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692A -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692A
KR20070039692A KR1020050094847A KR20050094847A KR20070039692A KR 20070039692 A KR20070039692 A KR 20070039692A KR 1020050094847 A KR1020050094847 A KR 1020050094847A KR 20050094847 A KR20050094847 A KR 20050094847A KR 20070039692 A KR20070039692 A KR 20070039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accompaniment
user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윤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94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9692A/ko
Publication of KR2007003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0P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곡 및 반주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음악 스타일 및 악기를 선택하여 음원 데이터를 작곡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작곡한 음원 데이터에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작사 기능을 제공하고, 작사 및 작곡한 음원 데이터를 반주로 재생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반주와 가사에 맞게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작곡을 완료한 음원 데이터 또는 작곡 중인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키 입력부; 음원 코드, 음계, 오선지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한 가사를 포함하는 작곡을 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LCD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프로그램 저장부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실행하고 키 입력부에서 입력된 악기 종류, 음원 코드 및 음계를 포함하는 작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 데이터를 제작하고, 멜로디 칩으로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가 전송한 악기 종류 및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로 출력하는 멜로디 칩;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코덱; 멜로디 칩에서 출력한 음원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는 스피커;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에서 가청음으로 출력된 음원 데이터에 맞게 부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벨소리 제작을 위한 단순한 작곡 프로그램에서 탈피하여 PC(Personal Computer)에서 사용하는 비전문가용 작곡 프로그램과 대등한 수준의 작곡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하여 음악적 지식이 풍부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양질의 음악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멜로디 칩, 작곡, 작사, 반주, 녹음, 음원

Description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Song - Making, Accompaniment and Record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자 선택 메뉴를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표를 오선지에 입력하여 멜로디를 만드는 과정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코드를 멜로디 제작을 완료한 악보에 입력하는 과정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선택 메뉴의 하위 메뉴인 악기 선택 메뉴 및 주법 선택 메뉴를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 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사 입력 화면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녹음 기능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악보와 가사를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프로그램 저장부
120: 음원 저장부 130: 키 입력부
140: 제어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멜로디 칩 170: 코덱
180: 스피커 190: 마이크로폰
본 발명은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곡 및 반주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음악 스타일 및 악기를 선택하여 음원 데이터를 작곡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작곡한 음원 데이터에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작사 기능을 제공하고, 작사 및 작곡한 음원 데이터를 반주로 재생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반주와 가사에 맞게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이메일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하였고, 초기의 음성 통화 위주에서 벗어나 무선 인터넷 접속, 게임, 캠코더,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게임기 등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음악 감상 및 게임 등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 음악 감상 및 게임 효과음을 원음에 가깝게 재생하기 위해 고성능의 멜로디 칩을 탑재하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고성능의 멜로디 칩을 탑재함에 따라 상대방의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또한 원음에 가까운 소리를 표현하게 되었다. 초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음의 멜로디 칩을 탑재하여 단음의 벨소리만을 제공하였지만,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멜로디 칩은 최대 64 폴리(Poly)를 지원하여 원음에 가까운 벨소리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는 인터넷 벨소리 제 공 사이트 또는 이동통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 요금을 지불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다운로드한 벨소리는 같은 종류의 벨소리를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많을 경우에는 일정한 장소에서 같은 종류의 벨소리가 울리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종류의 벨소리 때문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꺼내어 확인하는 혼동을 초래할 수 있고, 벨소리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성을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오선지와 음표를 사용하여 박자, 옥타브, 음의 길이 등을 선정하여 자신의 벨소리를 제작하고 수정 및 편곡이 가능한 벨소리 작곡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히 벨소리만을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 방법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고성능의 멜로디 칩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곡 및 반주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음악 스타일 및 악기를 선택하여 음원 데이터를 작곡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작곡한 음원 데이터에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작사 기능을 제공하고, 작사 및 작곡한 음원 데이터를 반주로 재생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반주와 가사에 맞게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작곡 및 반주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음악 스타일 및 악기를 선택하여 음원 데이터를 작곡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작곡한 음원 데이터에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작사 기능을 제공하고, 작사 및 작곡한 음원 데이터를 반주로 재생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반주와 가사에 맞게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작곡을 완료한 음원 데이터 또는 작곡 중인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키 입력부; 음원 코드, 음계, 오선지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한 가사를 포함하는 작곡을 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LCD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프로그램 저장부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실행하고 키 입력부에서 입력된 악기 종류, 음원 코드 및 음계를 포함하는 작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 데이터를 제작하고, 멜로디 칩으로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가 전송한 악기 종류 및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로 출력하는 멜로디 칩;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 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코덱; 멜로디 칩에서 출력한 음원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는 스피커;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에서 가청음으로 출력된 음원 데이터에 맞게 부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작곡 및 반주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음악 스타일 및 악기를 선택하여 음원 데이터를 작곡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작곡한 음원 데이터에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작사 기능을 제공하고, 작사 및 작곡한 음원 데이터를 반주로 재생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반주와 가사에 맞게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박자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b) 멜로디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c) 반주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가사 입력 화면을 포함하는 UI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e) 녹음 기능을 포함하는 UI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은 프로그램 저장부(110), 음원 저장부(120), 키 입력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멜로디 칩(160), 코덱(170), 스피커(180), 마이크로폰(190)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10)는 제어부(14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본 발명에서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10)는 읽기/쓰기가 가능한 저장 수단을 사용하여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며,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관련 기능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 용자가 선택하게 되는 박자는 제조사를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고, 인터넷 상에 있는 여러 가지 음원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가사 부분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옵션을 두어 음원 데이터를 연주 시 가사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한다.
