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375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3375B1 KR102043375B1 KR1020180084342A KR20180084342A KR102043375B1 KR 102043375 B1 KR102043375 B1 KR 102043375B1 KR 1020180084342 A KR1020180084342 A KR 1020180084342A KR 20180084342 A KR20180084342 A KR 20180084342A KR 102043375 B1 KR102043375 B1 KR 1020433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protrusion
- air conditioner
- deco
- se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RCBRZBVCDKPGA-UHFFFAOYSA-N 1,2,5-trichloro-3-(2,5-di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l)C(C=2C(=C(Cl)C=C(Cl)C=2)Cl)=C1 CRCBRZBVCDKPG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어 데코를 로어 바디에 장착할 때 발생하는 불편함 및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과,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너 가이드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이너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 사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로어 바디, 아우터 가이드에 장착되며 아우터 가이드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로어 데코를 포함하고, 로어 데코의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는 로어 데코가 착탈되는 착탈부가 형성되고, 착탈부는 돌출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작업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에는 실내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는 공기토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풍향조절부재를 승강시켜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이의 일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33413 B1(2018년02월28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로어 데코를 로어 바디에 장착할 때 발생하는 불편함 및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어 데코를 로어 바디에 신뢰성 높게 장착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너 가이드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이너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 사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로어 바디, 아우터 가이드에 장착되며 아우터 가이드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로어 데코를 포함하고, 로어 데코의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는 로어 데코가 착탈되는 착탈부가 형성되고, 착탈부는 돌출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어퍼 가이드가 형성되고,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는 어퍼 가이드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의 길이는 안착바디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안착바디의 상면과 가이드 레일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돌출부의 저면과 어퍼 가이드 사이의 이격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안착바디는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서 돌출되고, 가이드 레일은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서 함몰되고, 가이드 레일의 높이는 안착바디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는 안착바디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안착바디 대향부를 포함하고, 안착바디 대향부와 안착바디 사이의 거리는 돌출부의 길이 보다 길고, 안착바디 대향부와 안착바디 사이에는 돌출부가 통과하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일단에는 상측 경사면이 형성되고, 안착바디에는 돌출부가 안착바디에 안착될 때 상측 경사면이 타고 올라가는 하측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에 승강되게 배치된 에어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에 장착되어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고, 로어 데코는 에어가이드와 승강기구와 착탈부를 차폐하는 사이드 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데코는 내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사이드 커버부와, 사이드 커버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 가이드의 저면 일부를 덮는 바텀 커버부를 포함하고, 바텀 커버부의 폭은 돌출부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로어 데코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로어 바디의 외면에 형성된 안착바디에 안착되게 로어 데코를 회전시켜 로어 데코를 로어 바디에 장착하므로, 작업자가 간편하게 로어 데코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에 형성된 어퍼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돌출부가 안착바디로 이동되어 안착되므로 로어 데코의 장착 도중에 로어 데코가 임의 낙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한 로어 데코의 회전시 어퍼 가이드 및 가이드 레일이 돌출부를 안착바디로 위로 안내하므로, 돌출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바디에 올려질 수 있고, 작업자는 로어 데코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로어 데코의 돌출부의 상측 경사면이 안착바디의 하측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므로, 상측 경사면 및 하측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보다 적은 힘으로 로어 데코를 장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로어 데코를 로어 바디에 장착시키는 착탈부 및 돌출부는 로어 데코에 의해 차폐되므로, 외관이 간결하고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로어 데코가 스크류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로어 바디에 안착되어 걸리는 방식으로 장착되므로, 부품 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로어 데코의 착탈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데코가 로어 바디에 장착되기 이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바디에 형성된 착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데코에 형성된 돌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퍼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가 안착바디에 안착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데코가 로어 바디에 장착되기 이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바디에 형성된 착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데코에 형성된 돌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퍼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가 안착바디에 안착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과, 케이싱(1)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 바디(2)와, 로어 바디(2)의 하부에 배치된 인렛 그릴(3)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6) 및 열교환기(7)를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2)에 배치되어 팬모터(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8)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 또는 로어 바디(2)의 외둘레에 배치된 컨트롤 박스(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케이스(11)와, 