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016A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016A
KR20200005016A KR1020180078149A KR20180078149A KR20200005016A KR 20200005016 A KR20200005016 A KR 20200005016A KR 1020180078149 A KR1020180078149 A KR 1020180078149A KR 20180078149 A KR20180078149 A KR 20180078149A KR 20200005016 A KR20200005016 A KR 20200005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ir
roller
air guid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247B1 (ko
Inventor
김강연
김연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2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기 및 팬모터가 내장된 케이싱과, 케이싱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로어 바디, 공기토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에어가이드 및 로어 바디에 연결되어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로어 바디와 에어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와 접촉되게 장착되어 에어 가이드의 승강시 로어 바디와 에어가이드 중 다른 하나를 따라 구르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에는 실내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는 공기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풍향조절부재를 승강시켜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이의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33413 B1(2018년02월28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33413 B1(2018년02월28일 공고)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와 로어 바디의 마찰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 및 팬모터가 내장된 케이싱과, 케이싱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로어 바디, 공기토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에어가이드 및 로어 바디에 연결되어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로어 바디와 에어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와 접촉되게 장착되어 에어 가이드의 승강시 로어 바디와 에어가이드 중 다른 하나를 따라 구르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는 로어 바디에 접촉되는 외면을 갖고, 가이드면과 로어 바디를 이격시키는 두께를 갖을 수 있다.
롤러는 에어가이드의 상단과 하단 중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는 가이드면에 장착되어 로어 바디를 따라 구르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롤러와, 가이드면의 반대면에 장착되어 로어 바디를 따라 구르는 아우터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롤러는 가이드면에 복수개 장착되고, 복수개의 이너 롤러는 에어가이드의 중앙과 단부 중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에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롤러 장착홈이 함몰될 수 있다.
롤러는 롤러 장착홈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과, 지지축에 연결되고 일부가 롤러 장착홈에 수용된 구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부재의 두께는 롤러 장착홈의 깊이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로어 바디에는 에어가이드의 상승시 에어가이드가 수용되는 에어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고, 에어가이드 수용부는 저면 및 외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 수용부는 에어가이드의 상승시 가이드면을 향하는 내측면과, 에어가이드의 상단이 향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 수용부를 커버하는 로어 데코를 더 포함하고, 로어 데코는 외측면을 덮는 사이드 데코부와, 사이드 데코부에서 연장되고 내측면과 이격되는 바텀 데코부를 포함하고, 바텀 데코부와 내측면의 사이에는 에어가이드의 두께 보다 큰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는 가이드면에 장착되고 내측면에 접촉되어 내측면을 따라 구르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롤러는 가이드면에 복수개 장착되고, 복수개의 이너 롤러는 에어가이드의 중앙과 단부 중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의 곡률반경은 로어 바디의 내측면 곡률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롤러는 가이드면의 반대면에 장착된 아우터 롤러를 포함하고, 로어 바디에는 아우터 롤러가 접촉되는 아우터 롤러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가이드는 내측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가이드는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롤러가 구르면서 에어가이드의 승강을 안내하므로, 에어가이드가 로어 바디에 면접촉되면서 승강 안내될 경우 보다, 에어가이드 및 로어바디의 마찰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 승강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롤러가 에어가이드의 하단에 장착될 경우 보다, 롤러가 에어가이드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너 롤러 및 아우터 롤러가 이너 가이드의 가이드면 및 가이드면의 반대면을 안내할 수 있어, 에어가이드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 이너 롤러가 에어가이드의 단부를 로어 바디와 이격시킬 수 있고, 에어가이드 단부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롤러의 구름부재 일부가 에어가이드의 롤러 장착홈에 수용되므로, 로어 바디와 가이드면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구름부재가 에어가이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로어 데코가 에어가이드 수용부를 커버하여 에어가이드 및 롤러가 로어 바디 및 로어 데코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롤러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 및 롤러의 조립체가 에어가이드 수용부의 내측면과 아우터 롤러 가이드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리피스가 장착된 로어 바디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구와, 이너 롤러, 아우터 롤러 및 에어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의 일부와 승강기구와, 이너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롤러 및 로어 바디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의 일부, 아우터 롤러 및 아우터 롤러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우터 롤러, 아우터 롤러 가이드 및 로어 바디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에 형성된 롤러 장착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롤러와 아우터 롤러 및 로어 바디가 도시된 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과, 케이싱(1)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 바디(2)와, 로어 바디(2)의 하부에 배치된 인렛 그릴(3)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6) 및 열교환기(7)를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2)에 배치되어 팬모터(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8)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 또는 로어 바디(2)의 외둘레에 배치된 컨트롤 박스(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케이스(11)와, 