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778B1 -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 - Google Patents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778B1
KR101786778B1 KR1020127024196A KR20127024196A KR101786778B1 KR 101786778 B1 KR101786778 B1 KR 101786778B1 KR 1020127024196 A KR1020127024196 A KR 1020127024196A KR 20127024196 A KR20127024196 A KR 20127024196A KR 101786778 B1 KR101786778 B1 KR 101786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urethane
acrylate
acrylate res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363A (ko
Inventor
다카시 마츠모토
도시오 미타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5Unsaturated monofunctional alcohols or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사계를 통한 상온에서의 표면 건조성, 도막의 활성(滑性), 내핀홀성(핀홀의 발생이 없는 도막의 형성)이 뛰어난 도막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에 있다. 본 발명은, (A)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B)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C) 파라핀 왁스와 (D)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를 함유하고, 상기 (C)/상기 (D)의 질량비가 0.0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URETHANE(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AND COATING MATERIAL USING SAME}
본 발명은, 표면 건조성, 도막의 활성(滑性), 내(耐)핀홀성이 뛰어난 도막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건물의 방수 가공재로서도 알려져 있고, 신율이나 가요성(可撓性)에 더해서 강도, 내구성이 개량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라디칼 경화계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도막 방수층으로서 막 두께 1㎜ 이상의 것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파라핀 왁스를 첨가함으로써, 표면 건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행해져 있었다. 그러나, 계절에 따라 온도차가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계절마다에 파라핀 왁스 등의 배합 사양을 변경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그래서, 상온에서의 표면 건조성, 핀홀의 발생이 없는 피복재용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 특개2010-10612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사계를 통한 상온에서의 표면 건조성, 도막의 활성, 내핀홀성(핀홀의 발생이 없는 도막의 형성)이 뛰어난 도막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파라핀 왁스, 경화 촉진제를 함유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표면 건조성, 내핀홀성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한 올레핀 올리고머를 파라핀 왁스에 대하여 특정량 사용하면, 표면 건조성, 내핀홀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B)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C) 파라핀 왁스와 (D)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를 함유하고, 상기 (C)/상기 (D)의 질량비가 0.0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올레핀 올리고머를 파라핀 왁스에 대하여 특정량 사용함으로써, 표면 건조성, 도막의 활성, 내핀홀성이 뛰어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A)란, 폴리에테르폴리올(A-1)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를 반응하여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A-3)를 반응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폴리에테르폴리올 성분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아크릴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의 다른 폴리올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이하 PPG로 약기함), 폴리옥시에틸렌디올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이며, 수평균 분자량 650∼3000으로, 바람직하게는 650∼2000의 것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2000인 것이다. 상기 (A-1)의 수평균 분자량이, 3000보다 크면 인장 접착성 시험에 뒤떨어지고, 650보다 작으면 -10℃ 180도 절곡성(折曲性)이 뒤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의 수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고, 용리액으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사용하고, 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한 값이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로서는, 예를 들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및 그 이성체 또는 이성체의 혼합물(이하 TDI로 약기함),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hydrogenated)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린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버녹D-750, 크리스본NX(DIC(주) 제품), 데스모듈L(스미토모바이엘사 제품), 코로네이트L(니혼폴리우레탄사 제품)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TDI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A-3)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다.
