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556B1 -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 Google Patents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556B1
KR102290556B1 KR1020170054641A KR20170054641A KR102290556B1 KR 102290556 B1 KR102290556 B1 KR 102290556B1 KR 1020170054641 A KR1020170054641 A KR 1020170054641A KR 20170054641 A KR20170054641 A KR 20170054641A KR 102290556 B1 KR102290556 B1 KR 10229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astic platform
plate
pushing
ski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529A (ko
Inventor
유병재
황훈일
정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55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탄성 플랫폼의 종류에 대응하여 탄성 플랫폼이 거치되는 영역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탄성 플랫폼의 슬라이딩 탑재 시 탄성 플랫폼의 좌우측 요동을 줄여 타 의장품 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체인 고정(Air chain block) 방식이 아닌 외부 크레인과 연결된 푸싱 빔을 이용하여 탄성 플랫폼을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좌우방향의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탄성 플랫폼을 탑재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탄성 플랫폼에 마련된 패드아이(padeye)의 절단작업이 불필요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SLIDING JIG FOR MOUNTING AN ELASTIC PLATFORM OF A SUBMARINE USING A PUSHING BEAM}
본 발명은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탄성 플랫폼의 종류에 대응하여 탄성 플랫폼이 거치되는 영역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탄성 플랫폼의 슬라이딩 탑재 시 탄성 플랫폼의 좌우측 요동을 줄여 타 의장품 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체인 고정(Air chain block) 방식이 아닌 외부 크레인과 연결된 푸싱 빔을 이용하여 탄성 플랫폼을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좌우방향의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탄성 플랫폼을 탑재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탄성 플랫폼에 마련된 패드아이(padeye)의 절단작업이 불필요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에 탄성 플랫폼을 탑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적 수행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잠수함 내측에 탄성 플랫폼을 받치기 위한 마운트를 받침대에 미리 설치한 후 볼트를 체결하고, 'ㄷ'자 형태의 슬라이딩 지그(sliding jig)를 마운트 상측에 설치한 후, 탄성 플랫폼을 슬라이딩 지그를 이용하여 잠수함 내측으로 밀어넣어 정위치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 플랫폼의 상부에는 각종 의장품이 외부에서 선 설치된 상태이며, 안착 후 유압 잭을 이용하여 안착된 탄성 플랫폼을 일부 들어 올리게 된다. 그 후, 슬라이딩 지그를 외부로 빼내어 마운트 상측에 탄성 플랫폼을 시킨 후 볼트를 체결하여 마무리 하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탄성 플랫폼이 탑재되는 잠수함의 섹션 내부 및 탄성 플랫폼의 일측에는 임시로 패드아이(padeye)가 설치되며, 에어 체인 블럭(air chain block)을 이용하여 탄성 플랫폼을 잠수함의 내측 방향으로 끌어 당기게 된다. 이때, 좌우측 2곳에 각각 설치된 에어 체인 블럭을 이용하여 탄성 플랫폼을 각각 끌어 당기다 보니, 탄성 플랫폼의 미끄러지면서 탄성 플랫폼의 하측부와 슬라이딩 지그 간의 마찰력 및 운용조건에 의하여 좌우로 100mm 이상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탄성 플랫폼의 탑재완료 후, 임시로 설치한 패드아이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잠수함 내부의 협소간 공간으로 인해 절단 작업이 더디다는 문제점과, 절단 작업시 하부의 케이블 등과 같은 의장품 손상을 막기 위하여 보호 커버를 선행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탄성 플랫폼의 상하측에는 각종 의장품들이 선 탑재되는데, 탄성 플랫폼의 슬라이딩 탑재 과정에서 잠수함 내부에 선행 설치된 의장품들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작업자가 신은 미끄럼 방지 신발(skid shoe)의 높이를 고려하여야 하고, 유압 잭을 이용하여 탄성 플랫폼을 약 75mm 높이로 들어올리기 위해서 그만큼의 운용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문제점도 가지게 된다.
