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641B1 - 단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641B1
KR101788641B1 KR1020157031497A KR20157031497A KR101788641B1 KR 101788641 B1 KR101788641 B1 KR 101788641B1 KR 1020157031497 A KR1020157031497 A KR 1020157031497A KR 20157031497 A KR20157031497 A KR 20157031497A KR 101788641 B1 KR101788641 B1 KR 101788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ime
group
quo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764A (ko
Inventor
카즈나리 하기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ublication of KR2015014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4Measuring functions
    • H04Q2209/845Measuring functions where the measuring is synchronized between sens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H04Q2209/883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where the sensing device enters an active or inactive mode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장치(3)의 각각은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고, 기동 시각에 기동하고, 오프셋 시간이 경과한 후, 통신 시간 내에 단말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장치(2)는 동일 그룹에 속하는 각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의 합계를 동일 그룹의 통신 시간으로 하고, 동일 그룹의 통신 시간에 기초하여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단말 장치(3)에 후속하여 단말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3)로서, 다른 그룹에 속하는 단말 장치(3)에 대한 오프셋 시간을 산출하고, 통신 시간 및 오프셋 시간에 기초하여 각 단말 장치(3)에서의 다음번 기동 시각을 결정하여 각 단말 장치(3)에 설정한다.

Description

단말 제어 시스템{TERMINAL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단말의 제어를 행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계측 시스템에는 계측 스케줄에 따른 기동 시각을 각 단말에 설정해 두고, 소정 사이클마다, 복수의 단말로부터 호스트 단말에 대하여 계측 데이터를 송신시키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무선 단말 장치에는, 자기가 속하는 그룹의 기동 타이밍이 되면, 슬립 상태를 해제하여 자기가 속하는 그룹 앞으로의 비콘을 수신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개 2011-124949호 공보 일본 특개 2011-66911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계측 시스템 또는 무선 단말 장치에서는, 다른 단말의 통신 시간을 고려하여, 각 단말의 기동 타이밍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모든 단말의 기동 타이밍이 충분히 최적화되어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특히, 상기 종래의 계측 시스템 또는 무선 단말 장치와 같이, 전지로 구동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해서는 전력 절약으로 효율적으로 기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상기 종래의 계측 시스템 또는 무선 단말 장치에는, 단말 전체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여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른 단말의 통신 시간을 고려하여, 각 단말의 기동 타이밍을 최적화하여, 단말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말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 장치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가 동일한 기간에 소정의 단말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기준이 되는 기준 시각의 경과 후, 미리 설정된 기동 시각에 기동하고,
상기 단말 처리로서, 상기 기동 시각의 경과 후, 상기 기준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프셋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데이터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고, 또한, 상기 오프셋 시간의 경과 후, 미리 설정된 통신 시간 내에,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후속하여 상기 단말 처리를 실행하는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한 오프셋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다른 단말 장치는,
산출된 상기 오프셋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동 시각을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설정한다.
본원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다른 단말의 통신 시간을 고려하여, 각 단말의 기동 타이밍을 최적화하여, 단말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단말 제어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단말 제어 시스템(1)의 기능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단말 제어 장치(2)를 CPU 등을 사용하여 실현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단말 장치(3)를 CPU 등을 사용하여 실현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단말 제어 시스템(1)에서의 초기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오프셋 시간 관리 데이터(443)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단말 장치(3)의 기동 시각을 산출하는 경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EEPROM(56)에 기록되는 측정 주기 데이터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EEPROM(56)에 기록되는 측정 주기 데이터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EEPROM(56)에 기록되는 측정 주기 데이터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단말 장치(3)에 있어서의 기동 시각 산출 처리의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 제어 시스템(1)에서의 계측 처리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단말 장치(3)로부터 단말 제어 장치(2)로 송신되는 계측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 제어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단말 제어 시스템(1)의 기능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단말 제어 시스템(1)에서의 초기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오프셋 시간 관리 데이터(443)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EEPROM(56)에 기록되는 측정 주기 데이터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EEPROM(56)에 기록되는 측정 주기 데이터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c는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EEPROM(56)에 기록되는 측정 주기 데이터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단말 장치(3)에서의 기동 시각 산출 처리의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단말 장치(3)의 기동 시각을 산출하는 경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단말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스팀 트랩의 동작 상태를 계측하는 단말 장치 및 이것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의 구성 부재의 치수는 실제의 구성 부재의 치수 및 각 구성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을 충실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1. 제 1 실시형태]
[1-1. 단말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 제어 시스템(1)은, 예를 들면, 1개의 단말 제어 장치(2)와, 복수의 단말 장치(3)와, 복수의 중계기(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와 중계기(4)는 모두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3)와 중계기(4)는 모두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는, 설명상, 단말 제어 장치(2)와, 단말 장치(3)와, 중계기(4)를 선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접속선은 필요없다.
단말 장치(3)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한 기동 시각에 기동하여, 증기배관 설비에 설치된 스팀 트랩의 동작 상태를 계측하고, 그 계측 데이터를 단말 제어 장치(2)를 향하여 송출한다. 또한, 단말 장치(3)가 기동하는 것을 「기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단말 장치(3)는 1 이상의 단말 장치(3)에 의해 그룹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룹 1은 4개의 단말 장치(3)로 형성되고, 그룹 2는 2개의 단말 장치(3)로 형성되고, 그룹 3은 3개의 단말 장치(3)로 형성된다.
단말 제어 장치(2)는, 예를 들면, 각 단말 장치(3)의 기동 스케줄을 결정하고, 그것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각 단말 장치(3)에 설정한다. 또한 단말 제어 장치(2)는, 예를 들면, 단말 장치(3)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한다.
중계기(4)는,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와 단말 장치(3) 사이에서의 통신 데이터를 중계하는 리피터로서 동작한다.
[1-2. 단말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단말 제어 시스템(1)의 기능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2-1. 단말 제어 장치(2)의 기능 블록도]
단말 제어 장치(2)는 통신 시간을 산출하는 통신 시간 산출부(21)와, 오프셋 시간을 산출하는 오프셋 시간 산출부(22)와, 산출한 오프셋 시간을 관리하는 오프셋 시간 관리부(23)와, 측정 주기를 관리하는 측정 주기 관리부(24)와,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기록하는 계측 데이터 기억부(25)를 구비한다.
통신 시간 산출부(21)는,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 단말 장치(3) 및 중계기(4)가 통신하는 경우의 통신 시간을 각 장치 간의 호프수 등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오프셋 시간 산출부(22)는, 예를 들면, 2개의 단말 장치(3)가 연속하여 단말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앞의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과, 뒤의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뒤의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프셋 시간이란, 동일한 기간 내에 단말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3)가 존재하는 경우에, 송신 처리를 행하는 단말 장치(3)가 먼저 송신 처리를 행한 단말 장치(3)의 처리 시간 또는 그 밖의 시간을 기다리는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뒤의 단말 장치(3)는 오프셋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측정 데이터의 송신 준비를 완료했다면, 앞의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이 종료함과 동시에, 측정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앞의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과, 뒤의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이 중복되는 것을 피하여, 각 단말 장치(3)의 전력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오프셋 시간 관리부(23)는, 예를 들면, 상기에서 산출한 오프셋 시간을 각 단말 장치(3)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오프셋 시간 관리부(23)가 관리하는 오프셋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대응하는 각 단말 장치(3)에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된다.
