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90056A1 - 천정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90056A1
WO2020190056A1 PCT/KR2020/003789 KR2020003789W WO2020190056A1 WO 2020190056 A1 WO2020190056 A1 WO 2020190056A1 KR 2020003789 W KR2020003789 W KR 2020003789W WO 2020190056 A1 WO2020190056 A1 WO 202019005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ct
winding
wire
frame por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37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성록
Original Assignee
장성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록 filed Critical 장성록
Publication of WO202019005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900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air conditioner, and 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 ceiling air conditioner having a filter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for convenient replacement when a filter is replaced in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ceiling.
  • air conditioners are equipment devices used to properly heat or cool air inside a building, and include air conditioners and heaters.
  • the air conditioner is mainly used in a wall-mounted type, a stand type, and a ceiling type
  • the wall-mounted type has a small capacity and is often installed on a window, so it is used in a room or a small living room.
  • the stand type since the stand type has a large capacity, it is widely used in a large apartment living room and other homes with a wide space, and the ceiling type is widely used in buildings that occupy a large area such as offices and factories.
  •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 the ceiling, and a cold air outlet is discharged from the ceiling to the lower indoor space.
  • a filter portion is formed in an air conditioner such as the conventional ceiling air conditioner, but when the height of the ceiling o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s high,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agement is difficult, such as replacing the filter portion or using a ladder to clean.
  •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air conditioner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place or clean a filter part.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duct frame portion formed on the ceiling to allow air to flow, a duct body frame portion formed above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and a wire formed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and the wire A winding part formed to be wound on the other side, a driving support part formed to rotate the winding part, and a manual bearing support part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support part to support the winding part, and the winding part is driven by the driving support part. It provides a ceil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frame portion of the duct is raised and lowered while rotating.
  • the wind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uct body frame portion, and a wire passage hole may be formed in the duct body frame portion to pass the wire.
  • the winding part has a circular ring shape, and the driving support part and the manual bearing support part may be located inside the winding part.
  • an inner gear part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part, the driving support part and the manual bearing support part have an upper support flange for supporting an upper part of the inner gear part, a lower support flange for supporting a lower part of the inner gear part, and the upper part
  • a gear portion meshed with the inner gear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 flange and the lower support flange.
  • a plurality of wires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winding grooves in which the plurality of wires are individually wound may be forme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winding part.
  • 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uct body frame portion, and a moving member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in the lower frame portion of the duct.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duct frame portion formed on the ceiling to allow air to flow, a duct body frame portion formed above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and a wire formed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and the wire It includes a winding portion formed so that the other side is wound and a driving motor formed to be connected to a central axis of the winding portion, the driving motor is fixed to the duct body frame portion with a bracket, the winding portion has a circular ring shape, and the There is also provided a ceil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member is further formed to connect the central axis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duct frame portion formed on the ceiling to allow air to flow, a duct body frame portion formed above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a wire formed to be fixed at one side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and the wire It includes a winding portion formed to be w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winding portion, the winding portion is formed of a bearing portion formed on the duct body frame portion, a driv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earing portion, and a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ortion and the bearing portion, the A plurality of wires are formed, and a ceiling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herein the wires are wound on the drive unit and the bearing unit.
  • the lower frame part of the duct can be easily lowered by the winding part.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because the winding portion is form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duct body frame portion so that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duct body is not disturbed by the winding portion.
  • FIG. 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room in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2A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B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lower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winding part of FIG. 2(b).
  • FIG. 4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is moved downwar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on a lower duct frame portion and a duct body frame portion in FIG. 2(b).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nding par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duct body frame par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winding part is formed around a single motor shaft at an inner center of the duct body frame part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b) is It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 Figure 8 (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nding part is formed of three bearing parts and one driving part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duct body frame part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b) )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FIG. 8A.
  • FIG. 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n interior in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ceiling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2(a)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eiling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b) )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eil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lower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winding part in FIG. 2(b)
  • FIG.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is moved downward in the example.
  • the present inventors ceiling air conditioner 1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10 of a home or building, and is generally installed as a ceiling air conditioner 101 as shown in FIG. 1.
  • the ceiling air conditioner 101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body 110 is buri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10 and is connected to an outdoor unit (not shown) provided outside.
  • the air conditioner body 110 includes a duct lower frame part 130 exposed to the room from the ceiling 10 and a duct body frame part 150 formed above the duct lower frame part 130.
  • the duct lower frame part 130 includes an inlet part 132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discharge part 142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 the inlet portion 132 includes an inlet duct frame portion 134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10 and a filter portion 136 formed above the inlet duct frame portion 134.
  • the discharge part 142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blades 144 formed adjacent to the circumference of the inflow duct frame part 134.
