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808A -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 Google Patents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808A
KR20120026808A KR1020100088942A KR20100088942A KR20120026808A KR 20120026808 A KR20120026808 A KR 20120026808A KR 1020100088942 A KR1020100088942 A KR 1020100088942A KR 20100088942 A KR20100088942 A KR 20100088942A KR 20120026808 A KR20120026808 A KR 20120026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rics
song
data
syllabl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지환
Original Assignee
육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지환 filed Critical 육지환
Priority to KR102010008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808A/ko
Publication of KR2012002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가사를 통해 음정(음의 높낮이), 박자(음의 길이), 강약(음의 세기) 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곡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보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사 데이터의 각 음절을 화면 표시함에 있어서, 대응하는 음의 높낮이를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높낮이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거나, 대응하는 음의 길이를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길이에 대응되게 음절 간의 간격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거나, 대응하는 음의 세기를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세기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 표시한다.

Description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METHOD FOR SHOWING SONG WORDS AND MUSIC BOX SYSTEM}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사를 통해 음정(음의 높낮이), 박자(음의 길이), 강약(음의 세기) 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악을 들으면서 정서를 순화시키고, 노래를 통해 기쁨을 발산하거나 스트레스를 풀게 된다. 이렇게 음악은 시대를 불문하고, 사회를 불문하고 존재하여 왔고 사회가 존속하는 동안은 계속적으로 존재하여 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우리 주변에서는 악기의 보급과 라디오, TV 및 인터넷의 발달, 카세트, CD 플레이어, MP3 등의 전자 기기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든지 음악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는 듣는 것에서 탈피하여 직접 부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는데, 바로 노래방 기기라 불리는 노래 반주기이다.
노래 반주기[일명, 가라오케(karaoke)]란, 기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중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반주(오디오 데이터)와 특정 화면(영상 데이터), 예컨대 배경화면, 가사 등을 출력하는 기기로서, 이에 사용자가 TV에 표시되는 가사를 보고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반주를 들으면서 마이크를 사용해 노래를 따라 부르게 된다.
이와 같이 노래 반주기는 곡을 선택하여 송출되는 반주와 자막으로 표시되는 가사를 보고 음정과 박자를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기기이다. 반주와 가사가 나오므로 가창자(singer)는 특별히 가사를 외운다거나 음정을 외워야 할 필요가 없이 언제든지 원하는 곡만 선택하면 된다. 이러한 편리성으로 인해 노래 반주기는 이제 일반화되어 있으며, 노래 반주기를 영업으로 이용하는 노래방뿐만 아니라 가정에까지 보급되고 있다. 특히, 반주와 가사가 제공되는 노래 반주기는 노래방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학교, 사회 단체 등에서도 별도의 악기 연주 없이도 가사, 음정을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따라 부를 수 있게 하고 노래 연습을 자동으로 시킴으로써 그 효과가 있다.
노래 반주기는 소리로 가사의 진행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멜로디, 가사를 화면에 보여주고 색상을 바꾸어 가는 방법으로 가사의 진행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가사 제어명령(가사처리정보), 그리고 가사파일이 있다. 또한, 파일의 크기를 줄이거나 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멜로디를 가사 제어명령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노래 반주기는 어떤 형태로든 가사 제어명령(가사처리정보)과 가사파일을 이용하여 가사를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가사의 진행상황(색상 변경)을 표시한다.
그런데, 통상의 노래 반주기는 단순히 노래 가사만을 제공할 뿐, 음정(음의 높낮이)나 박자(음의 길이), 강약(음의 세기) 등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비록 노래 가사를 제공할 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에 대한 길이 정보를 "-"로 표시하여 박자의 길어짐을 전달하기도 하지만, 긴 박자에 대해서만 제한적인 정보를 전달할 뿐, 짧고 다양한 박자에 대해서는 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더욱이 가사에서 음정이나 강약은 전혀 알 수 없다.
