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812B1 - 정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정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812B1
KR101787812B1 KR1020140096252A KR20140096252A KR101787812B1 KR 101787812 B1 KR101787812 B1 KR 101787812B1 KR 1020140096252 A KR1020140096252 A KR 1020140096252A KR 20140096252 A KR20140096252 A KR 20140096252A KR 101787812 B1 KR101787812 B1 KR 10178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belt
delete delete
rotating body
recor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876A (ko
Inventor
히데키 오타
데루타카 엔도
세이지 오바타
지로 모리야
다카유키 미즈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57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8829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0513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885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680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84307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3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stationary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통 형상의 가요성 회전체와, 회전체의 모선 방향 단부에서 회전체의 내면에 대향하는 내면 대향부를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내면 대향부는, 회전체의 모선 방향으로의 측방향 이동에 따라, 기록재의 반송 방향의 상류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는 회전체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정착 디바이스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통 형상의 가요성 회전체를 갖고, 기록재에 형성된 화상을 기록재에 정착하는 정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기록 방식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되고, 가요성의 회전체를 사용한 정착 장치에서는, 회전체의 회전 중에 회전체가 모선 방향으로 측방향 이동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 측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회전체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체의 측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종종 설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8285호에는, 이러한 규제 부재를 갖는 정착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의 화상 형성 장치는 고속화 및 에너지 절약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요구에 수반하여, 회전체의 회전 속도도 증대하고, 회전체가 측방향 이동 규제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회전체 단부면에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된다. 또한, 회전체의 열용량을 억제하기 위해, 회전체의 두께 및 직경이 작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회전체 단부면에 인가되는 단위 면적당 압력이 커진다. 또한, 최근의 화상 형성 장치는 장수명화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는, 회전체 단부면이 측방향 이동 규제 부재에 마찰되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에 요구되는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회전체 단부면이 깎여지기 쉽고, 회전체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의 측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기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가요성 회전체의 내구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정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통 형상의 가요성 회전체와, 회전체의 모선 방향 단부에서 회전체의 내면에 대향하는 내면 대향부를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내면 대향부는, 회전체의 모선 방향으로의 측방향 이동에 따라, 기록재의 반송 방향의 상류를 향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통 형상의 가요성 회전체와, 회전체의 모선 방향의 회전체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가동 부재로서, 모선 방향으로 회전체의 단부에서 회전체의 내면과 대향하는 내면 대향부와, 회전체의 단부면과 대향하는 단부면 대향부를 포함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회전체가 모선 방향으로 측방향 이동하여 회전체가 단부면 대향부를 누르면, 회전체가 단부면 대향부를 누르는 힘에 의해 가동 부재가 기록재의 반송 방향 상류를 향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통 형상의 가요성 회전체와, 회전체의 모선 방향의 단부에서 회전체의 외면에 대향하는 외면 대향부를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외면 대향부는 회전체의 모선 방향으로의 측방향 이동에 따라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를 향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정착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3의 (a) 및 (b)는 각각 정착 디바이스 내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각각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정 기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의 (a) 및 (b)는 가동 부재 및 보유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보정 기구의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각각 보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8의 (a) 및 (b)는 벨트에 인가되는 힘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가동 부재에 인가되는 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의 (a) 및 (b)는 각각 실시예 2에 따른 가동 부재 및 보유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보정 기구의 단면도.
도 12의 (a) 및 (b)는 각각 보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정착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14의 (a) 및 (b)는 각각 가동 부재 및 보유 부재의 사시도.
도 15의 (a) 및 (b)는 링크 부재의 사시도 및 보정 기구의 단면도.
도 16의 (a) 및 (b)는 각각 보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17의 (a) 및 (b)는 각각 실시예 4에 따른 보정 기구의 사시도 및 상면도.
도 18의 (a) 및 (b)는 각각 보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19는 실시예 5에 따른 보정 기구의 사시도.
도 20의 (a) 및 (b)는 각각 실시예 6에 따른 보정 기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1의 (a) 및 (b)는 각각 가동 부재 및 보유 부재의 사시도.
도 22는 보정 기구의 단면도.
도 23의 (a) 및 (b)는 각각 보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24의 (a) 내지 (d)는 각각 벨트에 인가되는 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가동 부재의 자세를 규제하는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실시예 6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실시예 7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실시예 7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실시예 7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의 (a) 및 (b)는 각각 실시예 8에 따른 보정 기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1의 (a)는 가동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1의 (b)는 보유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1의 (c) 및 (d)는 각각 보유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보정 기구의 단면도.
도 33의 (a) 및 (b)는 각각 보정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34의 (a) 및 (b)는 각각 벨트에 인가되는 힘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가동 부재의 자세를 규제하는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도 1은 정착 디바이스(1)를 탑재하는 전자 사진 기록 방식의 프린터(화상 형성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부(101)의 4색의 토너상을 중첩하여 형성한 풀컬러 토너 화상은 전사부(102)에 의해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된 기록재 P에 전사된다. 기록재 P에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착 디바이스(1)에서 기록재에 가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재 P는 배지 트레이(103)로 배출된다. 양면 프린트의 경우에는, 기록재의 제1 면에 토너 화상을 전사 및 정착한 후, 기록재를 반전시켜서 양면 반송로(104)로 반송하고, 제1면의 화상 형성을 위해 행해진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기록재의 제2 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 화상 형성 동작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정착 디바이스(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정착 디바이스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정착 디바이스를 기록재 배출측에서 보았을 때, 정착 디바이스 내부의 단면도이다. 화살표 S는 기록재 P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파선 X는 정착 디바이스의 길이 방향 중앙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정착 디바이스는, 파선 X가 기록재 P의 반송 기준이다. 기록재 P는, 그 사이즈에 관계없이, 기록재 폭 방향 중앙을 파선 X에 정렬하여 반송된다.
정착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가열 유닛(2), 가열 유닛(2)과 함께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롤러(3), 화상이 정착된 기록재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4)를 갖는다. 가열 유닛(2)은 통 형상의 가요성 회전체(통 형상의 벨트, 통 형상의 필름)(9)(이하, "벨트(9)"라고 칭함), 벨트(9)의 내면에 접촉해 벨트를 가열하는 히터(5)를 갖는다. 또한, 가열 유닛(2)은, 예를 들어 히터 홀더(6) 및 스테이(8)를 포함한다. 히터 홀더(6)는 히터(5)를 보유 지지한다. 스테이(8)는 가열 유닛(5)의 강성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5), 히터 홀더(6) 및 스테이(8)가 벨트(9)의 내면에서 벨트의 모선 방향으로 접촉하는 백업 유닛을 구성한다. 벨트(9)의 내면에는 걸침 롤러(stretching roller)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벨트(9)는 걸쳐지지 않는다. 롤러(3)는 고무층을 갖고, 벨트(9)를 개재하여 백업 유닛과 함께 정착 닙부 N을 형성한다. 정착 닙부 N는 기록재를 끼워서 반송한다. 롤러(3)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기어(61)를 통해 구동된다. 벨트(9)는 롤러(3)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디바이스의 프레임(13)에는 롤러(3)의 2개의 베어링을 장착하기 위한 U자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다. 롤러(3)의 각각의 축 단부에 설치된 2개의 베어링은 오목부에 보유 지지된다. 백업 유닛의 대응 단부에는 벨트(9)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보정 기구("이동 기구"라고도 칭함)(10L, 10R)가 설치된다. 이 위치에 보정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보정 기구(10L, 10R)는, 벨트(9)의 단부면과 대향한다. 보정 기구(10L, 10R)는 (후술하는) 보유 부재(12)를 각각 갖는다. 프레임(13)의 U자 형상의 오목부에 보유 부재(12)의 홈(12f)를 제공함으로써(도 4의 (a) 참조), 롤러(3)와 마찬가지로, 가열 유닛(2)이 프레임(13)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압축 스프링(7)(제1 가압 부재)는 보유 부재(12)의 상면(12c)(도 4의 (a) 참조)에 압력을 인가한다. 스프링(7)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보유 부재(12), 스테이(8) 및 히터 홀더(6)를 통해 히터(5)가 롤러(3)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에 의해, 롤러(3)의 고무층이 압축되고, 벨트(9)를 개재하여 백업 유닛과 롤러(3)가 정착 닙부 N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기록재 P는 벨트(9)와 접촉하면서 정착 닙부 N에서 끼움 지지 반송된다. 이 기간에 토너 화상은 벨트(9)를 통해 히터(5)에 의해 가열되어 기록재 P에 정착된다.