  • the present inventor ceil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may not have an exhaust blade 144, but most of the inlet duct frame portion 134 and the filter portion 136 are included in the inlet portion 132 Is formed.
  • the inlet part 132 is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may also serve to introduce external air into the room if necessary.
  • the duct body frame part 150 is formed in a shape whose lower part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duct lower frame part 130, and the upper part is introduced from the duct lower frame part 130 or flows out to the duct lower frame part 130 It is formed of a moving pipe 151 through which the air is moved.
  • Wire fixing parts 230-1 and 230-2 are formed at four points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duct frame part 130, and the wire fixing part 230 is at the inner edge of the duct body frame part 150.
  • -1, 230-2) is formed at the top of each of the four points, respectively, the direction change pulley portion (240-1, 240-2) is formed, respectively, the inner center of the duct body frame portion 150 is approximately circular ring shape
  • the winding part 250 of is formed.
  • first wire 252-1 of the four wires 252-1, 252-2, 252-3, 252-4 is fixed to the first wire fixing part 230-1
  •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252-1 is fixed to the winding part 250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pulley part 240-1.
  • one end of the second wire 252-2 is fixed to the second wire fixing part 230-2, and the seco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252-2 is fixed to the winding part 250 by passing through the direction change pulley part 240-2.
  • one end of the third wire 252-3 is fixed to the third wire fixing part (not shown), and the third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third wire 252-3 is fixed to the winding unit 250 by passing through the conversion pulley unit (not shown).
  • one end of the fourth wire 252-4 among the four wires 252-1, 252-2, 252-3, and 252-4 is fixed to the fourth wire fixing part (not shown), The other end of the fourth wire 252-4 is fixed to the winding unit 250 by passing through the fourth direction switching pulley unit (not shown).
  • the positions at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252-1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wire 252-4 are fixed to the winding unit 250 are different.
  • the winding part 250 has four winding grooves 254-1, 254-2, 254-3, 254-4 wound around the first wire 252-1 to the fourth wire 252-4 around the outer periphery. ) Is formed,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wires 252-1 to 252-4 are fixed to the four winding grooves 254-1, 254-2, 254-3, 254-4, respectively. do.
  • first wire 252-1 is wound in the first winding groove 254-1
  • second wire 252-2 is wound in the second winding groove 254-2
  • third winding groove The third wire 252-3 is wound on 254-3
  • fourth wire 252-4 is wound on the fourth winding groove 254-4.
  •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252-1 is fixed to the first winding groove 254-1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252-2 is fixed to the second winding groove 254-2.
  • the other end of (252-1) is spaced apart and fixed on a horizontal plane by a certain interval
  • the other end of the third wire (252-3) i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252-2) in the third winding groove (254-3).
  • the other end of the fourth wire (252-4) is a certain interval on the horizontal plane based on the other end of the third wire (252-3) They are spaced apart and fixed.
  • the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unit 250 is divided into quarters,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wires 252-1 to 252-4 are fixed at each quarter position.
  • an inner gear unit 350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winding unit 250, and a gear 352 is formed on the inner gear unit 350.
  • the inner gear part 350 is supported while being interlocked with the three manual bearing support parts 430-1, 430-2, and 430-3 and one driving support part 450.
  • the three manual bearing support portions 430-1, 430-2, 430-3 have an upper portion fixed to the duct body frame portion 150, and an upper portion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gear portion 350 at the lower portion.
  • a support flange 432 and a lower support flange 434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gear unit 350 are formed, and the inner gear unit 35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pport flange 432 and the lower support flange 434
  • a bearing gear part 436 meshing with is formed.
  • the one driving support part 450 has an upper part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part 452 and fixed to the duct body frame part 150, and an upper support flange 432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inner gear part 350 at the lower part. ) And a lower support flange 434 that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gear unit 350 is formed, and between the upper support flange 432 and the lower support flange 434, the drive is engaged with the inner gear unit 350 The gear portion 454 is formed.
  • the drive gear part 454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part 452 and rotates by driving of the drive motor part 452 to move the inner gear part 350, and the inner gear part 350 ) Is rot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driving support part 450 and the three manual bearing support parts 430-1, 430-2, and 430-3.
  • the drive motor unit 452 may be driven by an additional switch on a remote control (not shown) used for an existing air conditioner.
  • the diameter of the winding part 250 can be formed large, the amount of winding the wires 252-1, 252-2, 252-3, 252-4 can be formed large, and through this, to the ceiling. Even in the ceiling air conditioner 100 installed in a building having a high height, the lower frame part 130 on which the filter part 136 is formed is lowered by a sufficient length to perform replacement or repair work.
