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923B1 - 천정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923B1
KR102054923B1 KR1020190031969A KR20190031969A KR102054923B1 KR 102054923 B1 KR102054923 B1 KR 102054923B1 KR 1020190031969 A KR1020190031969 A KR 1020190031969A KR 20190031969 A KR20190031969 A KR 20190031969A KR 102054923 B1 KR102054923 B1 KR 10205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uct
wire
frame portion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록
Original Assignee
장성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록 filed Critical 장성록
Priority to KR102019003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923B1/ko
Priority to PCT/KR2020/003789 priority patent/WO20201900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와, 상기 와인딩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와인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 지지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동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지지부의 구동에 의하여 와인딩부가 회전되면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 공조 장치{Ceiling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정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천정에 설치된 공조 장치에서 필터를 교체할 경우에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필터 승하강 장치가 형성된 천정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건축물의 내부에 공기를 적절하게 데워주거나 식혀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장치로서 에어컨과 히터 등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 중에서 특히, 에어컨은 벽걸이형, 스탠드형 및 천정형 등이 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벽걸이형은 용량이 작고 창문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방과 혹은 작은 거실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스탠드형은 용량이 크기 때문에 큰 아파트의 거실 등과 공간이 넓은 가정집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천정형 등은 사무실 및 공장 등의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천정형 에어컨은 천정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며, 냉기 토출구가 천정에서 하부의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천정형 에어컨과 같은 공조장치에는 필터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데, 에어컨이 설치된 천정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필터 부분을 교체하거나 청소하기 위해서 사다리를 이용해야하는 등 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13745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필터 부분을 교체하거나 청소하기 용이한 구조가 형성된 천정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와, 상기 와인딩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와인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 지지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동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지지부의 구동에 의하여 와인딩부가 회전되면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가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와이어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딩부는 원형링 형태이며, 상기 구동 지지부와 수동 베어링 지지부는 와인딩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와인딩부의 내측 둘레에 내측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지지부와 수동 베어링 지지부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와, 상기 내측 기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 및 하부 지지 플렌지 사이에서 상기 내측 기어부에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부에는 외측 둘레에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가 개별적으로 감기는 복수개의 와인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상기 체결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 및 상기 와인딩부의 중심축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브래킷으로 고정되며, 상기 와인딩부는 둘레가 원형링 형상이며, 상기 와인딩부의 중심축과 둘레를 연결하도록 직경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부가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베어링부를 연결하는 벨트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와 베어링부에 각각 와이어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와인딩부에 의하여 덕트 하부 프레임부가 용이하게 하방으로 내려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통하여 덕트 본체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이 와인딩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형성되어 공조 장치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실내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중 와인딩부를 확대한 개략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필터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에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체결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2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3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내측 중앙에 단일 모터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관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4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3개의 베어링부와 1개의 구동부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 관한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실내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 중 와인딩부를 확대한 개략 하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필터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는 가정이나 빌딩 건물의 천정(10)에 설치되며, 도 1과 같이 천정형 에어컨(101)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상기 천정형 에어컨(101)은 에어컨 본체(110)가 천정(10)의 내측 공간으로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외부에 마련된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컨 본체(110)는 천정(10)에서 실내로 노출되어 있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32)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132)는 에어컨 본체(110)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134)과, 상기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134)의 상부에 형성되는 필터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142)는 상기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134)을 중심으로 둘레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 날개(144)가 포함된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는 상기 에어컨 본체(110)와 달리 배출 날개(144)는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134)과 필터부(136)가 포함된 유입부(132)는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32)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밖으로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되지만, 필요한 경우에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는 그 하부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로부터 유입되거나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로 유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이동관(151)으로 형성된다.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4개 지점에 와이어 고정부(230-1, 230-2)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230-1, 230-2)가 형성된 4개 지점의 각각 상부에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 240-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의 내측 중앙에는 대략 원형링 형상의 와인딩부(250)가 형성된다.
그리고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가 와이어 고정부(230-1, 230-2)로부터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 240-2)를 각각 통과하여 상기 와인딩부(250)에 연결된다.
