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231B1 - 비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231B1
KR101796231B1 KR1020160097414A KR20160097414A KR101796231B1 KR 101796231 B1 KR101796231 B1 KR 101796231B1 KR 1020160097414 A KR1020160097414 A KR 1020160097414A KR 20160097414 A KR20160097414 A KR 20160097414A KR 101796231 B1 KR101796231 B1 KR 101796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hole
band
spoke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운
곽철우
박창중
신귀성
황순욱
시미즈 미치오
마쯔다 준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231B1/ko
Priority to US15/643,804 priority patent/US10538130B2/en
Priority to DE102017115456.6A priority patent/DE102017115456B4/de
Priority to JP2017137083A priority patent/JP6493864B2/ja
Priority to CN201710632522.7A priority patent/CN10766245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2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enclosed chambers, e.g. gas-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2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enclosed chambers, e.g. gas-filled
    • B60C7/125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enclosed chambers, e.g. gas-filled enclosed chambers defined between rim and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26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comprising resilient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 B60C7/2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disposed circumferentially relative to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30Synthetic materials
    • B60B2360/32Plastic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30Synthetic materials
    • B60B2360/32Plastic compositions
    • B60B2360/324Comprising 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2007/005Non-inflatable or solid tyres made by casting, e.g. of polyureth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타이어는 내측 밴드 및 외측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밴드는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원주방향 단면형상을 가지는 스포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공기입 타이어{NON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소형 차량부터 중장비 차량까지 다양한 차량의 휠에 장착되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과 차량의 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능 및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지면으로부터의 진동, 충격 등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 공기입 타이어의 경우 내부에 공기압이 구비되어 충돌, 굴신에 대한 완충 작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만, 외부 물질에 의한 찔림이나 충격 등으로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 내부 공기압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타이어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더하여, 주행 중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 차량의 핸들링, 제동능력을 저하시켜 안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의 공기 충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개발되었다. 비공기입 타이어의 경우, 기존 공기입 타이어의 내부 공기압이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트레드와 휠 사이에 스포크가 구비된다.
이러한 비공기입 타이어는 스포크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해 완충효과, 주행능력 등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저속 차량 또는 특수목적 차량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비공기입 타이어(2)는 도 12와 같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포크(20)가 제공되었고, 이러한 스포크는 다양한 차량환경에서 하중 지지 능력과 완충 능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축방향 스포크는 고속 주행시 진동이 심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하중 지지 능력 및 지면으로부터의 진동과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속 주행시의 진동이 저감된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밴드 및 외측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밴드는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원주방향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스포크부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 상기 스포크부를 지지하는 제1 내측 지지부;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 상기 스포크부를 지지하는 제1 외측 지지부; 상기 제1 내측 지지부와 상기 제1 외측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중앙 지지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연장부; 및 상기 제1 내측 연장부보다 바깥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연장부가 구비되는 제1 스포크; 및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 상기 스포크부를 지지하는 제2 내측 지지부;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 상기 스포크부를 지지하는 제2 외측 지지부; 상기 제2 내측 지지부와 상기 제2 외측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중앙 지지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연장부; 및 상기 제2 내측 연장부보다 바깥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연장부 가 구비되는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형상의 상기 홀은 상기 제1 스포크, 상기 제2 스포크,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측 지지부 및 상기 제2 외측 지지부는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내측 부분에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측 지지부 및 상기 제2 내측 지지부는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외측 부분에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측 연장부 및 제2 내측 연장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외측 연장부 및 제2 외측 연장부는 서로 연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앙 지지부는, 축방향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와 축방향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중앙 지지부는, 상기 축방향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 및 상기 축방향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홀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고, 상기 축방향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와 상기 축방향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 중 다른 하나와 인접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중 적어도 하나는 모서리를 가지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홀 층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 층은 상기 내측 밴드 측의 내측 홀 층; 상기 외측 밴드 측의 외측 홀 층; 및 상기 내측 홀 층과 상기 외측 홀 층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홀 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홀 층은 상기 중간 홀 층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홀을 가지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홀 층은 상기 중간 홀 층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홀을 가지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홀 층과 상기 외측 홀 층은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홀 층의 일부 홀, 상기 중간 홀 층, 및 상기 외측 홀 층의 일부 홀은 반경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홀 층과 상기 외측 홀 층은 상기 중간 홀 층을 중심으로 대칭하도록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홀 층, 상기 내측 홀 층 및 상기 중간 홀 층의 홀은, 복수 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다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 홀 층의 외측에는 상기 외측 홀 층이 배치되고, 상기 중간 홀 층의 내측에는 상기 내측 홀 층이 배치되며, 상기 외측 홀 층, 상기 내측 홀 층 및 상기 중간 홀 층에 구비되는 홀은, 상기 중간 홀 층의 홀을 구성하는 변과 상기 내측 홀 층의 홀을 구성하는 변이 마주보고, 상기 중간 홀 층의 홀을 구성하는 변과 상기 외측 홀 층의 홀을 구성하는 변이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포크부는, 모서리를 형성하면서, 반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하는 제1 스포크; 모서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스포크와 대응되도록 반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하는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포크는, 상기 제1 스포크의 모서리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상기 제2 스포크의 모서리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면형상의 상기 홀은 상기 제1 스포크, 상기 제2 스포크 및 상기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포크는 축방향 일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1 틸트부와 축방향 타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2 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틸트부와 상기 제2 틸트부는 반경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틸트부와 상기 제2 틸트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축방향을 향하는 상기 모서리가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포크는 축방향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모서리로부터 축방향 일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2 스포크는 축방향 타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스포크의 모서리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적어도 일부는 축방향을 향해 배열된 꼭지점을 가지는 육각형인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육각형 홀과 반육각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 상기 육각형 홀과 반육각홀이 축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되고,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 상기 육각형 홀과 반육각홀이 축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되며,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의 홀의 배열과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의 홀의 배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포크부는 제1 스포크 및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포크는, 내측 밴드로부터 축방향 일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경사부 및 외측 밴드로부터 축방향 일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내측 밴드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경사부 및 외측 밴드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경사부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와 및 상기 제1 외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는 중심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와 및 상기 제2 외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는 중심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 및 상기 제2 내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는 곡선형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외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 및 상기 제2 외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는 곡선형으로 절곡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 내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는 연속되는 