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23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238A
KR20090043238A KR1020070108978A KR20070108978A KR20090043238A KR 20090043238 A KR20090043238 A KR 20090043238A KR 1020070108978 A KR1020070108978 A KR 1020070108978A KR 20070108978 A KR20070108978 A KR 20070108978A KR 20090043238 A KR20090043238 A KR 20090043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air
direction control
discharge por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265B1 (ko
Inventor
황성진
유희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265B1/ko
Priority to CN2008100983801A priority patent/CN101424422B/zh
Priority to CN200910265543A priority patent/CN101737871A/zh
Publication of KR2009004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바디와; 상기 토출구 바디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좌우 회전기구와; 상기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그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레그 사이에 통로가 형성된 서포터를 포함하여, 좌우 풍향조절부재가 토출구 바디의 내부 깊숙이 위치되면서 그 안내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토출 공기를 원거리까지 토출, 확산시킬 수 있고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토출구 바디, 좌우 풍향조절부재, 좌우 회전기구, 레그, 통로, 서포터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바디가 본체의 상측으로 승강되고,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토출구 바디의 내부 깊숙이 위치시키면서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하부를 토출구 바디에 설치된 서포터가 지지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방열 기능의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냉각 및 압축 기능의 실외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 압축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의 전면부 하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 입구가 개구 형성되고, 캐비닛의 전면부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개구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5-0025476호에는 상기와 같이 토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5-0025476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의 전방에 공기 토출구가 개구 형성된 프론트 패널이 배치되고, 프론트 패널에 공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가 프론트 패널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상측 지지부재 및 하측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방 상부인 상측 지지부재 및 하측 지지부재를 통과하는 도중에 풍향조절부재에 안내되어 그 풍향이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10-2005-0025476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의 높이가 고정되게 위치되어 그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없고, 공기 토출구가 상시 개방되어 있어 공기조화기의 전면 상부의 미관이 떨어짐과 아울러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5-0091801호에는 캐비닛의 상측으로 상승되고 캐비닛의 내측으로 하강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5-0091801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은 그 전면과 좌,우 양측면과 저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좌,우, 전면의 개구면을 통과하는 공기를 확산시키는 그릴이 토출구 유닛의 외곽부에 상하 로 길게 형성된 걸이부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어 캐비닛에서 상승된 공기가 토출구 유닛의 내부를 통과한 후 토출구 유닛의 외곽부인 그릴에 의해 확산되면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10-2005-0091801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그릴이 회전되는 구조가 아닌 고정 구조로 장착되어 그 풍향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들은 풍향조절부재 등이 캐비닛이나, 토출구 유닛의 내부 깊숙이 위치되지 않고 전면부나 좌,우 측면부 등의 외곽부에만 배치되어 토출 공기의 안내 길이가 짧으므로 풍향 조절 능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토출 공기를 원거리로 토출 안내할 수 없고, 충분하게 확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토출 공기를 원거리까지 토출, 확산시킬 수 있고, 아울러 토출 공기가 토출구 유닛의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하게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우 풍향조절부재와 상하 풍향조절부재의 크기를 최대화하면서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기구가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최적의 위치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제공 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바디와; 상기 토출구 바디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좌우 회전기구와; 상기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그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레그 사이에 통로가 형성된 서포터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토출구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토출구 바디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결합부의 맞은 편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축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 바디는 상부에 상기 토출구 바디에 형성된 공기 유로와 구획된 전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하나를 회전시키고 상기 전장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연동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좌우 회전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 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하나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축 관통홀과,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나머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축 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나머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을 감싸서 지지하는 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장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스이다.
상기 전장부를 덮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 바디 또는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 풍향조절부재는 앞부분 중앙에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회피하는 회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 레그의 상측 위치에 상하 회전되게 배치된다.
상기 회피부는 높이가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는 뒷부분의 중앙에 상기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회피하는 회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토출구 바디의 좌측부 옆에 위치하는 좌측부와, 상기 토출구 바디의 우측판 옆에 위치하는 우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회전 기구는 상기 서포터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가 상기 토출구 바디와 이격된다.
