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002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002B1
KR101403002B1 KR1020070108964A KR20070108964A KR101403002B1 KR 101403002 B1 KR101403002 B1 KR 101403002B1 KR 1020070108964 A KR1020070108964 A KR 1020070108964A KR 20070108964 A KR20070108964 A KR 20070108964A KR 101403002 B1 KR101403002 B1 KR 101403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nel
discharge
main body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227A (ko
Inventor
황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002B1/ko
Priority to CN2008801234517A priority patent/CN101910734B/zh
Priority to PCT/KR2008/002889 priority patent/WO2009057869A2/en
Publication of KR2009004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 좌,우측에 공기 흡입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좌,우측에 공기 토출부가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좌측 공기 흡입부와 좌측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패널과; 상기 좌측 공기 토출부와 좌측 패널의 사이 전방을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 좌측 토출베인과; 상기 우측 공기 흡입부와 우측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패널과; 상기 우측 공기 토출부와 우측 패널의 사이 전방을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 우측 토출베인과; 상기 본체의 상부로 승강되게 배치되고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을 포함하여, 미관의 향상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고, 평상시 좌측, 우측, 상측 전방의 세 방향으로 공조 공기가 분산 토출되게 할 수 있으며, 상측 전방으로 토출되는 강한 전면풍을 사용자 등에게 집중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 흡입부, 공기 토출부, 본체, 좌측 패널, 좌측 패널 구동기구, 우측 패널, 우측 패널 구동기구,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 양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 전방으로 집중 토출하거나, 좌,우 양측으로 분산 토출하거나, 좌,우,상측 전방으로 분산 토출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방열 기능의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냉각 및 압축 기능의 실외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 압축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의 전면부 하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 입부가 형성되고, 캐비닛의 전면부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전면 하부를 통해 흡입한 후 내부에서 공조한 후 전면 상부를 통해 토출한다.
최근에는,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공기 토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캐비닛의 상부 좌,우 양측과 상면에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추세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05-0014293호에는 캐비닛의 좌,우 양측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캐비닛의 좌,우 양측 상부 및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캐비닛의 좌측에 좌측 공기 흡입구 및 좌측 공기 토출구를 함께 여닫는 좌측 베인을 설치하고, 캐비닛의 우측에 우측 공기 흡입구 및 우측 공기 토출구를 함께 여닫는 우측 베인을 설치하며,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상면 베인을 설치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5-0014293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좌측 베인 및 우측 베인이 열린 경우 실내 공기가 캐비닛의 좌,우 양측 하부로 흡입되고 좌측 공기 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흡/토출구조이고, 좌측 베인이 닫히면 좌측 공기 흡입구 및 좌측 공기 토출구가 함께 닫히며, 우측 베인이 닫히면 우측 공기 흡입구 및 우측 공기 토출구가 함께 닫힌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10-2005-0014293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좌측 베인이 좌측 공기 흡입구 및 좌측 공기 토출구를 함께 여닫고, 우측 베인이 우측 공기 흡입구 및 우측 공기 토출구를 함께 여닫는 구조이므로, 실내 공기를 복수개의 공기 흡입구로 신속하게 흡입되게 하면서 좌,우 양측 이외의 한 방향 예를 들면, 상면 공기 토출구로만 공조 공기를 토출되게 하는 복수 흡입구 흡입 및 한 방향 집중 토출 등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05-0014293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상면 공기 토출구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면 베인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공기 토출구를 밀폐하거나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면 베인이 공조 공기를 본체의 전방 상측의 경사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본체의 전방 중앙에 본체와 가깝게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다량의 공조 공기를 직접 토출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5-0014294호에는 좌,우 양측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전면과 좌,우측면의 3면이 개방된 디퓨져가 승강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고, 실내의 공기는 캐비닛의 좌,우 양측 하부로 흡입되어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 디퓨져의 좌,우,정면의 3면으로 토출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05-0091801호에는 좌,우 양측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전면과 좌,우측면의 삼면이 개방된 토출구 유닛이 승강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고, 실내의 공기는 캐비닛의 좌,우 양측 하부로 흡입되어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 캐비닛의 좌,우 양측 상부와, 토출구 유닛의 좌,우,정면의 삼면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10-2005-0014294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와 공개특허공보 10-2005-0091801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디퓨져 및 토출구 유닛의 전면과 좌,우 양측의 삼면으로 공조 공기가 토출되므로, 강한 전면풍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어렵고, 특히 공개특허공보 10-2005-0091801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의 상부 좌,우측에 형성된 좌,우 공기 토출구가 상시 개방되어 있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 토출구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 정지시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를 하나의 패널로 여닫아 미관이 향상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고, 평상시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여 실내 전체를 고루 공조시킬 수 있고 강한 전면풍을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공조 공기를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한 전면풍을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공조 공기의 집중 토출과 함께 공조 공기를 샤워식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의 공기를 복수면으로 신속하게 흡입하여 공조 한 후 한 방향으로만 집중 토출할 수 있는 등 공기 흡입/토출 모드를 보다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 좌,우측에 공기 흡입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좌,우측에 공기 토출부가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좌측 공기 흡입부와 좌측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패널과; 상기 우측 공기 흡입부와 우측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패널과; 상기 본체의 상부로 승강되게 배치되고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공기 토출부와 좌측 패널의 사이 전방을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 좌측 토출베인과; 상기 우측 공기 토출부와 우측 패널의 사이 전방을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 우측 토출베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좌측 토출베인은 상기 좌측 공기 토출부와 대향되게 상기 좌측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우측 토출 베인은 상기 우측 공기 토출부와 대향되게 상기 우측 패널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좌측 공기 토출부에 상기 좌측 토출 베인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좌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공기 토출부에 상기 우측 토출 베인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우측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패널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상기 우측 패널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패널 구동기구와; 상기 좌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좌측 패널에 배치된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우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우측 패널에 배치된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와,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 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승강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면 상기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우측 패널 구동 기구를 모두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면서 집중 토출모드이면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 기구를 밀폐 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기구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면서 분산 토출모드이면,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승강기구 모두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운전 정지이면, 상기 좌측 패널구동기구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와, 승강기구를 밀폐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운전 정지이면,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를 밀폐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 유닛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중 토출모드시의 풍향 조절기구의 회전각이 상기 분산 토출모드시의 풍향 조절기구 회전각 보다 크게 상기 풍향 조절기구를 제어한다.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된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패널이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를 함께 동시에 여닫아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각각의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 보다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미관이 향상되고,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과 토출구 유닛과 좌측 토출베인과 우측 토출베인을 모두 개방하여 실내의 공기가 본체의 좌,우 양측 하부를 통해 흡입되어 공조된 후 본체의 좌,우 상측 전방의 세 방향으로만 분산 토출되면서 평상시 실내를 고루 공조할 수 있으며,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과 토출구 유닛을 개방함과 아울러 좌측 토출베인 및 우측 토출베인이 닫아 실내의 공기가 본체의 좌,우 양측 하부를 통해 흡입되어 공조된 후 본체의 상측 전방의 한 방향으로만 집중 토출되면서 강한 전명풍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운전 정지시 좌측 토출베인과 우측 토출베인이 본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어 수납되므로 좌측 토출베인과 우측 토출베인이 본체와 간섭되지 않고, 공기조화기가 컴팩트하게 밀폐동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집중 토출모드시 풍향 조절기구의 회전각이 분산 토출모드시의 회전각보다 크므로, 강한 전면풍이 사용자에게 사워식으로 고루 공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분산 토출 모드일 때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집중 토출 모드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분산 토출 모드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집중 토출 모드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되는 등의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의를 위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체(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되어 대략 그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그 내부에서 공조한 후 그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를 갖고,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과, 상부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본체(2)의 저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둘레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경사부(14)가 형성된다.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 판부(24)와 우판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캐비닛(20)은 좌판부(24)와 우판부(26)가 후판부(22)와 직교하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판부(22)와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부 패널(30)(40)은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는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는 우측 하부 패널(4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30)은 캐비닛(20)의 좌판부(24)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 필터(32)가 장착되는 좌측 필터 케이스(34)가 설치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은 캐비닛(20)의 우판부(26)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우측 필터(42)가 장착되는 우측 필터 케이스(44)가 설치된다.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은 하부에 후술하는 패널 구동 기구(160)의 구동 링크(164)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38)(48)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나 홀부 혹은 단턱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부(8)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전판 부(52)와 좌측판부(53)와 우측판부(54)로 이루어진다.
