구(13)로부터 취출하므로, 각각의 운전시의 냉방 능력 혹은 난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브 팬 유닛(15)의 서브 팬(19)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마우스 링(27)의 형상이나, 흡입측 케이싱(15a) 및 취출측 케이싱(15b)의 형상으로 서브 팬(19)에 적응한 무리가 없는 형상을 채용할 수 있고, 따라서 송풍 효율이 좋고 운전 소음이 낮은 서브 팬 유닛(15)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서브 팬(19)을 구동하는 서브 팬 모터(20)를 서브 팬(19)에 마련한 오목부에 배치하고, 그 서브 팬(19)의 취출측 케이싱(15b)을 둘러싼 동일 평면에[즉, 취출측 케이싱(15b)의 외주면 외측에] 배기 풍로(23)와 급기 풍로(24)와 급기 순환 풍로(26)를 설치하여 폭치수가 얇은 송풍 기구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급기용 필터(21)를 송풍 기구의 하부에 배치하여 서브 팬 유닛(15)의 폭치수를 얇게 하고, 실내 유닛의 폭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서브 팬 유닛(15)을 실내 유닛(1)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실내 유닛(1)의 냉난방 운전과 서브 팬 유닛(15)의 운전 모드를 조합한 경우의 효과에 대해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3은 도1의 실내 유닛의 냉방 운전과 서브 팬 유닛의 순환 운전 혹은 급기 운전을 병용한 경우의 설명도, 도14는 도1의 실내 유닛의 난방 운전과 서브 팬 유닛의 순환 운전 혹은 급 기 운전을 병용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13에 있어서, 실내 유닛(1)을 냉방 운전하고, 서브 팬 유닛(15)을 순환 운전 혹은 급기 운전한 경우, 서브 취출구(13)로부터 취출하는 공기는 송풍 덕트(12)를 흐르는 동안에 송풍 덕트(12)가 이슬 받침(11)에서 냉각되어 차가워져 있으므로 송풍 덕트(12)에서 냉각되게 된다. 그리고, 송풍 덕트(12)에서 냉각된 공기는 실내 유닛(1)의 공기 취출구(6)의 개략 중앙 상부에 설치한 서브 취출구(13)로부터 화살표 A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취출하게 된다. 한편, 실내 유닛(1)의 냉방 운전에서는 냉각된 차가운 공기를 공기 취출구(6)로부터 화살표 B와 같이 취출하여 방의 먼 곳까지 냉풍을 송풍하여 방 전체를 냉방하게 된다.
도13에서는 냉방 운전의 냉풍에 서브 팬 유닛(15)의 순환 운전 혹은 급기 운전의 냉풍이 가해지므로, 냉풍의 풍량이 늘어 실내를 빠르게 냉방 할 수 있게 된다. 혹은 냉방 능력을 동일하게 하여 서브 팬 유닛(15)이 송풍하는 풍량만큼 냉방 운전의 풍량을 줄임으로써 냉방 운전시의 소음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취출구(13)로부터 공기를 대략 수평으로 취출함으로써 실내의 상부 공간에 덮개를 덮는 상태가 되므로, 공기 취출구(6)로부터 취출한 냉풍을 실내 하부의 생활 공간에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14에 있어서, 실내 유닛(1)을 난방 운전하고, 서브 팬 유닛(15)을 순환 운전 혹은 급기 운전한 경우, 서브 취출구(13)로부터 취출하는 공기는 송풍 덕트(12)의 내부를 흐르는 동안에 송풍 덕트(12)가 이슬 받침(11)에서 가열되어 따뜻해져 있으므로 송풍 덕트(12)에서 따뜻해지게 된다. 그리고, 송풍 덕트(12)에서 따뜻해진 공기는 실내 유닛(1)의 공기 취출구(6)의 개략 중앙 상부에 설치된 서브 취출구(13)로부터 화살표 A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취출하게 된다.