상기 상하 회전기구는 상기 서포터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하나와 상기 토출구 바디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의 상단 사이에 상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는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의 좌,우 중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상하 회전 기구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의 좌,우 중 타측에 돌출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를 갖는 서포터가 설치되어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토출구 바디의 내부 깊숙한 위치에 설치하면서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전후 방향 길이 등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토출 공기를 원거리까지 토출 안내하면서 확산시 킬 수 있고, 복수개의 레그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 서포터가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공기를 통과시키므로 토출 공기가 토출구 유닛의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고 서포터에 의한 송풍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서포터가 토출구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레그는 결합부에서 돌출되어 복수개의 레그가 흔들림 없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출구 바디는 상부에 공기 유로와 구획된 전장부가 형성되고,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전장부에 설치되므로, 공조 공기에 의한 모터의 이슬 맺힘이나 열 전달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 등을 감싸기 위한 별도의 모터 커버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앞부분과 상하 풍향조절부재의 뒷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 상호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부를 형성하여 좌우 풍향조절부재와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최대한 크게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서포터가 좌측부와 우측부와 상판부를 포함하여 서포터의 전체적인 강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서포터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어느 하나에 상하 회전 기구가 설치되고 좌측부와 우측부 중 어느 하나에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토출구 바디에 상하 회전기구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한 구조물이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토출구 바디의 구조가 간단하고, 토출구 바디의 외측으로 상하 회전기구나 상 하 풍향조절부재의 지지를 위한 구조물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토출구 바디의 승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하 회전기구가 서포터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하나와 토출구 바디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하 회전기구가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으고, 공조 공기에 의한 상하 회전기구의 이슬 맺힘이나 열 전달을 방지할 수 있고, 상하 회전기구를 감싸기 위한 별도의 커버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6)가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되는 등의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8)(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의를 위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체(2)는 하부에 공기 흡입구(4)(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구(8)(10)가 형성되어 대략 그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그 내부에서 공조한 후 그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를 갖고, 크게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과, 상부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본체(2)의 저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부 패널(30)(40)에 설치된 후술하는 청소 유닛(36)(46)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이물질 처리 장치가 설치된다.
이물질 처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청소 유닛(36)과 좌측 호스(13)로 연결되고, 우측 청소 유닛(46)과 우측 호스(14)로 연결된 이물질 분리기(15)와, 이물질 분리기(15)와 연결되어 이물질 분리기(15) 및 호스(13)(14)와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유닛(16)과, 이물질 분리기(15)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이물질 수거통(17)과,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과 흡입력 발생유닛(16)을 제어하는 청소 제어부(18)를 포함한다.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측부(24)와 우측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캐비닛(20)은 좌측부(24)와 우측부(26)가 후판부(22)와 직교하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판부(22)와 경 사지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부 패널(30)(40)은 좌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공기 흡입구(6)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4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30)은 캐비닛(20)의 좌측부(24)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4)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좌측 하부 패널(30)에는 좌측 필터(32)가 장착되는 좌측 필터 케이스(34)가 설치되고, 좌측 하부 패널(30)과 좌측 필터 케이스(34)의 사이 공간에는 좌측 하부 패널(30)과 좌측 필터(32)와 좌측 필터 케이스(3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승강되면서 좌측 필터(3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좌측 청소 유닛(36)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은 캐비닛(20)의 우측부(26)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8)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에는 우측 필터(42)가 장착되는 우측 필터 케이스(44)가 설치되고, 우측 하부 패널(40)과 우측 필터 케이스(44)의 사이 공간에는 우측 하부 패널(40)과 우측 필터(42)와 우측 필터 케이스(4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승강되면서 우측 필터(4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우측 청소 유닛(46)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부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대략 전판부(52)와 좌 측부(53)와 우측부(54)로 이루어진다.
상부 패널(50)은 전판부(52)와 좌측부(53)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좌측부(53)에 대해 경사진 좌측 토출부(55)가 형성되고, 좌측 토출부(55)에 좌측 공기 토출구(8)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여기서, 좌측 토출부(55)는 후술하는 좌측 베인(90)의 닫힘시 좌측 베인(90)에 돌출되게 구비된 좌측 풍향조절부(92)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패널(50)은 전판부(52)와 우측부(54)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우측부(54)에 대해 경사진 우측 토출부(56)가 형성되고, 우측 토출부(56)에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여기서, 우측 토출부(56)는 후술하는 우측 베인(100)의 닫힘시 우측 베인(100)에 돌출되게 구비된 우측 풍향조절부(102)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본체(2)는 상부 패널(50)의 전방에 전면 커버(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전면 커버(60)는 상부 패널(50)의 전방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되, 전체적으로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의 일부(62)가 좌측 토출부(55)의 전방을 차폐하고, 우측의 일부(64)가 우측 토출부(56)의 전방을 차폐한다.