곡선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외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외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는 연속되는 곡선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제1 내지 제3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그룹의 홀은 상기 내측 밴드 측에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그룹의 홀은 상기 외측 밴드 측에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3 그룹의 홀은 상기 제1 그룹의 홀과 상기 제2 그룹의 홀의 사이에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포크부는 제1 스포크 및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포크 및 상기 제2 스포크는 각각, 상기 내측 밴드와 연결되는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제1 인클라인부와 연결되는 제2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인클라인부와 연결되는 제3 인클라인부; 상기 제3 인클라인부와 연결되는 제4 인클라인부; 및 상기 제4 인클라인부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 배치되는 반원부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포크의 제1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2 스포크의 제2 인클라인부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4 인클라인부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4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반원부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인클라인부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기울기가 더 크고,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2 인클라인부의 기울기가 더 크며, 상기 제2 인클라인부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1 인클라인부의 기울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포크는 일측의 제1 스포크 및 타측의 제1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일측의 제2 스포크 및 타측의 제2 스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의 제1 스포크와, 상기 일측 및 타측의 제2 스포크는, 상기 일측의 제1 스포크, 상기 일측의 제2 스포크 상기 타측의 제1 스포크, 및 상기 타측의 제2 스포크의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일측의 제1 스포크의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일측의 제2 스포크의 제2 인클라인부, 상기 타측의 제1 스포크의 제3 인클라인부 및 타측의 제2 스포크의 제4 인클라인부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일한 원주를 구성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1 인클라인부 및 상기 내측 밴드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타입 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 및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타입 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 및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3 타입 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4 인클라인부, 및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4 인클라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4 타입 홀; 상기 제1 스포크의 반원부, 상기 제2 스포크의 반원부, 제1 스포크의 제4 인클라인부 및 제2 스포크의 제4 인클라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5 타입 홀; 및 상기 제1 스포크의 반원부 및 상기 제2 스포크의 반원부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홀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타입 홀은 상기 제1 타입 홀과 상기 제3 타입 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타입 홀은 상기 제3 타입 홀 상기 제5 타입 홀 및 원형 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타입 홀은 상기 제3 타입 홀 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3 타입 홀은 상기 제4 타입 홀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타입 홀과 상기 원형 홀은 상기 외측 밴드 측에 배열되고, 상기 제5 타입 홀과 상기 원형 홀은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포크부 및 상기 제2 스포크부 중 하나 이상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제공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레핀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부는 인장 탄성율이 30MPa이상 200MPa 이하로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부는 굽힘 탄성율이 40MPa이상 300MPa이하로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하중 지지 능력 및 완충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균일한 접촉면과 균일한 스트레스 분산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구멍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종방향으로 우수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은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이하에서 서술하는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 r)'은 타이어의 반경 방향을 의미하고, '축 방향(Axial direction; a)'은 반경 방향과 직교하고 타이어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축방향은 타이어의 회전축 중심을 반드시 지나는 것은 아니며, 타이어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포함한다. 또한,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 c)'은 타이어의 외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반경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상기 방향들은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 모두를 포괄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는 밴드부(10) 및 스포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0)는 비공기입 타이어의 전체적인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밴드부(10)는, 예를 들어, 원형의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밴드부(10)는 후술하는 스포크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10)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양단부가 연결된 띠 형상의 내측 밴드(11) 및 외측 밴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밴드(12)는 내측 밴드(11)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며 내측 밴드(11)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내측 밴드(11)의 내주면에는 림(rim,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밴드(11)의 형상은 림(rim)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외측 밴드(12)는 내측 밴드(1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측 밴드(11)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 밴드(12)의 내주면과 내측 밴드(11)의 외주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이때, 외측 밴드(12)와 내측 밴드(11)는 후술할 스포크부(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외측 밴드(12)의 외주면에는 쉐어 밴드(13)가 구비될 수 있다. 쉐어 밴드(13)는 외측 밴드(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외측 밴드(12)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쉐어 밴드(13)는 비공기입 타이어(1)에 작용하는 초기 응력을 1차적으로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재나 스틸 코드를 포함하는 복합재를 사용하여 1개 이상의 층(layer)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쉐어 밴드(13)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조되거나 공기입 타이어에 사용되는 스틸 코드 벨트로 구성된 1개 이상의 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쉐어 밴드(13)의 외주면에는 트레드(30)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드(30)는 비공기입 타이어(1)의 최외측에 배치되며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트레드(30)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스포크부(20)는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크부(2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Elastomer, TP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크부(20)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레핀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부(20)는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를 연결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20)는 비공기입 타이어(1)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함으로써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비공기입 타이어(1)가 결합되는 임의의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스포크부(20)는 충격 완화역할 및 하중 지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충격 완화역할 및 하중 지지역할에 적합한 기구적 구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스포크부(20)는 아래와 같은 기계적 물성치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7058747081-pat00001

스포크부(20)의 인장 탄성율(Tensile Modulus)은 ASTM D638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크부(20)의 인장 탄성율은 30MPa이상 200MPa이하일 수 있다. 스포크부(20)의 인장 탄성율이 30Mpa 미만인 경우,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약화되어 작은 충격에도 스포크부(20)가 과도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스포크부(20) 파손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스포크부(20)의 인장 탄성율이 200Mpa 초과할 경우, 경도(hardness)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스포크부(20)의 굴신이 불량해지고 승차감이 열악해진다. 또한, 타이어의 풋프린트(footprint)가 감소하여 제동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스포크부(20)의 굽힘 탄성율(Flexural Modulus)은 ASTM D790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크부(20)의 굽힘 탄성율은 40MPa이상 300MPa이하일 수 있다. 스포크부(20)의 굽힘 탄성율이 40MPa 미만인 경우, 지지력이 감소하여 작은 충격에도 스포크부(20)가 과도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스포크부(20) 파손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굽힘 탄성율이 300MPa 초과인 경우 스포크부(20)의 굴신이 불량해지고 승차감이 열악해진다.
이러한 스포크부(20)는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포크부(20)는 타이어의 둘레를 따라 원형의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20)의 단면을 원주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단면은 하나 이상의 홀(130; 250; 330; 430)을 포함한다. 이러한 홀은 단면을 원주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폐루프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20)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스포크부(20)에 형성된 홀도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포크부(20)는 제1 스포크(110) 및 제2 스포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포크(110) 및 제2 스포크(120)는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의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제1 스포크(110)와 제2 스포크(120)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ra)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포크(110)는 내측 밴드(11) 측에서 스포크부(20)를 지지하는 제1 내측 지지부(111); 외측 밴드(12) 측에서 스포크부(20)를 지지하는 제1 외측 지지부(112); 제1 내측 지지부(111)와 제1 외측 지지부(112)를 연결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중앙 지지부(113); 상기 제1 내측 지지부와 상기 제1 중앙 지지부에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연장부(114); 및 상기 제1 외측 지지부와 상기 제1 중앙 지지부에 연결되며 제1 내측 연장부(114)보다 바깥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연장부(115)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스포크(120)는 내측 밴드(11) 측에서 스포크부(20)를 지지하는 제2 내측 지지부(121); 외측 밴드(12) 측에서 스포크부(20)를 지지하는 제2 외측 지지부(122); 제2 내측 지지부(121)와 제2 외측 지지부(122)를 연결하는 제2 중앙 지지부(123);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연장부(124); 및 제2 내측 연장부(124)보다 바깥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연장부(125)를 포함한다.