한편, 실내 유닛(1)의 난방 운전에서 가열되어 따뜻해져 공기 취출구(6)로부터 취출되어 온 온풍은 비중이 가벼워져 있으므로 끊임없이 방의 상부를 향해 부상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난방 운전의 온풍은 공기 취출구(6)로부터 화살표 B와 같이 하방을 향해 취출하고, 우선 방의 바닥면을 따뜻하게 하여 온풍이 방의 상부를 향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방의 생활 공간을 난방시키게 된다. 서브 취출구(13)로부터 취출하는 온풍이 없는 종래의 경우에는, 공기 취출구(6)로부터 취출한 온풍은 온풍의 속도가 지연됨에 따라서, 화살표 B와 같이 상승을 하기 시작하여 방의 먼 곳까지 따뜻한 온풍을 도달시킬 수 없어, 가볍고 따뜻한 공기를 방의 상부 공간에 체류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실내 유닛(1)에서는 공기 취출구(6)의 개략 중앙 상부에 설치한 서브 취출구(13)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화살표 A와 같이 온풍을 취출하고 있으므로, 상승하고자 하는 화살표 B의 따뜻한 난방 운전의 온풍에 덮개를 덮는 동시에, 서브 취출구(13)로부터 취출하는 온풍으로 난방 운전의 온풍을 방의 먼 곳까지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 유닛(1)의 난방 운전에 있어서도 서브 팬 유닛(15)의 순환 운전 혹은 급기 운전을 병용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난방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 덕트(12)는 이슬 받침(11)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내 유닛(1)의 열교환기(10)가 냉방 운전으로 냉각되어 있는 경우에 는 응축된 차가운 드레인수를 받아 이슬 받침(11)이 냉각되고, 그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 덕트(12)는 이슬 받침(11)에 의해 냉각되어 차가워져 그 속을 흐르는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따라서, 냉방 운전시에 더운 실외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해도 송풍 덕트(12)에서 예비 냉각되어 실내에 취출하므로 냉방 효과를 크게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실내 유닛(1)의 열교환기(10)가 난방 운전으로 가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슬 받침(11)은 직접 가열되어 따뜻해지고, 그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 덕트(12)는 이슬 받침(11)에 의해 따뜻해지고, 그 속을 흐르는 공기를 따뜻하게 하게 된다. 따라서, 난방 운전시에 차가운 실외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해도 송풍 덕트(12)에서 예비 가열되어 실내로 취출하므로 난방 효과를 크게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실내 유닛(1)의 냉난방 운전을 하지 않고, 서브 팬 유닛(15)만으로 순환 운전, 배기 운전 혹은 급기 운전을 단독으로 행하여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키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거나, 혹은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취입하여 실내의 공기를 다시 신선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급배기가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이용하여 공기 관측 운전 제어를 실현하는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15에 있어서, 부호 100은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 200은 조작 수단, 250, 300, 400, 500은 각각 공기 오염 센서, 실내 온도, 습도, 실외 온도 센서, 600은 공기 조화기의 작동기(압축기, 실내 팬, 실외 팬, 각종 밸브 및 각종 교축 장치), 700은 급배기 장치의 작동기[서브 팬(19), 댐퍼 (29, 31)]이다.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는 조작 신호 접수 수단(4000),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 공기 관측 제어 수단(5000),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104)으로 이루어진다.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는 리모콘 등의 조작 수단(200)에 배치되어 있는 버튼 등의 조작 신호를 조작 신호 접수 수단(4000)에 의해 수취하여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에 지령한다.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은 도시하지 않은 센서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실내 온도 센서(300), 실내 습도 센서(400), 실외 온도 센서(500)의 측정치를 취득하여 공기 조화기가 지정의 동작을 하도록 공기 조화기의 작동기(600)를 구동 제어한다.
조작 수단(200)의 공기 관측 버튼(220)이 눌리면, 조작 신호 접수 수단(4000)은 이를 수취하여 공기 관측 제어 수단(5000)에 지령한다. 공기 관측 제어 수단(5000)은 도시하지 않은 센서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공기 오염 센서(250), 실내 온도 센서(300), 실내 습도 센서(400), 실외 온도 센서(500)의 측정치를 취득하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공기 조화기를 예정의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도록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 및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104)에 지령한다. 각종 측정치의 제어에의 적용은 후술한다.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은 공기 조화기의 작동기(600)를 구동 제어한다. 여기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기(600)는 압축기, 실내외의 송풍기, 감압 제어용 전동 팽창 밸브, 냉매 유로 절환용 4방 밸브, 냉매 회로 절환용 각종 밸브류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관측 운전(감시 운전)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공기 조화기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기 관측 버튼(220)이 눌리고, 공기 관측 운전이 개시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실내 유닛(1)의 정면에 설치된 공기 오염 센서(250)에 의해 공기의 오염 상태가 감시되고, 실내 공기의 오염 상태가 임계치 이상이 되면, 서브 팬 유닛(15)의 통풍 경로를 배기 모드로 하여 서브 팬(19)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보다 공기 청정 기능 효과를 늘리기 위해 메인 팬(9)을 회전 구동시켜 열교환기의 전방에 부착되어 있는 공기 청정 필터를 활용한다. 즉, 실내 공기를 배기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 청정 필터에 오염의 근원을 수집시킴으로써 빠르게 실내의 공기를 청정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냉방, 난방, 제습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공기의 오염이 검지되었을 때에 배기 운전을 행하고, 실내 팬인 메인 팬(9)은 냉방, 난방, 제습 운전의 제어에 맡겨진다. 또한, 공기 청정 필터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공기 조화기 제어상은 실내 송풍기의 운전이 불필요해도 실내 팬(9)의 운전을 소정의 속도로 행하지만, 반드시 실내 팬(9)을 운전시킬 필요는 없다. 단, 이 경우에는 실내 공기의 오염이 정상화될 때까지 조금 시간이 걸린다.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104)은 급배기 장치의 작동기(700)를 구동 제어한다. 여기서 급배기 장치의 작동기는 급배기용 송풍기, 통풍로 절환용 댐퍼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1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조작 수단(200)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201은 액정 등을 사용한 표시부로, 각종 조작 상황,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황을 표 시한다. 도면 중 ○표로 나타낸 것은 각종 조작 버튼으로,「냉방」,「난방」,「송풍」,「제습」등의 표시를 행하고, 그것을 누름으로써 통상의 공기 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운전 모드를 절환할 수 있다. 지정된 운전 모드는 액정 표시부(201)에, 예를 들어「냉방」등과 같이 표시한다. 그리고,「운전/정지」버튼을 누름으로써 운전/정지를 지령할 수 있다.