음원 저장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음원, 사진, 게임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및 벨소리를 저장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작한 음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원 저장부(120)는 제작 중인 음원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40)가 전송하면 제작 중인 음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40)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작 중인 음원의 데이터를 수정 또는 음원의 제작을 완성할 수 있도록 제작 중인 음원의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이러한 음원 저장부(120)는 읽기/쓰기가 가능한 저장 수단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제작한 음원을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저장 및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키 입력부(130)는 제어부(14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기능 버튼과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정확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23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 버튼과 일반 버튼에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뿐만 아니라 강제로 설정해제 또는 재설정 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존재한다.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10)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실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작곡을 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키 입력부(13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입력한 박자, 악기 종류, 음원 코드 및 음계를 포함하는 작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을 제작하고 제작한 음원 데이터를 음원 저장부(120)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음원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작 중인 음원 데이터를 로딩하여 재생, 수정 및 음원 데이터의 제작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음원 데이터에 자신의 음성을 믹싱(Mixing)하기 위한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음원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멜로디 칩(160)으로 전송하고, 음원 데이터의 악보 및 가사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마이크로폰(190)을 통해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음원 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을 믹싱한 음원 데이터를 음원 저장부(12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작을 완료한 음원 데이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을 믹싱한 음원 데이터를 벨소리 및 알람벨을 포함하는 효과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음원 데이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을 믹싱한 음원 데이터를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 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화면, 여러 가지 기능을 보여주는 메뉴화면,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화면, 그림이나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편집화면, 무선인터넷에 접속하는 화면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작곡을 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LCD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가 LCD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 UI를 직접 터치하여 음원 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멜로디 칩(160)은 제어부(140)가 전송한 악기 종류 및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원 저장부(120)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을 믹싱한 음원 데이터를 제어부(140)에서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로 출력한다.
코덱(170)은 제어부(140)에서 제공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80)를 통해 송출하고, 마이크로폰(19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스피커(180)는 멜로디 칩에서 출력한 음원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한다.
마이크로폰(19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스피커(180)에서 가청음으로 출력된 음원 데이터에 맞게 부른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자신의 개성이 담긴 음원 데이터의 작곡을 하기 위해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작곡 메뉴의 첫 단계인 박자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작곡 메뉴의 첫 단계인 박자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S200).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박자를 선택한 후, 선택한 박자를 저장하고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종료하기 위한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선택한 박자를 음원 저장부(120)로 전송한다(S205).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박자를 선택한 후, 멜로디 선택 메뉴로 이동하는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작곡 메뉴의 두번째 단계인 멜로디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작곡 메뉴의 두번째 단계인 멜로디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S210, S215).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멜로디를 선택 한 후, 작곡 메뉴의 두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종료하기 위한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작곡 메뉴의 두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를 음원 저장부(120)로 전송한다(S220).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멜로디를 선택한 후, 반주 선택 메뉴로 이동하는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작곡 메뉴의 세번째 단계인 반주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작곡 메뉴의 세번째 단계인 반주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S225, S230).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반주를 선택한 후, 작곡 메뉴의 세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종료하기 위한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작곡 메뉴의 세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를 음원 저장부(120)로 전송한다(S235).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반주를 선택한 후, 가사 입력 화면으로 이동하는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작곡 메뉴의 네번째 단계인 가사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작곡 메뉴의 네번째 단계인 가사 입력 화 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40, S245).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가사를 입력한 후, 작곡 메뉴의 네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종료하기 위한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작곡 메뉴의 네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를 음원 저장부(120)로 전송한다(S250). 