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355B1 -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355B1
KR101795355B1 KR1020160091517A KR20160091517A KR101795355B1 KR 101795355 B1 KR101795355 B1 KR 101795355B1 KR 1020160091517 A KR1020160091517 A KR 1020160091517A KR 20160091517 A KR20160091517 A KR 20160091517A KR 101795355 B1 KR101795355 B1 KR 10179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keyboard
information
no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욱
Original Assignee
크리에이티브유니온 주식회사
양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에이티브유니온 주식회사, 양재욱 filed Critical 크리에이티브유니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355B1/ko
Priority to PCT/KR2017/006227 priority patent/WO201801673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5/00Combinations with other musical instruments, e.g. with bells or xyl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10C5/005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4Transposing; Transcrib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05Composing aid, e.g. for supporting creation, edition or modification of a piece of mu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은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입력되는 건반 위치에 따라 입력MIDI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수신 받은 코드MIDI신호, 노트MIDI신호, 및 화음 노트 정보들과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 중에서 선택적으로 단독 또는 합성에 의해 음향으로 출력하는 작곡용 키보드; 및 상기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입력MIDI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MIDI신호와 수신된 상기 입력MIDI신호로 생성되는 상기 노트MIDI신호, 및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곡용 키보드에 전송하며, 상기 신호들과 상기 화음 노트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선택적으로 작곡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작곡정보를 음향으로 재생하는 작곡용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화음 노트 정보는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을 나타내는 구성음 노트 정보와, 상기 구성음과 불협 화음을 이루는 불협음을 나타내는 불협음 노트 정보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Composing System of Used Terminal for Composing Inter Locking Keyboard for Composing}
본 발명은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음악의 작곡을 위한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하여 작곡 시에 진행되는 코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진행 코드와 멜로디의 노트 사이에 불협이 나는 불협음이 발생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하면서 작곡 정보를 저장하여 작곡을 실시하는 것으로, 작곡용 단말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행태로 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곡의 용의성을 향상시키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곡(Composition)은 일정한 질서에 따라 노트를 조립하여 음악작품을 창조하는 작업으로, 음악의 구성요소인 주선율을 만드는 작업이다.
전통적으로 작곡법은 넓은 의미로는, 선율학, 화성학, 대위법, 악식론(음악형식학), 리듬론 내지 양식론, 관현악기론 및 관현악법 등, 대체로 작곡에 관한 모든 부문을 포괄한다. 즉, 전통적인 작곡법은 클래식 음악을 기본으로 다양한 악기의 조합과 상술된 학문에 기초한 노트의 조합 및 재조합을 실시하여 악보를 제작하고, 제작된 악보를 통해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클래식 음악의 작곡법이 학문적으로 너무 어렵고, 악기 구성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작곡 방식이 도입되어야 함에 따라 학문적인 전문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최근에 대중적인 음악은 악기의 구성이 단순하고, 청취자가 용이하게 즐길 수 있도록 전통적인 음악의 복잡한 노트의 구성이 아닌 단순한 노트의 조합 및 재조합으로 작곡을 시행하고 있다.