케이싱(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바디(12)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13)(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팬모터(6) 및 열교환기(7)가 수용되는 공간(S1,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상면 및 하면 각각이 개방된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1)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11)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량화를 위해 경량의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을 차폐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케이스(11)가 뒤틀리거나 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강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면, 금속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외둘레면을 분할하여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가상원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 중 적어도 하나(13)와 케이스(11)의 사이에는 컨트롤 박스(9)가 수용되는 공간(S2,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가 케이스(11)의 외둘레에 배치될 경우, 컨트롤 박스(9)는 수평 방향(X)으로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 중 적어도 하나(13)를 향할 수 있고, 이렇게 컨트롤 박스(9)가 향하는 케이스 데코(13)는 컨트롤 박스(9)의 외부에서 컨트롤 박스(9)를 보호하는 컨트롤 박스 데코(13, 도 4 참조)일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 중 헹거(10)가 장착되는 헹거 장착부를 덮는 헹거 데코(14,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컨트롤 박스 데코(13)나 헹거 데코(14)의 옆에 위치하고, 케이스(11)의 외둘레면을 덮는 사이드 데코(15,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데코(13)와 헹거 데코(14) 및 사이드 데코(15)가 가상원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데코(13)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데코(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헹거 데코(14)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데코(1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상부 또는 탑 커버(12)에 안착되는 어퍼 안착부(17, 도 2 및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에 결합되는 로어 결합부(18,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어퍼 안착부(17)와 로어 결합부(18)를 잇는 아우터 커버부(19,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안착부(17)는 아우터 커버부(19)의 상단에서 절곡된 형상일 수 있고, 케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면 또는 탑 커버(12)의 상면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로어 결합부(18)는 아우터 커버부(19)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결합부(18)는 케이스(11)에 형성된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아우터 커버부(19)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케이싱(1)의 내면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6)는 탑 커버(12)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스(11)의 내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탑 커버(12)의 저면 및 케이스(11)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로어 바디(2)에는 공기흡입구(21) 및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케이싱(1)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너 가이드(23)에 공기흡입구(21)가 형성되며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 사이에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케이싱(1)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게 안내할 수 있고, 열교환기(7)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실내를 향하는 토출 패널일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로어 바디(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로어 바디(2)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공기흡입구(21)의 외측에 공기흡입구(21)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이거나 고리 형상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그 하단(22B)의 크기가 그 상단(22A)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에 의해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는 이너 가이드(2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위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하단 높이는 아우터 가이드(24)의 하단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부 외둘레를 둘러싸게 위치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23) 중 하부 일부는 아우터 가이드(24)의 하측을 향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외둘레 중 상부는 수평 방향(X)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고, 이너 가이드(23)의 외둘레에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면(23A)은 아우터 가이드(24)의 반대편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면(23A)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X)에 가깝게 완만한 기울기를 갖고,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수직 방향(Z)에 가깝게 가파른 기울기를 갖을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는 수평 방향(X)으로 이너 가이드(23)를 향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면에는 공기토출구(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아우터 가이드면(24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면(24A)은 이너 가이드(23)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공기토출구(22)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를 연결하는 브릿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복수개의 브릿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릿지(25)는 공기토출구(22)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에는 드레인 팬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면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는 수평 방향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의 입구(22A)는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면 상단과 아우터 가이드(24)의 상단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열교환기(7)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드레인 팬부(26)의 상단과 아우터 가이드(24)의 상단 사이를 통해 공기토출구(22)로 유입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면은 공기토출구(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의 출구(22B)는 이너 가이드(23)의 하부 외둘레와 아우터 가이드(24)의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하부 외둘레에는 이너 가이드(23)의 이너 가이드면(23A)에 안내된 공기를 수평 방향(X)이나 수평 방향에 가깝게 유도하는 출구단(23B)(23C)이 형성될 수 있다.
