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695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695B1
KR102101695B1 KR1020180078166A KR20180078166A KR102101695B1 KR 102101695 B1 KR102101695 B1 KR 102101695B1 KR 1020180078166 A KR1020180078166 A KR 1020180078166A KR 20180078166 A KR20180078166 A KR 20180078166A KR 102101695 B1 KR102101695 B1 KR 10210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guide
air
cas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024A (ko
Inventor
박기윤
오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6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 및 열교환기와; 공기토출구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가 브릿지로 연결되고, 이너 가이드 상부에 드레인 팬부가 형성되며, 이너 가이드에 공기흡입구 및 오리피스 장착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와; 오리피스 장착부에 장착되고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공기흡입구에 배치된 인렛 그릴을 포함하고, 오리피스 장착부는 인렛 그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오리피스 장착부와 인렛 그릴 사이의 거리는 오리피스의 상하방향 폭 보다 짧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에는 실내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는 공기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풍향조절부재를 승강시켜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33413 B1(2018년02월28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33413 B1(2018년02월28일 공고)
본 발명은 열교환기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컴팩트화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 및 열교환기와; 공기토출구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가 브릿지로 연결되고, 이너 가이드 상부에 드레인 팬부가 형성되며, 이너 가이드에 공기흡입구 및 오리피스 장착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와; 오리피스 장착부에 장착되고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공기흡입구에 배치된 인렛 그릴을 포함하고, 오리피스 장착부는 인렛 그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오리피스 장착부와 인렛 그릴 사이의 거리는 오리피스의 상하방향 폭 보다 짧다.
열교환기의 하단 높이는 케이싱의 하단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열교환기의 상하 방향 폭은 케이싱의 상하 방향 폭 보다 길 수 있다.
팬 모터의 상단부터 오리피스의 하단 사이의 폭은 케이싱의 상하 방향 폭 보다 길 수 있다.
케이싱의 하단 및 로어 바디의 상단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오리피스의 외둘레를 향할 수 있다.
로어 바디는 아우터 가이드와 브릿지와 드레인 팬부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사이에 배치된 토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는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보다 경량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는 아우터 가이드를 향하는 이너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는 이너 가이드면의 하단에서 연장된 출구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구단은 이너 가이드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방향으로 연장된 제1출구단과, 제1출구단에서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꺽인 제2출구단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은 내부에 팬모터 및 송풍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탑 커버와; 케이스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의 외둘레에 배치된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 중 적어도 하나와 케이스의 사이에는 컨트롤 박스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데코는 탑 커버에 안착되는 어퍼 안착부과, 케이스에 결합되는 로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데코는 어퍼 안착부와 로어 결합부를 잇고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아우터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리피스 장착부와 인렛 그릴 사이의 거리가 오리피스의 상하방향 폭 보다 짧아, 기기 전체의 상하방향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크기는 최대화하면서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가 케이스를 보호할 수 있고,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둘레면 외관이 고급화될 수 있다.