가사 표시의 일 예로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의 일부를 살펴보면, "그 사람 나만 볼-수 있-어요- 내 눈에-만 보-여요"와 같이 단순히 노래 가사와 더불어 긴 박자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 가사별로 다른 박자 정보를 제공하거나 음정(음의 높낮이)이나 강약(음의 세기)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음치나 박치, 음이 익숙하지 않은 노래를 부르는 경우, 가창자는 가사를 보고 제대로 노래를 부르기가 힘들다. 그러나 음정(음의 높낮이), 박자(음의 길이), 강약(음의 세기) 등이 제공된다면 노래 부르기가 쉽고 재미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사를 통해 음정(음의 높낮이), 박자(음의 길이), 강약(음의 세기) 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가사를 통해 음정(음의 높낮이), 박자(음의 길이), 강약(음의 세기) 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곡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보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사 데이터의 각 음절을 화면 표시함에 있어서, 대응하는 음의 높낮이를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높낮이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제1 방식과, 대응하는 음의 길이를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길이에 대응되게 음절 간의 간격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제2 방식과, 대응하는 음의 세기를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세기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제3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의 일부나 전부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정(음의 높낮이)이 가사의 높낮이로 표시되기 때문에 음정 조절이 쉬워지며 박자(음의 길이)가 가사의 간격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박자 맞추기가 쉬워지며 또한 가사의 크기를 통해 음의 강약을 알 수 있어 노래를 부르기가 보다 수월하다. 이처럼 노래 연습의 효율을 도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라 노래 가사 표시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노래 반주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노래 가사를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노래 가사 표시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노래 가사 표시 방식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노래 반주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노래 반주기는 제어부(10), 입력부(20), 저장부(30), 표시부(40), 증폭회로(50), 스피커(60), 마이크(70), 통신부(80), 리모트 콘트롤러(9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독립적인 노래 반주기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PC, 노트북, 핸드폰, TV, IPTV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통상, 노래 반주기는 오디오 및 영상 반주기로, 주로 가사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상 표시 장치인 TV를 이용하고, 노래(반주, 가창자 음성 등)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인 스피커를 이용한다. 따라서, 오디오 및 영상 반주기를 이용하려면, TV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비디오 기기) 및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장치가 필요하다.
노래 반주기에서 반주 처리부(11)는 미디(MIDI)나 디지털 오디오를 이용하여 노래 반주를 만들어 내는 장치이고, 영상 처리부(12)는 TV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 이를 이용하여 가사나 제목을 표시하거나 점수 표시, 노래 찾기 등을 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비디오 기기(TV 등)는 노래 반주기에서 생성/처리한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가사, 배경화면, 이미지, 동영상 등)를 표시하고, 오디오 기기는 노래 반주기에서 생성/처리한 오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반주, 가창자 음성, 안내멘트 등)를 출력한다.
이러한 비디오 기기(TV) 및 오디오 기기는 노래 반주기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각종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임을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래 반주기에 연결되는 비디오 기기(TV) 및 오디오 기기 등은 노래 반주 기능 수행에 있어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에 따라 노래 반주기에서 반주 처리 및 영상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노래 반주기에는 오디오 소스 파일(예를 들어, MP3, MIDI, WMA 등)을 사용해 반주를 생성/처리하기 위한 반주 처리부(11)가 구비되고, 영상 소스 파일(예를 들어, TEXT, JPEG, GIF, AVI, MOV 등)을 사용해 배경화면을 생성/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12)가 구비되며, 반주 처리 연산/제어, 영상 처리 연산/제어,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 관리 등을 위한 제어부(10)가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통상의 노래 반주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기기(TV 등) 및/또는 오디오 기기(스피커 등)에 연동되지만(제1~3 방식), 노래 반주기에 표시부(40) 및 오디오 출력부(스피커(6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비디오 기기 및 오디오 기기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제4 방식).
상기 제1 방식은, 노래 반주기와 비디오 기기를 유/무선 송수신 기능을 통해 동작시켜 사용자가 노래 연습을 할 수 있는 경우로서, 노래 반주기에 구비되어 있는 제1 통신부(미도시됨)를 통해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및 기타 정보 등을 제2 통신부(미도시됨)가 구비된 비디오 기기로 전송해서 이 비디오 기기에 의해 해당 정보가 처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비디오 기기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화면 출력 장치를 통해 화면 표시되고, 오디오신호는 비디오 기기와 연동된 오디오 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방식에 있어서, 노래 반주기에서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오디오신호를 비디오 기기로 전송하지 않는 대신에, FM 수신부(미도시됨)가 구비된 오디오 기기로 오디오신호를 송출해서 이 오디오 기기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오디오 기기 자체에 FM 수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비디오 기기에 FM 수신부(미도시됨)를 구비하여 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방식은, 노래 반주기와 오디오 기기를 FM 송수신 기능(FM 송신부, FM 수신부)을 통해 동작시켜 사용자가 노래 연습을 할 수 있는 경우로서, 노래 반주기에 구비되어 있는 FM 송신부(미도시됨)를 통해 반주 등과 같은 오디오신호를 FM 수신부(미도시됨)가 구비된 오디오 기기로 송출해서 이 오디오 기기를 통해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상기 제2 방식에 있어서, 가사 등과 같은 영상신호는 노래반주기의 표시부(40)를 통해 화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3 방식은, 노래 반주기와 비디오 기기를 유무선 통신 기능(제1 및 제2 통신부)을 통해 동작시켜 사용자가 노래 연습을 할 수 있는 경우로서, 노래 반주기에 구비되어 있는 제1 통신부(미도시됨)를 통해 가사 등과 같은 영상신호를 제2 통신부(미도시됨)가 구비된 비디오 기기로 송출해서 이 비디오 기기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제3 방식에 있어서, 반주 등과 같은 오디오신호는 노래반주기의 오디오 출력부(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제4 방식은, 노래 반주기를 단독으로 동작시켜 사용자가 노래 연습을 할 수 있는 경우로서, 노래 반주기에 구비되어 있는 오디오 출력부(이어폰 혹은 스피커 등)(60)를 통해 반주 등과 같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노래 반주기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부(40)를 통해 가사 등과 같은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한다.