좌측 공기 토출부(8)는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좌측판부(53)에 대해 경사진 좌측 경사부(55)가 형성되고, 좌측 경사부(55)에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의 경사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좌측 공기 토출부(8)는 후술하는 좌측 패널(90)의 닫힘시 좌측 패널(90)에 돌출되게 구비된 좌측 토출 안내부(92) 특히, 후술하는 좌측 토출베인(94) 등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좌측 공간부(S1)를 갖도록 좌측 경사부(55)가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전판부(52) 및 좌측판부(53)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전판부(52)와 우측판부(54)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우측판부(54)에 대해 경사진 우측 경사부(57)가 형성되고, 우측 경사부(57)에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후술하는 우측 패널(100)의 닫힘시 우측 패널(100)에 돌출되게 구비된 우측 토출 안내부(102) 특히 후술하는 우측 토출베인(104) 등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우측 공간부(S2)를 갖도록 우측 경사부(57)가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전판부(52) 및 우측판부(54)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패널(50)은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의 상부에 후술하는 패널 지지 기구(170)의 지지 링크(171)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59)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토출부(8)(10)의 상측 위치에 공기 토출구(56)(58)와 통하게 형성되거나, 공기 토출구(56)(58)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체(2)는 상부 패널(50)의 전방에 전면 커버(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전면 커버(60)는 상부 패널(50)의 전방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되, 전체적으로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의 일부(62)가 좌측 공간부(S1)의 전방을 차폐하고, 우측의 일부(64)가 우측 공간부(S2) 전방을 차폐한다.
전면 커버(60)는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직진되지 않고,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을 향해 유도되게 막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좌측 패널(90) 및 우측 패널(10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좌측 토출 안내부(92)와 우측 토출 안내부(102)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막는 일종의 차폐 부재의 역할을 한다.
한편, 본체(2)는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만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 뿐만 아니라 좌,우 하부 패널(30)(40) 사이의 전방 및 좌,우 하부 패널(30)(40)의 전방도 함께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만을 덮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체(2)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70)이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회동되게 연결된다.
전면 패널(70)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 널(40)의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좌,우 중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전면 패널(70)은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 패널(50) 및 전면 커버(6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여닫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전면 패널(70)은 닫힘시를 기준으로 내,외 혹은 전,후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재(71)(72)가 상호 결합되는 복수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미관을 형성하고 본체(2)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부재(71)와, 내측에 위치되고 본체(2)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여결되는 내측 부재(72)와, 외측 부재(71)를 내측 부재(72)와 결합시키는 홀더(73)를 포함한다.
외측 부재(71)는 투명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배면에 색상 및 장식미를 갖는 판체나 시트나 층구조의 장식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색상이나 문양 등을 갖고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외측 부재(71)는 글래스나 페브릭나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내측 부재(72)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이 형성되고, 개구홀 또는 개구홀의 후방 위치에는 외측 부재(71)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4)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2)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본체(2) 내부로 흡입한 후 본체(2)의 외부로 토출되게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송풍기(310)에서 송풍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75)를 포함한다.
송풍기는 본체(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그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송풍기로서,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76)와, 팬모터(76)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77)과, 송풍팬(77) 및 팬모터(76)를 둘러싸고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78)과, 팬 하우징(78)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79)를 포함한다.
열교환기(75)는 송풍기 특히 팬 하우징(78)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본체(2)는 그 상면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면을 갖거나 그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토출구 유닛(80)은 본체(2)의 개구면이나 개구부를 통해 승강 구동된다.
토출구 유닛(80)은 전,후,좌,우 네 둘레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토출구(81)가 개구 형성되고, 저면이 본체(2)와 통하게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개구된 저면과 공기 토출구(81)를 잇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본체(2)에는 토출구 유닛(80)이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82)가 설치되고,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81)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82)의 상면 즉, 본체(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81)가 밀폐/은닉된다.
여기서, 승강 가이드(82)는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0)의 사이 공간 중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승강 가이드(82)에는 토출구 유닛(80)의 승강 동작시 후술하는 고정 기어(87)를 따라 안내되는 안내홈부(8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승강 가이드(82)는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2)의 사이 공간 중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승강 가이드(82)에는 승강 가이드(82) 중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2)의 사이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리는 상부 장식부재(84)가 설치된다.
한편, 토출구 유닛(80)은 승강기구(85)에 의해 승강 동작되는 바, 승강기구(8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모터(86)와, 승강 모터(86)에 연결되어 승강용 모터(86)의 구동에 따라 토출구 유닛(80)을 승강 동작시키는 동력 전달부(87)(88)를 포함한다.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모터(86)가 토출구 유닛(80)에 장착되고, 동력 전달부가 본체(2)의 상부 특히 승강 가이드(82)에 위치 고정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이루어진 고정 기어(87)와, 승강 모터(87)에 설치되 고 승강 모터(86)의 구동시 고정 기어(87)를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무빙 기어(88)를 포함한다.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기구(85)에 의해 승강되고 공기 토출구(81)가 형성된 토출구 바디(210)와, 토출구 바디(2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좌우 풍향조절부재(230) 및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로 이루어진 좌우 풍향조절기구(290)와, 토출구 바디(2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상하 풍향조절부재(300) 및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310)로 이루어진 상하 풍향조절기구(320)를 포함하고, 토출구 유닛(80)과 승강 가이드(82)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체(2)에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본체(2)의 좌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좌측 패널(90)과,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을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본체(2)의 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우측 패널(100)을 포함한다.
좌,우측 패널(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4)(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입부(4)(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8)(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가이드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긴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 패널(90)은 본체(2)의 외부 특히 본체(2)의 좌측 위치에서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는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진되어 좌측 공기 흡입부(4)과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모두 함께 덮는 것에 의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닫고,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모두 덮는 위치에서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는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되면서 후퇴되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개방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좌측 패널(90)은 닫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전방부 좌측면 패널로서,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을 모두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 옆에서 무빙 동작되면서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 전체를 여닫는다.
즉, 좌측 패널(90)은 좌측 공기 흡입구(31)의 하단과 좌측 공기 토출구(56)의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의 전후 폭 및 좌측 공기 토출구(56)의 전후 폭 보다 전후 폭이 길게 형성되며, 좌측 공기 흡입구(31) 및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형성된 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측 패널(90)은 좌측 공기 토출부(8) 특히, 좌측 공간부(S1)와 대응되는 위치에 그 열림시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그 닫힘시 좌측 공간부(S1)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좌측 토출 안내부(9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좌측 패널(90)에는 좌측 패널(90)의 열림시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선단 사이를 여닫음과 아울러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토출베인(94)과, 좌측 토출베인(94)을 구동시키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가 설치된다.
반면에, 우측 패널(100)은 본체(2)의 외부 특히 본체(2)의 전방부 우측 위치에서 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진되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모두 함께 덮는 것에 의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닫고,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덮는 위치에서 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퇴되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개방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우측 패널(100)은 닫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전방부 우측면 패널로서, 우측 하부 패널(4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을 모두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하부 패널(4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 옆에서 회전 동작되면서 우측 하부 패널(3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 전체를 여닫는다.
즉, 우측 패널(100)은 우측 공기 흡입구(41)의 하단과 우측 공기 토출부(58)의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의 전후 폭 및 우측 공기 토출구(58)의 전후 폭 보다 전후 폭이 길게 형성되며, 우측 공기 흡입구(41) 및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된 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우측 패널(100)은 우측 공기 토출부(10) 특히 우측 공간부(S2)와 대응되는 위치에 그 열림시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그 닫힘시 우측 공간부(S2)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우측 토출 안내부(10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우측 패널(100)에는 우측 패널(100)의 열림시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선단 사이를 여닫음과 아울러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토출베인(104)과, 우측 토출베인(104)을 구동시키는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가 설치된다.
