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467B1 -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467B1
KR100867467B1 KR1020060004087A KR20060004087A KR100867467B1 KR 100867467 B1 KR100867467 B1 KR 100867467B1 KR 1020060004087 A KR1020060004087 A KR 1020060004087A KR 20060004087 A KR20060004087 A KR 20060004087A KR 100867467 B1 KR100867467 B1 KR 10086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ibration
air conditioner
moto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614A (ko
Inventor
류성록
김정훈
박상경
임경석
이장우
박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467B1/ko
Priority to PCT/KR2006/003672 priority patent/WO2007081078A2/en
Priority to CN2006800509462A priority patent/CN101631991B/zh
Publication of KR2007007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4Suspension or dam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5Compress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는 공기가 흡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하는 열교환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 열교환기 및 토출구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모터 마운트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송풍장치와, 상기 케이스 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상기 케이스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진동 저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케이스, 송풍장치, 송풍팬, 모터 마운트, 제진수단, 방진돌출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VIBRATION DAMP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진동방지구조의 실시예가 각각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공기조화기 및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소음이 도시된 그래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2 : 케이스 24 : 제진부
30 : 송풍장치 32 : 송풍팬
34 : 모터 36 : 모터 마운트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냉매가 순환되는 열교환기 및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장치가 내장되어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와 송풍장치 사이에 진동이 전달 및/또는 확산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써,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고, 동시에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설치 방법에 따라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되고, 상기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점유 면적과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응축기 및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가 실외측에 설치되며,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는 실내기가 실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스탠드형, 벽에 걸림되도록 설치되는 벽걸이형 또는 액자형, 천정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천정형 등으로 나뉘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에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 내부에 열교환기(미도시) 및 송풍장치(10)가 내장되되, 상기 송풍장치(10)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12)이 팬 하우징(미도시)에 내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12)을 구동시키는 모터(14)가 상기 송풍팬(12)과 연결되는 동시에 모터 마운트(16)에 의해 상기 케이스(2)에 리벳 또는 나사(B) 고정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12)이 상기 모터(14)에 의해 구동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다음, 차가워진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장착구조는 케이스(2)에 송풍팬(12) 및 모터(14)를 모터 마운트(16)에 의해 리벳 또는 나사(B) 고정시키되, 케이스(2)와 모터 마운트(16)가 서로 수평하게 맞닿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송풍팬(12) 및 모터(14)가 구동됨에 따라 진동이 케이스(2)로 전달될 뿐 아니라 확산되고, 그 결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 내부에 송풍장치가 모터 마운트에 의해 리벳 또는 나사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되어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더라도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는 공기가 흡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하는 열교환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 열교환기 및 토출구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모터 마운트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송풍장치와, 상기 케이스 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상기 케이스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진동방지구조의 실시예가 각각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일실시예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2)에 송풍팬(32) 및 모터(34)와 모터 마운트(36)로 이루어진 송풍장치(30)가 리벳 또는 나사(B) 체결되되, 상기 케이스(22)와 모터 마운트(36)의 결합부분에 바깥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좁고 길게 돌출된 긴 방사형의 제진부(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장치(30)는 시로코 팬, 터보팬 등과 같은 송풍팬(32)이 모터(34)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32) 및 모터(34)는 상기 모터 마운트 (36)에 의해 상기 케이스(22)의 평평한 면에 형성된 조립홀(22h)에 리벳 또는 나사(B)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진부(24)는 좁고 긴 돌출부가 하나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 마운트(36)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확장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22)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더라도 무방하나, 상기 케이스(22)가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진부(24)는 상기 케이스(2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진부(24)는 일종의 보강용 리브 역할을 수행하여 얇은 평판 형상의 케이스(22)의 강도 보강 효과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진부(24)가 방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각 돌출부 사이의 케이스(22)의 평평한 면에 상기 조립홀(22h)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 마운트(36)는 상기 제진부(24)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평평한 면에 리벳 또는 나사(B)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32) 및 모터(34)가 상기 모터 마운트(36)에 의해 상기 케이스(22)의 평평한 면에 형성된 조립홀(22h)에 리벳 또는 나사(B) 조립되되, 상기 모터 마운트(36)의 중심이 상기 제진부(24)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서로 조립시킨 다음, 상기 모터(34)가 작동되어 상기 송풍팬(32)을 회전시키면, 진동이 비교적 얇은 금속 재질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스(22)를 따라 전달되더라도 상기 제진부(24)에 의해 상기 케이스(22)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진부(24)가 상기 케이스(22)의 평평한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22)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보다 진동이 전달되는 면을 보다 확장시킨다.
