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722B1 -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722B1
KR101790722B1 KR1020150173764A KR20150173764A KR101790722B1 KR 101790722 B1 KR101790722 B1 KR 101790722B1 KR 1020150173764 A KR1020150173764 A KR 1020150173764A KR 20150173764 A KR20150173764 A KR 20150173764A KR 101790722 B1 KR101790722 B1 KR 10179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onveyor
lift
uni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279A (ko
Inventor
엄주환
정락교
강석원
김백현
변윤섭
오윤석
송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7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0Traver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B61J1/08Turntables; Integral stops for connecting inclined tracks or tracks of different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33Mechanical arrangements not covered by the following sub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트 치환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장치는 파렛트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파렛트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이송부; 및 제1 이송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파렛트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파렛트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되, 제1 이송부는 파렛트를 제2 이송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제1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렛트를 제2 이송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제2 이송부는 파렛트를 제1 컨베이어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3 컨베이어 및 제3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렛트를 제2 컨베이어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4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제1 이송부에 위치한 파렛트와 제2 이송부에 위치한 파렛트가 동시 치환된다.

Description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PALLET EXCHANGING APPARATUS AND PRT VEHICLE VERTICAL TRANSFER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RT(Personal Rapid Transit)는 여러대의 소형차량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논스톱으로 이동하며 타 경량전철시스템 대비 작고 슬림한 구조물계획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높은 시스템 접근성과 프라이버시 보장 등 승용차 수준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무인운전, 완벽한 운영자동화 등의 구현으로 유지비 절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100% 전기로 구동되어 시스템자체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이 없는 친환경적 대중교통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구조물적 측면에서는 궤도 및 교량 구조물상 차량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며 정밀 제작 및 설치를 통하여 승객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궤도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적용지역 특성에 알맞은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모듈별로 사전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짧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시공 중 먼지 및 분진 등의 발생을 최소화며 차상분기장치를 활용하여 분기부 구조가 간단하고 슬림한 장점도 보유하고 있다. 또한, PRT를 수직으로 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적용하면 현재의 우리나라 교통환경에서 PRT를 보급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4-0003791호(발명의 명칭: 차량 수직이송장치 및 방법)에서는, 차량을 수직이송장치 내부로 이송시키는 진입용 컨베이어장치; 차량을 수직으로 이송시키는 수직이송장치; 및 차량을 수직이송장치)에서 인출시키는 진출용 컨베이어장치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 수직 이송 장치는 입구의 지정된 위치에 자동차가 진입 후 정지하면 입구와 리프트의 횡행컨베어가 연동하여 자동차를 리프트 위로 이동시키고, 리프트는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하여 지정된 출구층에 정지하여, 리프트와 출구의 횡행컨베어가 연동하여 자동차를 출구까지 이동시킨 후 정지하면 자동차는 진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차량 수직 이송 장치는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고, 연속적인 순환운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RT 차량의 입고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파렛트 치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리프트 구동부를 이용하여 2개의 리프트부가 서로 연동되어 승하강함으로써, PRT차량을 연속으로 이송이 가능하여, 승강기 방식의 장점인 안정 되고 빠른 수직이송이 가능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파렛트 치환 장치는, 파렛트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파렛트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이송부; 및 제1 이송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파렛트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파렛트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되, 제1 이송부는 파렛트를 제2 이송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제1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렛트를 제2 이송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제2 이송부는 파렛트를 제1 컨베이어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3 컨베이어 및 제3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렛트를 제2 컨베이어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4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제1 이송부에 위치한 파렛트와 제2 이송부에 위치한 파렛트가 동시 치환된다.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파렛트 치환 방법은, 제1 이송부의 제1 컨베이어에 위치한 제1 파렛트를 제2 이송부의 제3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제1 파렛트 이송 시, 제2 이송부의 제4 컨베이어에 위치한 제2 파렛트를 제1 이송부의 제2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및 제1 이송부의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된 제2 파렛트를 파렛트 상하 이송부를 이용하여, 제1 이송부의 제1 컨베이어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의 제3 측면에 따른 파렛트 치환방법은, 제2 이송부의 제3 컨베이어에 위치한 제1 파렛트를 제1 이송부의 제1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제1 파렛트 이송 시, 제1 이송부의 제2 컨베이어에 위치한 제2 파렛트를 제2 이송부의 제4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및 제1 이송부의 제1 컨베이어로 이송된 제1 파렛트를 파렛트 상하 이송부를 이용하여, 제1 이송부의 제2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의 제4 측면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은 PRT 차량이 입차 또는 출차되고, 하부에 파렛트를 구비한 상부 입출차부, 상부 입출차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PRT 차량이 입차 또는 출차하며, 하부에 파렛트를 구비한 하부 입출차부, 상부 입출차부 및 하부 입출차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하부에 파렛트를 구비한 제1 리프트부, 상부 입출차부 및 하부 입출차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하부에 파렛트를 구비한 제2 리프트부, 제1 및 제2 리프트부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구동부, 및 상부 입출차부의 파렛트, 하부 입출차부의 파렛트, 제1 리프트부의 파렛트 및 제2 리프트부의 파렛트를 상호 치환하여, PRT 차량을 수평이동시키며, 상부 입출차부, 하부 입출차부, 제1 리프트부, 제2 리프트부에 각각 구비되는 파렛트 치환 장치를 포함한다.