측정 주기 관리부(24)는, 예를 들면, 단말 장치(3)마다 설정된 측정 주기를 각 단말 장치(3)에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주기 관리부(24)가 관리하는 측정 주기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대응하는 각 단말 장치(3)에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된다.
측정 데이터 기억부(25)는, 예를 들면, 단말 장치(3)로부터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각 단말 장치(3)에 대응시켜 유지할 수 있다.
[1-2-2. 단말 장치(3)의 기능 블록도]
단말 장치(3)는 오프셋 시간을 기록하는 오프셋 시간 기억부(31)와, 다음번 기동 시각을 산출하는 기동 시각 산출부(32)와, 측정 주기를 기록하는 측정 주기 기억부(33)와, 기동 시각에 기동하도록 제어하는 기동 제어부(34)와, 스팀 트랩(5)의 동작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부(35)를 구비한다.
오프셋 시간 기억부(31)는,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에서 산출된 오프셋 시간을 기록해 둘 수 있다.
기동 시각 산출부(32)는, 예를 들면, 현재 시각과 측정 주기에 기초하여 기준 시각을 산출하고, 기준 시각에 오프셋 시간을 가산하고, 측정 데이터의 통신 시간을 감산한 시각을, 당해 단말 장치(3)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다음번 기동 시각은 기동 제어부(34)에 설정된다.
측정 주기 기억부(33)는,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에서 관리되고 있는, 당해 단말 장치(3)에 대한 측정 주기를 기록해 둘 수 있다.
기동 제어부(34)는 상술한 기동 시각 산출부(32)에 의해 산출된 다음번 기동 시각에서 당해 단말 장치(3)가 기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계측부(35)는, 예를 들면, 스팀 트랩(5)의 표면 온도 및/또는 초음파 진동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계측부(35)가 계측한 스팀 트랩(5)의 계측 데이터는 단말 제어 장치(2)에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된다.
[1-3. 단말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예]
[1-3-1. 단말 제어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3은 단말 제어 장치(2)를 CPU 등을 사용하여 실현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 제어 장치(2)는, 예를 들면, 노트형의 pc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장치(2)는 디스플레이(41), CPU(42), RAM(Random Access Memory)(43), 하드 디스크(44), 키보드/마우스(45) 및 무선 통신 회로(46)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41)는 키보드/마우스(45)로부터의 입력 내용이나 계측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CPU(42)는 하드 디스크(44)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 제어 프로그램(442)을 실행할 수 있다. RAM(43)은 CPU(42)에 어드레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44)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441), 단말 제어 프로그램(442), 오프셋 시간 관리 데이터(443), 측정 주기 관리 데이터(444) 및 계측 데이터(445) 등을 기억해 둘 수 있다. 키보드/마우스(45)는 단말 장치(3)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유저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46)는 단말 장치(3) 또는 중계기(4)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단말 제어 장치(2)를 구성하는, 통신 시간 산출부(21) 및 오프셋 시간 산출부(22)는 CPU(42) 상에서 단말 제어 프로그램(442)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오프셋 시간 관리부(23), 측정 주기 관리부(24) 및 계측 데이터 기억부(25)는 하드 디스크(44) 상에서 오프셋 시간 관리 데이터(443), 측정 주기 관리 데이터(444) 및 계측 데이터(445)에 할당된 영역이 각각 해당된다.
[1-3-2. 단말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4는 단말 장치(3)를 CPU 등을 사용하여 실현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 장치(3)는 RTC(Real Time Clock)(51), CPU(52), RAM(53), 계측 센서(54), 무선 통신 회로(55),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56) 및 배터리(57)를 구비한다.
RTC(51)는, 클록 기능에 의해,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타이머 기능에 의해, 설정된 기동 시각 데이터(511)에 대응하는 시각에 당해 단말 장치(3)를 기동시킬 수 있다. CPU(52)는 EEPROM(56)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 처리 프로그램(561)을 실행할 수 있다. RAM(53)은 CPU(52)에 어드레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계측 데이터(531) 등을 기억해 둘 수 있다.
계측 센서(54)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를 사용한 진동 센서나 열전대를 사용한 온도 센서에 의해, 스팀 트랩(5)의 동작 상태를 계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55)는 단말 제어 장치(2) 또는 중계기(4)와 통신할 수 있다. EEPROM(56)은 단말 처리 프로그램(561), 측정 주기 데이터(562)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를 기억해 둘 수 있다. 배터리(57)는 단말 장치(3)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57)는, 예를 들면, 건전지나 축전지가 해당된다.
도 2에 도시한 단말 장치(3)를 구성하는, 기동 시각 산출부(32)는 CPU(52) 상에서 단말 처리 프로그램(561)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오프셋 시간 기억부(31) 및 측정 주기 기억부(33)는 EEPROM(56)의 측정 주기 데이터(562)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가 각각 해당된다. 기동 제어부(34)는 RTC(51)가 해당된다. 계측부(35)는 계측 센서(54)가 해당된다.
[1-4. 초기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5는 단말 제어 시스템(1)에서의 초기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단말 제어 장치(2)와 단말 장치(3)가 연계하여 처리를 행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이들 2개의 장치는 반드시 연계하여 처리를 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가 스텝 S101∼S106을 실행한 후, 이것에 연동하여 단말 장치(3)가 스텝 S107∼S110의 처리를 실행할 필요는 없다.
단말 제어 장치(2)의 유저가 키보드/마우스(45)를 조작함으로써, 초기 설정 처리를 개시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하면, 단말 제어 장치(2)의 CPU(42)는 단말 장치(3)에 걸리는 그룹마다의 통신 시간을 산출한다(스텝 S101). CPU(42)는,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와 단말 장치(3)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경유하는 중계기(4)의 수에 따른 호프수에 기초하여 그룹마다의 통신 시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의 호프수는 「5(도 1에서, 단말 장치(3a)와 중계기(4)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괄호 쓰기로 표시된 숫자에 해당된다.)」이다. 마찬가지로,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b)의 호프수는 「4」이며,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c∼3e)의 호프수는 각각 「3」이다. 따라서, 그룹 1의 전체 호프수는 단말 장치(3a∼3e)의 호프수의 합계인 「18」이 된다.
1 호프수당의 통신 시간을, 예를 들면, 「0.5초」라고 하면, 그룹 1의 통신 시간(즉 그룹 1에 속하는 전체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의 합계)은 전체 호프수 「18」에, 1 호프수당의 통신 시간 「0.5초」를 곱한 「9초」라고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f 및 3g)의 호프수는 각각 「3」이므로, 그룹 2의 전체 호프수는 단말 장치(3f 및 3g)의 호프수의 합계인 「6」이 된다. 따라서, 그룹 2의 통신 시간(즉 그룹 2에 속하는 전체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의 합계)은 전체 호프수 「6」에, 1 호프수당의 통신 시간 「0.5초」를 곱한 「3초」가 된다.
