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911B1 - 리프팅 지그 - Google Patents

리프팅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911B1
KR101784911B1 KR1020150117993A KR20150117993A KR101784911B1 KR 101784911 B1 KR101784911 B1 KR 101784911B1 KR 1020150117993 A KR1020150117993 A KR 1020150117993A KR 20150117993 A KR20150117993 A KR 20150117993A KR 101784911 B1 KR101784911 B1 KR 101784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oks
crane
presen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342A (ko
Inventor
김지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는 원형 형상의 프레임,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후크, 복수개의 후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팅 지그{LIFTING JIG}
본 발명은 리프팅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용 리프팅 지그에 관한 것이다.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핸들링 또는 설치 시 사용되는 크레인(Crane)은 견딜 수 있는 하중에 맞게 후크(Hook)의 수량과 후크 간의 거리가 결정된다. 그러나 실제 구조물은 크기나 형태가 동일한 경우가 거의 없고 후크 및 슬링 와이어(Sling Wire)와 연결되는 구조물의 리프팅 포인트(Lifting Point)는 구조물의 형태 또는 핸들링(Handling) 및 설치 공법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따라서, 후크의 수량 및 후크간의 거리는 구조물의 핸들링 및 설치에 있어 상당한 제약을 주게 된다. 특히, 무거운 중량의 구조물을 핸들링하는 플로팅 크레인(Floating Crane)의 경우는 구조물의 리프팅 포인트에 과도한 슬링 와이어 앵글(Sling Wire Angle)이 형성되기 때문에 패드 아이(Pad eye) 또는 트러니언(Trunnion)의 크기가 커지며, 구조물의 리프팅 포인트 간 거리가 먼 경우 슬링 와이어의 체결에 어려움이 있는 등, 여러 가지 제약 조건 등으로 인해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리프팅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후크, 상기 복수개의 후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 기어부, 상기 고정 기어부와 맞물리며 이동하는 이동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이동 기어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유압식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유압식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크레인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크레인 연결부는 크레인의 크레인 후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링 와이어 앵글을 최소화하여 구조물을 핸들링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리프팅 포인트에 설치되는 리프팅 연결 부재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양하고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에 쉽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구조물의 리프팅 포인트간 거리가 먼 경우에는 리프팅 포인트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구조물 또는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해 후크와 리프팅 포인트간의 연결이 어려운 경우에 별도의 보조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비용 및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적용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형 구조물을 핸들링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적용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삼각형 구조물을 핸들링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10)는 원형 형상의 프레임(100), 복수개의 후크(200), 그리고 위치 조절 부재(3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내측 프레임(110), 내측 프레임(110)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프레임(110)은 하부 내측 프레임(111), 하부 내측 프레임(111)의 상부에 중첩하여 위치하는 상부 내측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하부 내측 프레임(111)과 상부 내측 프레임(112)은 복수개의 내측 지지부(113)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프레임(110)이 하부 내측 프레임(111), 상부 내측 프레임(112) 및 내측 지지부(113)의 3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분리없이 일체형으로 내측 프레임(110)을 제조할 수도 있다.
외측 프레임(120)은 하부 외측 프레임(121), 하부 외측 프레임(121)의 상부에 중첩하여 위치하는 상부 외측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하부 외측 프레임(121)과 상부 외측 프레임(122)은 복수개의 외측 지지부(123)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프레임(120)이 하부 외측 프레임(121), 상부 외측 프레임(122) 및 외측 지지부(123)의 3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분리없이 일체형으로 외측 프레임(120)을 제조할 수도 있다.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크레인 연결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크레인 연결부(130)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적용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형 구조물을 핸들링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크레인 연결부(130)는 크레인(20)의 슬링 와이어(30)의 단부에 위치한 크레인 후크(4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연결부(130)의 내부에는 크레인 후크(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멍(130a)이 형성되어 있다. 크레인 후크(40)의 구멍과 크레인 연결부(130)의 구멍(130a)에 연결 핀(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여 크레인 후크(40)과 크레인 연결부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프레임(120)의 상부에 크레인 연결부(130)가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 프레임(110)의 상부에 크레인 연결부(130)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내측 프레임(110) 및 외측 프레임(120) 모두의 상부에 크레인 연결부(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후크(20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후크(200)는 핸들링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걸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8개의 후크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조절 부재(300)는 복수개의 후크(2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위치 조절 부재(300)는 기어 방식일 수 있다. 위치 조절 부재(300)는 고정 기어부(310)와 이동 기어부(320)를 포함한다. 고정 기어부(310)는 내측 프레임(110)의 측벽과 외측 프레임(120)의 측벽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고정 기어부(310)는 복수개의 기어 이(gear tooth)(310)를 포함한다.