한편, 잠수함 내측에 탑재되는 탄성 플랫폼은 기능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예컨데, CIC 탄성 플랫폼, TCC 탄성 플랫폼, DG 탄성 플랫폼 등)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의 탄성 플랫폼의 크기가 서로 다름에 따라 각각의 탄성 플랫폼용 지그를 별도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때 각 지그의 제작비용이 수천만원에 달한다는 점에서 3개의 지그 제작비에만 억이 넘어가는 고비용이 든다는 문제점과, 각각의 지그를 보관하여야 하는 보관상 문제점도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각 탄성 플랫폼 별 구비되어야 하는 지그들이 가지는 비용상, 보관상 문제점과, 종래의 탄성 플랫폼을 잠수함 내측에서 당겨서 슬라이딩 탑재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문제점, 한계점 및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탄성 플랫폼의 종류에 대응하여 탄성 플랫폼이 거치되는 영역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탄성 플랫폼의 슬라이딩 탑재 시 탄성 플랫폼의 좌우측 요동을 줄여 타 의장품 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체인 고정(Air chain block) 방식이 아닌 외부 크레인과 연결된 푸싱 빔을 이용하여 탄성 플랫폼을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좌우방향의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탄성 플랫폼을 탑재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탄성 플랫폼에 마련된 패드아이(padeye)의 절단작업이 불필요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탄성 플랫폼의 종류에 대응하여 탄성 플랫폼이 거치되는 영역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탄성 플랫폼의 슬라이딩 탑재 시 탄성 플랫폼의 좌우측 요동을 줄여 타 의장품 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체인 고정(Air chain block) 방식이 아닌 외부 크레인과 연결된 푸싱 빔을 이용하여 탄성 플랫폼을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좌우방향의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탄성 플랫폼을 탑재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탄성 플랫폼에 마련된 패드아이(padeye)의 절단작업이 불필요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는 작업용 플레이트,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스키딩 빔(skidding beam),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에 안착되고, 외부 크레인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며, 탄성 플랫폼의 일측 말단부를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싱 빔 및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크레인과 상기 푸싱 빔의 일측을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핸들링 시브(handling sheav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은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되, 상기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서로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은 각각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 상에서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 후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와 볼트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Bolting plate)가 마련되며, 상기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는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이 상기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각각의 측면에는 롤러용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푸싱 빔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용 플레이트와 맞닿아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각각의 상측면에는 슬라이딩 동작되는 상기 푸싱 빔 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0.2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피아트 플레이트(Pe-Hart plate)가 마련되며, 상기 피아트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각각의 상측에서 1m 내지 2m의 길이로 분할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싱 빔은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면에 걸쳐져 안착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 하측부에서, 제1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에 안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안착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 하측부에서, 상기 제1 탄성 플랫폼보다 면적이 넓은 제2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에 안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 하측부에서, 상기 제2 탄성 플랫폼보다 면적이 넓은 제3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3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싱 빔은 상기 한 쌍의 제1 안착 플레이트의 말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탄성 플랫폼의 일측 말단부와 접하는 한 쌍의 제1 푸싱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제2 안착 플레이트의 말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탄성 플랫폼 또는 상기 제3 탄성 플랫폼의 일측 말단부와 접하는 한 쌍의 제2 푸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싱 빔은 상기 외부 크레인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패드아이(padeye)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아이는 상기 잠수함을 향한 일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패드아이는 상기 제1 패드아이가 위치된 면과 반대면에 해당하는 타측면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외부 크레인과 상기 제1 패드아이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크레인이 작동될 경우, 상기 푸싱 빔이 상기 외부 크레인에 의해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상기 외부 크레인과 상기 제2 패드아이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크레인이 작동될 경우, 상기 푸싱 빔이 상기 외부 크레인에 의해 잠수함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드아이는 상기 푸싱 빔의 일측면에서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제2 패드아이는 상기 푸싱 빔의 타측면에서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링 시브는 상기 제1 패드아이와 상기 외부 크레인 사이에 위치하는 푸싱(pushing) 핸들링 시브 및 상기 제2 패드아이와 상기 외부 크레인 