즉, 상기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 중 제1와이어(252-1)는 그 일단이 제1와이어 고정부(230-1)에 고정되고, 제1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를 통과하여 와인딩부(250)에 제1와이어(252-1)의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 중 제2와이어(252-2)는 그 일단이 제2와이어 고정부(230-2)에 고정되고, 제2방향 전환 도르래부(240-2)를 통과하여 와인딩부(250)에 제2와이어(252-2)의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 중 제3와이어(252-3)는 그 일단이 제3와이어 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되고, 제3방향 전환 도르래부(미도시)를 통과하여 와인딩부(250)에 제3와이어(252-3)의 타단이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 중 제4와이어(252-4)는 그 일단이 제4와이어 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되고, 제4방향 전환 도르래부(미도시)를 통과하여 와인딩부(250)에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고정된다.
상기 제1와이어(252-1)의 타단 내지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와인딩부(250)에 고정되는 위치는 상이하다.
상기 와인딩부(250)는 외측 둘레에 제1와이어(252-1) 내지 제4와이어(252-4)가 감기는 4개의 와인딩홈(254-1, 254-2, 254-3, 254-4)이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와인딩홈(254-1, 254-2, 254-3, 254-4)에는 제1와이어(252-1) 내지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각각 고정된다.
즉, 제1와인딩홈(254-1)에는 제1와이어(252-1)가 감기고, 제2와인딩홈(254-2)에는 제2와이어(252-2)가 감기며, 제3와인딩홈(254-3)에는 제3와이어(252-3)가 감기고, 제4와인딩홈(254-4)에는 제4와이어(252-4)가 감긴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인딩홈(254-1)에는 제1와이어(252-1)의 타단이 고정되고, 제2와인딩홈(254-2)에는 제2와이어(252-2)의 타단이 제1와이어(252-1)의 타단을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3와인딩홈(254-3)에는 제3와이어(252-3)의 타단이 제2와이어(252-2)의 타단을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고, 제4와인딩홈(254-4)에는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제3와이어(252-3)의 타단을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된다.
상기 와인딩부(250)의 둘레를 4등분해서 각 4분의 1 위치마다 제1와이어(252-1) 내지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고정이 고정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인딩홈(254-1) 내지 제4와인딩홈(254-4)에서 상기 제1와이어(252-1) 내지 제4와이어(252-4)의 타단이 고정되는 각각의 높이와 위치가 별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부(250)의 내측 벽에는 내측 기어부(350)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기어부(350)에는 기어(352)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기어부(350)는 3개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 430-2, 430-3)와 1개의 구동 지지부(450)에 연동되면서 지지된다.
즉, 상기 3개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 430-2, 430-3)는 상부가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 고정되고, 하부에는 내측 기어부(35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432) 및 내측 기어부(35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43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432) 및 하부 지지 플렌지(434) 사이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350)에 맞물리는 베어링 기어부(436)가 형성된다.
상기 1개의 구동 지지부(450)는 상부가 구동모터부(452)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 고정되고, 하부에는 내측 기어부(35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432) 및 내측 기어부(35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43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432) 및 하부 지지 플렌지(434) 사이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350)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부(454)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기어부(454)는 상기 구동모터부(452)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부(45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내측 기어부(350)를 이동시키며, 상기 내측 기어부(350)는 구동 지지부(450) 및 3개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 430-2, 430-3)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된다.
상기 내측 기어부(350)가 회전되면 와인딩부(250)의 외측 둘레에 감겨져 있던 4개의 와이어(252-1, 252-2, 252-3, 252-4)가 풀리면서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가 도 4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필터부(136)를 교환하거나 수리하기 용이한 위치에 멈춘다.
상기 구동모터부(452)의 구동은 기존 에어컨에 사용되는 리모컨(미도시)에 추가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인딩부(25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어, 와이어(252-1, 252-2, 252-3, 252-4)가 감기는 양이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천정까지의 높이가 높은 건축물에 설치된 천정 공조 장치(100)에서도 필터부(136)가 형성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을 충분한 길이만큼 하강시켜 교체나 수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와인딩부(250)가 내측 공간이 비어 있는 원형링 형태이기 때문에 공기 순환을 방해하지 않아 설치로 인한 공조 효율 저하가 방지된다.