이런, 대중적인 음악의 작곡은 통상적으로, 가사를 기반으로 화음으로 불리우는 코드, 및 주선율과 부선율을 포함하는 개념인 멜로디를 창작하거나, 멜로디와 코드를 창작한 후에 그 영감으로 가사를 작사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연주용 키보드에 다양한 악기의 음원이 녹음되어 다양한 악기의 음원을 연주할 수 있고, 주로 사용되는 코드가 녹음되어 있어 선택한 코드 진행이 재생되면서 멜로디를 연주하면서 작곡을 실시하고, 작곡된 노트의 조합을 악보에 기재하여 작곡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진행되는 코드 별로 진행되는 코드의 노트와 일도 이전과 이후의 노트가 멜로디 노트에 포함되게 되면 상호 충돌되거나 중첩되어 멜로디의 흐름을 해치는 불협노트가 발생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곡 중에도 진행되는 코드노트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의 작곡을 위한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하여 작곡 시에 진행되는 코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진행 코드와 멜로디의 노트 사이에 불협이 나는 불협음이 발생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하면서 작곡 정보를 저장하여 작곡을 실시하는 것으로, 작곡용 단말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행태로 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곡의 용의성을 향상시키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은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입력되는 건반 위치에 따라 입력MIDI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수신 받은 코드MIDI신호, 노트MIDI신호, 및 화음 노트 정보들과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 중에서 선택적으로 단독 또는 합성에 의해 음향으로 출력하는 작곡용 키보드; 및 상기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입력MIDI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MIDI신호와 수신된 상기 입력MIDI신호로 생성되는 상기 노트MIDI신호, 및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곡용 키보드에 전송하며, 상기 신호들과 상기 화음 노트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선택적으로 작곡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작곡정보를 음향으로 재생하는 작곡용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화음 노트 정보는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을 나타내는 구성음 노트 정보와, 상기 구성음과 불협 화음을 이루는 불협음을 나타내는 불협음 노트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는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없는 불협음 노트 정보로 세분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곡용 키보드는, 사용자가 타격에 의해 건반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복수 위치에 배열되어 온음이 표시되는 백건반과 반음이 표시되는 흑건반이 구비된 건반부; 상기 건반부에서 입력받은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입력MIDI신호를 생성하는 MIDI신호생성부; 상기 MIDI신호생성부와 상기 작곡용 단말을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MIDI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를 상기 작곡용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작곡용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코드MIDI신호, 상기 노트MIDI신호,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수신하는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 상기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MIDI신호, 상기 코드MIDI신호, 상기 노트MIDI신호, 및 상기 화음 노트 정보들을 단독 또는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된 키보드음향출력부; 및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MIDI신호들과 상기 화음 노트 정보들에 따른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코드MIDI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안, 상기 건반부를 통해 건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MIDI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음향 제어부(150)는 생성된 건반 입력 신호를 현재 출력 중인 상기 코드MIDI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화음 노트 정보와 비교하여, 건반 입력 신호가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와 매칭되면 해당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를 묵음 처리하고, 해당 MIDI 신호에 묵음 플래그를 on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는 상기 건반부에서 생성된 건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MIDI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가 상기 경과음 노트 정보와 매칭되면 해당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MIDI 신호를 묵음처리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반부에는 상기 흑건반과 상기 백건반의 내측에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구비되고, 발광되는 색상, 및 강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연결되어 상기 화음노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여 구성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의 내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on 시키고, 불협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 내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off 시키도록 구비된 발광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여 상기 경과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건반부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발광부와 구성음 상기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 내측에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발광 색상 또는 발광 강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작곡용 단말은, 상기 작곡용 키보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곡용 키보드에서 생성되는 상기 입력MIDI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MIDI신호와 수신된 상기 입력MIDI신호로 생성되는 상기 노트MIDI신호, 및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상기 작곡용 키보드로 전송하는 단말통신인터페이스; 사용자가 마디별로 코드를 선택하도록 샘플코드 정보를 관리하여 재구성되는 코드 정보,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 노트 정보, 상기 구성음과 불협화음을 이루는 불협음 노트 정보, 및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를 취합하여 작곡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작곡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코드 정보, 상기 노트 정보,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 상기 경과음 노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작곡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작곡정보를 음향 출력으로 재생하도록 설치되는 단말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코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샘플 코드 관리되도록 구비되어, 마디 별로 코드 추천하고, 코드 별로 구성음 정보, 불협음 정보가 등록되어 관리되며, 상기 작곡용 키보드로부터 수신된 입력MIDI신호를 이용하여 마디 별로 코드를 재구성하거나 추천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코드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코드 