특히, 버튼(220)에는「공기 관측」의 표시를 실시하고 있다. 버튼(220)을 누름으로써 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 액정 표시부(201)에는, 예를 들어,「공기 관측」이 표시되어「공기 관측」버튼이 눌려진 것을 표시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실내 유닛 전방면에도 LED 등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오렌지색의 램프를 점등시켜 조작 결과가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에서 접수된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어의 결과, 배기 운전 중에는「급배기」램프를 점등시키고, 급기 운전 중에는「급기」램프를 점등시킨다.
공기 관측 운전의 설정 시간은 리모콘 조작이 없는 상태로부터 2주간으로 되어있다. 2주간이 경과하면 실내 유닛(1)의「공기 관측」표시 램프가 소등되어 종료된다. 또한, 이 공기 관측 운전은 냉방, 난방, 송풍, 제습 운전의 개시, 정지를 행하는「운전/정지」버튼이 조작되어도 그 운전이 계속된다. 그리고,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공기 관측」버튼을 다시 눌러 리모콘 표시상의「공기 관측」이 꺼지도록 조작함으로써 취소된다.
또한, 공기 관측 운전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냉방, 난방, 송풍, 제습 운 전 등이 조작되면, 공기 관측 운전의 타이머가 리세트되어 그 시점으로부터 2주간의 시간이 설정된다. 이는 항상 방의 오염을 의식하고 있는 사용자가 2주간 후에 다시 공기 관측 운전을 설정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공기 관측 운전의 설정 시간을 2주간으로 하였지만, 공기 관측이라 하는 기능으로부터 필요한 시간이면, 2주간으로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1주일, 10일간이라도 문제는 없다.
다음에, 공기 관측 운전의 타이머의 리세트의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조작 수단(200)은 설정된 모든 정보가 기억되어 송신시에 이 모든 정보가 본체에 대해 송신된다. 따라서, 어떠한 버튼이 눌렸을 때에도 그 정보뿐만 아니라 모든 상태가 기억되어 전체 정보가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로 송신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는 조작 수단의 수신 데이터로부터 새롭게 눌려진 버튼의 정보만이 아니라, 이전의 조작 상태를 전부 일괄하여 취득되게 된다. 공기 관측 운전은「운전/정지」버튼으로는 조작되지 않으므로, 일단 조작 수단(200)에 의해 설정되면「운전/정지」버튼 이외의 버튼에 의해 취소될 때까지 조작 수단(200) 내에 기억되고, 냉방, 난방 등의 공기 조화 운전이 지시되면 이들의 운전 정보와 함께 공기 관측 운전 정보도 송신된다. 또한, 공기 조화 운전의 정지를 지시하는 경우에도 정지 플러그뿐만 아니라 조작 수단(200)인 리모콘 내에 기억된 각종 설정 모두 송신하므로, 공기 관측 운전 플러그도 송신되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는 새롭게 공기 관측 운전이 접수된 것으로 하여 2주간의 타이머를 세트하게 되어 냉방, 난방 등의 조작할 때마다 외관상 갱신되게 된 다. 즉, 리모콘 조작할 때마다 그 시점으로부터 2주간의 공기 관측 운전이 설정되는 것이다.
도17은 공기 조화 장치(100)의 제어 장치가 실시하는 공기 관측 운전 중의 동작 타임차트를 나타낸다. 횡축은 시간의 진행을 나타낸다. 공기 관측 운전 중인 것을 도면 중 공기 관측 운전 모드란의 1000으로 나타낸다. 공기 관측 운전은 버튼(220)이 눌려짐으로써 개시되고, 도면 중 Tmax(= 일주일 이상의 값을 설정, 본 실시예에서는 2주간)로 나타내는 계속 기간이 경과하면, 공기 관측 운전은 종료가 된다.