또한, 출구단에 안내된 공기가 최대한 넓게 퍼지면서 토출되게 유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가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고 오리피스를 최대한 인렛 그릴에 근접하게 장착할 수 있어, 컨트롤 박스가 오리피스와 인렛 그릴의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가 컨트롤 박스로 먼지나 물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 데코의 상부와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리피스가 로어 바디에 장착되었을 때의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과, 케이싱(1)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 바디(2)와, 로어 바디(2)의 하부에 배치된 인렛 그릴(3)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6) 및 열교환기(7)를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2)에 배치되어 팬모터(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8)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 또는 로어 바디(2)에 배치된 컨트롤 박스(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케이스(11)와, 케이싱(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바디(12)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13)(14)(15)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팬모터(6) 및 열교환기(7)가 수용되는 공간(S1,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상면 및 하면 각각이 개방된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1)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11)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량화를 위해 경량의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을 차폐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케이스(11)가 뒤틀리거나 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강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면, 금속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2)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외둘레면을 분할하여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외둘레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 중 적어도 하나(13)와 케이스(11)의 사이에는 컨트롤 박스(9)가 수용되는 공간(S2,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가 케이스(11)의 외둘레에 배치될 경우, 컨트롤 박스(9)는 수평 방향(X)으로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 중 적어도 하나(13)를 향할 수 있고, 이렇게 컨트롤 박스(9)가 향하는 케이스 데코(13)는 컨트롤 박스(9)의 외부에서 컨트롤 박스(9)를 보호하는 컨트롤 박스 데코(13, 도 4 참조)일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 중 헹거(10)가 장착되는 헹거 체결부를 덮는 헹거 데코(14,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스 데코(13)(14)(15)는 컨트롤 박스 데코(13)나 헹거 데코(14)의 옆에 위치하고, 케이스(11)의 외둘레면을 덮는 사이드 데코(15,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데코(13)와 헹거 데코(14) 및 사이드 데코(15)는 케이스(11)의 외둘레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데코(13)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데코(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헹거 데코(14)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데코(1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의 상부 또는 탑 커버(12)에 안착되는 어퍼 안착부(17,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케이스(11)에 결합되는 로어 결합부(18,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데코(13)(14)(15)는 어퍼 안착부(17)와 로어 결합부(18)를 잇는 아우터 커버부(19,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안착부(17)는 아우터 커버부(19)의 상단에서 절곡된 형상일 수 있고, 케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면 또는 탑 커버(12)의 상면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로어 결합부(18)는 아우터 커버부(19)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결합부(18)는 케이스(11)에 형성된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아우터 커버부(19)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케이싱(1)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6)는 탑 커버(12)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스(11)의 내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탑 커버(12)의 저면 및 케이스(11)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로어 바디(2)는 케이싱(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 바디(2)에는 공기흡입구(21) 및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케이싱(1)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게 안내할 수 있고, 열교환기(7)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실내를 향하는 흡/토출 패널일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로어 바디(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로어 바디(2)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로어 바디(2) 특히, 이너 가이드(23)에 상하 방향으로 중공되게 형성되고, 공기가 팬(6)으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통로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공기흡입구(21)의 외측에 공기흡입구(21)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이거나 고리 형상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그 출구(22B)의 크기가 그 입구(22A)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에 의해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는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는 이너 가이드(23) 적어도 일부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위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하단 높이는 아우터 가이드(24)의 하단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부 외둘레를 둘러싸게 위치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23) 중 하부 일부는 아우터 가이드(24)의 하측을 향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외둘레 중 상부는 수평 방향(X)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고, 이너 가이드(23)의 외둘레에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면(23A)는 아우터 가이드(24)의 반대편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면(23A)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X)에 가깝게 완만한 기울기를 갖고,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수직 방향(Z)에 가깝게 가파른 기울기를 갖을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는 수평 방향(X)으로 이너 가이드(23)를 향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면에는 공기토출구(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아우터 가이드면(24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면(24B)는 이너 가이드(23)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공기토출구(22)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23)와 아우터 가이드(24)를 연결하는 브릿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복수개의 브릿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릿지(25)는 공기토출구(22)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2)에는 드레인 팬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는 이너 가이드(23)의 상면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는 수평 방향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의 상단은 수평 방향(X)으로 오리피스(8)의 외둘레면을 향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의 상단은 수평 방향(X)으로 안내부(82)의 외둘레면을 향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의 입구(22A)는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면 상단과 아우터 가이드(24)의 상단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열교환기(7)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드레인 팬부(26)의 상단과 아우터 가이드(24)의 상단 사이를 통해 공기토출구(22)로 유입될 수 있다. 드레인 팬부(26)의 외둘레면은 공기토출구(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3A)를 구성할 수 잇다.
공기토출구(22)의 출구(22B)는 이너 가이드(22)의 하부 외둘레와 아우터 가이드(23)의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2)의 하부 외둘레에는 이너 가이드(22)의 이너 가이드면(23A)에 안내된 공기를 수평 방향(X)이나 수평 방향에 가깝게 유도하는 출구단(23B)(23C)이 형성될 수 있다.
출구단(23B)(23C)는 후술하는 토출 가이드(30)의 하부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출구단(23B)(23C)는 이너 가이드면(23A)의 하단에서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방향으로 연장된 제1출구단(23B)과, 제1출구단(28B)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꺽인 제2출구단(28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2)에 상기와 같은 출구단(23B)(23C)가 형성될 경우, 공기토출구(23)의 출구(23B)는 제1출구단(23B)과 제2출구단(23B)의 경계와 아우터 가이드(24)의 사이일 수 있다.