관리부; 상기 작곡용 키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MIDI신호를 이용하여 마디 별로 멜로디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노트를 재구성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화면에 노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입력MIDI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구분되게 표시하는 노트 관리부; 상기 노트 관리부에서 마디별로 재구성된 상기 노트정보를 마디 별로 상기 코드 정보와 대응되는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을 나타내는 구성음 노트 정보와, 상기 구성음과 불협 화음을 이루는 불협음을 나타내는 불협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를 화음 노트에 포함하는 화음노트 정보를 생성하는 화음노트 정보 생성부; 상기 코드 관리부를 통해 재구성된 상기 코드 정보, 상기 노트 관리부를 통해 재구성된 노트 정보, 상기 화음노트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화음 노트 정보를 취합하여 작곡 정보를 생성되고, 완성된 곡 또는 작곡중인 곡을 저장하면 작업중인 코드 정보, 노트 정보 및 화음 노트 정보가 취합되어 단일의 작곡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작곡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단말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작곡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재생하면서 재생 중인 작곡 정보를 MIDI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곡용 키보드로 전송하도록 구비된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곡용 키보드의 상기 음향 제어부(150)와 상기 작곡용 단말의 상기 재생부는 시간적으로 상호 동기화된 상태에서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작곡용 키보드의 상기 음향 제어부(150)는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동기화된 타이밍에 맞게 불협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의 묵음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곡용 키보드의 상기 음향 제어부와 상기 작곡용 단말의 상기 재생부는 시간적으로 상호 동기화된 상태에서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작곡용 키보드의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동기화된 타이밍에 맞게 불협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음악의 작곡을 위해서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작곡 시에 진행되는 코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진행 코드와 멜로디의 노트 사이에 불협이 나는 불협음이 발생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하면서 곡을 저장하여 작곡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작곡용 키보드를 연주하는 것으로 불협노트를 인지하면서 작곡을 실시할 수 있어 작곡의 용이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곡되는 음악의 코드의 진행을 먼저 설정하여 코드를 진행하면서 멜로디를 작곡함에 있어, 불협노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면서 따로 저장하고, 따로 저장된 불협노트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작곡된 곡에 삽입한 상태로 저장이 가능함으로써, 불협노트이라고 하더라도 경과노트나 특색적인 노트색을 작곡에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창작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작곡용 키보드의 연주 만으로도 작곡을 실시할 수 있고, 선택된 코드 진행에 따라 연주 시에 불협노트가 연주하게 되면 불협노트 위치에서 램프 발광을 중단하거나, 묵음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불협노트를 제거한 상태로 저장한 후에 불협노트 중에서 사용자가 작곡에 포함시킬 노트를 선택하여 포함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곡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에 불협노트정보와 경과음 노트 정보에 따라 묵음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의 주요구성인 작곡용 단말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의 작곡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에 불협노트정보와 경과음 노트 정보에 따라 발광부에서 발광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작곡용 단말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장치(tablet devic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앱',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프로그램'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앱'은 또한,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기기용 '앱'을 통칭하며, 컴퓨터 장치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스크립트와 데이터의 조합을 표현한다.
'앱'은 또한, 사용자단말장치에 설치된 '네이티브 앱', 웹의 특정장소로부터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웹앱', 및 상기 두 종의 앱 특징을 모두 갖는 '하이브리드 앱'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하나 이상의 모듈로 나누고 있지만, 이러한 분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어느 한 모듈을 둘 이상의 모듈로 나누어 그 목적을 성취하거나, 반대로, 둘 이상의 모듈을 하나의 모듈로 합쳐 그 목적을 성취할 수 있노트는 물론이며, 본 발명에 의한 모듈 분류는 오직 본 발명에 의해 성취하려는 목적과 방법, 그리고 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10)은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작곡용 키보드(100) 및 작곡용 단말(200)을 포함한다.
작곡용 키보드(100)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건반부(110), MIDI신호생성부(120),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 키보드음향출력부(140), 및 음향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건반부(110)는 사용자가 타격에 의해 건반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복수 위치에 배열되어 온음이 표시되는 백건반(111)과 반음이 표시되는 흑건반(112)이 구비된다. 건반부(110)는 통상적으로 연주되는 전자식 키보드와 동일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MIDI신호생성부(120)는 건반부(110)에서 입력받은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입력MIDI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MIDI신호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입력MIDI신호는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를 통해서 작곡용 단말(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MIDI신호생성부(120) 생성되어 작곡용 단말(200)로 전송되는 입력MIDI신호에는 묵음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런, 묵음 플래그가 on 으로 설정된 입력MIDI신호는 작곡용 단말(200) 상에서 화면에 표시되거나 음원으로 저장 시에 묵음 플래그가 off 로 설정된 입력MIDI신호와 구별되어 처리될 수 있다.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는 MIDI신호생성부(120)와 작곡용 단말(200)을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MIDI신호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입력MIDI신호를 상기 작곡용 단말에 전송하고, 작곡용 단말(200)에서 생성된 코드MIDI신호, 상기 노트MIDI신호, 화음 노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된다.
화음 노트 정보는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을 나타내는 구성음 노트 정보와, 구성음과 불협 화음을 이루는 불협음을 나타내는 불협음 노트 정보가 포함되고, 불협음 노트 정보는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없는 불협음 노트 정보로 세분화될 수 있다.
