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679A -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679A
KR20000065679A KR1019990012268A KR19990012268A KR20000065679A KR 20000065679 A KR20000065679 A KR 20000065679A KR 1019990012268 A KR1019990012268 A KR 1019990012268A KR 19990012268 A KR19990012268 A KR 19990012268A KR 20000065679 A KR20000065679 A KR 20000065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sound
music
note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구
Original Assignee
황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구 filed Critical 황병구
Priority to KR101999001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5679A/ko
Publication of KR2000006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하나의 음악 기호군으로 선정하여 복수의 음악 분류군들로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음악 기호군을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배정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옥타브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향후 추출할 음높이의 옥타브를 미리 결정한 후, 상기 각각의 키버튼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을 추출한 후, 기설정된 음길이 변경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상기 추출된 음의 음길이를 정수배 또는 정수의 역수배로 변경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2개의 키버튼만을 이용하여 모든 음역과 모든 음길이 및 다양한 음악 기호의 조합에 따른 멜로디의 구성을 지원함과 동시에 화음 기능과 반음계 구사를 통해 나타낸 장·단조계의 식별 및 세잇단음, 도돌이표 등과 같은 세부적인 음악 기호의 입력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일반적인 악보 수준의 음악 정보를 키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the music using electrical telephone keypad}
본 발명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하나의 음악 기호군으로 선정하여 복수의 음악 분류군들로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음악 기호군을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배정하며, 상기 각각의 키버튼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을 추출함으로써 하나의 키버튼 조작에 의해 음길이와 음높이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셀룰러 핸드폰, PCS 폰, CT-2 폰과 같은 개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과 서비스 비용에 대한 경쟁적인 저가 정책에 힘입어 각각의 무선 서비스 사업자들이 광범위한 가입자층을 확보함에 따라 이러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물리적으로 제공하는 핸드셋을 제조하는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자사의 단말기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다양한 제품군을 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들에는 통신의 초기 접속을 통지하는 착신 경보 시스템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되어 있다. 일반적인 착신 경보 체계로는 경보음 방식, 진동 경보 방식 및 램프 경보 방식 등이 있는 데, 통상의 착신 경보 체계는 경보음 방식으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진동 경보 방식과 램프 경보 방식은 경보음 방식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고 볼 수 있다.
최근의 경보음 방식을 이용한 착신 경보 체계는 단순 주파수의 조합으로 구성된 수신벨음으로부터 복잡한 멜로디까지의 다수의 경보음을 저장 매체에 저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개인의 기호에 맞는 착신 경보음(즉, 수신 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기의 저장 매체상에 예비된 착신 경보음의 수는 저장 공간의 한정에 기인하여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구매자의 기호와 상관없이 제조 과정에서 입력(해)되는 것임에 따라 개개인의 취향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많은 사람이 군집한 장소에서 착신 경보음이 울릴 경우, 유사한 착신 경보음이 많음에 따라 타인의 착신 경보음을 자신의 착신 경보음으로 착각하여 단말기의 착신 상태를 확인하거나 반대로 자신의 착신 경보음을 타인의 착신 경보음으로 착각하는 등의 착신 경보음에 대한 식별이 불명료함에 따른 다소의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으로 해소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멜로디(음악)를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키입력하여 착신 경보음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과 관련된 대표적인 선출원예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 97-68399 호, "전자식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화기와 이러한 변환기의 주파수 응답을 적용시키는 방법과 멜로디를 코딩하기 위한 방법"과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고번호 제 94-011753 호, "특정인에게 할당된 전화 벨 멜로디를 발생하는 전화기"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현재,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키입력하여 착신 경보음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1997년 말부터 출시되고 있는 '현대전자'의 PCS 폰인 상표명 『걸리버』에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원하는 음악의 악보를 단말기의 소유자가 직접 입력하여 수신벨(즉, 착신 경보음)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즉,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먼저 해당음에 대한 음높이를 선택한 후, 선택한 음높이에 대한 음길이를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원하는 곡이나 멜로디를 작곡하여 수신벨로 키입력하여 사용 가능한는 데, LCD 상의 오선지 위에 악보를 기입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새로운 멜로디를 작곡하여 수신 벨(즉, 수신 멜로디)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멜로디(음악)를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키입력하여 착신 경보음으로 이용하고 싶을 때는 물론이거니와 문자 전송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상용 문자메시지를 대신해 특별한 음악 메시지를 주고 받고자 할 때나 전화를 걸거나 무선 호출기를 호출하는 송신자의 정체를 수신자의 전화기나 호출기의 착신벨상에서 수신자가 코딩한 고유의 멜로디를 통해 알리고자 할 때, 또는 멜로디를 이용한 부가 가치 사업-즉, 멜로디 카드, 초인종, 자명종, 어린이 완구 등과 음향부에 대한 멜로디 입력-과 전화 사업이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을 때에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확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분야에서 음악 입력 체계는 전달하고자 하는 각 악보의 표현 요소를 유일하게 표현할 수 있을 만큼 악보 표현 능력이 풍부하고 사용자가 이와 같은 악보 표현 능력을 직접적으로 실현할 시에 키버튼 조작이 간단하며 각 악보 표현 요소의 자판 배열에 대한 숙지가 용이할 것과 같은 종합적인 조작의 편리성 정도가 고도할수록 바람직한 체계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은 옥타브 재현 능력이 제한적이고 화음과 같은 기능을 구사할 수 없으며, 표준 악보를 나타낼 수 있는 각종 음악 기호 등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함에 따라 일반적인 악보 수준의 음악 정보를 키입력하기에는 표현 능력이 턱없이 부족하며, 이러한 불편함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의 저변화를 방해하는 핵심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현대전자의 제품(상표명 『걸리버』)의 경우, 기본 도∼높은 미(즉, 기본 도, 기본 미, 기본 파, 기본 솔, 기본 라, 기본 시, 높은 도, 높은 레, 높은 미) 구간의 음역만을 지원함에 따라 이를 벗어나는 음악 메시지는 입력할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제한 사항을 갖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음높이를 선택한 후, 별도로 이 음높이에 대한 음길이를 