우선, 버튼(220)이 눌려졌을 때, 공기 오염 센서에의 통전을 개시한다. 통전 기간은 Tmax와 동일하다. 도면 중 공기 오염도의 변화란의 최초의 파선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 개시 직후에는 공기 오염 센서의 특성으로부터 오염도의 검출은 할 수 없다. 통전 개시 후 TCmin(= 약 5분)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도면 중 2500으로 나타내는 기간이 공기 관측 기간이 된다.
이 공기 오염 센서는 담배의 연기, 알코올, 스프레이(살충제 등)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이 센서의 상세한 동작 원리는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3-2327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3561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174426호 공보 등에 설명된 가스 센서의 일종을 이용한다.
실내 송풍란의 2101에 나타내는 부분은 냉방, 난방 등의 공기 조화 운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실내 팬은 정지하고 있다. 그러나, 공기 조화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곳의 제어에 따라서 실내 팬이 회전 구동된다. 2100, 2200 부분은, 공기 조화 운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 관측 운전의 제어 요청에 의해 실내 팬이 운전되는 영역이다. 공기 조화 운전이 행해지고 있고, 실내 팬이 구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송풍이 계속된다.
공기 오염도(C)의 검출은 도17의 2500의 구간인 샘플링 주기로 항시 행한다. CH는 상한, CL은 하한치이다. 최초로 C ≥ CH를 검출하였을 때, 1100으로 나타내는 배기 운전을 개시한다. 배기 및 송풍 운전의 최소 운전 시간을 Thmin(= 약 20분)으로 한다. 이는 빈번히 배기 운전의 개시와 정지를 반복하지 않기 때문에 정한 시간으로, 배기량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다. 이 운전을 시작으로 Thmin 경과 후 C ≤ CL을 검출하면, 1100 및 2100의 종단부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를 정지한다. 그리고, 실내 팬(9)을 동작시킨 상태에서 급기 운전을 개시하고(1110), 이를 Ts 시간 계속한다. 그 후, 공기 오염도가 상승하면 1200에 나타내는 배기 운전을 행하고, 그 후 1210에 나타내는 급기 운전을 행하고, 같은 동작을 1000에 나타내는 구간에서 Tmax의 사이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기의 오염을 검출하였을 때에 적극적으로,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게 하고, 실내의 공기 오염 상태를 일정한 범위 이하로 억제하여 안정된 청정한 실내 공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공기의 오염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배기 운전을 정지하고, 실내의 공조 결과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적게 하여 운전 에너지의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다.
배기 동작의 종료 후, 급기 운전을 행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배기 운전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지만, 배출된 공기와 동량의 공기는, 예를 들어 옆방으로부터 공급될 것이다. 그러나, 이 옆방의 공기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 오염되어 있던 경우, 가령, 그 오염 정도가 CL을 하회하고 있었다고 해도 오염된 공기를 도입하게 되므로 불쾌함은 남는다. 그래서, 급기 필터(21)에 의해 청정된 신선한 외기를 일정 시간 실내에 급기시켜 묽게 함으로써 불쾌함을 제거하고, 배기 운전과 더불어 실내 공기를 호흡시킴으로써 청량감있는 공질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배기 운전의 후, 반드시 급기 운전을 행하는 것은 아니고, 실외 온도(To), 실내 온도(Ti), 습도(Hi)의 측정치가 To ≤ Ti + α 또한 Hi ≤ β의 조건을 만족시켰을 때에만 행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α= 1 ℃, β = 80 %로 설정되어 있다. 즉, 외기의 습도가 작고, 실온과 동등하거나 그 이하인 경우, 급기 운전을 행함으로써 청량감이 있는 공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치는 여기에 나타낸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100, 1200에 나타내는 배기 운전 중에는 2100, 22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팬(9)을 송풍 운전시키고, 실내 유닛에 부착되어 있는 공기 청정 필터를 작용시켜 실내 공기의 정화의 보조로 한다. 이에 의해, 배기 운전 시간을 저감할 수 있어 공조된 실내 공기의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운전 에너지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관측 운전은 실내 공기 청정을 유지하는 운전을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약에 버튼(220)이 눌려져 이 운전 모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자가 냉방 등 통상의 운전 요구 버튼을 눌렀을 때에는 냉방 등의 운전과 병행하여 공기 관측 운전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어 흐름을 도18 및 도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8은 도15의 조작 신호 접수 수단(4000)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조작 수단(200)은 도16의 공기 관측 버튼(220)이 눌리면 액정의 표시 수단(201)에 공기 관측 중의 표시를 하는 동시에, 이 신호를 공기 관측 요구 신호로서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로 송신한다.