[수학식]
Figure 112006043233410-pat00011
상기 수학식은 판진동 특성의 고유진동수 f 에 관한 식으로, c는 일반 강의 진동 전달속도로서 대략 5.5 * 10^3 m/s 이고, a 와 b는 단위 면적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를 나타내되, 판진동 특성상 고유진동수가 전달면적에 따라 반비례하는 것을 고려하여 실제 상기 케이스(22)에 상기 제진부(24)가 형성된 경우 더욱 고유진동수가 저감되어 진동 및 소음 저감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모터 마운트(36)가 상기 제진부(24)와 선접촉함에 따라 진동이 전달되는 접촉면적도 줄일 수 있어 진동 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다른 실시예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진부(24)에 직접 조립홀(24h)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32) 및 모터(34)가 상기 모터 마운트(36)에 의해 상기 제진부(24)에 직접 리벳 또는 나사(B) 조립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진부(24) 역시 상기 케이스(2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현하고, 상기 조립홀(24h)을 상기 제진부(24)에 형성하여 리벳 또는 나사(B)가 상 기 케이스(22)의 외측방향으로부터 조립되더라도 상기 제진부(24)에 가려져 벽면과 간섭을 방지할 뿐 아니라 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모터 마운트(36)가 상기 제진부(24)에 접촉된 부분에 직접 리벳 또는 나사(B)가 조립됨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물론, 자세한 구성 및 작용은 일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또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송풍장치(30)가 케이스(42)에 리벳 또는 나사(B) 체결되되, 상기 케이스(42)와 모터 마운트(36)의 결합부분에 바깥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좁고 길게 돌출된 긴 '王' 자형의 제진부(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32) 및 모터(34)는 상기 모터 마운트(36)에 의해 상기 케이스(42)의 평평한 면 또는 상기 제진부(44)에 형성된 조립홀(42h,44h)에 리벳 또는 나사(B)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진부(44)는 좁고 긴 세 개의 돌출부가 수평하게 배열되고, 이와 교차하도록 좁고 긴 돌출부가 수직하게 배열되어 상기 모터 마운트(36)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확장되도록 형성되되, 역시 상기 케이스(42)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더라도 무방하다.