선택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불어, PCS 업자인 018 한솔 PCS는 인터넷을 통해 「나만의 벨소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것은 전화기가 아닌 다른 매체를 이용함에 따라 이러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터넷에 접속해야 하는 등의 추가적인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하나의 음악 기호군으로 분류하여 상기 각각의 음악 기호군을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의 각각의 키버튼에 배정하고 기설정된 옥타브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향후 추출할 음높이의 옥타브를 미리 결정한 후, 상기 각각의 키버튼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을 추출한 후, 기설정된 음길이 변경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상기 추출된 음의 음길이를 정수배 또는 정수의 역수배로 변경함으로써 12개의 키버튼만을 이용하여 모든 음역과 모든 음길이 및 다양한 음악 기호의 조합에 따른 멜로디의 구성을 지원함과 동시에 화음 기능과 장·단조계의 식별 및 세잇단음, 도돌이표 등과 같은 세부적인 음악 기호의 입력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일반적인 악보 수준의 음악 정보를 키입력할 수 있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버튼 조작에 의해 키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으로 구성된 음열을 송신·수신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전송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상용 문자메시지를 대신해 특별한 음악 메시지를 주고 받고자 할 때나 전화를 걸거나 무선 호출기를 호출하는 송신자의 정체를 수신자의 전화기나 호출기의 착신벨상에서 수신자가 코딩한 고유의 멜로디를 통해 알리고자 할 때, 또는 멜로디를 이용한 부가 가치 사업과 전화 사업이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을 때에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확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3는 표 1의 음악 기호의 배치를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 상에 배치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주변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은,「0」에서「9」까지의 숫자 키버튼과 「*」 및 「#」의 기호/기능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음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하나의 음악 기호군으로 선정하여 복수의 음악 기호군들로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음악 기호군을 각각의 키버튼에 배정하며,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대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키버튼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이 추출되도록 기설정한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서 기설정된 옥타브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향후 추출할 음높이의 옥타브를 미리 결정한 후, 상기 각각의 키버튼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음길이 변경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상기 추출된 음의 음길이를 정수배 또는 정수의 역수배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화음 키버튼 조작을 통해 상기 화음 키버튼 조작의 전후에 입력된 음표들로 화음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모든 음역에 대한 음높이를 키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음길이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키입력하여 작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으로 구성된 음열을 인코딩하여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음열을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에 음향 재생 수단을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키버튼 조작에 의해 음길이와 음높이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핵심적인 특징이다.
우선,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통상,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는 4행 3열의 키버튼 배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측에서 하측 순으로 「1」,「2」,「3」,「4」,「5」,「6」, 「7」,「8」,「9」,「*」,「0」,「#」키버튼이 배정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키버튼을 푸쉬하면,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모방할 수 없는 고주파와 저주파로 구성된 듀얼 톤 변환 주파수(DTMF; Dual Tone Multi-Frequency)를 함께 발생시킴으로써 각각의 키버튼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 분 1 2 3 4 5 6 7 8 9 0
저주파(Hz) 697 697 697 770 770 770 852 852 852 941 941 941
고주파(Hz) 1209 1336 1477 1209 1336 1477 1209 1336 1477 1336 1209 1477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100에서는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하나의 음악 기호군으로 선정하여 복수의 음악 분류군들로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음악 기호군을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배정하며(단계 S110),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대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키버튼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이 추출되도록 설정한다(단계 S1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음악 기호를 숫자 키버튼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한 본 발명의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는 고저 장단을 갖는 음표외에도 7음계에 기초한, 반음계 구사를 통한 장단조계의 악보에서 필요한 화음, 도돌이표, 세잇단음표, 반음 올림, 쉼표, 여리게, 세게 등과 관련된 일반적인 음악 기호를 대부분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용어인 '음악 기호'는 악보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표와 계명 및 보표를 통칭하는 명칭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의 숫자 키버튼에 대응하는 음악 기호의 배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표 2의 음악 기호의 배치를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 상에 배치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조작방식 1 2 3 4 5 6 7 8 9 0 * #
음(C4:도 - B4:시) 기능
싱글푸쉬 C?? D?? E?? F?? G?? A?? B?? 위옥타브 8분쉼표 부점(·) 두배로 ??
더블푸쉬 C?? D?? E?? F?? G?? A?? B?? 밑옥타브 16분쉼표 반으로 화음
롱 푸 쉬 C?? D?? E?? F?? G?? A?? B?? 세잇단음 4분쉼표 AC 여리게 세게
각각의 키버튼에는 3개의 음악 기호를 배정하는 데, 각각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을 수행할 시에 간단한 키버튼 조작을 앞쪽에 병기한 음악 기호에 대응하도록 배정할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키버튼에 3개의 음악 기호를 병기시키는 순서는 음악 기호의 악보상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악 기호들 중에서는 음계를 나타내는 음표가 중심적인 기호가 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판별이 용이한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의 상위 배열에 배정하도록 하는 배려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서,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의 상위 배열인 숫자「1」, 숫자「2」, 숫자「3」, 숫자「4」, 숫자「5」, 숫자「6」, 숫자「7」키버튼 각각의 첫 번째 자리와 두 번째 자리 및 세 번째 자리에는 고저 장단을 갖는 음계의 음악 기호-즉, 음표-를 배정하고,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의 상위 배열인 숫자「8」, 숫자「9」, 숫자「0」, 기호/기능 문자「*」, 기호/기능 문자「#」키버튼 각각에는 옥타브, 쉼표, 부점, 화음 등과 관련된 서로 다른 음악적 기능을 갖는 음악 기호들을 배정한다.