조작 수단(200)은 공기 관측 버튼(220)이 다시 눌려지면 액정의 표시 수단(201)의 공기 관측 중의 표시를 제거하는 동시에, 이 신호를 공기 관측 요구 해제 신호로서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공기 조화기의 각종 동작 모드 신호(냉방, 난방, 송풍, 제습 등)와 운전/정지 지령 신호가 조작 수단(200)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로 송신된다.
이들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처리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의 연산 수단에 포함되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가 짧은 주기로 도18의 조작 신호 접수 수단(4000)을 구동함으로써 항상 조작 수단의 상황을 감시하고 있다.
조작 신호 접수 처리는 도18의 블럭(4000)으로부터 개시된다. 우선, 블럭(4100)에 있어서, 조작 수단(200)으로부터의 공기 관측 버튼(220)이 눌려졌을 때의 공기 관측 요구 신호를 취득한다.
공기 관측 요구 신호는, 예를 들어 버튼이 눌려져 공기 관측 개시 요구가 있을 때에는「1」, 공기 관측 정지 요구가 있을 때에는「0」, 버튼 조작이 되지 않았을 때에는 이전의 계속이라 하여「-1」의 치로서 수신한다.
블럭(4200 내지 4340)의 처리는 공기 관측 계속 기간의 갱신에 관한 것이므로, 설명을 뒤로 미루고, 블럭(4100)의 결과가 블럭(4400)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여 먼저 설명한다.
블럭(4400)에 있어서, 공기 관측 요구 신호를 판별한다. 공기 관측 요구 신호가「-1」(버튼 조작 없음)이면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공기 관측 요구 신호가「0」(요구 없음)이면 블럭(4410)에 있어서,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0」(요구 없음)으로 설정한다. 공기 관측 요구 신호「1」(요구 있음)이면 블럭(4220)에 있어서,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를「1」(요구 있음)로 설정하고, 공기 관측 계속 기간 타이머(Tmax)를 설정한다.
계속해서, 블럭(4500)에 있어서, 상기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를 판별한다. 공기 관측 요구가 있을 때에는, 블럭(4510)에 있어서 공기 관측 계속 기간(Tmax)의 경과를 체크한다. 그리고 계속 기간이 경과되고 있으면 블럭(4520)에 있어서,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0」으로 하여 공기 관측 요구를 해제한다. 마지막으로, 블럭(4600)에 있어서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계속 기간(Tmax) 동안의 공기 관측 요구를 공기 관측 제어 수단(5000)에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 수단의 다른 조작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즉, 설명을 생략한 블럭(4200)에 있어서, 조작 수단(2000)으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통상 운전을 지령하는 운전 모드 신호(냉방, 난방, 제습 등)와 그것의 운전/정지 지령 신호를 취득한다.
통상 운전 요구 조작 신호는, 예를 들어 운전 지령 신호가 있었을 때에는 동 시에 송신되는 운전 모드 신호의 냉방/제습/난방 등에 대응하여 1/2/3 등의 값을 설정한다. 정지 지령 신호가 있었을 때에는「0」의 값을 설정한다. 운전/정지의 버튼 조작이 없었을 때에는 이전의 계속이라 하여「-1」의 값을 설정한다.
계속해서, 블럭(4300)에 있어서, 통상 운전 요구 조작 신호를 판별한다. 통상 동작 요구 조작 신호「-1」(버튼 조작 없음)이면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통상 운전 요구 신호「0」(요구 없음)이면 블럭(4310)에 있어서, 통상 동작 요구「0」(요구 없음)으로 설정한다. 통상 운전 요구 신호「>0」(요구 있음)이면 블럭(4320)에 있어서, 통상 동작 요구를 통상 동작 요구 조작 신호로서 설정된 동작 모드로 설정한다.
계속되는 블럭(4330)의 판정은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1」, 즉 이미 공기 관측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렇지 않으면 블럭(4340)에 있어서, 블럭(4100)에서 취득한 공기 관측 요구 신호를 강제적으로「1」로 변경한다.
이 결과, 먼저 설명한 블럭(4420)의 처리가 실행되어 공기 관측 계속 기간(Tmax)이 재설정, 즉 갱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는 조작 수단(200)으로부터의 공기 관측 요구 신호에 따라서 공기 관측 운전용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를 설정/해제하여 공기 관측 운전 조건을 정리하는 동시에, 소정의 계속 기간(Tmax)이 경과하면 공기 관측 운전을 종료시키도록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를 조작하고, 이를 공기 관측 제어 수단(5000)에 제공한다.
그런데, 공기 관측 중에 조작 수단(200)의 운전 버튼이 조작되어 다른 운전 요구가 발생하면 공기 관측 계속 기간을 갱신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로서 매일 이용되고 있으면 이 공기 관측 기능은 영구히 계속하게 되어 일일이 공기 관측의 설정에 주의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장기 부재 등일 때에는 조작 수단(200)의 운전 버튼이 조작되지 않으므로, 설정되어 있는 공기 관측 계속 기간이 경과하면 공기 관측 기능이 종료되게 되어 불필요한 운전을 하는 일도 없어진다.