이너 가이드(22)의 하부 외둘레가 출구단(28B)(28C)을 포함하지 않고, 하측 방향 방향으로 완만한 기울기를 갖을 경우, 공기토출구(22)로 토출된 공기는 실내로 넓게 퍼지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출구단(28B)(28C)를 갖을 경우, 이너 가이드면(23A)에 안내된 공기가 수평 방향(X)으로 최대한 넓게 퍼지면서 토출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2)에는 공기흡입구(21) 및 오리피스 장착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2)는 중공된 형상일 수 있고, 공기흡입구(21)는 이너 가이드(2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는 이너 가이드(21)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의 상단의 면적은 공기흡입구(21)의 하단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공기흡입구(21)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이너 가이드(22)의 내둘레에서 공기흡입구(21)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이너 가이드(22)의 내둘레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28)(29)(30)로 구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와, 토출 가이드(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28)는 아우터 가이드(24)와 브릿지(25)와 드레인 팬부(26)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고, 서브 바디(29)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28)의 드레인 팬부(26)에는 열교환기(7)가 안착되는 안착 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메인 바디(28)는 토출 가이드(30) 보다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29)는 내측에 공기흡입구(21)가 형성된 공기 흡입 바디일 수 있다. 서브 로어 바디(29)에는 인렛 그릴(2)이 착탈되는 인렛 그릴 착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29)는 토출 가이드(30) 보다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메인 바디(28)나 서브바디(29)에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그 높이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서브바디(29)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오리피스 장착부(27)가 서브바디(29)에 형성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메인 바디(28)에 형성되는 것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토출 가이드(30)는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는 로어 바디(2)의 경량화를 위해, 메인 바디(28)와 서브 바디(29) 보다 경량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다.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은 수평 방향(X)으로 아우터 가이드(24)를 향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은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면(24A)을 구성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2)의 공기는 토출 가이드(30)의 외둘레면과 아우터 가이드(24)의 내둘레면 사이를 통과한 후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공기흡입구(2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이너 가이드(21)의 하부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은 이너 가이드(21)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에는 인렛 그릴(3) 아래의 공기가 공기흡입구(2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 그릴(3)에는 통공(31)을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32)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32)는 인렛 그릴(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도 3과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2)에 배치된 에어 가이드(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4)는 공기토출구(22)를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4)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4)는 로어 바디(2)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 가이드(4)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아우터 가이드(24)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에어가이드(4)에 연결되어 에어가이드(4)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모터(41)과,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42)(4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에는 피니언(42)이 연결될 수 있고, 에어 가이드(4)에는 피니언(42)이 치합된 랙(43)이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42)과 랙(43)은 모터(41)의 구동력을 에어 가이드(4)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42)(43)로 기능할 수 있다. 모터(41)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41)는 아우터 가이드(24)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기구(40)는 후술하는 사이드 데코부(5B)와 아우터 가이드(2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텀 데코부(5A) 및 사이드 데코부(5B)에 의해 은닉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4)는 상승되었을 때, 로어 바디(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하강되었을 때, 로어 바디(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공기토출구(22)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하측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2)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에어 가이드(4)는 복수개의 에어 가이드(4)를 잇는 가상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아우터 가이드(24)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상승시, 에어 가이드(4)는 아우터 가이드(24)에 형성된 수용부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하강시, 에어 가이드(4)는 공기토출구(22)의 외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는 공기토출구(22)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가 호 형상일 경우, 가이드면은 에어가이드(3)의 내측면일 수 있다. 에어가이드(4)의 하강시, 가이드면은 공기토출구(22)를 향할 수 있고, 공기토출구(22)로 토출된 공기는 가이드면에 안내된 후, 가이드면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기류 전환될 수 있다. 가이드면은 에어가이드(4)의 길이방향으로 곡선 형상일 수 있고, 에어가이드(4)의 높이방향으로 직선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면은 공기토출구(22)를 토출된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고, 공기토출구(22)에서 토출된 수평기류는 가이드면에 부딪힌 후 수직기류로 전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3)의 출구단(23B)(23C)에 안내되어 수평 방향으로 토출 안내된 공기는 에어가이드(4)의 높이에 따라 그 기류가 결정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4)가 상승된 경우, 수평 기류로 확산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4)가 하강된 경우, 수평기류나 수직기류 사이의 경사기류나, 수직 기류로 확산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이너 가이드(23)의 출구단(23B)(23C)과 에어가이드(4)에 의해 수평기류와 수직기류와 경사기류 등의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4)의 저면 일부와 로어 바디(4)의 둘레면을 감싸는 로어 데코(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로어 바디(5)의 저면 일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로어 바디(5)의 저면 일부를 커버하는 바텀 데코부(5A)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데코부(5A)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로어 바디(5)의 둘레면 외측에 배치되어 로어 바디(5)의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사이드 데코부(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데코부(5B)는 바텀 데코부(5A)의 외둘레에서 상측 방향으로 세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5)는 승강기구(4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리는 승강기구 커버일 수 있다.