상기의 (A-3)에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1,2―부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알릴에테르, 글리세린디알릴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알릴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류의 알릴에테르 화합물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A)는, 공지의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 1염기산의 부가 반응물로부터 유도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또한, 산 양말단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유도되는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공기 건조성 불포화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병용해도 된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B)는, (메타)아크릴계 화합물이며, 소위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단량체이다. 이들은, 예를 들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n-옥틸, 아크릴산데실,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스테아릴, 폴리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모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모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t-부틸, 메타크릴산헥실,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n-옥틸, 메타크릴산데실,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스테아릴, 폴리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모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놀에틸렌옥사이드(EO) 변성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닐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EO 변성 아크릴레이트, 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페놀프로필렌옥사이드(PO) 변성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PO 변성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페놀EO 변성 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닐카르비톨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EO 변성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페놀PO 변성 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PO 변성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분자량이 180 이상으로 휘발하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소 결합을 가져서 휘발하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도막 중에 미량으로 미반응으로 남아도, TVOC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 아세트산비닐, 비닐톨루엔, α-메틸톨루엔 등의 불포화기를 갖는 반응성 단량체도,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B)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를 병용해도 된다. 이 단량체를 병용하는 것에 의해, 경화물 표면의 내마모성, 내찰상성, 내선동성(耐煽動性), 내약품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병용하여 사용된다. 또한, 디비닐벤젠,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디알릴테트라브롬프탈레이트, 트리알릴프탈레이트 등도,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A)와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B)와 혼합 비율(질량%)은, 바람직하게는 (A)/(B)=30/70∼70/3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50∼70/30(질량%)이다. 당해 (A)가 70보다 많은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시공성이 뒤떨어지고, 30보다 적은 경우에는, 경화물의 물성이 뒤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파라핀 왁스(C)는, 도막의 건조를 보조하는 성분으로서 첨가하지만, 예를 들면, 석유 왁스, 합성 왁스 즉 폴리에틸렌 왁스, 산화파라핀, 알코올형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씨 115℉∼155℉의 융점을 갖는 파라핀 왁스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융점은, JIS K 2235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융점이다. 그 첨가량은, 상기 (A), (B)의 합계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500ppm∼10000ppm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건조성 및 점도의 점으로부터, 첨가량은 2000ppm∼8000ppm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D)는, 바람직하게는 수평균 분자량 500∼2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1500이 되도록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시킨 것이다.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2-메틸-1펜텐을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의 대표적 성상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비중 0.80∼0.90, 바람직하게는 동점도 20∼600cSt(JIS K 2283에 의한 100℃의 동점도),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값 1.0 이하이며, 동점도가 낮은 것이 혼합성 양호하지만 표면 건조성, 내핀홀성의 효과가 낮고, 동점도가 높은 것은 혼합성이 나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표면 건조성, 도막의 활성, 내핀홀성의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에, 첨가 대상에 대하여, 적의(適宜) 혼합성, 분리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D)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츠이가가쿠(주)제의 루칸트HC-40, HC-100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C)의 첨가량은, 상기 (A), (B)의 합계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대하여, 0.01∼5질량부가,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부이다. 0.01질량부 미만이면 표면 건조성 개선 효과가 작고, 5질량부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조성물의 표면에 다량으로 들떠버려서 도막의 활성이 뒤떨어지고, 탑코트와의 접착성을 악화시킨다. 또,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D)의 수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고, 용리액으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사용하고, 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한 값이다.
본 발명은, 경화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경화 촉진제, 라디칼 경화제, 광라디칼 개시제, 중합 금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란, 예를 들면, 나프텐산코발트, 옥틸산코발트, 옥틸산아연, 옥틸산바나듐, 나프텐산구리, 나프텐산바륨 등 금속 비누류, 바나듐아세틸아세테이트, 코발트아세틸아세테이트, 철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금속 킬레이트류, 아닐린,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p-톨루이딘, N,N-디메틸-p-톨루이딘, N,N-비스(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4-(N,N-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4-[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4-(N-메틸-N-히드록시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N,N-비스(2-히드록시프로필)-p-톨루이딘, N-에틸-m-톨루이딘, 트리에탄올아민, m-톨루이딘, 디에틸렌트리아민, 피리딘, 페닐모르폴린, 피페리딘, N,N-비스(히드록시에틸)아닐린, 디에탄올아닐린 등의 N,N-치환 아닐린, N,N-치환-p-톨루이딘, 4-(N,N-치환 아미노)벤즈알데히드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아민류, 금속 비누류 특히 코발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경화 촉진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이 경화 촉진제는, 미리 수지 조성물에 첨가해 두어도 되며, 사용 시에 첨가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코발트계 화합물로, 예를 들면, 나프텐산코발트, 옥틸산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경화 촉진제의 첨가량으로서는, 상기 (A)+(B)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질량부에서, 바람직하게는 0.1∼3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질량부이다.