도 5는 도 2의 (b)에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 체결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가 와이어(252-1, 252-2)로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 고정되는 구조이나, 상기 와이어(252-1, 252-2)가 파손되거나 절단되는 등의 변형이 생기는 경우에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서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의 하부에 체결공(510)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에 상기 체결공(510)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철 재질의 이동부재(520)와, 상기 이동부재(5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30)와, 상기 이동부재(520)를 자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전자석부(540), 및 상기 이동부재(520)와 탄성부재(530)가 위치되는 이동공(55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공(550)의 입구에는 이동부재(520)가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부분(55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520)도 상기 스톱퍼 부분(552)에 걸리도록 이동부재(520)의 중간에 단차부(55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에어컨 리모컨(미도시)에 형성된 작동버튼(미도시)을 눌러 상기 전자석부(5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전자석부(540)를 작동시키고, 전자석부(540)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이동부재(520)를 체결공(510)에서 탈거되도록 한 후에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필터부(136) 교체 등을 종료한 후에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의 하부에 밀착시킨 후에 상기 전자석부(540)의 작동을 중단하여 이동부재(520)를 체결공(510)으로 이동시켜 2중으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를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2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2실시예는 와인딩부(250a)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이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a)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와이어 고정부(230-1a, 230-2a)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230-1a, 230-2a)가 형성된 복수개 지점의 각각 상부에 와이어 통과공(620-1a, 620-2a)이 각각 형성되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와이어 통과공(620-1a, 620-2a)에 인접하게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a, 240-2a)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외측 상부에 형성되는 둘레가 좁아진 중앙 덕트(720a)의 둘레에는 원형링 형상의 와인딩부(250a)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230-1a, 230-2a)에서 와이어 통과공(620-1a, 620-2a)을 통과하여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a, 240-2a)를 거쳐서 와인딩부(250a)에 고정되는 와이어(252-1a, 252-2a)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252-1a, 252-2a)는 그 일단이 와이어 고정부(230-1a, 230-2a)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통과공(620-1a, 620-2a)을 각각 통과하여 방향 전환 도르래부(240-1a, 240-2a)에서 와인딩부(250a) 방향으로 와이어(252-1a, 252-2a) 놓이는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와인딩부(250a)에 와이어(252-1a, 252-2a) 타단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와인딩부(250a)는 외측 둘레에 와이어(252-1a, 252-2a)가 감기는 와인딩홈(254-1a, 254-2a, 254-3a, 254-4a)이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홈(254-1a, 254-2a)에는 와이어(252-1a, 252-2a) 타단이 각각 고정된다.
즉, 상기 제1와인딩홈(254-1a)에는 제1와이어(252-1a) 타단이 고정되고, 제2와인딩홈(254-2a)에는 제2와이어(252-2a) 타단이 고정되며, 제3와인딩홈(254-3a)에는 제3와이어(미도시) 타단이 고정되고, 제4와인딩홈(254-4a)에는 제4와이어(미도시) 타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부(250a)의 내측 둘레에는 외측 둘레보다 높이가 작은 내측 기어부(350a)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기어부(350a)는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a)와 구동 지지부(450a)에 연동되면서 지지된다.
즉, 상기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a)는 그 하부가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내측 기어부(350a)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432a) 및 내측 기어부(350a)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434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432a) 및 하부 지지 플렌지(434a) 사이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350a)에 맞물리는 베어링 기어부(436a)가 형성된다.
상기 1개의 구동 지지부(450a)는 그 하부가 구동모터부(452a)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내측 기어부(350a)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432a) 및 내측 기어부(350a)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434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432a) 및 하부 지지 플렌지(434a) 사이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350a)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부(454a)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기어부(454a)는 상기 구동모터부(452a)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부(452a)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내측 기어부(350a)를 이동시키며, 상기 내측 기어부(350a)는 구동 지지부(450a) 및 3개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a)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와인딩부(250a)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a)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통하여 덕트 본체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이 와인딩부(250a)나 수동 베어링 지지부(430-1a) 및 구동 지지부(450a)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형성되어 공조 장치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3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내측 중앙에 단일 모터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관한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의 제3실시예는 와인딩부(250b)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b)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부(250b)의 중심축(251b)은 구동모터(254b)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254b)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b)에 브래킷(256b)으로 고정된다.