한편, 각각의 음악 기호를 동일 음악 기호군으로 분류하는 기본 기준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동일 음악 기호군으로 분류할 것임을 명시한 바 있는 데, 기타 음악 기호는 유사 기능을 갖는 음악 기호를 동일한 음악 기호군으로 군집화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또는, 음표)들'은 8분음표와 16분음표 및 4분 음표를 기본 음길이로 이용하는 데, 8분음표를 동일 키버튼의 첫 번째 자리에 배정하고, 16분음표를 동일 키버튼의 두 번째 자리에 배정하며, 4분음표를 동일 키버튼의 세 번째 자리에 배정한다.
이것은 착신 경보음과 같은 시그널 음악류에서는 8분음표와 16분음표가 빈도높게 사용되며, 또한, 8분음표가 16분음표보다는 더 자주 사용되고, 16분음표가 4분음표보다는 더 자주 사용됨을 통계적으로 고려한 배치이다. 물론, 이러한 배열은 시그널 음악류에 기반한 것임에 따라 응용분야에 따라서는 8분음표, 16분음표, 4분음표의 배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에 대한 일례를 도 3a를 통해 살펴보면, 숫자 1 키버튼에는 「기본 도의 8분음표」, 「기본 도의 16분음표」, 「기본 도의 4분음표」를, 숫자 2 키버튼에는 「기본 레의 8분음표」, 「기본 레의 16분음표」, 「기본 fp의 4분음표」를, 숫자 3 키버튼에는 「기본 미의 8분음표」, 「기본 미의 16분음표」, 「기본 미의 4분음표」를, 숫자 「4」 키버튼에는 「기본 파의 8분음표」, 「기본 파의 16분음표」, 「기본 파의 4분음표」를, 숫자「5」 키버튼에는 「기본 솔의 8분음표」, 「기본 솔의 16분음표」, 「기본 솔의 4분음표」를, 숫자「6」 키버튼에는 「기본 라의 8분음표」, 「기본 라의 16분음표」, 「기본 라의 4분음표」를, 숫자「7」 키버튼에는 「기본 시의 8분음표」, 「기본 시의 16분음표」, 「기본 도의 4분음표」를, 숫자「8」 키버튼에는 「위옥타브」, 「밑옥타브」, 「세잇단음」을, 숫자「9」 키버튼에는 「8분쉼표」, 「16분쉼표」, 「4분쉼표」를, 숫자「0」 키버튼에는 「부점(·)」, 「Back Space」, 「Delete All」를, 기호/기능 문자 「*」 키버튼에는 「음길이 두배」, 「음길이 반배」, 「여리게」를, 기호/기능 문자 「#」 키버튼에는 「반음올림(#)」, 「화음합성」, 「세게」를 순차적으로 병기한다.
음악 기호군이 배정된 각각의 키버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3개의 음악 기호가 사용 빈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병기되며, 선택된 키버튼에 배정된 3개의 음악 기호는 싱글 푸쉬 조작, 더블 푸쉬 조작 및 롱 푸쉬 조작으로 구성된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기설정되며, 이에 따라 싱글 푸쉬 조작, 더블 푸쉬 조작 및 롱 푸쉬 조작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 조작에 의해 임의의 키버튼이 선택되며, 선택된 키버튼의 3개의 음악 기호 중 해당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음악 기호가 추출되도록 되어있다.
다시 말해서, 싱글 푸쉬 조작은 3개의 음악 기호군에서 첫 번째 음악 기호에 대응되고, 더블 푸쉬 조작은 3개의 음악 기호군에서 두 번째 음악 기호에 대응된다.