물론, 상기 제진부(44)는 방사형, '王' 자형 이외에도 좁고 긴 돌출부가 서로 교차하는 임의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32) 및 모터(34)가 상기 모터 마운트(36)에 의해 상기 케이스(42)의 평평한 면에 형성된 조립홀(42h) 및 상기 제진부(44)에 형성된 조립홀(44h)에 리벳 또는 나사(B) 조립되되, 상기 모터 마운트(36)의 중심이 상기 제진부(44)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서로 조립시킨 다음, 상기 모터(34)가 작동되어 상기 송풍팬(32)을 회전시키면, 진동이 비교적 얇은 금속 재질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스(42)를 따라 전달되더라도 상기 제진부(44)에 의해 상기 케이스(42)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진부(44) 역시 일실시예의 방사형 제진부(24)와 동일한 작용을 하여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케이스(22,42)와 송풍장치(30)의 결합부분에 진동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22,42)에 좁고 길게 돌출부가 임의의 형상으로 조립된 제진부(24,44)를 구성할 수 있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액자형 공기조화기, 천정형 공기조화기 등 다양한 공기조화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종기조화기 및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소음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의 평평한 부분에 송풍장치가 리벳 고정된 경우이고,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의 결합부분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제진부에 송풍장치가 리벳 고정된 경우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보다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이 저감되었고, 나아가 140Hz 대역에서 진동이 대폭 저감된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종래의 공기조화기보다 본 발 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더욱 진동 및 소음 저감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캐비닛(52)의 바닥면에 베이스(52a)가 결합되는 동시에 그의 전면 상하측에 각각 토출구(54a)가 형성된 토출그릴(54)과 흡입구(56a)가 형성된 흡입그릴(56)이 장착되고, 상기 흡입그릴(56)과 토출그릴(54) 사이에는 전면패널(55)이 장착되어 외곽을 형성하며, 상기 흡입그릴(56)의 내측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장치(60)가 장착되되, 상기 송풍장치(60)가 상기 캐비닛(52)에 볼트 결합되더라도 그 결합부분에 좁고 긴 돌출부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진부(53)가 형성되어 진동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론, 냉방 운동시 상기 송풍장치(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58)가 상기 송풍장치(60) 상측에 비스듬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난방 운전시 상기 송풍장치(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59)가 상기 열교환기(58) 상측에 수평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비닛(52)은 두께가 얇은 금속 플레이트가 절곡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배면에 수직 및 수평한 보강용 리브(52H)가 형성되되, 이와 같은 보강용 리브(52H)는 좁고 긴 돌출부 형상으로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상기 송풍장치(60)는 실내공기를 송풍하는 시로코 팬(62)과, 상기 시 로코 팬(62)을 구동하는 모터(64)와, 상기 시로코 팬(62)이 내장되어 상기 열교환기(58) 측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팬하우징(66)과, 상기 모터(64)를 상기 캐비닛의 배면에 볼트 고정시키는 모터 마운트(68)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팬하우징(66)에는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작동을 조절하는 콘트롤박스(70)와 난방 운전시 상기 히터(59)의 작동을 조절하는 히터용 콘트롤박스(72)가 각각 전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히터(59)는 상기 토출구(54a)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8)는 상기 전면패널(55)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송풍장치(60)는 상기 흡입구(56a)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모터 마운트(68)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캐비닛(52)의 내측 배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캐비닛(52)의 그 결합부분에 상기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방사형 또는 '王' 자형의 제진부(53)를 상기 모터 마운트(68)의 반경방향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진부(53)는 좁고 긴 돌출부가 서로 교차된 임의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52)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되, 반드시 상기 모터 마운트(53)와의 결합부분보다 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방 운전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박스(70)에 신호가 전달되어 열교환기(58) 및 송풍장치(60)가 작동되어 냉방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난방 운전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박스(70) 및 히터용 콘트롤박스(72)에 신 호가 전달되어 상기 히터(59) 및 송풍장치(60)가 작동되어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냉난방 작동시 모두 상기 송풍장치(6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시로코 팬(62)이 구동될수록 상기 모터 마운트(68)를 통하여 진동이 상기 캐비닛(52)으로 전달되되, 이러한 진동은 상기 제진부(53)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캐비닛(5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고유진동수가 줄어들게 되어 진동이 더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액자형 공기조화기를 도 6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전면이 개방되어 흡입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양측면 및 바닥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박형의 케이스(72)와, 상기 케이스(72)에 내장되어 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80)와, 상기 증발기(80) 배면에 위치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증발기(80)를 통과하도록 한 다음,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터보팬(92) 및 모터(94)를 포함하는 송풍장치(90)로 이루어지되, 상기 송풍장치(90)가 모터 마운트(98)에 의해 상기 케이스(72)에 볼트 결합되더라도 상기 케이스(72)의 그 결합부분에 좁고 긴 돌출부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진부(73)가 형성되어 진동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72)는 전면이 개방된 박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각종 구성부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72)의 전면에는 내부 구성부품이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소음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전면패널(P)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72)의 양측면 및 바닥면에는 토출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그릴(G1,G2,G3)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P) 개방시 실내공기가 상기 케이스(72)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토출그릴(G1,G2,G3)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72) 내부의 냉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추가로, 상기 케이스(72) 내부의 상기 열교환기(80)와 터보팬(92) 사이에 오리피스(74)가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8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터보팬(92)의 축방향으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72)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패널(P) 내측에 위치되도록 에어필터(78) 및 집진기(미도시)가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내공기로부터 먼지 등을 걸러주도록 하되, 청소시에 손쉽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오리피스(74)는 흡입공기를 난류가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터보팬(92)의 중심으로 안내하도록 중앙에 볼록한 링 형상으로 가이드 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미도시) 이외의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터보팬(92)으로 흡입되는 냉기와 상기 터보팬(92)을 통과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는 냉기를 구획하도록 한다.