본 실시예의 벨트(9)는 내열 수지제의 기층(구체적으로는 폴리이미드)과, 불소 수지의 표면층과, 기층과 표면층의 사이에 형성된 고무층(실리콘 고무층)을 포함한다. 기층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니켈 등의 금속일 수 있다. 고무층은 필요로 하지 않으면 생략될 수 있다.
히터(5)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디바이스의 길이 방향(즉, 벨트(9)의 모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5)는 세라믹 기판 상에 발열 저항체가 인쇄된 세라믹 히터이다. 전력 공급용의 커넥터(62)를 통해 히터(5)에 전력이 공급된다. 히터(5)의 온도는 (도시하지 않은) 온도 검출 소자에서 모니터링된다. 히터(5)에 공급되는 전력은 온도 검출 소자의 검출 온도가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히터 홀더(6)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또는 PPS(polyphenylene sulfide) 등의 내열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히터 홀더(6)에는 히터(5)를 끼워맞춤하기 위한 홈을 구비한다. 이 홈에 히터(5)를 끼워맞춤함으로써 히터(5)를 길이 방향으로 보유 지지한다. 스테이(8)는 단면이 U자 형상이고, 금속(본 실시예에서는 철)으로 형성된다. 스테이(8)는 홀더(6)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접촉하고, 홀더(6)를 보강한다.
이어서, 벨트(9)의 측방향 이동을 보정하는 보정 기구(10R)와 보정 기구(10L)에 대해서 도 4의 (a) 내지 도 8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정 기구(10R)의 형상과 보정 기구(10L)의 형상은 기록재 P의 반송 기준 X를 기준으로 대략 축 대칭인 형상이다. 따라서, 보정 기구(10R)만을 설명하고, 보정 기구(10L)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a)은 보정 기구(10R)의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보정 기구(10R)를 기록재의 반송 방향 상류로부터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11)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가동 부재(11)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부재(12)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b)의 화살표 VI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보정 기구(10R)를 도시한다. 도 7의 (a) 및 (b), 및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보정 기구에 의한 벨트의 자세를 보정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정 기구(10R)는, 가동 부재(11)와, 가동 부재(11)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부재(12)와, 가동 부재(11)를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제2 가압 부재)(14)를 포함한다. 보유 부재(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 디바이스의 프레임(13)의 U자 형상의 오목부에 끼워맞춤된다. 이에 의해, 히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부재(12)의 위치 및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부재(12)의 위치가 대략적으로 결정된다. 보유 부재(12)가 스프링(7)에 의해 롤러(3)에 향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보유 부재(12)는 대략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가동 부재(11)는 보유 부재(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부품이다. 가동 부재(11)는 스테이(8)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된 절결부에 접한다. 가동 부재(11)의 상부와 보유 부재(12)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제공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1)는 벨트(9)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단부면 대향부(11a)를 갖는다. 벨트(9)가 그 모선 방향으로 측방향 이동하면, 벨트(9)의 단부면은 단부면 대향부(11a)에 충돌한다. 가동 부재(11)는 벨트(9)의 단부 내면에 대향하는 내면 대향부(11c)를 갖는다. 벨트(9)의 내면과 내면 대향부(11c)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제공된다. 내면 대향부(11c)는 벨트(9)의 회전 시에 벨트(9)의 내면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1)는 히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11b)를 갖는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부재(12)는 히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가이드)(12b)를 갖는다. 가동 부재(11)와 보유 부재(12)를 조합하면, 보유 부재(12)의 오목부(12b)에 가동 부재(11)의 볼록부(11b)가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동 부재(11)는 보유 부재(12)의 오목부(12b)에 따라 활주식으로 보유 지지된다. 도면부호 14는 가동 부재(11)를 보유 부재(12)의 시트면(12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나타낸다.
이어서, 도 6 내지 8b를 참조하여 보정 기구(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의 (a)는 각각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11a)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의 보정 기구의 상태를 나타낸다. 롤러(3)의 회전에 의해 벨트(9)가 종동 회전하고 있을 때, 히터(5)보다 벨트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영역에서, 벨트(9)는 가동 부재(11)의 내면 대향부(11c)와 접촉한다. 반면, 히터(5)보다 벨트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영역에서 벨트(9)는 가동 부재(11)의 내면 대향부(11c)로부터 이격된다.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11a)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 스프링(14)에 의해 가압되는 가동 부재(11)는 보유 부재(12)의 시트면(12a)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가동 부재(11)의 볼록부(11b)가 보유 부재(12)의 제1 스토퍼부(12d)에 충돌하여 스프링(14)에 의해 가압되어도, 가동 부재(11)의 이동이 규제되어, 가동 부재(11)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11a)에 접촉하지 않을 때, 벨트(9)의 단부면과 가동 부재(11)의 단부면 대향부(11a) 사이의 거리는 D1이다. 보유 부재(12)의 시트면(12a)으로부터 가동 부재(11)의 단부면 대향부(11a)까지의 거리는 D2이다.
도 7의 (b)는 벨트(9)가 화살표 M1 방향으로 측방향 이동하여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11a)에 접촉하고,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벨트(9)가 가동 부재(11)를 화살표 M1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롤러(3)와 벨트(9)가 서로 정렬이 어긋나는 결과로 예를 들어, 벨트(9)가 가동 부재(11)를 향하여 측방향 이동되면, 벨트(9)의 단부면이 가동 부재(11)와 접촉한다. 벨트(9)가 횡으로 더 이동하면, 벨트(9)는 가동 부재를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 M1 방향으로 눌러, 가동 부재(11)가 이동한다. 가동 부재(11)의 볼록부(11b)가 보유 부재(12)의 오목부(12b)를 따라 이동하므로, 가동 부재(11)는 화살표 M2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록부(11b)가 오목부(12b)의 제2 스토퍼부(12g)에 충돌할 때 가동 부재(11)는 이동을 정지한다. 이 때,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유 부재(12)의 시트면(12a)으로부터 가동 부재(11)의 단부면 대향부(11a)까지의 거리는 D3(<D2)이다. 도 7의 (a)의 상태에 비하여, 가동 부재(11)는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거리 D4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9)가 회전하고 있을 때, 벨트(9)의 내면은 가동 부재(11)의 내면 대향부(11c)와 접촉된다. 따라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부재(11)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하면, 내면 대향부(11c)가 벨트(9)의 내면을 눌러, 보정 기구(10R)측의 벨트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반대로, 히터의 길이 방향으로 보정 기구(10R)의 반대에 위치하는 보정 기구(10L)는 벨트(9)의 단부면에 의해 눌리지 않으므로, 보정 기구(10L)의 가동 부재는 이동하지 않는다.
벨트(9)의 측방향 이동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경우, 즉 벨트가 보정 기구(10L)와 충돌한 경우에는, 보정 기구(10L) 내의 가동 부재만이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보정 기구(10L)측의 벨트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벨트(9)가 히터 길이 방향(즉, 벨트의 모선 방향)으로 측방향 이동되고, 보정 기구(10R, 10L) 중 하나와 충돌하면, 측방향 이동 방향의 하류측의 벨트(9)의 단부만이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힘을 받는다. 이 원리에 의해, 롤러(3)에 대한 벨트(9)의 정렬 상태가 변하고, 벨트의 배향이 보정되어, 벨트가 가동 부재로부터 멀리 이동되어(즉, 도 7의 (b)에 나타낸 화살표 M1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힘이 억제된다. 이것은 벨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1)는 스프링(14)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도 7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벨트(9)가 화살표 M1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 부재(11)는 도 7의 (a)에 나타낸 위치 또는 도 7의 (a)와 (b)에 나타낸 위치 사이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다음으로,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여,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원리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벨트(9)측으로부터 본 가열 유닛(2)과 롤러(3)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벨트가 측방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b)는 벨트가 더 이상 측방향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벨트(9)의 모선 방향으로의 측방향 이동은 롤러(3)와 벨트(9)가 서로 정렬 어긋남에 의해 발생된다. 도 8의 (a)는 롤러(3)와 벨트(9)가 서로 정렬 어긋난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8의 (a)는 보정 기구(10R)측의 벨트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하류측을 향하여 기울고, 보정 기구(10L)측의 벨트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하여 기운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힘 F가 롤러(3)의 회전에 의해 벨트(9)에 인가된다. 힘 F는 벨트(9)의 모선 방향의 힘 F1과 모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 F2로 분해될 수 있다. 벨트(9)는 힘 F1에 의해 보정 기구(10R)를 향하여 측방향 이동된다. 벨트(9)가 보정 기구(10R)의 가동 부재(11)에 접촉하여 누르면, 가동 부재(11)는 보유 부재(12)로 안내되어,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가동 부재(11)의 이동은 상술한 원리에 기초하여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9)의 배향을 보정한다. 롤러(3)와 벨트(9)의 정렬 어긋남이 더 이상 없으므로, 힘 F와 벨트(9)의 모선 방향 사이의 각도가 변한다. 그 결과, 힘 F1이 감소되어,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응력도 감소된다.