출구단(23B)(23C)은 토출 가이드(30)의 하부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출구단(23B)(23C)은 이너 가이드면(23A)의 하단에서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방향으로 연장된 제1출구단(23B)과, 제1출구단(23B)에서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꺽인 제2출구단(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하부 외둘레가 출구단(23B)(23C)을 포함하지 않고, 하측 방향 방향으로 완만한 기울기를 갖을 경우, 공기토출구(22)로 토출된 공기는 실내로 넓게 퍼지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출구단(23B)(23C)를 갖을 경우, 이너 가이드면(23A)에 안내된 공기가 수평 방향(X)으로 최대한 넓게 퍼지면서 토출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에는 공기흡입구(21) 및 오리피스 장착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는 중공된 형상일 수 있고, 공기흡입구(21)는 이너 가이드(2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이너 가이드(23)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의 상단의 면적은 공기흡입구(21)의 하단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공기흡입구(21)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이너 가이드(23)의 내둘레에서 공기흡입구(21)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이너 가이드(23)의 내둘레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28)(29)(30)로 구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와, 토출 가이드(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28)는 아우터 가이드(24)와 브릿지(25)와 드레인 팬부(26)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고, 서브 바디(29)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28)의 드레인 팬부(26)에는 열교환기(7)가 안착되는 안착 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메인 바디(28)는 토출 가이드(30) 보다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29)는 내측에 공기흡입구(21)가 형성된 공기 흡입 바디일 수 있다. 서브 바디(29)에는 인렛 그릴(3)이 착탈되는 인렛 그릴 착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29)는 토출 가이드(30) 보다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메인 바디(28)나 서브바디(29)에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그 높이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서브바디(29)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오리피스 장착부(27)가 서브바디(29)에 형성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메인 바디(28)에 형성되는 것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토출 가이드(30)는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는 로어 바디(2)의 경량화를 위해,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 보다 경량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다.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은 수평 방향(X)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은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을 구성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의 공기는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과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면 사이를 통과한 후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공기흡입구(2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이너 가이드(23)의 하부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이너 가이드(23)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에는 인렛 그릴(3) 아래의 공기가 공기흡입구(2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에는 통공(31)을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32)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32)는 인렛 그릴(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2)에 배치된 에어가이드(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공기토출구(22)를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로어 바디(2)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4)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모터(41)와,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42)(4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에는 피니언(42)이 연결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4)에는 피니언(42)이 치합된 랙(43)이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42)과 랙(43)은 모터(41)의 구동력을 에어가이드(4)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42)(43)로 기능할 수 있다. 모터(41)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41)는 아우터 가이드(24)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후술하는 사이드 데코부(5B)와 아우터 가이드(2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텀 데코부(5A) 및 사이드 데코부(5B)에 의해 은닉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상승되었을 때, 로어 바디(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하강되었을 때, 로어 바디(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공기토출구(22)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하측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2)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4)는 복수개의 에어가이드(4)를 잇는 가상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2)의 저면 일부와 로어 바디(2)의 둘레면을 감싸는 로어 데코(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로어 바디(2)의 저면 일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로어 바디(2)의 저면 일부를 커버하는 바텀 데코부(5A)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데코부(5A)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로어 바디(2)의 둘레면 외측에 배치되어 로어 바디(2)의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사이드 데코부(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데코부(5B)는 바텀 데코부(5A)의 외둘레에서 상측 방향으로 세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승강기구(4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리는 승강기구 커버일 수 있다.
팬모터(6)는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장착된 모터(61)과, 모터(61)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6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61)는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61)는 모터 브래킷(미도시)을 통해 탑 커버(12)에 장착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탑 커버(12)에 체결될 수 있다.