팬모터(6)는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장착된 모터(61)과, 모터(61)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6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61)는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61)는 모터 브래킷(미도시)을 통해 탑 커버(12)에 장착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탑 커버(12)에 체결될 수 있다.
팬(62)는 원심형 블로워일 수 있고,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장착될 수 있다. 열교환기(7)의 하단은 드레인 팬부(26)에 형성된 안착 리브에 안착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팬모터(6)의 외측 및 오리피스(8)의 외측에서 팬모터(6) 및 오리피스(8)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냉매가 통과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열교환 바디(71)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으로 말린 형태일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우호 형상으로 말린 형상일 수 있고, 그 일단과 타단이 이격될 수 있다.
열교환 바디(71)는 튜브와, 튜브에 접촉된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열교환 바디(71)는 핀-튜브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열교환 바디(71)를 케이싱(1) 특히 탑 커버(12)에 고정시키는 열교환기 브래킷(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래킷(72)은 열교환 바디(7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열교환 바디(71)와 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 브래킷(72)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탑 커버(12)에 체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 브래킷(72)은 복수개가 열교환 바디(71)과 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열교환 바디(71)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막는 열교환기 커버(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8)는 오리피스 장착부(27)에 체결되는 체결부(81)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H)이 형성된 안내부(82)와, 체결부(81)과 안내부(82)를 잇는 연결부(8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81)는 연결부(83)의 하단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82)는 연결부(83)에서 팬(62)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팬(62)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H)은 안내부(8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안내부(82)는 상부와 하부의 크기가 중앙부 보다 클 수 있고, 안내부(82)는 하부엣 중앙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중앙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연결부(83)는 안내부(82)의 하단과 체결부(81)의 내둘레를 잇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3)는 체결부(81)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연결부와, 수직 연결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8)의 일예는 체결부(81)가 이너 가이드(23)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연결부(83)와 체결부(81)가 이너 가이드(23)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안내부(82)의 일부와 연결부(83) 및 체결부(81)가 이너 가이드(23)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부(81)의 외둘레 및 드레인 팬부(26)의 내둘레는 원형 형상일 수 있고, 체결부(81)의 외경은 드레인 팬부(26) 내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체결부(81)의 외경은 오리피스(8)의 외경일 수 있고, 오리피스(8)의 외경은 드레인 팬부(26) 내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오리피스(8)는 공기흡입구(2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8) 중 공기흡입구(21)에 위치하는 하부(예를 들면, 안내부(82)의 일부와 연결부(83) 및 체결부(81)는 이너 가이드(23)와 수평 방향(X)으로 중첩되면서 이너 가이드(2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이너 가이드(23)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는 로어 바디(2)에 장착되거나 오리피스(8)에 장착되거나 케이싱(1)에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는 내부에 공간(S3)이 형성된 박스 바디(91)와, 박스 바디(91)의 공간(S3)에 수용된 피시비(92)와, 박스 바디(91)의 공간(S3)을 덮는 박스 커버(9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리피스가 로어 바디에 장착되었을 때의 도이다.