한편,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경우 그 생산 및 운반 등이 용이하지 않고, 본체(2)에 설치되어 무빙될 때 일부가 흔들리거나 휘는 반면에,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되 복수개의 부재가 상호 결합된 조립체로 구성될 경우 각각의 부재의 생산 및 운반 등이 용이하고, 본체(2)에 설치되어 무빙될 때 일부가 흔들리거나 휘는 것이 최소화되는 바, 이하,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 각각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120)(130)(140)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 각각은 외부에서 주로 보이는 부분인 외측 부재(120)를 글래스나 목재나 금속재나 장식부를 갖는 합성수지물와 같이 미감이 높은 부재로 구성하면, 글래스나 목재나 금속재나 합성수지물의 장식부 등에 의한 미감이 향상되고, 글래스나 목재나 합성수지물 등을 교체하면 새로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체(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패널(90)을 구동시키는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을 구동시키는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가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측 토출 안내부(92) 및 좌측 토출 베인(94)과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가 좌측 패널(90)의 내측면 즉, 우측면에 본체(2)의 좌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가 본체(2)의 좌측에 설치되고, 우측 토출 안내부(102) 및 우측 토출 베인(104)과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가 우측 패널(100)의 내측면 즉, 좌측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가 본체(2)의 우측에 설치되며,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이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토출 안내부(102)와 토출 베인(104)과 토출베인 구동기구(105)와 패널 구동기구(16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참조 부호 52A,52B는, 좌,우측 패널(90)(100)의 닫힘시 좌,우측 토출베인(94)(104)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상부 패널(50)의 전면부(52)의 좌,우 양측에 단턱지게 형성된 베인 수용홈부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좌,우 패널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좌,우 패널 및 토출베인의 종단면도이다.
좌,우측 패널(90)(100)은 닫혔을 때를 기준으로 내,외 혹은 좌,우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재(110)(120)가 상호 결합되는 내,외 복수 구조인 것도 가능하고, 상,하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재(130)(140)가 상호 결합되는 상,하 복수 구조인 것도 가능하며,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내,외 위치되는 내,외 복수 구조이면서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와 적어도 하나가 상,하 위치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부재(130)(140)로 이루어진 상,하 복수 구조인 것도 가능하다.
이하,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내,외 혹은 좌,우 겹치게 배치되는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가 좌,우측 패널(90)(100)의 내측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바디 내지 패널이고, 외측 부재(120)가 좌,우측 패널(90)(100)의 외측 외관을 구성하는 일종의 외관 부재 내지 장식 부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가 하부 내측 부재(130)와, 하부 내측 부재(13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내측 부재(140)로 이루어진 상,하 이중 구조인 것으로 설명한다.
즉, 좌,우측 패널(90)(100)은 하부 내측 부재(130)가 좌,우측 패널(90)(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로우어 바디 내지는 로우어 패널이고, 상부 내측 부재(140)가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를 구성하는 어퍼 바디 내지는 어퍼 패널이며, 외측 부재(12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그 상부가 상부 내측 부재(140)와 함께 베인(90)의 상부를 구성하면서 그 하부가 하부 내측 부재(130)와 함께 베인(90)의 하부를 구성하는 외관 부재 내지 장식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가 좌,우측 패널(90)(100)의 전,후,상,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측 부재(120)가 좌,우측 패널(90)(100)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 내측 부재(110)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132)(142)가 돌출 형성되고, 외측 부재(120)는 그 전부 혹은 일부가 테두리부(132)(142)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좌,우측 패널(90)(10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될 경우, 내측 부재(110) 중에서 본체(2)측을 향하는 면에 공기가 안내되어, 내측 부재(110)가 에어 가이드의 역할을 주로 하게 되고, 외측 부재(120)는 외부에서 주로 보이는 외관 부재의 역할을 주로 하게 된다.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모두가 판체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내부에 빈 공간(136)(146)을 갖도록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판체 형상이 아닌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모두가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밀착될 경우, 좌,우측 패널(90)(100)의 전체 두께가 ??아져 슬림화가 가능하나, 내측 부재(110)에 찬 공기가 안내될 때 외측 부재(120)의 외면에 이슬이 맺힐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좌,우측 패널(90)(100)의 내부 특히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사이에 빈 공간(136)(146)이 형성될 경우, 즉,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판체 형상이 아닌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빈 공간(136)(146)이 일종의 단열층을 이루게 되어 찬 공기가 내측 부재(110)에 안내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외측 부재(120) 외면의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좌,우측 패널(90)(100)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오히려 그 구동시의 흔들림이나 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사이 공간(136)(146)에 별도의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70)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내장되어 외측 부재(120)를 통해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가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좌,우측 패널(90)(10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재(110)의 가운데 부분이 본체(2)를 향해 돌출된 판체부(112)로 이루어지고, 가운데 부분의 판체부(112) 주변에는 경사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좌,우측 패널(90)(100)은 테두리부(132)(142) 중 후단과 경사부(114)의 사이에 본체(2)의 측면측의 틈인 상부 패널(50)과 캐비닛(20) 사이의 틈 및 하부 패널(30)(40)과 캐비닛(20) 사이의 틈을 가리는 차폐부인 후방측 판체부(116)가 형성된다.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의 중앙측 판체부(112) 및 경사부(114)가 외측 부재(120)와 이격되어 공간(136)(146)을 형성하고, 내측 부재(110) 의 후방측 판체부(116)가 외측 부재(120)와 밀착된다.
좌,우측 패널(90)(100)은 외측 부재(120)의 일부가 내측 부재(110)와 이격되므로, 외측 부재(120)의 일부가 공간(136)(146)을 향해 눌릴 수 있는 바, 내측 부재(110)에는 외측 부재(120) 중 내측 부재(110)와 밀착되지 않는 부분이 공간(136)(146)으로 눌리지 않도록 외측 부재(12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38)(148)가 외측 부재(120)를 향해 돌출 된다.
즉, 외측 부재(120)는 리브(138)(148)에 접촉되고 외곽부가 내측 부재(110) 특히 후방측 판체부(116) 및 테두리부(132)(142)와 접촉된다.
한편,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본딩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후크나 걸림턱 등의 걸림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걸림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내측 부재(110)의 테두리부(132)(142)에는 외측 부재(120)가 걸리는 걸이부(134)(144)를 갖게 형성된다.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 내측 부재(130)는 테두리부(132)가 상단에 형성되지 않고, 선단과 하단과 후단에만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132)에 걸이부(134)가 돌출 형성되며, 외측 부재(120)의 하부는 걸이부(13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함과 아울러 걸이부(134)에 의해 구속되어 옆으로 탈거되지 않게된다.
즉, 하부 내측 부재(130)의 걸이부(134)는 하부 내측 부재(130)의 선단측 테 두리부(132)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선단 걸이부와, 하부 내측 부재(130)의 후단측 테두리부(1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단 걸이부와, 하부 내측 부재(130)의 하단측 테두리부(132)에서 상향 돌출된 하단 걸이부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모양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부 내측 부재(140)는 테두리부(142)가 하단에 형성되지 않고, 선단과 상단과 후단에만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142)에 걸이부(144)가 돌출 형성되며, 외측 부재(120)의 상부는 걸이부(14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함과 아울러 걸이부(144)에 구속되어 옆으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즉, 상부 내측 부재(140)의 걸이부(144)는 상부 내측 부재(140)의 테두리부(142) 선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선단 걸이부와, 상부 내측 부재(140)의 테두리부(142) 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단 걸이부와, 상부 내측 부재(140)의 테두리부(142) 상단에서 하향 돌출된 상단 걸이부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외측 부재(120)는 하부 내측 부재(13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 부재(130)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하향 슬라이딩되어, 그 하부가 하부 내측 부재(130)와 테두리부(132)와 걸이부(134)에 전,후,좌,우,하측으로 걸려 구속되고, 상부 내측 부재(14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 내측 부재(140)의 하단 개구부를 통해 상향 슬라이딩 되어, 그 상부가 상부 내측 부재(140)와 테두리부(142)와 걸이부(144)에 전,후,좌,우,상측으로 걸려 구속되며, 상기와 같은 하부와 상부의 구속에 의해 하부 내측 부재(130) 및 상부 내측 부재(140)와 일체화되게 조립된다.