  • the winding part 250 since the winding part 250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in which the inner space is empty, it does not interfere with air circulation,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air conditioning efficiency due to installation.
  •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on a lower duct frame portion and a duct body frame portion in FIG. 2(b).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130 is fixed to the duct body frame portion 150 with wires 252-1 and 252-2, but the wires 252-1 and 252-2 are damaged or cut. In the case of deformation, such as, a problem in that a part or all of the lower duct frame unit 130 is separated from the duct body frame unit 150 may occur.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astening hole 51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uct body frame part 150 as shown in FIG. 5,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510 in the lower duct frame part 130.
  • the moving member 520 formed of iron is formed to be able to, the elastic member 530 such as the spring form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ing member 520, and the moving member 520 can be pulled by magnetic force. It includes an electromagnet portion 540 formed so as to be, and a moving hole 550 in which the moving member 520 and the elastic member 530 are positioned.
  • a stopper part 552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moving hole 550 to prevent the moving member 520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to the outside, and the moving member 520 is also moved to be caught by the stopper part 552
  • a step portion 554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member 520.
  •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electromagnet unit 540 by pressing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formed on the air conditioner remote control (not shown) to apply power to the electromagnet unit 540, and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unit 540
  • the lower duct frame unit 130 can be moved downward, and after the filter unit 136 is replaced, the duct lower frame unit 130
  •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unit 540 is stopped to move the moving member 520 to the fastening hole 510 to double the duct lower frame unit ( 130) may be fixed to the duct body frame unit 150.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nding par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duct body frame par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the winding part 250a is formed outside the upper part of the duct body frame part 150a.
  • a plurality of wire fixing parts 230-1a and 230-2a are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lower duct frame 130a, and the wires are formed at the inner edge of the duct body frame 150a.
  • Wire through holes 620-1a and 620-2a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points where the fixing portions 230-1a and 230-2a are formed, and the wire passes through the outer edge of the duct body frame unit 150a.
  • a circular ring-shaped winding part 250a is formed around 720a).
  • the wire fixing parts 230-1a and 230-2a pass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s 620-1a and 620-2a and pass through the direction change pulley parts 240-1a and 240-2a to the winding part 250a.
  • the fixed wires 252-1a and 252-2a are formed.
  • Each of the wires 252-1a and 252-2a has one end fixed to the wire fixing portions 230-1a and 230-2a, and passes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s 620-1a and 620-2a, respectively.
  •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s 252-1a and 252-2a are 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part 250a in the switching pulley parts 240-1a and 240-2a is changed, and the wires 252-1a and 252- in the winding part 250a 2a) The other ends are fixed respectively.
  • the winding part 250a has winding grooves 254-1a, 254-2a, 254-3a, 254-4a on which the wires 252-1a, 252-2a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and the winding groove ( The other ends of the wires 252-1a and 252-2a are fixed to 254-1a and 254-2a, respectively.
  •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252-1a is fixed to the first winding groove 254-1a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252-2a is fixed to the second winding groove 254-2a
  • the other end of the third wire (not shown) is fixed to the third winding groove 254-3a
  • the other end of the fourth wire (not shown) is fixed to the fourth winding groove 254-4a.
  • an inner gear unit 350a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unit 250a, and the inner gear unit 350a is formed on the passive bearing support 430-1a and the driving support 450a. It is supported by interlocking.
  • the manual bearing support portion (430-1a) has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duct body frame portion (150a), an upper support flange (432a) and an inner gear portion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gear portion (350a)
  • a lower support flange 434a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350a is formed, and between the upper support flange 432a and the lower support flange 434a, a bearing gear portion 436a meshing with the inner gear portion 350a Is formed.
  • the one driving support part 450a has a lower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part 452a and fixed to the duct body frame part 150a, and an upper support flange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inner gear part 350a at the upper part ( 432a) and a lower support flange 434a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gear portion 350a, and between the upper support flange 432a and the lower support flange 434a, the inner gear portion 350a is engaged.
  • a drive gear portion 454a is formed.
  • the drive gear part 454a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part 452a, rotates by driving of the drive motor part 452a to move the inner gear part 350a, and the inner gear part 350a ) Is rot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driving support part 450a and the three manual bearing support parts 430-1a.
  •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duct body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winding part 250a is formed on the upper and outer side of the duct body frame part 150a as described above is reduced to the winding part 250a or the manual bearing support part 430- It is formed so as not to be disturbed by 1a) and the driving support part 450a,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is improved.