팬(62)는 원심형 블로워일 수 있고,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장착될 수 있다. 열교환기(7)의 하단은 드레인 팬부(26)에 형성된 안착 리브에 안착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팬모터(6)의 외측 및 오리피스(8)의 외측에서 팬모터(6) 및 오리피스(8)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냉매가 통과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열교환 바디(71)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으로 말린 형태일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우호 형상으로 말린 형상일 수 있고, 그 일단과 타단이 이격될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튜브와, 튜브에 접촉된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열교환 바디(71)는 핀-튜브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열교환 바디(71)를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고정시키는 열교환기 브래킷(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래킷(72)은 열교환 바디(7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열교환 바디(71)와 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 브래킷(72)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탑 커버(12)에 체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래킷(72)은 복수개가 열교환 바디(71)과 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열교환 바디(71)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막는 열교환기 커버(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8)는 오리피스 장착부(27)에 체결되는 체결부(81)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H)이 형성된 안내부(82)와, 체결부(81)과 안내부(82)를 잇는 연결부(8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81)는 연결부(83)의 하단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82)는 연결부(83)에서 팬(62)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팬(62)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H)은 안내부(8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안내부(82)는 상부와 하부의 크기가 중앙부 보다 클 수 있고, 안내부(82)는 하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중앙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연결부(83)는 안내부(82)의 하단과 체결부(81)의 내둘레를 잇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3)는 체결부(81)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연결부와, 수직 연결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되거나 오리피스(8)에 장착되거나 케이싱(1)에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는 내부에 공간(S3)이 형성된 박스 바디(91)와, 박스 바디(91)의 공간(S3)에 수용된 피시비(92)와, 박스 바디(91)의 공간(S3)을 덮는 박스 커버(9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데코가 로어 바디에 장착되기 이전의 평면도이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를 갖는 로어 바디(2)와, 아우터 가이드(24)에 승강되게 배치된 에어가이드(4)와, 아우터 가이드(24)에 장착되어 에어가이드(4)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4)와 승강기구(40)와 후술하는 착탈부(50)를 차폐하는 로어 데코(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로어 바디(2), 특히 아우터 가이드(24)에 장착될 수 있고, 로어 데코(5)는 아우터 가이드(24)에 장착될 경우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둘레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아우터 가이드(24)의 저면 일부를 덮는 바텀 데코부(5A)와,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둘레면 일부를 덮는 사이드 데코부(5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데코(5)의 내면(5C)에는 돌출부(60)가 형성되고,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면(24B)에는 로어 데코(5)가 착탈되는 착탈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착탈부(50)는 로어 데코(5)를 로어 바디(2)에 1차적으로 안착시키는 가이드 레일(52)과, 로어 데코(5)를 로어 바디(2)에 2차적으로 안착시키는 안착바디(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탈부(50)는 안착바디(51)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안착바디 대향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안착바디(51)와 안착바디 대향부(53) 사이에는 돌출부(60)가 통과하는 틈(5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은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면(24A)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어퍼 가이드(63)가 안착되는 저면(52A)과, 어퍼 가이드(63)가 수평 방향으로 향할 수 있는 측면(52B)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0)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어퍼 가이드(63)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돌출부(60)가 틈(54)으로 삽입되어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된 후, 안착바디(51)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출부(60)가 안착바디(51)의 상면(51B)의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로어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안착바디(51)가 위치한 방향은 시계 방향(CW) 및 반시계 방향(CCW)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로어 데코(5)가 시계 방향(CW)으로 회전되어 로어 바디(2)에 장착된 경우 로어 데코(5)는 시계 방향(CW)의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되어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로어 데코(5)가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되어 로어 바디(2)에 장착된 경우 로어 데코(5)는 반시계 방향(CCW)의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CW)으로 회전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로어 데코(5)가 로어 바디(2)에 장착되기 위한 방향이 시계 방향(CW)이고, 로어 데코(5)가 로어 바디(2)로부터 분리되기 위한 방향이 반시계 방향(CCW)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로어 데코(5)는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될 때 1차 조립이 이루어지고, 돌출부(60)가 안착바디(51)에 안착될 때 2차 조립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외경이 크지만 무게가 가벼워 로어 바디(2)에 1차 조립될 때 가조립 상태가 되어 그 임의 낙하가 제한되고, 로어 바디(2)에 2차 조립되어 체결 완료되므로 로어 바디(2)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의 폭(W1)은 어퍼 가이드(63)의 폭(W2) 보다 클 수 있고, 이 경우 어퍼 가이드(63)는 가이드 레일(5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가이드(63)의 폭(W2)은 0.8mm 내지 1.5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어퍼 가이드(63)의 폭(W2)은 1mm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의 길이(L1)는 안착바디(51)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가이드 레일(52)은 어퍼 가이드(63)를 안착바디(51)까지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은 안착바디(51)와 안착바디 대향부(53) 사이에 형성된 틈(54)과 안착바디(51)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의 길이(L1)는 틈(54)의 길이(L3)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틈(54)의 길이(L3)는 돌출부(60)의 길이(L4) 보다 길 수 있고, 돌출부(60)는 틈(5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안착바디(51)의 길이(L2)는 돌출부(L4)의 길이 보다 길 수 있고, 이 경우 돌출부(L4) 전부는 안착바디(51)에 장착될 수 있다.