상기 와인딩부(250b)는 외측 둘레(255b)가 원형링 형상이며, 상기 중심축(251b)을 지나는 직경부재(258b)가 형성되어 중심축(251b)과 와인딩부(250b)의 외측 둘레(255b)를 연결한다.
즉, 상기 와인딩부(250b)는 원형링 형상의 외측 둘레(255b)와 직경부재(258b) 및 중심축(251b)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251b)은 구동모터(254b)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54b)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된다.
상기 외측 둘레(255b)에는 제1와인딩홈 내지 제4와인딩홈(254-1b, 254-2b, 254-3b, 254-4b)이 형성된다.
상기 제1와인딩홈 내지 제4와인딩홈(254-1b, 254-2b, 254-3b, 254-4b)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 내지 제4와이어(252-1b, 252-2b, 252-3b, 252-4b)의 설치 구조는 제1실시예와 유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제3실시예를 통하여 별도의 수동 베어링 지지부가 설치되지 않고 구동모터(254b)를 중심축(251b)에 연결하여 회전하는 구조로서 구성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의 제4실시예로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 외측에 3개의 베어링부와 1개의 구동부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에 관한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의 제4실시예는 와인딩부(250d)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d)의 상부 외측에 3개의 베어링부(430-1d, 430-2d, 430-3d)와 1개의 구동부(450d)로 형성되는 경우이다.
상기 3개의 베어링부(430-1d, 430-2d, 430-3d)와 1개의 구동부(450d)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d)의 상부를 중심으로 둘레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사이에는 제1벨트(461d)가 형성되어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베어링부(430-1d)와 제2베어링부(430-2d) 사이에는 제2벨트(462d)가 형성되어 제1베어링부(430-1d)와 제2베어링부(430-2d) 사이를 연결하며, 제2베어링부(430-2d)와 제3베어링부(430-3d) 사이에는 제3벨트(463d)가 형성되어 제2베어링부(430-2d)와 제3베어링부(430-3d) 사이를 연결하고, 제3베어링부(430-3d)와 구동부(450d) 사이에는 제4벨트(464d)가 형성되어 제3베어링부(430-3d)와 구동부(450d)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구동부(450d)가 구동되면 제1벨트(461d) 내지 제4벨트(464d)에 의하여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부(450d)에는 구동홈(254-1d)이 형성되며, 제1와이어(252-1d)는 상기 구동홈(254-1d)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제1모서리부(352-1d)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베어링부(430-1d)에는 제1베어링홈(354-1d)이 형성되며, 제2와이어(252-2d)는 상기 제1베어링홈(354-1d)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제2모서리부(352-2d)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베어링부(430-2d)에는 제2베어링홈(354-2d)이 형성되며, 제3와이어(252-3d)는 상기 제2베어링홈(354-2d)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제3모서리부(352-3d)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3베어링부(430-3d)에는 제3베어링홈(354-3d)이 형성되며, 제4와이어(252-4d)는 상기 제3베어링홈(354-3d)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제4모서리부(352-4d)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구동부(450d)가 구동되면 제1벨트(461d) 내지 제4벨트(464d)에 의하여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가 회전되면서 제1와이어(252-1d) 내지 제4와이어(252-4d)를 풀어주어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의 제4실시예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무게가 비교적 많이 나가는 경우에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무게를 제1와이어(252-1d) 내지 제4와이어(252-4d)를 통하여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에 전달하도록 하고,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150d)의 상부 외측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무게를 분산하여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천정 공조 장치(100)의 제4실시예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130d)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승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벨트(462d) 또는 제4벨트(464d)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벨트에 의해 구동부(450d)와 제1베어링부(430-1d) 내지 제3베어링부(430-3d)가 연결됨으로, 제2벨트(462d) 또는 제4벨트(464d) 중 어느 하나를 생략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천정 공조 장치 101: 천정형 에어컨
110: 에어컨 본체 130: 덕트 하부 프레임부
132: 유입부 134: 유입 덕트 프레임부분
136: 필터부 142: 배출부
144: 배출 날개 150: 덕트 본체 프레임부
151: 이동관 230-1, 230-2: 와이어 고정부
240-1, 240-2: 방향 전환 도르래부 250: 와인딩부
252-1, 252-2, 252-3, 252-4: 와이어
430-1, 430-2, 430-3: 수동 베어링 지지부
432: 상부 지지 플렌지 434: 하부 지지 플렌지
436: 베어링 기어부 450: 구동 지지부
452: 구동모터부 510: 체결공
520: 이동부재 554: 단차부

Claims (6)

  1. 공기가 유동되도록 천정에 형성되는 덕트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프레임부와,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와인딩부와,
    상기 와인딩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와인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 지지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동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지지부의 구동에 의하여 와인딩부가 회전되면서 덕트 하부 프레임부가 승하강되며,