힘 F1의 크기는 가동 부재(11)의 이동량에 따라 변한다. 도 9는, 가동 부재(11)의 히터 길이 방향의 이동량에 따른, 벨트(9)에 의한 가동 부재(11)를 누르는 힘과 스프링(14)에 의한 가동 부재(11)를 누르는 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9)가 가동 부재(11)를 가압하기 시작하면, 벨트의 단부중 하나가 가동 부재의 내면 대향부(11c)에 의해 눌러져서 서서히 정렬된다. 즉, 가동 부재의 이동량이 증가할수록 가동 부재의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한 이동량이 증가하므로, 벨트의 배향(기울기)의 보정량은 증가하고, 힘 F1은 감소된다. 가동 부재의 이동량이 증가하면, 스프링(14)에 의한 가동 부재(11)를 누르는 힘은 서서히 증가한다. 벨트(9)가 가동 부재(11)를 누르기 시작할 때의 힘이 작으면, 즉 힘 F1이 작으면, 가동 부재(11)는 최대 이동량(D2 - D3)에 도달하기 전에 힘 F1과 스프링(14)의 힘이 균형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상태 1). 벨트(9)가 가동 부재(11)를 누르기 시작할 때의 힘이 크다면, 즉 힘 F1이 크다면, 힘 F1과 스프링(14)의 힘이 균형 상태에 있기 전에 최대 이동량(D2 - D3)에 도달하고, 가동 부재(11)는 최대 이동량이 도달된 위치에서 정지한다(상태 2). 가동 부재(11)가 최대 이동량(D2 - D3)만큼 이동한 상태에서도, 내면 대향부(11c)와 벨트 내면 사이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벨트 내면과 내면 대향부(11c) 사이에 간극이 제공된다. 즉, 가동 부재(11)가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로 거리 D4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내면 대향부(11c)와 벨트 내면 사이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벨트 내면과 내면 대향부(11c) 사이에 간극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벨트(9) 단부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정 기구가 벨트의 양쪽 대향 단부에 제공되지만, 상술한 보정 기구는 벨트가 측방향 이동되어 일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벨트가 측방향 이동되는 측에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의 길이가 2개의 가동 부재 사이의 폭보다 짧은 것으로 상정된다. 그러나, 벨트의 길이가 2개의 가동 부재 사이의 폭과 대략 동일할 수 있으며, 즉 벨트의 2개의 단부가 2개의 가동 부재와 항상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내면 대향부와 단부면 대향부가 가동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내면 대향부와 단부면 대향부는 별개의 부품일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에 대해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두고 설명한다. 도 10의 (a)는 가동 부재(21)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가동 부재(21)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22)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2개의 보정 기구 중 하나이고, 도 4의 (b)의 화살표 Ⅵ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보정 기구(20R)를 나타낸다. 도 12의 (a) 및 (b)는 보정 기구(20R)에 의한 벨트(9)의 배향을 보정하는 메커니즘을 각각 나타낸다.
보정 기구(20R)는 가동 부재(21), 가동 부재(21)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22), 가동 부재(21)를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24) 및 링크 부재(25)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21)는 단부면 대향부(21a), 볼록부(21b) 및 내면 대향부(21c)를 포함한다. 단부면 대향부(21a)는, 벨트(9)가 측방향 이동될 때 벨트의 단부면과 충돌한다. 내면 대향부(21c)는 그 모선 방향으로 벨트의 단부의 내면에 대향한다. 또한, 가동 부재(21)는 볼록부(21d) 및 인장 스프링(24)의 지지부(21e)를 포함한다. 볼록부(21d)는 (후술하는) 링크 부재(25)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한다.
가동 부재(21)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22)는 면(22a) 및 오목부(22b)를 갖는다. 면(22a)은 가동 부재(21)의 단부면 대향부(21a)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오목부(22b)는 가동 부재(21)의 볼록부(21b)를 안내한다. 또한, 보유 부재(22)는 볼록부(22d), 인장 스프링(24)의 지지부(22e) 및 홈부(22f)를 갖는다. 볼록부(22d)는 링크 부재(25)의 회전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홈부(22f)는 장치 프레임(13)의 U자 형상의 오목부에 보유 부재(22)를 끼우기 위해 제공된다. 링크 부재(25)는 볼록부(21d)와 볼록부(22d)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보정 기구(20R)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21a)와 접촉하지 않을 때, 벨트(9)의 단부면과 가동 부재(21)의 단부면 대향부(21a) 사이의 거리는 D1이다. 보유 부재(22)의 면(22a)으로부터 가동 부재(21)의 단부면 대향부(21a)까지의 거리는 D2이다.
도 12의 (b)는 벨트(9)의 화살표 M1 방향으로의 측방향 이동의 결과로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21a)에 접촉하고,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벨트(9)가 가동 부재(21)를 화살표 M1 방향으로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다. 벨트(9)가 가동 부재(21)를 누르면, 볼록부(21b)가 오목부(22b)에 의해 안내되면서 화살표 M3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중에, 링크 부재(25)는 볼록부(22d) 주위에서 회전한다. 링크 부재(25)의 작용에 의해, 가동 부재(21)는 도 12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그 배향을 변화시키지 않고 화살표 M3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그리고, 볼록부(21b)가 오목부(22b)의 단부까지 이동했을 때, 가동 부재(21)는 이동을 정지한다. 이 때,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유 부재(22)의 면(22a)으로부터 가동 부재(21)의 단부면 대향부(21a)까지의 거리는 D3(< D2)이다. 도 12의 (a)에 나타낸 상태에 비하여, 가동 부재(21)는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거리 D4로 이동한다.
가동 부재(21)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하면, 내면 대향부(21c)가 벨트(9)의 내면을 누르고, 그 결과 보정 기구(20R)측의 벨트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반대로, 히터 길이 방향으로 보정 기구(20R)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보정 기구(20L)(도시하지 않음)는 벨트(9)의 단부면에 의해 눌리지 않으므로, 보정 기구(20L)의 가동 부재는 이동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가 이동하면,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원리에 기초하여 벨트(9)의 롤러(3)에 대한 정렬이 변하고, 벨트의 배향이 보정된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벨트가 이동하여(즉, 도 12의 (b)에 나타낸 화살표 M1의 방향과는 역방향),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힘이 억제된다. 이것은 벨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에 대해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도 13은 정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가동 부재(31)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b)는 가동 부재(31)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32)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의 (a)는 (후술하는) 링크 부재(36)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b)는 2개의 보정 기구 중 하나이고, 도 4의 (b)에 나타낸 화살표 Ⅵ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본 보정 기구(30R)를 나타낸다. 도 16의 (a) 및 (b)는 보정 기구(30R 및 30L)에 의한 벨트(9)의 배향을 보정하는 메커니즘을 각각 나타낸다.
보정 기구(30R 및 30L)는 각각 가동 부재(31) 및 가동 부재(31)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32)를 포함한다. 2개의 가동 부재(31)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36)는 보정 기구(30R 및 30L)에 제공된다.