여기서, 전면 커버(60)는 좌측 공기 토출구(8)와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직진되지 않고,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을 향 해 유도되게 막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좌측 베인(90) 및 우측 베인(10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좌측 풍향조절부(92)와 우측 풍향조절부(102)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막는 일종의 차폐 부재의 역할을 한다.
한편, 본체(2)는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만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 뿐만 아니라 좌,우 하부 패널(30)(40)의 전방 및 좌,우 하부 패널(30)(40) 사이의 전방도 함께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만을 덮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체(2)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70)이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회동되게 연결된다.
전면 패널(70)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의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좌,우 중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전면 패널(70)은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 패널(50) 및 전면 커버(6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여닫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전면 패널(70)은 닫힘시를 기준으로 내,외 혹은 전,후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재(71)(72)가 상호 결합되는 복수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미관을 형성하고 본체(2)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부재(71)와,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 부재(72)와, 외측 부재(71)를 내측 부재(72)와 결합시키는 홀더(73)를 포함한다.
외측 부재(71)는 투명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배면에 색상 및 장식미를 갖는 판체나 시트나 층구조의 장식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색상이나 문양 등을 갖고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외측 부재(71)는 글래스나 페브릭나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내측 부재(72)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72a)이 형성되고, 개구홀(72a) 또는 개구홀(72a)의 후방 위치에는 외측 부재(71)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4)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2)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본체(2) 내부로 흡입한 후 본체(2)의 외부로 토출되게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송풍기(310)에서 송풍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75)를 포함한다.
송풍기는 본체(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그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송풍기로서,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76)와, 팬모터(76)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77)과, 송풍팬(77) 및 팬모터(76)를 둘러싸고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78)과, 팬 하우징(78)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79)를 포함한다.
열교환기(75)는 송풍기 특히 팬 하우징(78)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체(2)에는 공기 흡입구(4)(6)와 공기 토출구(8)(10) 중 적어도 하나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90)(100)이 설치된다.
이하, 베인(90)(100)은 공기 흡입구(4)(6)와 공기 토출구(8)(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베인(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구(4)(6)를 개폐함과 아울러 공기 흡입구(4)(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베인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구(8)(10)를 개폐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8)(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베인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인(90)(100)은 좌측 공기 흡입구(4)와 좌측 공기 토출구(8)를 동시에 여닫고, 좌측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좌측 공기 토출구(8)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베인(90)과, 우측 공기 흡입구(6)와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동시에 여닫고, 우측 공기 흡입구(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베인(100)으로 이루어진다.
좌측 베인(90)은 본체(2)의 외부 특히 본체(2)의 전방부 좌측 위치에서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무빙되어 좌측 공기 흡입구(4) 및 그 주변과 좌측 공기 토출구(8) 및 그 주변을 모두 함께 덮는 것에 의해 좌측 공기 흡입구(4)와 좌측 공기 토출구(8)를 함께 닫고, 좌측 공기 흡입구(4)와 좌측 공기 토출구(8)를 모두 덮는 위치에서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무빙되어 좌측 공기 흡입구(4)와 좌측 공기 토출구(8)를 함께 개방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좌측 베인(90)은 닫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전방부 좌측면 패널로서,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을 모두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 옆에서 회전 동작되면서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 전체를 여닫는다.
그리고, 좌측 베인(90)은 좌측 공기 토출구(8)와 대응되는 위치에 그 열림시 좌측 공기 토출구(4)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그 닫힘시 좌측 토출부(55)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좌측 풍향조절부(9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반면에, 우측 베인(100)은 본체(2)의 외부 특히 본체(2)의 전방부 우측 위치에서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좌측 방향으로 무빙되어 우측 공기 흡입구(6) 및 그 주변과 우측 공기 토출구(10) 및 그 주변을 모두 함께 덮는 것에 의해 우측 공기 흡입구(6)와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함께 닫고, 우측 공기 흡입구(6)와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덮는 위치에서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무빙되어 우측 공기 흡입구(6)와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함께 개방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우측 베인(100)은 닫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전방부 우측면 패널로서, 우측 하부 패널(4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을 모두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하부 패널(4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 옆에서 회전 동작되면서 우측 하부 패널(3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 전체를 여닫는다.