케이싱(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바디(12)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13)(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팬모터(6) 및 열교환기(7)가 수용되는 공간(S1,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상면 및 하면 각각이 개방된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1)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11)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량화를 위해 경량의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을 차폐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케이스(11)가 뒤틀리거나 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강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면, 금속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외둘레면을 분할하여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가상원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 중 적어도 하나(13)와 케이스(11)의 사이에는 컨트롤 박스(9)가 수용되는 공간(S2,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가 케이스(11)의 외둘레에 배치될 경우, 컨트롤 박스(9)는 수평 방향(X)으로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 중 적어도 하나(13)를 향할 수 있고, 이렇게 컨트롤 박스(9)가 향하는 케이스 데코(13)는 컨트롤 박스(9)의 외부에서 컨트롤 박스(9)를 보호하는 컨트롤 박스 데코(13, 도 4 참조)일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 중 헹거(10)가 장착되는 헹거 장착부를 덮는 헹거 데코(14,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컨트롤 박스 데코(13)나 헹거 데코(14)의 옆에 위치하고, 케이스(11)의 외둘레면을 덮는 사이드 데코(15,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데코(13)와 헹거 데코(14) 및 사이드 데코(15)가 가상원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데코(13)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데코(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헹거 데코(14)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데코(1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상부 또는 탑 커버(12)에 안착되는 어퍼 안착부(17, 도 2 및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에 결합되는 로어 결합부(18,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어퍼 안착부(17)와 로어 결합부(18)를 잇는 아우터 커버부(19,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안착부(17)는 아우터 커버부(19)의 상단에서 절곡된 형상일 수 있고, 케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면 또는 탑 커버(12)의 상면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로어 결합부(18)는 아우터 커버부(19)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결합부(18)는 케이스(11)에 형성된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아우터 커버부(19)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케이싱(1)의 내면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6)는 탑 커버(12)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스(11)의 내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탑 커버(12)의 저면 및 케이스(11)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로어 바디(2)에는 공기흡입구(21) 및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케이싱(1)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게 안내할 수 있고, 열교환기(7)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실내를 향하는 토출 패널일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로어 바디(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로어 바디(2)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공기흡입구(21)의 외측에 공기흡입구(21)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이거나 고리 형상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그 하단(22B)의 크기가 그 상단(22A)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에 의해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는 이너 가이드(2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위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하단 높이는 아우터 가이드(24)의 하단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부 외둘레를 둘러싸게 위치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23) 중 하부 일부는 아우터 가이드(24)의 하측을 향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외둘레 중 상부는 수평 방향(X)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고, 이너 가이드(23)의 외둘레에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면(23A)은 아우터 가이드(24)의 반대편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면(23A)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X)에 가깝게 완만한 기울기를 갖고,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수직 방향(Z)에 가깝게 가파른 기울기를 갖을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는 수평 방향(X)으로 이너 가이드(23)를 향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면에는 공기토출구(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아우터 가이드면(24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면(24A)은 이너 가이드(23)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공기토출구(22)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를 연결하는 브릿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복수개의 브릿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릿지(25)는 공기토출구(22)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에는 드레인 팬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면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는 수평 방향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의 입구(22A)는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면 상단과 아우터 가이드(24)의 상단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열교환기(7)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드레인 팬부(26)의 상단과 아우터 가이드(24)의 상단 사이를 통해 공기토출구(22)로 유입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면은 공기토출구(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의 출구(22B)는 이너 가이드(23)의 하부 외둘레와 아우터 가이드(24)의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하부 외둘레에는 이너 가이드(23)의 이너 가이드면(23A)에 안내된 공기를 수평 방향(X)이나 수평 방향에 가깝게 유도하는 출구단(23B)(23C)이 형성될 수 있다.