상기 라디칼 경화제로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공지의 것으로, 예를 들면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디아실퍼옥사이드계, 퍼옥시에스테르계, 하이드로퍼옥사이드계, 디알킬퍼옥사이드계, 케톤퍼옥사이드계, 퍼옥시케탈계, 알킬퍼에스테르계, 퍼카보네이트계 등 공지 공용의 것을 들 수 있다. 라디칼 경화제의 사용량은, 조성물의 (A)와 (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1∼6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라디칼 개시제, 즉 광증감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알킬에테르와 같은 벤조인에테르계, 벤조페논, 벤질, 메틸오르토벤조일벤조에이트 등의 벤조페논계, 벤질디메틸케탈,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4-이소프로필-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계,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 금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하이드로벤젠, 톨루하이드로퀴논, 14-나프토퀴논, 파라벤조퀴논, 하이드로퀴논, 벤조퀴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p-tert-부틸카테콜,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10∼100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화제와 경화 촉진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레독스계 촉매 혹은 아민계 촉매를 사용하여 -30℃∼50℃의 온도 범위에서 2시간 이내에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상기 이외에, 각종의 첨가제, 예를 들면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차열 안료, 증점제, 저수축제, 노화 방지제, 가소제, 골재, 난연제, 안정제, 섬유 보강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경성(水硬性) 규산염 재료, 탄산칼슘분, 클레이, 알루미나분, 규석분, 탈크, 황산바륨, 실리카 파우더, 유리분, 유리 비즈, 마이카, 수산화알루미늄, 셀룰로오스, 규사, 석영사, 천사(川砂), 한수석, 대리석 부스러기, 쇄석, 착색한 자기, 도기 소지를 소성 경화하여 분쇄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요변성(搖變性)을 부여하기 위한 충전재로서는, 아스베스트나 세피올라이트, 에어로질과 같은 실리카 분말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충전제로서는 상기 외에, 착색 안료, 차열 안료나 염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카본 블랙, 크롬 버밀리언, 벵갈라, 군청, 코발트 블루,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등이 사용된다.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이들의 충전제 1∼500질량부를 배합하여 도포 시공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지에 대한 접착성의 안정화나 충전제와의 접착 강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복재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그대로, 혹은 상기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도포량은, 콘크리트 기체에 용액으로 500∼2000g/㎠, 바람직하게는 800∼1200g/㎠이다. 도포하는 수단으로서는, 브러쉬, 롤, 스프레이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 기체(基體)는, 콘크리트 외, 아스팔트, 금속 부분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피복재로서 콘크리트 기체에 직접, 혹은 프라이머를 통해 상기 도포 수단으로 시공되고, 그 위에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비닐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B)에 용해한 수지 조성물 경화물층이나 포장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장층은, 아스팔트 포장 재료, 즉 아스팔트에 선택된 골재를 섞은 아스팔트 조성물을 가열 온도 150∼260℃, 바람직하게는 150∼180℃로 혼합하고, 이것을 층 상에 부설하고, 동력 롤러로 전압(轉壓)하여 성형되는 것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아스팔트는, 예를 들면 레이크 아스팔트, 록 아스팔트, 아스팔타이트 등의 천연 아스팔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blown) 아스팔트 등의 석유 아스팔트, 세미블로운 아스팔트, 경질 아스팔트, 이들에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고무 등을 넣어서 개질된 아스팔트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수지계 프라이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글 중에 「부」, 「%」라는 것은, 질량부, 질량%를 나타내는 것이다.
합성예1<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a)>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공기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1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수평균 분자량 1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하 PTMG로 약기함) 500g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이하 TDI로 약기함) 174g을 투입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NCO 당량이 600으로 거의 이론 당량값이 되었으므로, 50℃까지 냉각했다. 공기 기류하, 하이드로퀴논 0.07g을 가하고,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HEMA로 약기함) 100g과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알릴에테르 56g을 가하고, 90도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NCO%가 0.1% 이하가 된 시점에서, tert-부틸카테콜(TBC로 약기함) 0.07g 첨가하여, 수평균 분자량 1666의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a)를 얻었다.