제1 내측 지지부(111)와 제2 내측 지지부(121)는 내측 밴드(11) 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연결된 부분의 반경방향 바깥쪽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된 부분은 후술하는 내측 홀 층의 홀(13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포크(110)의 제1 중앙 지지부(113)와 제2 스포크(120)의 제2 중앙 지지부(123)는, 서로 마주보도록 축방향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에 의해 제1 중앙 지지부(113)와 제2 중앙 지지부(123)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측 지지부(112)와 제2 외측 지지부(122)는 외측 밴드(12) 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된 부분의 반경방향 안쪽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된 부분은 후술하는 외측 홀 층의 홀(13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연장부(114)와 제2 내측 연장부(124)는 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외측 연장부(115)와 제2 외측 연장부(125)는 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한편, 원주방향 단면(즉, 도 1의 A-A'에 따른 단면)에서 보았을 때, 스포크부(20)의 원주방향 단면은 하나 이상의 홀(13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홀(130)은 제1 스포크(110), 제2 스포크(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홀(130)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각형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이 축방향을 향하는 4각형, 5각형, 6각형 및 8각형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홀(13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홀(130)의 그룹은 내측 홀 층(131), 외측 홀 층(133), 및 중간 홀 층(135)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홀 층(131)의 홀(132)은 내측 밴드(11) 측에서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고, 외측 홀 층(133)의 홀(134)은 외측 밴드(12) 측에서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며, 중간 홀 층(135)의 홀(136)은 내측 홀 층(131)과 외측 홀 층(133)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홀 층의 홀(132)은 내측 홀 층의 제1 홀(132') 및 내측 홀 층의 제2 홀(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홀 층의 홀(134)은 외측 홀 층의 제1 홀(134') 및 외측 홀 층의 제2 홀(134'')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홀 층의 제2 홀(132''), 중간 홀 층의 홀(136) 및 외측 홀 층의 제2 홀(134'')은 반경 방향(r)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홀(130)은 제1 스포크(110)와 제2 스포크(120)의 이격 및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 지지부(111)와 제2 내측 지지부(121)간의 이격된 부분에서는 내측 홀 층의 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2 내측 지지부(111, 121)가 연결된 부분의 반경방향 바깥측 부분에서, 내측 홀 층의 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홀 층(131)의 홀(132)은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2 내측 지지부(111, 121)간에 연결된 부분과 제1, 2 중앙 지지부(113, 123) 간에 연결된 부분에 의해, 내측 홀 층의 제1 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 홀 층의 제1 홀(132')은 제1, 2 내측 지지부(111, 121)간에 연결된 부분과 제1, 2 중앙 지지부(113, 123) 간에 연결된 부분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1, 2 내측 지지부(111, 121)간에 연결된 부분과 제1, 2 내측 연장부(114, 124) 간에 연결된 부분에 의해, 내측 홀 층의 제2 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 홀 층의 제2 홀(132'')은 제1, 2 내측 지지부(111, 121)간에 연결된 부분과 제1, 2 내측 연장부(114, 124) 간에 연결된 부분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홀 층(131)의 제1 홀(132')과 내측 홀 층(131)의 제2 홀(132'')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홀 층(131)의 제1 홀(132')은 내측 홀 층(131)의 제2 홀(132'')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홀 층(131)의 제1 홀(132')과 내측 홀 층(131)의 제2 홀(132'')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홀 층(131)의 제1 홀(132')은 6각형일 수 있고, 내측 홀 층(131)의 제2 홀(132'')은 8각형일 수 있다.
또한, 제1 외측 지지부(112)와 제2 외측 지지부(122)는 외측 밴드(12) 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된 부분의 반경방향 안쪽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외측 지지부(112)와 제2 외측 지지부(122)간의 이격된 부분에서는 외측 홀 층의 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2 외측 지지부(112, 122)가 연결된 부분의 반경방향 안쪽 부분에서, 외측 홀 층의 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홀 층(133)의 홀(134)은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2 외측 지지부(112, 122)간에 연결된 부분과 제1, 2 중앙 지지부(113, 123) 간에 연결된 부분에 의해, 외측 홀 층의 제1 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 홀 층의 제1 홀(134')은 제1, 2 외측 지지부(112, 122)간에 연결된 부분과 제1, 2 중앙 지지부(113, 123) 간에 연결된 부분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2 외측 지지부(112, 122)간에 연결된 부분과 제1, 2 외측 연장부(115, 125) 간에 연결된 부분에 의해, 외측 홀 층의 제2 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 홀 층의 제2 홀(134'')은 제1, 2 외측 지지부(112, 122)간에 연결된 부분과 제1, 2 외측 연장부(115, 125) 간에 연결된 부분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홀 층(133)의 제1 홀(134') 및 외측 홀 층(133)의 제2 홀(134'')의 배열, 형상은 내측 홀 층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 홀 층의 제1 홀(134')와 외측 홀 층의 제2 홀(134'')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홀 층의 제1 홀(134')은 외측 홀 층의 제2 홀(134'')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외측 홀 층의 제2 홀(134'')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중앙 지지부(113)와 제2 중앙 지지부(123) 간의 이격/연결에 의해 중간 홀 층(135)의 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앙 지지부(113)가 2개의 제2 중앙 지지부(123)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될 경우, 제1 중앙 지지부(113)는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123')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앙 지지부(113)는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123'') 측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중앙 지지부(113)는 2개의 제2 중앙 지지부 중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123')와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이와 함께, 2개의 제2 중앙 지지부 중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123'')와도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123')도 제1 중앙 지지부(113)와 마찬가지로, 제1 중앙 지지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으로 인해, 제1 중앙 지지부(113)와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123')는 중간 홀 층(135)의 홀(13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중간 홀 층(135)의 홀(136)은 내측 홀 층(131)과 외측 홀 층(133)의 사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홀 층(135)의 홀(136)은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제1 중앙 지지부(113)와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123'')는 중간 부분에서 인접하고, 내측 밴드(11) 측과 외측 밴드(12) 측에서 이격된다. 내측 밴드(11) 측에서 이격된 제1, 2 중앙 지지부(113, 123'')는 내측 홀 층의 제1홀(132')의 형성에 기여하고, 외측 밴드(12) 측에서 이격된 제1, 2 중앙 지지부(113, 123'')는 외측 홀 층의 제1홀(134')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 홀 층(131)의 제1홀(132')은 제1, 2 내측 지지부(111, 121) 및 제1, 2 중앙 지지부(113, 1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홀 층(133)의 제1홀(134')은 제1, 2 외측 지지부(112, 122) 및 제1, 2 중앙 지지부(113, 1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2 내측 연장부(114, 124)는 이러한 내측 홀 층(131)의 제1홀(132')의 형성 및 외측 홀 층(133)의 제1홀(134')의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다.