그러나, 노래 반주기에 표시부(40)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스피커(60))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노래 반주기에 구비된 표시부(40)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스피커(60))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상기 제1 내지 제3 방식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기기 및/또는 오디오 기기를 연동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노래 반주기는 독립적인 노래 반주기 시스템뿐만 아니라(제4 방식), 이와 연동되는 비디오 기기 및/또는 오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제1~3 방식).
이하에서는 노래 반주기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0)는 노래 반주기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전원이 온 되어 전원 공급부(미도시됨)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키 입력을 기다리며, 키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키신호에 대응되는 기능(곡목 테이블 출력 기능, 곡목 선택 기능, 반주 송출 기능, 악보/가사 자막 출력 기능, 영상 화면 출력 기능, 자막 높낮이 조절 기능, 박자 조절 기능, 특히 음정(음의 높낮이), 박자(음의 길이), 강약(음의 세기) 등을 가사로 표현하는 기능(이하 '가사 표현 기능'이라 함) 등)을 제어하도록 해당 구성부를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20)는 일반적인 노래 반주기에 구비되는 키 이외에, 가사 표현 기능키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가사 표현 기능은 디폴트로 기 설정되어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입력부(20)는 다수의 키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 혹은 터치패드 방식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0)로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기기 전원 온/오프 버튼(/아이콘), 노래 시작/종료 버튼(/아이콘), 스크롤 버튼(/아이콘), 특정 기능 핫키 버튼/아이콘(예로서, 노래 찾기 기능을 위한 특수 버튼/아이콘 등), 숫자 버튼(/아이콘), 문자 버튼(/아이콘)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20)는 상기 기능(곡목 테이블 출력 기능, 곡목 선택 기능, 반주 송출 기능, 악보/가사 자막 출력 기능, 영상 화면 출력 기능, 자막 높낮이 조절 기능, 박자 조절 기능, 특히 가사 표현 기능 등)을 수행하는 키를 단독으로 제공할 수 있지만, 키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예를 들어, 기능키를 두고 기능키와 특정 키를 누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키 조합)이다.
이러한 기능키는 리모트 콘트롤러(90)에도 대응되게 설치된다. 편리성 및 노래 반주기의 특성상 리모트 콘트롤러(90)를 많이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상기 기능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리모트 콘트롤러(90)에 해당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저장부(30)는 노래 반주기의 진행에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며, 음악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이때, 음악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반주 데이터베이스(31), 악보 데이터베이스(32), 가사 데이터베이스(33)를 구비할 수 있는데, 반주 데이터베이스(31)에는 다양한 곡들의 노래 반주가 악보/가사 소절(/마디)별로 구분 저장되며, 악보 데이터베이스(32)에는 곡들의 악보가 소절(/마디)별로 구분 저장되며, 가사 데이터베이스(33)에는 곡들의 가사가 소절(/마디)별로 구분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30)에는 곡목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곡목 테이블을 구비한다.
표시부(4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및 가사 자막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이 될 수도 있고, 노래 반주기에 연동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40)는 노래 반주기와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때로는 독립형으로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TV, IPTV, 대형 스크린, PDP, LCD, 모니터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증폭회로(50)는 오디오 증폭회로로서, 마이크(7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하고, 반주 데이터베이스(31)로부터 독출되는 반주 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한다. 엄밀하게는 사용자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를 믹싱 처리하여 출력한다.