본원의 제5 측면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은 하부 입출차부에 위치한 PRT 차량이 제1 리프트부로 이송되는 단계; 제1 리프트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리프트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제1 리프트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PRT 차량이 상부 입출차부로 이송되는 단계; 하부 입출차부에 위치한 PRT 차량이 제2 리프트부로 이송되는 단계; 제2 리프트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리프트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및 제2 리프트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PRT 차량이 상부 입출차부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의 제6 측면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은 상부 입출차부에 위치한 PRT 차량이 제1 리프트부로 이송되는 단계; 제1 리프트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리프트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제1 리프트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PRT 차량이 하부 입출차부로 이송되는 단계; 입출차부에 위치한 PRT 차량이 제2 리프트부로 이송되는 단계; 제2 리프트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리프트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및 제2 리프트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PRT 차량이 하부 입출차부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PRT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시, PRT 차량이 적재되어 있는 파렛트와 빈 파렛트를 동시 치환하여 차량의 입고 대기시간을 월등히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은 하나의 리트트구동부를 이용하여 2개의 리프트부가 서로 연동되어 승하강함으로써, PRT차량을 연속으로 이송이 가능하여, 승강기 방식의 장점인 안정되고 빠른 수직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부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상하 이송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상하 이송부의 상하 구동캠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상하 이송부의 가이드 힌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장치의 작동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부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상하 이송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상하 이송부의 상하 구동캠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상하 이송부의 가이드 힌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장치(10)(이하 '본 파렛트 치환 장치(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파렛트 치환 장치(10)는 파렛트(20)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및 제2 이송부(100, 200)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100)는 파렛트(20)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파렛트(20)를 인입 또는 인출한다.
다시 말해, 제1 이송부(100)는 제1 이송부(100)에 위치한 파렛트(20)를 제2 이송부(200)로 인출하거나, 제2 이송부(200)로부터 인입되는 파렛트(20)를 제1 이송부(1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이송부(200)는 제1 이송부(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파렛트(20)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파렛트(20)를 인입 또는 인출한다.
다시 말해, 제2 이송부(200)는 제2 이송부(200)에 위치한 파렛트(20)를 제1 이송부(100)로 인출하거나, 제1 이송부(100)로부터 인입되는 파렛트(20)를 제2 이송부(2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100)는 파렛트(20)를 제2 이송부(20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컨베이어(110) 및 제1 컨베이어(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렛트(20)를 제2 이송부(20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컨베이어(120)를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110)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1 롤러(111)를 포함하고, 제2 컨베이어(120)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2 롤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부(200)는 파렛트(20)를 제1 이송부(10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3 컨베이어(210) 및 제3 컨베이어(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렛트(20)를 제1 이송부(10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4 컨베이어(220)를 포함한다.
제3 컨베이어(210)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3 롤러(211)를 포함하고, 제4 컨베이어(220)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4 롤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에 안착된 제1 파렛트(21)는 제1 롤러(111)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로 이송되며, 제2 이송부(200)의 제4 컨베이어(220)에 안착된 제2 파렛트(22)는 제4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에 안착된 제2 파렛트(22)는 제2 롤러(121)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로 이송되며, 제2 이송부(200)의 제4 컨베이어(220)에 안착된 제2 파렛트(22)는 제4 롤러(221)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2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3 롤러(211)와 제4 롤러(22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롤러(11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에 위치한 제1 파렛트(21)를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로 이송시키며, 제2 롤러(1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이송부(200)의 제4 컨베이어(220)로부터 인출되는 제2 파렛트(22)를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롤러(2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이송부(200)의 제4 컨베이어(220)에 위치한 제2 파렛트(22)를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시키며, 제3 롤러(21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로부터 인출되는 제1 파렛트(21)를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100)는 제1 롤러(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파렛트(20)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 롤러(112) 및 제2 롤러(121)의 상부에 위치하고, 파렛트(20)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 롤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부(200)는 제3 롤러(211)의 상부에 위치하고, 파렛트(20)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3 가이드 롤러(212) 및 제4 롤러(221)의 상부에 위치하고, 파렛트(20)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4 가이드 롤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롤러(112, 122, 212, 222)는 파렛트(20)의 측면에 밀착되어, 파렛트(20)가 원활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이송부(200)는 롤러에 권취되는 롤러 구동 체인부(150, 250) 및 롤러를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160, 260)를 포함할 수있다.