또한, 내측 홀 층(131)의 홀(132)은 중간 홀 층(135)의 홀(136)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 홀 층(133)의 홀(134)도 중간 홀 층(135)의 홀(136)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간 홀 층(135)의 홀(136)은 내측 홀 층(131)의 홀(132) 및 외측 홀 층(133)의 홀(134) 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측 홀 층(131)과 외측 홀 층(133)은 중간 홀 층(136)을 중심으로 대칭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중간 홀 층(135)의 홀(136)의 내측 밴드(11) 측에는 내측 홀 층(131)의 홀(132)이 배열될 수 있고, 중간 홀 층(135)의 홀(136)의 외측 밴드(12) 측에는 외측 홀 층(133)의 홀(134)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홀 층(131)의 일부 홀(132), 중간 홀 층(135)의 홀(136) 및 외측 홀 층(133)의 일부 홀(134)은 반경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홀 층의 제2홀(132''), 중간 홀 층의 홀(136) 및 외측 홀 층의 제2 홀(134'')은 반경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의 단면 형상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제1 스포크(210), 제2 스포크(220)를 포함하는 스포크부(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포크(210) 및 제2 스포크(220)는 각각 틸트부(211,212; 221,222) 및 연장부(213; 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포크(210)는 축방향 일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1 틸트부(211)와 축방향 타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2 틸트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210)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진 제1 틸트부(211)와 제2 틸트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틸트부(211)와 제2 틸트부(212)는 반경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틸트부(211, 21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밴드(11) 및 외측 밴드(12)를 연결한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210)는 내측 밴드(11) 및 외측 밴드(12)와 연결되고, 반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된다. 이러한 틸트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포크(220)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제1 스포크(210)와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포크(220)도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진 제1 틸트부(221)와 제2 틸트부(222)가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스포크(220)의 제1 틸트부(221)와 제2 틸트부(222)가 배치되는 방향은 제1 스포크(210)의 제1 틸트부(211)와 제2 틸트부(212)가 배치되는 방향과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포크(210)가 내측 밴드(11)로부터 반경방향(ra)을 따라 제1 틸트부(211), 제2 틸트부(212)의 순서로 배치되어 구성될 경우, 제2 스포크(220)가 내측 밴드(11)로부터 반경방향(ra)을 따라 제2 틸트부(222), 제1 틸트부(221)의 순서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틸트부(221, 222)는 반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또한, 제1 및 제2 틸트부(221, 222)가 만나는 지점에서는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포크(210)의 모서리에는 제1 연장부(213)가 구비되고, 제2 스포크(220)의 모서리에는 제2 연장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연장부(213, 223)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2 연장부(213, 223)는 밴드부(10)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포크(210)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213)는 제1 스포크(210)의 모서리가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210)의 모서리 중 축방향 일측을 향하는 모서리로부터 축방향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축방향 타측을 향하는 모서리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제1 스포크(210)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스포크(220)에 구비되는 제2 연장부(223)는, 제2 스포크(220)의 모서리가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스포크(210)와 제2 스포크(220)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므로, 제1 스포크(210)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213)와 제2 스포크(220)에 구비되는 제2 연장부(223)는 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210)의 제1 연장부(213) 중 제2 스포크(2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연장부(213')와 제2 스포크(220)의 제2 연장부(223) 중 제1 스포크(210)를 향하는 제2 연장부(223')는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제1 스포크(210)의 모서리와 축방향 타측으로 돌출된 제2 스포크(220)의 모서리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된다.
제1 스포크(210), 제2 스포크(220) 및 밴드부(10)에 의해 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홀(25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 밴드(11)측의 홀(250)과 외측 밴드 측(12)의 홀(250)은 동일한 폭(축방향 길이)과 높이(반경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홀(250)은 높이보다 큰 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250)은 육각홀(251)과 반육각홀(252)로 구성될 수 있다. 육각홀(251)은 제1 스포크(210), 제2 스포크(220) 및 연장부(213, 2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밴드(11) 또는 외측 밴드(12) 측에 배치된 육각홀(251)은 제1 스포크(210), 제2 스포크(220) 및 밴드부(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육각홀(252)은 제1 스포크(210), 제2 스포크(220) 및 밴드부(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육각홀(252)은 내측 밴드(11) 측 및 외측 밴드(12)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육각 홀(251)과 반육각홀(252)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밴드(11) 측에서의 홀의 배열과, 외측 밴드(12) 측에서의 홀의 배열은,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의 단면 형상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스포크(310) 및 제2 스포크(320)는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 사이에서 반경방향(r)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포크(310)는 축방향 일측을 향하면서 내측 밴드(11)로부터 반경방향(r)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경사부(311); 및 축방향 일측을 향하면서 외측 밴드(12)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경사부(3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내측 경사부(311)와 제1 외측 경사부(312)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aa)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경사부(311)의 내측 단부(313)은 내측 밴드(11)와 접하면서 부드럽고 연속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제1 외측 경사부(312)의 외측 단부(314)는 외측 밴드(12)에 접하면서 부드럽고 연속적인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경사부(311)의 외측 단부 및 제1 외측 경사부(312)의 내측 단부는,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 사이에서 중심 연결부(340)를 형성하며 만날 수 있다.
제2 스포크(320)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ra)을 중심으로 제1 스포크(310)와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스포크(320)는 내측 밴드(11)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경사부(321); 및 외측 밴드(12)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경사부(3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내측 경사부(311)와 제2 외측 경사부(322)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aa)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 경사부(321)의 내측 단부(323)는 내측 밴드(11)에 접하면서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고, 제2 외측 경사부(322)의 외측 단부(324)는 외측 밴드(12)에 접하면서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 경사부(321)의 외측 단부 및 제2 외측 경사부(322)의 내측 단부는,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 사이에서 중심 연결부(340)를 형성하며 만날 수 있다. 또한, 제1 스포크(310)의 중심 연결부(340)와 제2 스포크(320)의 중심 연결부(340)는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310)의 중심 연결부(340)는 제2 스포크(320)의 중심 연결부(340)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포크(310)와 제2 스포크(320)는 내측 밴드(11) 및 외측 밴드(12) 측에서도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310)의 내측 단부(313)는 제2 스포크(320)의 내측 단부(323)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은 연속되는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스포크(310)의 외측 단부(314)는 제2 스포크(320)의 외측 단부(324)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은 연속되는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2 스포크(310, 320)는 원주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웨이브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310) 및 제2 스포크(320)는, 내측 밴드(11)와 외측 밴드(12)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웨이브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aa)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밴드(11), 외측 밴드(12), 제1 스포크(310) 및 제2 스포크(320)는 홀(3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홀(33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홀(330)의 그룹은 제1 그룹(331)의 홀(332), 제2 그룹(333)의 홀(334) 및 제3 그룹(335)의 홀(3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331)의 홀(332)은 내측 밴드(11) 측에 배열되고, 제2 그룹(333)의 홀(334)은 외측 밴드(12) 측에 배열되고, 제3 그룹(335)의 홀(336)은 제1 그룹(331)의 홀(332)과 제2 그룹(333)의 홀(334)의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그룹(331)의 홀(332)은 축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그룹(331)의 홀(332)은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외측 밴드(11)를 향하여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그룹(333)의 홀(334)은 축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그룹(333)의 홀(334)은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측 밴드(12)를 향하여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그룹(335)의 홀(336)은 마름모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경방향에서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의 단면 형상은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도 1의 A-A'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제1 스포크(410), 제2 스포크(420)를 포함하는 스포크부(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포크(410) 및 제2 스포크(420)는 각각 인클라인부(411, 412, 413, 414; 421, 422, 423, 424) 및 반원부(415; 4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포크(410) 및 제2 스포크(420)는 각각 내측 밴드(11)와 연결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외측 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인클라인부(411; 421), 제1 인클라인부(411; 421)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기울어지며 외측 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인클라인부(412; 422), 제2 인클라인부(412; 422)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외측 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인클라인부(413; 423), 제3 인클라인부(413; 423)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기울어지며 외측 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4 인클라인부(414; 424), 및 제4 인클라인부(414; 424)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제4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와 외측 밴드(12)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반원부(415; 4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클라인부(411, 412, 413, 414; 421, 422, 423, 424) 와 반원부(415; 425)는 내측 밴드(11)로부터 외측 밴드(12)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인클라인부(411; 421), 제2 인클라인부(412; 422), 제3 인클라인부(413; 423), 제4 인클라인부(414; 424) 및 반원부(415; 425)의 순서로 배열된다.