    상기 와인딩부는 원형링 형태이며, 상기 구동 지지부와 수동 베어링 지지부는 와인딩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와인딩부의 내측 둘레에 내측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지지부와 수동 베어링 지지부에는 상기 내측 기어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렌지와, 상기 내측 기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지지 플렌지 및 하부 지지 플렌지 사이에서 상기 내측 기어부에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하부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하부 프레임부에 상기 체결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자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전자석부, 및 상기 이동부재와 탄성부재가 위치되는 이동공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공의 입구에는 이동부재가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도 상기 스톱퍼 부분에 걸리도록 이동부재의 중간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부가 덕트 본체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 본체 프레임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와이어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공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31969A 2019-03-20 2019-03-20 천정 공조 장치 KR10205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69A KR102054923B1 (ko) 2019-03-20 2019-03-20 천정 공조 장치
PCT/KR2020/003789 WO2020190056A1 (ko) 2019-03-20 2020-03-19 천정 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69A KR102054923B1 (ko) 2019-03-20 2019-03-20 천정 공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923B1 true KR102054923B1 (ko) 2019-12-11

Family

ID=6900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969A KR102054923B1 (ko) 2019-03-20 2019-03-20 천정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4923B1 (ko)
WO (1) WO20201900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56A1 (ko) * 2019-03-20 2020-09-24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99A (ja) * 1994-06-14 1995-12-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吸込グリル支持構造
JPH08261551A (ja) * 1995-03-20 1996-10-1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1019297A (ja) * 1996-07-05 1998-01-23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174049A (ja) * 1999-12-20 2001-06-29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784911B1 (ko) * 2015-08-21 2017-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지그
KR20180137459A (ko) 2018-12-18 2018-12-27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공기 정화용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923B1 (ko) * 2019-03-20 2019-12-11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99A (ja) * 1994-06-14 1995-12-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吸込グリル支持構造
JPH08261551A (ja) * 1995-03-20 1996-10-1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1019297A (ja) * 1996-07-05 1998-01-23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174049A (ja) * 1999-12-20 2001-06-29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784911B1 (ko) * 2015-08-21 2017-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지그
KR20180137459A (ko) 2018-12-18 2018-12-27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공기 정화용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56A1 (ko) * 2019-03-20 2020-09-24 장성록 천정 공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0056A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425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CN102272536A (zh) 电动扩散器
KR102054923B1 (ko) 천정 공조 장치
KR2018001937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7285629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473600Y1 (ko) 댐퍼 내장형 디퓨져
WO2011063969A1 (en) Hood unit with lifting/lowering device in the hood
KR1011407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94665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230341146A1 (en) Air outlet with electrical appliance
KR102664218B1 (ko) 공기조화기
KR20120020261A (ko) 자동 개폐식 디퓨저
JP2015140971A (ja) 空気調和機の天井埋込型室内機
JP2016125704A (ja) 空気調和機
KR20210012241A (ko) 공기조화기
KR10204337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346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0169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10016279A (ko) 다방향 토출형 에어컨
JP3034825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584539B1 (ko) 환기 설비용 디퓨저
JP314507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267418B1 (ko)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JP413173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240053404A (ko) 공기 청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