출구단(23B)(23C)은 토출 가이드(30)의 하부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출구단(23B)(23C)은 이너 가이드면(23A)의 하단에서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방향으로 연장된 제1출구단(23B)과, 제1출구단(23B)에서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꺽인 제2출구단(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하부 외둘레가 출구단(23B)(23C)을 포함하지 않고, 하측 방향 방향으로 완만한 기울기를 갖을 경우, 공기토출구(22)로 토출된 공기는 실내로 넓게 퍼지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출구단(23B)(23C)를 갖을 경우, 이너 가이드면(23A)에 안내된 공기가 수평 방향(X)으로 최대한 넓게 퍼지면서 토출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에는 공기흡입구(21) 및 오리피스 장착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는 중공된 형상일 수 있고, 공기흡입구(21)는 이너 가이드(2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이너 가이드(21)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의 상단의 면적은 공기흡입구(21)의 하단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공기흡입구(21)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이너 가이드(23)의 내둘레에서 공기흡입구(21)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이너 가이드(23)의 내둘레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28)(29)(30)로 구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와, 토출 가이드(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28)는 아우터 가이드(24)와 브릿지(25)와 드레인 팬부(26)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고, 서브 바디(29)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28)의 드레인 팬부(26)에는 열교환기(7)가 안착되는 안착 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메인 바디(28)는 토출 가이드(30) 보다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29)는 내측에 공기흡입구(21)가 형성된 공기 흡입 바디일 수 있다. 서브 바디(29)에는 인렛 그릴(3)이 착탈되는 인렛 그릴 착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29)는 토출 가이드(30) 보다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메인 바디(28)나 서브바디(29)에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그 높이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서브바디(29)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오리피스 장착부(27)가 서브바디(29)에 형성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메인 바디(28)에 형성되는 것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토출 가이드(30)는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는 로어 바디(2)의 경량화를 위해,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 보다 경량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다.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은 수평 방향(X)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은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을 구성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의 공기는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과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면 사이를 통과한 후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공기흡입구(2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이너 가이드(23)의 하부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이너 가이드(23)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에는 인렛 그릴(3) 아래의 공기가 공기흡입구(2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에는 통공(31)을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32)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32)는 인렛 그릴(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2)에 배치된 에어가이드(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공기토출구(22)를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로어 바디(2)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4)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모터(41)와,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42)(4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에는 피니언(42)이 연결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4)에는 피니언(42)이 치합된 랙(43)이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42)과 랙(43)은 모터(41)의 구동력을 에어가이드(4)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42)(43)로 기능할 수 있다. 모터(41)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41)는 아우터 가이드(24)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후술하는 사이드 데코부(5B)와 아우터 가이드(2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텀 데코부(5A) 및 사이드 데코부(5B)에 의해 은닉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상승되었을 때, 로어 바디(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하강되었을 때, 로어 바디(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공기토출구(22)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하측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2)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4)는 복수개의 에어가이드(4)를 잇는 가상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2)의 저면 일부와 로어 바디(2)의 둘레면을 감싸는 로어 데코(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로어 바디(2)의 저면 일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로어 바디(2)의 저면 일부를 커버하는 바텀 데코부(5A)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데코부(5A)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로어 바디(2)의 둘레면 외측에 배치되어 로어 바디(2)의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사이드 데코부(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데코부(5B)는 바텀 데코부(5A)의 외둘레에서 상측 방향으로 세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승강기구(4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리는 승강기구 커버일 수 있다.
팬모터(6)는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장착된 모터(61)과, 모터(61)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6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61)는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61)는 모터 브래킷(미도시)을 통해 탑 커버(12)에 장착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탑 커버(12)에 체결될 수 있다.