각각의 가동 부재(31)는, 단부면 대향부(31a), 볼록부(31b) 및 내면 대향부(31c)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면 대향부(31a)는, 벨트(9)가 측방향 이동될 때 벨트의 단부면에 충돌한다. 각각의 내면 대향부(31c)는 그 모선 방향으로 벨트의 내면에 대향한다. 또한, 각각의 가동 부재(31)는 (후술하는) 링크 부재(36)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구멍부(31d)를 갖는다.
대응하는 가동 부재(31)를 보유하는 각각의 보유 부재(32)는 면(32a) 및 오목부(32b)를 갖는다. 각각의 면(32a)은 대응하는 가동 부재(31)의 단부면 대향부(31a)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각각의 오목부(32b)는 대응하는 가동 부재(31)의 볼록부(31b)를 안내한다. 각각의 보유 부재(32)는 장치 프레임(13)의 U자 형상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보유 부재(32)를 끼우기 위한 홈부(32f)를 추가로 갖는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보정 기구(30R)의 가동 부재와 보정 기구(30L)의 가동 부재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36)를 포함한다. 링크 부재(36)는 보정 기구(30R)의 가동 부재의 구멍부(31d)에 삽입되는 샤프트(36R)와, 보정 기구(30L)의 가동 부재의 구멍부(31d)에 삽입되는 샤프트(36L)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보정 기구(30R) 및 보정 기구(30L)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31a)에 접촉하지 않을 때, 벨트(9)의 각각의 단부면과 가동 부재(31)의 단부면 대향부(31a) 사이의 거리는 D1이다. 각각의 보유 부재(32)의 면(32a)으로부터 대응하는 가동 부재(31)의 단부면 대향부(31a)까지의 거리는 D2이다.
도 16의 (b)는 벨트(9)의 화살표 M1 방향으로의 측방향 이동의 결과로 벨트(9)의 단부면이 보정 기구(30R)의 가동 부재의 단부면 대향부(31a)에 접촉하고, 벨트(9)가 가동 부재(31)를 화살표 M1 방향으로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다. 벨트(9)가 가동 부재(31)를 누르면, 볼록부(31b)가 오목부(32b)에 의해 안내되면서 보정 기구(30R)의 가동 부재가 화살표 M4 방향으로 이동한다. 보정 기구(30L)의 가동 부재와 보정 기구(30R)의 가동 부재는 링크 부재(36)에 의해 연결된다. 2개의 가동 부재는 서로의 이동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보정 기구(30R)의 가동 부재가 화살표 M4 방향으로 이동하면, 보정 기구(30L)의 가동 부재는 화살표 M5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보정 기구(30R)의 가동 부재가 기록재 반소 방향의 상류로 이동하면, 보정 기구(30L)의 가동 부재는 기록재 반송 방향의 하류로 이동한다.
도 16의 (b)에서, 거리 D3은, 볼록부(31b)가 오목부(32b)의 단부로 이동했을 때, 면(32a)으로부터 단부면 대향부(31a)까지의 거리이다. 이 때, 2개의 가동 부재의 기록재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는 모두 D4이다. 벨트(9)가 보정 기구(30L)를 향하여 측방향 이동되면, 2개의 가동 부재의 기록재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은 도 16의 (b)에 나타낸 방향과 반대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가동 부재 중 하나만 이동되는 구성에 비해, 벨트의 측방향 이동의 보정 방향에서의 벨트(9)의 기울기가 증가하여, 벨트의 측방향 이동을 보정하는 성능이 높아진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에 대해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정 기구는, 벨트(9)의 측방향 이동을 검출하는 센서(46)를 포함하며, 센서(46)의 출력에 따른 모터(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가동 부재를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로 이동시킨다.
도 17의 (a)는 보정 기구(40L)의 사시도이다. 도 17의 (b)는 보정 기구(40L) 위에서 본 보정 기구(40L)를 나타낸다. 반대측에 배치된 보정 기구(40R)도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8의 (a) 및 (b)는 보정 기구의 동작을 나타낸다.
가동 부재(41)의 상부에는 포토 센서(46)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46)는 벨트 모선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41)의 이동을 검출한다. 벨트(9)가 가동 부재(41)에 접촉하지 않고 가동 부재가 이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가동 부재(41)는 도 18의 (a)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센서(46)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센서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다. 그러나, 가동 부재(41)가 벨트(9)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벨트 모선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 부재(41)는 도 18의 (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고, 광원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센서(46)에 의해 검출된다. 이 출력에 따라, 모터(도시되지 않음)는 가동 부재(41)의 랙(41h)에 설치된 기어(41hG)와 결합되는 기어(40RG)를 회전시켜, 가동 부재(41)를 화살표 M6의 방향, 즉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원리에 기초하여 롤러(3)에 대한 벨트(9)의 얼라인먼트가 변경되고, 벨트의 자세가 보정된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벨트가 이동되어, 벨트(9)의 단부면에 가해지는 힘이 억제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벨트의 단부면이 가동 부재의 단부면 대향부에 접촉되기 전에 화살표 M6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이어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정착 디바이스에 대해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의 상위점에 초점을 맞춰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동 부재는, 벨트의 자세를 보정하기 위하여 벨트를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누르는 부분이 벨트의 외면에 대향한다는 점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보정 기구(50R)의 사시도이다. 보정 기구(50R)는 가동 부재(51) 및 보유 부재(52)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51)는 벨트의 단부의 외면에 대향하는 외면 대향부(51j)를 포함한다. 벨트가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동 부재를 누르면, 가동 부재의 외면 대향부(51j)는 상기 누름에 의해 야기되는 힘을 이용하여 벨트의 단부를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원리에 기초하여 롤러(3)에 대한 벨트(9)의 얼라인먼트가 변경되고, 벨트의 자세가 보정된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벨트가 이동되어, 벨트(9)의 단부면에 가해지는 힘이 억제된다.
제6 실시예
이어서, 제6 실시예에 따른 벨트(9)의 경사를 보정하는 보정 기구(110R 및 110L)에 대해서, 도 20의 (a) 내지 도 24의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정 기구(110R)의 형상 및 보정 기구(110L)의 형상은 기록재 P의 반송 기준 X를 기준으로 대략 축방향 대칭이다. 따라서, 주로 보정 기구(110R)를 설명하고 보정 기구(110L)를 일부 설명함으로써, 보정 기구(110R 및 110L)를 설명한다.
도 20의 (a)는 보정 기구(110L)의 사시도이다. 도 20의 (b)는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보정 기구(110R)의 단면도이다. 도 21의 (a)는 (후술되는) 가동 부재(111)의 사시도이다. 도 21의 (b)는 가동 부재(111)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부재(112)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는 도 20의 (b)의 화살표 XXII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보정 기구(110R)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의 (a) 및 (b)와 도 24의 (a) 내지 (d)는 각각 보정 기구에 의한 벨트의 자세를 보정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정 기구(110R)는, 가동 부재(111)와, 가동 부재(111)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부재(112)와, 가동 부재(111)를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가압 부재)(14)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112)는 정착 디바이스의 프레임(13)의 U자 형상 오목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에 의해, 히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부재(112)의 위치 및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부재(112)의 위치가 대략 정해지게 된다. 보유 부재(112)는 스프링(7)에 의해 롤러(3)를 향하여 가압되므로, 보유 부재(112)는 대략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가동 부재(111)는 보유 부재(1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품이다. 가동 부재(111)는 스테이(8)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된 절결부에 접촉되어 있다. 가동 부재(111)의 상부와 보유 부재(112) 사이에는 약간의 갭이 설치되어 있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11)는 벨트(9)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단부면 대향부(111a)를 갖는다. 벨트(9)가 그 모선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이동되면, 벨트(9)의 단부면은 단부면 대향부(111a)과 부딪친다. 가동 부재(111)는 벨트(9)의 단부의 내면에 대향하는 내면 대향부(111c)를 갖는다. 벨트(9)의 내면과 내면 대향부(111c)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내면 대향부(111c)는 벨트의 회전 시 벨트(9)의 내면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11)는 히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볼록부(111b)를 갖는다.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112)는 히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오목부(가이드)(112b)를 갖는다. 가동 부재(111)와 보유 부재(112)를 조합하면, 보유 부재(112)의 오목부(112b) 내에 가동 부재(111)의 볼록부(111b)가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동 부재(111)는 보유 부재(112)의 오목부(112b)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참조번호 (14)는 가동 부재(111)를 보유 부재(112)의 시트면(112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을 나타낸다.