사이에 위치하는 풀(pull) 핸들링 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싱 핸들링 시브 및 상기 풀 핸들링 시브는 각각 두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탄성 플랫폼의 하측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지상, 상기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 및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를 오르내리도록 하는 접근용 계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하측부에서 지상과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의 하측부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지지대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와 각각 볼트 체결을 통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탄성 플랫폼의 종류에 대응하여 탄성 플랫폼이 거치되는 영역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탄성 플랫폼의 슬라이딩 탑재 시 탄성 플랫폼의 좌우측 요동을 줄여 타 의장품 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체인 고정(Air chain block) 방식이 아닌 외부 크레인과 연결된 푸싱 빔을 이용하여 탄성 플랫폼을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좌우방향의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탄성 플랫폼을 탑재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탄성 플랫폼에 마련된 패드아이(padeye)의 절단작업이 불필요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에 마찰계수가 적은 피아트를 마련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탄성 플랫폼을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용 플레이트 하측에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를 위치시킴으로써, TCC 탄성 플랫폼의 경우 하부 구조물 및 탱크와 인접하도록 작업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개의 지지대 하측에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지지대가 볼트 체결됨으로써, 각각의 탄성 플랫폼이 설치되는 높이가 상이할 경우 이를 선택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푸싱 빔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패드아이와 외부 크레인(예컨데,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을 와이어를 통해 연결할 시, 제1 및 제2 패드아이 각각의 위치 및 설치 높이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스프레드 빔(spread beam)을 이용하여 오버헤드 크레인에 1개의 후크(hook)만을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10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푸싱 빔(13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핸들링 시브(14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작업용 플레이트(110) 상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110a)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110a) 중에서 특정 볼팅 플레이트와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위치이동에 따라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푸싱 빔(130)의 제1 패드아이(130e)와 외부 크레인이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푸싱 빔(130)이 끌려 당겨짐으로써 탄성 플랫픔이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10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푸싱 빔(13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핸들링 시브(140)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100)는 크게 작업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스키딩 빔(skidding beam, 120), 푸싱 빔(pushing beam, 130) 및 핸들링 시브(handling sheave, 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150), 접근용 계단(160) 및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지지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작업용 플레이트(110)는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100)의 최상측에 위치되며, 작업자가 볼팅,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용 플랫폼(working platform)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스키딩 빔(120), 푸싱 빔(130) 및 핸들링 시브(140)에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형태,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며 형태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길이는 탄성 플랫폼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은 상술한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서로 평행하게 사이 간격이 형성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은 후술되는 푸싱 빔(130)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하는 안착 공간(혹은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작업용 플레이트(110) 상에는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bolting plate, 110a)가 폭 방향으로 마련됨에 따라,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각각의 하측에 마련된 볼트홈이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110a) 중 어떠한 볼팅 플레이트(110a)와 겹쳐져 볼트체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각각의 위치가 결정된다는 의미는, 서로 다른 크기(혹은 면적)를 가지는 탄성 플랫폼에 대응하여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각각의 사이 간격이 멀어질수도 있고 좁아질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됨이 바람직하다.
