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358B1 -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358B1
KR100708358B1 KR1020050075973A KR20050075973A KR100708358B1 KR 100708358 B1 KR100708358 B1 KR 100708358B1 KR 1020050075973 A KR1020050075973 A KR 1020050075973A KR 20050075973 A KR20050075973 A KR 20050075973A KR 100708358 B1 KR100708358 B1 KR 10070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ventilation path
open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129A (ko
Inventor
에이스께 마쯔바라
마사따까 데라우찌
겐이찌 야하기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 장치에 있어서, 소형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급기 및 배기로 절환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송풍 장치(20)는 송풍기부(50)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통풍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통풍로로 절환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구비한다. 송풍기부(50)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의 송풍기(33)와, 송풍기(33)의 흡입구보다 크게 형성한 흡입실(31)과, 송풍기(33)의 흡출측에 형성한 취출실(32)을 구비한다. 통풍로 절환 장치(40)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외피(46)와, 외피(46)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내부를 복수의 통풍로로 구분하는 격벽을 갖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복수의 통풍로와 외피(46)의 복수 개구와의 연통을 절환하도록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회전하는 구동 장치(47)를 구비한다. 그리고 통풍로 절환 장치(40)는 송풍기부(50)의 흡입실(31)에 포개지도록 병치되어 있다.
송풍 장치, 흡입실, 취출실, 송풍기, 외피, 절환 부재, 통풍로 절환 장치, 구동 장치

Description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BLOW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실내기 주요 부품의 내부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3은 도1의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
도4는 도1의 A-A 단면도.
도5는 도1의 B-B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한 송풍 장치의 외관도.
도7은 도6의 송풍 장치의 측판을 파단한 사시도.
도8은 도2에 도시한 송풍 장치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9는 도2에 도시한 송풍 장치의 운전 상태도.
도10은 도6의 급기 운전 시의 송풍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도6의 배기 운전 시의 송풍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도6의 순환 운전 시의 송풍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도6의 운전 정지 시의 송풍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보조 덕트가 없는 송풍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배기 운전 시의 송풍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6은 급기 운전 시의 통풍로 절환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7은 배기 운전 시의 통풍로 절환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8은 순환 운전 시의 통풍로 절환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9는 운전 정지 시의 통풍로 절환 장치 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0은 도6의 송풍 장치의 좌측면도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기
2 : 케이싱
2a : 케이싱 측면판
3 : 화장 커버
4 : 전방면 커버
4 : 측면판
5 : 주 흡입구
6 : 주 취출구
7 : 풍향판
8 : 주 필터
9 : 주 송풍기
10 : 열 교환기
10a : 핀
10b : 핀 전방 모서리
11 : 이슬 받침
11a : 전방측 이슬 받침
11b : 후방측 이슬 받침
12 : 급기 취출 덕트
13 : 급기 취출구
14 : 주 송풍기 모터
15 : 실외 덕트
16 : 냉매 배관
16a : 냉매 접속 배관
16b :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
17 : 제어부
17a : 배선 접속부
17b : 접속 배선 인출부
18 : 접속 배선
19 : 드레인 호스
20 : 송풍 장치
21 : 흡입 보조 덕트
21a : 흡입구
21b : 흡입 필터
22 : 취출 보조 덕트
22a : 취출 덕트 접속부
23 : 흡입 취출 보조 덕트
23a :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실외 덕트 접속부)
23b : 흡입 취출 보조 덕트 바닥판
23c : 예비 필터 끼워 맞춤부
24 : 예비 필터
24a : 예비 필터 손잡이
24b : 예비 필터 전방판
24c : 예비 필터 착탈 개구
31 : 흡입실
31a : 칸막이 판
31b : 마우스 링
31c : 공기 흡입면
31d : 흡입실 덮개
31e : 송풍기 흡입부
32 : 취출실
32a : 취출실 덮개
33 : 송풍기
34 : 송풍기 모터
35 : 흡기 통로
35a : 흡기 필터 착탈 개구
36 : 흡기 필터(공기 청정 필터)
36a : 흡기 필터 손잡이
36b : 공기 유입면
36c : 흡기 필터 수납부
40 : 통풍로 절환 장치
41 : 통풍로 절환 부재
41g 내지 41j : 격벽
42 : 회전자 오목부
42a : 볼록부
42b : 결합 구멍
43 : 외주벽
43a : 흡입 개구(순환 취출 개구)
43b : 취출 개구
43c : 순환 개구
44 : 회전자 덮개
44a : 흡기 흡입 개구(순환 흡출 개구)
44b : 흡기 취출 개구
44c : 흡입 개구
44d : 흡출 개구(순환 흡입 개구)
44e : 배기 취입 개구
44f : 배기 취출 개구
45 : 회전자
45b : 평판부
45c : 흡기 통풍로(순환 흡입 통풍로)
45d : 취출 통풍로
45e : 흡입 통풍로(순환 취출 통풍로)
45f : 배기 통풍로
46 : 외피
46a 내지 46f : 외피 개구
46a : 흡입 전용 개구
46b : 취출 전용 개구
46c : 흡입 취출 겸용 개구(급배기 겸용 개구)
46d : 흡출 전용 개구
46e : 취입 전용 개구
46f : 흡기 필터용 개구
46g : 하우징 오목부
46h : 원판부
46i : 하우징
46j : 하우징 덮개
46k : 하우징 주위벽
46l : 축 개구
47 : 구동 장치
50 : 송풍기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294791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4727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69108호 공보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7084호 공보
본 발명은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환기용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실내기를 구비하는 독립형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것이다.
최근, 가옥의 주거 공간의 밀폐도가 증가하여, 건축 자재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물질에 의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밀폐도가 높기 때문에, 주거 공간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들의 문제를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해결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기 기능이 있는 공기 조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기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294791호 공보(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4727호 공보(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69108호 공보(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7084호 공보(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의 제1 실시 형태에는 배기 환기 기능 외에, 회전 댐퍼의 절환에 의해 가습 또는 제습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가습, 환기, 제습 유닛을 병설한 벽에 거는 독립형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하나의 환기용 통풍로 중에 정회전, 역회전의 절환 가능한 팬을 조립하여, 팬의 회전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실외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급기(給氣) 기능과,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기능을 갖는 환기용 송풍기를 구비한 독립형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기능을 갖고, 또한 배기 운전 시의 흡기(吸氣) 통로를 원형 댐퍼를 회전함으로써 통상 배기 기능과, 열 교환기의 건조 배기 기능으로 절환할 수 있는 환기 유닛이 달린 독립형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급배기 유닛을 구비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급기 기능과,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기능을 갖고, 급배기 통로를 급배기 절환 부재를 회전함으로써 절환할 수 있는 가습 급배기 유닛이 달린 독립형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29479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472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69108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7084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의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가습, 환기, 제습 유닛은, 느슨히 회전하는 전열 교환기를 상하로 구분하여 가습부와 제습부를 설치하고, 이들에 송풍기(환기용, 급배기용 팬을 송풍기라 부르고,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열 교환기에 통풍시키는 팬을 주 송풍기라고 부름)로 실내 공기를 송풍하여, 가습부 또는 제습부를 통과한 후, 한쪽을 실내로 복귀시키고, 다른 쪽을 실외로 배기하여 배기 환기 외에 가습 또는 제습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가습 또는 제습의 절환은 전열 교환기의 하류측에 설치한 회전 댐퍼에 의해 행하고, 회전 댐퍼를 가습의 위치에 설치하면, 전열 교환기의 가습부와 실내에의 취출구(吹出口)가 연통하고, 동시에 전열 교환기의 제습부와 실외에의 취출구가 연통함으로써, 가습 공기가 실내로 복귀되고, 제습 공기가 실외로 배기된다. 회전 댐퍼를 제습의 위치에 설치하면, 전열 교환기의 가습부와 실외에의 취출구가 연통하고, 동시에 전열 교환기의 제습부와 실내에의 취출구가 연통함으로써, 제습 공기가 실내로 복귀되고, 가습 공기가 실외로 배기된다.
일반적으로, 급기 운전을 행하면 옥외의 공기가 실내로 도입되지만, 옥외의 공기가 여러 가지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 실내의 생활자에게 있어서 도입되는 급기가 불쾌한 것이 된다.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실내로 도입하 는 외기를 필터로 청정화하면 좋다. 상기 특허 문헌 1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환기의 기능으로서는 배기 기능뿐이며, 통풍로를 가습이나 제습 2가지만 선택하는 것으로, 급기에 대해서는 아무런 고려가 되어 있지 않아 환기 장치로서의 2대(2大) 기능인 급기, 배기 중 절반의 기능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환기 공기의 흡입구를 측면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설치 시에 흡입 공기의 통로를 예상해야만 해, 설치 필요 치수가 커져 설치의 자유도를 잃게 된다. 또한, 외기로의 배기구가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가 일반적인 기체의 하부로부터 인출되는 냉매 배관, 드레인 배관과는 다른 벽 구멍이 필요해져 설치 작업이 번잡해진다. 또한, 가습, 환기, 제습 유닛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측면으로 크게 돌출하여, 공기 조화기 전체의 폭 치수가 커진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환기 운전 정지 시에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기구가 없어, 실외에서 강풍이 불었을 때 등에는 강풍이 실내로 유입될 우려도 있다.
상기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환기용 송풍기는 송풍기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하여 송풍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배기 운전과 급기 운전을 행하고 있다.
급기 운전을 행하면 옥외의 공기가 실내로 도입되지만, 옥외의 공기가 여러 가지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 실내의 생활자에게 있어서 도입되는 급기가 불쾌한 것이 된다.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실내로 도입하는 외기를 필터로 청정화하면 좋다. 상기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기는 송풍기의 정회전시 뿐만 아니라 역회전시에도, 덕트 내에 설치한 공기 청정용의 필터에 공기가 통풍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기와 같이, 공기 청정용 필터의 통풍면을 송풍기의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이 공기 청정 필터에 환기량에 걸맞는 성능을 갖게 하고자 하면, 공기 청정 필터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환기용 덕트의 폭이 커져, 그만큼 열 교환기를 작게 해야만 해 본래의 공기 조화기로서의 기본적 목적인 온습도 조화 능력이 저하하게 된다. 열 교환기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는 실내기 형상이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운전의 경우도 실외로 배기하는 공기를 공기 청정 필터에 통과시키므로, 배기 시의 통풍 저항이 증가하고 배기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해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급기 운전인 경우, 배기 운전 시에 공기 청정 필터에 포집된 실내 공기 중 여러 가지의 먼지가 송풍 방향이 역회전하기 때문에 공기 청정 필터로부터 떨어져 급기를 타고 실내로 취출하여, 매우 불편하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환기 송풍기가 와류 팬으로 인해 소음이 크고,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 송풍기의 지름을 크게 하면 전체 치수가 커져, 실내기의 단면을 최대한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실내기에 사용되는 전기 부품의 제어부 등의 필수 부품을 환기 송풍기의 하부나 상부 등에 수납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없어, 실내기도 크게 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환기 운전 정지 시에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기 위한 역풍 방지용 밸브를 그 구동 장치와 함께 설치하고 있고, 댐퍼류를 사용하지 않고 송풍기의 역회전 운전으로 환기용 송풍기를 구성하여 간략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역풍 방지용 밸브 및 그 구동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구성의 간략화와 부품 개수의 감소 효과는 한정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 흡입구가 조화 공기의 취출구 근방이므로, 열 교환기로 조화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게 되어, 전력이 불필요하게 사용되어 비효율적이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역풍 방지용 밸브를 설치하고 있고, 그 밀봉력을 좌우하는 밀봉 부재의 반발력이 역풍 방지용 밸브 구동용 모터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므로, 밀봉 부재의 반발력으로 역풍 방지용 밸브 구동용 모터가 역회전하여, 밀봉력이 부족하여 공기의 누설량이 많아질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역풍 방지용 밸브 구동용 모터를 여자(勵磁)하여, 밀봉 부재를 계속 압박하면 좋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면 항상 여자 전류가 필요해져 소비 전력이 많아진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역풍 방지용 밸브 구동용 모터의 감속비를 크게 하여 밀봉 부재의 반발력을 구동 기구의 마찰력으로 누르는 방법도 있지만 기어 기구 등이 필요해져 장치가 복잡해진다.