멜로디, 반주 및 가사의 제작이 완료된 음원 데이터는 착신벨 및 알람벨 등을 포함하는 효과음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가사를 입력한 후, 녹음 기능으로 이동하는 명령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네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의 악보와 가사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하고 또한, 멜로디와 반주를 재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멜로디 칩(160)으로 전송해서 제어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150)와 멜로디 칩(160)은 네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의 악보와 가사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멜로디와 반주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제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반주와 가사에 맞게 부른 노래를 마이크로폰(190)으로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네번째 단계까지 제작한 음원 데이터와 마이크로폰(190)으로 입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음원 저장부(120)에 저장한다(S255, S26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자 선택 메뉴를 표시한 이동통 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3A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의 최상위 메뉴를 표시한 디스플레이부(1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제작을 완료하지 않은 음원 데이터를 재제작할 경우에는 제작을 완료하지 않은 음원 데이터의 최종 제작 단계 이후 단계에 해당하는 메뉴를 키 입력부(130)에서 해당하는 번호 키를 입력 또는 해당하는 메뉴를 표시한 디스플레이부(150)를 직접 터치하는 방법으로 이동하고, 음원 데이터를 처음 제작할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에서 1.박자(비트) 선택 항목에 해당하는 번호 키를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직접 터치하여 1.박자(비트) 선택으로 이동하는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3B는 3A에서 1.박자(비트) 선택 항목을 선택하여 박자(비트) 선택 메뉴로 이동한 화면을 표시한 디스플레이부(150)를 나타낸 도면이다. 3B에 장르별로 표시된 박자(비트) 선택 메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원하는 장르의 박자(Bit)를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택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장르의 박자를 선택하고 저장한 후,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종료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장르의 박자를 스피커(180)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표를 오선지에 입력하여 멜로디를 만드는 과정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3B에서 박자 선택을 완료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메뉴에서 2.멜로디 선택 항목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4와 같이 멜로디 입력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멜로디 입력 요소는 옥타브, 음 및 음의 길이이다. 옥타브는 기본 옥타브를 0으로 하여, +1, -1 단위로 표현하고, 음은 도 ~ 시 또는 쉼표를 선택하게 된다. 음의 길이는 4분 음표를 1로 하여, 8분 음표는 1/2, 2분 음표는 2 등으로 표기한다. 도 4에서 옥타브, 음 및 음의 길이 입력 항목의 우측에 위치한 역삼각형 버튼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택하면 옥타브, 음 및 음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List)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멜로디 입력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종료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멜로디가 입력된 부분의 음원 데이터를 스피커(180)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코드를 멜로디 제작을 완료한 악보에 입력하는 과정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멜로디 제작을 완료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메뉴에서 3.반주 선택 항목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5와 같이 코드 입력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오선지에 음표를 입력하여 멜로디를 완성한 악보에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코드표에서 완성된 멜로디에 적합한 코드를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마디 단위로 입력한다. 한 마디 안에 두 개 이상의 코드를 입력하려면 디스플레이된 코드표에서 원하는 수만큼 코드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선택 메뉴의 하위 메뉴인 악기 선택 메뉴 및 주법 선택 메뉴를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코드 입력을 완료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반주 선택 메뉴에서 악기 선택 항목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6A와 같이 악기 선택 메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6A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멜로디와 코드를 연주하기 위한 악기를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6B와 같이 선택한 악기의 주법을 선택하는 주법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주법을 선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사 입력 화면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에서 주법을 선택하여 멜로디와 반주 제작을 완료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메뉴에서 4.가사 입력 항목을 키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7과 같 이 가사 입력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가사 입력은 도 7과 같이 음표가 있는 부분에 가사를 입력할 박스(Box)에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사용하여 가사를 입력하기 위해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가사 입력 화면에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가사 입력을 완료한 음원 데이터는 착신벨 및 알람벨을 포함하는 효과음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녹음 기능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악보와 가사를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가사 입력을 완료한 음원 데이터에 자신이 부른 노래를 녹음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8과 같이 가사 입력을 완료한 음원 데이터의 악보와 가사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스피커(180)에서 출력되는 반주에 맞게 가사 부분이 음영 표시되는 화면을 보면서 마이크로폰(190)을 사용하여 자신의 노래를 입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벨소리 제작을 위한 단순한 작곡 프로그램에서 탈피하여 PC(Personal Computer)에서 사용하는 비전문가용 작곡 프로그램과 대등한 수준의 작곡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하여 음악적 지식이 풍부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양질의 음악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작한 음악에 믹싱(Mixing)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성이 담긴 이동통신 단말기의 효과음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작곡 및 반주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음악 스타일 및 악기를 선택하여 음원 데이터 작곡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작곡한 상기 음원 데이터에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작사 기능을 제공하고, 작사 및 작곡한 상기 음원 데이터를 반주로 재생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주와 상기 가사에 맞게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작곡을 완료한 음원 데이터 또는 작곡 중인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상기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키 입력부;
    음원 코드, 음표, 오선지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한 가사를 포함하는 작곡을 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LCD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서 상기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상기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된 악기 종류, 상기 음원 코드 및 상기 음표를 포함하는 작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제작하고, 멜로디 칩으로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가 전송한 악기 종류 및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로 출력하는 멜로디 칩;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코덱;
