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005B1 -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005B1
KR100554005B1 KR1020030040810A KR20030040810A KR100554005B1 KR 100554005 B1 KR100554005 B1 KR 100554005B1 KR 1020030040810 A KR1020030040810 A KR 1020030040810A KR 20030040810 A KR20030040810 A KR 20030040810A KR 100554005 B1 KR100554005 B1 KR 10055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ortable
portable terminal
melod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209A (ko
Inventor
정유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00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가능한 소정 형상의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면 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멜로디 키 및 음원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버튼; 하우징의 일측면 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 하우징의 일단으로 형성되며, 단말기 접속구를 보유한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단말기 접속구와의 결합구조를 갖는 데이터 입력구; 음도(音度) 정보를 저장하는 키신호 메모리; 음색 정보를 저장하는 음색 메모리;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을 갖고 사용자로부터 설정되는 음향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로 제공하며, 키입력버튼으로부터 제공되는 키신호에 따라 키신호 메모리로부터 각각의 코드화된 음향정보를 추출하고, 음색 메모리로부터 음향정보의 음색을 추출하여 음향의 변조 및 합성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데이터 입력구로 음향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음향정보를 디스플레이창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의 벨소리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휴대용, 멜로디, 작곡, 배경음, 음도, 음색, 휴대용 단말기, 무선 인터넷

Description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PORTABLE MELODY EDITOR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멜로디 생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멜로디 생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별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시 디스플레이창으로 도시되 작곡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휴대용 단말기 103 : 멜로디 생성장치
105 : 단말기 접속구 107 : 데이터 입력구
109 : 음원 버튼 111 : 디스플레이창
113 : 멜로디키 115 : 배경음 선택 버튼
201 : 접속단자 203 : 인터페이스
205 : 전원 제어부 207 : 키입력부
209 : 음색 메모리 211 : 배경음 메모리
213 : D/A 컨버터 215 : 디스플레이부
217 : 키신호 메모리 219 : 제어부
본 발명은 음향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음악 또는 벨소리를 임의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수 종의 벨소리용 멜로디를 보유하고 있으며, 근래에서는 통화중 배경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멜로디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음향정보는 컴퓨터를 통해 다운로드 받도록 하여 사용자로부터 음향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장되는 메모리를 증가시키고 소정의 음향제어 모듈을 부가하므로서, 단말기로 MP3 플레이어 기능을 부가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녹음기 등 다양한 기능성 단말기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순응하여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 공보에는 등록번호 20-0299830 호 "핸드폰 결합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개시되고 있으며, 또한 출원번호 10-2002-0008467 호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가 공개되고 있다. 상기한 "핸드폰 결합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은 핸드폰과 송수신하기 위한 핸드폰 접속부; 컴퓨터와 송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접속부; 음성입력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 음성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 컴퓨터 또는 핸드폰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각종 음성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 음성 출력을 위한 출력부 및 제어부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핸드폰의 데이터 통신포트와 접속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핸드폰의 통화내용, 강의 내용 등을 MP3와 같은 음성파일로 녹음할 수 있는 녹음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핸드폰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음악파일을 핸드폰의 벨소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 주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는 경량화한 미디저 재생장치로써, 휴대폰의 통신포트와 접속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은 커넥터부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와 휴대폰 메모리로부터 재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믹스하여, 휴대폰의 통화내역 녹음 및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의 재생음을 휴대폰으로 송출할 수 있어 휴대폰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장치 및 핸드폰 결합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기존에 존재하는 음향정보를 믹싱하거나, 핸드폰의 내부 메모리로 음향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불과하다. 즉, 음향정보 자체를 사용자 취향에 맞도록 편집하거나 제작할 수 없어 휴대폰을 이용한 음향정보의 활용면에서 기능성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취향에 적합한 음향을 직접 제작하고 이를 휴대용 단말기와의 결합을 통해 다각도로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는, 휴대 가능한 소정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의 멜로디 키 및 음원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버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 형성되며, 단말기 접속구를 보유한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단말기 접속구와의 결합구조를 갖는 데이터 입력구; 상기 다수 멜로디키로부터 입력된 키신호에 대응하는 음도(音度) 정보를 저장하는 키신호 메모리; 상기 음원 버튼에 대응하는 음색 정보를 저장하는 음색 메모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을 갖고 사용자로부터 설정되는 음향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로 제공하며, 상기 키입력버튼으로부터 제공되는 키신호에 따라 상기 키신호 메모리로부터 각각의 코드화된 음향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음색 메모리로부터 상기 음향정보의 음색을 추출하여 음향의 변조 및 합성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입력구로 상기 음향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패턴과 상기 음향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103)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1)와 결합하도록 데이터 입력구(107)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는 상기 데이터 입력구(107)와 체결을 위한 단말기 접속구(105)를 형성한다. 단말기 접속구(105)는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통신 포트로써, UART 통신단자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입력구(107)는 UART 통신단자와 결합 가능한 접속구조를 갖는다.