마찬가지로,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h)의 호프수는 「4」이며,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i 및 3j)의 호프수는 각각 「5」이므로, 그룹 3의 전체 호프수는 단말 장치(3h∼3j)의 호프수의 합계인 「14」가 된다. 따라서, 그룹 3의 통신 시간(즉 그룹 3에 속하는 전체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의 합계)는 전체 호프수 「14」에 1 호프수당의 통신 시간 「0.5초」를 곱한 「7초」가 된다.
이상과 같이, 그룹 1의 통신 시간은 「9초」, 그룹 2의 통신 시간은 「3초」, 그룹 3의 통신 시간은 「7초」로 각각 산출된다.
CPU(42)는 단말 장치(3)의 그룹을 1개 선택한다(스텝 S102). 예를 들면, 그룹의 선택순은 단말 장치나 중계기를 효율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순서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룹 1, 그룹 2 및 그룹 3의 순으로 그룹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CPU(42)는 직전 그룹의 통신 시간과 오프셋 시간에 기초하여 당해 그룹에 속하는 각 단말 장치의 오프셋 시간을 산출한다(스텝 S103). 예를 들면, CPU(42)는 직전 그룹에 속하는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의 합계와, 직전 그룹에 속하는 각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의 합계를, 당해 그룹에 속하는 각 단말 장치의 오프셋 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룹 1을 선택한 경우에는 직전의 그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에, 예를 들면, 소정값 「5초」를 설정한다. 또한 오프셋 시간으로서 「5초」 이외의 소정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CPU(42)는 상기에서 산출한 오프셋 시간을 각 그룹에 대응시켜 하드 디스크(44) 상의 오프셋 시간 관리 데이터(443)에 기록한다(스텝 S104). 도 6은 오프셋 시간 관리 데이터(443)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PU(42)는, 예를 들면, 그룹 1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5초」를 기록한다.
CPU(42)는 미처리 그룹이 있는지 판단하고(스텝 S105), 그룹이 있으면 상기 스텝 S102로 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스텝 S105에서의 Yes 판단).
상기 스텝 S102에서 그룹 2를 선택한 경우, 스텝 S103에서 CPU(42)는 직전 그룹인 그룹 1의 통신 시간 「9초」와, 그룹 1의 오프셋 시간 「5초」와의 합계인 「14초」를 그룹 2에 속하는 각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상기 스텝 S102에서 그룹 3을 선택한 경우, 스텝 S103에서 CPU(42)는 직전 그룹인 그룹 2의 통신 시간 「3초」와, 그룹 2의 오프셋 시간 「14초」와의 합계인 「17초」를 그룹 3에 속하는 각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이와 같이, CPU(42)는, 직전 그룹의 통신 시간과 오프셋 시간의 합계를, 이것에 연속해서 통신을 행하는 다른 그룹의 오프셋 시간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CPU(42)는 그룹 2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14초」, 그룹 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17초」를 각각 기록한다.
도 7은 단말 장치(3)의 기동 시각을 산출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그룹에 대응시켜 기록되는 오프셋 시간 Toff1(5초), Toff2(14초), Toff3(17초)이 각각 설정된다.
CPU(42)는 각 그룹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을 각 그룹에 속하는 각 단말 장치(3)에 송신한다 (스텝 S106). 또한, 그룹과 단말 장치와의 대응표(도시하지 않음)는 미리 CPU(42)가 인식 가능하게 단말 제어 장치(2) 내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CPU(42)는 오프셋 시간 「5초」를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에 송신하고, 오프셋 시간 「14초」를 단말 장치(3f 및 3g)에 송신하고, 오프셋 시간 「17초」를 단말 장치(3h∼3j)에 송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 제어 장치(2)와 단말 장치(3)는 반드시 연동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계측 대상의 스팀 트랩(5)이 설치되어 있는 증기 배관 설비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단말 제어 장치(2)의 유저가 상기 스텝 S101∼S105의 처리를 실행시킨 후, 스팀 트랩(5)이 설치되어 있는 증기 배관 설비의 부근으로 이동하고나서, 상기 스텝 S106의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해도 된다.
각 단말 장치(3)의 CPU(52)는, 단말 제어 장치(2)로부터 오프셋 시간을 수신하면, 수신한 오프셋 시간을 EEPROM(56)의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에 기록한다(스텝 S107).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그룹 1∼3의 각각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EEPROM(56)에 기록되는 측정 주기 데이터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각 CPU(52)는 자기의 단말 장치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5초」 72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f 및 3g)의 각 CPU(52)는 자기의 단말 장치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14초」 72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h∼3i)의 각 CPU(52)는 자기의 단말 장치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17초」 72를 기록한다.
CPU(52)는 기동 시각 산출 처리를 서브루틴으로 실행한다(스텝 S108). 도 9는 단말 장치에서의 기동 시각 산출 처리의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PU(52)는 RTC로부터 현재 시각을 취득한다(스텝 S201).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52)는 현재 시각(Tnow)으로서 「06시45분30초」를 취득한다.
CPU(52)는 측정 주기를 읽어들인다(스텝 S202). 예를 들면, CPU(52)는 도 8a에 나타낸 측정 주기 데이터(562a)로부터 「60분」을 읽어들인다. 또한, 도 8a∼도 8c에 나타내는 측정 주기 데이터(562a∼562c)의 각 데이터는 미리 대응하는 그룹의 각 단말 장치(3)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초기 설정 처리에서, 단말 제어 장치(2)로부터 단말 장치(3)에 대응하는 측정 주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CPU(52)는 현재 시각과 측정 주기로부터 다음번의 기준 시각을 산출한다(스텝 S203).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단말 장치(3)가 기동 시각을 산출하는 경우의 원점이 되는 원점 시각을 「00시00분00초」로 한다. 또한, 원점 시각은 모든 단말 장치(3)에 공통되어 설정되는 시각이면 상기 원점 시각 이외의 시각이어도 된다.
CPU(52)는, 예를 들면, 원점 시각으로부터 기산한 측정 주기의 배수가 되는 시각 중, 현재 시각보다 미래의 시각이며, 또한 현재 시각에 가장 가까운 시각을 다음번의 기준 시각으로서 결정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점 시각이 「00시00분00초」, 현재 시각(Tnow)이 「06시45분30초」 및 측정 주기(Tcyc)가 「60분」인 경우, 기준 시각(Tnxt)은 「07시00분00초」로 산출할 수 있다.
CPU(52)는 EEPROM(56)의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에 기록되어 있는 오프셋 시간을 읽어들인다(스텝 S204). 예를 들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CPU(52)는, 도 8a에 나타낸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a)로부터, 오프셋 시간으로서 「5초」를 읽어들인다.