키보드음향출력부(140)는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되어 입력MIDI신호, 코드MIDI신호, 노트MIDI신호, 및 화음 노트 정보들을 단독 또는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음향 제어부(150)는 키보드음향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MIDI신호들과 화음 노트 정보에 따른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MIDI신호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입력MIDI신호를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연결된 작곡용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작곡용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MIDI 신호들과 화음 노트 정보를 키보드음향출력부(140)를 통해 음향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작곡용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는 코드MIDI신호, 노트MIDI신호 및 코드MIDI신호의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화음 노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에 불협노트정보와 경과음 노트 정보에 따라 묵음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키보드음향출력부(140)를 통해 각각의 코드MIDI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S101)되는 동안, 건반부(110)를 통해 건반 입력 신호가 생성(S102)되면, 음향 제어부(150)는 생성된 건반 입력 신호를 현재 출력 중인 코드MIDI신호에 대응되는 화음 노트 정보와 비교(S103)하여, 건반 입력 신호가 불협음 노트 정보와 매칭(S104)되면 해당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MIDI 신호를 묵음 처리(S106)하고, 해당 MIDI 신호에 묵음 플래그를 on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불협음 노트 정보는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없는 불협음 노트 정보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키보드음향출력부(140)는 생성된 건반 입력 신호가 경과음 노트 정보와 매칭(S105)되면 해당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MIDI 신호를 묵음처리 하지 않을 수 있어 키보드음향출력부(140)로 음향이 출력(S107)될 수 있다.
작곡용 단말(200)은 작곡용 키보드(100)와 연결되어 각종 MIDI 신호가 송수신되는 단말통신인터페이스(210), 제어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및 단말음향출력부(250)를 포함한다.
단말통신인터페이스(210)는 작곡용 키보드(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MIDI신호생성부(120) 에서 생성되는 입력MIDI신호를 수신하고, 코드MIDI신호와 수신된 입력MIDI신호로 생성되는 노트MIDI신호, 및 화음 노트 정보를 작곡용 키보드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화음 노트 정보는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을 나타내는 구성음 노트 정보와, 구성음과 불협 화음을 이루는 불협음을 나타내는 불협음 노트 정보가 포함되고, 불협음 노트 정보는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없는 불협음 노트 정보로 세분화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마디별로 코드를 선택하도록 샘플코드 정보를 관리하여 재구성되는 코드 정보,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 노트 정보, 구성음과 불협화음을 이루는 불협음 노트 정보, 및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를 취합하여 작곡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작곡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 제어하도록 한다.
이런, 제어부(220)는 각 구성요소들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작곡용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메모리 상에서 호출하여 구동시키는 것으로, 상술된 기능별로 각각 화면에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메뉴의 선택에 의해 세부 기능들을 처리하도록 구비된다.
도 4는 도 1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의 주요구성인 작곡용 단말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코드MIDI신호가 생성되도록 샘플 코드를 관리하는 코드 관리부(221), 노트 관리부(222), 화음노트 정보 생성부(223), 작곡 정보 생성부(224), 및 재생부(2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20)의 각 구성은 작곡용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어 화면에 표시되면서 선택에 의해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코드 관리부(221)는 사용자가 코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샘플 코드 관리되도록 구비되어, 마디 별로 코드 추천하고, 코드 별로 구성음 정보, 불협음 정보가 등록되어 관리되며, MIDI신호생성부로 생성되어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입력MIDI신호를 이용하여 마디 별로 코드를 재구성하거나 추천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코드를 표시부를 제어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노트 관리부(222)는 MIDI신호생성부(120)로 생성되어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입력MIDI신호를 이용하여 마디 별로 멜로디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노트를 재구성하고 표시부(230)를 제어하여 화면에 노트 정보를 표시하고, 불협음 노트 정보와 매칭되는 입력MIDI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부(230)를 통해 화면에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화음노트 정보 생성부(223)는 노트 관리부(222)에서 마디별로 재구성된 노트정보를 마디 별로 코드 정보와 대응되는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을 나타내는 구성음 노트 정보와, 구성음과 불협 화음을 이루는 불협음을 나타내는 불협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를 화음 노트에 포함하는 화음노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작곡 정보 생성부(224)는 코드 관리부(221)를 통해 재구성된 코드 정보, 노트 관리부를 통해 재구성된 노트 정보, 화음노트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화음 노트 정보를 취합하여 작곡 정보를 생성되고, 완성된 곡 또는 작곡중인 곡을 저장하면 작업중인 코드 정보, 노트 정보 및 화음 노트 정보가 취합되어 단일의 