합성예2<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b)>
상기 합성예1과 같이 하여, 수평균 분자량 1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로 약기), TDI, HEMA를 사용하여, 합성예1과 같은 배합비로 수평균 분자량 1608의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b)를 합성했다.
[수지 조성물의 배합]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a) 또는 (b) 70부에, 메타크릴산(MMA로 약기함) 30부 배합하고, 파라핀 왁스 0.2부를 용해했다. 본 배합물에 8% 옥틸산코발트 0.5부, 경화 촉진제(N,N-비스-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1.0부 배합한 라디칼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나이퍼NS(니혼유시제품, 벤조일퍼옥사이드 40%) 2부를 첨가했을 때에, JIS K6901 5. 10에 준한 겔타임이 15∼20분이 되도록, 중합 금지제를 첨가했다.
중합 금지제량이 정해진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표 1에 준하여 배합, 하기의 평가를 했다.
◆ 표면 건조성 시험 방법
겔타임을 15∼20분으로 설정한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8% 옥틸산코발트, 경화 촉진제(N,N-비스-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40% 벤조일퍼옥사이드를 혼합하고, 디스퍼로 1000rpm×60초 조건으로 교반했다. 교반 후의 재료를, 슬레이트 판 상에, 1.0㎏/㎡, 2.0㎏/㎡ 브러쉬로 펴바른다. 택프리(tack-free)가 되는 시간을 측정했다.
◆ 도막의 활성 시험 방법
도막 건조 확인 1시간 후에, 도막면을 손가락에서 문지르고, 블리드물의 유무를 확인했다. 블리드물이 있는 경우는, 도막 표면 경화(건조)하여 있어, 지문은 묻지 않지만, 블리드물이 있는 것, 즉 미끈함이 느껴진다.
◆ 내핀홀성 시험 방법
겔타임을 15∼20분으로 설정한 수지 조성물에, 8% 옥틸산코발트, 경화 촉진제(N,N-비스-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40% 벤조일퍼옥사이드를 혼합하고, 디스퍼로 1000rpm×60초 조건으로 교반했다. 교반 후의 재료를, 슬레이트 판 상에, 1.0㎏/㎡, 2.0㎏/㎡ 브러쉬로 펴바른다. 경화, 건조 후에 도막 외관을 관찰한다.
실시예1∼10
상기 합성예의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a) 및 (b)를 표 1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고, 이들을 슬레이트 판에 1.0㎏/㎡, 2.0㎏/㎡ 브러쉬로 도포하고, 두께 1㎜과 2㎜의 경화 도막층을 형성했다. 도막의 표면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는 것에 의한, 표면 건조성 시험, 도막의 활성 시험, 내핀홀성 시험을 행했다.
비교예1∼5
합성예에 나타내는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a), (b)를 표 2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고, 이들을 슬레이트 판에 1.0㎏/㎡, 2.0㎏/㎡ 브러쉬로 도포하여 경화 도막층을 형성했다. 하기의 표면 건조성 시험, 도막의 활성 시험, 내핀홀성 시험을 행했다.