롱 푸쉬 조작은 3개의 음악 기호군에서 세 번째 음악 기호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러한 대응 방식은 일반적인 악보에서 사용 빈도수가 많은 음악 기호에 상대적으로 간단한 키버튼 조작을 대응시키기 위한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키버튼의 조작 방식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싱글 푸쉬(single push) 조작은 키버튼을 간단히 한번 누르는 조작 방식으로 마우스의 싱글 클릭(single click)과 유사하고, 더블 푸쉬(double push) 조작은 키버튼을 연속 두 번 누르는 조작 방식으로 마우스의 더블 클릭(double click)과 유사하다. 예컨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조작 방식의 클릭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승 에지(Up Edge)와 하강 에지(Dn Edge) 그리고 온 상태(On State)를 검사함으로써 각 조작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현재 무선 호출기의 음성 사서함의 녹음 시간을 연장할 시에 기호/기능 문자「*」 키버튼을 두 번 연속 누르는 방식과 동일하다. 또한, 롱 푸쉬(long push) 조작은 키버튼을 싱글 푸쉬 조작의 두 배 이상 오래 누르는 키버튼 조작 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세 종류의 키버튼 조작 방식을 통칭하여 다중 푸쉬 키버튼 조작 방식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구분 Dual Tone Multi-Frequency[Hz] 입력 단위시간 내 인식조건(and)
조작 버튼 저주파 고주파 Up Edge On State Dn Edge
싱글푸쉬 1 697 1209 1 1 1
2 697 1336 1 1 1
3 697 1477 1 1 1
4 770 1209 1 1 1
5 770 1336 1 1 1
6 770 1477 1 1 1
7 852 1209 1 1 1
8 852 1336 1 1 1
9 852 1477 1 1 1
0 941 1336 1 1 1
* 941 1209 1 1 1
# 941 1477 1 1 1
더블푸쉬 1" 697 1209 2 2 1 or 2
2" 697 1336 2 2 1 or 2
3" 697 1477 2 2 1 or 2
4" 770 1209 2 2 1 or 2
5" 770 1336 2 2 1 or 2
6" 770 1477 2 2 1 or 2
7" 852 1209 2 2 1 or 2
8" 852 1336 2 2 1 or 2
9" 852 1477 2 2 1 or 2
0" 941 1336 2 2 1 or 2
*" 941 1209 2 2 1 or 2
#" 941 1477 2 2 1 or 2
롱푸쉬 1- 697 1209 1 1 0
2- 697 1336 1 1 0
3- 697 1477 1 1 0
4- 770 1209 1 1 0
5- 770 1336 1 1 0
6- 770 1477 1 1 0
7- 852 1209 1 1 0
8- 852 1336 1 1 0
9- 852 1477 1 1 0
0- 941 1336 1 1 0
*- 941 1209 1 1 0
#- 941 1477 1 1 0
본 발명은 전자식 전화형 캐패드를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다중 동작 모드를 채택하는 시스템의 일부의 기능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모드전환 조작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동작 모든 전환 과정은 본 발명 범위의 일부라기보다는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한 전제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에 도 3a에 예시한 키배열에는 모드 전환을 위한 별도의 키버튼을 배정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응용 분야에 따라서는 모드 전환을 위해 12 키버튼 외에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키조합 설명에서 특별한 기능이 배정되어 있지 않으면서 기호/기능 문자가 먼저 등장하는 조합인 '##9', '##0', '##*' 등을 모드 전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S200에서는 별도로 배정한 모드전환 키버튼 조작 또는 모드 전환 수단을 적절하게 조작하여 동작 모드를 음악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하의 수행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음악을 입력하게 된다.
우선, 단계 S300에서는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옥타브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향후 추출할 음높이의 옥타브를 미리 결정한 후, 상기 각각의 키버튼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을 추출한다.
단계 S400에서는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음길이 변경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상기 추출된 음의 음길이를 정수배 또는 정수의 역수배로 변경한다. 또한, 악보 작성 규칙에 따라 도 3에 배정한 기타 음악 기호를 전술한 음표와 적절하게 조합하여 키입력하는 작업을 부가함으로써 원하는 음악(멜로디)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단계 S400의 옥타브 변경 및 음길이 변경 방법을 포함하여, 화음 구사, 도돌이표, 세잇단음표, 부점 등과 같은 일종의 특수 기능의 음악 기호(보표)들에 대한 사용 방법을 도 3에 제시한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원에서는 키버튼 조작 방식에 따른 문서상의 표식을 다음과 같이 통일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즉, 숫자 및 기호/기능 문자를 예로 들면, 싱글 푸쉬 조작은 1, 2, 3, 4, 5, 6, 7, 8, 9, 0, *, #과 같이 표기하고, 더블 푸쉬 조작은 1", 2", 3", 4", 5", 6", 7", 8", 9", 0", *", #"으로 표기하며, 롱 푸쉬 조작은 1-, 2-, 3-, 4-, 5-, 6-, 7-, 8-, 9-, 0-, *-, #-과 같이 표기하기로 한다.
우선, 옥타브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음을 키입력한 후에 기설정된 옥타브 키버튼 조작을 행하거나 해당음을 키입력하기 전에 기설정된 옥타브 키버튼 조작을 행하는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되는 데, 여기서는 다른 음악 기호와의 조합할 시에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 후자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선택 예일 뿐 전자를 선택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예컨대, 옥타브를 상향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숫자「8」키버튼을 싱글 푸쉬(즉,'8')한 후, 「0」에서「7」까지의 숫자 키버튼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을 대상으로 싱글 푸쉬와 더블 푸쉬 및 롱 푸쉬 중 어느 하나의 키조작을 구사함으로써 선택된 음의 음역을 한 옥타브 올릴 수 있으며, 두 옥타브를 올리고 싶을 때는 숫자「8」키버튼을 싱글 푸쉬(즉,'8')하는 조작을 거듭 구사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옥타브를 하향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숫자「8」키버튼을 더블 푸쉬(즉,'8"')한 후, 「0」에서「7」까지의 숫자 키버튼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을 대상으로 싱글 푸쉬와 더블 푸쉬 및 롱 푸쉬 중 어느 하나의 키조작을 구사함으로써 선택된 음의 음역을 한 옥타브 내릴 수 있으며, 두 옥타브를 내리고 싶을 때는 숫자「8」키버튼을 더블 푸쉬(즉,'8"')하는 조작을 거듭 구사하면 된다.
이때, 옥타브를 상·하향으로 변경하지 않을 경우, 최초 옥타브의 기준은 기본 도(C4)에서 기본 시(B4)까지가 됨에 따라 옥타브 변경 조작을 수행하지 않고 「0」에서「7」까지의 숫자 키버튼 중 어느 하나를 싱글 푸쉬 또는 더블 푸쉬함하면, 기본 도(C4)에서 기본 시(B4)까지의 음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옥타브 조작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키조작인 것이다.