돌출부(60)는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된 후 안착바디(51)가 위치한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60)는 안착바디(51)에 형성된 하측 경사면(51A)을 타고 올라가 안착바디(51)의 상면(51B)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돌출부(60)의 일단에는 상측 경사면(60A, 도 8 참고)이 형성되고, 안착바디(51)에는 돌출부(60)가 안착바디(51)에 안착될 때 상측 경사면(60A)이 타고 올라가는 하측 경사면(5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바디에 형성된 착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어 데코에 형성된 돌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바디(51)는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면(24B)에서 돌출되고, 가이드 레일(52)은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면(24B)에서 함몰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은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의 높이(h1)는 안착바디(51)의 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돌출부(60)가 틈(54)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수직 이동된 후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로어 데코(5)는 돌출부(60)가 틈(54)에 삽입되도록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올려져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될 때 로어 바디(2)에 지지되고,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로어 데코(5)가 틈(54)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61)의 일단은 안착바디(51)를 향하고, 돌출부(61)의 타단은 안착바디 대향부(53)를 향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52)의 안내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52)은 어퍼 가이드(63)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은 로어 데코(5)가 로어 바디(2)에 장착될 때 및 로어 데코(5)를 로어 바디(2)에서 탈착할 때 로어 데코(5)를 가이드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바디(51)가 위치한 시계 방향(CW)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어 데코(5)가 회전됨에 따라 돌출부(60)의 일단은 안착바디(51)에 접촉될 수 있다.
돌출부(60)의 일단에는 상측 경사면(60A)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0)의 상측 경사면(60A)은 돌출부(60)의 저면(60B)에서 연장되고, 상측 방향으로 구배질 수 있다.
안착바디(51)에는 돌출부(60)의 상측 경사면(60A)을 가이드하는 하측 경사면(51A)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바디(51)의 일단에는 하측 경사면(51A)이 형성되고, 타단은 로어 바디(2)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하측 경사면(51A)은 안착바디(51)의 상면(51B)에서 연장되고, 하측 방향으로 구배질 수 있다. 안착바디(51)의 하측 경사면(51A)은 돌출부(60)가 안착바디(51)에 안착될 때 안착바디(51)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측 경사면(60A)의 경사 방향과 하측 경사면(51A)의 경사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측 경사면(60A)의 경사 각도와 하측 경사면(51A)의 경사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하측 경사면(51A)은 경사 각도는 상측 경사면(60A)의 경사 각도 보다 작을 수 있고, 하측 경사면(51A)의 경사가 상측 경사면(60A)의 경사 보다 완만할 수 있다.