추가로, 상기 오리피스(74)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터보팬(92) 및 전면패널(P) 등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박스(76a)가 설치되되, 상기 터보팬(92)을 구동시키는 모터(94) 및 상기 전면패널(P)을 설정각도로 개폐시키는 스텝모터(미도시)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집진기로 공급되는 전원 역시 제어한다.
물론, 상기 컨트롤박스(76a)는 별도로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각종 조작버튼(76b)과 직접 연결되거나, 자체적으로 리모콘 등으로부터 작동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각종 구성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며, 나아가 외관에 드러나도록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다음, 상기 증발기(80)는 실외기 측의 압축기, 응축기, 팽창수단과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되, 냉매관에 복수개의 핀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72) 전면 내측에 설치되며, 그 냉매관을 통과하는 냉매가 복수개의 핀에 의해 실내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하도록 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물론, 상기 증발기(80)는 상기 케이스(72)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박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형상이 상기 케이스(72)처럼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증발기(80) 하측에는 상기 증발기(80) 표면에 맺힌 응축수가 흘러내리더라도 모아지도록 하는 드레인 팬(82)이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82)은 외부와 연결된 별도의 드레인 호스(미도시)가 설치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송풍장치(90)는 그 축방향 높이가 낮더라도 흡입풍량을 늘리기 위하여 직경이 비교적 크게 형성된 터보팬(92) 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94)가 적용되되, 상기 모터(94)가 구동되어 동력을 상기 터보팬(92)으로 전달하더라도 동력 전달을 완충시킬 뿐 아니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96)이 개재된다.
이때, 상기 터보팬(92)은 상기 모터(94)와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앙이 고깔 형상의 원판형 허브 및 이와 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흡입 유동을 안내하는 경사진 링 형상의 쉬라우드와, 상기 허브와 쉬라우드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위치된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쉬라우드는 축방향으로 흡입유동을 안내하는 반면, 상기 허브 및 블레이드가 반경방향으로 토출유동을 안내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터보팬(92)은 상기 쉬라우드가 상기 케이스(72)의 전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모터(94)는 상기 케이스(72)의 내측 배면에 상기 모터 마운트(98)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모터 마운트(98)는 그 중앙부분이 상기 모터(94)를 눌러주어 상기 케이스(72)의 내측 배면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그 양단 절첩된 부분이 상기 케이스(72)의 내측 배면에 볼트 고정되되, 상기 모터(94) 및 상기 모터 마운트(98)의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72)의 내측 배면에 형성된 제진부(73)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 마운트(98)의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72)에 볼트(B) 체결된다.