또한, 실내기 설치의 대부분은 냉매 배관 인출부 측에 벽 구멍을 마련하여, 냉매 배관, 환기 덕트 배관을 동일한 벽 구멍으로부터 인출하는 설치 방식이 점유하고 있는 데 반해,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 교환기를 사이에 두고 환 기용 송풍기가 냉매 배관 인출부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설치 시의 배관 작업이 복잡해져 작업성이 좋지 않다.
특허 문헌 3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배기의 통풍로를 2가지만 선택하는 것으로, 급기에 대해서는 아무런 고려가 되어 있지 않아, 환기 장치로서의 2대 기능인 급기, 배기 중 절반의 기능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기어를 다용(多用)한 구조로 부품 개수가 많아, 조립과 조정의 공정수가 필연적으로 관련되어 원가가 높아지는 구조이다.
또한, 실내기 설치의 대부분은 냉매 배관 인출부 측에 벽 구멍을 마련하여, 냉매 배관, 환기 덕트 배관을 동일한 벽 구멍으로부터 인출하는 설치 방식이 점유하고 있는 데 반해, 특허 문헌 3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 교환기를 사이에 두고 환기용 송풍기가 냉매 배관 인출부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설치 시의 배관 작업이 복잡해져 작업성이 좋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주 송풍기의 위치를 열 교환기의 폭 방향으로 환기 유닛의 폭만큼 옮겨 설치하고, 그 옮겨진 폭 안에 환기 유닛을 설치하여, 주 송풍기의 통풍로가 옮겨진 만큼 주 송풍기의 효율을 악화시키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환기 유닛을, 대략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열 교환기의 하측에 그 일부가 둘러싸이도록 또한 환기 유닛의 취출구를 경사 하부 방향을 향해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 하부 뿐만 아니라 상부에도 통합된 공간이 없다. 이로 인해 실내기에 사용되는 전기 부품의 제어부 등의 필수 부품을 환기 송풍기의 하부나 상부 등에 수납할 공간을 마련할 수 없어, 실내기도 크게 할 수밖에 없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급배기 유닛의 통풍로 절환 기구에 대해 개시하고 있지만, 실내기와 비교하여 치수적 제약이 적은 실외기에 설치한 것으로, 그 설치 위치, 치수 등 실내기에 설치하는 경우의 과제에 대한 언급은 없다.
또한, 특허 문헌 4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급기, 배기에서의 통풍로 절환을 개시하고 있지만, 급기 시에 옥외로부터 끌어들이는 외기 중의 여러 가지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없고, 실내의 생활자에게 있어서 도입되는 급기가 불쾌해지는 과제에 대한 언급도 없다. 또, 특허 문헌 4의 기재 중에「필터」의 기술은 있지만, 이「필터」는 감음용의 필터이며, 급기를 청정화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4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통풍로의 절환 기구가 기어를 다용한 구조로 부품 개수가 많아, 조립과 조정의 공정수가 필연적으로 관련되어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특허 문헌 4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통풍로가 1개뿐으로, 단순히 급배기의 방향만을 절환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것보다 기능이 많은 환기로의 전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소형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급기 및 배기로 절환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제1 목적에다가, 또한 박형의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제1 목적에다가, 통풍로 저항이 작은 통풍로 절환 장 치를 실현하여, 한정된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통풍로 절환이 가능한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제1 목적에다가, 환기용 송풍 장치를 갖는 독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적합하게 축 방향 치수가 작아, 통풍로를 절환해도 안정된 송풍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제1 목적에다가, 급기 시에 유입 공기를 청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배기 운전 시의 통풍 저항을 줄인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제5 목적에다가, 송풍 장치의 기능부를 콤팩트하게 통합한 박형의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7 목적은 제5 목적에다가,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필터의 보수성을 향상시킨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8 목적은 소형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급기 및 배기로 절환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9 목적은 제8 목적에다가, 벽면 직출(直出) 배관, 측면 인출 배관에 적합한 환기 기능을 갖는 벽걸이 독립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0 목적은 제8 목적에다가, 조작성, 설치성이 우수한 환기 기능을 갖는 벽걸이 독립형의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1 목적은 제10 목적에다가, 실내기 내의 배선의 배치가 간단하고, 제어부의 점검이 쉬운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부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통풍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통풍로로 절환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를 구비하는 송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부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의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에 연통하여 그 흡입구보다 크게 형성한 흡입실과, 상기 송풍기의 취출측에 형성한 취출실을 구비하고,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내부를 복수의 통풍로로 구분하는 격벽을 갖는 통풍로 절환 부재와,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복수의 통풍로와 상기 외피의 복수의 개구와의 연통을 절환하도록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를 회전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는 상기 송풍기부의 상기 흡입실에 포개지도록 병치한 것이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1 구성 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 외에, 상기 송풍기의 회전축과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회전축을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중앙부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오목부로 둘러싼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2 구성 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 외에, 원통형으로 형성한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외주벽과 원판부에 적어도 8개 이상의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외피에 적어도 6개 이상의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복수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통풍로가 상기 외피의 개구를 통해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외부에 연통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3 구성 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 외에,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에 협지 설치된 상기 흡입실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실을 형성하는 벽과 상기 외피를 형성하는 벽의 일부를 공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5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4 구성 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 외에, 상기 송풍 장치에 흡입 취출 겸용 개구, 흡입 전용 개구 및 취출 전용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 취출 겸용 개구와 연통하는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의 통풍로와 상기 흡입실 사이를 연결하는 흡기 통로에 흡기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 취출 겸용 개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취출 전용 개구로 취출하는 송풍 상태의 급기 송풍 시에는 상기 흡기 필터를 거쳐서 송풍하고, 상기 흡입 전용 개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흡입 취출 겸용 개구로 취출하는 송풍 상태의 배기 송풍 시에는 상기 흡기 필터를 거치지 않고 송풍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6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5 구성 예는 상기 제4 구성 예의 구성 외에, 상기 취출실과 상기 흡기 필터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 및 상기 흡입 취출 겸용 개구를 상기 송풍기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그 대부분이 포개지지 않도록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7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6 구성 예는 상기 제5 구성 예의 구성 외에, 급기 송풍 시에 상기 흡기 필터의 상류측이 되는 통풍로에 예비 필터를 설치하고, 급기 송풍 시에 상기 예비 필터 및 상기 흡기 필터를 거치고, 배기 송풍 시에 상기 흡기 필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예비 필터를 거쳐서 송풍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8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실내기의 케이싱 내의 좌우 한쪽에 열 교환기 및 주 송풍기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싱 내의 좌우 다른 쪽에 환기 기능을 갖는 송풍 장치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송풍 장치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부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통풍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통풍로로 절환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부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의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에 연통하여 그 흡입구보다 크게 형성한 흡입실과, 상기 송풍기의 취출측에 형성한 취출실을 구비하고,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내부를 복수의 통풍로로 구분하는 격벽을 갖는 통풍로 절환 부재와,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복수의 통풍로와 상기 외피의 복수의 개구와의 연통을 절환하도록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를 회전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는 상기 송풍기부의 상기 흡입실에 포개지도록 병치한 것이다.
상기 제9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7 구성 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형태 외에, 상기 송풍 장치에 실외 덕트의 접속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열 교환기로부터 인출되는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 사이 에 상기 송풍 장치를 수납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10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8 구성 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형태 외에, 상기 송풍 장치의 흡입 전용 개구와 취출 전용 개구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를 상기 실내기 내의 전방부에 배치하고, 상기 송풍 장치의 흡입 취출 겸용 개구를 상기 실내기 내의 후방부에 배치하고, 상기 송풍 장치의 흡입 전용 개구를 상기 실내기 내의 상부에 배치하여, 상기 송풍 장치의 취출 전용 개구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와 흡입 취출 겸용 개구를 상기 흡입 전용 개구의 아래쪽에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1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9 구성 예는 상기 제8 구성 예의 구성 외에, 상기 취출 전용 개구를 상기 실내기의 주 흡입구와 주 취출구와의 중간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송풍 장치의 아래쪽에 상기 실내기의 제어부와 실외기와의 접속 배선의 인출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을, 도1 내지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실내기 주요 부품의 내부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3은 도1의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 도4는 도1의 A-A 단면도, 도5는 도1의 B-B 단면도이다.
실내기(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 화장 커버(3), 전방면 커버(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내기(1)에는 실내 공기의 온습도를 조화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주 흡입구(5)와, 흡입된 실내 공기의 온습도를 조정하여 실내로 취출하는 주 취출구(6)(도2 참조)가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주 취출구(6)는 실내기(1)의 하부에 가로로 길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급기 운전 시의 급기 취출구(13)에 대하여 주 취출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주 취출구(6)에는 풍향판(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판(7)은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며, 냉방 시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취출하도록 위치되고, 또한 난방 시에는 대략 아래쪽으로 취출하도록 위치된다. 실내기(1)는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와 함께 독립형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싱(2) 내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필터(8), 주 송풍기(9), 열 교환기(10), 이슬 받침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주 필터(8)는 열 교환기(10)의 흡입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흡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주 송풍기(9)는 가로로 긴 관류 팬으로 구성되고, 실내 공기를 주 흡입구(5)로부터 흡입하여 주 취출구(6)로부터 취출하도록 실내기(1) 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10)는 주 송풍기(9)의 흡입측에 배치되고, 대략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방 운전 시나 제습 운전 시에 열 교환기(10)에 응축하는 응축수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0)의 전후 양측의 하단부 아래쪽에 배치된 이슬 받침부(11a, 11b)에 모이게 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호스(19)로 실외로 배출된다. 이들에 의해, 조정된 실내 공기를 흐르게 하는 주 통로가 형성된다. 즉, 주 송풍기(9)를 운전함으로써, 실내 공기는 주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주 필터(8), 열 교환기(10)를 통과한 후, 주 취출구(6)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실내기(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 배관(16), 접속 배선(18)으로 실외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냉매를 거쳐서 실외기로부터 냉열 에너지의 공급을 받아 주지의 냉방, 난방 등의 공기 조화 운전을 행한다. 냉매 배관(16)은 공기 조화기의 설치 시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실내기(1)와 실외기의 중간에서 접속되어 있다. 실내기(1) 측의 냉매 접속 배관(16a)은 실내기(1)의 제작 시에 열 교환기(10)의 냉매 회로에 접속되고,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로부터 실외기를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열 교환기(10)와 냉매 접속 배관(16a)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냉매 흐름 제어 배관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세밀한 공조 제어나, 냉방, 제습, 난방 등의 다기능 운전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기(1)의 폭 방향의 배치는 열 교환기(10)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열 교환기(10)의 한쪽에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가 설치되도록 냉매 접속 배관(16a)이 열 교환기(1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열 교환기(10)에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주 송풍기(9)로서는 송풍의 균일성이나 저 소음성, 배치의 단순성 등으로부터 관류 팬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열 교환기(10)의 횡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관류 팬(주 송풍기)(9)을 열 교환기(10)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 열 교환기(10)의 거의 전폭에 걸쳐 대략 균일한 송풍을 얻을 수 있다.