통상 동작 요구의 설정치는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으로 이송되어 설정된 값에 상당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에 이용된다. 공기 관측 운전은 이 통상 동작에 관계없이 병행하여 실시된다.
도19는 도18에서 도시한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에 따라서 동작되는 공기 관측 운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9의 공기 관측 제어 수단(5000)은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100)의 연산 수단에 포함되는 0S(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짧은 주기로 실행되고, 상태 천이를 제어함으로써 공기 관측을 실현하고 있다.
도19의 공기 관측 제어 처리는 블럭(5000)이 입구이고, 블럭(5100)에 있어서 공기 관측 요구 플러그「1/0」에 의해 공기 관측 요구의 유무가 체크되고, 공기 관측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블럭(5110)에 있어서 실내 유닛 전방면의 보기 쉬운 곳에 붙인 공기 관측 중을 나타내는 LED를 소등하고,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에의 공기 관측 전용의 실내 송풍 요구를 해제하고,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104)에의 배기 동작 요구 및 급기 동작 요구를 해제하고, 공기 오염 센서에의 통전을 해제하 고, 공기 관측 제어의 실시 요구가 있었을 때의 상태 제어 관리 변수인 관측 상태「0」으로 설정하고, 모든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하여 블럭(5120)에 있어서 처리를 종료한다.
공기 관측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블럭(5300)으로 진행하여 관측 상태가 나타내는 값 0, 1, 2, 3, 4, 5, 6에 따른 우측에 도시하는 블럭의 처리를 행한다.
관측 상태가「O」일 때, 즉 공기 관측 운전이 개시만 되었을 때에는 블럭(5350)에 있어서 실내 유닛 전방면의 보기 쉬운 곳에 붙인 공기 관측 중을 나타내는 LED를 점등하고, 공기 오염 센서의 통전을 개시하여 공기 오염 센서의 안정 대기 타이머(TCmin)를 설정하고, 공기 관측 운전 실행을 위한 상태를 관측 상태「1」로 진행시켜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회, 이 제습 제어(5000)가 실행될 때에는 관측 상태「1」에 대응하는 블럭이 실행된다.
관측 상태「1」일 때에는 블럭(5400)에 있어서 공기 오염 센서의 안정 대기 타이머(TCmin)의 경과를 대기한다. 시간이 경과하면, 블럭(5410)으로 관측 상태「2」로 진행시켜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회, 이 공기 관측 제어(5000)가 실행될 때에는 관측 상태「2」에 대응하는 블럭이 실행된다.
관측 상태「2」일 때, 블럭(5450)에 있어서, 공기 오염 센서의 측정치(C)를 취득하고, 블럭(5460)에 있어서 C ≥ CH의 판정, 즉 공기 오염의 유무를 판별한다. 공기 오염이 없는 경우에는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하여 관측 상태「2」를 계속하고, 반복해서 공기 오염의 판별을 행한다. 오염이 검출된 경우에는 블럭(5470)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에의 공기 관측 운전 전용의 실내 송 풍 요구를 설정하고,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104)에의 배기 동작 요구를 설정하고, 배기 동작의 최소 운전 시간 타이머(Thmin)를 설정하고, 관측 상태 = 3으로 진행시켜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회, 이 공기 관측 제어(5000)가 실행될 때에는 관측 상태「3」에 대응하는 블럭이 실행된다.
관측 상태「3」일 때에는 블럭(5500)에 있어서 배기 동작의 최소 운전 시간 타이머(Thmin)의 경과를 대기한다. 시간이 경과하면, 블럭(5510)으로 관측 상태「4」로 진행시켜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회, 이 공기 관측 제어(5000)가 실행될 때에는 관측 상태「4」에 대응하는 블럭이 실행된다.
관측 상태「4」일 때에는 블럭(5550)에 있어서 공기 오염 센서의 측정치(C)를 취득하고, 블럭(5560)에 있어서 C ≤ CL의 판정, 즉 공기 오염 해소의 유무를 판별한다. 해소되어 있지 않으면,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하고, 반복해서 공기 오염 해소의 체크를 행한다. 해소가 판별되었을 때에는 블럭(5570)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 제어 수단(102)에의 공기 관측 운전 전용의 실내 송풍 요구를 해제하고,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104)에의 배기 동작 요구를 해제하고, 관측 상태「5」로 진행시켜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회, 이 공기 관측 제어(5000)가 실행될 때에는 관측 상태「5」에 대응하는 블럭이 실행된다.