  • FIG. 7(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winding part is formed around a single motor shaft at an inner center of the duct body frame part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b) is It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 the winding portion 250b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duct body frame portion 150b, and the central axis 251b of the winding portion 250b is a driving motor ( 254b), and the driving motor 254b is fixed to the duct body frame portion 150b with a bracket 256b.
  • the winding part 250b has an outer circumference 255b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a diameter member 258b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251b is formed so that the central axis 251b and the outer circumference 255b of the winding part 250b ).
  • the winding part 250b has a circular ring-shaped outer circumference 255b, a diameter member 258b, and a central axis 251b integrally formed, and the central axis 251b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54b. I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54b).
  • First to fourth winding grooves 254-1b, 254-2b, 254-3b, and 254-4b ar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255b.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passive bearing support part is not installed and rotates by connecting the drive motor 254b to the central shaft 251b through the third embodiment, resulting in a simple configuration.
  • Figure 8 (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nding part is formed of three bearing parts and one driving part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duct body frame part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b) )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FIG. 8A.
  • the winding portion 250d is formed with three bearing portions 430-1d, 430-2d, 430-3d and 1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duct body frame portion 150d. In this case, it is formed of four driving units 450d.
  • the three bearing parts 430-1d, 430-2d, 430-3d and one driving part 450d are located around the upper part of the duct body frame part 150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riving part 450d
  • a first belt 461d is formed between the and the first bearing part 430-1d to connect between the driving part 450d and the first bearing part 430-1d
  • the first bearing part 430-1d A second belt 462d is formed between the and the second bearing part 430-2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bearing part 430-1d and the second bearing part 430-2d, and the second bearing part (
  • a third belt 463d is formed between 430-2d) and the third bearing part 430-3d to connect between the second bearing part 430-2d and the third bearing part 430-3d
  • a fourth belt 464d is formed between the three bearing parts 430-3d and the driving part 450d to connect the third bearing part 430-3d and the driving part 450d.
  • a driving groove (254-1d) is formed in the driving part (450d), and the first wire (252-1d) is fixed to the driving groove (254-1d), and the first edge of the lower frame part (130d) of the duct It is formed extending to the portion (352-1d).
  • a first bearing groove (354-1d) is formed in the first bearing portion (430-1d), and the second wire (252-2d) is fixed to the first bearing groove (354-1d) and It is formed extending to the second edge portion (352-2d) of the frame portion (130d).
  • a second bearing groove (354-2d) is formed in the second bearing portion (430-2d), and the third wire (252-3d) is fixed to the second bearing groove (354-2d) under the duct. It is formed extending to the third edge portion (352-3d) of the frame portion (130d).
  • a third bearing groove (354-3d) is formed in the third bearing portion (430-3d), and the fourth wire (252-4d) is fixed to the third bearing groove (354-3d) under the duct. It is extended to the fourth edge portion (352-4d) of the frame portion (130d).
  • the driving unit 450d When the driving unit 450d is driven, the first bearing units 430-1d to the third bearing units 430-3d are rotated by the first belts 461d to 464d and the first wire 252 -1d) to 4th wires (252-4d) are released so that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130d) is moved downward.
  • the weight of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130d is relatively large, the weight of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130d is reduced to the first wires 252-1d to the fourth.
  • a wire (252-4d) the driving unit 450d and the first bearing unit 430-1d to the third bearing unit 430-3d are transmitted, and the driving unit 450d and the first bearing unit 430-1d )
  • To the third bearing portions 430-3d are formed to be individually fixed to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duct body frame portion 150d to distribute and support the weight of the lower duct frame portion 130d.
  •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has an effect of raising and lowering the weight of the lower frame portion 130d of the duct while stably supporting the weight.
  • the driving unit 450d and the first bearing unit 430-1d to the third bearing unit 430-3d are used by the remaining belts. )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omit either the second belt (462d) or the fourth belt (464d).