한편, 외측 부재(12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글래스나 목재나 금속재나 장식부를 갖는 합성수지와 같이 미감이 높은 부재로 이루어질 경우, 그 전체적인 미감 특히, 좌,우측 패널(90)(100)이 닫혔을 때의 미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바, 이하, 글래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좌,우측 패널(90)(100)은 외측 부재(120)와 내측 부재(110)의 사이에 장식미를 갖는 인쇄지나 인쇄층이나 코팅층 등의 장식부(122)가 형성된다.
장식부(122)는 인쇄지 등의 시트 재질로 이루어져 외측 부재(120)와 내측 부재(110) 중 하나에 접착재 등에 의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인쇄층이나 코팅층으로 외측 부재(120)와 내측 부재(110) 중 하나에 직접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좌,우측 패널(90)(100)은 내측 부재(110)가 하부 내측 부재(130)와 상부 내측 부재(140)로 이루어지므로, 하부 내측 부재(130)와 상부 내측 부재(14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이 형성된다.
결합수단은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하부 내측 부재(130)의 일면에 돌출된 제 1 결합부(152)와,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 중 다른 하나, 예를 들면 상부 내측 부재(14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 1 결합부(152)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54)를 포함하고, 제 1 결합부(152)와 제 2 결합부(154) 중 어느 하나(154)에 다른 하나(152)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어 구속되는 삽입 공간부(156)가 형성되며, 제 1 결합부(152)와 제 2 결합부(154)의 결합시 그 상면부가 토출 공기를 안내하고 그 하면부가 흡입 공기를 안내한다.
여기서, 결합수단은 제 1 결합부(152)와 제 2 결합부(154) 각각이 적어도 2개의 판체부를 포함하여, 제 1 결합부(152)가 제 2 결합부(154)에 형합되는 것에 의해 상호 지지되어 구속되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결합부(152)가 제 2 결합부(154)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결합수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체결부(152)는 적어도 전판부와 후판부와 측판부를 갖는 입체적 형상이고, 제 2 체결부(154)는 삽입 공간부(156)가 제 1 체결부(152)의 전판부와 후판부와 측판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다 크게 개구되며, 제 2 체결부(154)는 제 1 체결부(152)가 밀착되는 전판부와 후판부와 측판부를 갖는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체결부(154)는 제 1 체결부(152)의 상단이 상측 방향으로 걸리는 상판부(155)를 갖는다.
한편, 결합수단은 상기와 같은 제 1 체결부(152)와 제 2 체결부(154)의 결합 뿐만 아니라 제 1 체결부(152)와 제 2 체결부(154)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58)로 체결되는 바, 제 1 체결부(152)에 체결부재(158)가 관통되는 제 1 체결공(153)이 형성되고, 제 2 체결부(154)에는 상기 제 1 체결공(160)을 관통한 체결부재(158)가 결합되는 제 2 체결공(15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체결공(155)은 제 2 체결부(154)의 내부에 형성된 판체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판체부에서 돌출된 보스(157)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는 하부 내측 부재(130)의 하단과 상부 내측 부재(140)의 상단과 대향되게 제 1 체결부(152)가 제 2 체결부(154)의 내부로 삽입된 후 체결부재(158)가 제 1 체결부(152)를 관통하게 제 2 체결부(154)에 결합되고, 상기와 같은 결합시,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는 제 1 체결부(152)와 제 2 체결부(154)가 상,하,좌,우,전,후 의 전방향으로 구속되는 것에 의해 상호 지지되면서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토출 안내부(102)는 공기 토출부(8)(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좌,우측 패널(90)(100) 중에서 본체(2)를 향하는 면인 내측 부재(110) 특히, 공기 토출부(8)(10)를 마주보는 상부 내측 부재(140)에 구비되고, 토출베인(104)과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는 토출 안내부(102)에 설치된다.
그리고, 좌,우측 패널(90)(100)은 본체(2)를 향하는 면에 공기 흡입구(31)(41) 옆 부분과 공기 토출구(56)(58)의 옆 부분을 구획하는 구획부(10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구획부(103)는 좌,우측 패널(90)(100)의 내측면 상부인 토출 안내부(102)로 안내되는 공기가 좌,우측 패널(90)(100)의 내측면 하부로 이동되어 공기 흡입구(31)(41)로 곧바로 재흡입되지 않도록 좌,우측 패널(90)(100) 중에서 흡입 공기가 흡입 안내되는 부분과 토출 공기가 토출 안내되는 부분을 구획하는 에어 차단부로서, 결합수단과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수단과 전후 위치되거나 상하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획부(103)가 결합수단을 겸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구획부(103)가 결합수단을 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구획부(103)는 좌,우측 패널(90)(100)의 열림시 공기 토출부(8)(10)와 좌,우 패널(90)(100) 사이 하부를 막고,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로서, 좌,우측 패널(90)(100) 중에서 공기 토출부(8)(10)의 하부 옆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좌,우측 패널(90)(100)의 앞부분과 좌,우 공기 토출부(8)(10)의 선단 즉, 전면 커버(70)의 측단 사이의 거리 보다 그 폭이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즉, 구획부(103)는 그 상부가 토출 안내부(102)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토출베인(104)은 공기 토출부(8)(10)와 좌,우측 패널(90)(100)의 선단 사이를 여닫도록 배치되어, 좌,우측 패널(90)(100)과 함께 공기를 다단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축(104a)이 토출베인(104)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회전축(104ba)이 토출베인(104)의 하부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토출베인(104)은 토출 안내부(102)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거리 보다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토출 안내부(102)의 선단과 좌,우 공기 토출부(8)(10)의 선단 즉, 전면 커버(70)의 측단 사이의 거리 보다 그 폭이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는 토출베인(104)의 회전축(104)에 연결된 토출 베인모터로 구성된다.
한편, 토출 안내부(102)는 좌,우측 패널(90)(100)의 대략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곡면을 갖는 곡면 가이드(106)를 포함한다.
곡면 가이드(106)는 공기 토출부(8)(10)를 통과한 공기가 부드럽게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후단이 공기 토출부(8)(10)와의 거리가 가깝고 선단으로 갈수록 공기 토출부(8)(10)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으로 곡면지게 형성된다.
토출 안내부(102)는 곡면 가이드(106)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상부 가이 드(107)를 더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107)는 좌,우측 패널(90)(100)의 열림시 좌,우 공기 토출부(8)(10)와 좌,우 패널(90)(100)의 사이 상부를 막고,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가 상측으로 퍼지지 않고 안내되게 하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로서, 좌,우측 패널(90)(100)과 좌,우 공기 토출부(8)(10)의 선단 즉, 전면 커버(70)의 측단 사이의 거리 보다 그 폭이 크거나 같게 형성되고 판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107)는 토출베인(104)에 형성된 지지축(104a)과 연결되어 지지축(10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지지부(107a)가 형성된다.
한편, 토출 안내부(102)는 토출베인 구동기구(150)가 설치됨과 아울러 구획부(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모터 마운터(108)를 더 포함한다.
구획부(103)의 상부에는 모터 마운터(108)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모터 수용부(109)가 형성되고, 모터 마운터(108)는 모터 수용부(109)의 상측 위치에서 모터 수용부(109)의 내부로 삽입되어 모터 수용부(109)의 상면을 덮으면서 모터 수용부(109)에 끼워 조립된다.
즉, 모터 마운터(108)는 모터 수용부(109)와 함께 구획부(103)의 상부를 구성하면서, 토출 안내부(102)의 하부를 구성한다.
한편,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는 회전축(105a)이 모터 마운터(108)에 형성된 축 관통홀(108a)을 관통하여 토출 베인(104)의 회전축(104b)에 연결되다.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는 모터 마운터(108)에 형성된 체결 보스(108b)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05b)로 체결된다.
한편, 좌,우측 패널(90)(100)은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와 중앙부 중 적어도 한 부분에 패널 구동기구(160)가 연결되고 패널 구동기구(160)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부분에 좌,우측 패널(90)(100)을 무빙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지지 기구(170)가 연결된다.