관측 상태「5」일 때에는 블럭(5600)에 있어서 외기온(To), 실온(Ti), 습도(Hi)의 검출을 행한다. 계속해서, 블럭(5610)에 있어서 외기온과 실온의 상대 관계 To < Ti +α와 습도의 제한 Hi < β의 판별이 행해진다. 관계가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블럭(5620)에 있어서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104)에의 급기 동작 요 구를 설정하고, 급기 계속 시간 타이머(Ts)를 설정하고, 관측 상태「6」으로 진행시켜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회, 이 공기 관측 제어(5000)가 실행될 때에는 관측 상태「6」에 대응하는 블럭이 실행된다.
관계가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블럭(5630)에 있어서 관측 상태「2」로 복귀시켜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회, 이 공기 관측 제어(5000)가 실행될 때에는 관측 상태「2」에 대응하는 블럭이 실행, 즉 공기 오염의 검출로부터 처리가 재개된다.
관측 상태「6」일 때에는 블럭(5650)에 있어서 급기 계속 시간(Ts)의 경과를 대기한다. 경과하면, 블럭(5660)에 있어서 급배기 장치 제어 수단(104)에의 급기 동작 요구를 해제하고, 관측 상태「2」로 복귀시켜 블럭(5900)에 의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회, 이 공기 관측 제어(5000)가 실행될 때에는 관측 상태「2」에 대응하는 블럭이 실행, 즉 공기 오염의 검출로부터 처리가 재개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순서에 의해 도17에 도시한 타임차트의 내용이 실현된다.
또한, 급기 운전 및 배기 운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운전상의 제약이 있고, 이 조건에 적합하고, 급기 운전 혹은 배기 운전 운전이 운전 중이면 정지하고, 급기 운전 혹은 배기 운전의 요구(버튼 조작)가 있으면 운전을 개시하지 않고, 실내 유닛(1)의「급배기」램프를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그 취지를 통지한다.
급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실외의 기온이 약 30 ℃ 이상일 때, 또는 약 3 ℃ 이하일 때, 서브 팬(19), 급배기용 덕트가 결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급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실외의 기온이 30 ℃ 이상이면 실내에 서 냉방이 행해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실외로부터 고온 고습도의 공기가 유입되어 오면 서브 팬(19) 등은 냉각되어 있으므로 그 공기 온도가 노점 이하가 되어 결로되므로 급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반대로 실외의 기온이 3 ℃ 이하인 경우, 실내는 난방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급배기용 덕트 밖이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내부에 차가운 공기가 유입하면 덕트 밖이 결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급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2) 냉방 운전시에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차가 약 7 ℃ 이상일 때, 상기 이유로 급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3) 난방 운전시에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와의 차가 약 22 ℃ 이상일 때, 상기 이유로 급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4) 실내 습도가 약 70 % 이상일 때에는 같은 이유로 급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배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실내 온도가 약 43 ℃ 이상일 때에는 서브 팬(급배기 팬)(19)을 보호하기 위해 배기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배기 기구를 실내 유닛 내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공기 관측 운전에 관하여 말하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 유닛에 설치해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유닛에 실내 공기의 오염 센서, 실외 공기의 실내에의 급기 및 실내 공기의 실외에의 배기를 위한 실내외를 공기 배관으로 연결한 급배기 장치 및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고, 항시 실내 공기의 상태를 관측하여 오염의 정도가 커지기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도록 하고, 거주자가 체감에 의해 공기의 오염을 느낀 후, 조작 수단의 배기 버튼을 눌러 배기 운전을 개시시키거나, 종료시키거나 해야만 하는 불편을 해소하였다. 또한, 실내의 공기 상태를 감시하여 적절하게 배기함으로써, 항상 실내의 공기의 오염 상태를 일정한 범위 이하로 억제하여 안정된 청정한 실내 공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내의 공기 상태를 감시하여 적절하게 배기를 정지함으로써 실내의 공조 결과의 실외에의 배출을 적게 하여 운전 에너지의 손실을 저감하였다. 또한, 배기 동작의 종료 시점에서 신선한 외기를 일정 시간 실내에 급기시켜 신선한 외기를 호흡함으로써 심호흡을 느낄 수 있는 상쾌함, 청량감, 청정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구비하여 그 방의 공기의 오염을 저감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구비하여 실내 공기의 청정을 빠르게 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구비하여 이 운전을 항시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배기 동작을 행하는 운전을 행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2.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고, 그 후 급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3.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고, 그 후 급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외기 온도, 실내 온도 및 외기 습도를 기초로 하여 이 급기 운전의 동작의 가부를 판단하도록 한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상기 외기 온도가 상기 실내 온도와 대략 동등하거나 혹은 낮을 때 및 상기 실외 습도가 설정된 값보다도 낮을 때 상기 급기 운전을 동작시키는 판단인 공기 조화기.