물론, 상기 제진부(73)는 긴 돌출부가 서로 교차된 임의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72)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되, 반드시 상기 모터(94) 및 모터 마운트(98)와의 결합부분보다 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76a)에 의해 상기 스텝모터 및 모터(40)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스텝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면패널(P)이 상기 케이스(72)의 전면으로부터 개방되고, 상기 모터(94)의 작동에 의해 상기 터보팬(92)이 회전되면서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케이스(72)의 전면으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증발기(80)를 통과하면서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 작용을 통하여 냉기로 변하고, 이러한 냉기는 상기 오리피스(74)의 가이드 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터보팬(92)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다음, 상기 터보팬(92)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되, 상기 케이스(72)의 양측면 및 바닥면 측에 설치된 각 토출그릴(G1,G2,G3)를 통과하면서 풍향이 조절되어 실내공간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72)의 전후방향 두께가 얇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모터(94)가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72)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된 터보팬(92)의 송풍량을 보다 늘리기 위하여 고속 회전시키기 되되, 상기 터보팬(92)이 고속 회전될수록 상기 모터(94) 및 모터 마운트(98)를 통하여 진동이 상기 케이스(72)로 전달된다.
하지만, 상기 케이스(72)로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그 결합 부분에 상기 제진부(73)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7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고유진동수가 줄어들게 되어 진동이 더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제진부(73)가 상기 케이스(7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모터(94) 및 모터 마운트(98)가 상기 제진부(73)에만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모 터 마운트(98)가 체결됨에 따라 그 접촉면적 역시 줄일 수 있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천정형 공기조화기를 도 7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장방형상의 케이스(102) 저면에 흡입구(112) 및 토출구(114)가 형성된 프론트 패널(110)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02) 내부에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116)가 상기 프론트 패널(1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102) 내부에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송풍장치(120)가 상면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102)의 상면 중 상기 송풍장치(120)와 결합부분에 좁고 긴 돌출부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진부(103)가 형성되어 진동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2)는 천정면(B)에 형성된 홀(H)에 삽입되어 둘레 측면에 형성된 네 개의 브래킷(104)에 의해 앵커 볼트(106)가 체결되어 천정벽(A)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110)은 상기 케이스(102)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천정면(B)으로부터 실내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110)은 상기 흡입구(112)가 중앙에 형성되는 반면, 상기 흡입구(112) 외측에 상기 토출구(114)가 복수개 형성된다.
다음, 상기 열교환기(116)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에 복수개의 핀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의 내측에 올려지되, 그 표면에 응축수가 맺히더 라도 집수될 수 있도록 그 하단에 드레인 팬(118)에 올려지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열교환기(116)와 드레인 팬(118)은 사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흡입공기가 중앙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열교환기(116)를 반경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상기 송풍장치(120)는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터보팬(122) 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124)와, 상기 터보팬(122) 및 모터(124)를 상기 케이스(102)의 상면에 매달리도록 고정시키는 모터 마운트(12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송풍장치(120)는 상기 열교환기(116)에 의해 감싸지도록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되, 상기 터보팬(122)이 상기 모터(124)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124)가 상기 모터 마운트(126)에 의해 상기 케이스(102)의 내측 상면 중앙에 볼트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진부(103)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 중앙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모터 마운트(126)는 상기 제진부(103)와 맞닿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진부(103)는 긴 돌출부가 서로 교차된 임의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2)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되, 반드시 상기 모터 마운트(126)와의 결합부분보다 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보팬(122)이 작동됨에 따라 실내공기는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축방향으로 흡입된 다음, 반경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열교환기(116)를 통과 하면서 열교환되고, 상기 토출구(114)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실내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1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16)와 주변 공기와의 온도차로 인하여 열교환기(116)에는 응축수가 맺히게 되고, 그 응축수는 열교환기(116)를 타고 흘러 상기 열교환기(116) 하측에 위치되는 드레인 팬(118)에 모여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터보팬(122)이 회전될수록 상기 모터(124) 및 모터 마운트(126)를 통하여 진동이 상기 케이스(102)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케이스(102) 중 상기 모터 마운트(126)의 결합 부분에 상기 제진부(103)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10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고유진동수가 줄어들게 되어 진동이 더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는 케이스 내부에 송풍팬 및 모터가 모터 마운트에 의해 리벳 또는 나사 고정되더라도 케이스와 모터 마운트 사이의 결합 부분에 좁고 긴 돌출부가 임의의 형상으로 제진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더라도 케이스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진동의 고유진동수가 줄어들게 되어 케이스를 따라 진동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진동 및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공기가 흡토출되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하는 열교환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 열교환기 및 토출구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모터 마운트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송풍장치와,
    상기 케이스 면에 좁고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상기 케이스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진부의 형상은 상기 케이스에 대한 모터 마운트의 체결 위치보다 안쪽에서 바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는 각 모터 마운트의 체결 위치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각 모터 마운트의 체결 위치는, 제진부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는 하나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 사이의 평평한 케이스 면에 상기 모터 마운트가 리벳 또는 나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에 직접 상기 모터 마운트가 리벳 또는 나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구조.