CPU(52)는 기준 시각, 오프셋 시간 및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가 다음번에 기동해야 할 시각(다음번 기동 시각)을 산출한다(스텝 S205). 여기에서 측정 시간으로서는, 단말 장치(3)의 계측 센서(54)가 스팀 트랩의 동작 상황을 계측하는데 충분한 시간으로서 「2초」를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측정 시간은 「2초」보다 길어도 짧아도 된다.
예를 들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각 CPU(52)는, 기준 시각(Tnxt) 「07시00분00초」에, 도 8a에 나타내는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5초」 563a를 가산하고, 상술한 계측 센서(54)의 측정 시간 「2초」를 감산한 시각인 「07시00분03초」를, 자기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f, 3g)의 각 CPU(52)는, 기준 시각(Tnxt) 「07시00분00초」에, 도 8b에 나타내는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14초」(563b)를 가산하고, 상술한 계측 센서(54)의 측정 시간 「2초」를 감산한 시각인 「07시00분12초」를 자기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h∼3j)의 각 CPU(52)는, 기준 시각(Tnxt) 「07시00분00초」에, 도 8c에 나타내는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17초」(563c)를 가산하고, 상술한 계측 센서(54)의 측정 시간 「2초」를 감산한 시각인 「07시00분15초」를 자기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산출한다.
도 9의 서브루틴 처리를 끝내면 CPU(52)는 도 5의 스텝 S109로 돌아가, 산출한 다음번 기동 시각을 RTC에 세팅한다. 예를 들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각 CPU(52)는 다음번 기동 시각 「07시00분03초」를 RTC(51)의 기동 시각 데이터(511)에 세팅한다.
마찬가지로,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f, 3g)의 각 CPU(52)는 다음번 기동 시각 「07시00분12초」를 RTC(51)의 기동 시각 데이터(511)에 세팅한다. 또한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h∼3j)의 각 CPU(52)는 다음번 기동 시각 「07시00분15초」를 RTC(51)의 기동 시각 데이터(511)에 세팅한다.
다음번 기동 시각을 RTC(51)에 세팅한 후, CPU(52)는 단말 장치(3)의 전원을 끈다. 이것에 의해 단말 장치(3)는 다음번 기동 시각이 될 때까지 기상하지 않으므로, 배터리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3)의 전원을 끈 상태를 「취침 상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취침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장치(3)의 RTC(51)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어, RTC(51)의 타이머 기능이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1-5. 계측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0은 단말 제어 시스템(1)에 걸리는 계측 처리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3)는 RTC(51)에 세팅한 기동 시각에 기동한다. 구체적으로는, RTC(51)의 타이머 기능에 의해 발신되는 기동 신호에 의해 배터리(57)로부터 단말 장치(3)의 각 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단말 장치(3)가 기동한다.
배터리(57)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받으면, 단말 장치(3)의 CPU(52)는 계측 센서(54)에 계측 명령을 출력한다(스텝 S301). 계측 센서(54)가 온도 센서인 경우, 예를 들면, 스팀 트랩(5)의 외측 표면의 온도를 열전대에 의해 계측한다.
또한 계측 센서(54)가 진동 센서인 경우, 예를 들면, 스팀 트랩(5)에 설치된 밸브 디스크가 동작한 경우에 발생하는 동작음이나, 스팀 트랩(5)의 내부 통로를 증기가 힘차게 흐른 경우에 발생하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압전 소자에 의해 계측한다.
또한, 계측 센서(54)는 온도 센서와 진동 센서 모두를 복합적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그 밖의 센서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CPU(52)는 계측 센서(54)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302). CPU(52)는, 예를 들면, 온도 데이터 또는/및 진동 데이터를 취득하고, RAM(53)의 계측 데이터(531)에 기록한다.
CPU(52)는 오프셋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303에서의 Yes 판단), 취득한 계측 데이터를 단말 제어 장치(2)에 송신한다(스텝 S304). CPU(52)는, 예를 들면, RAM(53)의 계측 데이터(531)에 기록한 온도 데이터 또는/및 진동 데이터를 무선 통신 회로(55)를 사용하여 단말 제어 장치(2)에 무선 송신한다. 또한, 계측 데이터는 실제로는 1 또는 2 이상의 중계기(4)를 통하여 단말 제어 장치(2)에 무선 송신된다.
도 11은 단말 장치(3)로부터 단말 제어 장치(2)에 송신되는 계측 데이터(531)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송신처 어드레스(110) 「D001」은, 예를 들면, 중계기(4)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송신원 어드레스(110) 「S001」은, 예를 들면, 단말 장치(3)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온도 데이터(112) 「200℃」는, 예를 들면, 계측 센서(54)(온도 센서)로부터 취득한 온도 데이터를 나타낸다. 진동 데이터(113) 「20kHz」는, 예를 들면, 계측 센서(54)(진동 센서)로부터 취득한 진동 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트랩 작동 횟수(114) 「6회」는, 예를 들면, 계측 센서(54)(진동 센서)로부터 취득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한 스팀 트랩(5)의 작동 횟수를 나타낸다. 스팀 트랩(5)의 작동 횟수는, 예를 들면, 전회의 계측 데이터 송신 후로부터의 현재까지 취득한 진동 데이터의 이력 중에서, 진동 주파수를 나타내는 값이 극대(피크)가 된 횟수로 할 수 있다. 스팀 트랩(5)의 작동 횟수의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스팀 트랩(5)의 동작 상태의 판단을 보상할 수 있다.
단말 장치(3)로부터의 송신을 받아, 단말 제어 장치(2)의 CPU(42)는 계측 데이터를 기록한다(스텝 S308). CPU(42)는,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의 하드 디스크(44)의 계측 데이터(445)로서 단말 장치(3)로부터 수신한 온도 데이터 또는/및 진동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계측 데이터는 실제로는 1 또는 2 이상의 중계기(4)를 통하여 단말 장치(3)로부터 무선 송신된다. 또한 계측 데이터(445)는, 도 11에 도시한 계측 데이터(531)와 동일한 포맷으로, 송신원이 상이한 복수의 계측 데이터(531)가 기록되는 것이다.
단말 장치(3)의 CPU(52)는 기동 시각 산출 처리를 서브루틴으로 실행한다(스텝 S305). 또한, 여기에서 실행되는 기동 시각 산출 처리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와 동일하다. 단, 스텝 S305에서의 기동 시각 산출 처리를 실행하는 시점에서는, 현재 시각이 기준 시각 이후이므로, 새로운 기준 시각에 기초하여 새로운 기동 시각이 산출되게 된다.