  5.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이 열교환기의 상류에 설치된 필터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6.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이 열교환기의 상류에 설치된 필터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설치되어 공기의 오염을 검지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을 행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그 후 급기 운전 및 상기 메인 팬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7.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설정 기간 중 상기 실내 유닛이 설치된 방의 공기의 오염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 및 정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감시 운전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8.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와, 각종 운전 및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설정 기간 중 상기 실내 유닛이 설치된 방의 공기의 오염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 및 정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감시 운전을 구비하고, 이 감시 운전이 취소되지 않고, 상기 설정 기간 내에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운전 조작 혹은 정지 조작이 없는 경우에 상기 감시 운전을 종료하도록 한 공기 조화기.
  9. 실내 유닛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공기를 통풍하는 팬과,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배기 기구와, 각종 운전 및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설정 기간 중 상기 실내 유닛이 설치된 방의 공기의 오염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급배기 기구에 배기 운전 및 정지 동작을 행하게 하는 감시 운전을 구비하고, 이 감시 운전이 취소되지 않고, 상기 설정 기간 내에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운전 조작 혹은 정지 조작이 있던 경우, 상기 설정 기간을 재설정하도록 한 공기 조화기.
KR1020040063369A 2003-12-09 2004-08-12 공기 조화기 KR100566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9742A JP2005172280A (ja) 2003-12-09 2003-12-09 空気調和機
JPJP-P-2003-00409742 2003-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115A KR20050056115A (ko) 2005-06-14
KR100566022B1 true KR100566022B1 (ko) 2006-03-31

Family

ID=3473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369A KR100566022B1 (ko) 2003-12-09 2004-08-12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72280A (ko)
KR (1) KR100566022B1 (ko)
CN (1) CN1003561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2368B2 (ja) * 2004-09-10 2010-12-0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565984B2 (ja) * 2004-12-08 2010-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7107819A (ja) * 2005-10-14 2007-04-26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KR100812924B1 (ko) * 2007-04-18 2008-03-11 이정수 선박 도색용 열풍기
JP5664644B2 (ja) * 2012-12-28 2015-02-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WO2019044027A1 (ja) * 2017-08-28 2019-03-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環境制御システム、空気環境制御装置及び空気環境制御方法
JP2022030796A (ja) * 2020-08-07 2022-02-18 武 服部 空気調和システム、そ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148690B1 (ja) 2021-08-31 2022-10-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498A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청정운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228181A (ja) 2001-01-31 2002-08-1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KR20030063856A (ko) * 2002-01-24 200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환기방법
KR20030087676A (ko) * 2002-05-09 2003-11-15 허필 온도, 오염도, 습도 자동 환기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406B2 (ja) * 1988-03-14 1994-08-3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浴室換気制御装置
CN1057509A (zh) * 1990-06-22 1992-01-01 许先明 多功能空调扇
JPH06159726A (ja) * 1992-11-27 1994-06-07 Toshiba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JP3307698B2 (ja) * 1992-12-15 2002-07-2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熱交換型換気扇
JPH11351644A (ja) * 1998-06-11 1999-12-24 Sekisui Chem Co Ltd 空気調和機と換気システム
JP3024634B2 (ja) * 1998-06-12 2000-03-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装置
JP3917319B2 (ja) * 1999-02-26 2007-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2061923A (ja) * 2000-08-21 2002-02-28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4344906B2 (ja) * 2000-10-04 2009-10-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498A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청정운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228181A (ja) 2001-01-31 2002-08-1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KR20030063856A (ko) * 2002-01-24 200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환기방법
KR20030087676A (ko) * 2002-05-09 2003-11-15 허필 온도, 오염도, 습도 자동 환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6926A (zh) 2005-06-15
KR20050056115A (ko) 2005-06-14
CN100356108C (zh) 2007-12-19
JP2005172280A (ja)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358B1 (ko)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0781848B1 (ko) 공기 조화기
JP4240115B2 (ja) 空気調和機
KR100617082B1 (ko) 초박형 환기장치
KR100566022B1 (ko) 공기 조화기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JP200814509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799347B2 (ja) 空気調和機
JP2008036495A (ja) 空気清浄機
KR100737448B1 (ko) 공기조화기
KR102506254B1 (ko) 공기청정기능 및 환기기능을 구현하는 냉방제습기
KR100535842B1 (ko) 공기 조화기
KR101305326B1 (ko) 공기조화기
JP4202822B2 (ja) 空気調和機
KR100741746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1306127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1600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TWI821921B (zh) 除濕機
KR20060016008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
JP2006308191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70073727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9780B1 (ko) 공기조화기
JP2005030660A (ja) 空気調和装置
JP2019066061A (ja) 空気調和機
KR20050049943A (ko)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