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943A -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943A
KR20050049943A KR1020030083722A KR20030083722A KR20050049943A KR 20050049943 A KR20050049943 A KR 20050049943A KR 1020030083722 A KR1020030083722 A KR 1020030083722A KR 20030083722 A KR20030083722 A KR 20030083722A KR 20050049943 A KR20050049943 A KR 2005004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ilation
sirocco fan
outdoor
in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323B1 (ko
Inventor
김태우
이광희
장보영
박영민
최호선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3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32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는 실외기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방출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압송하는 환기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에 형성된 환기구에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에 먼지가 실내로 다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의 환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A Ventilation Apparatus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외기에 오염된 실내 공기를 강제로 내보내고,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강제 압송하는 환기 송풍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의 환기구에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실내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장치로서, 실내공기를 냉매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해 냉/난방시키는 실내기(10)와, 상기 실내기(10)와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10)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내공기와 열교환 가능하도록 실외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실내기(10)의 작동시 공기조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실내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10)가 장시간 연속으로 작동될 경우, 실내 거주자로부터 발생된 이산화탄소, 채취, 분진, 조리기구의 연소가스 등에 의해 실내가 오염된다. 따라서, 요즘에는 공기조화기에 실내를 강제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20)가 구비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20)는 실내기(10)에 설치되어 실내기(10)와 실외를 연결하는 환기 덕트(22)와, 상기 실내기(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22)를 통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환기 팬(2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10)에는 환기구(2) 측에 실내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실외공기가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실내로 압송될 경우 상기 필터에 포집된 먼지가 실외공기의 흐름에 휩싸여 실내로 다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는 환기모드에서 상기 환기 팬(24)의 송풍력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강제로 내보내고, 신선한 실외공기가 실내의 틈새를 통해 자연적으로 들어오게 함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는 오염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는데 반해, 신선한 실외공기가 더디게 실내에 들어오기 때문에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전환하기 어렵고, 환기모드가 빈번할 경우 실내의 공기 농도가 급격하게 떨어짐으로써 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기모드에서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강제 송풍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강제 송풍함과 아울러 필터에 포집된 먼지가 실내로 다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는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환기 덕트와;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를 통해 실외공기를 상기 실내기로 송풍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송풍하는 환기 송풍기와;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로 송풍되는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는 실내기와 실외기(5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환기 덕트(52)와, 상기 실외기(50)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52)를 통해 실외공기를 상기 실내기로 압송하고 실내공기를 상기 실외기(50)로 압송하는 환기 송풍기(54)와, 상기 실외기(50)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52)로 송풍되는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50)에는 실외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열교환 공간(A)과, 실외공기가 실내로 송풍되고 실내공기가 실외로 송풍되는 환기공간(B)을 구획하는 배리어(6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기의 환기공간(B)에는 일측면 하부에 환기구(51)가 형성되고, 상기 환기 송풍기(54)가 상기 환기구(51)의 옆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하로 송풍력을 발생시키고, 상부에 상기 환기덕트(52)가 연결된다.
상기 환기 송풍기(54)는 구동모터(54a)와, 상기 구동모터(54a)의 일단과 연결되고 날개(b)가 상기 환기구(51)와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54a)의 정방향, 즉 상기 환기구(51)를 향해 회전될 때 실외공기가 실내로 송풍되는 방향으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배기 시로코팬(54b)과, 상기 구동모터(54a)의 타단과 연결되고 날개(b)가 상기 환기구(51)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54a)의 역방향 회전시 실내공기가 실외로 송풍되는 방향으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급기 시로코팬(54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환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환기시 먼저,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방출한 후,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통풍시키는 것이 좋으므로,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과 급기 시로코팬(54c)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과 급기 시로코팬(54c)의 날개가 서로 대향되기 때문에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과 급기 시로코팬(54c)이 함께 회전되더라도 상기 구동모터(54a)가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상기 급기 시로코팬(54c)에 의한 송풍력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구동모터(54a)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에 의한 송풍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과 급기 시로코팬(54c)의 구동방향이 반대지만 송풍력의 발생시기가 다르게 제어됨으로써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과 급기 시로코팬(54c)을 하나의 구동모터(54a)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과 급기 시로코팬(54c)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54a)을 지지하모가 아울러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과 급기 시로코팬(54c)에 의한 송풍력이 각각 분리되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리테이너(58)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56)는 상기 환기구(51)의 전 면적에 걸쳐 설치됨으로써 실외공기가 실내로 압송될 때 상기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걸려내고, 실내공기가 실외로 압송될 때 상기 필터(56)에 걸려진 먼지가 실내공기의 흐름에 휩싸여 실외로 떨어지게 되어 자동으로 청소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환기모드가 선택되면, 먼저 상기 구동모터(54a)가 정방향으로 일정 시간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54a)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배기 시로코팬(54b)의 송풍력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가 실외기(50)를 통해 실외로 방출된다. 이 때, 급기 시로코팬(54c)은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과 함께 회전되지만 송풍력을 발생시키지는 못하며, 필터(56)에 포집된 먼지가 실외로 방출되는 공기흐름에 휩싸여 상기 필터(56)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상기 구동모터(54a)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급기 시로코팬(54c)의 송풍력에 의해 신선한 실외공기가 상기 실외기(50)를 통해 실내로 통풍됨으로써 환기가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시로코팬(54b)은 상기 구동모터(54a)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되, 송풍력을 발생시키지 못하며, 실외공기 중의 먼지가 상기 필터(56)에 의해 걸려짐으로써 실내에 실외공기 중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는 실외기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방출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압송하는 환기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에 형성된 환기구에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에 먼지가 실내로 다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의 환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터가 환기모드에서 자동으로 청소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관리가 더 수월해진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로코팬의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 시로코팬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실외기 52 : 환기 덕트
54 : 환기 송풍기 54a : 구동모터
54b : 배기 시로코팬 54c : 급기 시로코팬
56 : 필터 58 : 리테이너
60 : 배리어