이 주 송풍기(9)를 구동하는 주 송풍기 모터(14)는 주 송풍기(9)의 좌우 어느 한쪽의 일단부에 설치되지만,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하는 점에서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 측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열 교환기(10), 냉매 접속 배관 (16a), 주 송풍기(9), 주 송풍기 모터(14)를 케이싱(2), 화장 커버(3)에 둘러싸도록 설치하여, 열 교환기(10), 주 송풍기(9)에 대향하여 케이싱(2) 또는 화장 커버(3)에 실내 공기의 주 흡입구(5), 조화 공기의 주 취출구(6)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실내기(1)의 중심이 열 교환기(10), 주 송풍기(9)의 중심으로부터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 주 송풍기 모터(14) 측으로 움직인다. 이 움직임이 작은 때는 실내 공기의 주 흡입구(5), 조화 공기의 주 취출구(6)의 위치가 실내기(1)의 중심에서 다소 움직일 정도로 실용상은 어떠한 지장도 없이 공기 조화 운전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주 송풍기 모터(14), 냉매 흐름 제어 배관부의 횡 폭 치수가 커지면 실내 공기의 주 흡입구(5), 조화 공기의 주 취출구(6)의 위치가 실내기(1)의 중심으로부터의 움직임이 증가하여, 실내기(1)의 대칭성이 손상되어 외관 의장상, 좋은 인상을 주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실내기(1)에 환기 기능을 부가하는 경우, 환기 장치의 횡 폭이 지나치게 얇지 않은 경우에는 열 교환기(10)를 사이에 두고 주 송풍기 모터(14),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와 반대측에 수납한다. 이 경우, 실내기(1)의 대칭성은 향상하지만, 설치 시의 배관 작업이 복잡해져 작업성이 좋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형의 통풍로 절환 장치(40)(도7 참조)를 사용하여 횡 폭이 얇은 송풍 장치(20)를 실현해, 이 박형의 송풍 장치(20)를, 실내기(1)의 대칭성을 너무 무너뜨리지 않고 주 송풍기 모터(14),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의 옆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내기(1) 설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 측에 벽 구멍을 마련하여, 냉매 접속 배관(16a), 실외 덕트(15)를 동일한 벽 구멍으로부터 인출하는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 시의 배관 작업이 쉬워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송풍 장치(20)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1a)를 전방부에 갖고 있다. 이 흡입구(21a)는 주 흡입구(5)의 하류측에 연통되도록 위치하여, 주 흡입구(5)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흡입 필터(21b)를 거쳐서 흡입된다. 즉, 송풍 장치(20)로 인해 실내기(1)에 전용 흡입구를 설치하지 않고 열 교환기(10)로 실내 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주 흡입구(5)와 공용시킴으로써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송풍 장치(20)에는 급기 취출 덕트(12)가 연통하여 부착되고, 그 급기 취출 덕트(12)에는 급기 취출구(13)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급기 취출 덕트(12)는 주 취출구(6)의 상측에서 송풍 장치(20)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급기 취출 덕트(12)의 선단부, 바꾸어 말하면 주 취출구(6)의 상측에 급기 취출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송풍 장치(20)로부터 실내로 취출되는 공기는 취출 덕트 접속부(22a)로부터 급기 취출 덕트(12)에 송풍되어, 그 급기 취출 덕트(12)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급기 취출구(13)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송풍 장치(20)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동시에 신선한 실외 공기를 끌어들이는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를 후방부에 갖고 있다. 그리고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에는 실외 덕트(15)가 접속되고, 이 실외 덕트(15)가 실내기(1)와 실외기를 접속하는 냉매 배관(16)과 함께 가옥의 배관 구멍을 통해 실외로 인출되어 실외 덕트(15)의 선단부가 외기에 개방되고, 냉매 배관(16)은 실외기에 접속된 다.
여기에, 실내기(1)의 전기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17)는 박형이 된 송풍 장치(20)의 아래쪽에 수납되므로 냉매 배관(16)과 함께 배치되는 실외기와의 접속 배선(18)이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 근방에 배치되고, 곧 제어부(17) 근방에 설치한 배선 접속부(17a)에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실내기(1) 내의 배선 배치가 짧고 간단해져 재료비나 조립 시간이 절약되어, 비용이 저렴해진다.
게다가 이 제어부(17)에는 섬세한 전자 부품 등이 집적되어,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에 공기 조화기가 기능 불완전에 빠지는 등 고장의 영향이 크지만, 제어부(17)를 송풍 장치(20)의 아래쪽의 실내기(1)의 하부에 설치하였으므로,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의 점검 시의 눈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점검이 쉬워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와 송풍 장치(20)를 실내기(1)의 우측에 배치했지만, 이들을 반대로 하여 좌측에 배치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16b)가 배치되는 측과 반대측에 송풍 장치(20)를 배치해도 송풍 장치로서는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송풍 장치(20)의 구성 및 기능을 도6, 도7, 도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6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한 송풍 장치의 외관도, 도6의 (b)는 도6의 (a)의 송풍 장치를 반대측에서 본 외관도, 도7의 (a)는 도6의 (a)의 송풍 장치의 우측판을 파단한 사시도, 도7의 (b)는 도6의 (b)의 송풍 장치의 좌측판을 파단한 사시도, 도20의 (a)는 도6의 송풍 장치의 좌측면도, 도20의 (b)는 도20의 (a)의 PQRSTU를 지나는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송풍기(33)는 시로코 팬, 터보 팬 등의 원심 팬에 의해 구성되어, 역회전시키더라도 역방향의 바람은 발생하지 않는다. 비교적 높은 풍압을 얻을 수 있어, 좁은 통풍로라도 축류 팬보다 높은 풍량을 얻을 수 있다.
송풍 장치(20)는 대략 우측 절반부를 송풍기부(50)로 하고, 대략 좌측 절반부를 통풍로 절환 장치(40)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풍기(33)의 회전축과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회전축을 평행하게 하여, 양자를 치수가 가장 작은 방향끼리를 포개도록 하여, 양자 사이에 흡입실(31)을 사이에 두고 포개었기 때문에, 송풍 장치(20)의 횡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및 우측 하부에 각종 필터(21b, 24, 36)를 배치함으로써, 송풍 장치(20)의 폭 치수를 좁게 하고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실내기(1)의 폭 치수를 확대하는 일 없이 송풍 장치(20)를 실내기(1)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흡입실(31)은 송풍 장치(20)의 성능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송풍기(33)의 흡입구인 마우스 링(31b)에 연통하여 그 마우스 링(31b)의 지름보다 크게 설치되고, 송풍기부(50)의 통풍로 절환 장치(40) 측에 설치되어 있다. 통풍로 절환 장치(40)로부터 공기를 송풍기(33)에 직접 흡입시키도록 하면,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개구가 마우스 링(31b)의 지름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풍기 성능이 대폭 저하하고,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개구가 마우스 링(31b)의 지름보다 큰 경우에는 통풍로 절환 장치(40)가 대형화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통풍로 절환 장치(40)와 송풍기(33) 사이에 흡입실(31)을 설치함으로써,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개구를 작게 하면서, 송풍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관성 모멘트가 작아져, 작은 모터로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직접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기어 등의 부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흡입실(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덮개(46j)의 일부를 공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이에 의해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33)의 회전축과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회전축을 평행하게 하고 있지만, 횡 폭 치수를 더욱 작게 하기 위해,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회전축을 약간 기울여 대략 평행하게 하고, 송풍기(33)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부터 보아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일부가 흡입실(31) 부분에 포개지도록 구성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회전축을 지나치게 기울이면,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일부가 송풍기부(50)의 취출실(32)을 지나쳐 송풍 장치(20)의 횡 폭이 커져 버려 횡 폭을 작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송풍 장치(20)의 상부 우측 절반부에 위치하는 송풍기부(50)는 송풍기(33)와, 송풍기(33)를 구동하는 송풍기 모터(34)와, 송풍기(33)의 공기 흡입측의 통풍로를 형성하는 흡입실(31)과, 송풍기(33)의 공기 취출측의 통풍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송풍기(33) 및 송풍기 모터(34)가 수납된 취출실(32)과, 흡입실(31)과 취출실(32)을 구획하여 송풍기(33)의 마우스 링(31b)을 설치한 칸막이 판(31a)을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31d는 흡입실 덮개, 32a는 취출실 덮개이다. 마우스 링(31b)은 송풍기(33)의 흡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면에다가 도16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통풍로 절환 장치(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풍 장치(20)의 하부 좌측 절반부에 위치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40)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와, 이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내포하는 외피(46)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구동 장치(47)를 주요 구성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피(46)는 하우징(46i)과 하우징 덮개(46j)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46i)의 원판부(46h)의 외주에 세워 설치된 주위벽(46k)에는 전방측 상부에 흡입 전용 개구(46a)가 설치되고, 전방측 하부에 취출 전용 개구(46b)가 설치되어 있다. 원판부(46h)의 중앙부에는 하우징 덮개(46j) 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하우징 오목부(46g)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오목부(46g)에는 구동 장치(47)가 수납되어 있다. 구동 장치(47)의 축은 하우징 오목부(46g)의 중심에 설치된 축 개구(46l)를 관통하여, 통풍로 절환 부재(41)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하우징 주위벽(46k)의 흡입 전용 개구(46a), 취출 전용 개구(46b)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외주벽(43)에 설치된 흡입 개구(순환 운전 시에는 순환 취출 개구)(43a), 취출 개구(43b), 순환 개구(43c)에 급기, 배기, 순환 운전 중 어느 한 때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덮개(46j)는 후방측 하부에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 전방측 상부에 흡출(吸出) 전용 개구(46d), 전방측 중앙부에 취입 전용 개구(46e), 전방측 하부에 흡기 필터용 개구(46f)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우징 덮개(46j)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와 흡입실(31)을 구획하는 것으로, 흡입실 덮개(31d)의 일부로서 공용되어 부품 개수가 적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 장치(47)는 하우징(46i) 으로 고정되고, 그 구동 장치(47)의 구동축에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결합 구멍(42b)을 결합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삼자를 집합 부품으로서 운반, 조립 부착 등의 취급을 할 수 있어 핸들링 상의 지장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우징 덮개(46j)의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 흡출 전용 개구(46d), 취입 전용 개구(46e), 흡기 필터용 개구(46f)는 흡기 흡입 개구(44a), 흡기 흡출 개구(44b), 흡입 개구(44c), 흡출 개구(순환 운전 시에는 순환 취입 개구)(44d), 배기 취입 개구(44e), 배기 취출 개구(44f)에 급기, 배기, 순환 운전 중 어느 한 때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통풍로 절환 부재(41)는 회전자(45)와 회전자 덮개(44)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자(45)의 평판부(45b)에는 외주벽(43)과 격벽(41g 내지 41j)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평판부(45b)의 중앙부에는 외주벽(43) 및 격벽(41g 내지 41j)의 수직 설치 방향으로 돌출하여 회전자 오목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자 오목부(42)는 하우징 오목부(46g)를 둘러싸고 하우징 오목부(46g)에 수납되어 있는 구동 장치(47)를 둘러싸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구동 장치(47)의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폭 치수로부터의 초과를 작게 할 수 있어, 송풍 장치(20)의 폭 치수를 얇게 할 수 있다. 회전자 오목부(42)의 바닥부 중앙에는 결합 구멍(42b)이 설치되고, 축 개구(46l)로부터 돌출된 구동 장치(47)의 축에 상기 결합 구멍(42b)이 끼워 맞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45)는 평판부(45b)에 세워 설치한 회전자 오목부(42), 외주벽(43), 격벽(41g 내지 41j)에 의해, 흡기 통풍로(순환 운전 시에는 순환 흡입 통로)(45c), 취출 통풍로(45d), 흡입 통풍로(순환 운전 시에는 순환 취출 통풍로)(45e), 배기 통풍로(45f)를 설치하고 있다. 외주벽(43)에는 흡입 개구(순환 운전 시에는 순환 취출 개구)(43a), 취출 개구(43b), 순환 개구(43c)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자 덮개(44)는 상기의 각 통풍로(45c 내지 45f)를 덮도록 회전자 오목부(42)와 외주벽(43) 사이에 씌워, 흡기 흡입 개구(44a), 흡기 흡출 개구(44b), 흡입 개구(44c), 흡출 개구(순환 운전 시에는 순환 흡입 개구)(44d), 배기 흡입 개구(44e), 배기 취출 개구(44f)를 설치하고 있다. 외피(46)와 통풍로 절환 부재(41)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포개어져 연통하고 있는 외피 개구(46a 내지 46f)와 통풍로 절환 부재 개구(43a 내지 43c, 44a 내지 44f) 이외의 개구로부터의 공기 누설이 적어지도록 미끄럼 접촉하고 있다.