이하, 좌,우측 패널(90)(100)의 하부에 패널 구동기구(160)가 연결되고,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에 패널 지지 기구(170)가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좌,우측 패널(90)(100)은 하부에 패널 구동기구(160)가 연결되는 하부 연결부(139)가 형성되고, 상부에 패널 지지 기구(170)가 연결되는 상부 연결부(149)가 형성된다.
하부 연결부(139)는, 패널 구동기구(160) 중에서 후술하는 구동 링크(164)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로서, 구동 링크(164)가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좌,우측 패널(90)(100)이 구동 링크(164)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좌,우측 패널(90)(100) 중에서 본체(2)를 향하는 면 즉, 하부 내측 부재(130)에 형성되고, 좌,우측 패널(90)(100)과 구동 링크(164)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39a)로 체결되도록 체결부재(139a)가 체결되는 체결보스(139b)를 포함한다.
상부 연결부(149)는, 패널 지지 기구(170) 중에서 후술하는 지지 링크(171)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로서, 좌,우측 패널(90)(100)의 회전시 지지 링크(171)를 당기거나 밀면서 지지 링크(171)와 함께 지지 링크(171)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좌,우측 패널(90)(100) 중에서 본체(2)를 향하는 면 즉, 상부 내측 부재(140) 특히, 상부 가이드(107)에 형성되고, 좌,우측 패널(90)(100)과 지지 링 크(171)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49a)로 체결되도록 체결부재(149a)가 체결되는 체결보스(149b)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베인 구동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베인 구동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패널 구동기구(16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패널(90)(100)에 연결된 구동 링크(164)와, 구동 링크(164)를 회전시키는 링크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링크 회전수단은 본체(2)에 설치된 모터(161)와; 모터(161)에 연결되어 모터(161)의 구동력을 구동 링크(164)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기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동력 전달기구는 모터(161)에 연결된 구동 기어(162)와, 구동 기어(162)와 치합되고 구동 링크(164)에 형성된 종동 기어(163)를 포함한다.
여기서, 패널 구동기구(160)는 구동 링크(164)가 동력 전달기구를 통해 모터(161)와 연동되지 않고, 모터(161)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구동 링크(164)가 모터(161)나 좌,우측 패널(90)(100) 중 하나와 조립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와 조립되어야 하므로 모터(161)와 구동 링크(164)와 베인(90)(100)의 전체적인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모터(161)와 구동 링크(164) 중 하나의 파손이나 오조립시 모터(161)와 구동 링크(164)의 결합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그 서비스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구동 링크(164)와 모터(161)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동력 전달기 구에 의해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터(161)는 베이스(12)에 설치되는 바, 베이스(12)에는 모터(161)가 삽입되는 삽입부(13)가 형성된다.
모터(161)는 회전축(161a)이 베이스(12) 상면에 돌출되고, 몸체가 베이스(12)의 삽입부(13)에 매립식으로 삽입되게 장착되는 바, 삽입부(13)는 모터(161)의 몸체와 같은 형상이고 크기가 조금 크게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부(13)의 주변 일측에는 모터(161)의 몸체에 연결된 리드 와이어(161b)가 위치되는 와이어 홈부(13a)가 형성된다.
구동 기어(162)는 모터(161)의 회전축(161a)에 회전 중심이 연결된다.
구동 링크(164)는 좌,우측 패널(90)(100) 특히 하부 연결부(139)에 연결되는 패널 연결부(166)와,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종동 기어(163)가 형성되며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연결부(167)와, 패널 연결부(166)와 회전 연결부(167)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168)를 포함한다.
패널 연결부(166)에는 하부 연결부(139)의 체결보스(212)와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부재(211)가 관통되는 체결공(166a)이 형성된다.
회전 연결부(167)는 본체(2)의 하부인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 링크(164) 및 좌,우측 패널(90)(1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회전 연결부(167)는 베인(90)(100)의 열림시 베인(90)(100)이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회전되고, 베인(90)(100)의 닫힘시 베인(90)(100)이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베인(90)(100)의 중심(C) 보다 후방이면서 본체(2)의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되, 특히 본체의 내측 후방 위치인 캐비닛(20)의 좌,우판부 중 어느 하나(26)의 옆 위치되게 배치된다.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회전축(164a)은 지지부(16)에 직접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64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형성되고, 회전축(164a)에는 보스(164b)가 씌워지며,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64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64a)은 구동 링크(164)의 연결부(168) 중 후방측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구동 링크(164)의 회전 연결부(167)를 구성한다.
연결부(168)는 회전 연결부(167)와 패널 연결부(166) 사이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패널 연결부(166)에 옆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연장된 돌출부와, 후방측에 회전 연결부(167)가 형성되고 베인(90)(100)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돌출부에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한다.
연결부(168)는 회전 연결부(167)가 캐비닛(20)의 좌,우판부 중 하나의 옆에 위치되므로, 절곡부의 길이가 돌출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연결부(168)는 돌출부가 하부 연결부(139)에 형성된 관통부(139c)에 관통하 고, 절곡부가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패널 구동기구(160)는 좌,우측 패널(90)(100)의 하부 대략 옆 위치에서 좌,우측 패널(90)(100)의 하부를 밀고 당기는 것에 의해 좌,우측 패널(90)(100)을 무빙시키는 것으서, 모터(161)의 구동시 구동 링크(164)가 좌,우측 패널(90)(100)의 하부 옆에서 그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베인(90)(100)의 하부를 밀거나 당긴다.
한편, 본체(2)에는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덮어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보호하는 하우징(165)이 설치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덮어 보호하는 일종의 기어 커버로서, 저면이 개방되고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의 일부에 구동 링크(164)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165b)가 개구 형성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링크(164)의 절곡부(168)가 링크 관통부(165b)와 접촉되면서 관통되는 경우 구동 링크(164)의 회전을 안내하는 링크 가이드의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65)은 베이스(12)에 체결부재(166)로 체결되는 바, 하우징(165)에는 체결부재(166)가 관통되는 체결부(165a)가 형성되고, 베이스(12)에는 하우징(165)의 체결부(165a)를 관통한 체결부재(166)가 체결되는 체결공(15)이 형성된다.
아울러, 하우징(165)은 구동 링크(16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구동 링크(164)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구동 링크(164)의 임의 탈거를 막는 일종의 링크 홀더로 기능할 수 있는 바,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5c)가 형성된다.
회전축(164c)은 지지부(165c)에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64d)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형성되고, 회전축(164c)에는 보스(164d)가 씌워지며,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64d)가 지지되는 지지부(165c)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64a)은 구동 링크(164)의 연결부(168) 중 후방측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구동 링크(164)의 회전 연결부(167)를 구성한다.
지지부(165c)는 하우징(165)에 형성될 경우, 본체(2) 특히 베이스(12)의 좌,우측에 공용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165)에 좌,우 복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패널 구동기구(160)는 본체(2) 특히 베이스(12)의 상면을 따라 구르도록 구동 링크(164)에 설치된 롤러(16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169)는 구동 링크(164)와 본체(2) 특히 베이스(12)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수단으로서, 좌,우측 패널(90)(100)의 하중이 구동 링크(164)의 회전 연결부(167)에 집중되지 않고 본체(2) 특히 베이스(12)로 분산되게 하면서 구동 링크(164)가 본체(2) 특히 베이스(12)와 큰 마찰없이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것으로서, 구동 링크(164)의 저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롤러(169)는 양단이 상향 절곡되어 구동 링크(164)에 끼움 방식 등 으로 고정된 축부(169a)와, 축부(169a)의 중앙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휠부(169b)를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지지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지지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패널 지지 기구(170)는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패널(90)(100)에 연결된 지지 링크(171)와, 지지 링크(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 링크(171)를 안내하는 링크 가이드(172)를 포함한다.
패널 지지 기구(170)는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 대략 옆 위치에서 베인(90)(100)의 상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좌,우측 패널(90)(100)의 무빙을 돕는 것으로서, 베인 모터(161)의 구동에 의한 좌,우측 패널(90)(100)의 무빙시 지지 링크(171)가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 옆 위치에서 링크 가이드(172)에 지지 및 안내되면서 회전되어 좌,우측 패널(90)(100)의 동작을 돕는다.