마이크(70) 및 스피커(60)는 볼륨 조절이 가능하다.
마이크(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가창자 음성)를 제어부(10)로 입력하는 수단이다.
스피커(60)는 노래 반주기와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때로는 독립형으로 일반 오디오 장치(스피커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스피커(60)는 간단한 오디오 데이터, 예로서 메뉴 설명 안내멘트, 기기 조작법 설명 안내멘트, 노래 제목, 가사, 반주, 노래 시작/종료 알림 사운드 등을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단일 스피커, 듀얼 스피커, 스테레오 타입 스피커, 이어폰, 헤드셋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의 반주 처리부(11)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30)로부터 제공받은 MIDI, PCM, MP3, WMA 및 OGG 등과 같은 오디오 소스 파일을 사용해 해당 반주를 생성한 상태에서 마이크(7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를 믹싱 처리한다. 또한, 반주 처리부(11)는 코러스 등과 같은 음악적 효과, 멜로디 조정, 템포 변경, 음정 조절, 리듬 변경, 절/마디 관리, 노래 엔딩 처리 등과 같은 음악적 관련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의 영상 처리부(12)는 표시부(40)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표시부(40)에 표시할 화면 구성, 즉 화면 표시 위치 설정/적용, 화면 표시 폰트 설정/적용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2)는 압축 영상 데이터 디코딩 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80)는 리모트 콘트롤러(9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곳으로, 리모트 콘트롤러(90)가 적외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적외선 수광부(82)와 복조부(81)로 구성된다. 여기서, 적외선 수광부(82)는 리모트 콘트롤러(90)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광하며, 복조부(81)는 적외선 수광부(83)를 통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0)에 인가한다.
리모트 콘트롤러(90)는 노래 반주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내부에 적외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조부와 적외선 신호(IrDA)를 방사하는 적외선 송신기를 구비한다.
리모트 콘트롤러(90)가 적외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예를 들어, IEEE 802. 11, 블루투스 등의 비접촉식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80)도 그에 대응되는 구성수단을 구비한다.
이상에서는 노래 반주기의 기본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연결부(미도시됨)와, 노래 반주기에 착탈 가능한 보조저장매체(미도시됨)와, 마이크(70)와 동기화된 보조 마이크(미도시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넷 연결부를 통해 노래 반주기와 중앙 관리 서버를 연결시켜, 노래 반주기가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한 기기 정보 갱신 기능, 중앙 관리 서버가 노래 반주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한 기기/사용자 정보 수집 기능, 사용자 요구에 의해 노래 반주기가 중앙 관리 서버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데이터를 가져와 사용하는 기능, 중앙 관리 서버가 노래 반주기의 기능 제한/사용자 조작 제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노래 반주기에서 노래 가사를 표현함에 있어서, 음정(음의 높낮이), 박자(음의 질이), 강약(음의 세기) 등을 가사로 표현할 수 있는 가사 표현 기능을 구현하는 방안에 대해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4는 노래 가사를 2줄로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래 반주기의 악보 데이터베이스(32)에는 곡들의 악보가 소절(/마디)별로 구분 저장되어 있고, 가사 데이터베이스(33)에는 곡들의 가사파일이 소절(/마디)별로 구분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90)를 통해 선곡한다. 곡이 선택되면 노래 반주기의 제어부(10)는 해당 반주 데이터를 반주 데이터베이스(31)에서 추출하여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하고,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파일(가사 데이터)을 가사 데이터베이스(33)에서 추출한다. 아울러 제어부(10)는 해당 곡의 악보를 악보 데이터베이스(32)에서 추출한다. 이때 선곡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여 악보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는 동기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32)의 악보에서 해당 곡의 가사 제어명령(가사처리정보)을 추출하고, 가사 데이터베이스(33)에서 가사파일(가사 데이터)을 추출한다.