하우징 주위벽(46k)의 흡입 전용 개구(46a)에 흡입 보조 덕트(21)를 접속하고, 그 선단부의 흡입구(21a)에 흡입 필터(21b)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취출 전용 개구(46b)에 취출 보조 덕트(22)를 접속하고 있다. 또, 흡기 필터용 개구(46f)로부터 흡입실(31)에 연통하는 흡기 통로(35)를 설치하고, 흡기 통로(35) 내의 흡기 필터용 개구(46f)에 인접하여 흡기 필터 수납부(36c)를 설치하고, 그곳에 흡기 필터(36)를 수납하여, 그 전방측에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를 설치한다.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에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가 연속 설치되고, 그 선단부에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 내에 예비 필터 끼워 맞춤부(23c)가 설치되어 예비 필터(24)가 장착되고, 그 전방측에 예비 필터 착탈 개구(24c)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송풍 장 치(20)는 공기 조화기에 조립되어, 흡입 취출 덕트(23a)에 실외 덕트(15)를 도5와 같이 접속한다.
또한, 취출실(32) 내에 송풍기(33) 및 송풍기 모터(34)가 수납되어, 흡입실(31)로부터 취출실(32)로의 공기 흐름의 이동은 송풍기(33)를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송풍기(33)는 실내기(1)의 길이 방향인 축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 팬으로 이루어진다. 흡입한 공기를 팬축 방향으로 취출하는 프로펠러 팬과 달리, 원심형 팬이면 흡입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므로, 송풍 장치(20)의 팬축 방향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송풍기 모터(34)는 송풍 장치(20)의 폭 치수가 작아지도록 송풍기(33)의 오목부에 조립되어 있다.
회전자(45)는 회전자 통풍로(45c 내지 45f)를 흐르는 공기의 저항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도록 통풍로의 단면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하면 좋고, 회전자(45)의 횡 폭은 회전자(45)의 지름보다 작아지므로 구동축 방향의 치수가 작아져, 송풍기부(50)와 포개지는 경우는 서로 구동축을 평행하게 함으로써 박형의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송풍 장치(20)의 하부 절반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흡기 필터(36)와,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는 예비 필터(24)와, 급기 취출구(13)로 공기를 유도하는 취출 덕트 접속부(22a)와, 더러워진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 혹은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와, 통풍로를 절환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예비 필터(24)는 공기 청정기에 이용되고 있는 눈이 잔 필터가 이용된다.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동작시킴으로써 공기 흐름의 통풍로를 절환하여, 다음의 (A) 내지 (C)의 3가지의 송풍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A) 흡입실(31)을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 흡기 통풍로(45c)에 연통시키고, 취출실(32)을 취출 통풍로(45d) 및 취출 보조 덕트(22)에 연통시켜, 흡입 보조 덕트(21)를 차단함으로써, 실외 공기를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부터 송풍기(33)에 흡입하여, 송풍기(33)로부터 취출된 공기를 취출 덕트 접속부(22a)에 취출시키는 통풍로(급기 운전 통풍로).
(B) 흡입실(31)을 흡입 보조 덕트(21), 흡입 통풍로(45e)에 연통시키고, 취출실(32)을 배기 통풍로(45f),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에 연통시켜, 흡기 필터용 개구(46f)를 닫고 취출 보조 덕트(22)를 차단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흡입구(21a)로부터 송풍기(33)에 흡입하여, 송풍기(33)로부터 취출된 공기를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 취출시키는 통풍로(배기 운전 통풍로).
(C) 흡입실(31)을 흡입 보조 덕트(21), 순환 흡입 통로(45c)에 연통시키고, 취출실(32)을 순환 취출 통풍로(45e), 취출 보조 덕트(22)에 연통시켜,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를 차단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흡입구(21a)로부터 송풍기(33)에 흡입하여, 송풍기(33)로부터 취출된 공기를 취출 덕트 접속부(22a)로 취출시키는 통풍로(순환 운전 통풍로).
흡기 필터(36)는 먼지 등을 여과하는 눈이 0.5 내지 1.0 ㎛인 여과부와 악취를 흡착하는 흡착부(구체적으로는 활성탄)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면적을 늘려 통 풍 저항을 줄이기 위해 시트형의 필터를 가늘게 절첩하여(주름) 형성하고 있다. 이 흡기 필터(36)는 디젤차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미세 입자, 담배 연기, 톨루엔 등의 유기 용제를 여과하는 성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일 때에, 이 흡기 필터(36)를 거쳐서 실내로 끌어들이도록 했다. 최근, 도시에서는 옥외의 대기가 오염되어 있는 경향이 있어, 여러 가지 오염 물질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다. 또, 교외라도, 예를 들어 인접한 곳에서의 외벽 도장 작업 등으로 기화한 유기 용제가 떠돌고 있거나 화톳불의 연기가 부유하고 있는 등 대기를 오염시키는 요인이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외기를 도입하면, 이들 오염 물질이 실내로 들어가, 거주자에게 있어서 불쾌한 것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서는 급기 운전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되어, 송풍 장치(20)(환기 장치)를 동작시켜 실외 공기를 도입할 때에, 흡기 필터(36)를 통과시켜, 이 필터의 능력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여 실내에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옥외의 공기가 상기 원인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 옥외의 공기를 청정한 공기로 하여 옥내로 끌어들일 수 있으므로, 외기 도입에 수반하는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송풍 장치(20)의 운전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급기 운전 외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 운전과,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복귀시키는 순환 운전이 있다. 그러나 배기 운전 및 순환 운전은 흡기 필터(36)를 통과하지 않고서 배기 또는 순환을 행한다. 또한, 이 흡기 필터(36)가 0.3 내지 3 ㎛인 크기의 바 이러스를 포착할 수 있는 성능으로 하면, 급기 운전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장치(20)는 위에서, 회전축이 주 송풍기(9)의 축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된 송풍기(33)와, 한쪽 면이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에 연통하는 통풍로에 면한 예비 필터(24), 통풍면이 송풍기(33)의 공기 흡입면과 동일 방향에 면한, 환언하면 주름을 없앤 경우의 통풍면의 수선이 송풍기(33)의 구동축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된 흡기 필터(36)가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33)의 통풍면과 흡기 필터(36)의 통풍면이 직각이 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의 수선이 평행해지도록 송풍기(33) 및 흡기 필터(36)를 배치한 것으로, 송풍 장치(20)의 폭을 얇게 할 수 있어 실내기(1)의 폭을 크게 하지 않더라도, 송풍 장치(20)를 실내기(1)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예비 필터(24)는 주로 급기 시에 실외로부터의 공기와 함께 들어오는 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의 개구면과 동일 면적으로 하면 즉시 눈이 막히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의 전후 방향 치수보다 크게 하여,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의 최후방부에 예비 필터 끼워 맞춤부(23c)를 설치하고, 예비 필터(24)의 필터면의 전후 방향 치수를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의 전후 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한다.
이에 의해, 예비 필터(24)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예비 필터(24)가 눈이 막힐 때까지의 기간을 연장하고 있다. 또한, 예비 필터(24)의 면적을 크게 하고 흡기 필터(36)의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실외 개구부인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는 정면에서 보아 흡기 필터 수납부(36c)의 상하 방향 투영면 내에 일부 또는 전부가 걸리도록 흡기 필터 수납부(36c)의 배면으로 돌아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기 필터(36)의 수납부 배면에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를 배치함으로써, 송풍 장치(20)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예비 필터 착탈 개구(24c)는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실내기(1)의 전방측으로부터 예비 필터(24)를 착탈하여 청소할 수 있어, 청소하기에 편리하다.
흡기 필터(36) 및 예비 필터(24)는 송풍 장치(20)에 삽입할 때, 실내기(1)의 정면측에서 안길이 방향을 향해 삽입된다. 흡기 필터(36)는 세워서 삽입된다. 예비 필터(24)는 가로로 눕혀 가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안내되어 삽입되고, 예비 필터 끼워 맞춤부(23c)에 의해 고정된다. 이들 필터(36, 24)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송풍기(33)의 축 방향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흡기 필터(36) 및 예비 필터(24)는 모두 송풍 장치(20)의 정면측에 흡기 필터 손잡이(36a) 및 예비 필터 손잡이(24a)가 위치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서 실내기(1)의 전방면 커버(4)를 열어 흡기 필터 손잡이(36a) 및 예비 필터 손잡이(24a)를 쥐고 빼냄 및 장착할 수 있다. 예비 필터(24)는 가요성을 갖고 있고, 송풍 장치(20)의 정면에서 안길이 방향으로, 흡기 필터 수납부(36c)를 돌아 들어가도록 삽입된다. 또한, 예비 필터(24)는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와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에 설치된 예비 필터 끼워 맞춤부(23c)에 끼워 맞추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도 제거하기 위해 흡기 필터(36)를 채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필터이며 예비 필터(24)보다 눈이 잔 필터를 채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만을 제거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송풍 장치(20)에 의한 급기 운전, 배기 운전 및 순환 운전에 대하여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8은 도2에 도시한 송풍 장치(20)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9는 도2에 도시한 송풍 장치(20)의 운전 상태도이다.
송풍 장치(20)에는 급기 운전, 배기 운전 및 순환 운전의 3종류의 운전 형식과 운전 정지의 상태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운전 형식에서의 바람의 흐름 방향 및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개폐 위치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 운전 정지d의 상태에서는 당연하지만 바람은 흐르지 않고, 통풍로 절환 부재(41)는 위치 D에 있어, 흡입구(21a) 및 취출 덕트 접속부(22a)로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부터 실외 공기가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세히 설명하지 않지만, 각각의 운전 형식의 절환은 수동인 경우, 리모컨 스위치의 조작부로 행하든지, 실내기(1)의 조작부로 행하게 된다. 또한, 자동인 경우, 제어부(17)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행해진다. 송풍 장치(20)의 운전은 실내기(1)의 냉난방 운전과 병용하여 운전할 수도 있으면, 송풍 장치(20) 단독으로 운전할 수도 있다. 또한, 송풍 장치(20)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 운전 후, 자동으로 운전을 정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장치(20)에 사용되고 있는 송풍기(33)는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고 있으므로, 흡입실(31), 취출실(32), 마우스 링(31b)을 한 방향의 공기의 흐름만을 고려한 형상으로 하면 좋다. 이로 인해, 송풍기(33)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송풍기(33)의 운전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회전시킴으로써 흡입구(21a)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통풍로, 혹은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부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통풍로 중 어느 한쪽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급기 취출구(13)로부터 공기를 실내로 취출하는 통풍로, 혹은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부터 실외로 공기를 배기하는 통풍로 중 어느 한쪽으로 절환하여, 송풍 장치(20)의 운전 형식을 급기 운전, 배기 운전 및 순환 운전 형식 중 어느 한쪽으로 절환하고 있다.