다시 말해, 제1 이송부(100)는 제1 및 제2 롤러(121)에 권취되는 제1 롤러 구동 체인부(150) 및 제1 롤러(111) 또는 제2 롤러(121)를 회전시키는 제1 롤러 구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부(200)는 제3 및 제4 롤러(221)에 권취되는 제2 롤러 구동 체인부(250) 및 제3 롤러(211) 또는 제4 롤러(221)를 회전시키는 제2 롤러 구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롤러 구동부(160)는 복수의 제1 및 제2 롤러(111, 121) 중 하나의 롤러에 연결되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롤러(111, 121)는 서로 제1 롤러 구동 체인부(150)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제1 및 제2 롤러(111, 121)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롤러(111, 121)는 일측에 기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기어부에 제1 롤러 구동 체인부(150)가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부(200)는 제3 및 제4 롤러(211, 221)에 귄취되는 제2 롤러 구동 체인부(250) 및 제3 롤러(211) 또는 제4 롤러(221)를 회전시키는 제2 롤러 구동부(260)를 포함할 수있다.
제2 이송부(200)의 제2 롤러 구동 체인부(250) 및 제2 롤러 구동부(260)는 제1 이송부(100)의 제1 롤러 구동 체인부(150) 및 제1 롤러 구동부(160)와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팅부(300) 및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파렛트 치환 장치(10)는 제1 이송부(100)로 인입된 파렛트(20)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파렛트 치환 장치(10)는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로 인입된 파렛트(20)를 제2 컨베이어(120)로 이동 또는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인입된 파렛트(20)를 제1 컨베이어(1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이송부(200)로부터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를 제1 이송부(100)로 인입하는 경우,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는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로 이송되며, PRT 차량(30)이 출차된 후 다음 PRT 차량(30)이 적재된 파렛트(20)가 제1 이송부(100)로 인입되기 위해, 빈 파렛트(20)를 제1 컨베이어(110)에서 제2 컨베이어(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100)로부터 PRT 차량(30)을 안착된 파렛트(20)를 제2 이송부(200)로 인입하는 경우,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는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로 이송되며, 제2 이송부(200)로부터 빈 파렛트(20)가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되며, 다음 PRT 차량(30)이 파렛트(20)에 인입되기 위해, 빈 파렛트(20)를 제2 컨베이어(120)에서 제1 컨베이어(1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는 제1 이송부(100) 사이에 위치하고, 파렛트(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컨베이어(110) 또는 제2 컨베이어(1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는 파렛트(20)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상부프레임(410), 상부프레임(4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레임 상하 구동부(420), 및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프레임(410)이 파렛트(20)의 하부면에 안착되고, 프레임 상하 구동부(420)에 의해 상부 프레임부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파렛트(20)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 상하 구동부(420)는 하부프레임(430)에 결합되는 캠구동모터(421), 캠구동모터(421)에 의해 회전되고, 상부프레임(4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하 구동캠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하 구동캠부(422)는 상부프레임(410)의 모서리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부프레임(410)은 캠구동모터(421)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 구동캠부(422)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하 구동캠부(422)는 구동 체인(425) 또는 구동축(424)를 통해 캠구동모터(42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 상하 구동부(420)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일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는 일측이 상부프레임(41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하부프레임(43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힌지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이드 힌지부(423)는 상부프레임(4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프레임(41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팅부(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파렛트 치환 장치(10)는 파렛트(20)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제1 이송부(100)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팅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100)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110, 120)가 고정되는 제1 컨베이어 