작곡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240)에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재생부(225)는 단말음향출력부(250)를 제어하여 작곡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재생하면서 재생 중인 작곡 정보를 MIDI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통신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작곡용 키보드(100)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재생부(225)는 작곡용 키보드(100)의 음향 제어부(150)와 시간적으로 상호 동기화된 상태에서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작곡용 키보드(100)의 음향 제어부(150)는 키보드음향출력부(140)를 제어하여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동기화된 타이밍에 맞게 불협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키보드음향출력부(140)의 묵음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제어부(220)에서 생성되는 코드 정보, 노트 정보, 불협음 노트 정보, 경과음 노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표시부(230)는 작곡용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어부(220)에서 구동이 제어되면서 화면에 사용자가 구동되는 구성이 표시되면서 각 기능별로 구동 메뉴가 표시되고, 작곡용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구동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220)의 구동의 의해 각 기능들이 작동된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작곡정보를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저장부(240)는 작곡용 단말의 메모리와 저장장치에 해당되는 것으로, 작곡용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40)는 제어부(220)에서 완성된 작곡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220)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저장부(240)는 코드 관리부(221)에서 관리되는 고객 추천용 샘플 코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음향출력부(250)는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작곡정보를 음향 출력으로 재생하도록 설치된다. 이런, 단말음향출력부(250)는 통상적으로 작곡용 단말(200)에 사용되는 내장용 스피커이거나, 외부에 연결된 외장형 스피커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의 작곡용 키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작곡용 키보드(100) 및 작곡용 단말(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작곡용 키보드(100)와 작곡용 단말(200)의 일부 구성은 도 1에서 도시된 작곡용 키보드(100)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200)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과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곡용 키보드(100)는 건반부(110), MIDI신호생성부(120),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 키보드음향출력부(140), 음향 제어부(150), 발광부(160), 및 발광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반부(110), MIDI신호생성부(120),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130), 키보드음향출력부(140), 및 음향 제어부(150)의 구성은 동일함에 따라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불협노트정보를 묵음 처리하는 것을 발광부(160)와 발광제어부(170)의 작동에 의해 발광되는 구성을 대체한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묵음 처리되는 기능들을 제외하고, 발광부(160)와 발광제어부(170)가 더 포함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광부(160)는 건반부(110)의 흑건반(112)과 백건반(111)의 내측에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구비되고, 발광되는 색상, 및 강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발광제어부(170)는 발광부(160)의 연결되어 화음노트 정보를 기초로 발광부(160)를 제어하여 구성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의 내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on 시키고, 불협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 내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off 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런, 발광제어부(170)는 화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발광부(160)를 제어하여 경과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부(110)의 내측에 배치된 발광부(160)와 구성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 내측에 배치된 발광부(160)의 발광 색상 또는 발광 강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에 불협노트정보와 경과음 노트 정보에 따라 발광부에서 발광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키보드음향출력부(140)를 통해 각각의 코드MIDI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S201)되는 동안, 건반부(110)를 통해 건반 입력 신호가 생성(S202)되면, 음향 제어부(150)는 생성된 건반 입력 신호를 현재 출력 중인 코드MIDI신호에 대응되는 화음 노트 정보와 비교(S203)하여, 건반 입력 신호가 불협음 노트 정보와 매칭(S204)되면 해당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MIDI 신호에 따라 발광부(160)의 발광소자를 off(S206)시키고, 불협음 노트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발광부(160)의 발광소자를 on(S207)시킨다.
또한, 불협음 노트 정보는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없는 불협음 노트 정보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키보드음향출력부(140)는 생성된 건반 입력 신호가 경과음 노트 정보와 매칭(S205)되면 해당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MIDI 신호에 따라 발광부(160)의 발광소자를 on시킬 수 있으며, 구성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 노트 정보룰 구분하여 발광부(160)의 발광소자에 발광 색상 또는 발광 강도를 조절하는 구성음과 경과음 구분 발광 색상 또는 강도 조절(S208)을 실시할 수 있다.