돌출부(60)는 안착바디(51)의 하측 경사면(51A)을 타고 올라감에 따라 안착바디(51)에 보다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돌출부(60) 및 안착바디(51)에 상측 경사면(60A) 및 하측 경사면(51A)이 형성된 경우에는 돌출부(60) 및 안착바디(51)에 상측 경사면(60A) 및 하측 경사면(51A)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보다 돌출부(60)가 안착바디(51)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즉,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로어 데코(5)를 로어 바디(2)에 장착시킬 때 소모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돌출부(60)의 상측 경사면(60A)이 안착바디(51)의 하측 경사면(51A)을 올라탄 후, 시계 방향(CW)으로 더 회전됨에 따라 돌출부(60)는 저면(60B)이 안착바디(51)의 상면(50B)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내면(51C)에 돌출부(60)가 형성된 사이드 커버부(5B)와, 사이드 커버부(5B)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 가이드(24)의 저면 일부를 덮는 바텀 커버부(5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부(5B)는 로어 바디(2)의 외둘레에 장착되는 에어가이드(4)와 승강기구(40) 및 착탈부(50)를 수평방향으로 차폐할 수 있다. 바텀 커버부(5A)의 폭(W3)은 돌출부(60)의 폭(W4) 보다 클 수 있고, 이 경우 바텀 커버부(5A)는 돌출부(60)를 수직방향으로 차폐할 수 있다. 바텀 커버부(5A)의 폭(W3)은 돌출부(60)의 폭(W4) 보다 크되, 바텀 커버부(5A)는 에어가이드(4)의 하강시 위치를 가리지 않는 길이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돌출부(60)가 안착바디(51)에 안착되어 지지됨에 따라 로어 바디(2)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퍼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가 안착바디에 안착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0)가 틈(54)에 삽입되었을 때 어퍼 가이드(63)는 가이드 레일(52)에 안착될 수 있다.
돌출부(60) 전부가 틈(54)에 위치하는 경우 돌출부(60)는 안착바디(51)와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60)는 로어 데코(5)가 틈(54)에서 안착바디(51)가 위치한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함에 따라 안착바디(51)에 지지될 수 있다.
안착바디(51)의 상면(51B)과 가이드 레일(52)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돌출부(60)의 저면(60B)과 어퍼 가이드(63) 사이의 이격 거리(d2) 보다 짧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0)가 안착바디(51)에 안착되었을 때 어퍼 가이드(63)는 가이드 레일(52)과 이격되고, 돌출부(60)의 저면(60B)이 안착바디(51)의 상면(51B)에 안착될 수 있다.
로어 데코(5)가 로어 바디(2)에 완전 체결된 상태에서는 돌출부(60)의 저면(60B)에 안착바디(51)의 상면(51B)에 안착될 수 있다.
로어 데코(5)가 로어 바디(2)에 완전 체결된 상태에서 흔들림이 발생하여 돌출부(60)가 안착바디(51)에서 분리되더라도, 돌출부(60)의 상단에 형성된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걸려 로어 데코(5)의 낙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어 바디(2)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착탈부(60)가 형성되고, 로어 데코(5)의 내면에는 복수개의 착탈부(60) 각각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돌출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착탈부(60)는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면(24B)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돌출부(60)는 사이드 데코부(5B)의 내면(5C)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착탈부(60) 각각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고, 복수개의 돌출부(60) 각각의 이격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로어 데코(5)가 로어 바디(2)에 장착된 경우 복수개의 돌출부(60) 각각은 복수개의 착탈부(60), 즉 복수개의 안착바디(51) 각각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로어 데코(5)는 복수개의 어퍼 가이드(63)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어퍼 가이드(63) 각각의 내측단을 잇는 원의 직경은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면(24B) 직경 보다 작고, 가이드 레일(52)의 측면(52B)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작업자는 로어 데코(5)를 잡고, 돌출부(60)를 틈(54) 아래에 위치시킨 후, 로어 데코(5)를 상승시켜 돌출부(60)를 틈(54)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돌출부(60)가 틈(54)으로 상승되는 동안, 어퍼 가이드(63)는 아우터 가이드(24)의 외면(24B)에 접촉되어 아우터 가이드(24)를 따라 상승되고,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와 동일 높이로 상승되면, 어퍼 가이드(63)은 가이드 레일(52)에 올려질 수 있다.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올려지면, 로어 데코(5)는 아우터 가이드(24)에 1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로어 데코(5)는 아우터 가이드(24)에 가조립될 수 있다.
돌출부(60)가 틈(54)에 위치되고, 어퍼 가이드(63)가 가이드 레일(52)에 올려진 후, 작업자는 돌출부(60)가 안착 바디(5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로어 데코(5)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 때, 가이드 레일(52)은 어퍼 가이드(63)를 슬라이드 안내할 수 있고, 로어 데코(5)의 원활한 회전을 도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어 데코(5)의 회전 및 안내 시, 돌출부(60)는 안착 바디(51)에 접촉될 수 있고, 안착 바디(51)의 상면으로 타고 올라갈 수 있으며, 돌출부(60)는 안착 바디(51)에 하측 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
돌출부(60)의 전부가 안착 바디(51)의 위에 올려지면, 로어 데코(5)는 아우터 가이드(24) 특히, 안착 바디(51)에 하측 방향으로 구속되어 걸릴 수 있고, 로어 데코(5)의 장착은 완료될 수 있다.