프레임(17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프팅부(300)는 시프팅 구동모터(320) 및 시프팅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되고, 일측이 제1 컨베이어 프레임(170)에 연결되는 시프팅 구동캠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를 이용하여, 파렛트(20)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송할 경우, 파렛트(20)는 제1 컨베이어(1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시프팅부(300)를 이용하여 제1 컨베이어(110)를 외측방향으로 이송한 후,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 프레임(170)은 시프팅 구동캠부(310)가 회전함에 따라 파렛트(20)가 위치한 내측방향 또는 반대방향인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부(100)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80) 및 제1 컨베이어 프레임(170)에 위치하고, 고정프레임(180)에 접촉되는 복수의 시프팅롤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시프팅롤러(190)는 제1 컨베이어 프레임(170)이 이동시 원활히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파렛트 치환 장치(10)는 제1 이송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100)는 상부커버(101)에 접촉되는 복수의 상부커버 지지용 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이송부(100)가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PRT 차량(30)이 제1 이송부(100)로 입차 또는 출차할 경우, 제1 이송부(100)의 이동공간에 PRT 차량(30)이 빠지지 않도록, 제1 이송부(100)의 이동공간의 상부에 상부커버(101)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100)는 상부커버(101)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상부커버 지지용 롤러(130)를 구비하여, 제1 이송부(100)가 원활이 이동될 뿐만 아니라, 상부커버(101)가 외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치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S110)에서는,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에 위치한 제1 파렛트(21)를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로 이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PRT 차량(30)이 제1 이송부(100)로 입차되어 제1 파렛트(21)의 상부에 위치하고, PRT 차량(30)이 안착된 제1 파렛트(21)가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로부터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로 이송될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제1 파렛트(21) 이송 시, 제2 이송부(200)의 제4 컨베이어(220)에 위치한 제2 파렛트(22)를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PRT 차량(30)이 제2 이송부(200)로 이송 시, 제2 이송부(200)의 제4 컨베이어(220)에 위치한 빈 제2 파렛트(22)가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제2 파렛트(22)는 PRT 차량(30)이 안착된 제1 컨베이어(110)의 하부로 이동되어, 제1 파렛트(21)와 제2 파렛트(22)가 동시 치환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된 제2 파렛트(22)를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를 이용하여,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는 다음 PRT 차량(30)이 파렛트(20)에 인입되기 위해 제1 이송부(100)로 이송된 빈 파렛트(20)를 제1 컨베이어(11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단계(S130)은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파렛트(22)의 하부면에 접촉하는 단계(S131), 제2 파렛트(22)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한 제1 이송부(100)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132),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파렛트(22)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133), 제1 이송부(100)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134) 및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파렛트(22)가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에 안착하는 단계(S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20) 치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S210)에서는,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에 위치한 제1 파렛트(21)를 제2 이송부(200)의 제1 컨베이어(110)로 이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PRT 차량(30)이 안착된 제1 파렛트(21)는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로부터 제2 이송부(200)의 제3 컨베이어(210)로 이송될 수 있다.
단계(S220)에서는, 제1 파렛트(21) 이송 시,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에 위치한 제2 파렛트(22)를 제2 이송부(200)의 제4 컨베이어(220)로 이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PRT 차량(30)이 제2 이송부(200)로 이송 시,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에 위치한 빈 제2 파렛트(22)가 제2 이송부(200)의 제4 컨베이어(220)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제2 파렛트(22)는 PRT 차량(30)이 안착된 제1 컨베이어(110)의 하부로 이동되어, 제1 파렛트(21)와 제2 파렛트(22)가 동시 치환할 수 있다.
