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21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218B1
KR102664218B1 KR1020190107583A KR20190107583A KR102664218B1 KR 102664218 B1 KR102664218 B1 KR 102664218B1 KR 1020190107583 A KR1020190107583 A KR 1020190107583A KR 20190107583 A KR20190107583 A KR 20190107583A KR 102664218 B1 KR102664218 B1 KR 10266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lter
housing
air condition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585A (ko
Inventor
김현호
김지홍
문홍열
박우영
소병열
전민구
정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218B1/ko
Priority to PCT/KR2020/011435 priority patent/WO2021040418A1/en
Priority to EP20193433.8A priority patent/EP3786536B1/en
Priority to CN202010894694.3A priority patent/CN112443891A/zh
Priority to US17/007,627 priority patent/US11940160B2/en
Publication of KR2021002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585A/ko
Priority to US18/442,453 priority patent/US20240183546A1/en
Priority to KR1020240058379A priority patent/KR20240068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를 갖는 패널과 패널에 장착되는 제 1필터와 패널에 장착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제 2필터와 하우징과 패널을 연결하고, 패널과 제 1필터 및 제 2필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의 승강 구조가 개선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열 교환기와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열 교환기와 송풍팬과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고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와 실외기를 연결하고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관 등으로 구성된다.
근래에는 미세먼지 등의 문제로 공기조화기 내부에 먼지 집진 필터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실내의 쾌적한 온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 정화가 가능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실내기가 바닥에 배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가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에 매립되거나 또는 천장에 매달리게 마련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므로 실내기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의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내기의 필터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패널 및 필터가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전기를 통해 이물질을 집진하는 전기 집진 필터가 패널과 함께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기 집진 필터가 하우징에 삽입될 시 전기 집진 필터에 용이하게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를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제 1필터와 상기 패널에 장착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제 2필터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패널과 상기 제 1필터 및 상기 제 2필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제 2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널과 상기 제 1필터 및 상기 제 2필터는 수평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필터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2필터의 상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전되도록 마련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상승되는 상기 접촉부에 가압되어 상기 접촉부와 접전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는 판 스프링 부재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패널과 상기 제 1필터 및 상기 제 2필터는 수평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패널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널이 상승될 시 상기 패널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패널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널이 상승될 시 상기 패널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패널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상기 제 1필터와 상기 제 2필터를 각각 패널에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필터는 상기 제 2필터의 승강 방향인 제 1방향으로 상기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 1필터는 상기 제 1방향에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패널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4개의 모터와, 상기 4개의 모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을 승강시키는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타단을 가지고 상기 패널을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패널과 연결되는 타단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직교가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커버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제 1필터와 상기 패널에 장착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제 2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필터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2필터의 상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4개의 모터와, 상기 4개의 모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을 승강시키는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를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제 1필터와 상기 패널에 장착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제 2필터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패널과 상기 제 1필터 및 상기 제 2필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필터는 접촉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2필터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전기 집진 필터가 패널과 함께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전기 집진 필터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전기 집진 필터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부와 상하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패널 및 전기 집진 필터가 상승되어 하우징과 패널이 결합될 시 전기 집진 필터에 용이하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우징의 지지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부", "하부", "하측", "선단" 및 "전우좌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고, 냉매와 열교환한 조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각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나 증발기의 역할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난방기가 되고, 증발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냉방기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적어도 일 부분은 천장(C)에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4 - way 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조화기(1)는 2 - way 형 또는 토출구가 환형으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15)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2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기조화기(1)의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천장(C)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1)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은 천장(C)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천장(C)에 매달릴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은 하나의 하우징(10)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의 중심측에는 패널 어셈블리(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송풍팬(30)으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흡입부(14)가 형성되고, 흡입부(14)의 외곽 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4)와 송풍팬(30) 사이에는 흡입부(14)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흐르는 흡입유로(P1)가 마련되며, 송풍팬(30)과 토출구(15) 사이에는 송풍팬(3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토출유로(P2)가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5)는 하부 하우징(13)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5)는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출구(15)는 X축 방향으로 2개와 Y축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토출구(15)는 공기를 실내의 사방으로 각각 배출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공기조화기(1)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또는 난방시킨 후에 다시 하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의 저면에는 복수의 흡입구(111)가 형성되는 흡입그릴(112)를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10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흡입부(14)를 통해 송풍팬(3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는 하우 하우징(13)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는 하우 하우징(13)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하부 하우징(13)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패널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0)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측으로 이동될 시 하우징(10)과 분리되고, 패널 어셈블리(100)가 상측으로 이동될 시 하우징(10)과 다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패널 어셈블리(100)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흡입구(111)를 포함하는 패널(110)과 복수의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필터(120)와 제 1필터(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 1필터(120)에서 여과된 공기를 2차로 여과하는 제 2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필터(120)는 매쉬 재질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필터(130)는 전원이 공급되어 공기 상의 이물질을 전기 집진하는 전기 집진 필터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와 승강 장치(200)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열 교환기(20)는 사각 환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송풍팬(30)의 외곽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는 사각 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는 드레인 트레이(16)에 놓여지며, 열 교환기(2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드레인 트레이(16)에 집수될 수 있다. 드레인 트레이(16)는 열 교환기(2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열 교환기(20)가 사각 환 형태인 경우 드레인 트레이(16)도 사각 환 형태일 수 있고, 열 교환기(30)가 원형인 경우 드레인 트레이(16)도 원형일 수 있다.