또한, 제1, 2, 3 및 4 인클라인부(411, 412, 413, 414; 421, 422, 423, 424) 는 각각 그 단부에서 다른 인클라인부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인클라인부(411)의 외측 단부와 제2 인클라인부(412)의 내측 단부가 연결되며, 제3 인클라인부의 내측 단부와 제2 인클라인부(412)의 외측 단부가 연결된다. 다시 말해, 제1, 2, 3 및 4 인클라인부(411, 412, 413, 414)는 반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클라인부(411)와 제3 인클라인부(413)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축방향 일측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제2 인클라인부(412)와 제4 인클라인부(414)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축방향 타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제1 인클라인부(411)와 제3 인클라인부(413)가 기울어진 방향과 제2 인클라인부(412)와 제4 인클라인부(414)가 기울어진 방향은 반대이다.
또한, 제4 인클라인부(414)의 기울기보다 제3 인클라인부(413)의 기울기가 더 크고, 제3 인클라인부(413)의 기울기보다 제2 인클라인부(412)의 기울기가 더 크며, 제2 인클라인부(412)의 기울기보다 제1 인클라인부(411)의 기울기가 더 크다. 여기서, '기울기'는 인클라인부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사이의 예각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예각은 축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제1, 2, 3 및 4 인클라인부(411, 412, 413, 414)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반원부(415)는 제4 인클라인부(414)와 외측 밴드(12)를 연결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반원부(415)의 내측 단부는 제4 인클라인부(414)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반원부(415)의 외측 단부는 외측 밴드(12)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는 축방향 일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열된다.
제2 스포크(420)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제1 스포크(410)와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스포크부(420)는 제1 인클라인부(421), 제2 인클라인부(422), 제3 인클라인부(423), 제4 인클라인부(424) 및 반원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클라인부와 반원부는 내측 밴드(11)로부터 외측 밴드(12)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인클라인부(421), 제2 인클라인부(422), 제3 인클라인부(423), 제4 인클라인부(424) 및 반원부(425)의 순서로 배열된다.
또한, 제1, 2, 3 및 4 인클라인부(421, 422, 423, 424)는 각각 그 단부에서 다른 인클라인부와 연결되고, 반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포크(420)는 제1 스포크(410)와 대칭이므로, 제2 스포크(420)의 인클라인부(421, 422, 423, 424)가 기울어진 방향은 제1 스포크(410)의 인클라인부(411, 412, 413, 414)가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이다. 다시 말해, 제2 스포크(420)의 제1 인클라인부(421)와 제3 인클라인부(423)는 축방향 타측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제2 인클라인부(422)와 제4 인클라인부(424)는 축방향 일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4 인클라인부(424)의 기울기보다 제3 인클라인부(423)의 기울기가 더 크고, 제3 인클라인부(423)의 기울기보다 제2 인클라인부(422)의 기울기가 더 크며, 제2 인클라인부(422)의 기울기보다 제1 인클라인부(421)의 기울기가 더 크다. 또한, 제1, 2, 3 및 4 인클라인부(421, 422, 423, 424)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반원부(425)는 제4 인클라인부(424)와 외측 밴드(12)를 연결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반원부(425)의 내측 단부는 제4 인클라인부(424)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반원부(425)의 외측 단부는 외측 밴드(12)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는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와 대칭이므로, 축방향 타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열된다. 한편,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와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는 외측 밴드(12)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와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 서로 연결되면서, 외측 밴드(12)에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포크(410) 및 제2 스포크(42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2 스포크(410, 420)의 인클라인부(411, 412, 413, 414; 421, 422, 423, 424)는 연속되는 원주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방향을 따라 일측의 제1 스포크(410'), 일측의 제2 스포크(420'), 타측의 제1 스포크(410'') 및 타측의 제2 스포크(420'')가 차례대로 배열될 때, 일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1 인클라인부(411) 일측의 제2 스포크(420')의 제2 인클라인부(422), 타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3 인클라인부(413) 및 타측의 제2 스포크(420'')의 제4 인클라인부(424)는 연속적이고 부드러운 단일한 원주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1 인클라인부(411)의 외측 단부와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2 인클라인부(412)의 내측 단부는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축방향을 따라 일측의 제1 스포크(410'), 제2 스포크(420') 및 타측의 제1 스포크(410'')가 차례로 배열될 때, 일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1 인클라인부(411)의 외측 단부와 제2 스포크(420')의 제1 인클라인부(421)의 외측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에, 일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2 인클라인부(412)의 내측 단부와 제2 스포크(420')의 제2 인클라인부(422)의 내측 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일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3 인클라인부(413)의 외측 단부와 제2 스포크(420')의 제3 인클라인부(423)의 외측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3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에, 일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4 인클라인부(414)의 내측 단부와 제2 스포크(420')의 제4 인클라인부(424)의 내측 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일측의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 와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는 서로 이격된다.
또한 이 경우, 제2 스포크(420'')의 제2 인클라인부(422)의 외측 단부와 타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2 인클라인부(412)의 외측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에, 제2 스포크(420')의 제3 인클라인부(423)의 내측 단부와 타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3 인클라인부(413)의 내측 단부가 연결된다. 제2 스포크(420')의 제4 인클라인부(424)의 외측 단부와 타측의 제1 스포크(410'')의 제4 인클라인부(414)의 외측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의 단부와 타측의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의 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4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에,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의 내측 단부와 타측의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의 내측 단부가 연결된다.