단계(S230)에서는,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어(110)로 이송된 제1 파렛트(21)를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를 이용하여,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이송부(100)의 제1 컨베이로 이송된 PRT 차량(30)이 출차된 후,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는 다음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제1 이송부(100)로 인입되기 위해 제1 이송부(100)로 이송된 빈 파렛트(20)를 제1 컨베이에서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단계(S230)는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파렛트(21)의 하부면에 접촉하는 단계(S231), 제1 파렛트(21)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한 제1 이송부(100)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232),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파렛트(21)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233), 제1 이송부(100)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234) 및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파렛트(21)가 제1 이송부(100)의 제2 컨베이어(120)에 안착하는 단계(S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1000)(이하, ‘ 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1000)’이라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1000)은 PRT 차량(30)이 입차 또는 출차되고, 하부에 파렛트(20)를 구비한 상부 입출차부(1100), 상부 입출차부(1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PRT 차량(30)이 입차 또는 출차하며, 하부에 파렛트(20)를 구비한 하부 입출차부(1200), 상부 입출차부(1100) 및 하부 입출차부(1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하부에 파렛트(20)를 구비한 제1 리프트부(1300), 상부 입출차부(1100) 및 하부 입출차부(1200)의 타측에 위치하고, 하부에 파렛트(20)를 구비한 제2 리프트부(1400), 및 제1 및 제2 리프트부(1400)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구동부(150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도 10을 참조하면, 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1000)은, 상부 입출차부(1100)로 PRT 차량(30)이 입차될 경우, 제1 리프트부(1300) 또는 제2 리프트부(1400)를 이용하여 PRT 차량(30)을 하부 입출차부(1200)로 이송시키며, 하부 입출차부(1200)을 통해 이송된 PRT 차량(30)이 출차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1000)은, 하부 입출차부(1200)로 PRT 차량(30)이 입차될 경우, 제1 리프트부(1300) 또는 제2 리프트부(1400)를 이용하여 PRT 차량(30)을 상부 입출차부(1100)로 이송시키며, 상부 입출차부(1100)을 통해 이송된 PRT 차량(30)이 출차될 수 있다.
리프트 구동부(1500)는 일측이 제1 리프트부(1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리프트부(1400)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1510) 및 와이어 로프(151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리프트부(1300, 14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는 리프트 구동모터(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와이어 로프(1510)는 12mm 와이어 로프(1510)일 수 있으며, 4개의 와이어 로프(1510)가 제1 및 제2 리프트부(1300, 1400)에 연결되어 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1000)은 일단부가 제1 리프트부(13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리프트부(1400)에 연결되는 발란스 체인(1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란스 체인(1530)은 제1 리프트부(1300) 또는 제2 리프트부(1400)가 한쪽방향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1000)은 상부 입출차부(1100)의 파렛트(20), 하부 입출차부(1200)의 파렛트(20), 제1 리프트부(1300)의 파렛트(20) 및 제2 리프트부(1400)의 파렛트(20)를 상호 치환하여, PRT 차량(30)을 수평이동시키며, 상부 입출차부(1100), 하부 입출차부(1200), 제1 리프트부(1300), 제2 리프트부(1400)에 각각 구비되는 파렛트 치환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렛트 치환 장치(10)는 상부 입출차부(1100)의 바닥면에 위치하 는 제1 파렛트 치환부(1110), 하부 입출차부(120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2 파렛트 치환부(1210), 제1 리프트부(130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3 파렛트 치환부(1310) 및 제2 리프트부(140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4 파렛트 치환부(1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파렛트 치환부(1110, 1210)는 파렛트(20)를 상기 제3 또는 제4 파렛트 치환부(1310, 141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컨베이어(110); 제1 컨베이어(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렛트(20)를 상기 제3 또는 제4 파렛트 치환부(1310, 141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컨베이어(120); 제1 및 제2 컨베이어(120)를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팅부(300); 및 파렛트(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컨베이어(110) 또는 제2 컨베이어(120)에 안착시키는 파렛트 상하 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파렛트 치환부(1310, 1410)는 파렛트(20)를 제1 컨베이어(11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3 컨베이어(210) 및 제3 컨베이어(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파렛트(20)를 제2 컨베이어(120)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4 컨베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파렛트 치환부(1110, 1210)는 상술한 파렛트 치환 장치(10)의 제1 이송부(100)와 구성이 동일하며, 제3 및 제4 파렛트 치환부(1310, 1410)는 상술한 파렛트 치환 장치(10)의 제2 이송부(200)와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파렛트 치환부(1110, 1210, 1310, 14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1000)은 하부 입출차부(1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1 충격방지부(1610) 및 하부 입출차부(1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2 충격방지부(16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및 제2 충격방지부(1610, 1620)는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리프트부(13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시, 하부 입출차부(1200)와 동일 선상에 정확하게 일치하기 힘들기 때문에, 하부 입출차부(1200)보다 더 낮은 위치로 이동한 후 하부 입출차부(120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제1 리프트부(1300)의 하부면에 제1 충격방지부(1610)가 접촉되어, 제1 리프트부(1300)가 급격하게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리프트부(1300) 상승 시, 제1 충격방지부(161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이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이송 방법은 하부 입출차부(1200)로 PRT 차량(30)이 입차되어, 상부 입출차부(1100)로 PRT 차량(30)이 출차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는, 하부 입출차부(12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제1 리프트부(1300)로 이송된다.