즉, 급기 운전에서는 통풍로 절환 부재(41)가 위치 A에 있고, 흡입실(31)이 흡입 보조 덕트(21)로 차단되어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와 연통하므로,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 예비 필터(24), 흡기 필터(36), 흡기 통로(35)를 통해서 실외 공기가 흡입된다. 또한, 취출실(32)이 취출 보조 덕트(22)와 연통하므로, 취출된 실외 공기는 취출 보조 덕트(22), 취출 덕트 접속부(22a), 급기 취출 덕트(12)에 송풍되어, 급기 취출구(13)로부터 실내로 취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송풍기(33)에 의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실외 덕트(15)를 통해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부터 흡입 취출 덕트(23)를 통해 흡입되고, 예비 필터(24)의 표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한 후에, 흡기 필터(36)의 표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제 거되고, 흡기 필터(36) 안을 통과하여 흡기 통로(35)로 유도되어 송풍기(33)에 흡입되고, 그 후에 취출 보조 덕트(22)를 통해 급기 취출구(13)로부터 실내로 취출되게 된다.
또한, 배기 운전에서는 통풍로 절환 부재(41)가 위치 B에 있고, 흡입실(31)이 흡입 보조 덕트(21)와 연통하므로, 흡입 필터(21b), 흡입 보조 덕트(21)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고, 또한 취출실(32)이 취출 보조 덕트(22)로 차단되어,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와 연통하므로 취출된 실내 공기는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 예비 필터(24)를 통해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부터 실외 덕트(15)로 흘러 실외로 배기되게 된다.
또한, 순환 운전에서는 통풍로 절환 부재(41)가 위치 C에 있고, 흡입실(31)이 흡입 보조 덕트(21)와 연통하므로, 흡입 필터(21b), 흡입 보조 덕트(21)를 통해 실내 공기가 송풍기(33)에 흡입된다. 또한, 취출실(32)이 취출 보조 덕트(22)와 연통하므로, 송풍기(33)로부터 취출된 실외 공기는 취출 보조 덕트(22), 취출 덕트 접속부(22a), 급기 취출 덕트(12)에 송풍되어, 급기 취출구(13)로부터 실내로 취출되게 된다.
또한, 운전 정지 시에는 통풍로 절환 부재(41)가 위치 D에 있고, 흡입 보조 덕트(21), 취출 보조 덕트(22)를 통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로 인해, 운전 정지 시에 실외 공기가 흡입 취출 덕트를 통해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풍 방지용 밸브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급기 운전 시의 상세에 대하여 도10, 도15 및 도16을 주로 참조하면 서 설명한다.
급기 운전할 때에는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구동 장치(47)에 의해 회전시켜, 도10,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와 흡기 흡입 개구(44a), 흡기 흡출 개구(44b)와 흡기 필터용 개구(46f), 취입 전용 개구(46e)와 흡입 개구(44c) 및 취출 개구(43b)와 취출 전용 개구(46b)가 각각 연통하는 위치에 맞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입실(31)은 흡기 통로(35)를 통해 흡기 필터(36), 흡기 필터용 개구(46f), 흡기 흡출 개구(44b), 흡기 통풍로(45c), 흡기 흡입 개구(44a),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 예비 필터(24),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 실외 덕트(15)에 연통한다. 한편, 취출실(32)은 취입 전용 개구(46e), 흡입 개구(44c), 취출 통풍로(45d), 취출 개구(43b), 취출 전용 개구(46b), 취출 보조 덕트(22), 취출 덕트 접속부(22a), 급기 취출 덕트(12), 급기 취출구(13)에 연통한다.
이 상태에서 송풍 장치(20)의 송풍기(33)를 회전시킴으로써, 실외 공기가 실외 덕트(15)를 통해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부터 흡입되고,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에 접속된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로 들어가,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 내에 설치된 예비 필터(24)를 통과하여 먼지가 제거된다. 먼지가 제거된 실외 공기는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 내를 흘러,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로 들어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흡기 흡입 개구(44a)를 통해 흡기 통풍로(45c)를 흐른다.
흡기 통풍로(45c)로 흐른 실외 공기는 흡기 흡출 개구(44b)를 통해 흡기 필터용 개구(46f)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나간다. 흡기 필터용 개구(46f)로부터 나간 실외 공기는 흡기 필터용 개구(46f)에 인접한 흡기 필터 수납부(36c)로 들어가 흡기 필터 수납부(36c)에 수납된 흡기 필터(36)를 지나간다. 실시예에서는 흡기 흡입 개구(44a)와 흡기 흡출 개구(44b)를 각각 독립하여 설치하고 있지만, 각 개구가 근접하고 있어 동일한 통풍로에 개구하고, 또한 통풍로 절환 부재의 각 회전 위치에서 공기의 흐름에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이들 두 개의 개구를 연결하여 하나의 큰 개구로 해도 좋다.
흡기 필터(36)로 들어간 실외 공기는 흡기 필터(36)의 표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제거되고, 흡기 필터 수납부(36c)와 흡입실(31)을 연결하고 있는 흡기 통로(35)에 흡출되어, 흡입실(31)로 들어가 칸막이 판(31a)에 설치한 마우스 링(31b)을 통해 송풍기(33)에 흡입되고, 송풍기(33)로 가압되어 취출실(32)로 취출된다. 취출된 실외 공기는 취입 전용 개구(46e)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로 다시 들어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흡입 개구(44c)를 통해 취출 통풍로(45d)를 흘러,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취출 개구(43b)를 통해 취출 전용 개구(46b)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나간다.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나간 실외 공기는 취출 전용 개구(46b)에 접속되어 있는 취출 보조 덕트(22)를 흘러 취출 덕트 접속부(22a)에 이르고, 취출 덕트 접속부(22a)에 접속된 급기 취출 덕트(12)를 흘러 급기 취출구(13)로부터 실내에 신선한 외기로서 취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외 공기를 실외 덕트(15)로부터 흡입하여, 예비 필터(24)로 먼지를 제거하여 흡기 필터(36)의 표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여 급기 취출구(13)로부터 취출하는 급기 운전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실외 공기가 흐르는 송풍기(33)의 흡입측 흡기 흡입 개구(44a)로부터 흡기 흡출 개구(44b)에 이르는 흡기 통풍로(45c)와, 송풍기(33)의 취출측 흡입 개구(44c)로부터 취출 개구(43b)에 이르는 취출 통풍로(45d)의 2개의 통풍로를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횡 폭 치수 부분으로 억제함으로써, 송풍 장치(20)의 횡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때, 흡입실(31)은 흡출 전용 개구(46d), 배기 취출 개구(44f), 배기 통풍로(45f)에도 연통하지만, 그 앞에는 연통하는 개구가 없으므로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 이외로부터 흡기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배기 운전 시의 상세에 대하여 도11, 도17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배기 운전할 때에는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구동 장치(47)에 의해 회전시켜 도11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전용 개구(46a)와 흡입 개구(43a), 흡출 개구(44d)와 흡출 전용 개구(46d), 취입 전용 개구(46e)와 배기 흡입 개구(44e) 및 배기 취출 개구(44f)와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가 각각 연통하는 위치에 맞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입실(31)은 흡출 전용 개구(46d), 흡출 개구(44d), 흡입 통풍로(45e), 흡입 개구(43a), 흡입 전용 개구(46a), 흡입 보조 덕트(21), 흡 입 필터(21b), 흡입구(21a)에 연통한다. 한편, 취출실(32)은 취입 전용 개구(46e), 취입 개구(44e) 배기 통풍로(45f), 배기 취출 개구(44f),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에 연통한다.
이 상태에서 송풍 장치(20)의 송풍기(33)를 회전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는 주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고, 실내기(1)의 내부에 개구한 흡입구(21a)로부터 송풍 장치(20)로 들어가 흡입 보조 덕트(21) 내에 설치된 흡입 필터(21b)를 통과하여 먼지가 제거된다.
먼지가 제거된 실내 공기는 흡입 보조 덕트(21)가 접속되어 있는 흡입 전용 개구(46a)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로 들어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흡입 개구(43a)를 통해 흡입 통풍로(45e)를 흘러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흡출 개구(44d)를 통해 흡출 전용 개구(46d)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나간다. 흡출 전용 개구(46d)로부터 흡출된 실내 공기는 흡입실(31)로 들어가 칸막이 판(31a)에 설치한 마우스 링(31b)을 통해 송풍기(33)에 흡입되고, 송풍기(33)로 가압되어 취출실(32)로 취출된다.
취출된 실외 공기는 취입 전용 개구(46e)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로 다시 들어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배기 취입 개구(44e)를 통해 배기 통풍로(45f)를 흘러,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배기 흡출 개구(44f)를 통해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나간다.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로부터 취출된 실내 공기는 흡입 취출 보조 덕트(23)로 흘러, 예비 필터(24)를 통해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로부터 실외 덕트(1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내 공기를 주 흡입구(5)로부터 흡입하여, 흡입 필터(21b)로 먼지를 제거하고, 실외 덕트(15)로부터 실외로 취출하는 배기 운전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실내 공기가 흐르는 송풍기(33)의 흡입측 흡입 개구(43a)로부터 흡출 개구(44d)에 이르는 흡입 통풍로(45e)와, 송풍기(33)의 흡출측 배기 취입 개구(44e)로부터 배기 취출 개구(44f)에 이르는 배기 통풍로(45f)의 2개의 통풍로를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횡 폭 치수 부분으로 억제함으로써 송풍 장치(20)의 횡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때, 흡입실(31)은 흡기 통로(35)를 통해 흡기 필터(36), 흡기 필터용 개구(46f)에도 연통하지만, 그 앞에는 연통하는 개구가 없으므로, 흡입구(21a) 이외로부터 흡기하는 일은 없다. 여기서, 예비 필터(24)의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 측에는 급기 운전 시에 실외 공기 중에서 제거한 먼지가 집적되어 있지만, 배기 운전 시의 실내 공기가 예비 필터(24)를 흘러나옴으로써, 예비 필터(24)의 흡입 취출 덕트 접속부(23a) 측의 표면에 집적되어 있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장치(20)는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을 반복함으로써, 예비 필터(24)를 스스로 청소하게 되어, 예비 필터(24)의 청소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급기 운전 중 자동으로 일정 시간 배기 운전으로 절환함으로써 예비 필터(24)에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절환하여 눈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운전일 때에는 배기하는 실내 공기가 흡기 필터(36)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배기 운전 시의 통풍 저항이 감소하여, 배기하는 실내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어 효율이 좋은 배기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상, 급기 운전 및 배기 운전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외에 실내 개구를 또 하나 설치하여, 한쪽을 실내 공기의 흡입 전용, 다른 쪽을 취출 전용으로 함으로써 이하에 설명하는 순환 운전을 행할 수 있게 되어, 다채로운 용도로 확대된다.
다음에, 순환 운전 시의 상세에 대하여 도12, 도18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순환 운전할 때에는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구동 장치(47)에 의해 회전시켜 도12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전용 개구(46a)와 순환 개구(43c), 순환 흡출 개구(44a)와 흡출 전용 개구(46d), 취입 전용 개구(46e)와 순환 취입 개구(44d), 순환 취출 개구(43a)와 취출 전용 개구(46b)가 각각 연통하는 위치에 맞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입실(31)은 흡출 전용 개구(46d), 순환 흡출 개구(44a), 순환 흡입 통로(45c), 순환 개구(43c), 흡입 전용 개구(46a), 흡입 보조 덕트(21), 흡입 필터(21b), 흡입구(21a)에 연통한다. 한편, 취출실(32)은 취입 전용 개구(46e), 순환 취입 개구(44d), 순환 취출 통풍로(45e), 순환 취출 개구(43a), 취출 전용 개구(46b), 취출 보조 덕트(22), 취출 덕트 접속부(22a)에 연통한다.