즉, 옥타브 변화는 옥타브 변화를 원하는 음표버튼조작 앞에 '8'(올릴 때) 내지 '8"'(내릴 때)을 추가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해당음에 대한 반음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옥타브 변경 조작과 마찬가지로 해당음에 대한 키입력 전후에 인가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해당음을 선택하기 전에 반음 조작을 수행하기로 한다. 단, 옥타브 변경 조작과 동시에 병행해야 할 경우에는 옥타브 변화 조작이 우선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해당음을 반음 올리기 위해서는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의 싱글 푸쉬(즉, '#') 조작을 해당음을 선택하기 전에 인가하면 된다. 즉, 반음 구사는 반음 올리기를 원하는 음표버튼조작 앞에 '#'을 추가한다.
이어서, 음길이를 정수배 또는 정수의 역수배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음을 키입력한 후에 기설정된 음길이 변경 키버튼 조작을 행하거나 해당음을 키입력하기 전에 기설정된 음길이 변경 키버튼 조작을 행하는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되는 데, 여기서는 옥타브 변경 조작 등과 같은 다른 음악 기호와의 조합할 시에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 전자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선택 예일 뿐 후자를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음길이를 정수배(단, 여기서는 두배임.)로 변경하기 위해서는「0」에서「7」까지의 숫자 키버튼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을 대상으로 싱글 푸쉬와 더블 푸쉬 및 롱 푸쉬 중 어느 하나의 키조작을 구사한 후,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싱글 푸쉬(즉,'*')하면, 각각 해당음 길이의 두배로 변경가능하되, 이에 대한 인가가 연속될 경우 그 효과도 거듭된다. 즉, 8분음표의 기본 '도' 4배의 음길이를 구사하고 싶다면 '1**'으로, 8분음표의 기본 '도' 8배의 음길이를 구사하고 싶다면 '1***'로 키버튼 조작을 수행한다.
즉, 2배, 1/2배 박자 변화는 박자 변화를 원하는 음표버튼조작 뒤에 '*'(두배로) 내지 '*"'(반으로)를 추가한다.
마찬가지로, 음길이를 정수의 역수배(단, 여기서는배임.)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0」에서「7」까지의 숫자 키버튼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을 대상으로 싱글 푸쉬와 더블 푸쉬 및 롱 푸쉬 중 어느 하나의 키조작을 구사한 후,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더블 푸쉬(즉,'*"')하면, 각각 해당음 길이의배로 변경하되, 이에 대한 인가가 연속될 경우 그 효과도 거듭된다. 8분음표의 기본 '도'를 대상으로 32분음표를 구사하고 싶다면 '1"*"'으로 키버튼 조작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음길이를 정수배 또는 정수의 역수배로 가변하지 않을 경우, 최초 음길이의 기준은 싱글 푸쉬에 대해서는 8분음표, 더블 푸쉬에 대해서는 16분음표, 롱 푸쉬에 대해서는 4분음표임을 전술한 바 있다.
한편, 부점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음길이 변경 조작과 마찬가지로 해당음에 대한 키입력 전후에 인가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해당음을 선택한 후에 부점 조작을 수행하기로 한다. 단, 음길이 변경 조작과 동시에 병행해야 할 경우에는 음길이 변경 조작이 우선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해당음의 음길이에 대한 하나의 부점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각각 숫자「0」키버튼을 싱글 푸쉬(즉,'0')하는 조작을 해당음 전에 인가하면 된다.
화음구사는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더블 푸쉬(즉,'#"')하는 조작을 음과 음 사이에 인가하여 구사한다. 예를 들어 8분음표로 기본 음역의 '도미솔'을 동시에 내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1#"3#"5'을 입력하면 된다. 물론 '5#"3#"1'도 같은 화음을 표시하게 된다. 다만, 화음 구성음들 중의 한음이 다른 음들보다 길어 다음에 오는 음까지 지속될 때, 조작의 순서가 문제가 된다. 여기서는 '#"'로 합성되는 음들 중 상대적으로 긴은 음을 우선 표기하는 것으로 원칙을 삼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음 구사는 동시에 울리게 하고자 음표버튼조작 사이에 '#"'를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데, 이론적으로는 화음으로 구사할 수 있는 음의 수에 제한이 없다. 화음으로 구성된 음표에 있어 그 길이는 달라도 된다. 단, 가장 짧은 음표을 기준으로 다음 음이 연결된다. 즉, 어떤 음은 필요에 따라 길게 지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4박자의 기본 도를 기본으로 「미솔미솔파라파라」를 8분음으로 연주하고 싶다면, '1-** #" 3 5 3 5 4 6 4 6'을 입력하면 된다.
이어서, 도돌이표를 설명하면, 숫자「8」키버튼과 숫자「9」키버튼을 싱글 푸쉬('89')하는 조작을 수행하면, 도돌이표 '||:'를 나타내고 숫자「8」키버튼과 숫자「0」키버튼을 싱글 푸쉬('80')하는 조작을 수행하면, 도돌이표 ':||'를 나타내게 된다. 즉, 도돌이 구사는 반복 연주를 원하는 시작 부분에 '89', 마침 부분에 '80'을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세잇단음 구사는 세잇단음으로 연주하기 원하는 세개의 음표버튼조작 앞에 '8-'을 추가하되 이후에 오는 세개의 음표는 길이가 같아야 한다. 4분음표로의 세잇단음, 8분음표로의 세잇단음, 16분음표로의 세잇단음 등등 모든 음표들에 대해 세잇단음 구사가 가능하다.