그리고, 우측 베인(100)은 우측 공기 토출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그 열림시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그 닫힘시 우측 토출부(56)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우측 풍향조절부(10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경우 그 생산 및 운반 등이 용이하지 않고, 본체(2)에 설치되어 무빙될 때 일부가 흔들리거나 휘는 반면에,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되 복수개의 부재가 상호 결합된 조립체로 구성될 경우 각각의 부재의 생산 및 운반 등이 용이하고, 본체(2)에 설치되어 무빙될 때 일부가 흔들리거나 휘는 것이 최소화되는 바, 이하,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 각각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 각각은 외부에서 주로 보이는 부분인 외측 부재(120)를 글래스나 목재나 금속재나 장식부를 갖는 합성수지물와 같이 미감이 높은 부재로 구성하면, 글래스나 목재나 금속재나 합성수지물의 장식부 등에 의한 미감이 향상되고, 글래스나 목재나 합성수지물 등을 교체하면 새로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모두가 판체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내부에 빈 공 간(94)(104)을 갖도록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판체 형상이 아닌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반면에,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은 내부 특히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사이에 빈 공간(94)(104)이 형성될 경우, 즉,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판체 형상이 아닌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빈 공간(94)(104)이 일종의 단열층을 이루게 되어 찬 공기가 내측 부재(110)에 안내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외측 부재(120) 외면의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베인(90)(100)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오히려 그 구동시의 흔들림이나 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으로 하강되게 설치되는 가능하고,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상측 위치에서 상하 혹은 좌우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상측에서 승강되거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토출구 유닛(80)이 승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본체(2)는 그 상면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면을 갖거나 그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토출구 유닛(80)은 본체(2)의 개구면이나 개구부를 통해 승강 구동된다.
본체(2)에는 토출구 유닛(80)이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82)가 설치되고,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78)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82)의 상면 즉, 본체(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78)가 밀폐/은닉된다.
여기서, 승강 가이드(82)는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2)의 사이 공간 중 상부 특히 열교환기(310)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승강 가이드(82)에는 승강 가이드(82)와 캐비닛(20) 사이의 틈 및 승강 가이드(82)와 상부 패널(50) 사이의 틈을 가리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상부 장식부재(84)가 설치된다.
여기서, 토출구 유닛(80)은 토출구 유닛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승강 동작되는 바, 토출구 유닛 구동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된 상태일 때의 일부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토출구 유닛의 정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82)는 토출구 유닛(80)이 그 내부로 하강됨과 아울러 본체(2)의 상부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토출구 유닛(80)을 승강 동작시키는 토출구 유닛 구동기구(150)은 구 동원과, 구동원에 연동되어 토출구 유닛(80)을 승강 동작시키는 동력 전달부로 이루어지는데, 구동원과 동력전달부는 일부가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되고 나머지가 본체(2)에 설치되고, 이하 토출구 유닛(80)과 승강 가이드(82)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토출구 유닛 구동기구(150)는 구동원이 모터(152)로 이루어지고, 동력 전달부가 모터(152)에 연결된 구동기어(154)와, 구동기어가 치합된 종동 기어(156)로 이루어지며, 구동 기어(154)는 모터(152)의 회축에 연결된 피니언으로 구성되고, 종동 기어(156)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구성된다.