도 9의 기동 시각 산출 처리를 끝내면 CPU(52)는 산출한 다음번 기동 시각을 RTC에 세팅한다(스텝 S306). 또한 다음번 기동 시각을 RTC(51)에 세팅한 후, CPU(52)는 단말 장치(3)의 전원을 끈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3)는, 계측 데이터를 단말 제어 장치(2)에 송신하면, 다음번 기동 시각을 산출하여 RTC에 세팅한 후, 전원을 끄고, 취침 상태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 장치(3)는 다음번 기동 시각이 될 때까지 배터리 소비를 억제하여, 단말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제 2 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주요 차이점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단말 장치(3)끼리의 측정 주기가 각각 상이한 것이 있는 점이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주기를 「60분」으로만 설정하고 있었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주기를 「30분」, 「1시간」 및 「3시간」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2-1. 단말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
각 단말 장치(3)는 미리 측정 주기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3a)는 측정 주기 「30분」이 설정되어 있다(도 12에서는, 측정 주기 「30분」을 [30m]으로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단말 장치(3b)는 측정 주기 「1시간」이 설정되어 있다(도 12에서는, 측정 주기 「1시간」을 [1h]로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단말 장치(3c)는 측정 주기 「3시간」이 설정되어 있다(도 12에서는, 측정 주기 「3시간」을 [3h]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각각 상이한 측정 주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30분」, 「1시간」 및 「3시간」의 3종류의 측정 주기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것 이상 또는 이것 이하의 종류의 측정 주기를 설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3)는 각각 설정되어 있는 측정 주기마다 계측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3a)는 「30분」마다 계측 처리를 실행하고, 단말 장치(3b)는 「1시간」마다 계측 처리를 실행하고, 단말 장치(3c)는 「3시간」마다 계측 처리를 실행한다.
즉, 예를 들면, 원점 시각으로부터 「3시간」 또는 3의 배수 시간(6시간, 9시간, 12시간, 15시간, 18시간…)을 경과한 시각을 기준 시각으로 하는 타이밍 기간에 있어서는, 단말 장치(3a∼3c) 모두가 계측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원점 시각으로부터 1시간 및 1의 배수 시간(3의 배수 시간을 제외함)을 경과한 시각을 기준 시각으로 하는 타이밍 기간에 있어서는, 단말 장치(3a 및 3b)가 계측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원점 시각으로부터 30분 및 30분의 배수 시간(60분 또는 180분의 배수 시간을 제외함)을 경과한 시각을 기준 시각으로 하는 타이밍 기간에 있어서는, 단말 장치(3a)만이 계측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 주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측정 주기가 상이한 단말 장치(3)끼리가 동시기에 계측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측정 주기에 따라서는, 한번에 수많은 단말 장치(3)가 단말 제어 장치(2)에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단말 장치(3)의 통신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다. 통신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단말 장치(3)의 전력소비량이 증대해서 배터리(57)의 지속성이 악화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주기가 상이한 단말 장치(3)끼리가 계측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이 겹치는 경우에, 각 단말 장치(3)의 통신 대기 시간이 가능한 한 짧아지는 것과 같은 오프셋 시간을 결정하여, 단말 장치(3)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한다.
[2-2. 단말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1)의 기능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2-2-1. 단말 제어 장치(2)의 기능 블록도]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2)의 통신 시간 산출부(21)는 측정 주기 관리부(24)로부터 취득한 측정 주기마다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2)의 오프셋 시간 산출부(22)는, 예를 들면, 속하는 그룹이 상이하고, 또한, 측정 주기가 동일한 2개의 단말 장치(3)가, 동일한 기준 시각의 타이밍 기간에 있어서 단말 처리를 실행한다고 가정하고, 앞의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과, 뒤의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뒤의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2)의 오프셋 시간 산출부(22)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단말 장치(3) 중, 측정 주기가 상이한 단말 장치(3)가 동일한 기준 시각의 타이밍 기간에 있어서 단말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가정함으로써 산출한 각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의 합계를 그룹 전체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2)의 오프셋 시간 관리부(23)는, 예를 들면, 상기에서 산출한 오프셋 시간을 각 단말 장치(3)가 속하는 그룹 및 측정 주기에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2)의 측정 주기 관리부(24)는, 예를 들면, 단말 장치(3)가 속하는 그룹마다 설정된 측정 주기를 각 단말 장치(3)에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주기 관리부(24)가 관리하는 측정 주기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대응하는 각 단말 장치(3)에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된다.
[2-2-2. 단말 장치(3)의 기능 블록도]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기억부(31)는,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에서 산출된, 측정 주기마다의 오프셋 시간을 기록해 둘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측정 주기 기억부(33)는,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장치(2)에서 관리되고 있는, 당해 단말 장치(3)에 대한 측정 주기를 적어도 1개 이상 기록해 둘 수 있다.
[2-3. 단말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예]
단말 제어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예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단말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예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2-4. 초기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의 초기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제어 장치(2)의 유저가 키보드/마우스(45)를 조작함으로써, 초기 설정 처리를 개시시키기 위한 지령을 입력하면, 단말 제어 장치(2)의 CPU(42)는 단말 장치(3)에 걸리는 그룹 및 측정 주기마다의 통신 시간을 산출한다(스텝 S401).
CPU(42)는,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 제어 장치(2)와 단말 장치(3)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경유하는 중계기(4)의 수에 따른 호프수에 기초하여, 그룹 및 측정 주기마다의 통신 시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룹 1에 속하고, 또한, 측정 주기가 「30분(30m)」인 전체 단말 장치(3)(이하, 예를 들면,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측정 단말(3a 및 3d)이다. 여기에서, 측정 단말(3a)의 호프수는 「5」이며, 단말 장치(3d)의 호프수는 「3」이므로,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합계 호프수는 단말 장치(3a 및 3d)의 호프수의 합계인 「8」이 된다.
1 호프수당의 통신 시간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0.5초」라고 하면,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즉 그룹 1에서 측정 주기가 「30분」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의 합계)은 합계 호프수 「8」에 1 호프수당의 통신 시간 「0.5초」를 곱한 「4초」로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는 단말 장치(3g)뿐이므로,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합계 호프수는 단말 장치(3g)의 호프수인 「3」이 된다. 따라서,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즉 그룹 2에서 측정 주기가 「30분」인 전체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의 합계)는 합계 호프수 「3」에 1 호프수당의 통신 시간 「0.5초」를 곱한 「1.5초」가 된다.
마찬가지로, 그룹 3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는 단말 장치(3j)뿐이므로, 그룹 3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합계 호프수는 단말 장치(3j)의 호프수인 「5」가 된다. 따라서, 그룹 3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즉 그룹 3에서 측정 주기가 「30분」인 전체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의 합계)은 합계 호프수 「5」에 1 호프수당의 통신 시간 「0.5초」를 곱한 「2.5초」가 된다.
이상과 같이,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4초」,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1.5초」, 그룹 3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2.5초」로 각각 산출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룹 1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3.5초」, 그룹 2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1.5초」, 그룹 3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2.5초」로 각각 산출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룹 1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1.5초」, 그룹 2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0초」, 그룹 3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은 「2초」로 각각 산출된다.
CPU(42)는 단말 장치(3)의 그룹 및 측정 주기의 조합을 1개 선택한다(스텝 S402).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룹 1, 그룹 2 및 그룹 3의 순으로 그룹을 차례차례 선택해 감과 아울러, 각 그룹과 「30분」, 「1시간」 및 「3시간」의 순으로 측정 주기를 차례차례 선택한다. 즉, 최초의 인크리먼트에서는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의 조합을 선택하고, 최후의 인크리먼트에서는 그룹 3 및 측정 주기 「3시간」의 조합을 선택한다.