  • ceiling air conditioner 101 ceiling air conditioner
  • inlet 134 inlet duct frame portion
  • filter unit 142 discharge unit
  • bearing gear part 450 drive support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와, 상기 와인딩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와인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 지지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동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지지부의 구동에 의하여 와인딩부가 회전되면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 공조 장치
본 발명은 천정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천정에 설치된 공조 장치에서 필터를 교체할 경우에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필터 승하강 장치가 형성된 천정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건축물의 내부에 공기를 적절하게 데워주거나 식혀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장치로서 에어컨과 히터 등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 중에서 특히, 에어컨은 벽걸이형, 스탠드형 및 천정형 등이 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벽걸이형은 용량이 작고 창문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방과 혹은 작은 거실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스탠드형은 용량이 크기 때문에 큰 아파트의 거실 등과 공간이 넓은 가정집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천정형 등은 사무실 및 공장 등의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천정형 에어컨은 천정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며, 냉기 토출구가 천정에서 하부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천정형 에어컨과 같은 공조장치에는 필터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데, 에어컨이 설치된 천정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필터 부분을 교체하거나 청소하기 위해서 사다리를 이용해야하는 등 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필터 부분을 교체하거나 청소하기 용이한 구조가 형성된 천정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와, 상기 와인딩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와인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 지지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동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지지부의 구동에 의하여 와인딩부가 회전되면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와이어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딩부는 원형링 형태이며, 상기 구동 지지부와 수동 베어링 지지부는 와인딩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와인딩부의 내측 둘레에 내측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지지부와 수동 베어링 지지부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와, 상기 내측 기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 및 하부 지지 플렌지 사이에서 상기 내측 기어부에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부에는 외측 둘레에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가 개별적으로 감기는 복수개의 와인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상기 체결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 및 상기 와인딩부의 중심축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브래킷으로 고정되며, 상기 와인딩부는 둘레가 원형링 형상이며, 상기 와인딩부의 중심축과 둘레를 연결하도록 직경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부가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베어링부를 연결하는 벨트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와 베어링부에 각각 와이어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와인딩부에 의하여 덕트 하부 프레임부가 용이하게 하방으로 내려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통하여 덕트 본체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이 와인딩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형성되어 공조 장치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실내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중 와인딩부를 확대한 개략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필터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에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체결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2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3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내측 중앙에 단일 모터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관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4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3개의 베어링부와 1개의 구동부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 관한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실내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 중 와인딩부를 확대한 개략 하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필터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는 가정이나 빌딩 건물의 천정(10)에 설치되며, 도 1과 같이 천정형 에어컨(101)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상기 천정형 에어컨(101)은 에어컨 본체(110)가 천정(10)의 내측 공간으로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외부에 마련된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컨 본체(110)는 천정(10)에서 실내로 노출되어 있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32)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132)는 에어컨 본체(110)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134)과, 상기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134)의 상부에 형성되는 필터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142)는 상기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134)을 중심으로 둘레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 날개(144)가 포함된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는 상기 에어컨 본체(110)와 달리 배출 날개(144)는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134)과 필터부(136)가 포함된 유입부(132)는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32)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밖으로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되지만, 필요한 경우에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는 그 하부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로부터 유입되거나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로 유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이동관(151)으로 형성된다.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4개 지점에 와이어 고정부(230-1, 230-2)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230-1, 230-2)가 형성된 4개 지점의 각각 상부에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 240-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의 내측 중앙에는 대략 원형링 형상의 와인딩부(250)가 형성된다.
그리고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가 와이어 고정부(230-1, 230-2)로부터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 240-2)를 각각 통과하여 상기 와인딩부(250)에 연결된다.
즉, 상기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 중 제1와이어(252-1)는 그 일단이 제1와이어 고정부(230-1)에 고정되고, 제1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를 통과하여 와인딩부(250)에 제1와이어(252-1)의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 중 제2와이어(252-2)는 그 일단이 제2와이어 고정부(230-2)에 고정되고, 제2방향 전환 도르래부(240-2)를 통과하여 와인딩부(250)에 제2와이어(252-2)의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 중 제3와이어(252-3)는 그 일단이 제3와이어 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되고, 제3방향 전환 도르래부(미도시)를 통과하여 와인딩부(250)에 제3와이어(252-3)의 타단이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 중 제4와이어(252-4)는 그 일단이 제4와이어 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되고, 제4방향 전환 도르래부(미도시)를 통과하여 와인딩부(250)에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 제1와이어(252-1)의 타단 내지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와인딩부(250)에 고정되는 위치는 상이하다.
상기 와인딩부(250)는 외측 둘레에 제1와이어(252-1) 내지 제4와이어(252-4)가 감기는 4개의 와인딩홈(254-1, 254-2, 254-3, 254-4)이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와인딩홈(254-1, 254-2, 254-3, 254-4)에는 제1와이어(252-1) 내지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각각 고정된다.
즉, 제1와인딩홈(254-1)에는 제1와이어(252-1)가 감기고, 제2와인딩홈(254-2)에는 제2와이어(252-2)가 감기며, 제3와인딩홈(254-3)에는 제3와이어(252-3)가 감기고, 제4와인딩홈(254-4)에는 제4와이어(252-4)가 감긴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인딩홈(254-1)에는 제1와이어(252-1)의 타단이 고정되고, 제2와인딩홈(254-2)에는 제2와이어(252-2)의 타단이 제1와이어(252-1)의 타단을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3와인딩홈(254-3)에는 제3와이어(252-3)의 타단이 제2와이어(252-2)의 타단을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고, 제4와인딩홈(254-4)에는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제3와이어(252-3)의 타단을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된다.