한편, 연주 속도를 가변시키고 싶을 경우, 연주 속도를 「점점 느리게」하기 위해서는 연주 속도를 가변하고 싶은 음열이 시작되는 시점에 숫자 「8」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8')한 후, 이어서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각각 싱글 푸쉬(즉, '*')하는 조작을 인가하면 되고, '8*'가 거듭될수록 연주 속도는 더 느려진다. 또한, 연주 속도를 「조금 빠르게」하기 위해서는 연주 속도를 가변하고 싶은 음열이 시작되는 시점에 숫자 「8」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8')한 후, 이어서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하는 조작을 인가하면 되며, '8#'가 거듭될수록 연주 속도는 더 빨라진다. 음열 중에 두 신호(즉, '8*' 및 '8#')의 수가 동일하다면 시작시의 빠르기와 종료시의 빠르기가 동일한 결과가 되는 셈이 되며, 연주 속도를 「원래 빠르기로」로 하기 위해서는 숫자 「#」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한 후, 이어서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하는 조작을 원하는 시점에 인가하면 된다.
연주 세기를 가변시키고 싶을 경우, 연주 세기를 「여리게」하기 위해서는 연주 세기를 가변시키고자 하는 음열이 시작되는 시점에 기호/기능 문자 「*」키버튼을 롱 푸쉬(즉, '*-')하는 조작을 인가하면 되고, '*-'가 거듭될수록 연주 세기는 더 여려진다. 또한, 연주 세기를 「세게」하기 위해서는 연주 세기를 가변시키고자 하는 음열이 시작되는 시점에 기호/기능 문자 「#」키버튼을 롱 푸쉬(즉, '#-')하는 조작을 인가하면 되고, '#-'가 거듭될수록 연주 세기는 강해진다. 음열 중에 두 신호(즉, '*-' 및 '#-')의 수가 동일하다면 시작시의 세기와 종료시의 세기가 동일한 결과가 되는 셈이 된다.
그리고, 현재 입력된 곳까지의 음들을 시범연주하기 위해서는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한 후, 이어서, 숫자 「9」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9')하는 조작을 시작되는 시점에 인가하면 되고, 입력 완료 및 전체 연주를 위해서는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한 후, 이어서, 숫자 「0」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0')하는 조작을 인가하면 된다.
그리고, 세배로 음길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한 후, 이어서, 숫자 「0」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0')하는 조작을 인가하거나 숫자 「0」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0')한 후, 이어서, 기호/기능 문자「*」키버튼을 싱글 푸쉬(즉, '*')하는 조작을 인가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3배, 3/2배 박자 변화는 박자 변화를 원하는 음표에 해당하는 버튼 뒤에 '0*' 또는 '*0'(세배로) 내지 '0'(반박자, 부점)을 추가한다.
한편, '88', '99', '00', '**', '##' 등은 각각의 싱글푸쉬 기능의 거듭 적용으로 간주되며, 필요시 '889', '880', '##9', '##0', '88*', '88#', '##*' 등도 추가로 사용가능한 키의 조합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배정할 수 있다.
이상의 특수키(보표키)들을 적절히 이용하면 음역과 음길이의 제한없이 풍부한 음악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롱푸쉬를 지원하지 않거나 실시간 입력 등을 이유로, 필요시 롱푸쉬 방식이나 더블 푸쉬 방식을 포기할 경우에는 싱글 푸쉬만을 이용해서도 음계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중 하나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음악 입력 방법에 입각하여 " 깊은산- 속--옹--달--샘--누가와서먹나요"와 같은 노래말과 이에 대한 단선율 멜로디를 갖는『옹달샘(곡목)』을 키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미솔도미솔--파--라--라--솔시레파미레도--------- :|| ??
깊은산- 속--옹--달--샘--누가와서먹나요---------
89 3 5 81 3 5- 4- 6- 6- 5 7 8284838281-0* 80 #0
마찬가지로,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몇개의 곡을 본 발명에서 예시한 표기 방법으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 ABC 송 〉
도도솔솔라라솔-파파미미레레도-??: 솔솔파파미미레- :?? ??
1 1 5 5 6 6 5- 4 4 3 3 2 2 1- 89 5 5 4 4 3 3 2- 80 #0
〈 학교종 〉
솔솔라라솔솔미-솔솔미미레---솔솔라라솔솔미-솔미레미도--- ??
5 5 6 6 5 5 3- 5 5 3 3 2-* 5 5 6 6 5 5 3- 5 3 2 3 1-* #0
〈 기뻐하며 경배하세 〉
미미파솔솔파미레도도레미미.레레-미미파솔솔파미레도도레미레.도도-
3 3 4 5 5 4 3 2 1 1 2 3 302"2- 3 3 4 5 5 4 3 2 1 1 2 3 201"1-
〈 기쁘다 구주 오셨네 〉
도- 시.라" 솔-. 파미-레-도-. 솔라-.라시-.시 도---- ??
81- 70 6" 5-0 4 3- 2- 1-0 5 6-0 6 7-0 7 81-0* #0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식과 '현대전자'의 PCS 폰인 상표명 『걸리버』에 따른 방식과의 키버튼 조작횟수 비교를 비교한 것이다.