CPU(42)는, 상기에서 산출한 그룹 및 측정 주기의 조합마다 산출한 통신 시간과 오프셋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에 후속하는 그룹에 속하고, 또한, 상기 측정 주기와 동일한 측정 주기가 설정된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을 산출한다(스텝 S403).
예를 들면, CPU(42)는 직전 그룹에 속하고, 또한 동일한 측정 주기가 설정된 전체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의 합계와, 직전 그룹에 속하고, 또한 동일한 측정 주기가 설정된 각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의 합계를, 후속 그룹에 속하고, 또한 상기 측정 주기와 동일한 측정 주기가 설정된 각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 한다. 또한, 그룹 1을 선택한 경우에는 직전의 그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룹 1 및 각 측정 주기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에, 예를 들면, 소정값 「2초」를 설정한다. 또한 오프셋 시간으로서 「2초」 이외의 소정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CPU(42)는 상기에서 산출한 오프셋 시간을 각 그룹 및 측정 주기의 조합에 대응시켜 하드 디스크(44) 상의 오프셋 시간 관리 데이터(443)에 기록한다(스텝 S404).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오프셋 시간 관리 데이터(443)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PU(42)는, 예를 들면,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 그룹 1 및 측정 주기 「1시간」, 그룹 1 및 측정 주기 「3시간」의 각 조합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2초」를 각각 기록한다.
CPU(42)는 미처리 그룹 및 측정 주기의 조합이 있는지 판단하고(스텝 S405), 미처리 그룹 및 측정 주기의 조합이 있으면 상기 스텝 S402로 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스텝 S405에서의 Yes 판단).
상기 스텝 S402에서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의 조합을 선택한 경우, 스텝 S403에서 CPU(42)는 직전 그룹인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 「4초」와,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2초」의 합계인 「6초」를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상기 스텝 S402에서 그룹 2 및 측정 주기 「1시간」의 조합을 선택한 경우, 스텝 S403에서 CPU(42)는 직전 그룹인 그룹 1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 「3.5초」와, 그룹 1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2초」의 합계인 「5.5초」를 그룹 2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상기 스텝 S402에서 그룹 2 및 측정 주기 「3시간」의 조합을 선택한 경우, 스텝 S403에서 CPU(42)는 직전 그룹인 그룹 1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 「1.5초」와, 그룹 1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2초」의 합계인 「3.5초」를 그룹 2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상기 스텝 S402에서 그룹 3 및 측정 주기 「30분」의 조합을 선택한 경우, 스텝 S403에서 CPU(42)는 직전 그룹인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 「1.5초」와,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6초」의 합계인 「7.5초」를 그룹 3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상기 스텝 S402에서 그룹 3 및 측정 주기 「1시간」의 조합을 선택한 경우, 스텝 S403에서 CPU(42)는 직전 그룹인 그룹 2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 「1.5초」와, 그룹 2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5.5초」의 합계인 「7초」를 그룹 3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상기 스텝 S402에서 그룹 3 및 측정 주기 「3시간」의 조합을 선택한 경우, 스텝 S403에서 CPU(42)는 직전 그룹인 그룹 2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 「0초」와, 그룹 2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 「3.5초」의 합계인 「3.5초」를 그룹 3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설정한다.
이와 같이, CPU(42)는 직전 그룹 및 측정 주기의 조합에 따른 단말 장치(3)의 통신 시간과 오프셋 시간의 합계를, 이것에 연속해서 통신을 행하는 다른 그룹의 통신 단말(3)이며, 동일한 측정 주기가 설정된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42)는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6초」, 그룹 2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5.5초」, 그룹 2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3.5초」를 각각 기록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42)는 그룹 3 및 측정 주기 「30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7.5초」, 그룹 3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7초」, 그룹 3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따른 단말 장치(3)의 오프셋 시간으로서 「3.5초」를 각각 기록한다.
CPU(42)는 각 그룹 및 각 측정 주기에 각각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을 각 그룹에 속하는 각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스텝 S406). 또한, 그룹 및 측정 주기와 단말 장치의 대응표(도시하지 않음)는 미리 CPU(42)가 인식 가능하게 단말 제어 장치(2) 내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CPU(42)는 그룹 1 및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2초」, 그룹 1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2초」 및 그룹 1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2초」를 그룹 1에 따른 단말 장치(3a∼3e)에 각각 송신한다.
예를 들면, CPU(42)는 그룹 2 및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6초」, 그룹 2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5.5초」 및 그룹 2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3.5초」를 그룹 2에 따른 단말 장치(3f 및 3g)에 각각 송신한다.
예를 들면, CPU(42)는, 그룹 3 및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7.5초」, 그룹 3 및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7초」 및 그룹 3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시켜 기록한 오프셋 시간 「3.5초」를 그룹 3에 따른 단말 장치(3h∼3j)에 각각 송신한다.
각 단말 장치(3)의 CPU(52)는, 단말 제어 장치(2)로부터 오프셋 시간을 수신하면, 수신한 오프셋 시간을 EEPROM(56)의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에 기록한다(스텝 S407).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그룹 1∼3의 각각에 속하는 단말 장치(3)의 EEPROM(56)에 기록되는 측정 주기 데이터 및 오프셋 시간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각 CPU(52)는 자기의 단말 장치의 측정 주기 데이터(562d)로서 「30분」, 「1시간」 및 「3시간」을 기록하고,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d)로서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2초」,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2초」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2초」를 각각 기록한다.
예를 들면,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f 및 3g)의 각 CPU(52)는 자기의 단말 장치의 측정 주기 데이터(562d)로서 「30분」, 「1시간」 및 「3시간」을 기록하고,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d)로서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6초」,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5.5초」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3.5초」를 각각 기록한다.
예를 들면,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h∼3j)의 각 CPU(52)는 자기의 단말 장치의 측정 주기 데이터(562d)로서 「30분」, 「1시간」 및 「3시간」을 기록하고,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d)로서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7.5초」,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7초」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시킨 오프셋 시간 「3.5초」를 각각 기록한다.
CPU(52)는 기동 시각 산출 처리를 서브루틴으로 실행한다(스텝 S108). 도 17은 단말 장치(3)에서의 기동 시각 산출 처리의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PU(52)는 RTC로부터 현재 시각을 취득한다(스텝 S501). CPU(52)는 각 측정 주기를 읽어들인다(스텝 S502). 예를 들면, CPU(52)는 도 16a에 나타낸 측정 주기 데이터(562d)로부터 측정 주기 「30분」, 「1시간」 및 「3시간」을 읽어들인다.
CPU(52)는 현재 시각과 각 측정 주기로부터 다음번의 기준 시각을 산출한다(스텝 S503). CPU(52)는, 예를 들면, 원점 시각으로부터 기산하는 경우에, 측정 주기 데이터(562)에 기록된 최소의 측정 주기의 배수에 해당하는 시각이며, 현재 시각에 가장 가까운 미래의 시각을 다음번 기준 시각으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CPU(52)는 원점 시각 「00시00분00초」로부터 기산하여, 최소의 측정 주기 「30분」의 배수에 해당되는 시각이며, 현재 시각 「05시50분00초」에 가장 가까운 미래의 시각인 「06시00분00초」를 다음번의 기준 시각으로 한다.