이어서, 도 22 내지 도 24의 (d)를 참조하여 보정 기구(1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의 (a)는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111a)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보정 기구의 상태를 도시한다. 롤러(3)의 회전에 의해 벨트(9)가 종동 회전되고 있을 때, 벨트(9)는, 벨트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히터(5)의 상류에 배치된 영역에서, 가동 부재(111)의 내면 대향부(111c)와 접촉한다. 이에 반해, 벨트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히터(5)의 하류에 배치된 영역에서는, 벨트(9)는 가동 부재(111)의 내면 대향부(111c)로부터 이격된다.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111a)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 스프링(14)에 의해 가압되는 가동 부재(111)는 보유 부재(112)에서 시트면(112a)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가동 부재(111)의 볼록부(111b)가 보유 부재(112)의 제1 스토퍼(112d)에 부딪치고, 스프링(14)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가동 부재(111)는 가동 부재(111)의 이동이 규제되어 위치설정된다.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111a)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 벨트(9)의 단부면과 가동 부재(111)의 단부면 대향부(111a) 사이의 거리는 D1이다. 보유 부재(112)의 시트면(112a)으로부터 가동 부재(111)의 단부면 대향부(111a)까지의 거리는 D2이다.
도 23의 (b)는, 화살표 M1의 방향으로의 벨트(9)의 측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111a)에 접촉하고,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벨트(9)가 가동 부재(111)를 화살표 M1의 방향으로 누르는 상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롤러(3)와 벨트(9)가 서로 얼라인먼트되지 않는 등의 결과로서, 벨트(9)가 가동 부재(111)를 향해 측방향으로 이동되면, 벨트(9)의 단부면이 가동 부재(111)에 접촉된다. 벨트(9)가 측방향으로 더 이동되면, 벨트(9)가 가동 부재를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 M1의 방향으로 눌러서, 가동 부재(111)는 벨트의 측방향 이동의 힘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가동 부재(111)의 볼록부(111b)가 보유 부재(112)의 오목부(12b)를 따라 이동하므로, 가동 부재(111)는 화살표 M2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록부(111b)가 오목부(112b)의 제2 스토퍼(112g)에 부딪쳤을 때, 가동 부재(111)는 이동을 정지한다. 이때,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112)의 시트면(112a)으로부터 가동 부재(111)의 단부면 대향부(111a)까지의 거리는 D3(<D2)이다. 도 23의 (a)의 상태에 비하여, 가동 부재(111)는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거리 D4만큼 이동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벨트(9)가 회전하고 있을 때, 벨트(9)의 내면은 가동 부재(111)의 내면 대향부(111c)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11)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되고, 내면 대향부(111c)가 벨트(9)의 내면을 눌러서, 보정 기구(110R) 측에서의 벨트의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반해, 히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보정 기구(110R)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보정 기구(110L)는 벨트(9)의 단부면에 의해 눌리지 않고 있으므로, 보정 기구(110L)의 가동 부재는 이동하지 않는다.
벨트(9)의 측방향 이동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경우, 즉 보정 기구(110L)에 벨트가 부딪친 경우에는, 보정 기구(110L) 내의 가동 부재만이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보정 기구(110L) 측의 벨트의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벨트(9)가 히터의 길이 방향(즉, 벨트의 모선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이동되고, 보정 기구(110R 및 110L) 중 한쪽에 부딪치면, 측방향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서의 벨트(9)의 단부만이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힘을 받는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롤러(3)에 대한 벨트(9)의 얼라인먼트가 변경되고, 벨트의 자세가 보정되며, 가동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즉, 도 23의 (b)에 도시된 화살표 M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벨트가 이동하여, 벨트(9)의 단부면에 가해지는 힘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벨트의 파손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111)는 스프링(14)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3의 (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벨트(9)가 화살표 M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 부재(111)는 도 23의 (a)에 도시된 위치 또는 도 23의 (a) 및 (b)에 도시된 위치들 사이의 위치로 되밀려진다.
이어서, 도 24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벨트(9)의 단부면에 걸리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원리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 24의 (a) 내지 (c)는 각각 벨트(9)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가열 유닛(2)과 롤러(3)를 도시한다. 도 24의 (a)는 벨트가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4의 (b)는 벨트가 더 이상 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4의 (c)는 벨트(9)의 경사가 보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모선 방향으로의 벨트(9)의 측방향 이동은 롤러(3)와 벨트(9)가 서로 얼라인먼트되지 않음에 의한 것이다. 도 24의 (a)는 롤러(3)와 벨트(9)가 서로 얼라인먼트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24의 (a)는 보정 기구(110L) 측에서의 벨트의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하류측을 향해 경사지고 보정 기구(110R) 측에서의 벨트의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의 회전에 의해 벨트(9)에 힘 F가 가해진다. 힘 F는 벨트(9)의 모선 방향으로의 힘 F1과, 모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힘 F2로 분해될 수 있다. 벨트(9)는 힘 F1에 의해 보정 기구(110L)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벨트(9)가 보정 기구(110L)의 가동 부재(111)에 접촉하여 누르면(도 24의 (b)), 가동 부재(111)는 보유 부재(112)에 안내되어,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한다. 가동 부재(111)의 이동은 상술한 원리에 기초하여 도 2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9)의 자세를 보정한다. 롤러(3)와 벨트(9)의 얼라인먼트 어긋남이 해소되므로, 힘 F와 벨트(9)의 모선 방향 사이의 각도가 변경된다. 그 결과, 힘 F1이 저감되어(F1이 F1'로), 벨트(9)의 단부면에 걸리는 응력도 저감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벨트(9)의 단부면에 걸리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벨트(9)의 단부면의 마모를 억제시킬 수 있다.