상기 와인딩부(250)의 둘레를 4등분해서 각 4분의 1 위치마다 제1와이어(252-1) 내지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고정이 고정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인딩홈(254-1) 내지 제4와인딩홈(254-4)에서 상기 제1와이어(252-1) 내지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고정되는 각각의 높이와 위치가 별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부(250)의 내측 벽에는 내측 기어부(350)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기어부(350)에는 기어(352)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기어부(350)는 3개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 430-2, 430-3)와 1개의 구동 지지부(450)에 연동되면서 지지된다.
즉, 상기 3개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 430-2, 430-3)는 상부가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 고정되고, 하부에는 내측 기어부(35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432) 및 내측 기어부(35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43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432) 및 하부 지지 플렌지(434) 사이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350)에 맞물리는 베어링 기어부(436)가 형성된다.
상기 1개의 구동 지지부(450)는 상부가 구동모터부(452)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 고정되고, 하부에는 내측 기어부(35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432) 및 내측 기어부(35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43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432) 및 하부 지지 플렌지(434) 사이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350)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부(454)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기어부(454)는 상기 구동모터부(452)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부(45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내측 기어부(350)를 이동시키며, 상기 내측 기어부(350)는 구동 지지부(450) 및 3개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 430-2, 430-3)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된다.
상기 내측 기어부(350)가 회전되면 와인딩부(250)의 외측 둘레에 감겨져 있던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가 풀리면서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가 도 4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필터부(136)를 교환하거나 수리하기 용이한 위치에 멈춘다.
상기 구동모터부(452)의 구동은 기존 에어컨에 사용되는 리모컨(미도시)에 추가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인딩부(25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어, 와이어(252-1, 252-2, 252-3, 252-4)가 감기는 양이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천정까지의 높이가 높은 건축물에 설치된 천정 공조 장치(100)에서도 필터부(136)가 형성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을 충분한 길이만큼 하강시켜 교체나 수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와인딩부(250)가 내측 공간이 비어 있는 원형링 형태이기 때문에 공기 순환을 방해하지 않아 설치로 인한 공조 효율 저하가 방지된다.
도 5는 도 2의 (b)에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체결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가 와이어(252-1, 252-2)로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 고정되는 구조이나, 상기 와이어(252-1, 252-2)가 파손되거나 절단되는 등의 변형이 생기는 경우에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서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의 하부에 체결공(510)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에 상기 체결공(510)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철 재질의 이동부재(520)와, 상기 이동부재(5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30)와, 상기 이동부재(520)를 자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전자석부(540), 및 상기 이동부재(520)와 탄성부재(530)가 위치되는 이동공(55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공(550)의 입구에는 이동부재(520)가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부분(55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520)도 상기 스톱퍼 부분(552)에 걸리도록 이동부재(520)의 중간에 단차부(55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에어컨 리모컨(미도시)에 형성된 작동버튼(미도시)을 눌러 상기 전자석부(5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전자석부(540)를 작동시키고, 전자석부(540)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이동부재(520)를 체결공(510)에서 탈거되도록 한 후에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필터부(136) 교체 등을 종료한 후에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의 하부에 밀착시킨 후에 상기 전자석부(540)의 작동을 중단하여 이동부재(520)를 체결공(510)으로 이동시켜 2중으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를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2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2실시예는 와인딩부(250a)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이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a)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부(230-1a, 230-2a)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230-1a, 230-2a)가 형성된 복수개 지점의 각각 상부에 와이어 통과공(620-1a, 620-2a)이 각각 형성되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와이어 통과공(620-1a, 620-2a)에 인접하게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a, 240-2a)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는 둘레가 좁아진 중앙 덕트(720a)의 둘레에는 원형링 형상의 와인딩부(250a)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230-1a, 230-2a)에서 와이어 통과공(620-1a, 620-2a)을 통과하여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a, 240-2a)를 거쳐서 와인딩부(250a)에 고정되는 와이어(252-1a, 252-2a)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252-1a, 252-2a)는 그 일단이 와이어 고정부(230-1a, 230-2a)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통과공(620-1a, 620-2a)을 각각 통과하여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a, 240-2a)에서 와인딩부(250a) 방향으로 와이어(252-1a, 252-2a) 놓이는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와인딩부(250a)에 와이어(252-1a, 252-2a) 타단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와인딩부(250a)는 외측 둘레에 와이어(252-1a, 252-2a)가 감기는 와인딩홈(254-1a, 254-2a, 254-3a, 254-4a)이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홈(254-1a, 254-2a)에는 와이어(252-1a, 252-2a) 타단이 각각 고정된다.