작곡용 단말(200)은 단말통신인터페이스(210), 제어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및 단말음향출력부(250)를 포함한다. 단말통신인터페이스(210), 제어부(220)의 일부 구성, 표시부(230), 저장부(240), 및 단말음향출력부(250)는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제어부(220)의 일부 구성인 재생부(225)와 연관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생부(225)는 작곡용 키보드(100)의 음향 제어부(150)와 시간적으로 상호 동기화된 상태에서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작곡용 키보드(100)의 음향 제어부(150)는 키보드음향출력부(140)를 제어하여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동기화된 타이밍에 맞게 불협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발광부(160)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입력되는 건반 위치에 따라 입력MIDI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수신 받은 코드MIDI신호, 노트MIDI신호, 및 화음 노트 정보들과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 중에서 선택적으로 단독 또는 합성에 의해 음향으로 출력하는 작곡용 키보드; 및
    상기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입력MIDI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MIDI신호와 수신된 상기 입력MIDI신호로 생성되는 상기 노트MIDI신호, 및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곡용 키보드에 전송하며, 상기 신호들과 상기 화음 노트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선택적으로 작곡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작곡정보를 음향으로 재생하는 작곡용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화음 노트 정보는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을 나타내는 구성음 노트 정보와, 상기 구성음과 불협 화음을 이루는 불협음을 나타내는 불협음 노트 정보가 포함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는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없는 불협음 노트 정보로 세분화될 수 있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곡용 키보드는,
    사용자가 타격에 의해 건반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복수 위치에 배열되어 온음이 표시되는 백건반과 반음이 표시되는 흑건반이 구비된 건반부;
    상기 건반부에서 입력받은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입력MIDI신호를 생성하는 MIDI신호생성부;
    상기 MIDI신호생성부와 상기 작곡용 단말을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MIDI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를 상기 작곡용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작곡용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코드MIDI신호, 상기 노트MIDI신호,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수신하는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
    상기 키보드통신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MIDI신호, 상기 코드MIDI신호, 상기 노트MIDI신호, 및 상기 화음 노트 정보들을 단독 또는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된 키보드음향출력부; 및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MIDI신호들과 상기 화음 노트 정보들에 따른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코드MIDI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동안, 상기 건반부를 통해 건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MIDI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생성된 건반 입력 신호를 현재 출력 중인 상기 코드MIDI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화음 노트 정보와 비교하여, 건반 입력 신호가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와 매칭되면 해당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를 묵음 처리하고, 해당 MIDI 신호에 묵음 플래그를 on 으로 설정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는 상기 건반부에서 생성된 건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MIDI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입력MIDI신호가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에서 세분화되는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없는 불협음 노트 정보 중에서 상기 경과음 노트 정보와 매칭되면 해당 건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MIDI 신호를 묵음처리 하지 않을 수 있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부에는 상기 흑건반과 상기 백건반의 내측에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구비되고, 발광되는 색상, 및 강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연결되어 상기 화음노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여 구성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의 내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on 시키고, 불협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 내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off 시키도록 구비된 발광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여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에서 세분화되는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없는 불협음 노트 정보 중에서 상기 경과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건반부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발광부와 상기 구성음 노트 정보에 해당되는 건반 내측에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발광 색상 또는 발광 강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곡용 단말은,
    상기 작곡용 키보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곡용 키보드에서 생성되는 상기 입력MIDI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MIDI신호와 수신된 상기 입력MIDI신호로 생성되는 상기 노트MIDI신호, 및 상기 화음 노트 정보를 상기 작곡용 키보드로 전송하는 단말통신인터페이스;
    사용자가 마디별로 코드를 선택하도록 샘플코드 정보를 관리하여 재구성되는 코드 정보,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 노트 정보, 상기 구성음과 불협화음을 이루는 불협음 노트 정보, 및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를 취합하여 작곡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작곡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코드 정보, 상기 노트 정보,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 상기 경과음 노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작곡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작곡정보를 음향 출력으로 재생하도록 설치되는 단말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코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샘플 코드 관리되도록 구비되어, 마디 별로 코드 추천하고, 코드 별로 구성음 정보, 불협음 정보가 등록되어 관리되며, 상기 작곡용 키보드로부터 수신된 입력MIDI신호를 이용하여 마디 별로 코드를 재구성하거나 추천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코드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코드 관리부;