KR1020060004087A 2006-01-13 2006-01-13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KR10086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087A KR100867467B1 (ko) 2006-01-13 2006-01-13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PCT/KR2006/003672 WO2007081078A2 (en) 2006-01-13 2006-09-14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CN2006800509462A CN101631991B (zh) 2006-01-13 2006-09-14 空调的减振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087A KR100867467B1 (ko) 2006-01-13 2006-01-13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874A Division KR20080071968A (ko) 2008-07-23 2008-07-23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614A KR20070075614A (ko) 2007-07-24
KR100867467B1 true KR100867467B1 (ko) 2008-11-10

Family

ID=3825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087A KR100867467B1 (ko) 2006-01-13 2006-01-13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67467B1 (ko)
CN (1) CN101631991B (ko)
WO (1) WO20070810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4038B (zh) * 2011-08-05 2015-04-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后壳及其模具、空调器和空调室内机
CN103486715B (zh) * 2012-06-12 2016-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板传动结构及包含该传动机构的空调器
CN103604205B (zh) * 2012-12-05 2016-01-27 厦门嘉达环保建造工程有限公司 设备层空调系统板式换热器隔振结构
CN103528177A (zh) * 2013-09-13 2014-01-22 昆山市巴城镇顺拓工程机械配件厂 用于空调通风设备的减震器
CN104359204B (zh) * 2014-10-29 2018-0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离心风道电机安装结构及空调器
CN109768659A (zh) * 2018-11-21 2019-05-17 珠海凯邦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减振结构及电器设备
CN109737080A (zh) * 2019-02-19 2019-05-10 苏州众志新环冷却设备有限公司 一种排风散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011A (ja) * 2004-06-17 2006-01-05 Daikin Ind Ltd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6125A (en) * 1953-05-18 1956-05-22 Ernest A Cuny Apparatus for cutting pipe at a predetermined radius and angle
US3746125A (en) * 1971-09-10 1973-07-17 Lowell Mfg Co Protective speaker back-can
KR20030042374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환기댐퍼 장착구조
JP2004003796A (ja) * 2002-03-27 2004-01-08 Toto Ltd 空調機
JP2005140430A (ja) * 2003-11-07 2005-06-02 Sharp Corp 空気調和機
CN1752639A (zh) * 2004-09-24 2006-03-2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电机支撑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011A (ja) * 2004-06-17 2006-01-05 Daikin Ind Ltd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1991A (zh) 2010-01-20
WO2007081078A3 (en) 2009-05-14
KR20070075614A (ko) 2007-07-24
CN101631991B (zh) 2012-10-10
WO2007081078A2 (en)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467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US5038577A (en) Air intake arrangement for air conditioner with dual cross flow blowers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JP367441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459977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80121162A (ko) 공기조화기
KR100714592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1419941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396084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925585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80071968A (ko)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구조
KR20170085896A (ko) 공기 조화기
KR20070113897A (ko) 투인원 초슬림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8861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3001825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1994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68158B1 (ko) 패키지 에어컨의 마그네트 브래킷 장착구조
KR100500988B1 (ko) 공기조화기
CN112984795B (zh) 室内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KR1006114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57306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및 분리형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36651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장착구조
KR100758907B1 (ko) 공기조화기
KR100469783B1 (ko) 에어컨의 산소 공급 장치
KR200272518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블로워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