노래 반주기의 가사 제어명령(가사처리정보)과 가사파일에는 노래(절 가사들을 포함하는 전체 노래 가사)의 시작과 끝, 절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정보, 가사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보통 1줄 또는 2줄 분량으로 구분 저장된 가사 데이터와, 가사의 표시 위치 정보(상/하/좌/우 정보), 표시 지속 시간 정보(표출 시간 정보), 지움 속도 정보, 표시된 가사의 각 글자(음절)의 진행상황(색상 변경)을 표시하기 위한 시간정보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32)에서 악보의 음계를 바탕으로 해당 음의 높낮이(음정)에 해당하는 음정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악보의 셈여림표 또는 셈여림말(Dynamics, Dynamic marks)을 바탕으로 특정 음의 강약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음정정보는, 해당 음에 부여되는 "(1도)도", "(1도)레", "(1도)미", "(1도)파", "(1도)솔", "(1도)라", "(1도)시", "(2도)도", "(2도)레" 등과 같은 음의 높낮이를 나타낸다. 강약정보는, 특정 음에 부여되는 pp(피아니시모, 매우 여리게), p(피아노, 여리게), mp(메조피아노, 조금 여리게), mf(메조포르테, 조금 세게), f(포르테, 세게), ff(포르티시모, 매우 세게) 등과 같은 음의 강약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사 제어명령(가사처리정보)의 시간정보를 바탕으로 박자(음의 간격)에 따라 가사의 간격을 달리 대응시킨다(3a).
제1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4분의 4박자라 하면 한 마디에 4분 음표가 4개 있고, 4분 음표가 한 박자라는 의미이고, 8분의 6박자는 한 마디에 8분 음표가 6개 있고, 8분 음표가 한 박자라는 의미이다. 또한, 4분의 3박자는 4분 음표가 3개 있고, 4분 음표가 한박자라는 의미이고, 4분의 2박자는 4분 음표가 2개 있고, 4분 음표가 한 박자라는 의미이다. 또한, 8분의 9박자는 8분 음표가 9개 있고, 8분 음표가 한 박자라는 의미이고, 8분의 12박자는 8분 음표가 12개 있고, 8분 음표가 한 박자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1소절은 4마디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간정보는, 가사의 각 음절간 간격정보(쉼표정보) 또는 가사의 각 음절의 박자정보(길이정보)를 포함하며, 가사의 글자(음절) 또는 일정 단위마다 색상을 달리할 수 있도록 가사의 시작과 끝나는 시점을 알려주기 위한 정보로서, 이들 정보가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글자(음절)의 색상이 바뀌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다음 글자(음절)의 시작 시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여기서 가사의 각 음절간(글자간) 간격정보는, 예를 들면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 중 '그 사람 나만 볼 수 있어요'의 '요' 음절이 끝난 후 다음 가사 '내눈에만 보여요'의 '요' 음절과 '내' 음절 간의 쉼표정보(음절 간 휴지 기간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가사의 각 음절의 박자정보는 음절, 예를 들면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 중 '그 사람 나만 볼 수 있어요'의 '나' 음절의 길이정보(개별 음절의 길이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시간정보, 즉 가사의 각 음절간 간격정보(쉼표정보) 또는 가사의 각 음절의 박자정보(길이정보)를 바탕으로 가사를 표현함에 있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자가 긴 음절은 다음 음절과의 간격을 길게, 박자가 짧은 음절은 다음 음절과의 간격을 짧게 하여 가사의 간격을 달리 표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시간정보를 바탕으로 가사를 표현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 중 '그 사람 나만 볼 수 있어요'의 '수' 음절의 박자보다 '그' 음절의 박자가 길기 때문에 '그' 음절과 다음 음절 '사' 음절 간의 간격을 '수' 음절과 다음 음절 '있' 음절 간의 간격보다 수평 방향으로 길게 표현한다. 또한 '그' 음절의 박자보다 '람' 음절의 박자가 길기 때문에 '람' 음절과 다음 음절 '나' 음절 간의 간격을 '그' 음절과 다음 음절 '사' 음절 간의 간격보다 수평방향으로 길게 표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의 음정정보를 바탕으로 음정(음의 높낮이)에 따라 가사의 높낮이를 달리 대응시킨다(3b).
제2 실시예에서, 음정정보를 바탕으로 가사를 표현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 중 '그 사람 나만 볼 수 있어요'의 '그' 음절의 음정보다 '사' 음절의 음정이 높기 때문에 '사' 음절을 '그' 음절보다 상하방향에서 높은 위치에 표현한다. 또한 '람' 음절의 음정은 '사' 음절의 음정보다 높기 때문에, '람' 음절을 '사' 음절보다 상하방향에서 높은 위치에 표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악보의 강약정보를 바탕으로 강약(음의 세기)에 따라 가사의 크기를 달리 대응시킨다(3c).