토출구 유닛 구동기구(150)는 모터(152)가 승강 가이드(82)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156)가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반대로 모터(152)가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156)가 승강 가이드(82)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 종동 기어(156)가 승강 가이드(82)에 설치되고, 모터(152)가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되어 그 구동시 토출구 유닛(80)과 함께 승강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모터(152)와 구동 기어(154)와 종동 기어(156)는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는 위치인 토출구 유닛(80) 및 승강 가이드(82)의 네 모서리측이나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출구 유닛(80)이 보다 안정감 있게 승강되도록 복수 셋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터(152)가 토출구 유닛(80)의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모터(152)의 각각에는 구동 기어(154)가 설치되며, 종동 기어(156)가 승강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종동 기어(156)는 승강 가이드(82)의 둘레부 내벽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승강 가이드(82)의 둘레부 내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승강 가이드(82)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용부(157)와; 수용부(157)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수용부(157)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며 구동 기어(160)가 치합되는 기어부(158)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토출구 유닛(80)은 종동 기어(156)를 따라 안내되거나 종동 기어(156)가 회피되는 홈부(86)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모터(152)를 덮는 모터 커버(159)가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유닛(8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바디(210)와,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와, 좌우 회전기구(260)와, 서포터(270)와,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를 포함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한 후 본체의 상측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토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방과 좌,우 양측 등의 여러 방향으로 분산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 등의 한 방향으로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가 밑에서 올라서 유동 방향이 전방 방향으로 꺽인 후 토출구 유닛(8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유로 구조를 가지는 바, 전체적으로 저면과 전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좌,우,후,상면이 막히고 저면과 전면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밑에서 올라온 공기를 전방으로 유도하는 유로 가이드(211)가 내부의 후방측에 구비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측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었을 때, 본체(2)의 상면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바, 그 상부에는 모터나 피시비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212)가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전장부(21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213)가 설치된다.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와 상하 풍향조절부재(280) 각각은 공기를 안내하는 폭 즉, 전후 방향 길이가 길수록 풍향 조절 능력이 향상됨과 아울러 공기의 확산도를 높일 수 있고, 공기를 최대한 멀리 토출되게 안내할 수 있으므로 전후 길이가 최대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둘 중 하나가 토출구 바디(210)의 내부 깊숙이 설치될수록 다른 하나의 전후 방향 길이 등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바, 전체적으로 전,후 위치되게 설치되면서 전후 방향 길이 등의 크기를 최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토출구 유닛(200)은, 본체(2)의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가 밑에서 올라서 유동 방향이 전방 방향으로 꺽인 후 토출구 유닛(20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유로 구조를 가지므로, 수직한 안내면을 갖는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가 수평한 안내면을 갖는 상하 풍향조절부재(280)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즉,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그 수직한 회전 중심이 토출구 바디(210)의 전,후,중앙부 중에서 대략 중앙부이나 후방부에 위치되고, 상하 풍향조절부재(280)는 그 수평한 회전 중심이 토출구 바디(210)의 대략 전방부에 위치된다.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토출구 바디(210)의 내부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토출구 바디(210)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 배치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공조 공기를 좌우 확산시키도록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복수개 중 어느 하나(230)가 좌우 회전 기구(260)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나머지(220)(240)(250)가 회전 동작되는 좌우 풍향조절부재(230)에 연동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하, 좌우 회전 기구(260)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 풍향조절부재(230)라 칭하고,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다른 좌우 풍향 풍향조절부재를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로 설명한다.
여기서, 구동 풍향조절부재(230)는 상하 중 일측에 좌우 회전기구(260)에 연결되는 회전축(232)이 구비되고, 상하 중 타측에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34)이 구비되며,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와 연동부재(264)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축(2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회전 축(222)(224)(242)(244)(252)(254)이 구비되고,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와 연동부재(264)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축(226)(246)(256)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동부재(264)는 구동 풍향조절부재(230)가 좌우 회전기구(260)에 의해 회전될 때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가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일종의 연결 링크로서, 후술하는 모터와 함께 좌우 회전기구(260)를 구성한다.