이 상태에서 송풍 장치(20)의 송풍기(33)를 회전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는 주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고, 실내기(1)의 내부에 개구한 흡입구(21a)로부터 송풍 장치(20)로 들어가 흡입 보조 덕트(21) 내에 설치된 흡입 필터(21b)를 통과하여 먼지가 제거된다.
먼지가 제거된 실내 공기는 흡입 보조 덕트(21)가 접속되어 있는 흡입 전용 개구(46a)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로 들어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순환 개구(43c)를 통해 순환 흡입 통로(45c)를 흘러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순환 흡출 개구(44a)를 통해 흡출 전용 개구(46d)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나간다. 흡출 전용 개구(46d)로부터 흡출된 실내 공기는 흡입실(31)로 들어가 칸막이 판(31a)에 설치한 마우스 링(31b)을 통해 송풍기(33)에 흡입되고, 송풍기(33)로 가압되어 취출실(32)로 취출한다.
취출된 실외 공기는 취입 전용 개구(46e)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로 다시 들어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순환 취입 개구(44d)를 통해 순환 취출 통풍로(45e)를 흘러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순환 취출 개구(43a)를 통해 취출 전용 개구(46b)로부터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나간다.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나온 실외 공기는 취출 전용 개구(46b)에 접속되어 있는 취출 보조 덕트(22)를 흘러 취출 덕트 접속부(22a)에 이르고, 취출 덕트 접속부(22a)에 접속된 급기 취출 덕트(12)를 흘러 급기 취출구(13)로부터 실내로 순환 공기로서 취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내 공기를 주 흡입구(5)로부터 흡입하여, 흡입 필터(21b)로 먼지를 제거하여 급기 취출구(13)로부터 취출하는 순환 운전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실내 공기가 흐르는 송풍기(33)의 흡입측 순환 개구(43c)로부터 순환 흡출 개구(44a)에 이르는 순환 흡입 통로(45c)와 송풍기(33)의 취출측 순환 취입 개구(44d)로부터 순환 취출 개구(43a)에 이르는 순환 취출 통풍로(45e)와의 2개의 통풍로를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횡 폭 취수 부분으로 억제함으로써 송풍 장치(20)의 횡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때, 흡입실(31)은 흡기 통로(35)를 통해 흡기 필터(36), 흡기 필터용 개구(46f), 배기 흡입 개구(44e), 배기 통풍로(45f), 배기 취출 개구(44f)에도 연통하지만, 그 앞에는 연통하는 개구가 없으므로 흡입구(21a) 이외로부터 흡기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급기 취출 덕트(12)는 취출 덕트 접속부(22a)에 접촉하여 접속되어 있으므로, 취출 덕트 접속부(22a)로부터 취출한 공기는 그대로 급기 취출 덕트(12) 내로 송풍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흡입 보조 덕트(21), 취출 보조 덕트(22)가 하나뿐인 경우이지만, 예를 들어 흡입 보조 덕트(21), 취출 보조 덕트(22)를 각각 복수 설치하여, 실내기(1)의 복수의 흡입구의 내의 임의의 흡입구로부터 흡입하거나, 혹은 복수의 취출구 내의 임의의 취출구로부터 취출시켜 환기의 기능을 더욱 세밀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자(45)의 외주벽(43)은 원통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통풍로 절환 부재의 각 회전 위치마다 외피 내면과의 밀봉을 연구함으로써, 이것을 다각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마찬가지의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송풍기(33)는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마우스 링(31b)의 형상이나 흡입실(31) 및 취출실(32)의 형상으로 송풍기(33)에 적응한 무리가 없는 형상을 채용할 수 있고, 따라서 송풍 효율이 좋은 운전 소음이 낮은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기(33)를 구동하는 송풍기 모터(34)를 송풍기(33)에 설치한 오목부에 배치하고, 폭 치수가 얇은 송풍 기구를 구축하고, 흡기 필터(36)를 송풍기부(50)의 하부에 배치하여 송풍 장치(20)의 폭 치수를 얇게 하여, 실내기(1)의 폭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송풍 장치(20)를 실내기(1)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부(50)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통풍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통풍로로 절환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구비하는 송풍 장치(20)에 있어서, 송풍기부(50)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의 송풍기(33)와, 송풍기(33)의 흡입구에 연통하여 그 흡입구보다 크게 형성한 흡입실(31)과, 송풍기(33)의 흡출측에 형성한 취출실(32)을 구비하여, 통풍로 절환 장치(40)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외피(46)와, 외피(46)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내부를 복수의 통풍로로 구분하는 격벽을 갖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복수의 통풍로와 외피(46)의 복수의 개구와의 연통을 절환하도록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회전하는 구동 장치(47)를 구비하고, 통풍로 절환 장치(47)는 송풍기부(50)의 흡입실(31)에 포개지도록 병치하였으므로, 소형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급기 및 배기로 절환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송풍 장치(20)는 송풍기(33)의 회전축과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회전축을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통풍로 절환 부재(41) 중앙부 및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외피(46) 중앙부에 오목부(42, 46g)를 설치하여, 구동 장치(47)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어느 하나의 오목부(42, 46g)로 둘러싸므로, 더욱 박형의 송풍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자(45)의 회전자 오목부(42)나 평판부(45b)는 각각 외피 하우징(46i)의 원판부(46h)나 하우징 오목부(46g)와 항상 포개지므로, 이 회전자 오목부(42)나 평판부(45b)를 설치하지 않고 생략한 경우의 통풍로 절환 장치(40)에서의 누설량이 환기량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으면, 회전자 오목부(42)나 평판부(45b)를 생략해도 지장이 없다. 이 경우, 외주벽(43)이나 격벽(41g 내지 41j)은 후술하는 회전자 덮개(44)에 설치하는 등의 고안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평판부(45b)의 판두께 부분 만큼 송풍 장치(20)를 얇게 할 수 있어, 박형의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구성 재료를 절약하여 환경 부하를 경감한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부분 이외에도 급기, 배기, 순환, 정지의 각 회전 위치에서 항상 외피와 포개지는 부분은 공기의 누설량,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강도, 강성 등으로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생략하는 부위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벽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46)의 벽이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개구를 회전자 외주벽(43)과 회전자 덮개(44)에 설치하였으므로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회전시켰을 때에 회전자 외주벽(43)의 개구와 회전자 덮개(44)의 개구의 궤적이 포개지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자(45)의 통풍로의 설정이 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복수의 회전 위치에서 회전 위치마다 복수의 통풍로를 형성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급기, 배기, 순환 등 복수의 기능을 간단히 절환할 수 있는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개구를 외주벽(43)과 회전자 덮개(44)로 분산하여,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회전시켰을 때에 회전자 외주벽(43)의 개구와 회전자 덮개(44)의 개구의 궤적이 중첩하지 않도록 했지만, 이 밖에도 예를 들어 회전자 덮개(44)의 개구를 원주 형상으로 2단으로 설치하여, 이 2단 개구 사이에서 회전했을 때의 개구의 궤적이 중첩하지 않도록 해도, 또한 회전자(45)의 평판부(45b)에 개구를 설치하여, 대향하는 하우징(46i)의 원판부(46h)에 개구와 보조 덕트를 설치하고, 송풍 장치로서의 횡 폭은 증가해도 보다 다기능인 환기 기능의 절환에 대처 가능한 송풍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송풍 장치(20)는 원통형으로 형성한 통풍로 절환 부재의 외주와 단부면에 적어도 8개 이상, 통풍로 절환 장치의 외피에 적어도 6개 이상의 개구를 마련하여, 통풍로 절환 부재의 복수의 회전 위치에서 통풍로 절환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통풍로가 외부에 연통함으로써,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회전만으로, 급기 필터를 통과한 급기 운전과 급기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배기 운전이 가능해 배기 운전 시의 통풍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회전자 통풍로에 적어도 각 통풍로당 한 쌍 이상의 개구를 마련하여, 이 개구를 통풍로 절환 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움직여 설치하는 동시에, 통풍로 절환 장치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외피 개구를 통풍로 절환 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움직여 설치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도 통풍로가 형성되고,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외피가 떨어진 개구끼리, 혹은 사이에 있는 개구를 건너뛰어 통풍로로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연통시키는 개구의 선택이 보다 다채로워져, 다기능인 환기 기능을 실현 가능한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통풍로의 단면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회전축과 평행한 변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하면 좋다. 이에 의해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회전자 오목부(42)와 외주벽(43)에 둘러싸인 공간을 최대한으로 유효하게 통풍로로 할 수 있고, 통풍로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한정된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통풍로 절환이 가능한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풍로 절환 부재(41)와 송풍기(33)의 구동축을 평행이 아닌 경사지게 설치한 경우를 전술했지만, 이 경우에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통풍로부의 단면 형상을 흡입실(31)과의 교차 상태에 따라서, 사다리꼴 또는 삼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회전자 오목부(42), 개구를 갖는 외주벽(43), 개구를 갖는 회전자 덮개(44) 및 개구를 갖지 않는 회전자 평판부(45b) 중의 1 이상의 부재와 격벽(41g 내지 41j)으로 구성하고, 외피(46)의 개구를 외주벽 개구(43a 내지 43c) 또는 회전자 덮개 개구(44a 내지 44f)의 대향부에 설치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단순한 구성으로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복수의 회전 위치에서, 회전 위치마다 복수의 통풍로 형성이 가능한 송풍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송풍 장치(20)는 통풍로 절환 장치(40)와 송풍기(33)의 공기 흡입면(31c)에 협지 설치된 송풍기(33)의 흡입실(31)을 구비하고, 흡입실(31)의 반송풍기측의 벽인 흡입실 덮개(31d)와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외피(46)의 하우징 덮개(46j)를 일부 공용함으로써, 환기용 송풍 장치(20)를 갖는 독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 적합한 축 방향 치수가 작고, 통풍로를 절환해도 안정된 송풍기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제작 공정에서의 핸들링에도 지장이 없는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20)가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와, 취출 전용 개구(46b)와, 흡입 전용 개구(46a)를 구비하여,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회전에 의해 급기 송풍 시, 배기 송풍 시 및 흡입 전용 개구(46a)로부터 흡입하여 취출 전용 개구(46b)로부터 취출하는 송풍 상태의 순환 송풍 시, 중 적어도 2개의 송풍 시로 절환 가능해지므로,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회전만으로 흡입실(31), 취출실(32)과 흡입 전용 개구(46a), 취출 전용 개구(46b)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에 연통하여 공기가 흐르는 통풍로가 급기 운전인 경우는 흡기 통풍로(45c)와 취출 통풍로(45d), 배기 운전인 경우는 흡입 통풍로(45e)와 배기 통풍로(45f), 순환 운전인 경우는 순환 흡입 통풍로(45c)와 순환 취출 통풍로(45e)와 같이, 2개의 통풍로를 동시에 절환하여 급기, 배기 및 순환으로 절환하는 소형의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송풍 장치(20)는 급기 송풍 시에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에 연통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통풍로와 흡입실(31) 사이를 연결하는 흡기 통로(35)에 흡기 필터(36)와, 흡기 필터의 착탈 개구(35a)를 설치하는 동시에, 급기 송풍 시에 흡기 필터(36)를 거치고, 배기 송풍 시에 흡기 필터(36)를 거치지 않고 송풍하므로, 외기를 더욱 깨끗하게 하여 급기하기 위한 급기 필터를 설치하고 있어도, 배기일 때는 급기 필터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통풍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급기 시에 유입 공기를 청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배기 운전 시의 통풍 저항을 줄인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송풍 장치(20)는 취출실(32)과 흡기 필터(36)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 및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를 송풍기(33)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그 대부분이 포개지지 않도록 설치하므로, 취출실(32)과 흡기 필터(36)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 및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를 송풍기(33)의 축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축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송풍기축과 직각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4부분을 취출실(32)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송풍 장치(20)의 기능부를 콤팩트하게 통합한 박형의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20)의 흡입 전용 개구(46a)와, 취출 전용 개구(46b)와, 흡기 필터(36)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를 송풍기(33)의 회전축과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의 무게 중심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하여,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회전축과 