지지 링크(171)는 좌,우측 패널(90)(100) 특히 상부 연결부(149)에 체결되는 패널 연결부(173)와, 링크 가이드(1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연결부(174)와, 패널 연결부(173)와 회전 연결부(174) 사이에 형성된 안내부(175)를 포함한다.
즉, 지지 링크(171)는 패널 연결부(173)가 좌,우측 패널(90)(100)의 내면인 상부 내측 패널(140)에 연결됨과 아울러 회전 연결부(174)가 링크 가이드(1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절곡부(175)가 공기 토출부(8)(10) 주변에 별도로 형성된 링크 관통부(59)나 공기 토출구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패널 연결부(173)에는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 연결부(149)인 체결보스와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부재(221)가 관통되는 체결공(173a)이 형성된다.
패널 연결부(173)는 전체적으로 저면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공(173a)은 상판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패널 연결부(173)는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 가이드(107) 상면 위에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 연결부(149)인 체결보스를 감싸듯이 올려짐과 아울러 상부 내측 부재(140)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한편,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 연결부(149)는 체결보스가 복수개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체결보스에는 그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226)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보강 리브(226)의 단부는 지지 링크(171)의 링크 연결부(173)의 연결시 링크 연결부(173)의 내벽에 밀착되어 그 결합 강도를 높인다.
회전 연결부(174)는 베인(90)(100)의 열림시 베인(90)(100)이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회전되고, 베인(90)(100)의 닫힘시 베인(90)(100)이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회전되도록 본체(2)의 내측 전,후방 중에서 내측 후방에 위치되게 연결된다. 즉, 회전 연결부(174)는 상부 패널(50)의 옆에 위치되지 않고, 캐비닛(20)의 좌,우판부(24)(26) 중 하나의 옆에 위치되게 연결된다.
지지 링크(171)와 링크 가이드(172) 중 하나에는 회전축(174a)(174b)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74a)(174b)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부(176a)(177a)가 형성된다.
회전축(174a)(174b)은 지지부(176a)(177a)에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76b)(177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지지 링크(171)와 링크 가이드(172) 중 하나에는 회전축(174a)(174b)이 형성되고, 회전축(174a)(174b)에는 보스(176b)(177b)가 씌워지며, 지지 링크(171)와 링크 가이드(172)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76b)(177b)가 지지되는 지지부(176a)(177a)가 형성된다.
회전축(174a)(174b)은 지지 링크(171)의 안내부(175) 중 후방측에서 상,하 수직하게 돌출되어 지지 링크(171)의 회전 연결부(174)를 구성하고, 지지부(176a)(177a)는 링크 가이드(172) 특히 하부 가이드(176)와 상부 가이드(177)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홀부로 구성된다.
한편, 안내부(175)는 회전 연결부(174)와 패널 연결부(173) 사이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내부(175)는 회전 연결부(174)에서부터 대략 전방으로 형성된 부분의 길이가 대략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링크 가이드(172)는 내부에 지지 링크(171)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는 공간(172a)이 마련되고, 둘레부의 일부에 지지 링크(171)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172b)가 개구 형성된다.
여기서, 링크 가이드(172)는 베인(90)(100)의 밀폐 모드시 지지 링크(171)의 안내부(175)가 모두 삽입되어 수용됨과 아울러 지지 링크(171)의 안내부(175) 전체 를 지지하고, 좌,우측 패널(90)(100)의 회전 동작의 도중에 지지 링크(171)의 안내부(175)를 안내하며, 좌,우측 패널(90)(100)의 개방 모드시 지지 링크(171)의 안내부(175)가 관통되게 돌출됨과 아울러 지지 링크(171)의 안내부(175) 일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공간(172a)은 회전 연결부(174) 및 안내부(175) 보다 크게 형성되고, 링크 관통부(172b)는 둘레부 중 대략 전방부의 좌,우 중 일측에서부터 전방까지 개구된다.
링크 가이드(172)는 상면이 개방된 하부 가이드(176)와, 하부 가이드(176)와 대향되게 하면이 개방되고 하부 가이드(176)와의 사이에 공간(172a)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177)를 포함한다.
한편, 링크 가이드(172)는 하부 가이드(176)와 상부 가이드(177)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78)에 의해 체결되는 바, 하부 가이드(176)의 둘레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하부 체결부(176c)가 돌출되고, 상부 가이드(176)의 둘레부에는 하부 체결부와 대응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체결부(177c)가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재(178)는 하부 체결부(176c)와 상부 체결부(177c)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체결된다.
링크 가이드(172)는 본체(2)의 내부에 체결부재(179a)(179b)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바, 상부 패널(5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체결보스(58)에 체결부재(179a)(179b)로 체결되는 체결부(176d)(177d)가 둘레부에 돌출 형성된다.
참조 부호 149c는 좌,우측 패널(90)(100) 특히 상부 가이드(107)의 선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좌,우측 패널(90)(100)의 상부 연결부(149) 및 지지 링 크(171)의 패널 연결부(173)의 전방을 가림과 아울러 지지 링크(171)의 패널 연결부(173)와 접촉되는 연결부 차폐부이고, 참조 부호 149d는 좌,우측 패널(90)(100)의 연결부 차폐부(149c)의 상측 위치에 형성되어 연결부 차폐부(149c)의 상부와 본체(2)의 상부와 좌,우 패널(90)(100) 사이의 공간 전방을 가리는 공간 차폐부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승강 가이드(82)는 토출구 유닛(80)이 그 내부로 하강됨과 아울러 본체(2)의 상부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승강기구(85)는 승강 모터(86)와 무빙 기어(88)와 고정 기어(87)가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는 위치인 토출구 유닛(80) 및 승강 가이드(82)의 네 모서리측이나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출구 유닛(80)이 보다 안정감 있게 승강되도록 복수 셋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 모터(86)가 토출구 유닛(80)의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승강 모터(86)의 각각에는 무빙 기어(88)가 설치되며, 고정 기어(87)가 승강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정 기어(87)는 승강 가이드(82)의 둘레부 내벽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승강 가이드(82)의 둘레부 내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승강 가이드(82)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용부(87A)와; 수용부(87A)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수용부(87A)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며 무빙 기어(88)가 치합되는 기어부(87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토출구 바디(210)는 하부에는 승강 모터(86)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모터 수용부와 함께 승강 모터(86)를 덮는 모터 커버(89)가 결합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한 후 본체의 상측 전, 후, 좌, 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토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방과 좌,우 양측 등의 여러 방향으로 분산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 등의 한 방향으로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가 밑에서 올라서 유동 방향이 전방 방향으로 꺽인 후 토출구 유닛(8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유로 구조를 가지는 바, 전체적으로 저면과 전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좌,우,후,상면이 막히고 저면과 전면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밑에서 올라온 공기를 전방으로 유도하는 유로 가이드(211)가 내부의 후방측에 구비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측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었을 때, 본체(2)의 상면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바, 그 상부에는 모터나 피시비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212)가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전장부(21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213)가 설치된다.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그 수직한 회전 중심이 토출구 바디(210)의 전,후,중앙부 중에서 대략 중앙부이나 후방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토출구 바디(210)의 내부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토출구 바디(210)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 배치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공조 공기를 좌우 확산시키도록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는 복수개 중 어느 하나(230)가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나머지(220)(240)(250)가 회전 동작되는 좌우 풍향조절부재(230)에 연동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하,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좌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 풍향조절부재(230)라 칭하고,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다른 좌우 풍향 풍향조절부재를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로 설명한다.
여기서, 구동 풍향조절부재(230)는 상측에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에 연결되는 회전축(232)이 구비되고, 하측에 후술하는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34)이 구비되며,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와 연동부 재(264)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축(2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는 상측에 토출구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22)(242)(252)이 구비되고, 하부에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24)(244)(254)이 구비되며,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와 연동부재(264)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축(226)(246)(256)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동부재(264)는 구동 풍향조절부재(230)가 좌우 풍향조절 구동원(260)에 의해 회전될 때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가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일종의 연결 링크로서, 후술하는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와 함께 좌우 풍향조절기구(290)를 구성한다.