비교곡 본 발명의 방식(A) 걸리버(B) 비율(A/B) 비고
ABC 송 28회 42회 67% 도돌이불가
학교종 30회 50회 60%
기뻐하며 36회 66회 55% 부점표현 난이
깊은 산 속 32회 58회 55% 도돌이불가
한편, 앞에서 제시한 음악 기호에 대한 자판 배치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키버튼의 배치에 대한 실시예들이 도출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자판 배치는 기능 인가 순서를 고려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판 숙지를 용이성이나 숫자 모양과 음악 기호의 유사성의 반영하기 위해 옥타브 키버튼은 숫자「8」키버튼에, 쉼표 키버튼은 숫자「9」키버튼에 각각 배정하였으며, 4분음표에 부기하는 날개 모양의 표기수와 상관성을 짓기 위해 8분음표를 싱글 푸쉬에, 16분음표를 더블 푸쉬에 각각 배정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버튼 푸쉬에 의한 톤 발생의 메커니즘이 종래의 전화 장치 상에서와 동일하며 이를 인식하는 방식만을 전화기, PCS 등의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면 됨에 따라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가 불필요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주변의 개략적인 하드웨어적인 구성의 일례는 첨부한 도 4를 그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다. 나아가 악보 LCD 및 동작 모드 LCD 등을 포함하고, 전화선을 경유하는 간단한 건전지형 외장 시스템 모듈을 개발하여, 휴대용으로 각종 전화기에 연결 사용할 수도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하나의 음악 기호군으로 분류하여 상기 각각의 음악 기호군을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의 각각의 키버튼에 배정하고,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대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키버튼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이 추출되도록 기설정한 본 발명의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키입력한 음열은 완벽한 쌍방향 코딩이 가능하다. 즉, 인코딩 및 디코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단계 S500에서는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키입력하여 작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으로 구성된 음열을 인코딩하여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단계 S600에서는 상기 전송된 음열을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에 음향 재생 수단을 통해 재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송신 단말기에서 작성한 본 발명의 음악 코드(즉, 음열)는 수신 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수신한 후, 디코딩하여 재생할 수 있는 구조을 갖고 있다. 통상, 본 발명의 음악 기호에 대한 자판 배치는 12개의 숫자 키버튼과 3개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각(즉, 싱글 푸쉬, 더블 푸쉬, 롱 푸쉬)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각의 코드에 6비트를 할당하여 인코딩할 경우, 36개의 고유한 코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즉, 키버튼 조작에 의해 키입력된 음열을 전송·수신함으로써 문자 전송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상용 문자메시지를 대신해 특별한 음악 메시지를 주고받고자 할 때나 전화를 걸거나 무선 호출기를 호출하는 송신자의 정체를 수신자의 전화기나 호출기의 착신벨상에서 수신자가 코딩한 고유의 멜로디를 통해 알리고자 할 때, 또는 멜로디를 이용한 부가 가치 사업과 전화 사업이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을 때에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확장하여 이용하고자 함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유 벨소리 입력(홈페이지와 연동) 서비스 추가, 자작 멜로디 사서함 서비스 신설, 연인간 고유 멜로디 원격 입력 서비스 신설, 벨소리를 이용한 송신자구분 및 선택수신 서비스 신설 등의 기존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응용하면, 문화혁명 이후 중국에서는 오선지가 아닌 숫자로 된 악보를 통용시키고 있음에 따라 본 방식과 유사한 방법을 빌어 미개척 해외 통신 시장인 중국 등을 대상으로 사업상의 전략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멜로디 완구, 자명종 시계, 멜로디 전보 등과 같은 타 사업분야에도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음에 따라 새로운 시작을 개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과 요지를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본 발명은 오선지 등의 화면지원이 없어도 되는 방식으로, 12개의 키버튼만을 이용하여 듀얼 톤 통신(dual tone communication) 가능한 것이 주요 특징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음악을 입력할 시, 음역 및 리듬 표현의 제한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으며, 쉼표, 화음, 빠르기/세기 변환, 입력 취소/완료 등의 기능을 용이하게 구사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와 이점이 있다.
1) 12개의 키버튼만을 이용하여 모든 음역과 모든 음길이 및 다양한 음악 기호의 조합에 따른 멜로디의 구성을 지원함과 동시에 화음 기능과 장·단조계의 식별 및 세잇단음, 도돌이표 등과 같은 세부적인 음악 기호의 입력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일반적인 악보 수준의 음악 정보를 키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 기존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3가지(싱글 푸쉬, 더블 푸쉬, 롱 푸쉬) 키버튼 조작 방식을 적용하여 12개의 키버튼 수에 구애받지 않고 각 동작 모드당 36가지의 서로 다른 입력을 구사할 수 있어, 음악 메시지에 대한 풍부하고 완벽한 쌍방향 코딩 즉, 인코딩과 디코딩이 가능하다.
3) 문자 전송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상용 문자메시지를 대신해 특별한 음악 메시지를 주고 받고자 할 때나 전화를 걸거나 무선 호출기를 호출하는 송신자의 정체를 수신자의 전화기나 호출기의 착신벨상에서 수신자가 코딩한 고유의 멜로디를 통해 알리고자 할 때, 또는 멜로디를 이용한 부가 가치 사업과 전화 사업이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을 때에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확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음악 메지지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음성 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심볼 형태의 음악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특이성에 기인하여 이용자들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4) 12개의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하는 방식이므로 기존 유선/무선전화기, 휴대폰, PCS폰 및 TV 리모콘, 팜탑, 전자수첩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4)

  1. 「0」에서「9」까지의 숫자 키버튼과 「*」 및 「#」의 기호/기능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의 각각의 키버튼에 음을 입력하기 위한 음악 기호를 소정 배정 방식에 따라 배정하고 상기 배정된 음악 기호를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으로 구성된 음열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음열을 인코딩하여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음열을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에 음향 재생 수단을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 음을 송수신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배정 방식은,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하나의 음악 기호군으로 선정하여 복수의 음악 기호군들로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음악 기호군을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배정하며,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대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키버튼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이 추출되도록 기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 음을 송수신하는 방법.