팬(62)는 원심형 블로워일 수 있고,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장착될 수 있다. 열교환기(7)의 하단은 드레인 팬부(26)에 형성된 안착 리브에 안착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팬모터(6)의 외측 및 오리피스(8)의 외측에서 팬모터(6) 및 오리피스(8)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냉매가 통과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열교환 바디(71)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으로 말린 형태일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우호 형상으로 말린 형상일 수 있고, 그 일단과 타단이 이격될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튜브와, 튜브에 접촉된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열교환 바디(71)는 핀-튜브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열교환 바디(71)를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고정시키는 열교환기 브래킷(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래킷(72)은 열교환 바디(7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열교환 바디(71)와 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 브래킷(72)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탑 커버(12)에 체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래킷(72)은 복수개가 열교환 바디(71)과 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열교환 바디(71)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막는 열교환기 커버(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8)는 오리피스 장착부(27)에 체결되는 체결부(81)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H)이 형성된 안내부(82)와, 체결부(81)과 안내부(82)를 잇는 연결부(8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81)는 연결부(83)의 하단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82)는 연결부(83)에서 팬(62)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팬(62)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H)은 안내부(8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안내부(82)는 상부와 하부의 크기가 중앙부 보다 클 수 있고, 안내부(82)는 하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중앙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연결부(83)는 안내부(82)의 하단과 체결부(81)의 내둘레를 잇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3)는 체결부(81)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연결부와, 수직 연결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되거나 오리피스(8)에 장착되거나 케이싱(1)에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는 내부에 공간(S3)이 형성된 박스 바디(91)와, 박스 바디(91)의 공간(S3)에 수용된 피시비(92)와, 박스 바디(91)의 공간(S3)을 덮는 박스 커버(9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리피스가 장착된 로어 바디의 저면도이다.
로어 바디(2)는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23) 및 아우터 가이드(24)와,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 사이에 형성되며,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 사이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에는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하며 공기토출구(22)의 하단(22B)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이 형성되고, 아우터 가이드(24)에는 이너 가이드(23)를 향하며 공기토출구(22)의 하단(22B)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아우터 가이드면(24A)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공기토출구(2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로어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로어 바디(2)에는 에어가이드(4)의 상승시 에어가이드(4)가 수용되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가 형성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 수용부(50, 도 9 참고)는 아우터 가이드(24)와 로어 데코(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에어가이드(4)를 승강시킬 수 있고, 승강기구(40)는 에어가이드(4)와 함께 에어가이드 수용부(50)에 수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상승시 에어가이드(4)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에 수용되며, 공기토출구(22)에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4)의 하단(4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하강시 에어가이드(4)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에어가이드(4)의 가이드면(104)은 공기토출구(22)를 향하고, 공기토출구(22)에서 토출된 공기는 가이드면(104)에 부딪힌 후 가이드면(10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면(24A)은 공기토출구(22)의 입구(22A)와 출구(22B)를 따라 형성되며, 에어가이드(4)는 아우터 가이드면(24A)의 하단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승강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 수용부(50) 중 일부(50C, 도 9 참고)는 아우터 가이드면(24A)의 하단(24B)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 수용부(50) 중 내측면(50C)은 아우터 가이드(24)의 하단(24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내측면(50C)과 에어가이드(4)의 면 접촉을 최소화하여 승강시키는 롤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구와, 이너 롤러, 아우터 롤러 및 에어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가이드(4)는 공기토출구(22)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상부에는 승강기구(40)가 연결되고, 승강기구(40)는 로어 바디(2)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에는 하강시 공기토출구(22)를 향하는 가이드면(104)이 형성되고, 가이드면(104)에는 공기토출구(22)에서 토출된 공기가 부딪힐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에어가이드(4)의 승강을 안내하는 롤러(210)(220)(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에 롤러(210)(220)(230)가 장착될 경우,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에어가이드(4)와 로어 바디(2) 사이의 마찰 및 마모를 최소화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롤러(210)(220)(230)는 로어 바디(2)와 에어가이드(4)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와 접촉되게 장착되어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로어 바디(2)와 에어가이드(4) 중 다른 하나를 따라 구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210)(220)(230)는 로어 바디(2)에 접촉되게 에어가이드(4)에 장착되어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로어 바디(2)를 따라 구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는 에어가이드(4)에 접촉되게 로어 바디(2)에 장착되어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에어가이드(4)를 따라 구를 수 있다.