    멜로디 칩에서 출력한 음원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는 스피커;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에서 가청음으로 출력된 음원 데이터에 맞게 부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며,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시 상기 가사 부분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옵션을 두어 상기 음원 데이터를 연주시 상기 가사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LCD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 UI를 직접 터치하여 음원 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제작 중인 상기 음원 데이터를 로딩하여 재생, 수정 및 상기 음원 데이터의 제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음원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믹싱(Mixing)하여 상기 음원 저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작을 완료한 상기 음원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믹싱한 음원 데이터를 벨소리 및 알람벨을 포함하는 효과음으로 사용하도록 제어하 고, 상기 음원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믹싱한 상기 음원 데이터를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작곡 및 반주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음악 스타일 및 악기를 선택하여 음원 데이터를 작곡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작곡한 상기 음원 데이터에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작사 기능을 제공하고, 작사 및 작곡한 상기 음원 데이터를 반주로 재생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주와 상기 가사에 맞게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박자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b) 멜로디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UI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c) 반주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UI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가사 입력 화면을 포함하는 상기 UI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e) 녹음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UI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상기 UI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박자 선택 메뉴는 박자를 락, 발라드, 힙합 및 댄스를 포함하는 장르별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멜로디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UI는 멜로디 입력 요소를 옥타브, 음 및 음의 길이를 제공하고 입력 항목 우측에 위치한 역삼각형 버튼을 키 입력부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택하면 상기 옥타브, 상기 음 및 상기 음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List)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반주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UI는 멜로디에 적합한 코드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코드표를 제공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를 연주하는 악기 종류 및 주법을 선택하는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가사 입력 화면을 포함하는 상기 UI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사를 입력한 상기 음원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벨 및 알람벨을 포함하는 효과음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음원 데이터의 상기 반주 및 상기 가사에 맞게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음원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믹싱(Mixing)하여 음원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50094847A 2005-10-10 2005-10-10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39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847A KR20070039692A (ko) 2005-10-10 2005-10-10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847A KR20070039692A (ko) 2005-10-10 2005-10-10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692A true KR20070039692A (ko) 2007-04-13

Family

ID=3816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847A KR20070039692A (ko) 2005-10-10 2005-10-10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96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37B1 (ko) * 2004-12-22 2010-10-07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국에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네트워크 요소에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국, 인증 시스템,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 통신 시스템의 인증 시스템에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87635B1 (ko) * 2007-12-27 2010-10-13 엔에이치엔(주) 리듬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WO2012148112A3 (ko) * 2011-04-28 2013-04-04 주식회사 티젠스 클라이언트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컨텐츠 제작시스템
KR101488257B1 (ko) * 2008-09-01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작곡 방법 및 장치
WO2017155200A1 (ko) * 2016-03-11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37B1 (ko) * 2004-12-22 2010-10-07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국에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네트워크 요소에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국, 인증 시스템,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 통신 시스템의 인증 시스템에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87635B1 (ko) * 2007-12-27 2010-10-13 엔에이치엔(주) 리듬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88257B1 (ko) * 2008-09-01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작곡 방법 및 장치
WO2012148112A3 (ko) * 2011-04-28 2013-04-04 주식회사 티젠스 클라이언트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컨텐츠 제작시스템
WO2017155200A1 (ko) * 2016-03-11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69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digitally enhanced ringtones for cellphones
US200600600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sic 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1112615A (ja) 携帯電話機
KR20070039692A (ko) 음악 생성, 반주 및 녹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735011B2 (en) Midi composer
JP2006317804A (ja) カラオケ装置及び電子早見本装置
JP7420181B2 (ja) プログラム、方法、電子機器、および演奏データ表示システム
JP2001318677A (ja) 携帯電話機
JP2007133151A (ja) カラオケ機能が搭載された情報装置
JP2002152329A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29503A (ko) 사운드 믹서를 구비한 무선 이동 통신 핸드세트와 방법
KR20060085863A (ko) 오디오파일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디오파일 편집방법
KR20060079094A (ko) 휴대용 음악 편집기를 갖는 음악 작곡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온-라인 노래방 시스템의 운영 방법
EP1436802B1 (en) Midi composer
JP4373321B2 (ja) 音楽再生装置
JP5397637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628053B1 (ko) 디지털 음악 정보 자동생성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음악 정보 자동생성 방법
TW569591B (en) Method providing MIDI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JP4299747B2 (ja) 電子早見本装置
KR100554005B1 (ko)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JP2005004084A (ja) 演奏設定データ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321581A (ja) 電子楽器として使用可能な電話機
JP2005189878A (ja) 音楽演奏装置と音楽演奏方法とプログラム
JP3795495B2 (ja) 音源装置
JP2002023745A (ja) 着信メロディ生成装置及び着信メロディ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