    상기 작곡용 키보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MIDI신호를 이용하여 마디 별로 멜로디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노트를 재구성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화면에 노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불협음 노트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입력MIDI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구분되게 표시하는 노트 관리부;
    상기 노트 관리부에서 마디별로 재구성된 상기 노트정보를 마디 별로 상기 코드 정보와 대응되는 각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음을 나타내는 구성음 노트 정보와, 상기 구성음과 불협 화음을 이루는 불협음을 나타내는 불협음 노트 정보와, 경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과음 노트 정보를 화음 노트에 포함하는 화음노트 정보를 생성하는 화음노트 정보 생성부;
    상기 코드 관리부를 통해 재구성된 상기 코드 정보, 상기 노트 관리부를 통해 재구성된 노트 정보, 상기 화음노트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화음 노트 정보를 취합하여 작곡 정보를 생성되고, 완성된 곡 또는 작곡중인 곡을 저장하면 작업중인 코드 정보, 노트 정보 및 화음 노트 정보가 취합되어 단일의 작곡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작곡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단말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작곡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재생하면서 재생 중인 작곡 정보를 MIDI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곡용 키보드로 전송하도록 구비된 재생부;를 포함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곡용 키보드의 상기 음향 제어부와 상기 작곡용 단말의 상기 재생부는 시간적으로 상호 동기화된 상태에서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작곡용 키보드의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동기화된 타이밍에 맞게 불협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의 묵음 처리를 수행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곡용 키보드의 상기 음향 제어부와 상기 작곡용 단말의 상기 재생부가 시간적으로 상호 동기화된 상태에서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작곡용 키보드의 상기 음향 제어부에서 상기 키보드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전송된 MIDI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동기화된 타이밍에 맞게 불협음 노트 정보를 기초로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상기 건반부에는 상기 흑건반과 상기 백건반의 내측에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구비되고, 발광되는 색상, 및 강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KR1020160091517A 2016-07-19 2016-07-19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KR10179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517A KR101795355B1 (ko) 2016-07-19 2016-07-19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PCT/KR2017/006227 WO2018016739A1 (ko) 2016-07-19 2017-06-15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517A KR101795355B1 (ko) 2016-07-19 2016-07-19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355B1 true KR101795355B1 (ko) 2017-12-01

Family

ID=6092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517A KR101795355B1 (ko) 2016-07-19 2016-07-19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5355B1 (ko)
WO (1) WO201801673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1174A (ja) 2000-05-24 2001-11-30 Casio Comput Co Ltd 電子楽器及び電子楽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775B2 (ja) * 1998-05-29 2005-04-13 ヤマハ株式会社 メロディ生成装置と記録媒体
JP3707364B2 (ja) * 2000-07-18 2005-10-19 ヤマハ株式会社 自動作曲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CN101203904A (zh) * 2005-04-18 2008-06-18 Lg电子株式会社 音乐谱写设备的操作方法
KR20100095226A (ko) * 2009-02-20 2010-08-30 유석종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1174A (ja) 2000-05-24 2001-11-30 Casio Comput Co Ltd 電子楽器及び電子楽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739A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2800B2 (en) Automatic composer
US20060230910A1 (en) Music composing device
JP2002091440A (ja) 演奏情報変換方法、演奏情報変換装置、記録媒体および音源装置
KR1006646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음악 컨텐츠 생성 방법
US7375274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8802956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fractional chord determination apparatus used in the same
US8513513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that allow editing of drum tone color in drum kit
JP2009156914A (ja) 自動伴奏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795355B1 (ko)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JP5712669B2 (ja) 歌唱音声評価装置
JP2008139450A (ja) 自動伴奏生成装置および自動伴奏生成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70039692A (ko)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11955104B2 (en) Accompaniment sound generating devic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ccompaniment sound gener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ccompaniment sound generating program
KR101020557B1 (ko) 사용자 창조형 음악 콘텐츠 제작을 위한 악보 생성 장치 및그 방법
JP2001318677A (ja) 携帯電話機
CN112825244B (zh) 配乐音频生成方法和装置
TWI284314B (en)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JP2018159741A (ja) 歌詞候補出力装置、電子楽器、歌詞候補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82744B2 (ja) 歌唱音声評価装置
JP4793204B2 (ja) 電子楽器および電子楽器制御用プログラム
JP3674469B2 (ja) 演奏ガイド方法と装置及び記録媒体
US20040011188A1 (en) Karaoke keyboard synthesized lyric maker
JP3179161B2 (ja) リズム生成装置
KR20120026808A (ko)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WO2019003348A1 (ja) 歌唱音効果生成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