상기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103)는 데이터 입력구(107)를 포함하여 휴대 가능한 소정 형상의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의 상단부는 디스플레이창(111)을 형성하고, 다수의 멜로디키(113), 배경음 선택버튼(115) 및 음원 버튼(109)을 형성한다. 상기 멜로디키(113)는 음(音)의 크기와 길이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8음도(音度)를 선택할 수 있도록 8개의 키로 구성된다. 상기 배경음 선택버튼(115)은 멜로디키(113)로부터 선택된 멜로디와 더불어 배경음악으로 가미하기 위한 것으로, 기 저장된 다수 종류의 음향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배경음 선택버튼(115)은 프로그램에 따라 최소한의 갯수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창(111)을 통해 표시되는 다수 종류의 음향 정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음원 버튼(109)은 사용자로부터 설정되는 음악 정보의 음색을 가미하는 것으로, 피아노 소리, 기타 소리, 트럼펫 소리 등으로 표현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다.
상기 멜로디 생성장치(103)는 별도의 내부 전원을 갖지 않고, 상기 데이터 입력구(107)와 단말기 접속구(105)가 결합될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다. 따라서, 멜로디 생성장치(103)는 별도의 전원을 보유하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엑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멜로디 생성장치(10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멜로디키(113), 음원 버튼(109) 및 배경음 선택 버튼(115)을 포함하는 키입력부(207),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을 갖고 멜로디 생성장치(103)로부터 생성되는 음향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1)의 내부 메모리로 제공하며, 상기 키입력부(207)로부터 제공되는 키신호에 따라 각각의 코드화된 음향정보를 추출 또는 생성하고 음향의 변조 및 합성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219), 상기 제어부(219)의 입출력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다수 멜로디키(113)로부터 입력된 키신호에 대응하는 음도 예컨대 8,16,32 음도(音度) 정보를 저장하는 키신호 메모리(217), 상기 음원 버튼(109)에 대응하는 음색 정보를 저장하는 음색 메모리(209), 상기 배경음 선택 버튼(115)으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배경음악 정보를 저장하는 배경음 메모리(211), 상기 제어부(219)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입력구(107)로 상기 음향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03), 상기 음향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출력하기 위한 D/A 컨버터(213) 및 상기 제어부(219)의 제어 패턴과 사용자로부터 생성되는 음향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15)는 음향정보를 표시토록 하고 있으나, 상기 음향정보를 음성신호로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내부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곡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작곡한 음향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벨소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201)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자체 전원과 연결된 단자를 포함하며, 미설명된 전원 제어부(205)는 상기 접속단자(201)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1)의 전원을 제공받아, 각 모듈의 제어소자로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구(107)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의 단말기 접속구(105)와 데이터 접속을 위한 다수의 접속단자(201)를 보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15)는 LCD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는 소정의 음향을 작곡하기 위해 상기 멜로디 생성장치(103)의 데이터 입력구(107)를 상기 단말기 접속구(105)로 체결한다. 따라서, 데이터 입력구(107)의 접속단자(201)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내부 전원을 멜로디 생성장치(103)의 내부 소자로 전달하여 시스템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상기 음원 버튼(109)을 통해 음색을 결정한다. 이는 작곡하고자 하는 음향의 음색을 설정하는 것으로, 피아노, 기타, 트럼펫 등의 음색을 선택한다. 키입력부(207)는 음색 선택에 따른 키신호를 제어부(219)로 제공하며, 제어부(219)는 상기 키신호를 코드화된 정보로 저장한다. 제어부(219)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음색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피아노', '키타', '트럼펫' 등)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5)로 제공하며, 디스플레이부(215)는 해당 음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멜로디키(113)를 통해 소정 범위의 음도(8음도 또는 16음도또는 32음도 등)내에서의 음정을 선택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른 작곡을 수행한다. 이 때, 멜로디키(113)로부터 선택되는 스위칭 신호는 제어부(219)로 제공되며, 제어부(219)는 내부 메모리로 각 음정에 대응하는 음향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19)는 D/A 컨버터(213)를 인에이블시켜 상기 음향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출력토록 하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데이터 입력구(107)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1)로 제공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1)에 기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219)는 디스플레이부(215)를 인에이블시켜 상기 키입력부(207)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219)는 지속적으로 멜로디키(113)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를 각각의 코드화된 정보로 저장하며, 소정 용량의 멜로디 작곡이 완료된 후, 상기 배경음 선택버튼(115) 동작에 따른 키 신호를 입력받는다.