또한, 단계(S310)는 PRT 차량(30)이 하부입출차부에 입차하는 단계(S311),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제1 리프트부(1300)로 이송되는 단계(S312), 및 제1 리프트부(1300)에 위치한 빈파렛트(20)가 하부 입출차부(1200)에 이송되는 단계(S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S320)에서는, 제1 리프트부(13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리프트부(14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단계(S320)는 제1 리프트부(13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리프트부(14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321), 하부 입출차부(1200)에 위치한 파렛트(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322) 및 상부 입출차부(1100)에 위치한 파렛트(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S330)에서는, 제1 리프트부(13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상부 입출차부(1100)로 이송된다.
또한, 단계(S330)는 제1 리프트부(13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상부 입출차부(1100)로 이송되는 단계(S331), 상부 입출차부(1100)에 위치한 빈 파렛트(20)가 제1 리프트부(1300)로 이송되는 단계(S332) 및 상부 입출차부(1100)로 이송된 PRT 차량(30)이 출차하는 단계(S333)를 포함할 수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단계(S340)에서는, 하부 입출차부(12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제2 리프트부(1400)로 이송된다.
또한, 단계(S340)는 PRT 차량(30)이 하부 입출차부(1200)에 입차하는 단계(S341),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제2 리프트부(1400)로 이송되는 단계(S342) 및 제2 리프트부(1400)에 위치한 빈 파렛트(20)가 하부 입출차부(1200)에 이송되는 단계(S3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30) 및 단계(S340)은 동시간대에 진행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S350)에서는, 제2 리프트부(14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리프트부(13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단계(S350)는 제2 리프트부(14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리프트부(13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351), 하부 입출차부(1200)에 위치한 파렛트(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352) 및 상부 입출차부(1100)에 위치한 파렛트(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3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S360)에서는, 제2 리프트부(14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상부 입출차부(1100)로 이송된다.
또한, 단계(S360)는 제2 리프트부(14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상부 입출차부(1100)로 이송되는 단계(S361), 상부 입출차부(1100)에 위치한 빈 파렛트(20)가 제2 리프트부(1400)로 이송되는 단계(S362) 및 상부 입출차부(1100)로 이송된 PRT 차량(30)이 출차하는 단계(S3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이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RT 차량 이송 방법은 상부 입출차부(1100)로 PRT 차량(30)이 입차되어, 하부 입출차부(1200)로 PRT 차량(30)이 출차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계(S410)에서는, 상부 입출차부(11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제1 리프트부(1300)로 이송된다.
또한, 단계(S410)는 PRT 차량(30)이 상부 입출차부(1100)에 입차하는 단계(S411),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제1 리프트부(1300)로 이송되는 단계(S412) 및 제1 리프트부(1300)에 위치한 빈 파렛트(20)가 상부 입출차부(1100)에 이송되는 단계(S4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S420)에서는, 제1 리프트부(13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리프트부(14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단계(S420)는 제1 리프트부(13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리프트부(14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421), 상부 입출차부(1100)에 위치한 파렛트(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422) 및 하부 입출차부(1200)에 위치한 파렛트(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423)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계(S430)에서는, 제1 리프트부(13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하부 입출차부(1200)로 이송된다.
또한, 단계(S430)는 제1 리프트부(13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상기 하부 입출차부(1200)로 이송되는 단계(S431), 하부 입출차부(1200)에 위치한 빈 파렛트(20)가 제1 리프트부(1300)로 이송되는 단계(S432) 및 하부 입출차부(1200)로 이송된 PRT 차량(30)이 출차하는 단계(S433)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계(S440)에서는, 상부 입출차부(11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제2 리프트부(1400)로 이송된다.
또한, 단계(S440)는 PRT 차량(30)이 상부 입출차부(1100)에 입차하는 단계 (S441),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상기 제2 리프트부(1400)로 이송되는 단계(S442) 및 제2 리프트부(1400)에 위치한 빈 파렛트(20)가 상부 입출차부(1100)에 이송되는 단계(S4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430) 및 단계(S440)은 동시간대에서 진행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단계(S450)에서는, 제2 리프트부(14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리프트부(13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단계(S450)는 제2 리프트부(14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리프트부(130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451), 상부 입출차부(1100)에 위치한 파렛트(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452) 및 하부 입출차부(1200)에 위치한 파렛트(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S453)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단계(S460)에서는, 제2 리프트부(14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하부 입출차부(1200)로 이송된다.