만약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각각의 사이 간격이 멀어질 경우에는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탄성 플랫폼이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될 수 있고, 한 쌍의 스키딩 빔(12) 각각의 사이 간격이 좁아질 경우에는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탄성 플랫폼이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이 서로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구성을 통해, 다양한 크기(혹은 면적)을 가지는 탄성 플랫폼에 대응할 수 있어 각각의 슬라이딩 지그가 필요하던 종래 대비 비용적인 측면 및 보관성에 대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작업용 플레이트(110) 상에 볼팅 플레이트(110a)가 폭 방향으로 다수개로 배열됨에 따라,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중심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볼팅 플레이트(110a)와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이 서로 볼트 체결되는 경우,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간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중심부와 멀면서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볼팅 플레이트(110a)와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이 서로 볼트 체결되는 경우,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간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특히, 이때 작업용 플레이트(110) 및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은 서로 볼트를 통해 볼트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용 플레이트(110)를 통해 볼팅 플레이트(110a)에 접근한 작업자가 볼트를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이 볼팅 플레이트(110a)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이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은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측면에는 롤러용 플레이트(120a)가 마련될 수 있고, 후술되는 푸싱 빔(130)의 일측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회전되기 위한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롤러가 롤러용 플레이트(120a)과 맞닿은 상태에서 롤러용 플레이트(120a)를 따라 회전하는 경우, 탄성 플랫폼의 좌우방향으로의 흔들림(혹은 요동)이 구속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상측면에는 후술되는 푸싱 빔(130)의 슬라이딩 동작 시 푸싱 빔(130) 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마찰계수가 0.2에 해당하는 피아트 플레이트(Pe-Hart plate, 120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피아트 플레이트(120b)는 1m 내지 2m 간격으로 분할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피아트 플레이트(120b) 중 일부가 훼손되는 경우에도 해당 피아트 플레이트만을 제거 및 보수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은 작업용 플레이트(110)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H빔(H beam)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싱 빔(130)은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되고, 외부 크레인(예컨데, 오버 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 등)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며, 탄성 플랫폼의 말단부를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푸싱 빔(130)은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면에 걸쳐져 안착되는 메인 플레이트(130a), 메인 플레이트(130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하측부에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제1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안착 플레이트(130b), 메인 플레이트(130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하측부에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탄성 플랫폼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제2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2 안착 플레이트(130c) 및 메인 플레이트(130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하측부에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탄성 플랫폼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제3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3 안착 플레이트(130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 플랫폼은 제1 탄성 플랫폼에서 제3 탄성 플랫폼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넓어지게 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간격 또한 넓어지게 된다. 이때, 푸싱 빔(130)의 메인 플레이트(130a)의 길이는 제한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안착 플레이트(130b), 제2 안착 플레이트(130c) 혹은 제3 안착 플레이트(130d)가 선택적으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더라도 푸싱 빔(130)은 제1 내지 제3 안착 플레이트(130b, 130c, 130d)에 의하여 자유롭게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안착 플레이트(130b, 130c, 130d)가 한 쌍의 스키딩 빔(12)과 상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제1 안착 플레이트(130b) 및 제2 안착 플레이트(130c)의 말단부를 통해 제1 내지 제3 탄성 플랫폼의 말단부를 밀어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한 쌍의 제1 안착 플레이트(130b)의 말단부에는 한 쌍의 제1 푸싱 플레이트(130b-1)가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안착 플레이트(130b)의 말단부에는 한 쌍의 제2 푸싱 플레이트(130c-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푸싱 플레이트(130b-1)가 제1 탄성 플랫폼의 말단부와 접하여 밀어주는 힘을 받는 힘의 작용점 역할을 하게 되고, 제2 푸싱 플레이트(130c-1)가 제2 탄성 플랫폼 혹은 제3 탄성 플랫폼의 말단부와 접하여 밀어주는 힘을 받는 힘의 작용점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푸싱 플레이트(130b-1, 130c-1)의 면적 및 두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또한, 푸싱 빔(130)은 외부 크레인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외부 크레인이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푸싱 빔(130)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패드아이(padeye, 130e, 130f)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드아이(130e)는 푸싱 빔(130)에서 잠수함을 향한 일측면(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플랫폼을 밀어주는 방향에 위치한 면)에 위치되고, 제2 패드아이(130f)는 제1 패드아이(130e)가 위치한 면과 반대면(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플랫폼을 밀어주는 방향과 반대편에 위치한 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제1 패드아이(130e)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크레인이 와이어를 끌어당기는 경우, 푸싱 빔(130)은 외부 크레인에 의해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게 되고, 반대로 와이어가 제2 패드아이(130e)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크레인이 와이어를 끌어당기는 경우, 푸싱 빔(130)은 외부 크레인에 의해 잠수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게 된다.