가압 롤러(3)의 롤러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의 위치와 시트 S의 폭 방향의 중심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는 경우, 가압 롤러(3)의 회전의 결과로서 벨트(9)에 가해지는 반송력은 벨트(9)의 양단부에서 불균일해져 버린다. 예를 들어, 도 2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S가 보정 기구(110R) 측을 향해 어긋나 있는 경우, 보정 기구(110R) 측에서보다 보정 기구(110L) 측에서 가압 롤러(3)가 벨트(9)와 직접 접촉하는 영역이 더 길다. 가압 롤러(3)와 벨트(9) 사이의 마찰력이 종이와 벨트(9) 사이의 마찰력보다 더 크다. 따라서, 가압 롤러(3)에 의해 발생되는 벨트(9)의 회전력은, 보정 기구(110R)에서의 회전력 Fr보다 보정 기구(110L)에서의 회전력 Ff가 더 크다. 그 결과, 보정 기구(110R) 측에서의 벨트의 단부의 회전이 지연된다. 따라서, 보정 기구(110R) 측에서의 벨트의 단부가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힘 T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보정 기구(110R) 측에서의 벨트의 단부는 가동 부재(111)를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가압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된 가동 부재(111)는 오목부(112b)와 볼록부(111b) 사이의 접촉점 P를 중심으로 화살표 W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고 경사지기 시작한다. 가동 부재(111)가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는 힘 Tlimit를 힘 T가 초과하면, 가동 부재(111)가 경사져서, 그 결과 가동 부재(111)의 해칭부 Y가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된다. 도 24의 (a)에서와 같이, 가압 롤러의 회전축(일점 쇄선)에 대한 벨트(9)의 얼라인먼트가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가동 부재(111)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동 부재(내면 대향부)의 경사를 규제하는 경사 규제 기구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부재(111)의 단부면 대향부(111a)에 제1 결합부(111h)가, 보유 부재(112)에 제2 결합부(112h)가 설치된다. 즉, 경사 규제 기구는, 단부면 대향부에 설치된 제1 결합부와, 보유 부재에 설치되어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111)가 경사지기 시작하면, 제1 결합부(111h)와 제2 결합부(112h)는 서로 접촉한다. 그 결과, 가동 부재(111)가 더 경사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1 결합부(111h)와 제2 결합부(112h)가 서로 접촉한 결과로서 가동 부재의 경사가 규제된 상태에서는, 화살표 W의 방향의 가동 부재의 회전 중심인 점 P에 있어서, 가동 부재의 볼록부(111b)와 보유 부재의 오목부(가이드)(112b)는 서로 접촉한다. 그러나, 화살표 W의 방향에 있어서, 다른 부분(즉, 도 25에서의 점 Q 근방의 부분)에서는, 볼록부와 오목부는 서로 이격된다. 실험에 따른면, 경사 규제 기구는, 가동 부재의 부분 Y가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눌러질 때 가동 부재가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는 힘 TLimit를 1.8배만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제6 실시예에서는, 2개의 결합부의 접촉면들이 시트 반송 방향과 평행하도록 한 형상으로 되었지만, 접촉면들은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111)를 경사시키지 않고 벨트(9)의 얼라인먼트를 계속하여 보유 지지하고, 벨트의 단부면에 걸리는 응력을 저감시키면서 벨트의 측방향 이동을 계속하여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규 위치로부터 폭 방향으로 어긋난 시트 S를 반송한 결과로서, 가압 롤러(3)로부터 벨트(9)에 전달되는 회전력 F가 길이 방향에서 불균일해지고, 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은 측에서의 벨트의 단부면을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 T가 발생되었을 때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는 도 26에 도시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6에서는, 보정 기구(210R)의 보유 부재(212)에 리브 형상부(제2 걸림부; 212h)를 설치하고, 가동 부재(211)에 돌기부(제1 걸림부; 211h)를 설치하고, 돌기부(211h)는 리브 형상부(212h)에 의해 보유된다. 이러한 형상에서도, 벨트가 측방향 이동되지 않는 측에서의 가동 부재가 벨트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시트 반송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하여 변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서, 참조 번호 211b, 212b, 212d는, 도 22에 도시한 돌기부(111b), 오목부(112b), 정지부(112d)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품들을 나타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 27 내지 도 2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6과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에서는 보유 부재가 가동 부재의 기울기를 규제하였지만, 제7 실시예에서는, 보유 부재 이외의 부품들이 가동 부재의 기울기를 규제한다.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 가동 부재(311)에 돌기부(제1 걸림부; 311h)가 설치되어 있고, 가압 스테이(308)에, 돌기부(311h)가 체결하고 있는 홈부(제2 걸림부; 308h)가 설치되어 있다. 도 27에서, 벨트(9)가 보정 기구(310R)와는 반대측의 보정 기구(310L)를 향하여 측방향 이동되는 경우, 보정 기구(310R) 내의 가동 부재(311)는 가압 부재(14)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 스테이(308)와 충돌하고, 이에 따라, 돌기부(311h)와 홈부(308h)가 서로 체결한다.
실시예 6에서와 같이, 벨트(9)와 가압 롤러(3)가 정렬 어긋나게 하는 힘 T가 작용하면, 보정 기구(310R) 내의 가동 부재(311)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하여 가압된다. 가압된 가동 부재(311)는, 슬라이드 리브 형상부(311b)와 가이드부(312b) 간의 접점 P를 중심으로 W 방향으로 경사지려 한다. 그때, 가동 부재(311)의 돌기부(311h)와 가압 스테이(308)의 홈부(308h)는 서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가동 부재(311)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8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트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서 가압 스테이(408)의 측면에 돌기부(제2 걸림부; 408h)가 설치되고, 그 돌기부(408h)가 가동 부재(411)의 당접부(제1 걸림부; 411h)와 접하여, 가동 부재(411)의 경사를 방지한다.
도 29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트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서 (세라믹 히터(505)를 보유하는) 히터 홀더(506)의 측면에 돌기부(제2 걸림부; 506h)가 설치되고, 그 돌기부(506h)가 가동 부재(511)의 당접부(제1 걸림부; 511h)와 접하여, 가동 부재(511)의 경사를 방지한다. 도 27 내지 도 29에서, 참조 번호 311b, 312b, 411b, 412b, 511b, 512b는, 도 22에 도시한 볼록부(111b) 및 오목부(112b)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품들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예
이어서, 제8 실시예의 벨트(9)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보정 기구(610R 및 610L)를 도 30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정 기구(610R)의 형상과 보정 기구(610L)의 형상은 기록재 P의 반송 기준 X를 기준으로 하여 대략 선 대칭인 형상이다. 따라서, 주로 보정 기구(610R)을 설명하고 보정 기구(610L)를 부분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보정 기구(610R, 610L)를 설명한다.
도 30의 (a)는 보정 기구(610L)의 사시도이다. 도 30의 (b)는 보정 기구(610L)를 기록재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1의 (a)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611)의 사시도이다. 도 31의 (b) 내지 (d)는, 가동 부재(611)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612)의 사시도, 정면도, 및 XXXID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2는 보정 기구(610L)를 도 30의 (b)의 XXXII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33의 (a) 내지 도 34의 (b) 각각은 보정 기구에 의한 벨트의 배향을 보정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보정 기구(610L)는, 가동 부재(규제 부재; 611), 가동 부재(611)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612), 및 가동 부재(611)를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가압 부재; 614(614a, 614b))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유 부재(612)는, 정착 장치의 프레임(13)의 U 형상 오목부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히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부재(612)의 위치 및 기록재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부재(612)의 위치가 대략 결정된다. 보유 부재(612)는 스프링(7)에 의해 롤러(3)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므로, 보유 부재(612)는 대략 고정된 상태에 있다.
가동 부재(611)는 보유 부재(6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품이다. 가동 부재(611)는 스테이(8)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된 절결부에 접하고 있다. 가동 부재(611)의 상부와 보유 부재(612)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611)는 벨트(9)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단부면 대향부(611a)를 갖는다. 벨트(9)가 그 모선 방향에 있어서 측방향 이동되면, 벨트(9)의 단부면은 단부면 대향부(611a)와 충돌한다. 가동 부재(611)는 벨트(9)의 단부 내면에 대향하는 내면 대향부(611c)를 갖는다. 벨트(9의 내면과 내면 대향부(611c)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내면 대향부(611c)는 벨트 회전 시 벨트(9)의 내면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611)는 히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611b)를 갖는다. 도 31의 (b)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부재(612)는 히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이드부; 612b)를 갖는다. 가동 부재(611)와 보유 부재(612)가 결합되면, 보유 부재(612)의 오목부(612b)에 가동 부재(611)의 볼록부(611b)가 끼워진다. 이 구조에 의해, 가동 부재(611)는 보유 부재(612)의 오목부(612b)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유된다.
참조 번호 614a와 614b는, 가동 부재(611)를 보유 부재(612)의 시트면(61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즉, 벨트의 단부면을 향하여 가동 부재(611)를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가압 부재)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는 복수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이 가압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가동 부재(611)가 벨트(9)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614a, 614b)은, 가동 부재(611)의 벨트 단부면이 접하는 영역 CA(도 32 참조)의 외측의 영역에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은, 적어도 코일 스프링의 중심에서의 위치(614X)가 영역 CA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유 부재(612)에는,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보유 시트(612a)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32 내지 도 34의 (b)를 참조하여 보정 기구(6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2와 도 33의 (a) 각각은,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611a)에 접하고 있지 않을 때의 보정 기구의 상태를 도시한다. 롤러(3)의 회전에 의해 벨트(9)가 종동 회전하고 있을 때, 벨트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히터(5)보다 상류측의 영역에서, 벨트(9)가 가동 부재(611)의 내면 대향부(611c)와 접하고 있다. 한편, 벨트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히터(5)보다 하류측의 영역에서, 벨트(9)는 가동 부재(611)의 내면 대향부(611c)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611a)에 접하고 있지 않을 때, 스프링(614a, 614b)에 의해 가압되는 가동 부재(611)는 보유 부재(612) 내의 스프링 보유 시트(612a)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한다. 이때, 가동 부재(611)는 보유 부재(61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정지부와 충돌하고, 이에 따라, 가동 부재(611)가 스프링(614a, 614b)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가동 부재(611)의 이동이 규제되고, 그 결과 이동 부재(611)가 위치하게 된다.