송풍팬(30)은 하우징(1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송풍팬(30)은 열교환기(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에는 송풍팬(30)의 구동을 위한 송풍 모터(31)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40)는 토출구(15)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40)는 토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00)는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장치(200)는 모터(210, 도 4참고)와 모터(210)에 연결되는 일단과 패널(110)에 연결되는 타단을 가지는 와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는 와이어(220)에 연결되고 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가 풀리고 감기는 동작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모터(2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시 패널 어셈블리(100)는 하강될 수 있으며, 모터(21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시 패널 어셈블리(100)는 상승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의 온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제 1필터(120)와 제 2필터(130)를 포함하는데 공기의 정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제 1필터(120)와 제 2필터(130)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이 때, 공기조화기(1)는 천장(C)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1)의 제 1필터(120) 및 제 2필터(130)의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사다리 등의 구조물을 통해 천장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서 필터를 분해하여 필터를 청소하고 다시 천장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필터를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가 배치되는 패널을 승강시켜 사용자가 천장에서 직접 필터를 분해하지 않고 사용자의 높이까지 하강된 패널에서부터 용이하게 필터를 분리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가 종래에 개시된 바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전기 집진 필터를 포함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전기 집진 필터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고, 전기 집진 필터의 하중이 무거워 패널이 아닌 하우징에 결합되었다.
이 때 승강 장치에 의해 패널이 하강되어도 패널과 함께 하강된 매쉬 재질을 포함하는 필터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나, 전기 집진 필터는 천장에 매립된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어 전기 집진 필터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여전히 구조물을 통해 천장측에 조립된 전기 집진 필터를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전기 집진 필터의 경우,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집진률이 높기 때문에 필터에 집진된 이물질을 일반적인 필터보다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공기 청정 효율성이 상승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집진 필터는 천장에 매린된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어 진기 집진 필터의 유지 보수가 일반적인 필터의 유지 보수보다 더 어려웠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천장(C)에서부터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필터 어셈블리(100)를 포함하고, 필터 어셈블리(100)는 매쉬 재질을 포함하는 제 1필터(120) 뿐만 아니라 전기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 집진 필터로 마련되는 제 2필터(13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100)를 하강시킬 시 매쉬 재질을 포함하는 제 1필터(120) 뿐만 아니라 전기 집진 필터로 마련되는 제 2필터(130)까지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필터(120)와 제 2필터(130)를 포함하는 패널 어셈브리(100)가 승강 장치(200)에 의해 승강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패널(110)과 제 1필터(120) 및 제 2필터(130)가 일체로 승강 가능되도록 마련되고, 사용자는 제 1필터(120) 뿐만 아니라 제 2필터(130)까지 용이하게 공기조화기(1)로부터 분리하고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패널 어셈블리(100)와 승강장치(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는 하부 하우징(13)의 중심측에 마련되는 지지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패널(50)의 상측에는 승강 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패널(50)은 하부 하우징(13)의 일 부분으로 하부 하우징(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패널(50)은 하우징(10)의 일 부분으로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 장치(200)는 복수개의 모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승강 장치(200)는 4개의 모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10)가 4개로 마련됨에 따라 패널 어셈블리(10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각각의 모터(210)에는 와이어(2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220)는 바람직하게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4개의 와이어(220)의 일단은 각각의 모터(210)에 연결되고 4개의 와이어(220)의 타단은 각각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패널 어셈블리(100)가 상대적으로 하중이 큰 제 2필터(130)를 포함하기 때문에 패널 어셈블리(100)를 상승시키는데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4개의 모터(210)에 연결되는 4개의 와이어(220)를 통해 패널 어셈블리(100)의 수평 방향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승강 시킬 수 있다.