제3 실시예에서, 강약정보를 바탕으로 가사를 표현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은미'의 '애인 있어요' 중 '그 사람 나만 볼 수 있어요'의 '나' 음절과 '내' 음절에 강세가 있을 때 해당 음절의 글자 크기를 크게 표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단독 또는 그 일부나 전부를 조합하여 실시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바이브레이션(음을 진동시키는 창법)이나 비음(콧소리 창법)에 대해서 가사의 글씨체(기울임체 등)를 달리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4에서는 노래 가사를 2줄로 표시한 예를 보여주었지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 가사를 1줄로 표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에서 선택된 곡의 반주 데이터를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하고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자막)를 표시부(40)를 통해 1줄 또는 2줄 분량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단순히 노래 가사를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악보를 보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처럼 노래 가사를 악보에 대응시켜 음정(음의 높낮이), 박자(음의 길이), 강약(음의 세기)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매체에는 전술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가 저장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제어부 20:입력부
30: 저장부 31: 반주 DB
32: 악보 DB 33: 가사 DB
40: 표시부 50: 증폭회로
60: 스피커 70: 마이크
80: 통신부 81: 복조부
83: 적외선 수광부 90: 리모트 콘트롤러

Claims (6)

  1. 노래 반주기에서 가사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선곡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보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사 데이터의 각 음절에 대해 대응하는 음의 높낮이를 상기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음의 높낮이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사 표시 방법.
  2. 노래 반주기에서 가사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선곡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보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사 데이터의 각 음절에 대해 대응하는 음의 길이를 상기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음의 길이에 대응되게 음절 간의 간격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사 표시 방법.
  3. 노래 반주기에서 가사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선곡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보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사 데이터의 각 음절에 대해 대응하는 음의 세기를 상기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음의 세기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사 표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 데이터의 각 음절에 대해 대응하는 음의 바이브레이션이나 비음을 상기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고, 음의 바이브레이션이나 비음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글자체를 달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사 표시 방법.
  5. 노래 반주기로서,
    선곡된 노래의 반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보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가사 데이터의 각 음절을 화면 표시함에 있어서,
    대응하는 음의 높낮이를 상기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높낮이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제1 방식; 대응하는 음의 길이를 상기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길이에 대응되게 음절 간의 간격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제2 방식; 대응하는 음의 세기를 상기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세기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 표시하는 제3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의 일부나 전부를 수행하는, 노래 반주기.
  6. 제5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음의 바이브레이션이나 비음을 상기 악보 데이터에서 확인하여 음의 바이브레이션이나 비음에 대응되게 각 음절의 글자체를 달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제4 방식을 더 수행하는 노래 반주기.
KR1020100088942A 2010-09-10 2010-09-10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KR20120026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42A KR20120026808A (ko) 2010-09-10 2010-09-10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42A KR20120026808A (ko) 2010-09-10 2010-09-10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08A true KR20120026808A (ko) 2012-03-20

Family

ID=4613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942A KR20120026808A (ko) 2010-09-10 2010-09-10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68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0786A (zh) * 2021-09-07 2022-01-11 北京小唱科技有限公司 唱歌教学方法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0786A (zh) * 2021-09-07 2022-01-11 北京小唱科技有限公司 唱歌教学方法和装置
CN113920786B (zh) * 2021-09-07 2024-02-23 北京小唱科技有限公司 唱歌教学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2229B2 (ja) カラオケ効果音設定システム
JP6457326B2 (ja) 歌唱音声の伝送遅延に対応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US10878788B2 (en) Enhanced system, method, and devices for capturing inaudible tones associated with music
JP5417012B2 (ja) 重唱曲の主声部を際立たせるカラオケ装置
JP5130348B2 (ja) 携帯用電子機器を利用したカラオケ協演方法
KR20120026808A (ko)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JP5486941B2 (ja) 聴衆に唱和をうながす気分を楽しむカラオケ装置
JP2006308650A (ja) 歌唱支援装置
JP2006300998A (ja) 電子早見本装置
JP5397637B2 (ja) カラオケ装置
JP6073618B2 (ja) カラオケ装置
JP5537246B2 (ja) 歌唱位置表示システム
JP6415341B2 (ja) ハーモニー歌唱のためのピッチシフト機能を備え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6144593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JP6415136B2 (ja) カラオケ歌唱採点システム
JP4033146B2 (ja) カラオケ装置
JP2013231881A (ja) 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JP2011227158A (ja) 歌詞テロップ表示サイズ制御システム
KR20080072491A (ko) 노래 반주기에서 가사의 시작 표시 방법
JP6924119B2 (ja) カラオケ装置
JP5792677B2 (ja) カラオケ演奏のテンポ変更時における補助テンポ出力システム
JP5551983B2 (ja) カラオケ演奏制御システム
JP7117229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9244790A (ja) 歌唱指導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284289Y1 (ko) 노래 반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