즉, 이러한 푸싱 빔(13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서 탄성 플랫폼이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에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플랫폼에는 별도의 패드아이가 불필요하게 되고 추후 패드아이를 절단하는 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패드아이(130e)는 푸싱 빔(130)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패드아이(130f)는 푸싱 빔(130)의 양측 말단부에서 제1 패드아이(130e)와 반대편을 향해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패드아이(130e)는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푸싱 빔(130)의 하측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3 안착 플레이트(130b, 130c, 130d)의 하측부에는 상술한 롤러용 플레이트(120a)와 접하여, 롤러용 플레이트(120a)를 따라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130g)가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롤러(130g)가 롤러용 플레이트(120a)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푸싱 빔(130)이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동작하더라도 좌우측으로 이격간격이 10mm 내외에 해당하여 요동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핸들링 시브(140)는 외부 크레인과 제1 패드아이(130e) 사이에 위치하는 푸싱(pushing) 핸들링 시브(140a) 및 외부 크레인과 제2 패드아이(130f) 사이에 위치하는 풀(pull) 핸들링 시브(140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들링 시브(140)는 작업용 플레이트(110)에 고정된 고정 도르래로써,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각종 의장품 등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푸싱 핸들링 시브(140a)의 푸싱은 외부 크레인과 연결된 와이어가 푸싱 빔(130)의 제1 패드아이(130e)를 끌어당긴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풀 핸들링 시브(140b)의 풀은 외부 크레인과 연결된 와이어가 푸싱 빔(130)의 제2 패드아이(130f)를 끌어당김에 따라 푸싱 빔(130)이 잠수함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밀려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싱 핸들링 시브(140a)는 제1 패드아이(130e)의 개수와 상응하게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풀 핸들링 시브(140b)는 제 2 패드아이(130f)의 개수와 상응하게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푸싱 핸들링 시브(140a) 혹은 풀 핸들링 시브(140b)에 와이어가 걸리는 높이(즉, 작업용 플레이트(110)로부터의 높이)는 푸싱 빔(130)의 제1 및 제2 패드아이(130e, 130f)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150)는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하측에서 작업자가 탄성 플랫폼의 하측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데, 탄성 플랫폼 중 TCC 탄성 플랫폼의 경우, 하부에 구조물 및 탱크가 설치됨에 따라 하부에도 작업자의 접근을 요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150)를 통해 TCC 탄성 플랫폼의 하부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근용 계단(160)은 작업자가 지상에서 상기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150), 혹은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150)에서 작업용 플레이트(110)로 오르내리도록 하는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접근용 계단(160)의 폭은 최소 500mm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지지대(170)는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하측부에서 지상과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지지대(110b)의 하측부와 연결되며, 다수개의 지지대(110b)와 각각 볼트 체결을 통해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탄성 플랫폼 별로 잠수함에 설치되는 높이가 다를 수 있기에 높이조절용 지지대(170)를 다수개의 지지대(110b)에 선택적으로 볼트 체결함으로써 각각의 탄성 플랫폼 별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5를 통해 볼팅 플레이트(110a)에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이 볼트 체결되는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작업용 플레이트(110) 상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110a)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작업용 플레이트(110) 상에 하나 이상의 볼팅 플레이트(110a)가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측과 인접하게 위치한 볼팅 플레이트(110a)는 가장 큰 크기(혹은 면적)을 가지는 제3 탄성 플랫폼을 위한 영역이고,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중심측과 인접하게 위치한 볼팅 플레이트(110a)는 가장 작은 크기(혹은 면적)을 가지는 제1 탄성 플랫폼을 위한 영역이다.
따라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이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측과 인접하게 위치한 볼팅 플레이트(110a) 혹은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중심측과 인접하게 위치한 볼팅 플레이트(110a)에 선택적으로 볼트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을 통해 실제로 이러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위치이동에 따라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110a) 중에서 특정 볼팅 플레이트와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위치이동에 따라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각각의 탄성 플랫폼 별 크기(혹은 면적)에 대응하여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함을 알 수 있다.