동일한 측에 설치하여,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를 송풍기(33)의 회전축과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회전축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하여 흡입 전용 개구(46a)와 반대측에 설치하므로, 실내측의 급배기구와 급기 필터 탈착 개구(35a)를 실내기(1)의 전방측에 실외측의 급배기 겸용 개구(46c)를 그 후방측에 설치하도록 공기 조화기에 조립하여 필터가 장착되는 흡입구(21a), 급기 필터 탈착 개구(35a)와 급기 취출 덕트(12)와의 접속부를 전방측에 무리 없이 설치하여 필터의 보수를 편리하게 하고, 급기 취출 덕트(12)의 실내기(1) 내의 덕트의 자연스러운 배치로 급기를 실내기(1)의 전방측으로부터 취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공기 조화기의 설치벽으로부터 실내로 들어오는 실외 덕트(15)에 접속되는 급배기 겸용 개구(46c)를 실내기(1)의 배면측으로 하여 설치 시의 배관 작업을 쉽게 함으로써, 독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 조립했을 때에 적합한 환기용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20)의 흡입 전용 개구(46a) 또는 취출 전용 개구(46b)와, 흡기 필터(36) 또는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를 송풍기(33)의 축과 직각인 어떤 방향으로부터 보아도 포개지지 않도록 송풍 장치(20)의 흡입 전용 개구(46a)와 취출 전용 개구(46b), 흡기 필터(36) 또는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를 송풍기(33)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포개지지 않도록 배치하므로, 흡입 전용 개구(46a)와 취출 전용 개구(46b)를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축 방향 공간에 설치하여, 흡기 필터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를 흡입실(31)과 취출실(32)의 축 방향 공간에 설치할 수 있어, 송풍 장치(20)의 기능부를 콤팩트하게 통합한 소형의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20)의 공기 흡입면(31c)과 흡기 필터(36)의 공기 유입면(36b)과의 각도가 직각이 되지 않도록 배치하였으므로, 공기 유입면(36b)으로서 큰 면적이 필요한 흡기 필터(36)의 공기 유입면(36b)이 송풍 장치(20)의 취출실(32)의 축 방향의 투영면과 평행해져 공기 유입면(36b)을 축과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흡기 필터(36)의 축 방향의 수납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해도 박형인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송풍 장치(20)는 급기 송풍 시에 흡기 필터(36)의 상류측이 되는 통풍로에 예비 필터(24)를 설치하여, 급기 송풍 시에 예비 필터(24) 및 흡기 필터(36)를 거치고, 배기 송풍 시에 흡기 필터(36)를 거치지 않고 예비 필터(24)를 거쳐서 송풍하므로, 흡기 필터(36)의 조(粗)한 먼지가 줄어 공기 청정 필터(36)의 교환 시기가 연장되는 동시에, 항상 예비 필터(24)를 통과함으로써, 역풍 시에도 실외의 조한 먼지가 송풍 장치(2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필터의 보수성을 향상시킨 송풍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기 필터(36)를 수납하는 수납부(36c)와, 예비 필터(24)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설치하여, 흡기 필터(36) 및 예비 필터(24)가 송풍기 모터(34)의 축과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착탈하므로, 취출실(32)의 축 방향 공간을 착탈 공간에 쓸 수 있고, 축 방향으로 추가 공간이 불필요해져 공기 조화기의 가로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급기 운전 시의 흐름이 예비 필터부에서 상부를 향해 흐르므로 예비 필터(24) 청소 시의 탈착으로 예비 필터(24)로부터 먼지가 떨어지더라도 예비 필터(24)의 상류측으로 떨어지므로, 급기 운전 시에 다시 예비 필터(24)에 포집되어 송풍 장치(20) 내로 진입하지 않아 송풍 장치(20)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청소성을 향상시킨 송풍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실내기(1)의 케이싱(2) 내의 좌우 한쪽에 열 교환기(10) 및 주 송풍기(9)를 배치하고, 케이싱(2) 내의 좌우 다른 쪽에 환기 기능을 갖는 송풍 장치(20)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송풍 장치(20)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부(50)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통풍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통풍로로 절환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구비하고, 송풍기부(50)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의 송풍기(33)와, 송풍기(33)의 흡입구에 연통하여 그 흡입구보다 크게 형성한 흡입실(31)과, 송풍기(33)의 취출측에 형성한 취출실(32)을 구비하고, 통풍로 절환 장치(40)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외피(46)와, 외피(46)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내부를 복수의 통풍로로 구분하는 격벽을 갖는 통풍로 절환 부재(41)와,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복수의 통풍로와 외피(46)의 복수의 개구와의 연통을 절환하도록 통풍로 절환 부재(41)를 회전하는 구동 장치(47)를 구비하고, 통풍로 절환 장치(47)는 송풍기부(50)의 흡입실(31)에 포개지도록 병치하였으므로, 소형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급기 및 배기로 절환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송풍 장치(20)에 실외 덕트의 접속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실내기(1)의 정면에서 보아 열 교환기(10)의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와 실내기(1)의 측면판(4) 사이에 청구항 1에 기재된 송풍 장치(20)를 수납하므로, 설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냉매 배관(16)과 동일한 벽 구멍에 실외 덕트(15)의 배관을 설치할 수 있어, 배관 덕트류의 통합 작업이 쉬워 마무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주 송풍기 모터(14)의 주위를 제습 기능이 달린 냉동 사이클의 밸브류나 열 교환기 주위의 냉매 배관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벽면 직출 배관, 측면 인출 배관에 적합한 환기 기능을 갖는 벽걸이 독립형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송풍 장치(20)의 흡입 전용 개구(46a)와 취출 전용 개구(46b)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를 실내기(1)의 전방측에,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를 실내기(1)의 후방측에, 흡입 전용 개구(46a)를 상측에, 취 출 전용 개구(46b)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35a)와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를 하측에 배치하므로, 실내측의 급배기구와 급기 필터 탈착 개구(35a)를 실내기(1)의 전방측에, 실외측의 급배기 겸용 개구(46c)를 그 후방측에 설치하도록 공기 조화기에 조립하여 필터가 장착되는 흡입구(21a), 급기 필터 탈착 개구(35a)와 급기 취출 덕트(12)와의 접속부를 전방측에 무리 없이 설치하여 필터의 보수를 편리하게 하고, 급기 취출 덕트(12)의 실내기(1) 내의 덕트의 자연스러운 배치로 급기를 실내기(1)의 전방측으로부터 취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공기 조화기의 설치벽으로부터 실내로 들어오는 실외 덕트(15)에 접속되는 급배기 겸용 개구(46c)를 실내기(1)의 배면측으로 하여, 설치 시의 배관 작업을 쉽게 함으로써 조작성, 설치성이 우수한 환기 기능을 갖는 벽걸이 독립형의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20) 정지 시에 흡입 전용 개구(46a) 및 취출 전용 개구(46b)와 흡입 취출 겸용 개구(46c) 사이를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하므로, 실외가 강풍이 불 때 등, 강풍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송풍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송풍기 정지 시를 배려한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20)의 통풍로 절환 부재(41)의 전방 모서리가 열 교환기(10)의 핀(fin) 전방 모서리(10b)보다 안쪽이 되도록 송풍 장치(20)를 실내기(1)에 수납하였으므로, 송풍기(33)의 필수부를 열 교환기(10)보다 안쪽에 설치하므로, 흡입 공기의 전처리나, 취출 공기의 덕트 처리를 주 기류의 열 교환기(10) 앞에서의 처리 공간의 안길이 치수 내로 처리 가능하여, 실내기(1)의 안길이를 얇게 할 수 있어 안길이 치수가 작은 벽걸이 독립형의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송풍 장치(20)의 높이를 약「취출실(32)의 높이 + 통풍로 절환 장치(40)의 초과 높이」로 할 수 있으므로 전체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이 송풍 장치의 취출 전용 개구가 실내기의 주 흡입구와 주 취출구의 중간에 오도록 설치하여, 송풍 장치(20)의 아래쪽에 실내기(1)의 제어부(17)를 수납하므로, 실내기(1) 내의 배선 배치가 짧아 간단해지는 동시에, 제어 기판의 점검이 쉬운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기(33)의 회전축과 주 송풍기(9)의 회전축이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치하므로, 취출실(32)을 주 송풍기(9)의 축에 직각으로 설치하게 되어, 취출실(32), 통풍로 절환 장치(40)를 공기 조화기의 단면 내에 무리 없이 설치할 수 있고, 게다가 축 방향으로 박형이 되어,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해도 박형으로 안길이, 높이 모두 작은 환기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급기 송풍 시에 흡기 필터(36)를 거쳐서 실외 공기를 실내에 급기하고, 배기 송풍 시에 흡기 필터(36)를 거치지 않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므로, 급기 운전 시에는 공기 청정화된 실외 공기를 급기하고, 배기 운전 시에는 흡기 필터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통풍 저항을 줄이어 에너지 절약이 되어,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송풍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배기 운전 시의 통풍 저항을 줄인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급기 송풍 시에 예비 필터(24) 및 흡기 필터(36)를 거 쳐서 실외 공기를 실내에 급기하고, 배기 송풍 시에 흡기 필터(36)를 거치지 않고 예비 필터(24)를 거쳐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므로, 흡기 필터(36)의 조한 먼지가 감소하여, 공기 청정 필터(36)의 교환 시기가 연장되는 동시에, 항상 예비 필터(24)를 통과함으로써, 역풍 시에도 실외의 조한 먼지가 송풍 장치(2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송풍 장치(20)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필터의 보수성을 향상시킨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기 필터(36) 및 예비 필터(24)를 실내기(1)의 정면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으므로, 정면으로부터의 착탈로 함으로써 조작성을 확보하고, 또한 송풍 장치(20)의 아래쪽 공간에의 의존성이 없으므로, 아래쪽의 용도에 제한을 더하는 일이 없고, 취출실(32)의 축과 직각 방향 공간을 착탈 공간에 사용하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 추가 공간이 불필요해져, 공기 조화기의 가로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송풍 장치(20)의 청소성을 향상시킨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입 전용 개구(46a)와 취출 전용 개구(46b)를 실내에 개구시키므로, 실내 개구를 흡입 또는 취출 전용 개구로 함으로써, 급기 운전시, 배기 운전 시에 맞추어 통풍로를 알맞게 설계할 수 있어, 급기 운전시 뿐만 아니라 배기 운전시에도 통풍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흡입 전용 개구(46a)를 공기 조화기의 주 흡입구(5)의 하류측의 전방면 커버(4) 안쪽에 설치할 수 있어, 의장적으로 외관을 드러내는 데 주저하는 흡입 필터를 어려움 없이 설치할 수 있고, 배기 시의 실내 공기로부터의 먼지가 흡입 필터(21b)에 포집되어 송풍 장치(20) 내에 저장되지 않아, 급기 시에 먼지가 취출될 우려가 없어, 흡입, 취출 전용 개구를 공기 조화기 내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여, 급기, 배기 시의 실내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 흡입구(5)와 흡입 전용 개구(46a)에 이르는 통풍 경로에 설치한 흡입 필터(21b)와, 실내기(1)의 아래쪽에 형성된 주 취출구(6)와 주 흡입구(5) 사이에 형성된 급기 취출구(13)와, 취출 전용 개구(46b)를 접속하는 덕트를 구비하므로, 배기 시의 실내 공기로부터의 먼지가 흡입 필터(21b)에 포집되어, 송풍 장치(20) 내에 저장되지 않아 급기 시에 먼지가 취출될 우려가 없고, 또한 급기가 주 취출구(6)보다 위에서 취출하기 때문에, 급기가 직접 사람에게 닿지 않고, 급기가 외기 온도에 가까움에 따른 불쾌감을 완화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송풍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해도 박형으로 안길이, 높이 모두 작은 송풍 장치를 구비하여, 급기 시에 먼지가 취출될 우려가 없고, 또한 급기 외기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실내기(1)의 냉난방 운전을 하지 않고서, 송풍 장치(20)만으로 순환 운전, 배기 운전 혹은 급기 운전을 단독으로 행하여, 실내 공기를 완만하게 순환시키거나, 실내의 더러워진 공기를 배출하거나, 혹은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끌어들여 실내의 공기를 상쾌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주 송풍기와는 별개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기와, 그 송풍기에 적응한 흡입구 및 케이싱을 갖는 동시에,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통풍로(45f)와, 급기를 취출하는 취출 통풍로(45d)와, 배기와 순환을 공용하 는 흡입 통풍로(순환 취출 통풍로)(45e)와, 급기와 순환을 공용하는 흡기 통풍로(순환 흡입 통로)(45c)를 구비하여, 송풍기(33)의 흡입부, 취출부에 설치한 통풍로 절환 장치(40)에서, 흡입하는 공기를 실내 공기 혹은 실외 공기로 절환하는 동시에, 취출하는 공기를 실내 혹은 실외로 절환함으로써, 급기 운전, 배기 운전, 순환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송풍 장치(20)를 조립하여, 송풍기(33)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송풍기(33)의 흡입실(31)과 취출실(32)을 송풍기(33)에 적응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송풍 장치(20)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키고, 송풍 장치(20)의 운전 소음을 낮게 한 독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급기 운전일 때에는 흡입한 실외 공기를 흡기 필터에 통과시키지만, 배기 운전일 때에는 배기하는 실내 공기를 흡기 필터에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배기 운전 시의 통풍 저항을 감소시켜, 배기하는 실내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급기 운전일 때에 공기를 예비 필터를 통과시켜 실외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고, 배기 운전일 때에도 예비 필터를 통과시켜 배기하는 실내 공기를 송풍하여, 예비 필터의 표면에 집적한 먼지를 청소시킴으로써, 송풍 장치에 클리닝 기능을 구축할 수 있는 동시에, 흡기 필터 및 예비 필터는 실내기의 전방면 커버를 열어, 정면으로부터 임의로 빼냄과 장착이 가능하며,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 장치(20)의 운전으로서 3개의 운전 형식을 설치했지만, 순환 운전 형식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소형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급기 및 배 기로 절환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1 구성 예에 따르면, 또한 박형의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2 