로어 데코(5)의 분리는 상기와 같은 로어 데코(5)의 장착과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하,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로어 데코(5)를 로어 바디(2)에 장착/분리시킬 때 필요한 작업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로어 데코(5)는 스크류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로어 바디(2) 상에 안착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부품 수를 줄이고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로어 데코(5)가 로어 바디(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착탈부(50) 및 돌출부(60)가 차폐되어 심플한 외관을 형성하는 미적 향상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로어 바디 5: 로어 데코
50: 착탈부 51: 안착 바디
52: 가이드 레일 53: 안착바디 대향부
54: 틈 60: 돌출부
63: 어퍼 가이드
50: 착탈부 51: 안착 바디
52: 가이드 레일 53: 안착바디 대향부
54: 틈 60: 돌출부
63: 어퍼 가이드
Claims (9)
-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너 가이드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 사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로어 바디;
상기 아우터 가이드에 장착되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로어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 데코의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는 상기 로어 데코가 착탈되는 착탈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어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는 상기 어퍼 가이드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는 상기 안착바디의 길이 보다 긴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바디의 상면과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돌출부의 저면과 상기 어퍼 가이드 사이의 이격 거리 보다 짧은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바디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서 함몰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는 상기 안착바디의 높이 보다 높은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가이드의 외면에는 상기 안착바디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안착바디 대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바디 대향부와 상기 안착바디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 보다 길고,
상기 안착바디 대향부와 상기 안착바디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가 통과하는 틈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는 상측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바디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착바디에 안착될 때 상기 상측 경사면이 타고 올라가는 하측 경사면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가이드에 승강되게 배치된 에어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 데코는 상기 에어가이드와 승강기구와 착탈부를 차폐하는 사이드 커부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데코는
내면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사이드 커버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우터 가이드의 저면 일부를 덮는 바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커버부의 폭은 상기 돌출부의 폭 보다 큰 천장형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342A KR102043375B1 (ko) | 2018-07-19 | 2018-07-19 | 천장형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342A KR102043375B1 (ko) | 2018-07-19 | 2018-07-19 | 천장형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3375B1 true KR102043375B1 (ko) | 2019-11-11 |
Family
ID=6853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4342A KR102043375B1 (ko) | 2018-07-19 | 2018-07-19 | 천장형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337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6120Y1 (ko) * | 2009-03-11 | 2009-09-28 | 거성전자산업(주) | 천장 매립형 하우징 |
KR20090102932A (ko) * | 2008-03-27 | 2009-10-01 | 이기동 | 환기덕트의 디퓨저 |
KR20180019376A (ko) * | 2016-08-16 | 2018-0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2018
- 2018-07-19 KR KR1020180084342A patent/KR1020433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2932A (ko) * | 2008-03-27 | 2009-10-01 | 이기동 | 환기덕트의 디퓨저 |
KR200446120Y1 (ko) * | 2009-03-11 | 2009-09-28 | 거성전자산업(주) | 천장 매립형 하우징 |
KR20180019376A (ko) * | 2016-08-16 | 2018-0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KR101833413B1 (ko) | 2016-08-16 | 2018-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2202993B2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EP2206974B1 (en)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able intake panel | |
AU2018337546B2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313903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043375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WO2007081078A2 (en) |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102043379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034643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101695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CN115244341B (zh) | 吊顶式空调室内机 | |
KR102282432B1 (ko) | 천장형 공기 조화기 | |
KR102285819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20200009672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20200005016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046399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354742B1 (ko) | 천장형 공기 조화기 | |
KR102102236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101658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62902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477942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278985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282476B1 (ko) | 천장형 공기 조화기 | |
KR102275594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2285853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20180089786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