이 경우,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로어 바디(2)와 에어가이드(4)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롤러(210)(220)(230)는 에어가이드(4)의 상단(4U)과 하단(4L) 중 상단(4U)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210)(220)(230)는 에어가이드(4)의 상단(4U)과 하단(4L) 중 상단(4U)에 더 가깝게 배치될 경우 하단(4L)에 더 가깝게 배치될 경우 보다 에어가이드(4)의 승강을 안내하는 거리가 더 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4)의 하강시 하단(4L)은 로어 바디(2)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롤러(210)(220)(230)는 로어 바디(2)와 비접촉되어 회전하지 않거나 에어가이드(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에어가이드(4)의 상단(4U)은 에어가이드(4)가 최저 높이로 하강한 경우에도 로어 바디(2)와 수평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210)(220)(230)는 에어가이드(4)의 상단(4U)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에어가이드(4)의 승강을 안내 가능한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롤러(210)(220)(230)는 에어가이드(4)의 가이드면(104)과 가이드면(104)의 반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가이드면(104)에 장착되는 롤러는 이너 롤러(210)(220)로 정의되고, 가이드면(104)의 반대면에 장착되는 롤러는 아우터 롤러(230)로 정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너 롤러(210)(220)는 에어가이드(4)의 가이드면(104)에 장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에 복수개의 이너 롤러(210)(220)가 장착되는 경우 복수개의 이너 롤러(210)(220)는 에어가이드(4)의 단부(4A)(4B)와 중앙(4C) 중 단부(4A)(4B)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에 제1 이너 롤러(210)와 제2 이너 롤러(220)가 장착되는 경우 제1 이너 롤러(210)는 에어가이드(4)의 제1 단부(4A)와 중앙(4C) 중 제1 단부(4A)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제2 이너 롤러(220)는 에어가이드(4)의 제2 단부(4B)와 중앙(4C) 중 제2 단부(4B)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 롤러(210)(220)는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에어가이드(4)의 단부(4A)(4B)가 로어 바디(2)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4)는 로어 바디(2)와 이격되어 있어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에어가이드(4)의 단부(4A)(4B)가 로어 바디(2)에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4)의 단부(4A)(4B)와 인접한 위치에 이너 롤러(210)(220)가 장착될 경우 상술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에는 롤러(210)(220)(23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롤러 장착홈(214)(224)(234)이 함몰될 수 있다. 롤러(210)(220)(230)는 롤러 장착홈(214)(224)(234)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212)(222)(232)과, 지지축(212)(222)(232)에 연결되는 구름부재(211)(221)(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의 일부와 승강기구와, 이너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롤러 및 로어 바디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이너 롤러(210)는 가이드면(104)에 장착되어, 로어 바디(2)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4)의 가이드면(104)에는 롤러 장착홈(214)이 함몰될 수 있고, 롤러 장착홈(214)에 이너 롤러(2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너 롤러(210)의 지지축(212)은 가이드면(104)에서 가이드면(104)의 반대면 방향으로 에어가이드(4)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너 롤러(21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212)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212)은 롤러 장착홈(214)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롤러(210)가 하나의 지지축(212)을 포함하는 경우 구름부재(211)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축(212)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지지축(212)의 외면 중 일부가 구름부재(211)에 의해 수용되는 형태로 이너 롤러(210)가 롤러 장착홈(21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너 롤러(210)는 지지축(212) 에 의해 에어가이드(4)에 고정되고, 이너 롤러(210)는 에어가이드(4)에 고정된 상태에서 에어가이드(4)와 로어 바디(2)를 이격시키고, 에어가이드(4)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구름부재(211)의 두께(W1)는 롤러 장착홈(214)의 깊이(W2)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 경우, 이너 롤러(210)가 롤러 장착홈(214)에 장착되면 구름부재(211)에 의해 가이드면(104)은 로어 바디(2)와 이격될 수 있다. 즉, 구름부재(211)의 두께에 의해 에어가이드(4)는 로어 바디(2)와 이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와 로어 바디(2) 사이에 이격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고, 이격 공간(S4)에는 구름부재(211)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가 로어 바디(2)와 이격되어 승강하는 경우 에어가이드(4)가 로어 바디(2)와 면접촉되어 승강하는 경우 보다 마찰 및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너 롤러(210)는 로어 바디(2)와 접촉되는 외면(211A)을 갖을 수 있고, 외면(211A)은 구름부재(2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롤러(210)의 외면(211A)은 로어 바디(2) 중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내측면(50C)에 접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2)에는 에어가이드(4)의 상승시 에어가이드(4)가 수용되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가 형성되고, 에어가이드 수용부(50)는 저면(50A) 및 외측면(50B)이 개방되며, 에어가이드(4)의 상승시 가이드면(104)을 향하는 내측면(50C)과 에어가이드(4)의 상단(4U)이 향하는 상면(50D)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되며, 에어가이드 수용부(50)를 커버할 수 있다. 