Claims (7)

  1.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환기 덕트와;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를 통해 실외공기를 상기 실내기로 송풍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송풍하는 환기 송풍기와;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로 송풍되는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에는 실외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열교환 공간과, 실외공기가 실내로 송풍되고 실내공기가 실외로 송풍되는 환기공간을 구획하는 배리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송풍기는 실외공기가 상기 환기덕트로 송풍되는 방향으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급기 시로코팬과, 실내공기가 실외로 송풍되는 방향으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배기 시로코팬과, 상기 배기 시로코팬 및 급기 시로코팬과 각각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급기시 상기 급기 시로코팬의 송풍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배기시 상기 배기 시로코팬의 송풍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송풍기는 상기 실외기의 하부에 형성된 환기구 옆에 설치되어 상하로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환기 덕트는 실외기의 상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에는 상기 필터가 전 면적에 걸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환기시 배기 시로코팬의 송풍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후에 상기 급기 시로코팬의 송풍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시로코팬과 배기 시로코팬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 시로코팬과 배기 시로코팬 사이의 송풍력을 분리하는 리테이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KR1020030083722A 2003-11-24 2003-11-24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1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22A KR101114323B1 (ko) 2003-11-24 2003-11-24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22A KR101114323B1 (ko) 2003-11-24 2003-11-24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943A true KR20050049943A (ko) 2005-05-27
KR101114323B1 KR101114323B1 (ko) 2012-02-14

Family

ID=3866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7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4323B1 (ko) 2003-11-24 2003-11-24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25B1 (ko) * 2006-08-11 200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겸용 공기조화기
CN114110879A (zh) * 2021-12-31 2022-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换气装置及具有其的新风空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60B1 (ko) * 2018-09-12 2020-12-04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환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8214A (en) * 1980-11-27 1982-07-23 Licentia Gmbh Optical branch unit
JPS57118214U (ko) * 1981-01-16 1982-07-22
JPH0718567A (ja) * 1993-06-29 1995-01-20 Wako Giken Kk ポリエステル繊維編織物の減量加工法
JP2000205593A (ja) * 1999-01-13 2000-07-25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換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25B1 (ko) * 2006-08-11 200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겸용 공기조화기
CN114110879A (zh) * 2021-12-31 2022-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换气装置及具有其的新风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323B1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JPH1114093A (ja) 空気調和機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KR20090085657A (ko) 공기 조화기
KR10091772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486796B2 (ja) 空気調和機
CN113237138A (zh) 新风装置及空调器
KR20050010346A (ko) 공기조화기
KR102094306B1 (ko) 필터 역세척이 가능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319068B1 (ko) 냉,난방 및 환기 그리고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복합형 팬코일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101114323B1 (ko)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KR100617081B1 (ko)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JP2002061916A (ja) 空気調和機
CN215372698U (zh) 新风装置及空调器
CN100410592C (zh) 空调装置
JP200817551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114324B1 (ko)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JP408349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741746B1 (ko) 공기 조화 장치
JP6846598B2 (ja) 空気調和機
JP408349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20026726A (ko) 환기 장치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JP3248671U (ja) 外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