즉, 상기 제1와인딩홈(254-1a)에는 제1와이어(252-1a) 타단이 고정되고, 제2와인딩홈(254-2a)에는 제2와이어(252-2a) 타단이 고정되며, 제3와인딩홈(254-3a)에는 제3와이어(미도시) 타단이 고정되고, 제4와인딩홈(254-4a)에는 제4와이어(미도시) 타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부(250a)의 내측 둘레에는 외측 둘레보다 높이가 작은 내측 기어부(350a)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기어부(350a)는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a)와 구동 지지부(450a)에 연동되면서 지지된다.
즉, 상기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a)는 그 하부가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내측 기어부(350a)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432a) 및 내측 기어부(350a)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434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432a) 및 하부 지지 플렌지(434a) 사이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350a)에 맞물리는 베어링 기어부(436a)가 형성된다.
상기 1개의 구동 지지부(450a)는 그 하부가 구동모터부(452a)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내측 기어부(350a)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432a) 및 내측 기어부(350a)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434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432a) 및 하부 지지 플렌지(434a) 사이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350a)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부(454a)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기어부(454a)는 상기 구동모터부(452a)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부(452a)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내측 기어부(350a)를 이동시키며, 상기 내측 기어부(350a)는 구동 지지부(450a) 및 3개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a)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와인딩부(250a)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통하여 덕트 본체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이 와인딩부(250a)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a) 및 구동 지지부(450a)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형성되어 공조 장치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3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내측 중앙에 단일 모터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관한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의 제3실시예는 와인딩부(250b)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b)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부(250b)의 중심축(251b)은 구동모터(254b)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254b)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b)에 브래킷(256b)으로 고정된다.
상기 와인딩부(250b)는 외측 둘레(255b)가 원형링 형상이며, 상기 중심축(251b)을 지나는 직경부재(258b)가 형성되어 중심축(251b)과 와인딩부(250b)의 외측 둘레(255b)를 연결한다.
즉, 상기 와인딩부(250b)는 원형링 형상의 외측 둘레(255b)와 직경부재(258b) 및 중심축(251b)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251b)은 구동모터(254b)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54b)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된다.
상기 외측 둘레(255b)에는 제1와인딩홈 내지 제4와인딩홈(254-1b, 254-2b, 254-3b, 254-4b)이 형성된다.
상기 제1와인딩홈 내지 제4와인딩홈(254-1b, 254-2b, 254-3b, 254-4b)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 내지 제4와이어(252-1b, 252-2b, 252-3b, 252-4b)의 설치 구조는 제1실시예와 유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제3실시예를 통하여 별도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가 설치되지 않고 구동모터(254b)를 중심축(251b)에 연결하여 회전하는 구조로서 구성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4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3개의 베어링부와 1개의 구동부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 관한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의 제4실시예는 와인딩부(250d)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d)의 상부 외측에 3개의 베어링부(430-1d, 430-2d, 430-3d)와 1개의 구동부(450d)로 형성되는 경우이다.
상기 3개의 베어링부(430-1d, 430-2d, 430-3d)와 1개의 구동부(450d)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d)의 상부를 중심으로 둘레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사이에는 제1벨트(461d)가 형성되어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베어링부(430-1d)와 제2베어링부(430-2d) 사이에는 제2벨트(462d)가 형성되어 제1베어링부(430-1d)와 제2베어링부(430-2d) 사이를 연결하며, 제2베어링부(430-2d)와 제3베어링부(430-3d) 사이에는 제3벨트(463d)가 형성되어 제2베어링부(430-2d)와 제3베어링부(430-3d) 사이를 연결하고, 제3베어링부(430-3d)와 구동부(450d) 사이에는 제4벨트(464d)가 형성되어 제3베어링부(430-3d)와 구동부(450d)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구동부(450d)가 구동되면 제1벨트(461d) 내지 제4벨트(464d)에 의하여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부(450d)에는 구동홈(254-1d)이 형성되며, 제1와이어(252-1d)는 상기 구동홈(254-1d)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제1모서리부(352-1d)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베어링부(430-1d)에는 제1베어링홈(354-1d)이 형성되며, 제2와이어(252-2d)는 상기 제1베어링홈(354-1d)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제2모서리부(352-2d)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베어링부(430-2d)에는 제2베어링홈(354-2d)이 형성되며, 제3와이어(252-3d)는 상기 제2베어링홈(354-2d)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제3모서리부(352-3d)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3베어링부(430-3d)에는 제3베어링홈(354-3d)이 형성되며, 제4와이어(252-4d)는 상기 제3베어링홈(354-3d)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제4모서리부(352-4d)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구동부(450d)가 구동되면 제1벨트(461d) 내지 제4벨트(464d)에 의하여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가 회전되면서 제1와이어(252-1d) 내지 제4와이어(252-4d)를 풀어주어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의 제4실시예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무게가 비교적 많이 나가는 경우에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무게를 제1와이어(252-1d) 내지 제4와이어(252-4d)를 통하여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에 전달하도록 하고,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d)의 상부 외측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무게를 분산하여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의 제4실시예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승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벨트(462d) 또는 제4벨트(464d)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벨트에 의해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가 연결됨으로, 제2벨트(462d) 또는 제4벨트(464d) 중 어느 하나를 생략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천정 공조 장치 101: 천정형 에어컨