도 6(a)는 가장 폭의 크기가 작은 제1 탄성 플랫폼(예컨데, TCC 탄성 플랫폼 등)의 탑재 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을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중심측과 인접하게 위치한 볼팅 플레이트(110a)에 볼트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푸싱 빔(130)의 한 쌍의 제1 안착 플레이트(130b)가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b)는 제1 탄성 플랫폼 보다 크기가 큰 제2 탄성 플랫폼(예컨데, DG 탄성 플랫폼 등)의 탑재 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을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중심측으로부터 조금 이격되게 위치한 볼팅 플레이트(110a)에 볼트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푸싱 빔(130)의 한 쌍의 제2 안착 플레이트(130c)가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c)는 제2 탄성 플랫폼 보다 크기가 큰 제3 탄성 플랫폼(예컨데, CIC 탄성 플랫폼 등)의 탑재 시,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을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측과 인접하게 위치한 볼팅 플레이트(110a)에 볼트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푸싱 빔(130)의 한 쌍의 제3 안착 플레이트(130d)가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안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6을 통해 한 쌍의 스키딩 빔(12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더라도 푸싱 빔(130)의 슬라이딩 동작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푸싱 빔(130)의 제1 패드아이(130e)와 외부 크레인이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푸싱 빔(130)이 끌려 당겨지는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푸싱 빔(130)의 제1 패드아이(130e)와 외부 크레인이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푸싱 빔(130)이 끌려 당겨짐으로써 탄성 플랫폼이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작업용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위치한 한 쌍의 스키딩 빔(120) 상측에 푸싱 빔(130)과 탄성 플랫폼이 안착되어 있고, 이때 푸싱 빔(130)의 제1 패드아이(130e)와 연결된 와이어는 푸싱 핸들링 시브(140a)에 일측이 걸쳐진 상태에서 외부 크레인을 통해 당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푸싱 빔(130)은 푸싱 핸들링 시브(140a)를 향해 끌어 당겨지면서 슬라이딩되고, 이는 탄성 플랫폼을 잠수함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외부 크레인은 오버 헤드 크레인일 수 있고, 탄성 플랫폼은 TCC 탄성 플랫폼, DG 탄성 플랫폼 혹은 CIC 탄성 플랫폼일 수 있다. 또한, 탄성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간의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스키딩 빔(120) 간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더라도 푸싱 빔(130)의 역할과 외부 크레인을 통해 당겨지고 있는 상태는 변함없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110: 작업용 플레이트
110a: 볼팅 플레이트
110b: 지지대
120: 스키딩 빔
120a: 롤러용 플레이트
120b: 피아트 플레이트
130: 푸싱 빔
130a: 메인 플레이트
130b: 제1 안착 플레이트
130b-1: 제1 푸싱 플레이트
130c: 제2 안착 플레이트
130c-1: 제2 푸싱 플레이트
130d: 제3 안착 플레이트
130e: 제1 패드아이
130f: 제2 패드아이
130g: 롤러
140: 핸들링 시브
140a: 푸싱 핸들링 시브
140b: 풀 핸들링 시브
150: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
160: 접근용 계단
170: 높이조절용 지지대

Claims (14)

  1. 작업용 플레이트;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 상에서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 후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와 볼트 체결 및 고정되는 스키딩 빔(skidding beam);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에 안착되고, 외부 크레인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며, 탄성 플랫폼의 일측 말단부를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싱 빔;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크레인과 상기 푸싱 빔의 일측을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핸들링 시브(handling sheave);
    작업자가 지상, 상기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 및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를 오르내리도록 하는 접근용 계단; 및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하측부에서 지상과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의 하측부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은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되, 상기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서로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Bolting plate)가 마련되며, 상기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는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이 상기 다수개의 볼팅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볼트 체결되고,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각각의 측면에는 롤러용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푸싱 빔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용 플레이트와 맞닿아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각각의 상측면에는 슬라이딩 동작되는 상기 푸싱 빔 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0.2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피아트 플레이트(Pe-Hart plate)가 마련되며, 상기 피아트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각각의 상측에서 1m 내지 2m의 길이로 분할 설치되고,