로어 데코(50)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외측면(50B)을 덮는 사이드 데코부(5B)와, 사이드 데코부(5B)에서 연장되며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저면(50A) 일부를 덮는 바텀 데코부(5A)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50)의 내측면(50C)과 상면(40D)은 로어 바디(2)의 일부일 수 있다.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저면(5A) 일부와, 외측면(50B)은 로어 데코(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 수용부(50)에 수용되는 에어가이드(4)와 이너 롤러(210) 및 승강기구(40)는 로어 데코(5)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이너 롤러(21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텀 데코부(5A)는 사이드 데코부(5B)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내측면(50C)과 이격될 수 있다. 바텀 데코부(5A)와 내측면(50C)의 사이에는 에어가이드(4)의 두께(W3) 보다 큰 틈(51)이 형성될 수 있고, 틈(51) 사이로 에어가이드(4)가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가이드(4)의 두께(W3)는 에어가이드(4) 하부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의 일부, 아우터 롤러 및 아우터 롤러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우터 롤러, 아우터 롤러 가이드 및 로어 바디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아우터 롤러(230)는 가이드 면(104)의 반대면에 장착되며, 로어 바디(2)를 따라 구를 수 있다.
로어 바디(2)에는 아우터 롤러(230)가 접촉되며, 아우터 롤러(2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아우터 롤러(230)는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에 접촉되어 승강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는 로어 바디(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상면(50D)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상면(50D)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내측면(50C)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는 로어 데코(5)가 로어 바디(2)에 장착될 경우 로어 데코(5)와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는 사이드 데코부(5B)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바텀 데코부(5A)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가이드면(104)의 반대면(105)에는 롤러 장착홈(234)이 함몰될 수 있고, 롤러 장착홈(234)에 아우터 롤러(230)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230)의 지지축(232)은 에어가이드(4)의 가이드면(104) 반대면(105)에서 가이드면(104)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230)는 이너 롤러(210)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232)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232)은 롤러 장착홈(234)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230)가 하나의 지지축(232)을 포함하는 경우 구름부재(231)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축(232)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지지축(232)의 외면 중 일부가 구름부재(231)에 의해 수용되는 형태로 아우터 롤러(230)가 롤러 장착홈(234)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230)는 지지축(232)에 의해 에어가이드(4)에 고정되고, 아우터 롤러(230)는 에어가이드(4)에 고정된 상태에서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에 접촉되어 에어가이드(4)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구름부재(231)의 두께(W1)는 롤러 장착홈(234)의 깊이(W2) 보다 두꺼울 수 있다. 구름부재(231)의 두께(W1)에 의해 구름부재(231)의 일부는 에어가이드(4)에서 돌출되어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에 접촉되며, 에어가이드(4)는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4)의 승강시 에어가이드(4)와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230)의 구름부재(231)에는 로어 바디(2), 특히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에 접촉되는 외면(23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2)의 외둘레면 하부에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 수용부(50)는 가이드면(104)이 향하는 내측면(50C)과, 에어가이드(4)의 상단(4U)이 향하는 상면(50D)을 포함하고, 내측면(50C)은 아우터 가이드면(24A)에서 연장되고, 상면(50D)은 내측면(50C)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 수용부(50)의 저면(50A)과 외측면(50B)은 개방될 수 있고, 저면(50A)의 일부는 바텀 데코부(5A)에 의해 커버되고, 외측면(50B)은 사이드 데코부(5B)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텀 데코부(5A)와 사이드 데코부(5B)는 에어가이드 수용부(50)에 수용된 에어가이드(4), 아우터 롤러(230) 및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바텀 데코부(5A)와 사이드 데코부(5B)는 아우터 롤러(23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텀 데코부(5A)와 로어 바디(2) 사이에는 에어가이드 두께(W3) 보다 큰 틈(51)이 형성되고, 에어가이드(4)가 틈(51) 사이로 승강하는 경우 아우터 롤러(230)는 아우터 롤러 가이드(240)를 따라 에어가이드(4)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가이드에 형성된 롤러 장착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롤러와 아우터 롤러 및 로어 바디가 도시된 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가이드면(104)에 함몰된 롤러 장착홈(214)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가이드면(105)의 반대면에 함몰되며 아우터 롤러(230)가 장착되는 롤러 장착홈(234)은 도 12에 도시된 롤러 장착홈(214)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롤러 장착홈(214)은 가이드면(104)에 함몰될 수 있다. 