연동부재(264)는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하측 후방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연결축(226)(236)(246)(256)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홀(265)(266)(267)(268)이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편,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앞부분 중앙에 상하 풍향조절부재(280)를 회피하는 회피부(228)(238)(248)(258)가 후방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회피부(228)(238)(248)(258) 높이가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좌우 풍향조절부재와 같이 복수개의 조절부재가 구비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조절부재가 연동 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의 양측단에 좌,우측단부(303)(304)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와 좌,우 측단부 (303)(30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 도 가능하며, 이하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조화기 특히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상하 회전기구(300)에 의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하 회전기구(300)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바, 좌,우 중 일측에 상하 회전기구(310)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회전축(305)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좌,우 중 타측에 토출구 바디(210)와 서포터(27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6)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뒷부분 좌,우측 사이에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를 회피하는 회피부(307)(308)가 전방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우 회전기구(260)가 토출구 바디(210)의 하부 위치나 상부 위치에서 구동 풍향조절부재(230)를 회전시키는데, 토출구 바디(210)의 구조가 하면이 개방이고 구동 풍향조절부재(230)가 토출구 바디(210)의 내부 깊숙이 위치하므로, 좌우 회전기구(260)는 토출구 바디(210)의 상부 위치에서 구동 풍향조절부재(230)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토출구 바디(210)의 상부 특히 전장부(212)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좌우 회전기구(260)는 회전축(261)이 하부로 돌출되게 전장부(212)에 설치된 모터로 이루어지고, 전장부(212)에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체결보스(214)에 체결부재(262)로 체결되는 체결부(263)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회전축 관통홀(215)의 상측 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의 상부 회전축(222)(242)(252)이 서포터(270)와 토출구 바디(21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의 하부 회전축(234) 및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의 하부 회전축(224)(244)(254)이 서포터(270)와 토출구 바디(21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데,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의 상부 회전축(222)(242)(252)은 토출구 바디(21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 회전축(224)(234)(244)(254)은 토출구 바디(210)의 저면이 개방된 구조이므로, 서포터(270)에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회전축(305)(306)이 서포터(270)와 토출구 바디(21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데, 토출구 유닛(250)의 외곽부인 토출구 바디(210)가 승강 가이드(8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상하 회전기구(310)는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서포터(270)에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포터(270)는 복수개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하부 회전축(224)(234)(244)(254)을 지지하는 레그(271)(272)(273)(274)의 복수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 사이에 통로(276)(277)(278)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는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하부 회전축(224)(234)(244)(254)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홀부 형상인 축 지지부(271a)(272a)(273a)(274a)가 형성된다.
서포터(270)는 토출구 바디(210)에 결합되는 결합부(280)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는 흔들리지 않도록 결합부(280)에서 돌출되어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하부로 연장된다.
서포터(270)는 결합부(280)가 토출구 바디(210)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가 결합부(280)에서 결합부(280)의 맞은 편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통로(276)(277)(278)의 형성을 위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다.
서포터(270)는 결합부(280)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판체부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가 돌출된 부분 이외의 위치에 토출구 바디(210)의 전면 하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체결부(219)의 체결공(219a)과 대응되는 체결공(280a)이 형성됨과 아울러 체결부(219)의 체결공(219a)을 관통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81)가 체결되는 보스(280b)가 후방으로 돌출된다.
서포터(270)는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의 후단이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 후면 즉, 유로 가이드(211)와 접하는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 후면 즉, 유로 가이드(211)와 이격되는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개 레그(271)(272)(273)(274)가 충분한 강도을 갖을 수 있고 하부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복수개 좌우 풍향조절 부재(220)(230)(240)(250)의 하부 회전축(224)(234)(244)(254)을 지지하는 길이만큼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터(270)는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레그(271)가 서포터(270)의 후술하는 좌측부(281)나 토출구 바디(210)의 좌측부 이격되어 좌측 레그(271)의 좌측에 좌측 통로(275)를 갖고,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레그(274)가 서포터(270)의 후술하는 우측부(282)나 토출구 바디(210)의 우측부 이격되어 우측 레그(274)의 좌측에 좌측 통로(279)를 갖는다.
한편, 서포터(270)는 상하 풍향조절부재(300) 및 상하 회전기구(310)의 설치를 위해 토출구 바디(210)의 좌측부 내측 옆에 위치하는 좌측부(282)와, 토출구 바디(210)의 우측판 내측 옆에 위치하는 우측부(283)를 포함하고, 좌측부(282) 및 우측부(283)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판부(284)를 더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전면과 배면과 하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서포터(270)는 그 하면 특히, 레그(271)(272)(273)(274)의 옆 및 후방을 통과한 공기가 좌측부(282)와 우측부(283)과 상판부(284)에 안내되어 그 전면 특히, 결합부(280)의 상측으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일종의 유로 가이드로서,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 후방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211)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즉,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 후방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211)가 공기를 전방으로 유도하는 후방측 유로 가이드이고, 서포터(270)가 전방으로 유동 방향이 꺽인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전방측 유로 가이드이다.