연동부재(264)는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하측 후방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연결축(226)(236)(246)(256)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홀(265)(266)(267)(268)이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는 전장부(212)에 설치된 좌우 풍향조절 모터로 이루어지고, 전장부(212)에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체결보스(214)에 체결부재(262)로 체결되는 체결부(263)가 형성된다.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그 수평한 회전 중심이 토출구 바디(210)의 대략 전방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좌우 풍향조절부재와 같이 복수개의 조절부재가 구비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조절부재가 연동 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의 양측단에 좌,우측단부(303)(304)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와 좌,우 측단부 (303)(30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하 풍향조절부재(300)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바, 좌,우 중 일측에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회전축(305)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좌,우 중 타측에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6)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서포터(270)는 복수개 좌우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하부 회전축(224)(234)(244)(254)을 지지하는 레그(271)(272)(273)(274)의 복수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 사이에 통로(276)(277)(278)가 형성되며,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레그(271)가 서포터(270)의 좌측부(281)와 이격되어 좌측 레그(271)의 좌측에 좌측 통로(275)가 형성되고,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레그(274)가 서포터(270)의 우측부(282)와 이격되어 우측 레그(274)의 좌측에 좌측 통로(279)를 갖는다.
서포터(270)는 토출구 바디(210)에 결합되는 결합부(280)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레그(271)(272)(273)(274)는 흔들리지 않도록 결합부(280)에서 돌출되어 풍향조절부재(220)(230)(240)(250)의 하부로 연장된다.
서포터(270)는 결합부(280)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판체부로 이루어지고, 토 출구 바디(210)의 전면 하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체결부(219)의 체결공(219a)과 대응되는 체결공(280a)이 형성되어, 토출구 바디(210)의 체결부(219) 체결공(219a)을 관통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81)가 결합부(280)의 체결공(280a)에 결합된다.
서포터(270)는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지지 및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의 설치를 위해 토출구 바디(210)의 좌측부 내측 옆에 위치하는 좌측부(282)와, 토출구 바디(210)의 우측판 내측 옆에 위치하는 우측부(283)를 포함하고, 좌측부(282) 및 우측부(283)는 토출구 바디(2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와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는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벽과 서포터(210)의 외측벽 사이에 위치되게 토출구 바디(210)의 내측벽과 서포터(210)의 외측벽 중 하나에 설치된 상하 풍향조절 모터로서, 그 회전축(311)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인 상하 풍향조절 모터는 서포터(210)의 좌측부(282)와 우측부(283) 중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체결보스(282a)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12)로 체결되는 체결부(313)가 형성된다.
참조 부호 285는 서포터(270)의 좌측부(282)와 우측부(283) 중 어느 하나에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좌,우 중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305)과 상하 회전 기구(310)의 회전축(311)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게 형성된 축 관통홀이다.
참조 부호 286은 서포터(270)의 좌측부(282)와 우측부(283) 중 다른 하나에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좌,우 중 타측에 돌출된 회전축(30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이다.
참조 부호 215는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의 상부 회전축(232)과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인 좌우 풍향조절모터의 회전축(261)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도록 토출구 바디(210)에 형성된 회전축 관통홀이다.
참조 부호 216,217,218은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의 상부 회전축(222)(242)(2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지지부이다.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00)와, 조작부(400)의 조작에 따라 팬모터(76)와,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와, 승강기구(85)와,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제어하는 제어부(41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410)는 조작부(400)를 통해 냉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송풍팬(77)이 회전되도록 팬모터(76)를 구동시키고, 좌측 패널(90) 및 우측 패널(100)이 모두 열리도록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 모두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좌측 패널(9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좌측으로 열리면서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함께 개방하고, 우측 패널(10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우측으로 열리면서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좌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개방한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집중 토출모드와 분산 토출모드 등에 따라, 승강기구(85)와,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모드가 분산 토출 모드이면, 제어부(410)는 좌측 토출베인(94)이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사이를 개방하도록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우측 토출베인(104)이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사이를 개방하도록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며, 토출구 유닛(80)의 공기 토출구(81)가 본체(2)의 상측 위치로 노출되도록 승강기구(85)를 개방 모드 즉, 상승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좌,우 패널(90)(100)의 하부에 안내된 후,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통해 본체(2)의 좌,우 양측 하부로 흡입되고, 본체(2)의 내부에서 열교환기(75)와 열교환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는 일부가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본체(2)의 좌,우 양측 상부로 토출되고, 나머지가 토출구 유닛(80)의 내부로 유동된다.
좌측 공기 토출부(8)로 토출된 공기는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좌측 토출베인(94) 및 좌측 패널(90)의 안내를 받고, 좌측 토출베인(94) 및 좌측 패널(90)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송풍되고, 우측 공기 토출부(10)로 토출된 공기는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우측 토출베인(104) 및 우측 패널(100)의 안내를 받고, 우측 토출베 인(104) 및 우측 패널(100)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송풍되며, 토출구 유닛(80)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는 토출구 유닛(80)을 통과하면서 좌우 풍향조절기구(290)와 상하 풍향 조절기구(320)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 풍향조절기구(290)와 상하 풍향 조절기구(320)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송풍된다.
즉,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는 본체의 상부 좌측 전방과, 상부 우측 전방과, 상측 전방의 세 방향으로 분산 토출된다.
한편,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모드가 집중 토출 모드이면, 제어부(410)는 좌측 토출베인(94)이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선단 사이를 막도록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고, 우측 토출베인(104)이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선단 사이를 막도록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며, 토출구 유닛(80)의 공기 토출구(81)가 본체(2)의 상측 위치로 노출되도록 승강기구(85)를 개방 모드 즉, 상승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좌,우 패널(90)(100)의 하부에 안내된 후,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통해 본체(2)의 좌,우 양측 하부로 흡입되고, 본체(2)의 내부에서 열교환기(75)와 열교환되며, 이후 토출구 유닛(80)의 내부로 유동되어, 좌우 풍향조절기구(290)와 상하 풍향 조절기구(320)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 풍향조절기구(290)와 상하 풍향 조절기구(320)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송풍된다.
즉,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는 본체의 상측 전방의 한 방향으로만 집중 토출된다.
한편, 제어부(410)는 상기와 같은 집중 토출 모드시 좌우 풍향조절기구(290)와 상하 풍향조절기구(32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각이 분산 토출모드시 보다 크게 제어한다. 즉, 공조 공기는 본체(2)의 상측 전방으로 주로 토출되되, 그 전방 상하로 확산됨과 아울러 전방 좌우로 확산되고, 공기조화기는 본체(2)의 전방 좌,우 공조를 제한하면서 본체(2)의 전방을 주로 입체적으로 공조하게 된다.
또한,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모드가 좌,우 토출 모드이면, 제어부(410)는 좌측 토출베인(94)이 좌측 공기 토출부(8)과 좌측 패널(90)의 사이를 개방하도록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우측 토출베인(104)이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사이를 개방하도록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며, 토출구 유닛(80)의 공기 토출구(81)가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승강 가이드(82)에 막히도록 승강기구(85)를 밀폐 모드 즉, 하강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좌,우 패널(90)(100)의 하부에 안내된 후,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통해 본체(2)의 좌,우 양측 하부로 흡입되고, 본체(2)의 내부에서 열교환기(75)와 열교환되며,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본체(2)의 좌,우 양측 상부로 토출된다.
좌측 공기 토출부(8)로 토출된 공기는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좌측 토출베인(94) 및 좌측 패널(90)의 안내를 받고, 좌측 토출베인(94) 및 좌측 패널(90)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송풍되고, 우측 공기 토출부(10)로 토출된 공기는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우측 토출베인(104) 및 우측 패널(100)의 안내를 받고, 우측 토출베인(104) 및 우측 패널(100)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송풍된다.
즉,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는 본체의 상부 좌측 전방 및 상부 우측 전방의 두 방향으로만 토출된다.