도 3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611a)에 접하고 있지 않을 때, 벨트(9)의 단부면과 가동 부재(611)의 단부면 대향부(611a) 간의 거리는 D1이다. 보유 부재(612)의 보유 시트(612a)로부터 가동 부재(611)의 단부면 대향부(611a)까지의 거리는 D2이다.
도 33의 (b)는, 벨트(9)의 화살표 M1의 방향으로의 측방향 이동의 결과로 벨트(9)의 단부면이 단부면 대향부(611a)에 접하고, 스프링(614a, 614b)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벨트(9)가 가동 부재(611)를 화살표 M1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롤러(3)과 벨트(9)가 서로 정렬 어긋남으로 인해, 예를 들어, 벨트(9)가 가동 부재(611)를 향하여 이동되면, 벨트(9)의 단부면이 가동 부재(611)에 접한다. 벨트(9)가 측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벨트(9)는 가동 부재를 스프링(614a, 614b)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화살표 M1의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벨트의 측방향 이동의 힘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611)가 이동하게 된다.
가동 부재(611)의 볼록부(611b)는 보유 부재(612)의 오목부(612b)를 따라 이동하므로, 가동 부재(611)는 화살표 M2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록부(611b)가 오목부(612b)의 단부에 충돌하면, 가동 부재(611)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도 3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부재(612)의 보유 시트(612a)부터 가동 부재(611)의 단부면 대향부(611a)까지의 거리는 D3(<D2)이다. 도 33의 (a)의 상태에 비해, 가동 부재(611)는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하여 거리 D4만큼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9)가 회전하고 있을 때, 벨트(9)의 내면은 가동 부재(611)의 내면 대향부(611c)와 접하고 있다. 따라서, 도 3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611)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하여 이동하면, 내면 대향부(611c)가 벨트(9)의 내면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보정 기구(610L) 측의 벨트의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한편, 히터의 길이 방향으로 보정 기구(610L)의 반대측에 있는 보정 기구(610R)는, 벨트(9)의 단부면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므로, 보정 기구(610R)의 가동 부재는 이동하지 않는다.
벨트(9)의 측방향 이동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경우, 즉, 보정 기구(610R)에 벨트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보정 기구(610R) 내의 가동 부재만이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보정 기구(610R)측의 벨트의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벨트(9)가 히터의 길이 방향(즉, 벨트의 모선 방향)으로 측방향 이동되고 대응하는 보정 기구들(610R, 610L) 하나와 충돌하면, 측방향 이동 방향의 하류측의 벨트(9)의 단부만이 기록재 반송 방향의 상류를 향하여 힘을 받는다. 이 원리에 의해, 벨트(9)의 롤러(3)에 대한 정렬이 변경되고, 벨트의 배향이 보정되고, 벨트가 가동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즉, 도 33의 (b)에 도시한 화살표 M1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힘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벨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611)는 스프링(614a, 614b)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도 33의 (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벨트(9)가 화살표 M1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 부재(611)는 도 33의 (a)에 도시한 위치, 또는 도 33의 (a)와 (b)에 도시한 위치들 사이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가압된다.
이어서, 도 34의 (a)와 (b)를 사용하여,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원리를 더 설명한다. 도 34의 (a)와 (b) 각각은 가열 유닛(2)과 롤러(3)를 벨트(9)측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34의 (a)는 벨트가 측방향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4의 (b)는 벨트(9)의 배향이 보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모선 방향으로의 벨트(9)의 측방향 이동은, 롤러(3)와 벨트(9)의 정렬 어긋남에 의해 야기된다. 도 34의 (a)는 롤러(3)와 벨트(9)가 서로 정렬 어긋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34의 (a)는, 보정 기구(610R)측의 벨트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하류측을 향하여 경사지고 보정 기구(610L)측의 벨트 단부가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3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힘 F가 롤러(3)의 회전에 의해 벨트(9)에 인가된다. 힘 F는, 벨트(9)의 모선 방향의 힘 F1과 모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 F2으로 분해될 수 있다. 벨트(9)는 힘 F1에 의해 보정 기구(610R)를 향하여 측방향 이동된다. 벨트(9)가 보정 기구(610R)의 가동 부재(611)에 접하여 가동 부재를 가압하면, 가동 부재(611)는 보유 부재(612)로 가이드되어, 기록재 반송 방향 S의 상류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가동 부재(611)의 이동은, 전술한 원리에 기초하여 도 3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9)의 배향을 보정한다. 롤러(3)와 벨트(9)는 더 이상 정렬 어긋나지 않으므로, 힘 F와 벨트(9)의 모선 방향 간의 각도가 변경된다. 그 결과, 힘 F1이 감소되어,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응력도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9)의 단부면에 인가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벨트(9)의 단부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롤러(3)와 벨트(9) 간의 정렬 어긋남으로 인해 벨트(9)가 측방향 이동되면, 측방향 이동된 측의 벨트 단부가 시트 반송 방향의 하류를 향하여 경사진다. 그 후, 벨트(9)가 가동 부재(611)의 단부면 대향부(611a)에 충돌하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9)는 단부면 대향부(611a) 중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영역과 충돌한다. 벨트(9)가 단부면 대향부(611a)와 충돌하면, 가동 부재(611)는, 볼록부(611b)의 점 P를 지지점으로 하여 점 Q에서 오목부(612b)와 충돌하도록 (도 35에 도시한 화살표 RO의 방향으로) 볼록부(611b)를 회전시키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가동 부재의 볼록부(611b)와 보유 부재의 오목부(612b)가 재밍되고, 그 결과, 가동 부재의 원활한 이동을 방지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부재(611)가 벨트(9)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614a, 614b)은, 그 전체가, 가동 부재(611)의 벨트 단부면과 접하는 영역 CA(도 32 참조)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 RO 방향의 모멘트에 대하여, 스프링(614a)의 힘 CF가, 반력으로 되고, 점 P와 점 Q의 각각에 인가되는 힘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611)가 보유 부재(612)의 오목부(612b)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의 중심 위치(614X)가 영역 CA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면 된다.
벨트(9)가 측방향 이동되는 동안, 스프링(614a)의 힘은, 화살표 RO 방향의 모멘트의 반력으로서 작용한다. 이는, 스프링(614a)이 단부면 대향부의 벨트 접촉 영역 CA의 외측(즉,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스프링(614a)의 압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력의 크기는, 벨트(9)의 측방향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부면 대향부(611a)를 가압하는 힘의 크기와 동일하다. 스프링(614a)까지의 거리 L2는, 지지점 P로부터 단부면 대향부(611a)이 벨트(9)와 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L1보다 길다. 따라서, 힘 CF는 화살표 RO 방향의 모멘트를 상쇄하는 데 유효하게 작용한다.
벨트(9)가 도 35에 도시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면, 스프링(614b)은 스프링(614a)과 마찬가지로 작용하고, 화살표 RO 방향과의 역방향으로 모멘트에 대한 반력으로서 작용하고, 이에 따라 가동 부재(611)가 원활하게 가이드 및 이동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정 기구를 벨트의 대향하는 양단에 설치하고 있지만, 벨트가 측방향 이동되는 측에만 전술한 보정 기구를 설치할 수 있고, 이때, 벨트가 측방향 이동되는 방향은 하나의 방향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의 길이가 두 개의 가동 부재 간의 스팬보다 짧다고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벨트의 길이는 두 개의 가동 부재 간의 스팬과 거의 동일할 수 있고, 즉, 벨트의 양단이 두 개의 가동 부재와 항상 접촉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다음에 따르는 청구범위는 이러한 수정과 균등한 구조 및 기능 모두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른 것이어야 한다.

Claims (5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기록재에 형성된 화상을 기록재에 정착시키는 정착 디바이스로서,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통 형상의 가요성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모선 방향의 상기 회전체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하나의 가동 부재로서, 상기 모선 방향으로 상기 회전체의 단부에서 상기 회전체의 내면과 대향하는 내면 대향부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단부면과 대향하는 단부면 대향부를 포함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모선 방향으로 측방향 이동하여 상기 회전체가 상기 단부면 대향부를 누르면, 상기 회전체가 상기 단부면 대향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가 기록재의 반송 방향 상류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내면 대향부는 상기 기록재의 반송 방향 상류를 향하여 상기 회전체의 내면을 누르는, 정착 디바이스.