서포터(270)는 좌측부(282) 및 우측부(283)가 상하 회전기구(310)의 설치 및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지지를 위해 토출구 바디(2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와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하 회전기구(310)는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벽과 서포터(210)의 외측벽 사이에 위치되게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벽과 서포터(210)의 외측벽 중 하나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311)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하 회전기구(310)인 모터는 서포터(210)의 좌측부(282)와 우측부(283) 중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체결보스(282a)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12)로 체결되는 체결부(3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 상측 위치에 상하 회전되게 배치되는 바, 서포터(270)는 좌측부(282)와 우측부(283) 중 어느 하나에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좌,우 중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305)과 상하 회전 기구(310)의 회전축(311)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축 관통홀(285)이 형성되고, 좌측부(282)와 우측부(283) 중 다른 하나에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좌,우 중 타측에 돌출된 회전축(30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286)가 형성된다.
여기서, 축 지지부(286)는 회전축(306)이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관통되는 홀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축(306)을 둘러싸면서 지지하도록 옆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회전축(30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삽입홈이 형성된 보스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서포터(270)는 상판부(284)에 복수개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상부 회전축(222)(232)(242)(252)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회전축 관통홀(287)(288)(289)(290)이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구 바디(210)는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하나인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의 상부 회전축(232)과 좌우 회전기구(260)의 회전축(261)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홀(215)과,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나머지인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의 상부 회전축(222)(242)(2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지지부(216)(217)(218)가 형성된다.
여기서, 축 지지부(216)(217)(218)는 회전축(222)(242)(252)이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관통되는 홀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축(222)(242)(252)을 둘러싸면서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회전축(222)(242)(25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삽입홈이 형성된 보스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150)의 모터(152)가 상승 모드로 동작되면,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의 내측 위치에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즉, 본체(2)의 상측으로 상승되고, 토출구 유닛(80)의 공기 토출구(78)는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즉, 본체(2)의 상측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이 상승되고, 좌,우 베인(90)(100)이 옆으로 회전되어 열린 상태에서, 송풍기의 모터(76)가 구동되어 송풍팬(77)이 회전되면, 실 내의 공기는 좌,우 하부 공기 흡입구(4)(6)를 통해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고, 열교환기(75)와 열교환된 후 일부가 좌,우로 유동되어 좌,우 공기 토출구(8)(10)을 통해 토출되고, 나머지가 상측으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토출구 바디(210)의 개구된 저면을 통해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으로 올라온 공기 중 본체(2)의 내측 후방에서 상측으로 올라온 공기는 유로 가이드(211)에 의해 유동 방향이 전방으로 바뀐 후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좌,우 양면의 안내를 받아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배치 방향으로 좌우 풍향이 조절되면서 서포터(27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안내된 공기는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상판부(301) 양면 및 하판부(302) 양면의 안내를 받아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배치 방향으로 상하 풍향이 조절되면서 서포터(270)의 개구된 전면 및 토출구 바디(210)의 개구된 전면을 통과하여 토출구 유닛(250)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된다.
그리고,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으로 올라온 공기 중 본체(2)의 내측 전방에서 상측으로 올라온 공기는 레그(271)(272)(273)(274) 옆의 통로(275)(276)(277)(278)(279)를 통과하여 서포터(27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서포터(270)의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고, 특히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안내를 받아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배치 방향으로 상하 풍향이 조절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우 풍향조절부 재(220)(230)(240)(250)가 서포터(270)의 레그(271)(272)(273)(274)에 지지된 상태에서 토출구 바디(210)의 내부 깊숙하게 위치되어, 토출구 바디(210)의 전후 방향으로 내부 깊숙한 위치에서부터 공기를 안내하므로,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에 의한 좌우 풍향 조절 능력 및 확산도와 공기의 직진 토출 거리가 증대되고,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도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공기를 안내하므로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에 의한 상하 풍향 조절 능력 및 확산도와 공기의 직진 토출 거리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된 상태일 때의 일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일부 종단면도,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토출구 유닛의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베이스 4: 좌측 공기 흡입구
6: 우측 공기 흡입구 8: 좌측 공기 토출구
10: 우측 공기 토출구 12: 베이스
14: 경사부 20: 캐비닛
30: 좌측 하부 패널 40: 우측 하부 패널
50: 상부 패널 55: 좌측 토출부
56: 우측 토출부 60: 전면 커버
70: 전면 패널 80: 토출구 유닛
82: 승강 가이드 90: 좌측 베인
100: 우측 베인 150: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
152: 모터 154: 구동 기어
156: 종동 기어 210: 토출구 바디
211: 유로 가이드 212: 전장부
213: 탑 커버 215: 축 관통홀
216,217,218: 축 지지부 219: 체결부
220,230,240,250: 좌우 풍향조절부재
222,232,242,252: 상부 회전축 224,234,244,254: 하부 회전축
226,236,246,256: 연결축 228,238,248,258: 회피부
260: 좌우 회전기구 261: 회전축