배경음 선택버튼(115)이 동작되면, 상기 제어부(219)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배경음 메모리(211)를 인에이블시켜 기 저장된 다수 종류의 배경음악 정보를 페치한다. 페치된 배경음악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15)를 통해 그 리스트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배경음 선택버튼(115)을 통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배경음악을 선택한다. 제어부(219)는 선택된 배경음악에 대응하는 코드화된 정보를 내부 메모리로 저장한다.
사용자는 소정의 키입력을 통해 멜로디의 완성과 더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로의 업로드를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219)는 사용자로부터 작곡된 멜로디 정보와 상기 멜로디 정보에 음색을 가미하기 위한 음색정보 및 배경음악 정보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페치한다.
제어부(219)는 키신호 메모리(217)로부터 상기 음향정보에 해당하는 음도를 리드하고, 상기 음색 메모리(209)로부터 상기 음색정보에 대응 어드레스를 선택하 여 해당 음색에 따른 주파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음색에 따른 주파수를 상기 음도에 변조시킨다. 또한, 제어부(219)는 사용자로부터 기 선택된 배경음 정보에 기초하여 배경음 메모리(211)로부터 해당 배경음악 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제어부(219)는 선택된 음색, 음도와 배경음악을 믹스시켜 디지트화된 음악정보로 생성한다.
제어부(219)는 상기 음악정보를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로 제공하되, 소정의 프로토콜을 갖고 휴대용 단말기(101)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D/A 컨버터(213)를 통해 상기 음악정보를 아날로그화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구(107)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1)의 자체 스피커와 연결한다. 물론, 사용자는 업로드시 상기 음악정보를 청취하지 않도록 D/A 컨버터(213)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멜로디 생성장치(103)로부터 작곡된 음향정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로 저장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음향정보를 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는 휴대 가능한 형상의 멜로디 생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멜로디 생성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말기 접속구에 결합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전원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음악을 작곡할 수 있도록 하며, 작곡된 음악정보를 휴대용 단말 기의 내부 메모리로 저장시켜,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의 벨소리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멜로디 생성장치를 엑세서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엑세서리 시장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사용자는 다운로드된 다수 종의 벨소리를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향으로 대치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범위를 증대시키고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애착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휴대 가능한 소정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멜로디 키, 음원 버튼 및 배경음을 선택하기 위한 배경음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버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 형성되며, 단말기 접속구를 보유한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단말기 접속구와의 결합구조를 갖는 데이터 입력구;
    상기 다수 멜로디키로부터 입력된 키신호에 대응하는 음도(音度) 정보를 저장하는 키신호 메모리;
    상기 음원 버튼에 대응하는 음색 정보를 저장하는 음색 메모리;
    상기 배경음 선택 버튼으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배경음악 정보를 저장하는 배경음 메모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을 갖고 사용자로부터 설정되는 음향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로 제공하며, 상기 키입력버튼으로부터 제공되는 키신호에 따라 상기 키신호 메모리로부터 각각의 코드화된 음향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음색 메모리로부터 상기 음향정보에 대응하는 음색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배경음 메모리로부터 배경음악 정보를 추출하여 음향의 변조 및 합성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입력구로 상기 음향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패턴과 상기 음향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창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창은 상기 음도 정보가 그래픽화된 악보로 표시하고, 상기 음색정보 및 상기 배경음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벨소리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자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키는 8개이고, 상기 음도(音度)는 8음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키는 16개이고, 상기 음도(音度)는 16음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며, 상기 음향정보는 상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동일 기종의 타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저장되는 음향정보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동일 기종의 타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구는 UART 규격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LC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13.