  24. 삭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보유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유 부재에는, 상기 반송 방향 상류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정착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행 이동하는, 정착 디바이스.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모선 방향으로 상기 회전체의 통 내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스테이와,
    상기 스테이 및 상기 보유 부재가 탑재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탑재된 상기 스테이 및 상기 보유 부재를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힘에 의해 기록재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정착 닙부가 형성되어 있는, 정착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가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가동 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2개의 단부면과 대향하는 위치들에 제공되는, 정착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동 부재 중 한쪽의 가동 부재가 상기 반송 방향 상류로 이동하면, 상기 2개의 가동 부재 중 한쪽의 이동에 연동하여 다른 쪽의 가동 부재가 기록재의 반송 방향 하류로 이동하도록, 상기 2개의 가동 부재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의 사이에 제공된 제2 가압 부재로서, 상기 회전체의 측방향 이동에 대하여 상기 회전체를 되돌리도록 상기 가동 부재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울기 규제 기구를 더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규제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제공된 제1 걸림부와, 상기 보유 부재에 제공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 결합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단부면 대향부에 제공되는, 정착 디바이스.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규제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제공된 제1 걸림부와, 상기 스테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 결합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체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를 보유하는 히터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규제 기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제공된 제1 걸림부와, 상기 히터 홀더에 제공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 결합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단부면이 접촉하는 상기 가동 부재의 영역보다 외측의 영역을 가압하는, 정착 디바이스.
  37. 제3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며,
    적어도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 위치가, 상기 회전체의 단부면이 접촉하는 상기 가동 부재의 영역보다 외측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정착 디바이스.
  3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장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인, 정착 디바이스.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체의 통 내에 접촉하는 백업 유닛과,
    상기 회전체를 통하여 상기 백업 유닛과 함께 기록재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롤러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정착 디바이스.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정착 디바이스.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회전체의 내면에 접촉하는, 정착 디바이스.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1020140096252A 2013-07-30 2014-07-29 정착 디바이스 KR101787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7582 2013-07-30
JP2013157582A JP5882956B2 (ja) 2013-07-30 2013-07-30 像加熱装置
JPJP-P-2013-205134 2013-09-30
JP2013205134A JP6188520B2 (ja) 2013-09-30 2013-09-30 像加熱装置
JP2013246805A JP6184307B2 (ja) 2013-11-28 2013-11-28 像加熱装置
JPJP-P-2013-246805 2013-11-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281A Division KR101845204B1 (ko) 2013-07-30 2017-10-12 정착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876A KR20150014876A (ko) 2015-02-09
KR101787812B1 true KR101787812B1 (ko) 2017-10-18

Family

ID=5126322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252A KR101787812B1 (ko) 2013-07-30 2014-07-29 정착 디바이스
KR1020170132281A KR101845204B1 (ko) 2013-07-30 2017-10-12 정착 디바이스
KR1020180034832A KR101907350B1 (ko) 2013-07-30 2018-03-27 정착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281A KR101845204B1 (ko) 2013-07-30 2017-10-12 정착 디바이스
KR1020180034832A KR101907350B1 (ko) 2013-07-30 2018-03-27 정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7) US9513583B2 (ko)
EP (2) EP2853956B1 (ko)
KR (3) KR101787812B1 (ko)
CN (3) CN106842868B (ko)
RU (1) RU258925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3956B1 (en) * 2013-07-30 2020-07-01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JP6452486B2 (ja) * 2015-02-20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001746B2 (en) 2015-05-07 2018-06-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JP6472404B2 (ja) * 2015-05-07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6657814B2 (ja) * 2015-11-09 2020-03-04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66900A (ja) 2016-10-20 2018-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7020841B2 (ja) * 2017-09-28 2022-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92875B2 (ja) * 2018-12-27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CN109590971B (zh) * 2018-12-29 2023-10-20 昆山拓誉自动化科技有限公司 画线装置及画线方法
WO2021050044A1 (en) * 2019-09-09 2021-03-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ipheral device with gear train protection
KR20210117721A (ko) * 2020-03-20 2021-09-2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가열 벨트에 의하여 틸팅 가능한 부시
JP2021189305A (ja) 2020-05-29 2021-12-13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ベルト損傷を低減する定着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1123A (ja) 2009-03-30 2010-10-14 Canon Inc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加熱装置
JP2011248285A (ja) 2010-05-31 2011-12-08 Canon Inc 定着装置と画像形成装置
US20130121736A1 (en) 2011-11-10 2013-05-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650049A1 (ru) 1976-08-01 1979-02-28 Рижское Высшее Военное Авиационное Инженерное Училище Им. Я.Алксниса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изображени
US5027160A (en) * 1988-12-08 1991-06-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ixing apparatus with movable film and means for controlling film position
JPH04371983A (ja) * 1991-06-20 1992-12-24 Canon Inc エンドレスフィルムの寄り防止機構
US5305066A (en) * 1991-08-06 1994-04-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device employing endless belt
US5404214A (en) * 1992-07-31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grounded film
US5722025A (en) 1995-10-24 1998-02-24 Minolta Co., Ltd. Fixing device
JP4298542B2 (ja) 2004-02-20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4804024B2 (ja) * 2005-04-14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71917A (ja) 2006-03-31 2007-10-1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60315B2 (ja) * 2007-01-17 2012-10-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17963B2 (ja) * 2007-05-25 2012-04-18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JP2009139635A (ja) 2007-12-06 2009-06-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531622B1 (ko) * 2008-06-18 2015-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그 정착장치 및 벨트어셈블리
JP2010151906A (ja) 2008-12-24 2010-07-08 Ricoh Co Ltd ベルト駆動機構、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35365B2 (ja) * 2010-02-26 2012-09-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2011191572A (ja) 2010-03-15 2011-09-29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25408B2 (ja) * 2011-03-18 2015-05-27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寄り防止装置、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48608B2 (ja) * 2011-08-12 2015-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5783869B2 (ja) * 2011-09-28 201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EP2853956B1 (en) * 2013-07-30 2020-07-01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1123A (ja) 2009-03-30 2010-10-14 Canon Inc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加熱装置
JP2011248285A (ja) 2010-05-31 2011-12-08 Canon Inc 定着装置と画像形成装置
US20130121736A1 (en) 2011-11-10 2013-05-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3956A1 (en) 2015-04-01
CN104345618B (zh) 2017-04-12
US9983523B2 (en) 2018-05-29
RU2589253C2 (ru) 2016-07-10
US20210011405A1 (en) 2021-01-14
CN106842868A (zh) 2017-06-13
CN106842867B (zh) 2020-08-07
CN106842868B (zh) 2020-08-07
EP3734370A3 (en) 2020-12-16
US10386761B2 (en) 2019-08-20
US11320770B2 (en) 2022-05-03
US20180239281A1 (en) 2018-08-23
CN104345618A (zh) 2015-02-11
EP2853956B1 (en) 2020-07-01
US10824102B2 (en) 2020-11-03
KR20150014876A (ko) 2015-02-09
CN106842867A (zh) 2017-06-13
KR101845204B1 (ko) 2018-05-18
US20190332044A1 (en) 2019-10-31
EP3734370A2 (en) 2020-11-04
US11846902B2 (en) 2023-12-19
US20150037078A1 (en) 2015-02-05
US20220244666A1 (en) 2022-08-04
RU2014131376A (ru) 2016-02-20
US20170038715A1 (en) 2017-02-09
US20240085832A1 (en) 2024-03-14
EP3734370B1 (en) 2022-09-07
KR20180035204A (ko) 2018-04-05
KR101907350B1 (ko) 2018-10-11
KR20170118649A (ko) 2017-10-25
US9513583B2 (en)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350B1 (ko) 정착 디바이스
JP5882956B2 (ja) 像加熱装置
JP6188520B2 (ja) 像加熱装置
JP2005351939A (ja) 画像加熱装置
JP6184307B2 (ja) 像加熱装置
JP6143900B2 (ja) 像加熱装置
US10175622B2 (en) Fuser with pressure pad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JP6625073B2 (ja) 像加熱装置
US10852670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220544B2 (ja) ベルト片寄補正装置及び定着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20030440A (ja) 像加熱装置
JP2024056184A (ja)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