  3. 「0」에서「9」까지의 숫자 키버튼과 「*」 및 「#」의 기호/기능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통해 음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음길이를 갖는 복수의 음들을 하나의 음악 기호군으로 선정하여 복수의 음악 기호군들로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음악 기호군을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배정하고, 상기 각각의 키버튼에 대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키버튼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이 추출되도록 기설정한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서 기설정된 옥타브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향후 추출할 음높이의 옥타브를 미리 결정한 후, 상기 각각의 키버튼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음높이와 음길이를 갖는 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음길이 변경 키버튼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상기 추출된 음의 음길이를 정수배 또는 정수의 역수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음길이는,
    8분음표와 16분음표 및 4분음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계상의 각각의 음높이는,
    기본 '도', 기본 '레', 기본 '미', 기본 '파', 기본 '솔', 기본 '라', 기본 '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는 상기 추출된 음의 음길이의 두 배 또는 세 배이고, 상기 정수의 역수배는 상기 추출된 음의 음길이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반음 키버튼을 통해 상기 반음 키버튼 조작의 이후에 입력된 음을 반음 올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부점 키버튼을 통해 상기 부점 키버튼 조작의 직전에 입력된 음의 음길이에 대한 하나의 부점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화음 키버튼을 통해 상기 화음 키버튼 조작의 전후에 입력된 음들로 화음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도돌이표 키버튼에서 도돌이시키고자 하는 음열의 전후에 상기 도돌이표 키버튼 조작을 인가하여 도돌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세잇단음 키버튼에서 세잇단음으로 구사하고 싶은 세음 전에 상기 세잇단음 키버튼 조작을 인가하여 세잇단음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연주 속도 가변 키버튼에서 연주 속도를 가변하고 싶은 음열이 시작되는 시점에 상기 연주 속도 가변 키버튼 조작을 인가하여 기준 연주 속도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설정된 연주 세기 가변 키버튼에서 연주 세기를 가변하고 싶은 음열이 시작되는 시점에 상기 연주 세기 가변 키버튼 조작을 인가하여 기준 연주 세기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기호군을 배정한 각각의 키버튼은,
    각각 3개의 음악 기호가 사용 빈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병기되고, 싱글 푸쉬 조작, 더블 푸쉬 조작 및 롱 푸쉬 조작 순으로 구성된 서로 다른 키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3개의 음악 기호 중 어느 하나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기호군을 배정한 각각의 키버튼은,
    숫자 1 키버튼에는 「기본 도의 8분음표」, 「기본 도의 16분음표」, 「기본 도의 4분음표」를, 숫자 2 키버튼에는 「기본 레의 8분음표」, 「기본 레의 16분음표」, 「기본 fp의 4분음표」를, 숫자 3 키버튼에는 「기본 미의 8분음표」, 「기본 미의 16분음표」, 「기본 미의 4분음표」를, 숫자 「4」 키버튼에는 「기본 파의 8분음표」, 「기본 파의 16분음표」, 「기본 파의 4분음표」를, 숫자「5」 키버튼에는 「기본 솔의 8분음표」, 「기본 솔의 16분음표」, 「기본 솔의 4분음표」를, 숫자「6」 키버튼에는 「기본 라의 8분음표」, 「기본 라의 16분음표」, 「기본 라의 4분음표」를, 숫자「7」 키버튼에는 「기본 시의 8분음표」, 「기본 시의 16분음표」, 「기본 도의 4분음표」를, 숫자「8」 키버튼에는 「위옥타브」, 「밑옥타브」, 「세잇단음」을, 숫자「9」 키버튼에는 「8분쉼표」, 「16분쉼표」, 「4분쉼표」를, 숫자「0」 키버튼에는 「부점(·)」, 「Back Space」, 「Delete All」를, 기호/기능 문자 「*」 키버튼에는 「음길이 두배」, 「음길이 반배」, 「여리게」를, 기호/기능 문자 「#」 키버튼에는 「반음올림(#)」, 「화음합성」, 「세게」를 순차적으로 병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KR1019990012268A 1999-04-08 1999-04-08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KR20000065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268A KR20000065679A (ko) 1999-04-08 1999-04-08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268A KR20000065679A (ko) 1999-04-08 1999-04-08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679A true KR20000065679A (ko) 2000-11-15

Family

ID=1957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268A KR20000065679A (ko) 1999-04-08 1999-04-08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56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005B1 (ko) * 2003-06-23 2006-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005B1 (ko) * 2003-06-23 2006-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1967B1 (en) Defining of a telephone's ringing tone
CN100489961C (zh) 电话终端装置
CN1205827C (zh) 具有音乐合成能力的便携式通信终端装置
JP2002010355A (ja) 通信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20080025772A (ko) 휴대 단말기의 음악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음악 메시지서비스 시스템
KR100555094B1 (ko) 휴대 전화
CN100437442C (zh) 用于手持终端的和弦乐谱输入法
JP2000224269A (ja) 電話機および電話システム
JP3509617B2 (ja) カラオケ装置と携帯電話機との組み合せによる情報サービス方法
TW499807B (en) Cellular phone
JP3501215B2 (ja) 携帯端末
KR20000065679A (ko)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음악 입력 방법
JPH10257131A (ja) 通信端末装置
JP2004536506A (ja) 情報伝達の方法及び装置
KR100468987B1 (ko)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2099533A (ja) 電子辞書機能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JP4269475B2 (ja) 携帯電話および楽音発生制御方法
KR100628638B1 (ko) 음원 생성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음원생성 및 출력 방법
TW512642B (en) Cellular phone
JP3406559B2 (ja) 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音源データの更新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748177B2 (ja) 電話装置
JP2002162967A (ja) 通信端末装置及び着信音再生方法
KR20040038016A (ko) 멜로디 연주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JP3769989B2 (ja) 電話装置
JPH11252212A (ja) 着信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