오리피스(8)는 오리피스 장착부(27)에 장착될 수 있다. 오리피스(8)의 체결부(81)는 오리피스 장착부(27)의 아래에 위치되게 오리피스 장착부(27)에 체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81)와 오리피스 장착부(27) 중 어느 하나에는 걸이부(27A)가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81)와 오리피스 장착부(27) 중 어느 하나에는 걸이부(27A)가 삽입된 후 걸리는 걸림홀(81A)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8)는 오리피스 장착부(27)에 돌려 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걸이부(27A)는 걸림홀(81A)로 삽입된 후 걸림홀(81A) 주변에 걸릴 수 있다.
걸이부(27A)는 오리피스 장착부(27)의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돌출부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81A)는 체결부(81)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27A)의 돌기부는 걸림홀(81A)을 통과할 수 있고, 체결부(81)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 돌기부가 걸림홀(81A)의 주변 아래에 걸릴 수 있다.
체결부(81)는 돌기부에 하측 방향으로 구속되고, 오리피스(8)는 오리피스 장착부(27)에 장착될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는 인렛 그릴(3)과 상하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오리피스(8)의 높이는 오리피스 장착부(27)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오리피스(8)의 높이는 오리피스 하단(8B)의 높이(H3)일 수 있다.
오리피스 장착부(27)와 인렛 그릴(3) 사이의 거리(L1)는 오리피스(8)의 상하방향 폭(L2) 보다 짧을 수 있다.
열교환기(7)의 하단(7B) 높이(H1)는 케이싱(1)의 하단(1B) 높이(H2) 보다 낮을 수 있다.
열교환기(7)의 상하 방향 폭(L3)은 케이싱(1)의 상하 방향 폭(L4) 보다 길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케이싱(1)에 장착 완료되었을 때, 그 하부 일부가 수평 방향(X)으로 케이싱(1)의 아래를 향할 수 있다.
팬모터(6)의 상단(6A)부터 오리피스(8)의 하단(8B) 사이의 폭(L5)은 케이싱(1)의 상하 방향 폭(L4) 보다 길 수 있다. 팬모터(6)의 상단(6A)는 모터(61)의 상단일 수 있고, 오리피스(8)의 하단(8B)은 체결부(81)의 저면일 수 있다.
오리피스(8)는 그 하부(LO)가 이너 가이드(23)의 내측에 위치되고, 그 상부(UO)가 케이싱(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8)는 이너 가이드(23)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하부(LO)이고, 케이싱(1)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부(UO)일 경우, 오리피스(8)는 이너 가이드(23)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부(LO)가 많을수록 그 높이(H3)가 낮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리피스(8)의 높이(H3)가 낮을 경우, 케이싱(1)의 하단(1B) 및 로어 바디(2)의 상단(2A) 각각은 수평방향(X)으로 오리피스(8)의 외둘레를 향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팬모터(6)와, 열교환기(7) 및 오리피스(8)가 모두 장착 완료되었을 때, 오리피스(8) 하단(8B)의 높이(H3) 및 열교환기(7) 하단(7B)의 높이(H1) 각각이 케이싱(1) 하단(1B)의 높이(H2) 보다 낮을 수 있다.