한편, 이러한 제1 스포크(410)의 인클라인부와 제2 스포크(420)의 인클라인부 간의 이격/연결; 및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 및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 간의 이격/연결에 의해, 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1 인클라인부(411, 421)와 내측 밴드(11)는 제1 타입 홀(431)을 형성한다.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2 인클라인부(412, 422)와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1 인클라인부(411, 421)는 제2 타입 홀(432)을 형성한다.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3 인클라인부(413, 423)와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2 인클라인부(412, 422)는 제3 타입 홀(433)을 형성한다.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4 인클라인부(414, 424)와 제1, 2 스포크(410, 420)의 제3 인클라인부(413, 423)는 제4 타입 홀(434)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2 스포크(410, 420)의 인클라인부(411, 412, 413, 414; 421, 422, 423, 424)에 의해 형성되는 홀은 다각형 일 수 있다. 또한,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 제1 스포크(410)의 제4 인클라인부(414) 및 제2 스포크(420)의 제4 인클라인부(424)는 제5 타입 홀(435)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스포크(410)의 반원부(415)와 제2 스포크(420)의 반원부(425)는 원형 홀(436)을 형성한다.
또한, 제2 타입 홀(432)은 제1 타입 홀(431)과 제3 타입 홀(433)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4 타입 홀(434)은 제 3 타입 홀(433), 제5 타입 홀(435) 및 원형 홀(436)의 사이에 배치된다. 원형 홀(436)은 제5 타입 홀(435)의 사이에 배치된다. 원형 홀(436)과 제5 타입 홀(435)은 외측 밴드(12) 측에 배치되고, 원형 홀(436)과 제5 타입 홀(435)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타입 홀(432)은 제3 타입 홀(433) 보다 크게 구성되며, 제3 타입 홀(433)는 제4 타입 홀(434) 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스포크부(20)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축방향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비공기입 타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스포크(110, 210, 310, 410) 및 제2 스포크(120, 220, 320, 420) 중 하나 이상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5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공(5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통공(500)은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반경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공(500)의 크기와 개수는 타이어 규격이 커짐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통공(500)은 스포크(20)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스포크(20)는 지면으로부터 충격 등에 의해 반복 변형되고, 이러한 반복 변형에 따라 열이 발생하게 된다. 스포크(20)의 통공(500)은 이러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되게 도와준다. 또한, 통공(500)이 구비됨으로써 타이어(1)의 중량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내측 밴드(11), 외측 밴드(12), 제1 스포크(110, 210, 310, 410) 및 제2 스포크(120, 220, 320, 420)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내측 밴드(11), 외측 밴드(12), 제1 스포크(110, 210, 310, 410) 및 제2 스포크(120, 220, 320, 420) 중 하나 이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밴드(11), 외측 밴드(12), 제1 스포크(110, 210, 310, 410) 및 제2 스포크(120, 220, 320, 420)는 모두 연속되는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속되는 단일 부재는 3D 프린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예로, 내측 밴드(11)의 어느 일부, 외측 밴드(12)의 어느 일부 및 제1 스포크(110, 210, 310, 410)가 하나의 단일 부재로 형성되고, 내측 밴드(11)의 다른 일부, 외측 밴드(12)의 다른 일부 및 제2 스포크(120, 220, 320, 420)가 다른 하나의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부재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으로 각각 형성된 후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분리 사출 성형), 이러한 각 단일 부재의 사출성형은 축방향을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비공기입 타이어 10: 밴드부
11: 내측 밴드 12: 외측 밴드
13: 쉐어 밴드 20: 스포크부
30: 트레드 110; 210; 310; 410: 제1 스포크
120; 220; 320; 420: 제2 스포크 130; 250; 330; 430: 홀
111: 제1 내측 지지부 112: 제1 외측 지지부
113: 제1 중앙 지지부 114: 제1 내측 연장부
115: 제1 외측 연장부 121: 제2 내측 지지부
122: 제2 외측 지지부 123: 제2 중앙 지지부
123': 일측의 중앙부 123'': 타측의 중앙부
124: 제2 내측 연장부 125: 제2 외측 연장부
131: 내측 홀 층 132: 내측 홀 층의 홀
132': 내측 홀 층의 제1 홀 132'': 내측 홀 층의 제2 홀
133: 외측 홀 층 134: 외측 홀 층의 홀
134': 외측 홀 층의 제1 홀 134'': 외측 홀 층의 제2 홀
135: 중간 홀 층 136: 중간 홀 층의 홀
211, 221: 제1 틸트부 212, 222: 제2 틸트부
213: 제1 연장부 223: 제2 연장부
250: 홀 251: 육각 홀
252: 반육각홀 311: 제1 내측 경사부
312: 제1 외측 경사부 313, 323: 내측단부
314, 324: 외측단부 321: 제2 내측 경사부
322: 제2 외측 경사부 331: 제1 그룹
332: 제1 그룹의 홀 333: 제2 그룹
334: 제2 그룹의 홀 335: 제3 그룹
336: 제3 그룹의 홀 411, 421: 제1 인클라인부
412, 422: 제2 인클라인부 413, 423: 제3 인클라인부
414, 424: 제4 인클라인부 415, 425: 반원부
431: 제1 타입 홀 432: 제2 타입 홀
433: 제3 타입 홀 434: 제4 타입 홀
435: 제5 타입 홀 436: 원형 홀

Claims (36)

  1. 삭제
  2. 내측 밴드 및 외측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밴드는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원주방향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는 제1 스포크 및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포크는,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 상기 스포크부를 지지하는 제1 내측 지지부;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 상기 스포크부를 지지하는 제1 외측 지지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반경 방향의 내측 단부가 상기 제1 내측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가 상기 제1 외측 지지부를 연결되는 제1 중앙 지지부;
    상기 제1 내측 지지부와 상기 제1 중앙 지지부에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연장부; 및
    상기 제1 외측 지지부와 상기 제1 중앙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측 연장부보다 바깥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 상기 스포크부를 지지하는 제2 내측 지지부;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 상기 스포크부를 지지하는 제2 외측 지지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반경 방향의 내측 단부가 상기 제2 내측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가 상기 제2 외측 지지부를 연결되는 제2 중앙 지지부;
    일측에서 상기 제2 내측 지지부와 상기 제2 중앙 지지부에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에서 상기 제1 내측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내측 연장부; 및
    일측에서 상기 제2 외측 지지부와 상기 제2 중앙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내측 연장부보다 바깥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에서 상기 제2 내측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외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형상의 상기 홀은 상기 제1 스포크 및 상기 제2 스포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앙 지지부는, 축방향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와 축방향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중앙 지지부는,
    상기 축방향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 및 상기 축방향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홀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고, 상기 반경 방향의 내측 단부와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 사이에서 상기 축방향 일측의 제2 중앙 지지부와 상기 축방향 타측의 제2 중앙 지지부 중 다른 하나와 접촉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지지부 및 상기 제2 외측 지지부는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내측 부분에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측 지지부 및 상기 제2 내측 지지부는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외측 부분에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측 연장부 및 제2 내측 연장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외측 연장부 및 제2 외측 연장부는 서로 연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 중 적어도 하나는 모서리를 가지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홀 층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 층은
    상기 내측 밴드 측의 내측 홀 층; 상기 외측 밴드 측의 외측 홀 층; 및 상기 내측 홀 층과 상기 외측 홀 층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홀 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홀 층은 상기 중간 홀 층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홀을 가지는 비공기입 타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홀 층은 상기 중간 홀 층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홀을 가지는 비공기입 타이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홀 층과 상기 외측 홀 층은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홀 층의 일부 홀, 상기 중간 홀 층, 및 상기 외측 홀 층의 일부 홀은 반경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홀 층과 상기 외측 홀 층은 상기 중간 홀 층을 중심으로 대칭하도록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홀 층, 상기 내측 홀 층 및 상기 중간 홀 층의 홀은, 복수 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다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 홀 층의 외측에는 상기 외측 홀 층이 배치되고, 상기 중간 홀 층의 내측에는 상기 내측 홀 층이 배치되며,