4개의 와이어(220) 중 2개의 와이어는 패널(110)의 제 1변(115)과 인접하게 연결되고 4개의 와이어(220) 중 다른 2개의 와이어는 패널(110)의 제 1변(115)과 평행한 제 2변(116)과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변(115)과 인접하게 연결된 2개의 와이어(220)와 제 2변(116)과 인접하게 연결된 2개의 와이어(220)는 패널(110)의 중심측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어셈블리(100)가 승강될 시 승강 장치(200)는 패널 어셈블리(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적으로 승강 시킬 수 있다.
4개의 와이어(220)에 의해 패널 어셈블리(100)가 승강됨에 따라 패널(110)과 제 1필터(120) 및 제 2필터(130)는 승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0)가 수평한 상태로 승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필터(120)와 제 2필터(130) 또한 수평한 상태로 승강될 수 있어, 사용자의 파지 범위까지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강될 시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 1필터(120) 및 제 2필터(130)를 패널(110)에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 1필터(120) 또는 제 2필터(130)가 경사진 상태로 하강될 시 사용자가 각각의 필터(120,130)를 파지하기 어려워 패널(110)로부터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필터(120,130)를 분리할 시 패널(110)을 가압함에 따라 필터 어셈블리(100)가 사용자의 가압 방향으로 심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패널(50)는 와이어(220)가 관통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통홀(5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51)은 외이어(2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관통홀(51)은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패널(50)은 후술하겠으나 패널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패널(50)의 중심측은 패널 어셈블리(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개구(50a)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우징(10)과 결합될 시 제 2필터(130)는 개구(50a)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하측을 커버하는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0)은 복수의 흡입구(111)를 형성하는 흡입 그릴(112)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0)의 상측으로는 제 1필터(120)와 제 2필터(13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필터(120)는 흡입 그릴(1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필터(130)는 제 1필터(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그릴(112)과 제 1필터(120) 및 제 2필터(130)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필터(130)는 필터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프레임(113)에 대해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제 1필터(120)는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프레임(113)에 대해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필터(120,130)는 분리, 결합 방향이 각각 상이하여 각각의 분리 결합 상태에 제한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프레임(113)에 대해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필터(120)는 매쉬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매쉬 부재(121)는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제 1필터(120)에 배치될 수 있다.(도 2참고)
공기가 필터 어셈블리(100)로 흡입될 시 제 1필터(120)를 통과하면서 매쉬 부재(121)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다만 매쉬 부재(121)의 투과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은 제 1필터(120)를 통과할 수 있다.
매쉬 부재(121)의 투과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은 제 2필터(130)에서 여과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1)로 흡입되는 공기는 패널 어셈블리(100)를 통과하면서 2중으로 여과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패널 어셈블리(100)에 포집될 수 있다.