    상기 푸싱 빔은 상기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면에 걸쳐져 안착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 하측부에서, 제1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에 안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안착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 하측부에서, 상기 제1 탄성 플랫폼보다 면적이 넓은 제2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에 안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 하측부에서, 상기 제2 탄성 플랫폼보다 면적이 넓은 제3 탄성 플랫폼의 면적에 대응하여 간격이 조절된 한 쌍의 스키딩 빔 상측에 안착되는 한 쌍의 제3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푸싱 빔은 상기 한 쌍의 제1 안착 플레이트의 말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탄성 플랫폼의 일측 말단부와 접하는 한 쌍의 제1 푸싱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제2 안착 플레이트의 말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탄성 플랫폼 또는 상기 제3 탄성 플랫폼의 일측 말단부와 접하는 한 쌍의 제2 푸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푸싱 빔은 상기 외부 크레인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패드아이(padeye)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아이는 상기 잠수함을 향한 일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패드아이는 상기 제1 패드아이가 위치된 면과 반대면에 해당하는 타측면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외부 크레인과 상기 제1 패드아이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크레인이 작동될 경우, 상기 푸싱 빔이 상기 외부 크레인에 의해 잠수함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상기 외부 크레인과 상기 제2 패드아이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크레인이 작동될 경우, 상기 푸싱 빔이 상기 외부 크레인에 의해 잠수함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 패드아이는 상기 푸싱 빔의 일측면에서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제2 패드아이는 상기 푸싱 빔의 타측면에서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핸들링 시브는 상기 제1 패드아이와 상기 외부 크레인 사이에 위치하는 푸싱(pushing) 핸들링 시브 및 상기 제2 패드아이와 상기 외부 크레인 사이에 위치하는 풀(pull) 핸들링 시브를 포함하며,
    상기 푸싱 핸들링 시브 및 상기 풀 핸들링 시브는 각각 두개 이상 마련되고,
    상기 작업용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탄성 플랫폼의 하측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용 추가 플레이트가 위치하며,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지지대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와 각각 볼트 체결을 통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54641A 2017-04-27 2017-04-27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KR10229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41A KR102290556B1 (ko) 2017-04-27 2017-04-27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41A KR102290556B1 (ko) 2017-04-27 2017-04-27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29A KR20180120529A (ko) 2018-11-06
KR102290556B1 true KR102290556B1 (ko) 2021-08-13

Family

ID=6432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41A KR102290556B1 (ko) 2017-04-27 2017-04-27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3639B (zh) * 2020-04-30 2022-09-09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水中坐底式可移动装吊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36Y1 (ko) * 2013-03-28 2014-1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키드 부재의 패드 기구
KR101616364B1 (ko) * 2014-10-28 2016-04-29 삼성중공업(주) 구조물 이동 장치, 구조물 건조 및 이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709542A (nl) * 1977-08-30 1979-03-02 Macgregor Comarain Holland B V Klem- en schuifinrichting.
KR100556285B1 (ko) * 2004-06-03 2006-03-03 (주)우남마린 전후밸런스 조절장치가 구비된 소형선박
KR20120002681U (ko) * 2010-10-11 2012-04-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높이 조절 작업대
KR101589202B1 (ko) * 2014-02-07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속운반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1616298B1 (ko) * 2014-04-03 2016-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 반목 장치 및 선박 진수 방법
KR20170035017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제이와이조선 조선소의 조선대용 레일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36Y1 (ko) * 2013-03-28 2014-1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키드 부재의 패드 기구
KR101616364B1 (ko) * 2014-10-28 2016-04-29 삼성중공업(주) 구조물 이동 장치, 구조물 건조 및 이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29A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543B1 (ko) 새들 조절형 수동 겐트리 크레인
KR102290556B1 (ko)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JP2019505441A (ja) 車両整備ドック
CN107777592B (zh) 起重机和平衡配重载板
TWI668177B (zh) 鎖固裝置固持工具以及擺輪裝置之位置調整方法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84911B1 (ko) 리프팅 지그
JP6789836B2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KR20200064533A (ko) 천장 크레인 제동장치
JP6335261B1 (ja) エレベータの釣合錘装置の改造方法及び釣合錘装置
JP2020119959A (ja) 防音壁付き静止誘導機器の搬送構造、防音壁付き静止誘導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20031285A1 (ja) エレベーターのおもりブロックおよびその移動方法
JP6911094B2 (ja) 作業床装置
KR20130024455A (ko) 용접기 이송용 지그
JP5355291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シュー据付調整方法
JP6412232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82054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機械台固定装置
KR100828693B1 (ko) 오버 헤드 드롭 리프터 장치
JP6973162B2 (ja) エレベーターの秤装置の保護装置
WO2018199134A1 (ja) エレベータ
US10604381B2 (en) Passenger conveyor lifting device and passenger conveyor lifting method
JP5925952B1 (ja) 連続炉の製造方法
WO2020031286A1 (ja) エレベーターのおもりブロックおよびその移動方法
KR200183221Y1 (ko) 수리가 용이한 케이블 행거장치
JP2014201438A (ja) エレベータのコンペンセーティングチェーンプロテ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