    상기 외측 홀 층, 상기 내측 홀 층 및 상기 중간 홀 층에 구비되는 홀은,
    상기 중간 홀 층의 홀을 구성하는 변과 상기 내측 홀 층의 홀을 구성하는 변이 마주보고, 상기 중간 홀 층의 홀을 구성하는 변과 상기 외측 홀 층의 홀을 구성하는 변이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2. 내측 밴드 및 외측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밴드는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원주방향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는,
    모서리를 형성하면서, 반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하는 제1 스포크;
    모서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스포크와 대응되도록 반경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하는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포크는, 상기 제1 스포크의 모서리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상기 제2 스포크의 모서리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면형상의 상기 홀은 상기 제1 스포크, 상기 제2 스포크,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밴드 측의 홀과 상기 외측 밴드 측의 홀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비공기입 타이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와 상기 제2 스포크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는 축방향 일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1 틸트부와 축방향 타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2 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틸트부와 상기 제2 틸트부는 반경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트부와 상기 제2 틸트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축방향을 향하는 상기 모서리가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는 축방향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스포크의 모서리로부터 축방향 일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2 스포크는 축방향 타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스포크의 모서리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적어도 일부는 축방향을 향해 배열된 꼭지점을 가지는 육각형인 비공기입 타이어.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육각형 홀과 반육각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 상기 육각형 홀과 반육각홀이 축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되고,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 상기 육각형 홀과 반육각홀이 축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되며,
    상기 내측 밴드 측에서의 홀의 배열과 상기 외측 밴드 측에서의 홀의 배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19. 내측 밴드 및 외측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밴드는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원주방향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는 제1 스포크 및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포크는,
    내측 밴드로부터 축방향 일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경사부 및
    외측 밴드로부터 축방향 일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내측 밴드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경사부 및
    외측 밴드로부터 축방향 타측을 향하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와 및 상기 제1 외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는 중심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내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와 및 상기 제2 외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는 중심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 내측 경사부의 내측 단부는 연속되는 곡선형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외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외측 경사부의 외측 단부는 연속되는 곡선형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서로 연결되며,
    복수 개로 제공되어 제1 내지 제3 그룹의 홀을 구성하고,
    상기 제1 그룹의 홀은 상기 내측 밴드 측에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그룹의 홀은 상기 외측 밴드 측에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3 그룹의 홀은 상기 제1 그룹의 홀과 상기 제2 그룹의 홀의 사이에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내측 밴드 및 외측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밴드는 상기 내측 밴드와 이격되며 상기 내측 밴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내측 밴드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원주방향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스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부는 제1 스포크 및 제2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포크 및 상기 제2 스포크는 각각,
    상기 내측 밴드와 연결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외측 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제1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외측 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외측 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인클라인부;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외측 밴드를 향해 연장되는 제4 인클라인부; 및
    상기 제4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와 상기 외측 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일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반원부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의 제1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2 스포크의 제2 인클라인부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4 인클라인부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4 인클라인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반원부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인클라인부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기울기가 더 크고,
    상기 제3 인클라인부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2 인클라인부의 기울기가 더 크며,
    상기 제2 인클라인부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1 인클라인부의 기울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는 일측의 제1 스포크 및 타측의 제1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포크는 일측의 제2 스포크 및 타측의 제2 스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의 제1 스포크와, 상기 일측 및 타측의 제2 스포크는,
    상기 일측의 제1 스포크, 상기 일측의 제2 스포크 상기 타측의 제1 스포크, 및 상기 타측의 제2 스포크의 순서로 배열되며,
    상기 일측의 제1 스포크의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일측의 제2 스포크의 제2 인클라인부, 상기 타측의 제1 스포크의 제3 인클라인부 및 타측의 제2 스포크의 제4 인클라인부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일한 원주를 구성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1 인클라인부 및 상기 내측 밴드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타입 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1 인클라인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 및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타입 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2 인클라인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 및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3 타입 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3 인클라인부, 상기 제1 스포크의 상기 제4 인클라인부, 및 상기 제2 스포크의 상기 제4 인클라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4 타입 홀;
    상기 제1 스포크의 반원부, 상기 제2 스포크의 반원부, 제1 스포크의 제4 인클라인부 및 제2 스포크의 제4 인클라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5 타입 홀; 및
    상기 제1 스포크의 반원부 및 상기 제2 스포크의 반원부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홀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홀은 상기 제1 타입 홀과 상기 제3 타입 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타입 홀은 상기 제3 타입 홀 상기 제5 타입 홀 및 원형 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홀은 상기 제3 타입 홀 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3 타입 홀은 상기 제4 타입 홀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비공기입 타이어.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타입 홀과 상기 원형 홀은 상기 외측 밴드 측에 배열되고,
    상기 제5 타입 홀과 상기 원형 홀은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33.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9 항, 제 25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포크 및 상기 제2 스포크 중 하나 이상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제공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34.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9 항, 제 25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레핀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35.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9 항, 제 25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인장 탄성율이 30MPa이상 200MPa 이하로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36.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9 항, 제 25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굽힘 탄성율이 40MPa이상 300MPa이하로 구비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1020160097414A 2016-07-29 2016-07-29 비공기입 타이어 KR101796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14A KR101796231B1 (ko) 2016-07-29 2016-07-29 비공기입 타이어