제 2필터(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집진 필터로 마련될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는 대전된 공기중의 이물질을 흡착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전기 집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필터(130)에는 고압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전기 집진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제 2필터(130)와 대응되는 전기 집진 필터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시 전기 집진 필터에 안정적으로 고전압을 공급할 수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제 2필터(130)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기 때문에 제 2필터(130)에 고전압을 공급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우징(10)과 결합될 시에만 제 2필터(130)에 안정적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하우징(10) 내부(10a)에 배치되고 하우징(10)과 필터 어셈블리(100)가 결합될 시 제 2필터(130)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중간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중간부재(70)는 지지패널(50)의 개구(50a)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부재(70)는 지지패널(5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원 공급부(미도시) 또한 하우징(10) 내부(10a)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중간부재(70)를 통해 제 2필터(130)로 고전압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지지패널(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부재(70)는 패널 어셈블리(100)가 상승되어 패널 어셈블리(100)와 하우징(10)이 결합될 시 제 2필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필터(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중간부재(70)는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강될 시 제 2필터(130)와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제 2필터(130)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필터(130)는 패널 어셈블리(100)와 하우징(10)이 결합될 시 중간부재(70)와 접전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부재(70)는 지지패널(50)의 개구(50a) 내측에 배치되며, 패널 어셈블리(100)와 하우징(10)이 결합될 시 제 2필터(130)는 개구(50a)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바,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우징(10)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시 중간부재(70)는 접촉부(131)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우징(10)과 결합될 시 접촉부(131)는 중간부재(70)를 가압하여 접촉되는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131)와 중간부재(70)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131)는 중간부재(70)와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접점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접촉부(131)는 중간부재(70)와 접촉될 시 중간부재(7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중간부재(70)와의 접촉이 해제될 시 접점이 단락되어 전압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131)는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131)는 패널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으로 중간부재(70)와 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부(131)는 제 2필터(1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필터(130)가 상승될 시, 제 2필터(130)는 상승되는 방향으로 중간부재(70)를 가압하여 중간부재(70)와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제 2필터(130)가 하강될 시 중간부재(70)에 대한 가압이 종료되면서 중간부재(70)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중간부재(70)는 판스프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131)가 상승되어 중간부재(70)와 접촉될 시, 접촉부(131)는 상측으로 중간부재(70)를 가압하게 되고 중간부재(70)는 하측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접촉부(131)와 지속적으로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즉, 제 2필터(130)에 형성되는 접점이 승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 2필터(13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어도 안정적으로 중간부재(70)와 접점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필터(130)가 패널(110)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도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점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필터(130)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파지 범위까지 하강될 수 있는 동시에 상승되어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될 시 안정적으로 중간부재(70)와 접점을 형성하여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공급된 전원을 고전압으로 발생시켜 중간부재(70)에 전달하는 고전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경우 전원 공급부(미도시)의 전원 장치와 고전압장치가 모두 지지패널(50)의 상측 또는 하우징(10) 내부(10a)에 배치되고, 고전압장치와 제 2패널(130)이 중간부재(70)를 통해 통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공급부(미도시) 중 고전압장치는 패널 어셈블리(100)에 배치되어 패널 어셈블리(100)와 함께 승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패널 어셈블리(100)에 배치되는 고전압장치는 제 2필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가 유지되고 하우징(10) 내부(10a)에 삽입될 시 중간부재(70)를 통해 전원장치와 통전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미도시) 중 일부가 패널 어셈블리(100)에 배치되어 패널 어셈블리(10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 중 일부 구성은 하강될 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며, 패널 어셈블리(100)가 상승되어 하우징(10)과 결합될 시에는 하우징(10)에 배치되는 중간부재(70)와 접촉하여 통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패널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52)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00)는 와이어(220)가 풀리고 감기는 동작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220)가 감김에 따라 패널 어셈블리(10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흔들림에 따라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우징(10)과 상하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지 못할 시, 접촉부(131)는 이에 연동되어 중간 부재(70)를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가압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131)와 중간 부재(70)가 통전되지 못하게나 