또한, 단계(S460)는 제2 리프트부(1400)에 위치한 PRT 차량(30)이 안착된 파렛트(20)가 하부 입출차부(1200)로 이송되는 단계(S461), 하부 입출차부(1200)에 위치한 빈 파렛트(20)가 제2 리프트부(1400)로 이송되는 단계(S462) 및 하부 입출차부(1200)로 이송된 PRT 차량(30)이 출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파렛트 치환 장치 20 : 파렛트
21 : 제1 파렛트 22 : 제2 파렛트
30 : PRT 차량
100 : 제1 이송부 101 : 상부커버
110 : 제1 컨베이어 111 : 제1 롤러
112 : 제1 가이드 롤러
120 : 제2 컨베이어 121 : 제2 롤러
122 : 제2 가이드 롤러
130 : 상부커버 지지용 롤러
150 : 롤러 구동 체인부 160 : 롤러 구동부
170 : 제1 컨베이어 프레임 180 : 고정프레임
190 : 시프팅롤러
200 : 제2 이송부
210 : 제3 컨베이어 211 : 제3 롤러
212 : 제3 가이드 롤러
220 : 제4 컨베이어 221 : 제4 롤러
222 : 제4 가이드 롤러
250 : 제2 롤러 구동 체인부 260 : 제2 롤러 구동부
270 : 제2 컨베이어 프레임
300 : 시프팅부 310 : 시프팅 구동캠부
320 : 시프팅 구동모터
400 : 파렛트 상하 이송부 410 : 상부프레임
420 : 프레임 상하 구동부 421 : 구동모터
422 : 상하 구동캠부 423 : 가이드 힌지부
424 : 구동축 425 : 구동체인
430 : 하부프레임
1000 :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1100 : 상부 입출차부 1110 : 제1 파렛트 치환부
1200 : 하부 입출차부 1210 : 제2 파렛트 치환부
1300 : 제1 리프트부 1310 : 제3 파렛트 치환부
1400 : 제2 리프트부 1410 : 제4 파렛트 치환부
1500 : 리프트 구동부 1510 : 와이어 로프
1520 : 리프트 구동모터 1530 : 발란스 체인
1610 : 제1 충격방지부 1620 : 제2 충격방지부

Claims (37)

  1. 파렛트 치환 장치에 있어서,
    파렛트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파렛트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파렛트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를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팅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로 인입된 파렛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렛트 상하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파렛트를 상기 제2 이송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를 상기 제2 이송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파렛트를 상기 제1 컨베이어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3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를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4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파렛트 상하 이송부는 상기 파렛트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렛트를 제1 컨베이어 또는 제2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프레임 상하 구동부; 및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상하 구동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캠구동모터; 및 상기 캠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하 구동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위치한 파렛트와 상기 제2 이송부에 위치한 파렛트가 동시 치환되는 파렛트 치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및 제2 롤러에 귄취되는 제1 롤러 구동 체인부 및 상기 제1 롤러 또는 제2 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 롤러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롤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인 파렛트 치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3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컨베이어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4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3 및 제4 롤러에 귄취되는 제2 롤러 구동 체인부 및 상기 제3 롤러 또는 제4 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 롤러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롤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인 파렛트 치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롤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파렛트 치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3 롤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3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4 롤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제4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파렛트 치환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상하 이송부는
    일측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파렛트 치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가 고정되는 제1 컨베이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시프팅부는
    시프팅 구동모터; 및
    상기 시프팅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컨베이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시프팅 구동캠부를 포함하는 것인 파렛트 치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접촉되는 복수의 시프팅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파렛트 치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상부커버에 접촉되는 복수의 상부커버 지지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파렛트 치환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PRT 차량이 입차 또는 출차되고, 하부에 파렛트를 구비한 상부 입출차부;
    상기 상부 입출차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PRT 차량이 입차 또는 출차하며, 하부에 파렛트를 구비한 하부 입출차부;
    상기 상부 입출차부 및 하부 입출차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하부에 파렛트를 구비한 제1 리프트부;
    상기 상부 입출차부 및 하부 입출차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하부에 파렛트를 구비한 제2 리프트부;
    상기 제1 및 제2 리프트부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구동부; 및
    상기 상부 입출차부의 파렛트, 하부 입출차부의 파렛트, 제1 리프트부의 파렛트 및 제2 리프트부의 파렛트를 상호 치환하여, PRT 차량을 수평이동시키며, 상기 상부 입출차부, 하부 입출차부, 제1 리프트부, 제2 리프트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파렛트 치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제1 리프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리프트부에 연결되는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리프트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는 리프트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1 리프트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리프트부에 연결되는 발란스 체인을 포함하는 것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치환 장치는