US15/643,804 US10538130B2 (en) 2016-07-29 2017-07-07 Non-pneumatic tire
DE102017115456.6A DE102017115456B4 (de) 2016-07-29 2017-07-11 Luftloser Reifen
JP2017137083A JP6493864B2 (ja) 2016-07-29 2017-07-13 非空気入りタイヤ
CN201710632522.7A CN107662456B (zh) 2016-07-29 2017-07-28 非充气轮胎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14A KR101796231B1 (ko) 2016-07-29 2016-07-29 비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231B1 true KR101796231B1 (ko) 2017-12-01

Family

ID=6092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414A KR101796231B1 (ko) 2016-07-29 2016-07-29 비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8130B2 (ko)
JP (1) JP6493864B2 (ko)
KR (1) KR101796231B1 (ko)
CN (1) CN107662456B (ko)
DE (1) DE102017115456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09A (ko) * 2018-11-05 2020-05-14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US20200376890A1 (en) * 2017-12-21 2020-12-03 Steven M. Cron Reinforced annular support for a ti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8790B2 (en) * 2016-04-13 2022-05-03 The Goodyear Tire & Robber Company Shear band and non-pneumatic tire
US20180154694A1 (en) * 2016-12-01 2018-06-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Lightweight tire assembly
KR101924107B1 (ko) * 2017-04-07 2018-11-3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반 공기입 타이어
KR101977349B1 (ko) * 2017-11-16 2019-05-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제작방법
CN111989226B (zh) * 2018-04-20 2024-03-29 米其林集团总公司 具有可模制的加强型热塑性聚氨酯轮辐的非充气车轮及其制备方法
CN113226799A (zh) * 2019-01-04 2021-08-06 普利司通美国轮胎运营有限责任公司 具有带层的轮胎胎面
CN110039957B (zh) * 2019-04-24 2023-11-03 北京化工大学 一种安全绿色节能降噪非充气轮胎
US11772424B2 (en) 2019-06-14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rviceable non-pneumatic tire and wheel assemblies
US11577550B2 (en) 2019-06-14 2023-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rviceable non-pneumatic tire and wheel assemblies
KR102211026B1 (ko) * 2019-08-07 2021-02-0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CN114641399B (zh) * 2019-11-27 2023-09-29 米其林集团总公司 将轮辐组装到免充气轮胎中的方法
WO2021153161A1 (ja) * 2020-01-28 2021-08-0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US20210260921A1 (en) * 2020-02-26 2021-08-26 The Carlstar Group Llc Non-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4200140A1 (en) * 2020-08-18 2023-06-28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tread with a band layer
CN112297715A (zh) * 2020-11-09 2021-02-02 芜湖集拓实心胎有限公司 一种高强度免充气实心轮胎
US20220379661A1 (en) * 2021-05-27 2022-12-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Non-pneumatic tire and rim assembly
CN113942345A (zh) * 2021-10-22 2022-01-18 芜湖集拓实心胎有限公司 一种能够适应恶劣环境的实心胎
CN114987118B (zh) * 2022-05-31 2023-03-3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仿生蜘蛛网径线和周线组成的非充气车轮结构
US20230405950A1 (en) 2022-06-20 2023-12-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non-pneumatic tires
WO2024091756A1 (en) * 2022-10-26 2024-05-02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Flexure member for non-pneumatic tire spoke compon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2666A (ja) * 2007-03-27 2010-07-08 リズィーリエント・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張力に基づいた非空気圧式タイヤ
JP2014100932A (ja) * 2012-11-16 2014-06-05 Toyo Tire & Rubber Co Ltd 非空気圧タイヤ
JP2014125081A (ja) * 2012-12-26 2014-07-07 Bridgestone Corp 非空気入りタイヤ
JP2015151006A (ja) * 2014-02-14 2015-08-2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35194A (en) * 1923-11-08 1927-07-12 Goodyear Tire & Rubber Cushion tire
US8109308B2 (en) 2007-03-27 2012-02-07 Resilient Technologies LLC. Tension-based non-pneumatic tire
EP2177375A4 (en) * 2007-07-31 2013-07-17 Toyo Tire & Rubber Co NON-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18527A (ko) 2009-08-18 2011-02-24 이태환 비공기압 바퀴구조체
KR101301578B1 (ko) * 2010-12-08 2013-08-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압 타이어
KR101362120B1 (ko) 2011-11-22 2014-02-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에어리스 타이어
US9573422B2 (en) * 2012-03-15 2017-02-21 Polaris Industries Inc. Non-pneumatic tire
US10179476B2 (en) * 2012-10-29 2019-01-1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Collapsible wheels and methods of making collapsible wheels
CN203344626U (zh) 2013-06-25 2013-12-18 南京航空航天大学 弹性车轮
PL404592A1 (pl) 2013-07-08 2015-01-19 Ryszard Gawerski Koło jezdne z oponą nie pneumatyczną
CN103707712A (zh) 2013-12-25 2014-04-09 南京航空航天大学 双向弹性辐板式蜂窝结构安全车轮
US10532611B2 (en) 2014-12-22 2020-01-14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and wheel assembly having angled interfaces
KR20160097414A (ko) 2015-02-06 2016-08-18 이강우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 디바이스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2666A (ja) * 2007-03-27 2010-07-08 リズィーリエント・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張力に基づいた非空気圧式タイヤ
JP2014100932A (ja) * 2012-11-16 2014-06-05 Toyo Tire & Rubber Co Ltd 非空気圧タイヤ
JP2014125081A (ja) * 2012-12-26 2014-07-07 Bridgestone Corp 非空気入りタイヤ
JP2015151006A (ja) * 2014-02-14 2015-08-2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76890A1 (en) * 2017-12-21 2020-12-03 Steven M. Cron Reinforced annular support for a tire
US11654717B2 (en) * 2017-12-21 2023-05-23 Compagnie Generale Des Establissements Michelin Reinforced annular support for a tire
KR20200051909A (ko) * 2018-11-05 2020-05-14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JP2020075715A (ja) * 2018-11-05 2020-05-21 ハンコック タイヤ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Hankook Tire & Technology Co., Ltd.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2127668B1 (ko) * 2018-11-05 2020-06-30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16304A (ja) 2018-02-01
CN107662456B (zh) 2020-01-07
JP6493864B2 (ja) 2019-04-03
US10538130B2 (en) 2020-01-21
DE102017115456A1 (de) 2018-02-01
DE102017115456B4 (de) 2021-06-17
CN107662456A (zh) 2018-02-06
US20180029419A1 (en)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231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839537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859741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84165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301578B1 (ko) 비공기압 타이어
KR20160101006A (ko) 에어리스 타이어
JP2018188097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5774905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2018188096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81866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6911255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6535498B2 (ja) 非空気圧タイヤ
RU2581315C2 (ru) Шина для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543846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1818664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866499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519881B1 (ko) 차량용 비공기입 타이어
KR10184647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2013018427A (ja) 非空気圧タイヤ
JP7452961B2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2437390B1 (ko) 비공기압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