이동 기어부(320)는 원형 형상의 중심 부재(321), 중심 부재(321)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어 이(gear tooth)(322)를 포함한다. 이동 기어부(310)의 기어 이(310)는 고정 기어부(320)의 기어 이(322)와 맞물리며 이동하게 된다.
후크(200)는 이동 기어부(32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기어부(320)가 원형 형상의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여 복수개의 후크(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는 원형 형상의 프레임을 따라 복수개의 후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핸들링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형상에 맞게 후크의 위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후크 간의 거리가 멀지 않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다.
이하에서,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적용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형 구조물을 핸들링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20)에 연결된 4개의 슬링 와이어(30)의 단부에는 크레인 후크(40)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크레인 후크(40)는 리프팅 지그(10)의 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된 4개의 크레인 연결부(130)의 구멍(130a)에 각각 삽입 및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슬링 와이어(30)가 리프팅 지그(10)의 프레임(100)에 거의 수직으로 연결되므로 슬링 와이어(30)와 수직선(VL)간의 경사각인 슬링 와이어 앵글(θ)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원형 구조물(50)의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으며 원형 구조물(50)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복수개의 후크(200)를 배치한다. 즉, 복수개의 후크(200)는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위치 조절 부재(30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후크(200)를 원형 형상의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시키며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8개의 후크(200)를 원형 구조물(50)의 8개의 리프팅 포인트(LP)에 설치되는 리프팅 연결 부재(51)에 연결하여 슬링 와이어 앵글(θ)을 최소화하며 원형 구조물(50)을 핸들링하게 된다. 리프팅 연결 부재(51)는 패드 아이(pad eye) 또는 트러니언(trunnion)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적용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삼각형 구조물을 핸들링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적용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삼각형 구조물을 핸들링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20)에 연결된 4개의 슬링 와이어(30)의 단부에는 크레인 후크(40)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크레인 후크(40)는 리프팅 지그(10)의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4개의 크레인 연결부(130)의 구멍(130a)에 각각 삽입 및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슬링 와이어(30)가 리프팅 지그(10)의 프레임(100)에 거의 수직으로 연결되므로 슬링 와이어(30)와 수직선(VL)간의 경사각인 슬링 와이어 앵글(θ)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삼각형 구조물(60)의 리프팅 포인트(LP)에 설치된 리프팅 연결 부재(51)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복수개의 후크(200)를 배치한다. 즉, 4개의 리프팅 포인트(LP)에 맞추어 4개의 후크(200)를 배치한다. 이를 위해, 위치 조절 부재(30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후크(200)를 원형 형상의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시키며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4개의 후크(200)를 삼각형 구조물(60)의 4개의 리프팅 포인트(LP)에 설치된 리프팅 연결 부재(51)에 연결하여 슬링 와이어 앵글(θ)을 최소화하며 삼각형 구조물(60)을 핸들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형 형상의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개의 후크의 위치를 위치 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리프팅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슬링 와이어 앵글을 최소화하여 구조물을 핸들링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리프팅 포인트에 설치되는 리프팅 연결 부재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형 구조물 또는 삼각형 구조물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의 구조물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구조물의 리프팅 포인트간 거리가 먼 경우에는 리프팅 포인트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구조물 또는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해 후크와 리프팅 포인트간의 연결이 어려운 경우에 별도의 보조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비용 및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기어 방식의 위치 조절 부재를 설치하였으나, 유압 방식의 위치 조절 부재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위치 조절 부재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위치 조절 부재(300)는 복수개의 후크(2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위치 조절 부재(300)는 유압 방식일 수 있다.
위치 조절 부재(300)는 가이드(310)와 유압식 이동부(320)를 포함한다. 가이드(310)는 내측 프레임(110)과 외측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한다. 가이드(310)는 내측 프레임(110)과 외측 프레임(120)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유압식 이동부(320)는 가이드(310) 위에 탑재되어 유압에 의해 가이드(310)를 따라 이동한다.
후크(200)는 유압식 이동부(32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식 이동부(320)가 원형 형상의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여 복수개의 후크(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는 원형 형상의 프레임을 따라 복수개의 후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핸들링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형상에 맞게 후크의 위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후크 간의 거리가 멀지 않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리프팅 지그 20: 크레인
30: 슬링 와이어 40: 크레인 후크
50: 원형 구조물 60: 삼각형 구조물
100: 프레임 200: 후크
300: 위치 조절 부재