[표 1]
Figure 112012074920818-pct00001
MMA : 메타크릴산메틸
HC-40 : 미츠이가가쿠제품 「루칸트」,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 수평균 분자량; 1000
HC-100 : 미츠이가가쿠제품 「루칸트」,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 수평균 분자량; 1500
8% 옥틸산코발트 : 8% 코발트 함유 옥틸산코발트 용제 용액
경화 촉진제 : N,N-비스-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40% BPO : 벤조일퍼옥사이드 40%액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PTMG, PPG,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a),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b), HC-40 및 HC-100의 수평균 분자량은,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 장치) 토소가부시키가이샤제 일체형 GPC 장치
장치 : HLC-8220GPC
검출기 : RI(시사 굴절계)
칼럼 : TSK-gel G5000HxL(7.8×300㎜)×1
G4000HxL(7.8×300㎜)×1
G4000HxL(7.8×300㎜)×1
G4000HxL(7.8×300㎜)×1
이동상 :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 1.0mL/min
설정 온도 : 40℃
주입량 : 100μL(시료 농도 : 0.4%)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평균 분자량
폴리스티렌 : 토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 표준 폴리스티렌
<표면 건조성 시험의 평가>
○ : 30분 이내에 택프리
△ : 30분을 초과 45분 미만에서 택프리
× : 45분 이상에서 택프리
<도막의 활성(미끄럼) 시험의 평가>
○ : 블리드물 없음
- : 2시간 이상 건조하지 않아 시험할 수 없음
× : 블리드물 있음
<내핀홀성 시험의 평가>
○ : 핀홀 없음
△ : 관통하지 않은 핀홀 있음
× : 핀홀 있음
[표 2]
Figure 112012074920818-pct00002
비교예1 및 5는,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1㎜ 두께의 도막으로는 표면 건조성이 나쁘고, 내핀홀성도 나빴다. 비교예2 및 3은, C/D가 범위 외이기 때문에 표면 건조성, 도막의 활성, 내핀홀성의 어느 하나가 나쁘고, 비교예4는, 파라핀 왁스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건조성·도막의 활성이 나쁜 것이었다.
본 발명은, 표면 건조성, 도막의 활성, 및 내핀홀성이 뛰어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A)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와 (B)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또한 (C) 파라핀 왁스와 (D)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를 함유하고, 상기 (C)/상기 (D)의 질량비가 0.05∼50이며, 상기 (C) 파라핀 왁스의 첨가량이, 상기 (A),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500ppm∼10000ppm이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D)가, (A)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와 (B)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질량부이며,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A)와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B)와의 혼합 비율(질량%)은, (A)/(B)=30/70∼70/30이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코올리고머(D)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2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A)가, 폴리에테르폴리올(A-1)의 말단 수산기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를 반응하고,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 화합물(A-3)을 반응한 것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기재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재.
KR1020127024196A 2010-06-18 2011-04-26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 KR101786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9265 2010-06-18
JP2010139265 2010-06-18
PCT/JP2011/060109 WO2011158566A1 (ja) 2010-06-18 2011-04-26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被覆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63A KR20130087363A (ko) 2013-08-06
KR101786778B1 true KR101786778B1 (ko) 2017-10-18

Family

ID=4534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196A KR101786778B1 (ko) 2010-06-18 2011-04-26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92514B2 (ko)
EP (1) EP2583987A4 (ko)
JP (1) JP4973965B2 (ko)
KR (1) KR101786778B1 (ko)
CN (1) CN102906137B (ko)
WO (1) WO2011158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9171B1 (ja) * 2012-03-07 2013-11-13 Dic株式会社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被覆材
FR3006493A1 (fr) * 2013-06-04 2014-12-05 Nexans Cable electrique a moyenne ou haute tension
JP2015048459A (ja) * 2013-09-04 2015-03-16 Dic株式会社 ラジカル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土木建築材料
CN104449181A (zh) * 2014-12-22 2015-03-25 常熟市金蝙蝠工艺家具有限公司 一种红木家具用新型石蜡
EP3395869B1 (en) * 2015-12-21 2020-09-23 DIC Corporation Prepreg and molded article
JP6346980B1 (ja) * 2017-07-06 2018-06-20 アイカ工業株式会社 光硬化型防湿絶縁コート剤組成物