CPU(52)는 산출한 기준 시각이 배수가 되는 측정 주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을 모두 읽어들인다(스텝 S504). 예를 들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CPU(52)는 기준 시각 「06시00분00초」가 배수가 되는 측정 주기는 「30분」, 「1시간」 및 「3시간」이므로, 도 16a에 나타낸 오프셋 시간 데이터(563d)로부터,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2초」,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2초」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2초」를 읽어들인다.
또한, 예를 들면, 기준 시각이 「05시00분00초」인 경우, 이 기준 시각이 배수가 되는 측정 주기는 「30분」 및 「1시간」이 되므로, CPU(52)는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2초」와,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2초」를 읽어들인다.
CPU(52)는 기준 시각, 오프셋 시간 합계 및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가 다음번에 기동할 시각(다음번 기동 시각)을 산출한다(스텝 S505). 여기에서 측정 시간으로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2초」를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각 CPU(52)는 기준 시각(Tnxt) 「06시00분00초」에 도 16a에 나타내는,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2초」,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2초」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2초」의 합계인 「6초」를 가산하고, 상술한 계측 센서(54)의 측정 시간 「2초」를 감산한 시각인 「06시00분04초」를 자기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f, 3g)의 각 CPU(52)는 기준 시각(Tnxt) 「06시00분00초」에, 도 16b에 나타내는,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6초」,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5.5초」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3.5초」의 합계인 「15초」를 가산하고, 상술한 계측 센서(54)의 측정 시간 「2초」를 감산한 시각인 「06시00분13초」를 자기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h∼3j)의 각 CPU(52)는, 기준 시각(Tnxt) 「06시00분00초」에, 도 16c에 나타내는, 측정 주기 「30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7.5초」, 측정 주기 「1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7초」 및 측정 주기 「3시간」에 대응하는 오프셋 시간 「3.5초」의 합계인 「18초」를 가산하고, 상술한 계측 센서(54)의 측정 시간 「2초」를 감산한 시각인 「06시00분16초」를 자기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산출한다.
도 18은 단말 장치(3)의 기동 시각을 산출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그룹에 대응시켜 기록되는 오프셋 시간 Toff1(6초), Toff2(15초), Toff3(18초)이 각각 설정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06시00분04초」가 설정되고,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f, 3g)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06시00분13초」가 설정되고,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h∼3j)의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06시00분16초」가 설정된다.
도 17의 서브루틴 처리를 끝내면 CPU(52)는 도 14의 스텝 S409로 돌아가고, 산출한 다음번 기동 시각을 RTC에 세팅한다. 예를 들면, 그룹 1에 속하는 단말 장치(3a∼3e)의 각 CPU(52)는 다음번 기동 시각 「06시00분04초」를 RTC(51)의 기동 시각 데이터(511)에 세팅한다.
마찬가지로, 그룹 2에 속하는 단말 장치(3f, 3g)의 각 CPU(52)는 다음번 기동 시각 「06시00분13초」를 RTC(51)의 기동 시각 데이터(511)에 세팅한다. 또한 그룹 3에 속하는 단말 장치(3h∼3j)의 각 CPU(52)는 다음번 기동 시각 「06시00분16초」를 RTC(51)의 기동 시각 데이터(511)에 세팅한다.
다음번 기동 시각을 RTC(51)에 세팅한 후, CPU(52)는 단말 장치(3)의 전원을 끄고, 취침 상태로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계측 처리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3. 기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제어 장치(2)와 단말 장치(3)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경유하는 중계기(4)의 수에 따른 호프수를 사용했지만, 단말 제어 장치(2)와 단말 장치(3)가 중계기(4)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호프수를 「1」로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단말 제어 장치(2)와 직접 통신을 행하는 단독 단말 장치(3)를 1개의 그룹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장치(3)를 제어하는 예를 제시했지만, 중계기(4)에 단말 장치(3)와 동일한 기능을 넣고, 단말 장치(3)와 함께, 단말 장치(3)의 상위계층에 배치된 중계기(4)를 그 하위계층에 배치된 단말 장치(3)와 동기하여 기상 및 취침 처리를 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2 이상 조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21 통신 시간 산출부
22 오프셋 시간 산출부
23 오프셋 시간 관리부
24 측정 주기 관리부
25 계측 데이터 기억부
31 오프셋 시간 기억부
32 기동 시각 산출부
33 측정 주기 기억부
34 기동 제어부
35 계측부

Claims (6)

  1. 복수의 단말 장치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가 동일한 기간에 소정의 단말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기준이 되는 기준 시각의 경과 후, 미리 설정된 기동 시각에 기동하고,
    상기 단말 처리로서, 상기 기동 시각의 경과 후, 상기 기준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프셋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데이터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고, 또한, 상기 오프셋 시간의 경과 후, 미리 설정된 통신 시간 내에,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며,
    상기 단말 장치의 각각은 복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속하는 복수 그룹에 각각 제 1 주기마다 상기 단말 처리를 행하는 제 1 주기 단말 장치와, 제 2 주기마다 상기 단말 처리를 행하는 제 2 주기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 그룹 중 제 1 그룹의 제 1 주기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그룹의 제 1 주기 단말 장치에 후속하여 상기 단말 처리를 행하는 제 2 그룹의 제 1 주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제 1 주기 오프셋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 그룹 중 제 1 그룹의 제 2 주기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그룹의 제 2 주기 단말 장치에 후속하여 상기 단말 처리를 행하는 제 2 그룹의 제 2 주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제 2 주기 오프셋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주기 오프셋 시간과, 상기 제 2 주기 오프셋 시간을 합산한 것을 제 2 그룹의 단말 장치에 대한 오프셋 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 2 그룹의 단말 장치는,
    산출된 상기 오프셋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동 시각을,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간은 상기 단말 장치가 속하는 그룹 전체의 통신 시간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시간에 기초하여,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후속하여 상기 단말 처리를 실행하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대한 오프셋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시간은 대상물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시각은 상기 기준 시각에 상기 오프셋 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측정 시간을 감산한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처리는 대상물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측정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6. 복수의 단말 장치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사용한 단말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가 동일한 기간에 소정의 단말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기준이 되는 기준 시각의 경과 후, 미리 설정된 기동 시각에 기동하고,
    상기 단말 처리로서, 상기 기동 시각의 경과 후, 상기 기준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프셋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데이터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고, 또한, 상기 오프셋 시간의 경과 후, 미리 설정된 통신 시간 내에,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며,
    상기 단말 장치의 각각은 복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속하는 복수 그룹에 각각 제 1 주기마다 상기 단말 처리를 행하는 제 1 주기 단말 장치와, 제 2 주기마다 상기 단말 처리를 행하는 제 2 주기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 그룹 중 제 1 그룹의 제 1 주기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그룹의 제 1 주기 단말 장치에 후속하여 상기 단말 처리를 행하는 제 2 그룹의 제 1 주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제 1 주기 오프셋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 그룹 중 제 1 그룹의 제 2 주기 단말 장치의 통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그룹의 제 2 주기 단말 장치에 후속하여 상기 단말 처리를 행하는 제 2 그룹의 제 2 주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제 2 주기 오프셋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주기 오프셋 시간과, 상기 제 2 주기 오프셋 시간을 합산한 것을 제 2 그룹의 단말 장치에 대한 오프셋 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 2 그룹의 단말 장치는,