110: 에어컨 본체 130: 덕트 하부 프레임부
132: 유입부 134: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
136: 필터부 142: 배출부
144: 배출 날개 150: 덕트 본체 프레임부
151: 이동관 230-1, 230-2: 와이어 고정부
240-1, 240-2: 방향 전환 도르래부 250: 와인딩부
252-1, 252-2, 252-3, 252-4: 와이어
430-1, 430-2, 430-3: 수동 베어링 지지부
432: 상부 지지 플렌지 434: 하부 지지 플렌지
436: 베어링 기어부 450: 구동 지지부
452: 구동모터부 510: 체결공
520: 이동부재 554: 단차부

Claims (6)

  1.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와,
    상기 와인딩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와인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 지지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동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지지부의 구동에 의하여 와인딩부가 회전되면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와이어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부는 원형링 형태이며,
    상기 구동 지지부와 수동 베어링 지지부는 와인딩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부의 내측 둘레에 내측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지지부와 수동 베어링 지지부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와,
    상기 내측 기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 및 하부 지지 플렌지 사이에서 상기 내측 기어부에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상기 체결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
  6.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 및
    상기 와인딩부의 중심축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브래킷으로 고정되며,
    상기 와인딩부는 둘레가 원형링 형상이며,
    상기 와인딩부의 중심축과 둘레를 연결하도록 직경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
PCT/KR2020/003789 2019-03-20 2020-03-19 천정 공조 장치 WO202019005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69A KR102054923B1 (ko) 2019-03-20 2019-03-20 천정 공조 장치
KR10-2019-0031969 2019-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0056A1 true WO2020190056A1 (ko) 2020-09-24

Family

ID=6900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3789 WO2020190056A1 (ko) 2019-03-20 2020-03-19 천정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4923B1 (ko)
WO (1) WO2020190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923B1 (ko) * 2019-03-20 2019-12-11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99A (ja) * 1994-06-14 1995-12-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吸込グリル支持構造
JPH08261551A (ja) * 1995-03-20 1996-10-1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1019297A (ja) * 1996-07-05 1998-01-23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174049A (ja) * 1999-12-20 2001-06-29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784911B1 (ko) * 2015-08-21 2017-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지그
KR102054923B1 (ko) * 2019-03-20 2019-12-11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459A (ko) 2018-12-18 2018-12-27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공기 정화용 필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99A (ja) * 1994-06-14 1995-12-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吸込グリル支持構造
JPH08261551A (ja) * 1995-03-20 1996-10-1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1019297A (ja) * 1996-07-05 1998-01-23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174049A (ja) * 1999-12-20 2001-06-29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784911B1 (ko) * 2015-08-21 2017-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지그
KR102054923B1 (ko) * 2019-03-20 2019-12-11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923B1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40322A1 (ko)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WO2015072728A1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WO2010077047A2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20190056A1 (ko) 천정 공조 장치
CN102272536A (zh) 电动扩散器
WO2016163673A1 (ko) 공기청정기
WO2010074495A4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21100915A1 (ko) 스마트 월
WO2020111845A1 (ko)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WO2016186273A1 (ko) 창문형 환기 및 공기정화장치
WO2019093583A1 (en) Air conditioner
WO2018139718A1 (ko)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22059872A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엣지커버형 led 조명등
WO2010104347A2 (ko) 천장 매립형 하우징
WO2019050213A1 (ko) 공기조화기
WO2021071276A1 (en)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WO2021141340A1 (ko) 공기조화기
CN111795315A (zh) 一种智能家居用led照明升降装置
CN216308089U (zh) 一种用于住宅建筑的通风装置
WO2017047858A1 (ko) 환기 시스템
WO2019177213A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22014825A1 (ko) 다방향 배출이 가능한 날개없는 선풍기
WO2014017839A1 (ko) 등기구 고정장치 및 천장설치기구 고정장치
WO2018182362A1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WO2020080823A1 (e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727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727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