WO2019036887A1 (en) * 2017-08-22 2019-02-28 Arkema France ALLYLATED URETHANE OLIGOMER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COATINGS, AND ADHESIVES
CN109232794B (zh) * 2018-09-05 2020-07-17 辽宁恒星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防针孔钻绒丙烯酸酯涂层乳液、涂层胶及其制备方法
JP6630416B2 (ja) * 2018-09-13 2020-01-15 三井化学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CN110698584B (zh) * 2019-10-28 2021-08-27 辽宁恒星精细化工有限公司 涤纶织物热转移印花前处理剂及其制备方法
CN112778462A (zh) * 2019-11-07 2021-05-11 株式会社菱晃 固化性组合物、成型物及层叠体
CN114867698B (zh) * 2020-01-14 2023-12-01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树脂组合物、光纤以及光纤的制造方法
KR102168491B1 (ko) * 2020-03-06 2020-10-21 강윤석 상온 경화형 2액형 차선도료의 내마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가교증진 첨가제 합성 제조법과 이를 사용한 차선 도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4601A (ja) 2005-09-20 2007-04-05 Dainippon Ink & Chem Inc 被覆用樹脂組成物
JP2009016000A (ja) 2007-07-06 2009-01-22 Fujifilm Corp 界面結合剤、該界面結合剤を含有するレジスト組成物、及び該界面結合剤からなる層を有する磁気記録媒体形成用積層体、並びに該界面結合剤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磁気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4297B2 (ja) 1998-01-21 2007-10-17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土木建築材料
JP2002234921A (ja) 2001-02-13 2002-08-23 Mitsubishi Rayon Co Ltd 低臭性アクリル系シラップ組成物
JP2004323860A (ja) * 2004-07-02 2004-11-18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土木建築材料及び被覆材
JP2008106169A (ja) * 2006-10-26 2008-05-08 Dainippon Ink & Chem Inc 硬化性樹脂組成物
KR100917393B1 (ko) * 2008-07-10 2009-09-17 신성특수화학(주) 색상발현이 가능한 유브이 경화 도료 조성물
JP2010106122A (ja) 2008-10-29 2010-05-13 Dyflex Corp ウレタンアクリレート樹脂組成物、塗工剤、ウレタンアクリレ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4601A (ja) 2005-09-20 2007-04-05 Dainippon Ink & Chem Inc 被覆用樹脂組成物
JP2009016000A (ja) 2007-07-06 2009-01-22 Fujifilm Corp 界面結合剤、該界面結合剤を含有するレジスト組成物、及び該界面結合剤からなる層を有する磁気記録媒体形成用積層体、並びに該界面結合剤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磁気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63A (ko) 2013-08-06
CN102906137B (zh) 2014-12-03
JPWO2011158566A1 (ja) 2013-08-19
JP4973965B2 (ja) 2012-07-11
US8592514B2 (en) 2013-11-26
WO2011158566A1 (ja) 2011-12-22
EP2583987A1 (en) 2013-04-24
EP2583987A4 (en) 2014-04-09
US20130144000A1 (en) 2013-06-06
CN102906137A (zh)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778B1 (ko)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
JP4766357B2 (ja) プライマー組成物、それを用いた床版防水構造体、及び床版防水施工方法
KR101052223B1 (ko) 자동차용 듀얼 경화 이액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JP5003854B2 (ja) ラジカル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被覆材、土木建築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US20180002562A1 (en) Low-temperature-curable cross-section repair material, and cross-section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9019307A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WO2011048970A1 (ja) ラジカル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舗装材、及び舗装構造体
JP2004018621A (ja) ラジカル硬化性ウレタン樹脂組成物
CA3119820A1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WO2013132714A1 (ja)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被覆材
JP2004202739A (ja) 樹脂被覆構造体
JPWO2011013532A1 (ja) ラジカル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舗装材、及び舗装構造体
JP6725875B2 (ja) 床版防水構造体
JP6801222B2 (ja) コンクリート用プライマー
WO2015186433A1 (ja) ラジカル重合性組成物、コンクリート補修材及び道路用プライマー
JP2009078380A (ja) 水圧転写体及び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JP2004066777A (ja) 防水構造体
JP7453814B2 (ja) 積層体、滑り止め舗装構造体及び滑り止め舗装構造体の製造方法
JP6853017B2 (ja) 無機建材用エネルギー線硬化型シーラー組成物、被膜付き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02534A (ja) プライマー組成物、土木建築構造体及び土木建築構造体の施工方法
JPH1112340A (ja)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系オリゴマー含有組成物、それを含むワニス、光硬化性塗料組成物、該オリゴマー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前記塗料組成物から形成された塗膜並びに新規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
JPH08231922A (ja) 空気硬化性樹脂組成物
JP2014051633A (ja) ラジカル硬化性樹脂組成物、被覆材及び床版防水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