구성 예에 따르면, 통풍로 저항이 작은 통풍로 절환 장치를 실현하여, 한정된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통풍로 절환이 가능한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3 구성 예에 따르면, 환기용 송풍 장치를 갖는 독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적합한 축 방향 치수가 작고, 통풍로를 절환해도 안정된 송풍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4 구성 예에 따르면, 급기 시에 유입 공기를 청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배기 운전 시의 통풍 저항을 줄인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5 구성 예에 따르면, 송풍 장치의 기능부를 콤팩트하게 합친 박형의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6 구성 예에 따르면, 급기 기능, 배기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필터의 보수성을 향상시킨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소형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급기 및 배기로 절환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7 구성 예에 따르면, 벽면 직출 배관, 측면 인출 배관에 적합한 환기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8 구성 예에 따르면, 조작성, 설치성이 우수한 환기 기능을 갖는 벽걸이 독립형의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9 구성 예에 따르면, 실내기 내의 배선의 배치가 간단하고, 제어부의 점검이 쉬운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부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통풍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통풍로로 절환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를 구비하는 송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부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의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에 연통하여 그 흡입구보다 크게 형성한 흡입실과, 상기 송풍기의 취출측에 형성한 취출실을 구비하고,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내부를 복수의 통풍로로 구분하는 격벽을 갖는 통풍로 절환 부재와,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복수의 통풍로와 상기 외피의 복수의 개구와의 연통을 절환하도록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를 회전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는 상기 송풍기부의 상기 흡입실에 포개지도록 병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회전축과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회전축을 평행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중앙부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오목부로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한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외주벽과 원판부에 적어도 8개 이상의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외피에 적어도 6개 이상의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복수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통풍로가 상기 외피의 개구를 통해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외부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에 협지 설치된 상기 흡입실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실을 형성하는 벽과 상기 외피를 형성하는 벽의 일부를 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에 흡입 취출 겸용 개구, 흡입 전용 개구 및 취출 전용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 취출 겸용 개구와 연통하는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의 통풍로와 상기 흡입실 사이를 연결하는 흡기 통로에 흡기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 취출 겸용 개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취출 전용 개구로 취출하는 송풍 상태의 급기 송풍 시에는 상기 흡기 필터를 거쳐서 송풍하고,
    상기 흡입 전용 개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흡입 취출 겸용 개구로 취출하는 송풍 상태의 배기 송풍 시에는 상기 흡기 필터를 거치지 않고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실과 상기 흡기 필터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 및 상기 흡입 취출 겸용 개구를 상기 송풍기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그 대부분이 포개지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급기 송풍 시에 상기 흡기 필터의 상류측이 되는 통풍로에 예비 필터를 설치하고, 급기 송풍 시에 상기 예비 필터 및 상기 흡기 필터를 거치고, 배기 송풍 시에 상기 흡기 필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예비 필터를 거쳐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8. 실내기의 케이싱 내의 좌우 한쪽에 열 교환기 및 주 송풍기를 배치하고, 상기 케이싱 내의 좌우 다른 쪽에 환기 기능을 갖는 송풍 장치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송풍 장치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부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통풍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통풍로로 절환하는 통풍로 절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부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취출하는 원심형의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에 연통하여 그 흡입구보다 크게 형성한 흡입실과, 상기 송풍기의 취출측에 형성한 취출실을 구비하고,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내부를 복수의 통풍로로 구분하는 격벽을 갖는 통풍로 절환 부재와,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의 복수의 통풍로와 상기 외피의 복수의 개구 와의 연통을 절환하도록 상기 통풍로 절환 부재를 회전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풍로 절환 장치는 상기 송풍기부의 상기 흡입실에 포개지도록 병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에 실외 덕트의 접속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열 교환기로부터 인출되는 냉매 접속 배관 인출부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송풍 장치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의 흡입 전용 개구와 취출 전용 개구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를 상기 실내기 내의 전방부에 배치하고, 상기 송풍 장치의 흡입 취출 겸용 개구를 상기 실내기 내의 후방부에 배치하고, 상기 송풍 장치의 흡입 전용 개구를 상기 실내기 내의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송풍 장치의 취출 전용 개구와 흡기 필터 착탈 개구와 흡입 취출 겸용 개구를 상기 흡입 전용 개구의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전용 개구를 상기 실내기의 주 흡입구와 주 취출구와의 중간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송풍 장치의 아래쪽에 상기 실내기의 제어부와 실외기와의 접속 배선의 인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50075973A 2004-09-24 2005-08-19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0708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6705A JP4392310B2 (ja) 2004-09-24 2004-09-24 送風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JP-P-2004-00276705 2004-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129A KR20060053129A (ko) 2006-05-19
KR100708358B1 true KR100708358B1 (ko) 2007-04-17

Family

ID=3623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973A KR100708358B1 (ko) 2004-09-24 2005-08-19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92310B2 (ko)
KR (1) KR100708358B1 (ko)
CN (1) CN10036698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388A (ko) 2020-06-17 2021-12-27 남기윤 실내용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10B1 (ko) * 2005-12-21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JP4893128B2 (ja) * 2006-07-10 2012-03-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空気調和装置
JP5109889B2 (ja) * 2008-09-12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P2426426B1 (en) * 2009-04-27 2019-02-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ing ventilator
JP5493495B2 (ja) * 2009-06-23 2014-05-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3307695B (zh) * 2012-03-12 2015-09-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气装置及包括该换气装置的空调器
CN103307689B (zh) * 2012-03-12 2016-02-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气装置及包括该换气装置的空调器
CN103307690B (zh) * 2012-03-12 2015-1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气装置及包括该换气装置的空调器
CN103307692B (zh) * 2012-03-12 2016-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气装置及包括该换气装置的空调器
CN103307691B (zh) * 2012-03-12 2016-0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气装置及包括该换气装置的空调器
CN103307694B (zh) * 2012-03-12 2015-09-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气装置及包括该换气装置的空调器
CN104422056B (zh) * 2013-09-10 2017-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换气装置
CN104976693A (zh) * 2014-04-03 2015-10-14 杭州品悦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壁挂式暖风机
CN105258227B (zh) * 2015-11-16 2018-02-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双风叶送风系统及空调
CN114198864B (zh) * 2020-09-02 2023-05-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自清洁方法、计算机存储介质
CN112161333B (zh) * 2020-10-13 2024-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结构、空调室内机、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7410896B2 (ja) * 2021-02-01 2024-01-10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遠心送風機
WO2023209841A1 (ja) * 2022-04-27 2023-11-02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24039513A (ja) * 2022-09-09 2024-03-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ユニット
JP7436897B1 (ja) 2022-09-09 2024-02-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008U (ko) * 1996-01-29 1997-08-12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가변 차폐장치
JP2002068864A (ja) * 2000-08-23 2002-03-08 Toshiba Ceramics Co Ltd 耐プラズマ性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68864Y1 (ko) * 2001-12-11 2002-03-18 엘지전자주식회사 전자통신기기의 냉각장비의 유로변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799A (en) * 1994-07-22 1996-11-12 Sanyo Electric Co., Ltd. Ventilator/dryer assembly for adsorbing wet air in a room
JP3862052B2 (ja) * 1998-12-24 2006-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2401833Y (zh) * 1999-11-03 2000-10-18 广东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独立换气装置
JP4083495B2 (ja) * 2002-08-02 2008-04-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008U (ko) * 1996-01-29 1997-08-12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가변 차폐장치
JP2002068864A (ja) * 2000-08-23 2002-03-08 Toshiba Ceramics Co Ltd 耐プラズマ性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68864Y1 (ko) * 2001-12-11 2002-03-18 엘지전자주식회사 전자통신기기의 냉각장비의 유로변경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68864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7-500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388A (ko) 2020-06-17 2021-12-27 남기윤 실내용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90625A (ja) 2006-04-06
KR20060053129A (ko) 2006-05-19
JP4392310B2 (ja) 2009-12-24
CN1752622A (zh) 2006-03-29
CN100366982C (zh)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358B1 (ko)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JP6272489B2 (ja) 除湿機
KR10189757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170721B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CN21213269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WO2017043104A1 (ja) 除加湿装置
JP200814509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CN113899020A (zh) 新风风机和空调室内机
JP2004211913A (ja) 除湿機
KR100566022B1 (ko) 공기 조화기
CN216744618U (zh) 新风风机和空调室内机
KR100535842B1 (ko) 공기 조화기
KR100552374B1 (ko) 공기 조화기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20210055984A (ko) 환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O2023218566A1 (ja) 除湿機
KR101403012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KR100531088B1 (ko) 공기청정기
KR100869780B1 (ko) 공기조화기
JPH08168622A (ja) 空気清浄機
KR100804296B1 (ko) 기능성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0554283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