누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패널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52)는 접촉부(131)가 중간 부재(70)가 배치된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패널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52)는 지지 패널(5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52)는 지지 패널(50)의 개구(50a)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52)는 개구(50a)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면(52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5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52)는 개구(50a)를 형성하는 지지 패널(50)의 4개의 내측 테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52)는 지지 패널(50)의 4개의 내측 테두리가 접하면서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52)는 4개의 내측 테두리 중 적어도 2개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4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2개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필터(130)는 개구(50a)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우징(10)과 결합될 수 있는데, 개구(50a)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52)가 제 2필터(130) 및 제 2필터(130)를 패널(110)에 고정시키는 패널(110)의 프레임(113)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 하여, 제 2필터(130)가 안정적으로 개구(50a)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0)가 흔들리면서 상승될 시 제 2필터(130)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50a)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제 2필터(130)의 측면이 가이드면(52a)과 접하면서 개구(50a) 내측으로 상승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제 2필터(130)가 개구(50a) 내측에서도 흔들리는 상태로 상승될 시 프레임(113)의 측면이 가이드면(52a)과 접하면서 제 2필터(130)가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필터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프레임(113)은 가이드면(52a)과 접촉될 시 패널 어셈블리(100)가 가이드면(52a)을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4)는 상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테이퍼드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상측으로 향할수록 오목해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14)가 가이드면(52a)과 접촉될 시 가이드부(114)는 안정적으로 가이드면(52a)을 따라 이동되고 이에 연동되어 패널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52)에 의해 접촉부(131)는 상하 방향으로 중간부재(70)와 대략 동일선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승되고 접촉부(131)는 안정적으로 정위치에서 중간부재(70)와 접촉되어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와이어(220)와 패널 어셈블리(100)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와이어(220)는 패널(11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패널(110)은 와이어(220)의 타단과 연결되는 일단과 패널(110)의 상면과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는 탄성부재(1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220)는 4개로 마련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119)는 각각의 와이어(220)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4개의 와이어(220)를 통해 패널 어셈블리(100)가 지지됨에 따라 4개의 와이어(220)에 동등하게 장력이 발생되지 않을 시 패널 어셈블리(100)가 기울어진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즉, 승강 중에 외력이 발생하여 패널 어셈블리(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각각의 와이어(220)가 감김 또는 풀림의 정도가 달라 각각의 와이어(220)의 길이의 편차가 발생할 시 4개의 와이어(220)에 동일한 장력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와이어(220) 타단에 탄성부재(119)가 결합되고, 4개의 와이어(220)에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장력의 크기가 탄성부재(119)의 탄성력에 의해 상쇄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와이어(220)의 길이의 편차가 발생할 시 탄성부재(119)가 수축 인장되면서 4개의 와이어(220)의 길이의 편차를 상쇄할 수 있어 패널 어셈블리(10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19)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119)는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마련되어,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패널(110)은 와이어(220)의 타단이 통과하고 와이어(220)의 연장 방향을 패널 어셈블리(10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도르래(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118)는 와이어(22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4개의 도르래(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118)는 패널(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220)의 일단은 하우징(10) 내부(10a)에 배치되는 모터(210)와 연결되고 와이어(220)의 타단은 패널 어셈블리(100)의 하강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220)의 타단의 연장 방향은 도드래(118)를 따라 하측 방향에서 수직되는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전향될 수 있다. 즉 와이어(220)의 타단은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도르래(118)에 의해 패널 어셈블리(110)의 승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220)의 타단은 패널 어셈블리(110)의 승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는 탄성부재(119)와 탄성부재(119)가 바이어스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19)는 각각의 와이어(220)에서 발생되는 장력의 차이 또는 길이의 차이가 발생될 시 패널 어셈블리(110)의 승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다.
이 때 와이어(220)가 도드래(118)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탄성부재(119)와 연결될 시, 각각의 탄성부재(119)가 신축되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어 와이어(220)가 패널 어셈블리(100)를 수평하게 승강시키지 못하고 일측이 기울어진 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19)의 신축 길이에 따라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에서 직교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와이어(220)와 패널(110)이 연결되는 지점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탄성부재(119)가 일정한 상태에서의 와이어(220)와 패널(110)이 연결되는 지점이 패널 어셈블리(100)를 수평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때, 탄성부재(119)가 신장되거나 수축될 시 상태에서의 와이어(220)와 패널(110)이 연결되는 지점이 변경되어 패널 어셈블리(100)를 수평한 상태로 승강시킬 수 없다.