    산출된 상기 오프셋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동 시각을 다음번 기동 시각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KR1020157031497A 2013-04-22 2014-04-22 단말 제어 시스템 KR101788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89081 2013-04-22
JPJP-P-2013-089081 2013-04-22
PCT/JP2014/061212 WO2014175233A1 (ja) 2013-04-22 2014-04-22 端末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764A KR20150144764A (ko) 2015-12-28
KR101788641B1 true KR101788641B1 (ko) 2017-10-20

Family

ID=5179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497A KR101788641B1 (ko) 2013-04-22 2014-04-22 단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871689B2 (ko)
EP (1) EP2991364B1 (ko)
JP (3) JP5684956B1 (ko)
KR (1) KR101788641B1 (ko)
CN (1) CN105165022B (ko)
AU (1) AU2014258428B2 (ko)
BR (1) BR112015026436B1 (ko)
CL (1) CL2015003109A1 (ko)
MX (1) MX348715B (ko)
PE (1) PE20151842A1 (ko)
SA (1) SA515370021B1 (ko)
SG (1) SG11201508266XA (ko)
WO (1) WO2014175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6588B2 (ja) * 2015-05-08 2019-12-04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端末制御システム
JP6461718B2 (ja) * 2015-06-05 2019-01-30 株式会社東芝 管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ES2935117T3 (es) * 2015-09-29 2023-03-01 Tlv Co Ltd Sistema de transmisión de datos, dispositivo de gestión, programa de transmisión de datos y método de transmisión de datos
JP2018046327A (ja) * 2016-09-12 2018-03-22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09691125B (zh) * 2016-09-30 2022-03-29 Kddi株式会社 通信终端、通信方法、通信用程序、通信系统、管理装置、管理方法及通信控制方法
JP6551443B2 (ja) * 2017-03-28 2019-07-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子時計、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96106B2 (ja) * 2020-02-19 2023-12-12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無線監視システム
US11703935B2 (en) * 2020-07-31 2023-07-18 Apple Inc. Mechanism for saving power on a bus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2233A1 (en) 2003-10-31 2005-06-09 Nec Corporation Power saving wireless telemetering system
JP2006217373A (ja) * 2005-02-04 2006-08-17 Denso Wave Inc 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読取端末
JP2016005048A (ja) * 2014-06-16 2016-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1861B2 (en) * 2000-06-02 2020-05-05 Dennis J. Dupray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a communications network
KR20030062524A (ko) * 2002-01-17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롯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 감소방법 및 장치
US7231221B2 (en) * 2003-09-12 2007-06-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hannel access methods and apparatus in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058089B2 (en) * 2004-02-18 2006-06-06 Rosemount,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mmon sense of time on a network segment
WO2006067673A2 (en) 2004-12-20 2006-06-29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Bus guardian as well as method for monitoring communication between and among a number of nodes, node comprising such bus guardian, and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nodes
US7876789B2 (en) 2005-06-23 2011-01-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synchronizing the presentation of media stream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media streams
JP4675792B2 (ja) * 2006-02-01 2011-04-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遠隔制御装置、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US8018884B2 (en) * 2006-06-21 2011-09-13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network controller
KR20120034764A (ko) * 2008-01-28 2012-04-12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CN102150396B (zh) 2009-12-02 2015-08-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数据通信网络系统
JP5406690B2 (ja) 2009-12-14 2014-02-05 大井電気株式会社 通信回線連係装置および遠隔計測システム
JP5543835B2 (ja) * 2010-04-23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1066911A (ja) 2010-10-21 2011-03-31 Casio Computer Co Ltd 無線端末装置、無線中継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299560A (zh) * 2010-12-28 2013-09-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和接收空闲模式参数更新信息的方法及其设备
JP4835802B1 (ja) * 2011-03-15 2011-12-14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センサ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30044659A1 (en) * 2011-08-16 2013-02-21 Renesas Mobile Corporation Wireless Devices and Base Stations and Methods of Opera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2233A1 (en) 2003-10-31 2005-06-09 Nec Corporation Power saving wireless telemetering system
JP2006217373A (ja) * 2005-02-04 2006-08-17 Denso Wave Inc 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読取端末
JP2016005048A (ja) * 2014-06-16 2016-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14827A (es) 2016-03-11
JP2015119487A (ja) 2015-06-25
SG11201508266XA (en) 2015-11-27
BR112015026436B1 (pt) 2023-02-14
KR20150144764A (ko) 2015-12-28
JPWO2014175233A1 (ja) 2017-02-23
MX348715B (es) 2017-06-26
JP5684956B1 (ja) 2015-03-18
AU2014258428B2 (en) 2016-05-19
CN105165022A (zh) 2015-12-16
EP2991364B1 (en) 2018-12-26
SA515370021B1 (ar) 2018-01-29
EP2991364A1 (en) 2016-03-02
CL2015003109A1 (es) 2016-06-03
JP5684939B2 (ja) 2015-03-18
AU2014258428A1 (en) 2015-11-05
US9871689B2 (en) 2018-01-16
JP2014225897A (ja) 2014-12-04
BR112015026436A2 (pt) 2020-03-31
CN105165022B (zh) 2018-06-26
WO2014175233A1 (ja) 2014-10-30
US20160043891A1 (en) 2016-02-11
PE20151842A1 (es) 2016-01-10
EP2991364A4 (en)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641B1 (ko) 단말 제어 시스템
WO2015107689A1 (ja) 通信ノード、システム、および同期方法
TW201819948A (zh) 信標
JP6398359B2 (ja) メッシュ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機
JP2008306657A (ja) 無線ノード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6471747B (zh) 用于跳频无线网络中的节点同步的方法
JP2012175226A (ja) 多段中継ネットワーク、多段中継から成る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及び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無線子機
WO2015005183A1 (ja) 時刻同期システム
CN110286603B (zh) 基于智能家居操作系统的指示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CA2874286C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monitoring
JP6616588B2 (ja) 端末制御システム
KR101376533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라우터 겸용 원격 검침 노드 및 원격 검침 방법
JP2019106660A (ja) 電池駆動型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同期補正方式
JP6537428B2 (ja) 判定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JP2015133565A (ja) 端末制御システム
JP2011205455A (ja) 無線端末、及び通信装置
JP6501644B2 (ja) 通信装置
JP2011250048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4257640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6878266B2 (ja) 無線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RU2484585C1 (ru) Способ инициализации беспроводных устройств для считывания показаний счетчи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947412B2 (ja) データ送受信用親局装置、データ送受信用子局装置及びデータ収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