Claims (6)

  1. 원형 고리 형상의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을 둘러싸는 원형 고리 형상의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후크, 및
    상기 복수개의 후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 기어부,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기어부와 맞물리며 회전하며 이동하는 이동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이동 기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리프팅 지그.
  2. 삭제
  3. 삭제
  4. 원형 고리 형상의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을 둘러싸는 원형 고리 형상의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후크, 및
    상기 복수개의 후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유압식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유압식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리프팅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크레인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크레인 연결부는 크레인의 크레인 후크와 연결되는 리프팅 지그.
  6. 삭제
KR1020150117993A 2015-08-21 2015-08-21 리프팅 지그 KR101784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93A KR101784911B1 (ko) 2015-08-21 2015-08-21 리프팅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93A KR101784911B1 (ko) 2015-08-21 2015-08-21 리프팅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342A KR20170023342A (ko) 2017-03-03
KR101784911B1 true KR101784911B1 (ko) 2017-10-13

Family

ID=5841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993A KR101784911B1 (ko) 2015-08-21 2015-08-21 리프팅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923B1 (ko) * 2019-03-20 2019-12-11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374A (ja) * 2008-10-22 2010-05-06 Hara Tekkosho:Kk 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374A (ja) * 2008-10-22 2010-05-06 Hara Tekkosho:Kk 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923B1 (ko) * 2019-03-20 2019-12-11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WO2020190056A1 (ko) * 2019-03-20 2020-09-24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342A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6243B1 (en) Heavy compressor valve lifting tool and associated methods
KR101625497B1 (ko) 배관 스풀 운반 장치
US20210269289A1 (en) Crane
KR101784911B1 (ko) 리프팅 지그
CN103879879B (zh) 一种吊装装置
KR20130031264A (ko) 천장매닮 스칼라형 로봇
KR20140004732U (ko) 선장 작업용 대차
JP6739240B2 (ja) 吊り上げ部材および吊り上げ装置
KR102290556B1 (ko)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CN210735577U (zh) 一种码垛四轴机器人
KR20170011643A (ko) 중량물 턴오버 방법
KR20200009615A (ko) 블록 로더
KR101335251B1 (ko) 파이프 설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설치선
JP2013006651A (ja) クレーンのジブ連結装置
KR20160077997A (ko) 농업용 작업차의 톱 링크기구
KR200478137Y1 (ko) 풍력타워 설치용 가이드
KR20120007485U (ko) 케이블 트레이 취부용 지그
JP7358298B2 (ja) ボイラ用バックステーの付設方法
CN111604683B (zh) 一种船用曲轴红套法兰件专用起升调整装置
KR20130000129U (ko) 곡외판 작업용 승강대
JP7380686B2 (ja) 伸縮ブーム及び作業機
JP6627848B2 (ja) カウンタウェイト着脱装置
KR200496266Y1 (ko) 리프팅 프레임
KR20130024455A (ko) 용접기 이송용 지그
KR20170030851A (ko) 지그 높이 제어 시스템 및 지그 높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