    상기 상부 입출차부의 바닥면에 위치하 는 제1 파렛트 치환부;
    상기 하부 입출차부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2 파렛트 치환부;
    상기 제1 리프트부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3 파렛트 치환부; 및
    상기 제2 리프트부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4 파렛트 치환부를 포함하는 것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파렛트 치환부는
    상기 파렛트를 상기 제3 또는 제4 파렛트 치환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를 상기 제3 또는 제4 파렛트 치환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를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팅부; 및
    상기 파렛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컨베이어 또는 제2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파렛트 상하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파렛트 치환부는
    상기 파렛트를 상기 제1 컨베이어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3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렛트를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4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입출차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1 충격방지부; 및
    상기 하부 입출차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2 충격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150173764A 2015-12-08 2015-12-08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KR10179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764A KR101790722B1 (ko) 2015-12-08 2015-12-08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764A KR101790722B1 (ko) 2015-12-08 2015-12-08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699A Division KR101804874B1 (ko) 2017-04-21 2017-04-21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79A KR20170067279A (ko) 2017-06-16
KR101790722B1 true KR101790722B1 (ko) 2017-10-27

Family

ID=5927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764A KR101790722B1 (ko) 2015-12-08 2015-12-08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853B1 (ko) 2019-05-28 2019-11-22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 추락 방지 장치를 구비한 주차 시스템
KR102274832B1 (ko) 2020-12-08 2021-07-08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용 승강기
KR102389108B1 (ko) 2021-10-18 2022-04-21 동양기전 주식회사 승강기식 주차설비 리프트 운행 시스템
CN114162147A (zh) * 2021-11-26 2022-03-11 东风悦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prt模块化车辆的转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111A (ja) * 1998-12-25 2000-07-11 Daifuku Co Ltd 物品保管設備
JP2006342501A (ja) * 2005-06-07 2006-12-21 Shinmaywa Engineerings Ltd 箱形循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4080793A (ja) * 2012-10-16 2014-05-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Pariking Co Ltd パレット送り装置、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パレット送り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機械式駐車設備の改修方法
JP6074659B2 (ja) * 2013-05-07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ィーダメンテナンス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111A (ja) * 1998-12-25 2000-07-11 Daifuku Co Ltd 物品保管設備
JP2006342501A (ja) * 2005-06-07 2006-12-21 Shinmaywa Engineerings Ltd 箱形循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4080793A (ja) * 2012-10-16 2014-05-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Pariking Co Ltd パレット送り装置、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パレット送り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機械式駐車設備の改修方法
JP6074659B2 (ja) * 2013-05-07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ィーダメンテナン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79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722B1 (ko) 파렛트 치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 이송 시스템
KR101993402B1 (ko) 자동 창고 및 현수식(懸垂式) 스태커 크레인
US10718128B2 (en) Vehicle inspection system, method and smart garage
KR20160103913A (ko) 자동창고
MY136472A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individually movable elevator car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KR20090086383A (ko) 대차식 반송장치
CN101200185B (zh) 用于在存放区存放索道设施的运输工具的设备
JP2006062805A (ja) 搬送装置
EP2938566B1 (en) Turning system for belt transport system
CN207890448U (zh) 具有用于将仓储货物储存及出仓或转仓而设置的储存及出仓单元的高架储存设备
US9764903B2 (en) Transport device
JP2014054976A (ja) 索道システム用駅
CN107814120A (zh) 一种轨道运输系统
KR20200003104A (ko) 층간 반송 시스템 및 층간 반송 방법
JP2014156353A (ja) 運搬装置、少なくとも2つの枠プロファイルをともない、枠構築物を形成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運搬装置の使用
CN114096480A (zh) 方法和升降机装置
KR101804874B1 (ko) Prt 차량 수직 이송 방법
JP2008184267A (ja) 台車式搬送装置
CN205294044U (zh) 偏载式提升机
KR101754966B1 (ko) 자동 주차 안내장치
JP5504961B2 (ja) 搬送台車、搬送ライン及び搬送方法
KR102183377B1 (ko) 무인운반차용 수직반송기, 무인운반차용 반송 시스템, 팔레트용 수직반송기 및 팔레트용 반송 시스템
KR100305918B1 (ko) 입체주차설비및그입출고방법
CN110733844A (zh) 轿厢、箱式物流传输系统、箱式物流传输方法
CN107922159A (zh) 可配置型多轿厢电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