롤러 장착홈(214)에는 롤러(21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롤러(210)는 구름부재(211)와, 구름부재(211)의 회전 축이며 구름부재(211)를 에어가이드(4)에 고정시키는 지지축(212)을 포함하며, 롤러 장착홈(214)에는 구름부재(211)의 일부가 수용되는 구름부재 홈(214A)과, 지지축(212)의 일부가 수용되는 지지축 홈(214B)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210)는 지지축(212)의 양단이 지지축 홈(214B)을 관통하여 에어가이드(4)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에어가이드(4)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롤러(210)를 에어가이드(4)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롤러(210)의 장착이 용이하며 장착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한편, 롤러 장착홈(214)에는 지지부재(214C)가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214C)는 에어가이드(4)에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재(214C)는 지지축(212)의 일부가 지지축 홈(214B)을 통과할 때 관통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지지부재(214C)는 지지축(212)의 일부를 지지하여 구름부재(211)가 구름부재 홈(214A)의 내면과 면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름부재(211)는 에어가이드(4)와 접촉되지 않아 회전이 용이할 수 있다.
롤러(210)가 에어가이드(4)에 장착시 롤러(210)는 일부가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에어가이드(4)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4)에서 돌출된 롤러(210)의 나머지 일부가 아우터 가이드(24)와 에어가이드(4)를 이격시켜 이격 공간(S4)을 형성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에어가이드(4)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에어가이드(4)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롤러(210)(220)(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210)(220)(230) 각각은 에어가이드(4) 중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하는 가이드면(104)과 가이드면(104)의 반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롤러(210)(220)(230) 중 이너 롤러(210)(220)는 가이드면(104) 중 제1 단부(210) 및 제2 단부(22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아우터 롤러(230)는 가이드 면(104)의 반대면 중 중앙(4C)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 롤러(210)(220)는 에어가이드(4)가 아우터 가이드(24) 방향으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아우터 롤러(230)는 에어가이드(4)가 아우터 가이드(24)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롤러(210)(220)(230)는 에어가이드(4)의 수평방향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곡률반경(R1, 도 6 참조)은 로어 바디(2)의 내측면(50C) 곡률반경(R2, 도 6 참조)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에어가이드(4)의 단부(4A)(4B)와 로어 바디(2)의 내측면(50C) 사이의 거리는 에어가이드(4)의 단부(4A)(4B)와 로어 바디(2)의 내측면(50C) 사이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한편, 에어가이드(4)의 단부(4A)(4B)와 중앙(4C) 중 단부(4A)(4B)에 더 근접하게 설치된 롤러(210)(220)(230)는 에어가이드(4)에 의해 로어 바디(2)의 내측면(50C)으로 가압될 수 있고, 롤러(210)(220)(230)는 로어 바디(2)에 밀착된 상태에서 로어 바디(2)를 따라 구를 수 있다. 즉, 롤러(210)(220)(230)는 로어 바디(2)에서 들뜨지 않고, 에어가이드(4)를 보다 신뢰성 높게 승강 안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 에어가이드 50: 에어가이드 수용부
104: 가이드면
210, 220: 이너 롤러 230: 아우터 롤러
240: 아우터 롤러 가이드
211, 221, 231: 구름부재 212, 222, 232: 지지축
214, 224, 234: 롤러 장착홈

Claims (17)

  1. 열교환기 및 팬모터가 내장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로어 바디;
    상기 공기토출구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에어가이드; 및
    상기 로어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로어 바디와 에어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와 접촉되게 장착되어 상기 에어 가이드의 승강시 상기 로어 바디와 에어가이드 중 다른 하나를 따라 구르는 롤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로어 바디에 접촉되는 외면을 갖고,
    상기 가이드면과 상기 로어 바디를 이격시키는 두께를 갖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단과 하단 중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면에 장착되어 상기 로어 바디를 따라 구르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롤러와;
    상기 가이드면의 반대면에 장착되어 상기 로어 바디를 따라 구르는 아우터 롤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롤러는 상기 가이드면에 복수개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너 롤러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중앙과 단부 중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에는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롤러 장착홈이 함몰된 천정형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 장착홈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롤러 장착홈에 수용된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의 두께는 상기 롤러 장착홈의 깊이 보다 두꺼운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에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승시 상기 에어가이드가 수용되는 에어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 수용부는 저면 및 외측면이 개방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 수용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승시 상기 가이드면을 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단이 향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 수용부를 커버하는 로어 데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 데코는 상기 외측면을 덮는 사이드 데코부와,