한편, 컨트롤 박스(9)는 오리피스(8)의 저면이나 이너 가이드(23)의 내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컨트롤 박스(9)는 공기흡입구(21)에 위치되므로, 공기흡입구(21)에서 오리피스(8)로 유동되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 장착부(27)와 인렛 그릴(3) 사이의 거리(L1)가 짧을 경우, 컨트롤 박스(9)의 상하방향 폭이 낮아야 하고, 이를 위해 컨트롤 박스(9)의 내부 구조가 복잡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는 로어 바디(2)의 내부 이외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 박스(9)는 케이스(11)의 외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9)는 컨트롤 박스 데코(13)와, 케이스(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11)와 컨트롤 박스 데코(13)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 박스(9)는 공기흡입구(21)에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팬모터(6)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고, 오리피스(8)는 그 높이(H3)가 최대한 낮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박스(9)가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될 경우, 케이스(11)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7)에 의해 컨트롤 박스(9)에 이슬 맺힘 가능성이 높고, 케이스(11) 내부에 배치된 타 부품, 예를 들면, 오리피스(8)의 제조 공정이나 조립 공정이 복잡할 수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와 같이, 컨트롤 박스(9)가 케이스(11)의 외둘레에 배치될 경우, 컨트롤 박스(9)의 이슬맺힘이 최소화될 수 있고, 케이스(11) 내부에 배치된 타 부품의 제조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케이싱 2: 로어 바디
2: 인렛 그릴 6: 팬모터
7: 열교환기 8: 오리피스
21: 공기흡입구 22: 공기토출구
23; 이너 가이드 24: 아우터 가이드
25: 브릿지 26: 드레인 팬부
27: 오리피스 장착부
L1: 오리피스 장착부와 인렛 그릴 사이의 거리
L2: 오리피스의 상하방향 폭

Claims (15)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 및 열교환기와;
    공기토출구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가 브릿지로 연결되고, 상기 이너 가이드 상부에 드레인 팬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가이드에 공기흡입구 및 오리피스 장착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와;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공기흡입구의 아래에 배치된 인렛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는 상기 인렛 그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와 인렛 그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오리피스의 상하방향 폭 보다 짧고,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팬모터 및 송풍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탑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데코는
    상기 탑 커버에 안착되는 어퍼 안착부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로어 결합부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 높이는 상기 케이싱의 하단 높이 보다 낮은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케이싱의 상하 방향 폭 보다 긴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의 상단부터 상기 오리피스의 하단 사이의 폭은 상기 케이싱의 상하 방향 폭 보다 긴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단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단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오리피스의 외둘레를 향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와 브릿지와 드레인 팬부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사이에 배치된 토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보다 경량의 재질로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 및 열교환기와;
    공기토출구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가 브릿지로 연결되고, 상기 이너 가이드 상부에 드레인 팬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가이드에 공기흡입구 및 오리피스 장착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와;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공기흡입구의 아래에 배치된 인렛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는 상기 인렛 그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와 인렛 그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오리피스의 상하방향 폭 보다 짧고,
    상기 로어 바디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와 브릿지와 드레인 팬부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인렛 그릴이 착탈되는 인렛 그릴 착탈부가 형성된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사이에 배치된 토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는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중 적어도 하나의 내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보다 경량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의 외둘레에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를 향하는 이너 가이드면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이너 가이드면의 하단에서 연장된 출구단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단은 상기 이너 가이드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방향으로 연장된 제1출구단과, 상기 제1출구단에서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꺽인 제2출구단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둘레에 배치된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 팬모터 및 열교환기와;
    공기토출구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가 브릿지로 연결되고, 상기 이너 가이드 상부에 드레인 팬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가이드에 공기흡입구 및 오리피스 장착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와;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공기흡입구의 아래에 배치된 인렛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는 상기 인렛 그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오리피스 장착부와 인렛 그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오리피스의 상하방향 폭 보다 짧고,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팬모터 및 송풍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탑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데코와 케이스의 사이에는 컨트롤 박스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데코는 상기 어퍼 안착부와 로어 결합부를 잇고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아우터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80078166A 2018-07-05 2018-07-05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01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66A KR102101695B1 (ko) 2018-07-05 2018-07-05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66A KR102101695B1 (ko) 2018-07-05 2018-07-05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24A KR20200005024A (ko) 2020-01-15
KR102101695B1 true KR102101695B1 (ko) 2020-04-17

Family

ID=6915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66A KR102101695B1 (ko) 2018-07-05 2018-07-05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423A (ko) * 2022-09-16 202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공기조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903A (ja) * 1999-03-05 2000-09-22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156897B2 (ja) * 1994-03-1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基板及び半導体基板の作製方法
JP2016080207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897U (ja) * 2009-11-06 2010-01-21 永華 陳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整循環機
KR101833413B1 (ko) * 2016-08-16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897B2 (ja) * 1994-03-1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基板及び半導体基板の作製方法
JP2000257903A (ja) * 1999-03-05 2000-09-22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16080207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5689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24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41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8001339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1003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EP2206974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able intake panel
KR10128037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88828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US3416329A (en) Air conditioning unit
KR10210169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867467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KR102285835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0346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0165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0223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4337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5244341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10128294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14592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68818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4337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0000501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0895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29027B1 (ko) 공기조화기
CN107702203B (zh) 天花机
KR102477942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4639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