다만, 도르래(118)를 통해 각각의 탄성부재(119)의 신축 길이에 관계없이 수평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와이어(220)는 도르래(118)를 통해 탄성부재(119)의 신축 길이에 관계없이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도르래(118)가 배치되는 지점에서만 와이어(220)와 패널(110)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르래(118)에 의해 와이어(220)의 연장 방향이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에서 승강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패널 어셈블리(100)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는 4개의 와이어(220)를 통해 균형을 유지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는 4개의 와이어(220)를 통해 수평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패널 어셈블리(100)는 4개의 와이어(220) 및 4개의 와이어(220)와 연결되는 4개의 탄성부재(119) 및 4개의 와이어(220)가 통과되는 4개의 도르래(118)를 통해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중 외력이 전달되어도 패널 어셈블리(100)는 수평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10)과 제 1필터(120) 및 제 2필터(130)는 항상 수평한 상태로 사용자의 파지 범위까지 하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 1필터(120)와 제 2필터(130)를 패널(110)에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중간부재(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중간부재(80)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중간부재(80)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중간 부재(80)는 패널 어셈블리(100)의 승강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131)가 상승되어 중간부재(80)와 접촉될 시, 접촉부(131)는 상측으로 중간부재(80)를 가압하게되고 중간부재(80)는 하측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접촉부(131)와 지속적으로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접촉부(13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중간부재(8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간부재(80)는 상측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가이드 (5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이드(53)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우징의 지지 패널의 저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될 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53)는 개구(50a)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53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3a)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53a)는 개구(50a)를 형성하는 지지 패널(50)의 4개의 내측 테두리에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리브(53a)는 개구(50a)를 형성하는 지지 패널(50)의 내측벽(50b)에서 개구(50a)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가 흔들리면서 상승될 시 제 2필터(130)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50a)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제 2필터(130)의 측면이 가이드리브(53a)과 접하면서 개구(50a) 내측으로 상승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제 2필터(130)가 개구(50a) 내측에서도 흔들리는 상태로 상승될 시 프레임(113)의 측면이 가이드리브(53a)과 접하면서 제 2필터(130)가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필터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53)는 지지 패널(50)의 내측벽(50b)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53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53b)는 적어도 2개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내측벽(50b)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0)가 흔들리면서 상승될 시 제 2필터(130)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50a)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제 2필터(130)의 측면이 가이드 롤러 (53b)와 접하고,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 롤러(53b)가 롤링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53b)는 롤링을 통해 제 2필터(130)가 가이드 롤러(53b)의 롤러의 접선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 2필터(130)가 개구(50a) 내측에서도 흔들리는 상태로 상승될 시 프레임(113)의 측면이 가이드 롤러(53b)와 접하면서 제 2필터(130)가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필터 어셈블리(100)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0; 하우징
13; 하부 하우징
50; 지지 패널
52,53; 가이드
70,80; 중간부재
100; 패널 어셈블리
110; 패널
111; 흡입구
113; 프레임
114; 가이드부
118; 도르래
119; 탄성부재
120; 제 1필터
130; 제 2필터
131; 접촉부
200; 승강 장치
210; 모터
220; 와이어

Claims (20)

  1.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를 갖는 패널;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제 1필터;
    상기 패널에 장착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제 2필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패널과 상기 제 1필터 및 상기 제 2필터를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 2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필터는 상기 제 2필터의 상면에 배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이 상승할 때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2필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이 하강할 때 상기 전원 공급부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2필터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접촉부와 접전되도록 마련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상승되는 상기 접촉부에 가압되어 상기 접촉부와 접전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판 스프링 부재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제 1필터 및 상기 제 2필터는 수평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패널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널이 상승될 시 상기 패널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패널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널이 상승될 시 상기 패널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패널의 상승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제 1필터와 상기 제 2필터를 각각 패널에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필터는 상기 제 2필터의 승강 방향인 제 1방향으로 상기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 1필터는 상기 제 1방향에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패널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4개의 모터와, 상기 4개의 모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을 승강시키는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패널에 연결되는 타단을 가지고 상기 패널을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패널과 연결되는 타단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직교가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6.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커버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제 1필터;
    상기 패널에 장착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제 2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필터는,
    상기 제 2필터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상승할 때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2필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하강할 때 상기 전원 공급부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2필터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삭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4개의 모터와, 상기 4개의 모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을 승강시키는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를 갖는 패널;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제 1필터;