    상기 사이드 데코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측면과 이격되는 바텀 데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데코부와 내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두께 보다 큰 틈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면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내측면을 따라 구르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롤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롤러는 상기 가이드면에 복수개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너 롤러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중앙과 단부 중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곡률반경은 상기 로어 바디의 내측면 곡률반경 보다 작은 천장형 공기조화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면의 반대면에 장착된 아우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 바디에는
    상기 아우터 롤러가 접촉되는 아우터 롤러 가이드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롤러 가이드는 상기 내측면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롤러 가이드는 상기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80078149A 2018-07-05 2018-07-05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0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49A KR102102247B1 (ko) 2018-07-05 2018-07-05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49A KR102102247B1 (ko) 2018-07-05 2018-07-05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16A true KR20200005016A (ko) 2020-01-15
KR102102247B1 KR102102247B1 (ko) 2020-04-20

Family

ID=6915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49A KR102102247B1 (ko) 2018-07-05 2018-07-05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564A (ko) * 2021-03-05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262A (ja) * 2002-10-15 2004-05-13 Toshiba Kyaria Kk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880688B1 (ko) * 2007-10-29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9299929A (ja) * 2008-06-10 2009-12-24 Toshiba Carrier Corp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80019376A (ko) * 2016-08-16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262A (ja) * 2002-10-15 2004-05-13 Toshiba Kyaria Kk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880688B1 (ko) * 2007-10-29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9299929A (ja) * 2008-06-10 2009-12-24 Toshiba Carrier Corp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80019376A (ko) * 2016-08-16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833413B1 (ko) 2016-08-16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564A (ko) * 2021-03-05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247B1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562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EP2206974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able intake panel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EP3686509B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20000501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936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10169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5202636A (zh) 空调器制冷组件、空调器和建筑结构
KR1020346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4337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3238A (ko) 공기조화기
KR10204337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0165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13120040A (ja) 空気調和機
KR10228243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10895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0223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4639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09001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090010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5244341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102477942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0010643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7898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82476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