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9 항, 제 11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는 엑세서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KR1020030040810A 2003-06-23 2003-06-23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KR10055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10A KR100554005B1 (ko) 2003-06-23 2003-06-23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10A KR100554005B1 (ko) 2003-06-23 2003-06-23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209A KR20050000209A (ko) 2005-01-03
KR100554005B1 true KR100554005B1 (ko) 2006-02-22

Family

ID=3721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810A KR100554005B1 (ko) 2003-06-23 2003-06-23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36B1 (ko) * 2006-05-04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믹싱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11B1 (ko) * 2005-01-06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 처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35A (ko) * 1998-05-14 1999-12-06 김영환 이동전화기의 멜로디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00034430A (ko) * 1998-11-30 2000-06-26 강병호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전화벨 편집장치
KR20000037609A (ko) * 1998-12-01 2000-07-05 윤종용 휴대폰에서 착신벨 편집 방법
KR20000065679A (ko) * 1999-04-08 2000-11-15 황병구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JP2001069199A (ja) * 1999-08-30 2001-03-16 Kenwood Corp 着信音出力機能付き携帯端末機
KR20020078052A (ko) * 2001-04-04 200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패드를 이용한 음악 연주 장치 및그 방법
KR20040048470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악을 작곡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35A (ko) * 1998-05-14 1999-12-06 김영환 이동전화기의 멜로디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00034430A (ko) * 1998-11-30 2000-06-26 강병호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전화벨 편집장치
KR20000037609A (ko) * 1998-12-01 2000-07-05 윤종용 휴대폰에서 착신벨 편집 방법
KR20000065679A (ko) * 1999-04-08 2000-11-15 황병구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JP2001069199A (ja) * 1999-08-30 2001-03-16 Kenwood Corp 着信音出力機能付き携帯端末機
KR20020078052A (ko) * 2001-04-04 200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패드를 이용한 음악 연주 장치 및그 방법
KR20040048470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악을 작곡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36B1 (ko) * 2006-05-04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믹싱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209A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0269B2 (en) Portable cellular phone
JP2002091440A (ja) 演奏情報変換方法、演奏情報変換装置、記録媒体および音源装置
KR100555094B1 (ko) 휴대 전화
JP2000224269A (ja) 電話機および電話システム
KR100457052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반주/음악연주 서비스 장치 및그 방법
KR20050038714A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자작 음악파일 생성 및 다운로딩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554005B1 (ko)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KR100506228B1 (ko) 음악 연주 및 편집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2002152329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31232B1 (ko)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기
KR100509126B1 (ko)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
KR100628053B1 (ko) 디지털 음악 정보 자동생성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음악 정보 자동생성 방법
JP200226187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0316038A (ja) 着信音発生装置
JP3893894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05919B1 (ko) 기능별 사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H10190781A (ja) オリジナル着信音生成機能付き携帯端末
JP3729074B2 (ja) 通信装置及び記憶媒体
KR100695091B1 (ko) 음원 합성 단말기 및 방법
KR200170723Y1 (ko) 문자표시 기능과 전자수첩 기능을 갖는 엠피3 플레이어
KR20020060977A (ko) 음원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전화 단말
JP2000330557A (ja) メロディ機能付きの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CN2711999Y (zh) 可上载音乐或铃声的固定电话装置
KR200347084Y1 (ko) 미디 음원을 이용한 단음벨 재생 장치
KR20060017043A (ko) Mp3 음악을 이용한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