    상기 패널에 장착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제 2필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패널과 상기 제 1필터 및 상기 제 2필터를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 2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필터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이 상승할 때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2필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이 하강할 때 상기 전원 공급부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2필터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제 2필터의 상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107583A 2019-08-30 2019-08-30 공기조화기 KR10266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83A KR102664218B1 (ko) 2019-08-30 2019-08-30 공기조화기
PCT/KR2020/011435 WO2021040418A1 (en) 2019-08-30 2020-08-27 Air conditioner
EP20193433.8A EP3786536B1 (en) 2019-08-30 2020-08-28 Air conditioner
CN202010894694.3A CN112443891A (zh) 2019-08-30 2020-08-31 空调
US17/007,627 US11940160B2 (en) 2019-08-30 2020-08-31 Air conditioner
US18/442,453 US20240183546A1 (en) 2019-08-30 2024-02-15 Air conditioner
KR1020240058379A KR20240068606A (ko) 2019-08-30 2024-05-0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83A KR102664218B1 (ko) 2019-08-30 2019-08-30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8379A Division KR20240068606A (ko) 2019-08-30 2024-05-0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85A KR20210026585A (ko) 2021-03-10
KR102664218B1 true KR102664218B1 (ko) 2024-05-09

Family

ID=722909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83A KR102664218B1 (ko) 2019-08-30 2019-08-30 공기조화기
KR1020240058379A KR20240068606A (ko) 2019-08-30 2024-05-02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8379A KR20240068606A (ko) 2019-08-30 2024-05-0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940160B2 (ko)
EP (1) EP3786536B1 (ko)
KR (2) KR102664218B1 (ko)
CN (1) CN112443891A (ko)
WO (1) WO2021040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202B1 (ko) * 2015-09-30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20210129887A (ko) * 2020-04-21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3150B2 (ja) * 1992-11-20 1999-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7161136A (ja) * 2016-03-09 2017-09-14 株式会社井沼製作所 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442Y1 (ko) * 1993-08-05 1996-05-30 김민주 조립식 옷상자
JP3293467B2 (ja) 1996-02-14 2002-06-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集塵器着脱式空気調和装置
JP3848748B2 (ja) * 1997-08-21 2006-11-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946350B2 (ja) * 1998-05-11 2007-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780121B2 (ja) * 1999-06-29 2006-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347927B1 (ko) 2000-07-04 2002-08-09 엘지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집진기 결합구조
KR20030020593A (ko) * 2001-09-03 2003-03-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장치
JP3843011B2 (ja) * 2001-12-28 2006-11-08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418427B2 (ja) * 2005-07-04 2010-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7303770A (ja) * 2006-05-15 2007-11-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KR100814697B1 (ko) 2007-02-15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0946652B1 (ko) * 2008-01-21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74032B1 (ko) * 2008-12-29 2012-08-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전기집진기
KR101093763B1 (ko) 2009-01-09 2011-12-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JP2011257026A (ja) 2010-06-07 2011-12-22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US8839807B2 (en) * 2010-10-08 2014-09-23 The Boeing Company Rapid response self-closing pressure equalization vent
KR20130045969A (ko) 2011-10-27 2013-05-07 신정훈 승하강 기능을 갖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에 일체로 형성된 led 조명등
JP2013138980A (ja) 2011-12-29 2013-07-18 Daikin Industries Ltd 空気清浄ユニット
US20140357177A1 (en) * 2013-03-14 2014-12-04 Rgb Systems, Inc. Suspended ceiling-mountable enclosure
US9011565B2 (en) * 2013-06-20 2015-04-21 Joshua Cannon Attachable air filter for an air vent register
US10376827B2 (en) * 2013-10-07 2019-08-13 Jpl Investment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an air filter
KR101575947B1 (ko) 2014-02-28 2015-12-10 신정훈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DE102017204059A1 (de) * 2017-03-13 2018-09-13 BSH Hausgeräte GmbH Filtereinheit für Dunstabzug und Dunstabzug
KR102392628B1 (ko) * 2017-03-24 202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2590135B1 (ko) * 2017-11-16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모듈 및 이를 갖춘 공기청정기
KR102043379B1 (ko) 2018-07-19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3150B2 (ja) * 1992-11-20 1999-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7161136A (ja) * 2016-03-09 2017-09-14 株式会社井沼製作所 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40160B2 (en) 2024-03-26
EP3786536B1 (en) 2023-11-01
EP3786536A1 (en) 2021-03-03
US20210063026A1 (en) 2021-03-04
KR20240068606A (ko) 2024-05-17
KR20210026585A (ko) 2021-03-10
WO2021040418A1 (en) 2021-03-04
US20240183546A1 (en) 2024-06-06
CN112443891A (zh)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68606A (ko) 공기조화기
US10760818B2 (en) Air conditioner
EP3159616A1 (en) Air conditioner
KR1022835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355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N108626798B (zh) 空气调节器
US9335060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3040629A1 (en) Outdoo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KR102584609B1 (ko) 공기조화기
KR1008137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54999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6621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11396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8242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60119068A (ko) 독립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KR10229791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2336692B1 (ko) 수적분리가 가능한 공기순환식 냉방장치
JP200901427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07005354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7320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98272A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설치구조
KR20050093993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