264: 연동부재 270: 서포터
271,272,273,274: 레그 275,276,277,2778,279: 통로
280: 결합부 282: 좌판부
283: 우판부 284: 상판부
285: 축 관통홀 286: 축 지지부
287,288,289,290: 축 관통홀 300: 상하 풍향조절부재
301: 상판부 302: 하판부
303: 좌판부 204: 우판부
305,306: 회전축 307,308: 회피부
310: 회전기구 311: 회전축

Claims (19)

  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바디와;
    상기 토출구 바디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와;
    상기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그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레그 사이에 통로가 형성된 서포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토출구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토출구 바디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결합부의 맞은 편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그는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축 지지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바디는 상부에 상기 토출구 바디에 형성된 공기 유로와 구획된 전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하나를 회전시키고 상기 전장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연동시키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하나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축 관통홀과,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나머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지지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 중 나머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을 감싸서 지지하는 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장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스인 공기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를 덮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 바디 또는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 풍향조절부재는 앞부분 중앙에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회피하는 회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 레그의 상측 위치에 상하 회전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는 높이가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 공 기조화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는 뒷부분의 좌,우측 사이에 상기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회피하는 회피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토출구 바디의 좌측부 옆에 위치하는 좌측부와, 상기 토출구 바디의 우측부 옆에 위치하는 우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회전 기구는 상기 서포터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가 상기 토출구 바디와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회전기구는 상기 서포터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하나와 상기 토출구 바디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 공기조화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의 상단 사이에 상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는 상기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의 좌,우 중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상하 회전 기구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상하 풍향조절부재의 좌,우 중 타측에 돌출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070108978A 2007-10-29 2007-10-29 공기조화기 KR10134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978A KR101345265B1 (ko) 2007-10-29 2007-10-29 공기조화기
CN2008100983801A CN101424422B (zh) 2007-10-29 2008-05-30 空调机
CN200910265543A CN101737871A (zh) 2007-10-29 2008-05-30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978A KR101345265B1 (ko) 2007-10-29 2007-10-2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238A true KR20090043238A (ko) 2009-05-06
KR101345265B1 KR101345265B1 (ko) 2013-12-26

Family

ID=4061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978A KR101345265B1 (ko) 2007-10-29 2007-10-2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5265B1 (ko)
CN (2) CN1017378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6220B2 (en) * 2019-03-06 2023-10-24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movable top c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039B1 (ko) * 2010-10-07 2017-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00501B1 (ko) * 2015-01-02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4508791B (zh) * 2018-03-07 2023-08-18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KR20190106682A (ko)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241B1 (ko) 1999-01-14 2001-07-12 윤종용 공기 조화기의 토출 그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6220B2 (en) * 2019-03-06 2023-10-24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movable top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24422A (zh) 2009-05-06
KR101345265B1 (ko) 2013-12-26
CN101737871A (zh) 2010-06-16
CN101424422B (zh)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004B1 (ko) 공기조화기
KR101403002B1 (ko) 공기조화기
KR101466299B1 (ko) 공기조화기
KR1014875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100909244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936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0002535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090043234A (ko) 공기조화기
KR101482126B1 (ko) 공기조화기
KR1015665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42524A (ko) 공기조화기
KR20100050312A (ko) 공기조화기
KR10094761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7225A (ko) 공기조화기
KR10068818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09243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86312A (ko) 공기조화기
KR2005001751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86314A (ko) 공기조화기
KR100609163B1 (ko) 공기조화기
KR1015822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450564B1 (ko) 공기조화기
KR101402157B1 (ko) 공기조화기
KR10078193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