또한,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모드가 운전 정지 모드이면, 제어부(410)는 송풍팬(77)이 정지되도록 팬모터(76)를 구동 정지시키고, 좌측 패널(90) 및 우측 패널(100)이 모두 닫혀지도록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 모두를 밀폐 모드로 제어한다.
좌측 패널(9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우측으로 닫혀지면서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함께 밀폐하고, 우측 패널(10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좌측으로 닫혀지면서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좌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밀폐한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상기와 같은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의 제어와 함께, 토출구 유닛(80)의 공기 토출구(81)가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승강 가이드(82)에 막히도록 승강기구(85)를 밀폐 모드 즉, 하강 모드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상기와 같은 운전 정지 모드시,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밀폐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좌측 패널(90) 및 우측 패널(100)의 닫힘시, 좌측 토출베인(94) 및 우측 토출베인(104)이 개방 모드이면, 좌측 토출베인(94) 및 우측 토출베인(104)은 좌측 공기 토출부(8)의 좌측 경사부(45) 및 우측 공기 토출부(10)의 우측 경사부(57)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간섭을 피하고자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밀폐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 및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의 밀폐 모드 제어시, 좌측 토출베인(94) 및 우측 토출베인(10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와 좌,우측 토출 베인(90)(100)의 사이 전방을 막는 위치에서, 좌,우측 패널(90)(100)에 의해 전면 커버(60)와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전면 커버(60)의 후방 위치로 옮겨지고,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의 좌,우 경사부(55)(57)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공간부(S1)(S2)로 삽입되어 은닉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측 토출베인(94)(104) 및 좌,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105)가 좌,우측 베인(90)(100)에 설치되지 않고, 본체(2) 특히 상부 패널(50)에 설치되어, 좌,우측 토출베인(94)(104)이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를 직접 여닫는 것도 가능하고, 아울러 좌,우측 토출베인(94)(104)이 제어부(410)에 의해 제어되어 분산 토출 모드시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를 개방하고 집중 토출 모드시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를 밀폐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산 토출 모드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집중 토출 모드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상부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산 토출 모드시 상부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집중 토출 모드시 상부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베인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베인 및 토출베인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베인 구동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베인 구동 기구가 도시된 단 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지지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지지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베이스 4: 좌측 공기 흡입부
6: 우측 공기 흡입부 8: 좌측 공기 토출부
10: 우측 공기 토출부 12: 베이스
14: 경사부 20: 캐비닛
30: 좌측 하부 패널 40: 우측 하부 패널
50: 상부 패널 55: 좌측 토출부
56: 우측 토출부 60: 전면 커버
70: 전면 패널 80: 토출구 유닛
82: 승강 가이드 85: 승강기구
86: 승강 모터 87: 고정 기어
89: 무빙 기어 90: 좌측 패널
94: 좌측 토출베인 95: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
100: 우측 패널 102: 우측 토출 가이드
104: 우측 토출베인 105: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
106: 곡면 가이드 107: 상부 가이드
108: 모터 마운터 109: 모터 수용부
150: 구획부 159: 좌측 패널 구동기구
160: 우측 패널 구동 기구 161: 모터
162: 구동 기어 163: 종동 기어
164: 구동 링크 210: 토출구 바디
290: 좌우 풍향조절기구 320: 상하 풍향조절기구
400: 조작부 410: 제어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하부 좌,우측에 공기 흡입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좌,우측에 공기 토출부가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좌측 공기 흡입부와 좌측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패널과;
    상기 우측 공기 흡입부와 우측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패널과;
    상기 본체의 상부로 승강되게 배치되고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좌측 공기 토출부와 좌측 패널의 사이 전방을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좌측 공기 토출부와 대향되게 상기 좌측 패널에 설치된 좌측 토출베인과;
    상기 우측 공기 토출부와 우측 패널의 사이 전방을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우측 공기 토출부와 대향되게 상기 우측 패널에 설치된 우측 토출베인과;
    상기 좌측 패널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상기 우측 패널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패널 구동기구와;
    상기 좌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좌측 패널에 배치된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우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우측 패널에 배치된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와,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승강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면 상기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우측 패널 구동 기구를 모두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면서 집중 토출모드이면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 기구를 밀폐 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기구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면서 분산 토출모드이면,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승강기구 모두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운전 정지이면, 상기 좌측 패널구동기구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와, 승강기구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운전 정지이면,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 유닛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중 토출모드시의 풍향 조절기구의 회전각이 상기 분산 토출모드시의 풍향 조절기구 회전각 보다 크게 상기 풍향 조절기구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070108964A 2007-10-29 2007-10-29 공기조화기 KR101403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964A KR101403002B1 (ko) 2007-10-29 2007-10-29 공기조화기
CN2008801234517A CN101910734B (zh) 2007-10-29 2008-05-23 空调
PCT/KR2008/002889 WO2009057869A2 (en) 2007-10-29 2008-05-23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964A KR101403002B1 (ko) 2007-10-29 2007-10-2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227A KR20090043227A (ko) 2009-05-06
KR101403002B1 true KR101403002B1 (ko) 2014-06-20

Family

ID=4059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964A KR101403002B1 (ko) 2007-10-29 2007-10-2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03002B1 (ko)
CN (1) CN101910734B (ko)
WO (1) WO20090578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04B1 (ko) * 2009-01-22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10075475A (ko) * 2009-12-28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781845B1 (ko) 2010-05-13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CN102305433A (zh) * 2011-07-20 2012-01-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
CN202955832U (zh) * 2012-04-19 2013-05-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的送电装置
CN103727585B (zh) * 2012-10-15 2016-12-2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器
CN104676764B (zh) * 2013-11-28 2018-07-1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
KR102513480B1 (ko) 2015-07-17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222308B (zh) * 2015-09-11 2018-06-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CN105135651B (zh) * 2015-09-11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CN105135650B (zh) * 2015-09-11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CN105135652B (zh) * 2015-09-11 2019-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CN106642618B (zh) * 2017-01-11 2022-04-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顶出风装置、空调器及顶出风装置的运动控制方法
JP6823493B2 (ja) * 2017-02-24 2021-02-0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12944467A (zh) * 2019-12-10 2021-06-11 Lg电子株式会社 空气管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11566796B2 (en)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909B1 (ko) * 1995-12-14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
US20030157883A1 (en) 2002-02-19 2003-08-21 Young-Yeal Kwak Grille controlling apparatus for indoor ventilator
KR20050031568A (ko) *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15338B1 (ko) * 2005-12-30 2007-05-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패키지형 에어컨의 블레이드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49B1 (ko) * 2003-07-30 200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E10339842B4 (de) * 2003-08-29 2008-02-14 Angell-Demmel Europ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asten, Zier- und Instrumentenblenden mit Feinsymbolik und ein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Bedientas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909B1 (ko) * 1995-12-14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
US20030157883A1 (en) 2002-02-19 2003-08-21 Young-Yeal Kwak Grille controlling apparatus for indoor ventilator
KR20050031568A (ko) *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15338B1 (ko) * 2005-12-30 2007-05-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패키지형 에어컨의 블레이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869A3 (en) 2009-09-17
CN101910734A (zh) 2010-12-08
WO2009057869A2 (en) 2009-05-07
CN101910734B (zh) 2013-03-27
KR20090043227A (ko)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002B1 (ko) 공기조화기
KR101403004B1 (ko) 공기조화기
KR10108255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875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9244B1 (ko) 공기조화기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101403005B1 (ko) 공기조화기
KR101402156B1 (ko) 공기조화기
KR100902927B1 (ko) 공기조화기
KR101403003B1 (ko) 공기조화기
KR100907716B1 (ko) 공기조화기
KR100958389B1 (ko) 공기조화기
KR101402157B1 (ko) 공기조화기
KR101450564B1 (ko) 공기조화기
KR1015822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275574B1 (ko) 공기조화기
KR100879602B1 (ko) 공기조화기
KR101450565B1 (ko) 공기조화기
KR100880688B1 (ko) 공기조화기
KR100881124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7225A (ko) 공기조화기
KR20090043239A (ko) 공기조화기
KR100908886B1 (ko) 공기조화기
KR10150050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2867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